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863A -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863A
KR20100082863A KR1020107013160A KR20107013160A KR20100082863A KR 20100082863 A KR20100082863 A KR 20100082863A KR 1020107013160 A KR1020107013160 A KR 1020107013160A KR 20107013160 A KR20107013160 A KR 20107013160A KR 20100082863 A KR20100082863 A KR 20100082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molten steel
mold
tooth
coi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7687B1 (ko
Inventor
노부히로 오카다
고우지 다카타니
마사유키 가와모토
Original Assignee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63856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8286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82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22D11/115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by using magnetic f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gnetising or demagneti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20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out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겸용 코일의 코어부의 최적 치수를 구체화한다.
주형 장변(3b)의 외주에 배치하는 전자 코일에 3상 이상의 교류 전류 또는 직류 전류를 통전하여, 용강(2)에 전자 교반 또는 전자 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작용시키는 강의 연속 주조용 전자 코일 장치이다. 전자 코일은, 요크부(21b)로부터 2개의 티스부(21a)를 설치한다. 티스부(21a)는 내측 권선(22)을 감고, 내측 권선(22)을 감은 2개의 티스부(21a)의 더 외측에 외측 권선(23)을 감는다. 티스부(21a)의 길이 L을 티스부(21a)의 폭 W의 2배 이상으로 이룬다. 또는/및 요크부(21b)의 두께 Y를 티스부(21a)의 폭 W의 2배 이상으로 이룬다. 이 전자 코일을 각 장변(3b)에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씩 배치하여, 자성체의 코어부(21)를 메니스커스 위치로부터 침지 노즐(1)의 토출구멍(1a)을 포함하는 연직 방향의 범위에 배치한다.
전력 절약화와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충분한 교반 능력과 브레이크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ELECTROMAGNETIC COIL DEVICE FOR USE OF IN-MOLD MOLTEN STEEL CAPABLE OF SERVING BOTH AS ELECTROMAGNETIC STIR AND ELECTROMAGNETIC BRAKE}
본 발명은, 주형내 용강의 흐름을 제어하면서 강을 연속 주조할 때에 적용하는, 전자(電磁)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의 겸용이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강의 연속 주조에서는, 2개의 토출구멍을 가지는 침지 노즐을 이용하여 주형내에 용강을 공급한다. 도 7은, 이 일반적인 연속 주조법에 있어서의 주형내 용강의 유동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침지 노즐(1)의 토출구(1a)로부터 나온 용강(2)의 토출류는, 주형(3)의 단변(3a) 상의 응고 쉘(2c)에 충돌한 후, 상승류(2a)와 하강류(2b)로 분기한다. 이 중의 상승류(2a)는, 또한 메니스커스(meniscus) 아래에서, 침지 노즐(1)을 향하는 수평류가 된다. 또한, 도 7 중의 4는 파우더를 나타낸다.
이 주형내 용강의 유동을 제어하는 것은, 조업상 그리고 주편(鑄片)의 품질 관리상, 매우 중요하다. 이 주형내 용강의 유동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침지 노즐의 형상을 공부하는 방법, 주형내의 용강에 전자력을 작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는, 후자의 용강에 전자력을 작용시키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용강을 전자력에 의해 교반하는 전자 교반과, 용강 토출류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전자 브레이크로 크게 구별된다.
이 중, 전자 교반은, 주편의 품질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주로 고품질재의 주조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전자 브레이크는, 토출류의 제동에 의해, 토출류가 주형 단변에 충돌하여 응고 쉘이 재융해되어, 주편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나, 메니스커스 위치에서의 용강의 유속을 억제하여 주조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들 전자 교반 장치, 전자 브레이크 장치는, 모두 자성체의 코어부에 권선을 감은 전자 코일을 주형 배면에 설치한 것이다. 이 중, 코어부에는, 강자성체인 철재가 이용되는 것이 많아, 철심으로 불린다. 이 철심으로서, 교류 전류를 이용하는 전자 교반에서는, 전자 유도에 의한 철손(鐵損)을 경감하기 위해서, 전자 강판이 이용된다. 또, 전자 브레이크에서는, 연철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전자 코일 장치는, 통상, 전자 교반 또는 전자 브레이크의 어느 한쪽 단독의 기능 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이전부터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의 양 기능의 겸용이 가능한 전자 코일 장치(이후, 겸용 코일 장치라고 말한다.)의 개발을 행해 왔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 겸용 코일 장치의 경우도, 전자 교반 성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철심으로서 전자 강판이 이용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2007-007719호 공보
본 발명의 겸용 코일 장치의 형상도 기본적으로 특허 문헌 1에서 개시한 것 것과 동일하며, 출원인이 특허 문헌 2에서 개시한 전자 코일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특허 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 소60-044157호 공보
이 특허 문헌 2에서 개시한 겸용 코일 장치(11)를, 주형(3)의 장변(3b)측에 각 2개씩 연속 배치한 것을 도 8에 나타낸다. 이 겸용 코일 장치(11)는, 2개의 티스(teeth)부(12a)의 각각에 권선(내측 권선)(13)을 감고, 또한 2개의 티스부(12a)를 모아서 외측으로부터 권선(외측 권선)(14)을 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2개의 티스부(12a)와 요크부(12b)로 이루어지는 코어부(12)의 형상이 그리스 문자의 파이(Π)를 닮아 있는 점에서, 이 겸용 코일 장치(11)는, 파이형 코일로 불리고 있다.
