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389A - 경구용 피임제 형태로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를 위한 디에노게스트와 조합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에스트라디올의 용도 - Google Patents

경구용 피임제 형태로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를 위한 디에노게스트와 조합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에스트라디올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389A
KR20100082389A KR1020107014574A KR20107014574A KR20100082389A KR 20100082389 A KR20100082389 A KR 20100082389A KR 1020107014574 A KR1020107014574 A KR 1020107014574A KR 20107014574 A KR20107014574 A KR 20107014574A KR 20100082389 A KR20100082389 A KR 20100082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radiol
dienogest
combination
valerat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872B1 (ko
Inventor
수잔 초인
폴 보우데스
얀 엔드리카트
안젤로 세씨
홀거 짐머만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쉐링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8115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8238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쉐링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쉐링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082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8Feminine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61P5/30Oestrog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Diabet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구용 피임제 형태로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를 위한 다단계 조합 제제의 제조에서의, 17α-시아노메틸-17β-히드록시에스트라-4,9-디엔-3-온 (디에노게스트)과 조합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에스트라디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에스트라디올과 디에노게스트와의 조합은 3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3 mg 미만의 에스트라디올 1일 투여 용량 2개를 포함하는 제1 단계, 2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2 mg 미만의 에스트라디올과 2 mg의 디에노게스트와의 조합물 1일 투여 용량 5개를 포함하는 제1 세트 및 2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2 mg 미만의 에스트라디올과 3 mg의 디에노게스트와의 조합물 1일 투여 용량 17개를 포함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2 세트의 1일 투여 용량으로 이루어진 제2 단계, 1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2 mg 미만의 에스트라디올 1일 투여 용량 2개를 포함하는 제3 단계, 및 제약상 무해한 플라시보 1일 투여 용량 2개를 포함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한다. 다단계 조합 및 제약상 무해한 플라시보의 1일 투여 용량의 총 수는 28일에 상응한다. 적용 기간은 1회 이상의 월경 주기를 포함하며, 피임에 대한 여성 개개인의 희망에 따라 달라진다.

