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70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701A
KR20100083701A KR1020090124332A KR20090124332A KR20100083701A KR 20100083701 A KR20100083701 A KR 20100083701A KR 1020090124332 A KR1020090124332 A KR 1020090124332A KR 20090124332 A KR20090124332 A KR 20090124332A KR 20100083701 A KR20100083701 A KR 20100083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cable
fit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900B1 (ko
Inventor
야스히로 오오모리
마사히코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끼워 맞출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소켓(1)과 플러그(2)를 끼워 맞춰서, 소켓(1)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선(15)과 플러그(2)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선(25)과의 중계를 실행하는 커넥터(1OO)는, 소켓(1)이, 원통형의 한쪽 개구부(11a)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른 적어도 1개소를, 최심부(11b)가 V자 형상이 되도록 잘라내서 형성되는 노치부(113)와, 개구부(11a)의 둘레방향을 따른 적어도 1개소에서 돌출되어서, 선단부가 대략 V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제1 안내부(111)와, 원통형의 측면부에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 시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고정부(112)를 가지며, 플러그(2)가, 노치부(113)에 삽입되어 끼워 맞춰서 선단부가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안내부(211)와, 소켓(1)과의 끼워맞춤 시에 걸림고정부(112)와 걸리는 클로부(21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소켓과 플러그를 끼워 맞춰서, 소켓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선과 플러그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선과의 중계를 실행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기기 등에 있어서는, 통전(通電)용 전원 케이블이나 신호전달용 신호 케이블이 많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전원 케이블이나 신호 케이블을 연장하거나 신호를 다른 전기기기에 전달하거나 할 때에, 케이블과 케이블을 접속하는 케이스가 있다. 이와 같은 접속에 있어서는, 한쪽 케이블의 일단부에 소켓을 장착하는 동시에, 다른 쪽 케이블의 일단부에 플러그를 장착해서, 소켓과 플러그를 끼워 맞춰서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는 커넥터가 널리 이용된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로서, 하기에 인용문의 출처를 명시한 특허문헌 1-4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과, 해당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 동작에 따라서 쌍방의 커넥터 하우징을 끼워맞춤 상태로 고정시키는 로크(lock)수단을 구비해서 구성된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수 커넥터는, 리셉터클측 커넥터와 플러그측 커 넥터로 이루어진다. 리셉터클측 커넥터는 삽입구멍부분의 개방단부측 외주부에 일체 형성된 걸어맞춤부가 구비된다. 해당 걸어맞춤부는, 개방단부측 외주부와 동심형상으로 외주부와 소정 간극을 가지고 배치된 박형이며 또한 동일 폭의 환상 걸어맞춤체와, 외주부와 환상 걸어맞춤체의 내주부면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편을 구비하고 있다. 또, 플러그측 커넥터는 삽입구멍부분 내에 유극(遊隙)을 두고 끼운 형상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부를 구비하고, 삽입상태에서 삽입구멍부분 내주부면과 삽입돌기부 외주부면에서 압축 변형되어서 상호간을 액밀(液密)형상으로 밀봉 가능하게, 삽입돌기부의 외주부에 ○ 링이 탈락방지 유지된다. 또한, 플러그측 커넥터는 환상 걸어맞춤체에 탈락방지형상으로 걸리게 되는 피걸어맞춤부를 구비한다.
또,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커넥터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축방향으로 서로 전진시킴으로써 동심형상으로 끼워 맞춰지는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어느 한쪽의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홈과 다른 쪽의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리브가 끼워 맞춘 상태에서,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이 둘레방향의 상대회전을 규제하면서, 축방향의 끼워맞춤 동작을 허용되게 되어 있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한다. 또, 홈과 리브가 끼워 맞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양측 커넥터 하우징을 대략 동심형상으로 또한 둘레방향의 상대회전을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수단도 구비된다.
또,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끼워맞춤 유도기능 부착 커넥터는, 끼워 맞추는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 중, 한쪽의 커넥터 하우징에 다른 쪽의 커넥터 하우징을 수용하는 투체(套體)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해당 투체부의 상하 좌우의 둘레벽에는, 각각 끼워맞춤방향을 향해 확개(擴開)한 대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해당 경사면의 끼워맞춤방향에 있어서의 단부가 서로 근접하고, 다른 쪽의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 좌우의 외주부벽에 안내돌기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또, 대향하는 경사면의 바닥부에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걸림구멍이 형성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0-16289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11-13519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제3077696호 명세서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제3191909호 명세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가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끼워 맞출 때, 서로의 커넥터 하우징이 구비하는 로크수단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로크수단이 기능하지 않는다. 이런 연유로, 끼워 맞출 때에는 육안 관측에 의해 로크수단의 위치맞춤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수 커넥터가 리셉터클측 커넥터와 플러그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에도, 상기 특허문헌 1의 로크수단과 마찬가지로, 육안 관측에 의해 위치맞춤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또,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커넥터는,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가압하면서 둘레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없이 끼워맞춤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압 회전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에 불필요한 응력이 부가되게 되므로 해당 응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끼워맞춤 유도기능 부착 커넥터는, 한쪽의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다른 쪽의 커넥터 하우징이 어느 한 방향으로 가장 크게 어긋난 경우에도 안내 가능하도록 안내돌기의 길이를 길게 형성해 둘 필요가 있다. 