KR20100086797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797A
KR20100086797A KR1020090006219A KR20090006219A KR20100086797A KR 20100086797 A KR20100086797 A KR 20100086797A KR 1020090006219 A KR1020090006219 A KR 1020090006219A KR 20090006219 A KR20090006219 A KR 20090006219A KR 20100086797 A KR20100086797 A KR 20100086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distance
developer
fitting portion
plat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6472B1 (ko
Inventor
이정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6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472B1/ko
Priority to US12/624,114 priority patent/US8744300B2/en
Publication of KR2010008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되며,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에 공급하는 현상제공급부를 구비하는 현상기 조립체;와, 상기 현상기 조립체에 마련되는 접점과 접속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단자;와, 인접하는 도체와의 표면거리가 연장되도록, 상기 단자를 둘러싸는 표면거리 연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적 연결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공급부를 이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용지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유닛을 거쳐 용지에 전사되고, 용지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용지에 고정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접점들을 가지며, 이 중 일부의 접점으로는 1K [V] 내외의 고전압이 인가된다. 이러한 접점들 사이에는 안전 및 효율을 위해 소정 거리가 유지되어야 하며, 이러한 거리는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에 장애요인으로 작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연결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되며,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에 공급하는 현상제공급부를 구비하는 현상기 조립체와, 상기 현상기 조립체에 마련되는 접점과 접속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단자와, 인접하는 도체와의 표면거리가 연장되도록, 상기 단자를 둘러싸는 표면거리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벽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상기 내측플레이트에 형성된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측에 제1끼움부를 구비하는 접속판과, 상기 접속판의 제1끼움부와 결합되는 제2끼움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끼움부는 돌출부(凸)이고, 상기 제2끼움부는 상기 제1끼움부 가 끼워지는 오목부(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끼움부와 상기 제2끼움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끼움부와 상기 제2끼움부를 보호하는 절연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캡은 상기 커넥터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전원인가용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과 인접하는 도체 사이의 표면거리가 증가되도록, 상기 접점을 둘러싸며 상기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표면거리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벽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점 및 상기 커넥터 중 하나는 돌출부(凸)이고, 상기 접점 및 상기 커넥터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오목부(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또한, 상기 접점과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점과 상기 커넥터를 보호하는 절연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캡은 상기 커넥터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감광체,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 상기 감광체에 공급되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수용실,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에 공급하는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현상 기 조립체와, 상기 대전장치, 상기 현상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현상기 조립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접점들과, 상기 현상기 조립체의 접점들과 각각 접속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단자들과, 인접하는 단자와의 표면거리가 연장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둘러싸는 표면거리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벽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접점 주위의 전기적 연결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유닛(2)과, 화상을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장치(3)는 화상독취유닛(2)에서 입력되는 신호나 PC 등과 같은 외부 기 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본체(10), 급지유닛(20), 광주사유닛(30), 감광체(40K, 40C, 40M, 40Y), 대전장치(50K, 50C, 50M, 50Y), 현상제공급부(60K, 60C, 60M, 60Y), 전사유닛(70), 현상제 회수부(60K, 60C, 60M, 60Y), 정착유닛(90) 및 배지유닛(93)을 구비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급지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S)를 전사유닛(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40K, 40C, 40M, 40Y)에 조사하여 감광체(40K, 40C, 40M, 40Y)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감광체(40K, 40C, 40M, 40Y)는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대전장치(50Y)에 의해 소정전위로 대전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주사된 광에 의해 각 감광체(40K, 40C, 40M, 40Y)의 표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코로나방전의 부산물인 오존, NOX 등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 오존 흡입용 흡기덕트(56K, 56C, 56M, 56Y)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대전장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대전장치는 롤러방식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현상제공급부(60K, 60C, 60M, 60Y)는 감광체(40K, 40C, 40M, 40Y)들에 형성 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각 현상제공급부(60K, 60C, 60M, 60Y)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를 각각 수용한다.
전사유닛(70)은 중간전사벨트(71), 제1전사롤러(72)들 및 제2전사롤러(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광체(40K, 40C, 40M, 40Y)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72)들에 의해 중간전사벨트(71)로 전사되고, 중간전사벨트(71)의 화상은 급지유닛(20)으로부터 공급되어 제2전사롤러(73)와 중간전사벨트(71)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전사된다.