그런데, 연속 주조에서는, 주조시에 주형을 진동시키므로, 주형에 설치하는 전자 코일 장치는 가능한 한 경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코일 장치의 경량화에는 코어부를 작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너무 작게 하면 전자 교반 성능이나 전자 브레이크 성능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코어부의 각 부위의 치수가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코어부를 구성하는 각 부위의 치수를 결정하는 점은, 상기 파이형 코일인 겸용 코일 장치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7-150627호에서는, 파이형 코일인 겸용 코일 장치에 있어서의 티스부의 폭 W(120~170mm)를 개시한 것 뿐이다. 따라서, 어느 부위의 치수를 어떠한 값으로 하면, 상기의 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 하등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전자 교반 성능과 전자 브레이크 성능 양쪽을 확보하기 위해서,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겸용 코일 장치에 있어서, 코어부의 어느 부분의 치수를 어떻게 결정하면 되는 것인지가 분명하지 않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겸용 코일 장치는,
전력 절약화와 코어부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전자 교반 성능 및 전자 브레이크 성능 양쪽을 확보하기 위해서,
주형 장변의 외주에 배치하는 전자 코일에 3상 이상의 교류 전류 또는 직류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주형내의 용강에 전자 교반 또는 전자 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작용시켜 강을 연속 주조하는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로서,
이 전자 코일 장치는,
전자 코일과, 3상 이상의 교류 전원 및 직류 전원을 가지며,
이 중의 전자 코일은,
요크부로부터 2개의 티스부를 설치하고,
이들 각 티스부는, 외측에 각각 내측 권선을 감고, 이들 내측 권선을 감은 2개의 티스부의 더 외측에 외측 권선을 감아 한묶음으로 이룸과 함께,
1) 이들 각 티스부의 길이 L을 각 티스부의 폭 W의 2배 이상으로 이룬,
또는/및
2) 이 요크부의 두께 Y를 티스부의 폭 W의 2배 이상으로 이룬,
구성으로,
이 전자 코일을 상기 각 장변에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씩 배치함과 함께,
상기의 요크부와 티스부로 이루어지는 자성체의 코어부를, 용강의 메니스커스 위치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구멍을 포함하는 연직 방향의 범위에 배치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절약화와 코어부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충분한 전자 교반 능력 및 전자 브레이크 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겸용 코일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전자장 해석에 있어서의 계산 모델을 나타낸 도이며, (a)는 전체 이미지를 나타낸 사시도, (b)는 수평 단면도, (c)도는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b)는 일본국 특허출원 2007-150627호에서 개시한 겸용 코일의 전류 위상의 조합을 설명한 도이다.
도 3은 전자 교반시의 티스부의 길이 L과 폭 W의 비(L/W)와 교반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티스부의 길이 L과 폭 W의 비(L/W)가 1.0, 2.0, 3.0인 경우의, 메니스커스 위치에서의 도 5의 A-A’위치의 장변 방향(주형 장변으로부터 5mm의 위치)의 유속 분포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유속의 비교 위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티스부의 폭 W를 120, 140, 170mm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전자 브레이크시의 요크부의 두께 Y와 티스부의 폭 W의 비(Y/W)와 자속 밀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일반적인 연속 주조법에 있어서의 주형내 용강의 유동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겸용 코일의 형상을 설명한 도이며, (a)는 수평 단면도, (b)는 수직 단면도이다.