이런 연유로,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적절히 끼워 맞춘 경우에도,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안내돌기가 크게 돌출되므로, 안내돌기가 커넥터 이외의 것에 걸려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감안해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어도 용이하게 끼워 맞출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특징 구성은, 소켓과 플러그를 끼워 맞춰서, 상기 소켓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선과 상기 플러그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선과의 중계를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소켓이, 원통형의 한쪽 개구부에서 둘레방향을 따른 적어도 1개소를, 최심부가 V자 형상이 되도록 잘라내서 형성되는 노치부와, 상기 개구부의 둘레방향을 따른 적어도 1개소에서 돌출되어서, 선단부가 대략 V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제1 안내부와, 상기 원통형의 측면부에 상기 플러그와의 끼워맞춤 시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노치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춰서 선단부가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안내부와, 상기 소켓과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걸림고정부와 걸리는 클로부를 가지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 구성으로 하면, 끼워맞춤 초기 단계에서 소켓과 플러그와의 둘레방향의 방향이 맞지 않는 경우에서도, 소켓의 노치부와 플러그의 제2 안내부에 의해, 끼워맞춤 도중에 소켓 및 플러그의 둘레방향의 방향이 교정되어서 적절히 끼워 맞출 수 있다. 이런 연유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어도 용이하게 끼워 맞출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 도중에 소켓 및 플러그의 둘레방향의 방향이 교정되므로, 소켓 및 플러그의 끼워맞춤 부위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런 연유로, 내구성이 우수한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클로부는,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와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에 상기 끼워맞춤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수직면을 가지며, 끼워맞춤방향 전측에 상기 끼워맞춤방향 후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축방향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플러그의 클로부가 소켓의 걸림고정부에 걸릴 때, 끼워맞춤방향 전측의 면이 끼워맞춤방향 후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로부가 파손되지 않는다. 또, 플러그의 클로부가 소켓의 걸림고정부에 걸린 경우에는, 클로부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의 면이 끼워맞춤방향으로 수직인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이 용이하게 해제되어서, 끼워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소켓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클로부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에 지그에 의한 해제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공간에 지그를 삽입해서 클로부의 걸림을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플러그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오목부에 예를 들면 마이너스 드라이버와 같은 미세한 판형상의 강체(剛體)를 삽입하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서 삽입한 점을 지점(支點)으로서 강체를 일으켜 세움으로써, 소켓의 걸림고정부와 플러그의 클로부와의 걸림을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플러그에 축심방향을 따른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오목부에의 지그의 삽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접속선 및 상기 제2 접속선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심선과, 해당 심선을 피복하는 제1 절연부와, 해당 제1 절연부를 또한 피복하는 제2 절연부와의 3층 구조의 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을 상기 소켓 및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접속할 때에, 상기 제1 절연부와 압입되는 케이블 패킹이 이용되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일단, 배치된 케이블은 케이블 패킹으로부터 뽑아내는 일은 없기 때문에, 케이블과 케이블 패킹과의 액밀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옥외에서 사용된 경우에도, 케이블의 심선을 확실히 방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케이블 패킹이, 상기 소켓을 구성하는 보디 및 상기 플러그를 구성하는 보디의 적어도 어느 한쪽과, 상기 케이블 패킹을 덮어서 상기 보디에 고정되는 캡과의 끼워맞춤 시에 압쇄되어서, 각각의 극간(隙間)을 메우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한층더 액밀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케이블 패킹이 보디와 캡에 의해 압입되므로, 콘택트를 보디에 삽입할 때에 순조롭게 실행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완전히 삽입했을 때에 일어나는 랜스(lance)의 감촉에 의해서, 사용자가 적절히 삽입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용이하게 실행하 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100)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상방향 사시도이다. 본 커넥터(100)는, 소켓(1)과 플러그(2)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해당 커넥터(100)에 의하면, 소켓(1)과 플러그(2)를 끼워 맞춰서, 소켓(1)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선(15)과 플러그(2)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선(25)과의 중계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이와 같은 커넥터(100)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접속선(15)은 제1 케이블(15)인 것으로 설명하고, 제2 접속선(25)은 제2 케이블(25)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소켓(1)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소켓(1)을 전개한 도면이다. 소켓(1)은 제1 보디(11), 제1 콘택트(12), 제1 캡(13), 제1 케이블 패킹(14)으로 구성되고, 소켓(1)의 한쪽 단부에 제1 케이블(15)이 접속된다.
제1 보디(11)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노치부(113)와 제1 안내부(111)와 걸림고정부(112)가 형성된다. 노치부(113)는, 원통형의 한쪽 개구부(11a)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른 적어도 1개소를, 최심부(11b)가 V자 형상이 되도록 잘라내서 형성된다. 한쪽의 개구부(1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15)이 접속되는 단부와는 반대측인 단부이며, 플러그(2)와 끼워 맞추는 측의 단부이다. 노치부(113)는 적어도 1개 형성되면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인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노치부(113)는 개구부(11a)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른 2개소가 잘려져서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상방향 사시도이기 때문에 노치부(113)는 1개밖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지만, 다른 쪽의 노치부(113)는 제1 보디(11)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으로 형성된다. 또, 노치부(113)는 잘라낸 최심부(11b)가 V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 V자 형상은 완전한 V자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최심부(11b)가 둥그스름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대략 V자 형상이면 된다.
제1 안내부(111)는, 개구부(11a)의 둘레방향을 따른 적어도 1개소에서 돌출되어서, 선단부가 대략 V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치부(113)는 제1 보디(1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2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안내부(111)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2개의 노치부(113)의 사이에 각각 1개씩 형성된다. 제1 안내부(111)는 돌출된 선단부가 대략 V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 V자 형상은 완전한 V자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선단부가 둥그스름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대략 V자 형상이면 된다.