현상제 회수부(80K, 80C, 80M, 80Y)는 중간전사벨트(71)에 전사되지 아니하고 감광체(40K, 40C, 40M, 40Y)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회수한다.
정착유닛(90)은 가열롤러(91)와 가압롤러(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용지는 가열롤러(91)와 가압롤러(92)의 사이를 통과하고, 이 때 열과 압력에 의해 화상이 용지에 고정된다. 정착유닛(90)을 통과한 용지는 배지유닛(93)으로 안내되고, 배지롤러(9a)에 의해 인쇄장치(3)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조립체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조립체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조립체와 본체와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감광체( 40Y), 현상제공급부(60Y), 폐현상제 회수부(80Y) 및 대전장치(50Y)를 가지는 현상기 조립체(Y)를 포함하며, 현상기 조립체(Y)는 현상제 보충, 부품교환 시에 선택적으로 본체에 착탈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저장되어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이 담지되는 감광체(40Y)가 구비된 현상기 조립체(Y)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하의 내용은 다른 색상의 현상기 조립체(K, C, M)(도 1 참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감광체(40Y)는 감광체하우징(41)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현상제공급부(60Y)는 내부에 현상제수용실(62) 및 교반실(63)이 구비되는 케이스(61)와, 교반실(63)에 수용되는 이송부재(64a, 64b)와, 교반실(63)의 현상제를 감광체(40Y)에 공급하는 현상장치(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상장치(65)에는 교류 1K [V], 직류 600 [V]의 전압이 인가되고, 현상제는 전위차에 의해 감광체(40Y)로 이동된다.
현상제수용실(62)에 적재되는 현상제(T)는 교반실(63)로 공급되어 두 이송부재(64a, 64b)에 의해 교반된다. 이 과정에서 현상제(T)는 캐리어(C)와 마찰되어 전기적으로 대전되고, 정전대전된 현상제는 현상장치(65)를 거쳐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40Y)에 정전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폐현상제 회수부(80Y)는 감광체(40Y)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긁어내어 회수하는 클리닝블레이드(82)와, 회수된 폐현상제가 저장되도록 감광체하우징(41)에 마련되는 회수실(81)과, 회수실(81)에 저장된 폐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부재(83)를 포함한다.
대전장치(50Y)는 제전장치(98)에 의해 제전된 감광체(40Y)를 소정전위로 대전시키는 것으로서, 방전핀(51)과, 방전핀(51)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쉴드(52)와, 쉴드(52)의 감광체 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스크린(54)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방전핀(51)에는 8K [V]의 전압이 인가되고, 쉴드(52)에는 800 [V]의 전압이 인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조립체(Y)는 현상장치(65), 대전장치(50Y)의 방전핀(51) 및 쉴드(52)과 연결되는 접점(111, 112, 113)들을 구비한다. 현상기 조립체(Y)의 접점(111, 112, 113)들은 내측 플레이트(11)에 마련되는 단자(121, 122, 123)들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인접하는 도체와의 표면거리가 연장되도록 단자(111)를 둘러싸는 표면거리 연장부(130)를 구비한다. 미설명부호 124는 단자의 진퇴운동이 가능하도록 단자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나타낸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현상장치(65)와 연결된 접점(111)과 접속하는 단자(121)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다른 단자, 접점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표면거리 연장부(130)는 내측 플레이트(11)로부터 돌출되며 단자(121)를 둘러싸는 벽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측 플레이트(1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내측 플레이트(11)는 비전도성 재질, 예를 들어 ABS(Acrylonitrile Butadien Styrene) 플라스틱로 이루어진다. 물론, 표면거리 연장부는 내측 플레이트와 별개로 마련되어, 내측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도 있고, ABS(Acrylonitrile Butadien Styrene) 플라스틱 이외의 다른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단자와, 상기 단자와 인접하는 도체, 예를 들어 다른 단자 사이의 전기적 차폐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단자에 공급된 전류 중 일부가 내측 플레이트의 표면을 타고 흐르더라도,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전원이 공급된 단자와 인접하는 도체 사이에 충분한 표면거리가 마련되는 바, 전원이 공급된 단자와 인접하는 도체 사이의 전기적 차폐가 유지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와 같이, 1K [V] 내외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 개의 단자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도, 단자 사이의 전기적 차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단자와 단자 사이, 또는 단자와 도체 사이의 거리를 줄이더라도,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표면거리 연장부에 의해 전기적 차폐가 유지되므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에도 도움이 된다.