전자 교반 성능과 전자 브레이크 성능 양쪽을 확보하기 위해서,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겸용 코일 장치에서는, 코어부의 어느 부분의 치수를 어떻게 결정하면 되는 것인지가 분명하지 않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 과제를, 코어부의 최적 치수를 구체화함으로써 전자 교반 성능과 전자 브레이크 성능 양쪽의 확보를 가능하게 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착상으로부터 과제 해결에 이르기 까지의 과정과 함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겸용 코일 장치는, 충분한 전자 교반 성능과 전자 브레이크 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에 더하여 경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자 교반이나 전자 브레이크를 실시하기에는 다대한 전력이 필요하지만, 전력의 증가는 가능한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 발명자들은, 충분한 전자 교반 성능 및 전자 브레이크 성능을 가지는 것에 더하여, 경량이며 또한 전력 절약화가 가능해지는 적절한 코어부 형상에 대해서 모색했다.
겸용 코일 장치의 성능 중, 전자 교반 능력은 용강 중에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한 교반력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 전자 브레이크 성능은 용강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의 크기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자들은, 충분한 전자 교반 성능 및 전자 브레이크 성능에 더하여, 경량화와 전력 절약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수치 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한 전자장 해석을 행하여, 겸용 코일 장치의 코어부 형상을 변화시킨 경우의 교반력과 자속 밀도 변화에 대해서 검토했다.
도 1에 전자장 해석에 있어서의 계산 모델을 나타낸다. (a)도는 전체 이미지를 나타낸 사시도, (b)도는 수평 단면도, (c)도는 수직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면 중의 숫자는 해당 모델의 각 부의 치수(mm)를 나타낸다.
구리제 주형(3)의 외측에 비자성 스텐레스제의 백업 플레이트(5)를 설치하고, 코어부(21)의 상단을 메니스커스 M과 동일한 높이로 했다. 코어부(21)를 구성하는 티스부(21a)에 대한 내측 권선(22) 및 외측 권선(23)의 폭은 각각 50mm이다. 또한, 도 1 중의 21b는 코어부(21)를 구성하는 요크부이다.
전자 교반을 실시하는 경우는, 인가하는 전류값이 45000ampere-turn(이후, AT라고 말한다.), 주파수가 4.0Hz인 교류 전류를 인가했다. 전자 브레이크를 실시하는 경우는, 인가하는 전류값이 54000AT인 직류 전류를 인가했다.
전자 교반시의 코일 전류 위상은, 일본국 특허출원 2007-150627호에서 개시한 전류 위상의 조합과 동일하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자 코일(가)~(다), 여자 코일(라)~(바), 여자 코일(사)~(자), 여자 코일(차)~(타)가 각각 1개의 전자 코일이다. 또, 여자 코일(가), (라), (사), (차)가 각각 2개의 티스부(21a)를 한묶음으로 하기 위해 외측 권선(23)을 감은 여자 코일이다.
그리고, 여자 코일(가)~(다)와 여자 코일(라)~(바)를 가지는 전자 코일을, 주형(3)의 한쪽의 장변(3b)측에 순서대로 배치한다. 다른쪽의 장변(3b)측의 여자 코일(사)~(자)와 여자 코일(차)~(타)를 가지는 전자 코일은, 여자 코일 (가)~(다)와 (라)~(바)를 가지는 전자 코일과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은 배치로 한 경우, 상기 각 전자 코일의 각 티스부(21a)에 내측 권선(22)을 감은 여자 코일(가)~(타)에, 3상 교류 전류에 있어서의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각 위상 U, V 및 W를, 상기 여자 코일의 순서로, 도 2와 같이 인가한다. 도 2(a)에서는 여자 코일(가)~(타)의 순으로, -W, +V, +U, +W, -V, -U, -W, +U, +V, +W, -U 및 -V를 인가한다. 또 도 2(b)에서는, -W, +V, +U, -V, +U, +W, +V, -W, -U, +W, -U 및 -V를 인가한다.
한편, 전자 브레이크시에는, 2개의 티스부(21a)가 감겨져 있는 3개의 권선(22, 23) 모두에 동일 방향의 전류를 인가한다.
수치 해석에 의한 검토의 결과, 전자 교반시의 교반력은, 티스부(21a)의 길이 L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전자 브레이크시의 자속 밀도는, 요크부(21b) 두께 Y의 영향이 큰 것이 분명해졌다.