걸림고정부(112)는, 원통형의 측면부에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 시에 걸려서 고정된다. 특히 걸림고정부(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측면부 중, 제1 안내부(111)의 끼워맞춤방향 바로 앞의 영역을 소정의 형상으로 도려내서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고정부(112)는 소켓(1)과 플러그(2)가 끼워 맞춰진 경우에, 후술하는 플러그(2)가 구비하는 클로부(212)와 걸려서 고정된다. 따라서, 소정의 형상이란 클로부(212)와 걸림 가능한 형상을 의미한다.
제1 콘택트(12)는 도전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된다. 제1 콘택트(12)의 한쪽 단부(12a)는, 후술하는 플러그(2)가 구비하는 제2 콘택트(22)와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제1 콘택트(12)의 다른 쪽 단부(12b)는, 제1 케이블(15)의 심선(15a)과 접속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케이블(15)의 심선(15a)을 제1 콘택트(12)의 단부(12b)에 끼워 유지하고(도 6 참조), 나아가서는, 코킹함으로써, 심선(15a)이 제1 콘택트(12)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제1 케이블(15)을 소켓(1)과 접속할 때에는, 해당 제1 케이블(15)의 제1 절연부(15b)와 압입되는 제1 케이블 패킹(14)이 이용된다.
제1 케이블 패킹(14)은 소켓(1)을 구성하는 제1 보디(11)와 제1 캡(13)과의 끼워맞춤에 이용된다. 제1 케이블 패킹(14)은 한쪽의 단부에 작은 구멍부분(141)이 형성되고, 다른 쪽의 단부에 큰 구멍부분(142)이 형성된다. 작은 구멍부분(141)의 내경은 제1 케이블(15)의 심선(15a)을 피복하는 제1 절연부(15b)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된다. 즉, 제1 케이블 패킹(14)은 제1 절연부(15b)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작은 구멍부분(141)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된다. 이런 연유로, 작은 구멍부분(141)에 제1 절연부(15b)를 삽입통과시킨 경우에, 액밀 가능하게 밀봉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 한층더 액밀성을 높이기 위해서, 큰 구멍부분(142)의 내경을 제1 절연부(15b)의 외측을 또한 피복하는 제2 절연부(15c)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해도 된다. 즉, 제1 케이블 패킹(14)은 제2 절연부(15c)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큰 구멍부분(142)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되도록 형성해도 되고, 큰 구멍부분(142)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제1 보디(11)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물론, 동등한 지름으로 하는 것도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케이블 패킹(14)은 제1 보디(11)와 제1 캡(13)을 끼워 맞출 때에 압축 된다. 즉, 제1 케이블 패킹(14)은 큰 구멍부분(142)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의 면과 제1 캡(13)의 끼워맞춤방향 전측의 면에 의해 압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보디(11)와 제1 캡(13)을 끼워 맞추는 경우에(끼워맞춤 시에), 제1 케이블 패킹(14)이 압쇄되면서 각각의 극간을 메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캡(13)은 제1 케이블(15)을 끼워 유지하는 제1 콘택트(12)와, 제1 케이블 패킹(14)을 덮어서 제1 보디(1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경우, 제1 보디(11)에 구비되는 캡 고정용 클로(11c)가, 제1 캡(13)의 측면부에 형성된 구멍부분(13a)에 걸리도록 고정시키면 매우 적합하다.
제1 케이블(15)은, 심선(15a)과, 해당 심선(15a)을 피복하는 제1 절연부(15b)와, 해당 제1 절연부(15b)를 또한 피복하는 제2 절연부(15c)와의 3층 구조로 형성된다. 심선(15a)은, 도전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소켓(1)은 구성된다.
도 3은 플러그(2)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플러그(2)를 전개한 도면이다. 플러그(2)는 제2 보디(21), 제2 콘택트(22), 제2 캡(23), 제2 케이블 패킹(24), 패킹(26)으로 구성되고, 제2 케이블(25)이 접속된다.
제2 보디(2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 안내부(211)와 클로부(212)가 형성된다. 제2 안내부(211)는, 노치부(113)에 삽입하여 끼워 맞춰서 선단부가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제2 안내부(211)는 최심부가 V자 형상으로 형성된 노치부(113)와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치부(113)는 2개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안내 부(211)도 2개 형성된다. 제2 안내부(211)는 노치부(113)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2 안내부(211)가 제2 보디(21)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안내부(211)는, 상술한 제1 안내부(111)와 마찬가지로 완전한 V자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대략 V자 형상이면 된다. 물론, 둥그스름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클로부(212)는, 소켓(1)과의 끼워맞춤 시에 걸림고정부(112)에 걸린다. 클로부(212)는 소켓(1)과 플러그(2)를 끼워 맞출 때에, 용이하게 이 끼워맞춤이 빠지지 않도록 걸림고정부(112)와 걸림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런 연유로, 소켓(1)의 걸림고정부(112)와 플러그(2)의 클로부(212)가 걸림 상태가 된 경우에는, 용이하게 소켓(1)과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을 빠지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콘택트(22)는 도전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된다. 제2 콘택트(22)의 한쪽 단부(22a)는, 소켓(1)이 구비하는 제1 콘택트(12)와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제2 콘택트(22)의 다른 쪽 단부(22b)는, 제2 케이블(25)의 심선(25a)과 접속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케이블(25)의 심선(25a)을 제2 콘택트(22)의 단부(22b)에 끼워 유지하고(도 6 참조), 나아가서는, 코킹함으로써, 심선(25a)이 제2 콘택트(2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제2 케이블(25)을 플러그(2)와 접속할 때에는, 해당 제2 케이블(25)의 제1 절연부(25b)와 압입되는 제2 케이블 패킹(24)이 이용된다.