참고로, 이상에서 설명된 단자(121, 122, 123)는 전기적 연결부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단자, 접점 등의 전기적 연결부의 형태에 제한이 없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전기적 연결부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돌기형태일 수도 있고, 평판 형태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조립체용 전원공급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조립체용 전원공급부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조립체용 전원공급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단자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141)와, 탄성체(1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판(151)과, 탄성체(141)와 접속판(151)을 지지하는 보호판(180)과, 접속판(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161)를 더 포함한다. 단자(121)와 탄성체(131)는 내측 플레이트(11)에 마련된 설치홈(12)에 삽입 설치되고, 보호판(180)은 접속판(151), 탄성체(141) 및 단자(121)를 일측으로 지지한다. 커넥터(161)로 공급된 전원은 접속판(151), 탄성체(141)를 통해 단자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 접속판(151)은 돌출부(凸) 형태로 마련된 제1끼움부(151a)를 구비한다. 그리고, 커넥터(161)에는 접속판(151)의 제1끼움부(151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오목부(凹) 형상으로 마련된 제2끼움부(161a)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접속판(151)의 제1끼움부(151a)와 커넥터(161)의 제2끼움부(161a)는 서로 끼움결합되고, 접속판(151)과 커넥터(161)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165는 커넥터(161)에 슬라이딩 가능 하도록 마련되는 절연캡으로서, 본 실시예의 절연캡(165)은 제1끼움부(151a)와 제2끼움부(161a)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끼움부(151a)와 제2끼움부(161a)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절연캡()은 제1끼움부(151a)와 제2끼움부(161a)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차폐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커넥터(161)와 단자, 즉 접속판(151)과의 연결이 끼움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바, 별도의 공구 없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커넥터와 단자의 연결부에 별도의 절연캡을 포함하고 있는 바, 연결부에서의 전기적 차폐성이 향상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접속판(151)은 커넥터(161)와 연결되는 단자를 예시적 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그 형태 및 명칭에는 제한이 없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판(151)의 제1끼움부(151a)가 돌출부(凸) 형태로 마련되고 커넥터()의 제2끼움부(161a)가 오목부(凹) 형상으로 마련되지만, 제1끼움부가 오목부 형태로 마련되고 제2끼움부가 돌출부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181는 접속판(151)의 제1끼움부(151a)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보호판(180)에 형성된 노출구를 나타내며, 미설명 부호 182는 노출구의 주위에 마련된 표면거리 연장부를 나타낸다. 즉, 본 실시예의 접점, 즉 제1끼움부(151a) 주위에는 표면거리 연장부(182)가 마련되며, 이에 따라 다른 도체와 제1끼움부(151a) 사이의 전기적 차폐성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면거리 연장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표면거리 연장부(230)는 내측 플레이트(11)에 형성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자(12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표면거리 연장부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261)의 제2끼움부(261a)는 전선(262)과 대략 90도로 절곡되도록 마련되며, 절연캡(265)은 제2끼움부(261a)의 주위를 감싸도록 고정설치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 어, 본 실시예의 현상기조립체에는 감광체가 설치되지만, 감광체는 개별적으로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현상기조립체는 본체에 착탈되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연결해제되는 부재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부재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조립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조립체의 내부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조립체와 본체와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조립체용 전원공급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조립체용 전원공급부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조립체용 전원공급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면거리 연장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화상형성장치 3 인쇄장치
10 본체 20 급지유닛
30 광주사유닛 40Y 감광체
50Y 대전장치 60Y 현상제공급부
70 전사유닛 80Y 폐현상제회수부
90 정착유닛 Y 현상기 조립체
111 접점 122 단자
130 표면거리 연장부 141 탄성체
151 접속판 161 커넥터
165 절연캡

Claims (17)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되며,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에 공급하는 현상제공급부를 구비하는 현상기 조립체와,
    상기 현상기 조립체에 마련되는 접점과 접속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단자와,
    인접하는 도체와의 표면거리가 연장되도록, 상기 단자를 둘러싸는 표면거리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되는 요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측에 제1끼움부를 구비하는 접속판과,
    상기 접속판의 제1끼움부와 결합되는 제2끼움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부는 돌출부(凸)이고, 상기 제2끼움부는 상기 제1끼움부가 끼워지는 오목부(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부와 상기 제2끼움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끼움부와 상기 제2끼움부를 보호하는 절연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은 상기 커넥터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전원인가용 접점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점과 인접하는 도체 사이의 표면거리가 증가되도록, 상기 접점을 둘러싸며 상기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표면거리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벽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점 및 상기 커넥터 중 하나는 돌출부(凸)이고, 상기 접점 및 상기 커넥터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오목부(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과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점과 상기 커넥터를 보호하는 절연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은 상기 커넥터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감광체,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 상기 감광체에 공급되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수용실, 상기 현상제수용실에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에 공급하는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현상기 조립체와,