전자 교반시의 티스부의 길이 L과 티스부의 폭 W의 비(이후, L/W라고 말한다.)와 교반력의 관계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은, 티스부의 폭 W를 120, 140, 170mm로 한 경우에, 티스부의 길이 L을 변화시켰을 때의 용강 중에 발생하는 교반력의 최대값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으로부터, 티스부의 폭 W가 어느 경우여도, L/W가 1배에서 2배가 된 경우에 교반력은 크게 증가하고, 3배, 4배가 되면 그 증가량이 작아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경량화의 관점에서는, 티스부의 길이 L은 티스부의 폭 W의 2~3배가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3으로부터, 티스부의 폭 W가 140mm에서 L/W=3인 경우의 교반력은 10800N/m3이고, L/W=1인 경우에 있어서의 9400N/m3의 1.14배가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L/W=3인 경우는, L/W=1인 경우의 0.88배의 전류값으로 동일한 교반력을 얻을 수 있어, 전력 절약화가 도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앞의 수치 해석에 있어서, 가장 교반력이 컸던 티스부의 폭 W가 140mm인 경우에 있어서의 주형내 유동의 수치 해석을 실시했다.
도 4는, L/W가 1.0, 2.0, 3.0인 경우의 용강의 유속 분포를 나타낸 도이다. 이 도 4에 나타낸 용강의 유속 분포는, 메니스커스 위치의 주형 장변으로부터 5mm 위치의 것이며, 도 5의 A-A’위치의 장변 방향의 용강의 유속 분포이다.
이 도 4로부터, L/W=3.0인 경우는, 주형의 구석부를 제외한 전체 영역에서 용강 유속이 동일 방향으로 10cm/sec 이상이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L/W=2.0인 경우는, 주형의 장변 중앙에서 용강 유속이 5cm/sec까지 저하되어 있지만, 전체 영역에서 동일 방향의 유속이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L/W=1.0인 경우는 교반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주형의 장변 중앙에 서 용강 유속이 반전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L/W=1.0인 경우는 전자 교반으로서 부적당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겸용 코일의 티스부의 길이 L을, 티스부의 폭 W의 2~3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전자 브레이크시의 요크부의 두께 Y와 티스부의 폭 W의 비(이후, Y/W라고 말한다.)와 자속 밀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이 도 6은 티스부의 폭 W를 120, 140, 170mm로 한 경우에서, 티스부의 길이 L을 변화시킨 경우의, 주형 두께 중심에서의 최대 자속 밀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으로부터, Y/W가 3.0 이상이 되면, 자속 밀도는 그다지 증가하지 않고 일정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Y/W가 2.0보다 작아지면 자속 밀도가 크게 저하되는 것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겸용 코일 장치의 전자 브레이크 성능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하려면, 요크부의 두께 Y를 티스부의 폭 W의 2배로 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자 코일 장치의 중량에 여유가 있으면, Y/W를 3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전자장 해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경량화와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충분한 전자 교반 성능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형 장변의 외주에 배치하는 전자 코일에 3상 이상의 교류 전류 또는 직류 전류를 통전하여, 주형내의 용강에 전자 교반 또는 전자 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작용시켜 강을 연속 주조하는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이며, 이하의 구성의 전자 코일을 사용한다.
즉, 3상 이상의 교류 전원과 직류 전원에 연결하는 전자 코일을,
요크부로부터 2개의 티스부를 설치하고,
이들 각 티스부는, 외측에 각각 내측 권선을 감고, 이들 내측 권선을 감은 2개의 티스부의 더 외측에 외측 권선을 감아 한묶음으로 이룸과 함께, 이들 각 티스부의 길이 L을 각 티스부의 폭 W의 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또, 경량화와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충분한 전자 브레이크 성능을 얻으려면, 상기 전자 코일의, 요크부의 두께 Y를 티스부의 폭 W의 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전자 코일을 상기 각 장변에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씩 배치함과 함께, 상기의 요크부와 티스부로 이루어지는 자성체의 코어부를, 메니스커스 위치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구멍을 포함하는 연직 방향의 범위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것이 본 발명의 겸용 코일 장치이다.