제2 케이블 패킹(24)은 플러그(2)를 구성하는 제2 보디(21)와 제2 캡(23)과의 끼워맞춤에 이용된다. 제2 케이블 패킹(24)은 한쪽의 단부에 작은 구멍부 분(241)이 형성되고, 다른 쪽의 단부에 큰 구멍부분(242)이 형성된다. 작은 구멍부분(241)의 내경은 제2 케이블(25)의 심선(25a)을 피복하는 제1 절연부(25b)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된다. 즉, 제2 케이블 패킹(24)은 제1 절연부(25b)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작은 구멍부분(241)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된다. 이런 연유로, 작은 구멍부분(241)에 제1 절연부(25b)를 삽입통과시킨 경우에 액밀 가능하게 밀봉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 한층더 액밀성을 높이기 위해서, 큰 구멍부분(242)의 내경을 제1 절연부(25b)의 외측을 또한 피복하는 제2 절연부(25c)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해도 된다. 즉, 제2 케이블 패킹(24)은 제2 절연부(25c)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큰 구멍부분(242)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되도록 형성해도 되고, 큰 구멍부분(242)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제2 보디(21)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물론, 동등한 지름으로 하는 것도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2 케이블 패킹(24)은 제2 보디(21)와 제2 캡(23)을 끼워 맞출 때에 압축된다. 즉, 제2 케이블 패킹(24)은 큰 구멍부분(242)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의 면과 제2 캡(23)의 끼워맞춤방향 전측의 면에 의해 압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보디(21)와 제2 캡(23)을 끼워 맞추는 경우에(끼워맞춤 시에), 제2 케이블 패킹(24)이 압쇄되면서 각각의 극간을 메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캡(23)은, 제2 케이블(25)을 끼워 유지하는 제2 콘택트(22)와, 제2 케이블 패킹(24)을 덮어서 제2 보디(2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경우, 제2 보디(21)에 구비되는 캡 고정용 클로(21c)가, 제2 캡(23)의 측면부에 형성된 구멍부분(23a)에 걸리도록 고정시키면 매우 적합하다.
제2 케이블(25)은, 심선(25a)과, 해당 심선(25a)을 피복하는 제1 절연부(25b)와, 해당 제1 절연부(25b)를 또한 피복하는 제2 절연부(25c)와의 3층 구조로 형성된다. 심선(25a)은, 도전 가능하게 금속으로 형성된다.
패킹(26)은, 제2 보디(21)의 주위에 구비되고, 소켓(1)과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 시에 압축되어서 소켓(1)과 플러그(2)의 극간을 메운다. 제2 보디(21)의 주위는, 제2 보디(21)의 외주부이다. 소켓(1)과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 시에는, 패킹(26)이 제2 보디(21)의 외주부와 제1 보디(11)의 내주부와의 극간을 메우도록 기능하기 때문에, 제1 콘택트(12)와 제2 콘택트(22)와 액밀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플러그(2)는 구성된다. 또한, 패킹(26)은 ○ 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a)는 끼워맞춤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제2 안내부(211)가 정면이 되도록 제2 보디(21)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를 제2 보디(21)의 축심방향을 따라서 90도 회전한 경우의 도면이다. 제2 보디(21)의 측면부에는 2개의 클로부(212)가 구비된다. 클로부(212)의 1개(212a)는, 소켓(1)과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에 끼워맞춤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수직면(51)을 가지며, 끼워맞춤방향 전측에 끼워맞춤방향 후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2)을 가지고 축방향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끼워맞춤방향 후측은 제2 케이블(25)이 접속되는 측면이다. 따라서, 수직면(51)은 클로부(212a)가 가지는 면 중, 제2 케이블(25)이 접속되는 측의 면이다. 또, 수직면(51)은 끼워맞춤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끼워맞춤방 향에 대해서 수직은 수직인 만큼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직으로부터 예를 들면 몇 도 정도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 끼워맞춤방향 전측은 소켓(1)과 끼워 맞추는 측면이다. 따라서, 경사면(52)은 클로부(212a)가 가지는 면 중, 소켓(1)과 끼워 맞추는 측의 면이다. 또, 경사면(52)은 끼워맞춤방향 후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2 보디(21)의 축심방향과 평행하는 측면부와 경사지는 경사면(52)과의 이루는 각도(θ)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범위가 되도록 형성된다. 클로부(212a)는 이와 같은 면을 가지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의 축방향을 따른 축방향 단면이 사다리꼴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 클로부(212)의 다른 1개(212b)는 소켓(1)과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에 끼워맞춤방향에 대해서 끼워맞춤방향 전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3)을 가지며, 끼워맞춤방향 전측에 끼워맞춤방향 후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4)을 가지고 축방향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클로부(212b)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단면이 사다리꼴이 되도록 형성된다.