    상기 대전장치, 상기 현상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현상기 조립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접점들과,
    상기 현상기 조립체의 접점들과 각각 접속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단자들과,
    인접하는 단자와의 표면거리가 연장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둘러싸는 표면거리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벽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거리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06219A 2009-01-23 2009-01-23 화상형성장치 KR101586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219A KR101586472B1 (ko) 2009-01-23 2009-01-23 화상형성장치
US12/624,114 US8744300B2 (en) 2009-01-23 2009-11-23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219A KR101586472B1 (ko) 2009-01-23 2009-01-23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797A true KR20100086797A (ko) 2010-08-02
KR101586472B1 KR101586472B1 (ko) 2016-01-15

Family

ID=4235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219A KR101586472B1 (ko) 2009-01-23 2009-01-23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44300B2 (ko)
KR (1) KR101586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4690B2 (ja) * 2012-03-21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98390B2 (ja) * 2013-06-20 2017-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23694B2 (ja) * 2015-07-01 2020-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6566806B2 (ja) * 2015-09-16 2019-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軸受部材
JP6786840B2 (ja) * 2016-03-30 2020-1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821450B2 (ja) * 2017-01-25 2021-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18141865A (ja) * 2017-02-28 2018-09-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180Y1 (ko) * 1989-04-25 1991-10-12 홍승용 접속단자용 절연캡
JP2005049553A (ja) * 2003-07-31 2005-02-24 Ricoh Co Ltd 給電用面板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70538A (ja) * 2003-08-26 2005-03-17 Kyocera Mita Corp 高圧基板の取付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80226331A1 (en) * 2007-03-15 2008-09-18 Eugene David Allen Imaging Units and Methods of Insertion Into An Image For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3407A (ja) * 1996-01-31 1997-08-15 Canon Inc コネクタ及び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293056A (ja) 1999-04-06 2000-10-20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記録装置
KR100400003B1 (ko) * 2000-12-22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화상형성 장치의 정착 롤러 장치
EP1701224A1 (en) * 2002-02-19 2006-09-13 Seiko Epson Corporation Connector, development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050736B2 (en) * 2004-03-24 2006-05-23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photoconductive member to an operating voltage while isolating a conductive sha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180Y1 (ko) * 1989-04-25 1991-10-12 홍승용 접속단자용 절연캡
JP2005049553A (ja) * 2003-07-31 2005-02-24 Ricoh Co Ltd 給電用面板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70538A (ja) * 2003-08-26 2005-03-17 Kyocera Mita Corp 高圧基板の取付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80226331A1 (en) * 2007-03-15 2008-09-18 Eugene David Allen Imaging Units and Methods of Insertion Into An Image Form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472B1 (ko) 2016-01-15
US20100189460A1 (en) 2010-07-29
US8744300B2 (en)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6797A (ko) 화상형성장치
US10842019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727058B (zh) 供电机构和图像形成装置
US762726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high voltage circuit board and an insulative cover
CN101846909A (zh) 图像形成单元和设有该图像形成单元的图像形成设备
CN110262205B (zh) 鼓盒和成像设备
US8305406B2 (en) Image forming device
US1010812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360141B2 (ja) 給電装置
US2022026093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6662837B (zh) 图像形成装置
US1167530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58901B1 (ko) 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5446193B2 (ja) 画像形成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10018622B (zh) 电连接构造及图像形成装置
JP2007034044A (ja) コネクタ、現像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6527081B (zh) 一种显影盒
CN111830808B (zh) 转印单元及图像形成装置
US9429908B2 (en) Connecto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96421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installation section for a substrate
JP201903337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
US8600260B2 (en)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sheet-metal housing
CN220232252U (zh) 一种处理盒
KR20100053085A (ko) 화상형성장치
JP2005266545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帯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