경량화와 전력 절약화, 및 충분한 전자 교반 성능과 전자 브레이크 성능을 모두 얻으려면, 상기 티스부의 길이 L을 티스부의 폭 W의 2배 이상으로 이루고, 또한 요크부의 두께 Y를 티스부의 폭 W의 2배 이상으로 하는 구성을 모두 채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각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이면, 적절히 실시의 형태를 변경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교류 전류는 3상이 아니어도, 전류 위상차가 90도에서 120도이면 그 이상의 다상 교류여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의 본 발명은, 연속 주조이면, 만곡형, 수직형 등, 어떠한 방식의 연속 주조여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슬래브의 연속 주조뿐만이 아니라 블룸의 연속 주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침지 노즐 2 용강
3 주형 3a 단변
3b 장변 11 겸용 코일 장치
12 코어부 12a 티스부
12b 요크부 13 내측 권선
14 외측 권선 21 코어부
21a 티스부 21b 요크부
22 내측 권선 23 외측 권선

Claims (3)

  1. 주형 장변의 외주에 배치하는 전자(電磁) 코일에 3상 이상의 교류 전류 또는 직류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주형내의 용강에 전자 교반 또는 전자 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작용시켜 강을 연속 주조하는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로서,
    이 전자 코일 장치는,
    전자 코일과, 3상 이상의 교류 전원 및 직류 전원을 가지며,
    이 중의 전자 코일은,
    요크부로부터 2개의 티스(teeth)부를 설치하고,
    이들 각 티스부는, 외측에 각각 내측 권선을 감고, 이들 내측 권선을 감은 2개의 티스부의 더 외측에 외측 권선을 감아 한묶음으로 이룸과 함께, 이들 각 티스부의 길이 L을 각 티스부의 폭 W의 2배 이상으로 이룬 구성으로,
    이 전자 코일을 상기 각 장변에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씩 배치함과 함께,
    상기의 요크부와 티스부로 이루어지는 자성체의 코어부를, 용강의 메니스커스 위치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구멍을 포함하는 연직 방향의 범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
  2. 주형 장변의 외주에 배치하는 전자 코일에 3상 이상의 교류 전류 또는 직류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주형내의 용강에 전자 교반 또는 전자 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작용시켜 강을 연속 주조하는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로서,
    이 전자 코일 장치는,
    전자 코일과, 3상 이상의 교류 전원 및 직류 전원을 가지며,
    이 중의 전자 코일은,
    요크부로부터 2개의 티스부를 설치하고,
    이들 각 티스부는, 외측에 각각 내측 권선을 감고, 이들 내측 권선을 감은 2개의 티스부의 더 외측에 외측 권선을 감아 한묶음으로 이룸과 함께, 이 요크부의 두께 Y를 티스부의 폭 W의 2배 이상으로 이룬 구성으로,
    이 전자 코일을 상기 각 장변에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씩 배치함과 함께,
    상기의 요크부와 티스부로 이루어지는 자성체의 코어부를, 용강의 메니스커스 위치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구멍을 포함하는 연직 방향의 범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
  3. 주형 장변의 외주에 배치하는 전자 코일에 3상 이상의 교류 전류 또는 직류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주형내의 용강에 전자 교반 또는 전자 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작용시켜 강을 연속 주조하는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로서,
    이 전자 코일 장치는,
    전자 코일과, 3상 이상의 교류 전원 및 직류 전원을 가지며,
    이 중의 전자 코일은,
    요크부로부터 2개의 티스부를 설치하고,
    이들 각 티스부는, 외측에 각각 내측 권선을 감고, 이들 내측 권선을 감은 2개의 티스부의 더 외측에 외측 권선을 감아 한묶음으로 이룸과 함께, 이들 각 티스부의 길이 L이 각 티스부의 폭 W의 2배 이상이며, 또한 요크부의 두께 Y를 티스부의 폭 W의 2배 이상으로 이룬 구성으로,
    이 전자 코일을 상기 각 장변에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씩 배치함과 함께,
    상기의 요크부와 티스부로 이루어지는 자성체의 코어부를, 용강의 메니스커스 위치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구멍을 포함하는 연직 방향의 범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
KR1020107013160A 2007-11-16 2008-10-10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 KR101207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8486A JP5023990B2 (ja) 2007-11-16 2007-11-16 電磁攪拌・電磁ブレーキ兼用電磁コイル装置
JPJP-P-2007-298486 2007-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863A true KR20100082863A (ko) 2010-07-20
KR101207687B1 KR101207687B1 (ko) 2012-12-03

Family

ID=4063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160A KR101207687B1 (ko) 2007-11-16 2008-10-10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216111B1 (ko)