플러그(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부(212)의 1개(212a)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오목부(214)가 형성된다(도 7 참조). 또, 플러그(2)에는 적어도 오목부(214)의 폭보다도 작은 간격을 가지고, 플러그(2)의 축심방향을 따라서 2개의 리브(215)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214)와 리브(215)는, 제1 보디(11)의 걸림고정부(112)와 제2 보디(21)의 클로부(212a)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때에 이용된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다음에, 소켓(1)과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5(a)는 소켓(1)에 플러그(2)를 끼워 맞출 때의 초기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 초기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플러그(2)를 끼워맞춤 깊숙한 쪽으로 진입시킴으로써, 제1 보디(11)가 구비하는 제1 안내부(111)와, 제2 보디(21)가 구비하는 제2 안내부(211)와의 각각이 접촉되는 면의 방향에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끼워맞춤 소기의 위치로 교정된다. 그리고, 또한, 플러그(2)를 끼워맞춤 깊숙한 쪽으로 진입시킴으로써,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교정되고, 소켓(1)과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이 완료된다. 이러한 경우, 제1 보디(11)의 걸림고정부(112)에, 제2 보디(21)의 클로부(212a)가 걸려서 고정된다.
여기서, 도 6은, 소켓(1)과 플러그(2)가 끼워 맞출 때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과 플러그(2)를 끼워 맞출 때에는 패킹(26)이 압축 응력에 의해 압쇄되어서 제1 보디(11)와 제2 보디(21)와의 극간을 적절히 메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런 연유로, 소켓(1)과 플러그(2)가 끼워 맞추는 부위를 액밀적으로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1 케이블(15)의 심선(15a)이 접속된 제1 콘택트(12)와, 제2 케이블(25)의 심선(25a)이 접속된 제2 콘택트(22)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1 케이블(15) 및 제2 케이블(25)이 도통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15)의 제1 절연부(15b)와 제1 케 이블 패킹(14)의 작은 구멍부분(141)과의 사이에서 액밀성이 확보되고, 제1 케이블 패킹(14)을 제1 보디(11)와 제1 캡(13)에 끼워넣음으로써 제1 케이블 패킹(14)을 제1 보디(11)와 제1 캡(13)과의 사이의 액밀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심선(15a)의 액밀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1 케이블 패킹(14)이 제1 보디(11)와 제1 캡(13)에 의해 압입되어 있으므로, 제1 콘택트(12)를 제1 보디(11)에 삽입할 때에 순조롭게 실행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완전히 삽입했을 때에 일어나는 랜스의 감촉에 의해서, 사용자가 적절히 삽입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제2 케이블(25)의 제1 절연부(25b)와 제2 케이블 패킹(24)의 작은 구멍부분(241)과의 사이에서 액밀성이 확보되고, 제2 케이블 패킹(24)을 제2 보디(21)와 제2 캡(23)에 끼워넣음으로써 제2 보디(21)와 제2 캡(23)과의 사이의 액밀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심선(25a)의 액밀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2 케이블 패킹(24)이 제2 보디(21)와 제2 캡(23)에 의해 압입되어 있으므로, 제2 콘택트(22)를 제2 보디(21)에 삽입할 때에 순조롭게 실행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완전히 삽입했을 때에 일어나는 랜스의 감촉에 의해서, 사용자가 적절히 삽입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소켓(1)과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을 해제할 때의 순서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소켓(1)과 플러그(2)가 끼워 맞춰져 있는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디(11)의 걸림고정부(112)와, 제2 보디(21)의 클로부(212a)가 걸려서 고정되어 있다. 소켓(1)과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을 해제하 는 경우에는, 우선, 제1 보디(11)의 걸림고정부(112)와, 제2 보디(21)의 클로부(212a)가 걸림고정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 이런 연유로, 플러그(2)의 클로부(212)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에 지그에 의한 해제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는 강체(T)이며, 공간은 2개의 리브(215)의 사이의 제1 안내부(111)와 제2 보디(21)와의 극간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리브(215)의 사이의 제1 안내부(111)와 제2 보디(21)와의 극간에 예를 들면 마이너스 드라이버와 같은 미세한 판형상의 강체(T)를 삽입하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서 삽입한 점을 지점으로서 강체를 일으켜 세움으로써, 소켓(1)의 걸림고정부(112)와 플러그(2)의 클로부(212a)와의 걸림을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소켓(1)과 플러그(2)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맞당김으로써 끼워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강체(T)는 마이너스 드라이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보디(11)에 형성되는 노치부(113)가 2개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치부(113)를 1개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3개 이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노치부(13)의 위치에 맞춰서, 제2 보디(21)가 구비하는 제2 안내부(211)를 동일한 수만큼 형성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켓(1)과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이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제1 보디(11)의 걸림고정부(112)에, 제2 보디(21)의 클로부(212a)가 걸 려서 고정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소켓(1)과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을 필요에 따라서 비교적 용이하게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끼워맞춤방향 후측에 수직면(51)을 구비하는 클로부(212a)를 형성하지 않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방향 후측에 끼워맞춤방향 전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3)을 구비하는 클로부(212b)를 형성함으로써, 소켓(1)과 플러그(2)와의 끼워맞춤을 필요에 따라서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리브(215)를 구비하지 않도록 제2 보디(21)를 형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클로부(212) 중, 한쪽의 클로부(212a)는 끼워맞춤방향 후측으로 수직면(51)을 구비하고, 다른 쪽의 클로부(212b)는 끼워맞춤방향 전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3)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모든 클로부(212)를 끼워맞춤방향 후측에 끼워맞춤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수직면(51)을 구비해서, 한층더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에 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해서 리브(215)를 설치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패킹(14)에 의해 제1 보디(11)와 제1 케이블(15)과의 액밀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들의 액밀성을 한층더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15)을 삽입통과시킨 케이블 패킹(14)의 작은 구멍부분(141)의 외주단부 에 링(40)을 장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40)에 의해 케이블 패킹(14)의 작은 구멍부분(141)의 외주단부를 단단히 죔으로써, 케이블 패킹(14)과 제1 케이블(15)(특히 제1 절연부(15b))과의 액밀성을 더욱더 향상시키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케이블(15)의 제1 절연부(15b)와 제1 케이블 패킹(14)의 작은 구멍부분(141)에 의해 액밀성을 확보하고, 제1 케이블 패킹(14)을 제1 보디(11)와 제1 캡(13)에 끼워넣음으로써 액밀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캡(13)을 이용하지 않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 케이블 패킹(14)을 제1 절연부(15b)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작은 구멍부분(141)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하고, 또, 제2 절연부(15c)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큰 구멍부분(142)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되고, 또한 큰 구멍부분(142)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제1 보디(11)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되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당연히 액밀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 케이블 패킹(14)의 작은 구멍부분(141)의 외경을 제1 보디(11)의 내경과 동일하게 해서, 작은 구멍부분(141)과 제1 보디(11)와의 사이의 극간을 없애게 되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1 캡(13)을 이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 케이블 패킹(14)을 제1 절연부(15b)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작은 구멍부분(141)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하고, 또, 작은 구멍부분(141)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제1 보 디(11)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 가능하게 제1 케이블 패킹(14)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케이블 패킹(14)의 작은 구멍부분(141)의 외경을 제1 보디(11)의 내경보다도 크게 변경하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당연히 액밀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1 보디(11)와 제1 케이블(15)과의 액밀성의 확보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마찬가지로 제2 케이블 패킹(24)을 이용함으로써 제2 보디(21)와 제2 케이블(25)과의 액밀성을 확보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케이블(15)의 제1 절연부(15b)와 제1 케이블 패킹(14)의 작은 구멍부분(141)에 의해 액밀성을 확보하고, 제1 케이블 패킹(14)을 제1 보디(11)와 제1 캡(13)에 끼워넣음으로써 액밀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15)의 제2 절연부(15c)의 외주부를, 적어도 해당 외주부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케이블 패킹(41)으로 덮음으로써, 제1 케이블(15)과 케이블 패킹(41)과의 액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케이블 패킹(41)을 제2 절연부(15c)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케이블 패킹(41)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함으로써, 액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케이블 패킹(41)의 외경을 적어도 제1 보디(11)의 내경보다도 크게 해 둠으로써, 제1 보디(11)와 케이블 패킹(41)과의 액밀성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케이블 패킹(41)을 케이블 패킹(41)의 지름방향 외부측면과 제1 보디(11)의 지름방향 내부측면에 의해 압입함으로써, 액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 성으로 하면, 제1 캡(13)을 이용하지 않고, 제1 보디(11)와 제1 케이블(15)과의 액밀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보디(11)와 제1 케이블(15)과의 액밀성의 확보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동일한 케이블 패킹(41)을 이용함으로써 제2 보디(21)와 제2 케이블(25)과의 액밀성을 확보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에 있어서, 제1 캡(13)을 이용해서 액밀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케이블 패킹(41)을 케이블 패킹(41)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의 면과 제1 캡(13)의 끼워맞춤방향 전측의 면에 의해 압입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블 패킹(41)과 제1 캡(13)으로 액밀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안내부(111) 및 제2 안내부(211)를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안내부(111) 및 제2 안내부(211)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대략 V자 형상이 아니라, 둥그스름한 형상(예를 들면 U자 형상)으로 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혹은,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접속선(15)이 제1 케이블(15)이며, 제2 접속선(25)이 제2 케이블(25)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접속선(15) 및 제2 접속선(25)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각종 장치가 구비하는 소켓(1)이나 플러그(2)이어도 된다. 즉, 케이블 대 케이블의 중계를 실행하는 커넥터(100)가 아니라, 기판 대 기판의 중계를 실행하는 커 넥터(100)이어도 되고, 케이블 대 기판의 중계를 실행하는 커넥터(100)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판 내에 배선되는 접속패턴이, 제1 접속선(15)이나 제2 접속선(25)에 상당한다. 또, 이러한 경우에는, 케이블 패킹(14)이나 케이블 패킹(24)을 이용하지 않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브(215)는 2개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리브(215)의 폭은, 오목부(214)의 폭보다 작든 크든 혹은 동등하든 상관없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2)에 오목부(214)를 가지는 동시에, 리브(215)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리브(215)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소켓(1)에 오목부(21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때는, 소켓(1)의 클로부(212)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에 위치하는 개소를 박형으로 하는 등 해서 형성하면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은, 소켓과 플러그를 끼워 맞춰서, 소켓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선과 플러그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선과의 중계를 실행하는 커넥터에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커넥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상방향 사시도;
도 2는 소켓의 전개도;
도 3은 플러그의 전개도;
도 4는 끼워맞춤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제2 안내부가 정면이 되도록 제2 보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소켓과 플러그와의 끼워맞춤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소켓과 플러그와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소켓과 플러그와의 끼워맞춤을 해제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
도 8은 그 외의 실시형태의 플러그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
도 9는 링을 이용한 경우의 접속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
도 10은 그 외의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패킹을 이용한 접속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켓 2: 플러그