JP (1) JP5023990B2 (ko)
KR (1) KR101207687B1 (ko)
CN (1) CN101868312B (ko)
BR (1) BRPI0820629B8 (ko)
WO (1) WO20090637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7462B2 (ja) * 2009-11-10 2011-11-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JP4569715B1 (ja) * 2009-11-10 2010-10-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WO2014034658A1 (ja) * 2012-08-29 2014-03-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電磁攪拌装置及び連続鋳造方法
CN105458199B (zh) * 2016-01-04 2016-12-14 湖南中科电气股份有限公司 方坯分体多模式电磁搅拌器及其控制方法
JP7247777B2 (ja) * 2018-06-22 2023-03-29 日本製鉄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WO2020017224A1 (ja) * 2018-07-17 2020-01-23 日本製鉄株式会社 鋳型設備及び連続鋳造方法
WO2020157020A1 (en) * 2019-01-30 2020-08-06 Abb Schweiz Ag Flow speed control in continuous casting
CN110514010A (zh) * 2019-09-19 2019-11-29 山东省科学院能源研究所 一种用于科研的电磁搅拌保温炉
CN111389537B (zh) * 2020-03-20 2021-08-10 杭州根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粉碎速度自动调节消磁速度的硬盘粉碎装置
CN115194107B (zh) * 2022-07-13 2023-05-16 沈阳工程学院 控制金属液流动的多段位独立可调复合磁场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4157A (ja) 1983-08-17 1985-03-09 Sumitomo Metal Ind Ltd 電磁撹拌装置
JP3700396B2 (ja) * 1998-06-16 2005-09-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装置
JP3420966B2 (ja) * 1999-03-03 2003-06-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融金属の連続鋳造装置
JP3965545B2 (ja) * 1999-06-28 2007-08-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装置
CN2504014Y (zh) * 2001-10-31 2002-08-0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连铸熔池液面波动的电磁制动装置
DE10237188A1 (de) * 2002-08-14 2004-02-26 Sms Demag Ag Elektromagnetische Bremsvorrichtung für in eine Stranggießkokille einströmende Stahlschmelze
JP4438705B2 (ja) * 2005-07-04 2010-03-2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JP4779602B2 (ja) 2005-11-25 2011-09-2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通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820629B1 (pt) 2021-11-03
EP2216111B1 (en) 2015-04-22
CN101868312A (zh) 2010-10-20
JP2009119517A (ja) 2009-06-04
BRPI0820629A2 (pt) 2020-10-06
CN101868312B (zh) 2012-07-18
BRPI0820629A8 (ko) 2020-10-06
EP2216111A4 (en) 2014-01-08
KR101207687B1 (ko) 2012-12-03
EP2216111A1 (en) 2010-08-11
BRPI0820629B8 (pt) 2021-12-21
JP5023990B2 (ja) 2012-09-12
WO2009063712A1 (ja) 200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687B1 (ko)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
KR100946612B1 (ko) 연속 주조 장치 및 방법
JP4438705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207679B1 (ko) 전자 교반과 전자 브레이크를 겸용 가능한 주형내 용강용 전자 코일 장치
JP5040999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及び鋳型内溶鋼の流動制御装置
JPS63188461A (ja) 連続鋳造鋳型用電磁コイル装置
JP4356531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及び鋳型内溶鋼の電磁力制御装置
JP4669367B2 (ja) 溶鋼流動制御装置
JP2004322120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20020086913A (ko) 연속적인 주조 주괴 주형에 용융 금속을 공급하는 장치 및그것을 사용하는 방법
JP2001009559A (ja) 鋼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5238276A (ja) 電磁攪拌鋳造装置
JP5076465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及び設備
JPS63119962A (ja) 電磁攪拌用ロ−ル装置
JP7180383B2 (ja) 連続鋳造機
JP2004322179A (ja) 鋳型内電磁力制御装置および連続鋳造方法
JP3102967B2 (ja) 連続鋳造用鋳型の溶湯の制動方法およびブレーキ兼用電磁撹拌装置
JP7119684B2 (ja) 連続鋳造機
JP2000052006A (ja) 金属片の連続鋳造装置および連続鋳造方法
JP4910997B2 (ja) 電磁攪拌・電磁ブレーキ兼用電磁コイル装置
JP3793384B2 (ja) 溶融金属の流動制御装置
JPH04200849A (ja) 連続鋳造用電磁撹拌方法
JP2000197951A (ja) 静磁場を用いる鋼の連続鋳造装置
JPH0957401A (ja) 連続鋳造鋳型の電磁ブレーキ装置
JP2004042065A (ja) 電磁攪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