11: 제1 보디 11a: 개구부
11b: 최심부 13: 제1 캡
13a: 구멍부분 15: 제1 케이블(제1 접속선)
15a: 심선 15b: 제1 절연부
15c: 제2 절연부 21: 제2 보디
23: 제2 캡 23a: 구멍부분
25: 제2 케이블(제2 접속선) 100: 커넥터
111: 제1 안내부 112: 걸림고정부
113: 노치부 211: 제2 안내부
212: 클로부

Claims (7)

  1. 소켓과 플러그를 끼워 맞춰서, 상기 소켓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선과 상기 플러그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선과의 중계를 실행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소켓이, 원통형의 한쪽 개구부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른 적어도 1개소를, 최심부가 V자 형상이 되도록 잘라내서 형성되는 노치부와, 상기 개구부의 둘레방향을 따른 적어도 1개소로부터 돌출되어서, 선단부가 대략 V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제1 안내부와, 상기 원통형의 측면부에 상기 플러그와의 끼워맞춤 시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노치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춰서 선단부가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안내부와, 상기 소켓과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걸림고정부와 걸리는 클로부를 가지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부는,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와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에 상기 끼워맞춤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수직면을 가지며, 끼워맞춤방향 전측에 상기 끼워맞춤방향 후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축방향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소켓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클로부의 끼워맞춤방향 후측에 지그에 의한 해제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축심방향을 따른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선 및 상기 제2 접속선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심선과, 해당 심선을 피복하는 제1 절연부와, 해당 제1 절연부를 또한 피복하는 제2 절연부와의 3층 구조의 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을 상기 소켓 및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접속할 때에, 상기 제1 절연부와 압입되는 케이블 패킹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패킹이, 상기 소켓을 구성하는 보디 및 상기 플러그를 구성하는 보디의 적어도 어느 한쪽과, 상기 케이블 패킹을 덮어서 상기 보디에 고정되는 캡과의 끼워맞춤 시에 압쇄되고, 각각의 극간(隙間)을 메우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90124332A 2009-01-13 2009-12-15 커넥터 KR101121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05014 2009-01-13
JP2009005014A JP4820421B2 (ja) 2009-01-13 2009-01-13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701A true KR20100083701A (ko) 2010-07-22
KR101121900B1 KR101121900B1 (ko) 2012-03-20

Family

ID=4212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332A KR101121900B1 (ko) 2009-01-13 2009-12-15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11942B2 (ko)
EP (1) EP2207242A3 (ko)
JP (1) JP4820421B2 (ko)
KR (1) KR101121900B1 (ko)
CN (1) CN101777714B (ko)
CA (1) CA2693713C (ko)
TW (1) TWI3826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2744B1 (en) * 2009-09-24 2012-06-20 Tyco Electronics France SAS Electrical socket with supporting element, electrical plug with deformation pocket and plug assembly with at least one socket and one plug as well as a method for connecting a plug and a socket
JP5594902B2 (ja) * 2011-04-18 2014-09-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太陽電池パネル用コネクタ及び太陽電池パネル連結体
CN202167697U (zh) * 2011-04-27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接头装置
US8408932B2 (en) * 2011-05-17 2013-04-02 Apple Inc.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s
US8782869B2 (en) 2011-05-17 2014-07-22 Apple Inc. Unlocking tool for male connector
JP5627110B2 (ja) * 2011-06-01 2014-11-1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5828199B2 (ja) * 2011-10-05 2015-12-02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4011944B (zh) * 2011-12-23 2016-07-06 德尔福国际业务卢森堡公司 自对正的连接器装置
GB2517873C (en) 2012-06-11 2019-07-10 Ftl Subsea Ltd Mooring connector comprising rotational alignment means
CN103779718A (zh) * 2012-10-25 2014-05-07 昆山格兰特电子科技有限公司 公头连接器
WO2014096887A1 (en) * 2012-12-20 2014-06-26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R.L. Electrical assembly with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6356387B2 (ja) * 2012-12-25 2018-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56058B2 (ja) * 2013-03-13 2016-07-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978163B2 (ja) * 2013-04-08 2016-08-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040088B2 (ja) * 2013-04-15 2016-12-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90140B2 (ja) * 2013-08-09 2016-09-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N104218383B (zh) * 2013-09-16 2017-03-22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壳体组件和电连接器组件
JP2015076296A (ja) * 2013-10-10 2015-04-20 Smk株式会社 コネクタのターミナル係止構造
US20160138613A1 (en) * 2014-11-19 2016-05-19 Baker Hughes Incorporated Threaded Connection with Engaging Lugs for Electrical Submersible Pump
US9444169B2 (en) 2015-01-21 2016-09-13 Cooper Technologies Company Contacts with retractable drive pins
JP6311623B2 (ja) * 2015-02-06 2018-04-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5852296B1 (ja) * 2015-04-21 2016-02-03 ウイトコオブジュピター電通株式会社 コネクタ
DE202015003177U1 (de) 2015-04-30 2015-05-1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ung und Satz von Steckverbindungen
US9843131B2 (en) * 2015-08-19 2017-12-12 Apple Inc. Cable connectors and methods for the assembly thereof
JP6719887B2 (ja) * 2015-11-04 2020-07-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FR3051080B1 (fr) * 2016-05-09 2022-07-22 Delphi Int Operations Luxembourg Sarl Ensemble de connexion et procede d'assemblage de cet ensemble de connexion
CN105826795B (zh) * 2016-05-19 2018-05-29 东莞市广业电子有限公司 一种设备及用于插接光纤电缆插头的插槽机构
CN105932468B (zh) * 2016-06-12 2018-12-04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电连接器
KR102614823B1 (ko) * 2016-12-13 2023-12-18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댐퍼용 피스톤 조립체
JP6580548B2 (ja) * 2016-12-22 2019-09-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7459307U (zh) * 2017-11-02 2018-06-05 东莞市协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快速自锁和解锁的电气连接器
JP6734836B2 (ja) * 2017-12-20 2020-08-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防水構造
CN108183349B (zh) * 2018-01-02 2024-03-29 欧品电子(昆山)有限公司 高密度连接器及薄片型针座
US10483690B1 (en) 2018-09-10 2019-11-19 Vadovations, Inc. Electrical connector
US10741968B2 (en) 2018-09-10 2020-08-11 Vadovations, Inc. Electrical connector
CN113454853B (zh) * 2019-02-15 2023-07-04 赫斯曼汽车有限公司 用于具有360度可插接性的轴的插接连接设备
EP3700023B1 (de) * 2019-02-22 2021-01-1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gehäuse und steckverbindung
KR102222217B1 (ko) * 2019-10-15 2021-03-03 재상전자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CA3158971A1 (en) * 2019-11-22 2021-05-27 Alan Uyeda Sealing of an electronic lock
CN111180918B (zh) * 2020-01-03 2020-12-08 温州派瑞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航空配电产品用接线柱部件
CN113300146B (zh) * 2020-02-21 2022-08-12 鹤山市柏拉蒂电子有限公司 连接器
CN112290301B (zh) * 2020-09-13 2022-03-22 泰州市航宇电器有限公司 一种柔性推拉快锁连接器
CN113178745B (zh) * 2021-04-22 2021-11-30 东莞市思索连接器有限公司 一种便于维修的连接器
EP4106114A1 (en) * 2021-06-14 2022-12-21 Vitesco Technologies GmbH High temperature sensor housing with thermocouple connecto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3008307A (ja) * 2021-07-05 2023-01-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9325A (en) * 1979-04-12 1980-12-16 Tyson Thomas E Self-aligning multi-pin connector
US4429938A (en) * 1982-01-06 1984-02-07 Midland-Ross Corporation Locking device for interfitting members
US4690495A (en) * 1984-11-14 1987-09-01 Giannini Gabriel M Optical fiber magnetic connector
JPS62147828A (ja) 1985-12-23 1987-07-01 Oki Electric Ind Co Ltd デ−タ伝送方式
US4634204A (en) * 1985-12-24 1987-01-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assist device
JPS63136482A (ja) * 1986-11-27 1988-06-08 動力炉・核燃料開発事業団 液体中接続方法及び接続装置
US4867523A (en) * 1988-10-28 1989-09-19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connector including serpentine grooved member actuated by longitudinal forces
US5123852A (en) * 1991-05-17 1992-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JP2605189B2 (ja) * 1991-08-27 1997-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装置
JP2582522Y2 (ja) * 1991-10-03 1998-10-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191909B2 (ja) 1995-09-06 2001-07-23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誘導機構付きコネクタ
JP3236762B2 (ja) * 1995-09-21 2001-12-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用大型ユニットの固定構造
JPH10162896A (ja) 1996-12-02 1998-06-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5984705A (en) 1996-12-02 1999-11-1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DE19739576A1 (de) * 1997-09-10 1999-03-25 Wieland Electric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H11135190A (ja) * 1997-10-31 1999-05-21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3077696B1 (ja) * 1999-08-17 2000-08-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58877B2 (ja) * 2001-07-04 2008-10-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6461179B1 (en) * 2001-09-04 2002-10-08 Woodhead Industries, Inc. Vibration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JP2003323932A (ja) * 2002-05-01 2003-11-14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CN1321485C (zh) * 2002-07-08 2007-06-13 林原 导线的连接装置
US7530830B1 (en) * 2007-07-19 2009-05-12 Sunpower Corporation Misalignment tolerant connector
DE202007017521U1 (de) * 2007-12-15 2008-08-21 Lumberg Connect Gmbh Steckverbinder für Photovoltaikanschlusskab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7714A (zh) 2010-07-14
TWI382614B (zh) 2013-01-11
CA2693713A1 (en) 2010-07-13
CN101777714B (zh) 2012-12-19
EP2207242A2 (en) 2010-07-14
TW201027862A (en) 2010-07-16
EP2207242A3 (en) 2011-07-20
CA2693713C (en) 2011-12-06
JP2010165483A (ja) 2010-07-29
US20100178789A1 (en) 2010-07-15
JP4820421B2 (ja) 2011-11-24
US8011942B2 (en) 2011-09-06
KR101121900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900B1 (ko) 커넥터
US9059534B2 (en) Shield connector
US8177584B2 (en) Connector with wire sealing resilient plug
US9948025B2 (en) Connector
US786236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clip
US9893462B2 (en) Connector
US20170125949A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and Plug Connector Arrangement having a CPA
EP2390963B1 (en)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production method
EP2390964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9923298B2 (en) Connector with circumferentially spaced resilient positioning members extending resiliently between inner and outer housings
US9929506B2 (en) Connector
JP2011048949A (ja) シールドコネクタ装置
JP2009004111A (ja) コネクタ
JP4281970B2 (ja) コネクタ
US20170288336A1 (en) Connector
CN110299627B (zh) 防水连接器
JP2008004471A (ja) 防水コネクタ、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JP2017212129A (ja) 防水コネクタ
WO2015008609A1 (ja) コネクタ
JP2006147359A (ja) コネクタ
JP5780433B2 (ja) コネクタ
US20220368065A1 (en) Plug connector
JP2017098193A (ja) 防水コネクタ
JP2018010720A (ja) 電気コネクタ
CN107919556B (zh) 保护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