Description

경구용 피임제 형태로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를 위한 디에노게스트와 조합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에스트라디올의 용도 {USE OF ESTRADIOL VALERATE OR ESTRADIOL COMBINED WITH DIENOGEST FOR THE ORAL THERAPY OF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IN THE FORM OF ORAL CONTRACEPTIVES}
본 발명은 경구 피임과 함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를 위한 총 28일분의 1일 투여 용량의 다단계 조합 시스템을 획득하기 위한,
3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3 mg 미만의 에스트라디올 1일 투여 용량 2개를 포함하는 제1 단계,
2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2 mg 미만의 에스트라디올과 2 mg의 디에노게스트(dienogest)와의 조합물 1일 투여 용량 5개를 포함하는 제1 세트 및 2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2 mg 미만의 에스트라디올과 3 mg의 디에노게스트와의 조합물 1일 투여 용량 17개를 포함하는 제2 세트를 포함하는, 2 세트의 1일 투여 용량으로 이루어진 제2 단계,
1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1 mg 미만의 에스트라디올 1일 투여 용량 2개를 포함하는 제3 단계, 및
제약상 허용되는 플라시보 1일 투여 용량 2개를 포함하는 또다른 단계
를 포함하는, 17α-시아노메틸-17β-히드록시에스트라-4,9-디엔-3-온 (디에노게스트)과 조합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에스트라디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다단계 약물 조합 및 제약상 허용되는 플라시보의 1일 투여 용량의 총 수는 28일에 상응한다.
기능장애 자궁 출혈 (DUB)은 산부인과에서 흔한 임상 문제이며, 부인과 상담을 받은 외래환자의 33% 정도를 차지한다 (문헌 [J.T. Awwad, T.L. Toth and I. Schiff: Abnormal uterine bleeding in the perimenopause, Int. J. Fertil., 38 (1993) pp. 261-269] 참조).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증상은 하기와 같다:
- 7일이 넘게 지속되는 월경 주기,
- 21일 이하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월경 주기, 및
- 분비물이 80 ml 이상인 비정상적으로 격렬한 월경 출혈.
기능장애 자궁 출혈은 근종, 폴립 및 암과 같은 기질적 원인을 배제한 후에야 그렇게 진단되어야 한다.
DUB는 배란 및 무배란 여성 둘 다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에스트로겐-자극된 자궁내막 증식 및 자궁내막의 게스타겐-촉진된 전환 사이의 불균형에 의해 유발된다.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증상이 지연성 무배란으로 인한 경우, 문제는 종종 자궁내막이 과도한 에스트로겐성 증식에 노출된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비정상적 출혈뿐만 아니라 자궁내막 증식증이 초래될 수 있다 (문헌 [Speroff et al., Clinical Gynecologic Endocrinology and Infertility, 6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9] 참조).
자궁내막 증식증은 자궁내막암에 대한 위험 인자이다.
이전의 시험에서는, 기능장애 자궁 출혈이 오로지 고용량의 게스타겐인 3 x 5 mg의 1일 투여 용량의 노르에티스테론 또는 3 x 10 mg의 1일 투여 용량의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로 치료되었으며, 각각의 약물은 6명의 무배란 여성의 경우에서는 주기 중 12일째부터 25일째까지 14일 동안 투여되었고 10명의 배란 여성의 경우에서는 주기 중 5일째부터 25일째까지 20일 동안 투여되었다 (문헌 [I.S. Fraser: Aust. N.Z. J. Obstet. Gynaecol., 30, No. 4 (1990), pp. 353-356] 참조). 출혈의 지속기간은 두 군에서 모두 감소되었으나, 이 경우, 환자들은 확실한 피임이 되지 않았다.
검토 논문에는 여성들이 불규칙적 및 격렬한 월경 출혈에 대해 내성이 낮은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문헌 [M. Hickey, J. Higham and I.S. Fraser The Cochrane Library, No. 3, 2004 M. Hickey, J. Higham and I.S. Fraser: Progestogens versus oestrogens and progestogens for irregular uterine bleeding associated with anovulation (Cochrane Review) In: The Cochrane Library, No. 3, 2004,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England] 참조). 이들 저자는 자궁내막의 전환을 촉진시켜 월경 주기를 보다 안정하게 하기 위해서 게스타겐을 사용한다는 이론적 근거를 기재하였다. 그러나, 결론은 이러한 치료 효능이 무작위 연구에서는 입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알. 슈타이너(R. Steiner)에 따르면, 기능장애 자궁 출혈은 특히, 다량의 게스타겐 또는 에스트로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료될 수 있다 (문헌 [R. Steiner: Schweiz. Rundsch. Med. Prax., 91, No. 46 (2000), pp. 1967-1974] 참조). 상기 저자는 8일 동안 투여를 1일 6회, 5회, 4회, 3회, 3회, 3회, 3회 및 3회로 감소시키면서 0.01 mg의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및 2 mg의 노르에티스테론 아세테이트의 경구 사용을 권장한다. 이러한 호르몬 치료 이외에, 슈타이너는 정제 4 x 2개의 1일 투여 용량의 트라넥삼산을 이용한 급성 출혈의 치료를 주창하였다.
에이. 데이비스(A. Davis)는 3번의 28일 주기에 걸쳐,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EE) 및 노르게스티메이트 (NGM)를 투여한 다음 호르몬-무함유 플라시보를 투여하는 3-단계 투여에 의해 기능장애 자궁 출혈을 치료하였다 (문헌 [A. Davis, Obstet. gynecol., 96, No. 6 (2000), pp. 913-920] 참조). 상기 처방법은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용량을 21일 동안 0.035 mg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반면, 노르게스티메이트 용량은 21일에 걸쳐 증가시키고 (처음 7일 동안 0.180 mg에서부터 다음 7일 동안 0.215 mg으로 증가시킨 다음 마지막 7일 동안 0.250 mg), 이어서 7-일 호르몬-무함유 플라시보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플라시보-대조 연구에서, 여성의 45%는 과다한 월경 출혈 (자궁출혈, 불규칙월경과다 및 빈발월경)을 보였고, 약 55%는 월경 출혈이 감소되었다 (희발월경). 상기 제2 군이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최상의 결과를 보여주며, 규칙적인 쇠퇴성 출혈이 유도되었다. 희발월경이 반드시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증상인 것은 아니지만, 치료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797,282호의 상세한 설명에는 전반적으로, 3개월에 걸쳐 경구용 피임제의 장기간 투여가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한 유형인 월경과다의 치료에 적합하다고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출혈의 양을 감소시키고,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재발을 예방하는 동시에 확실하고 우수한 허용성의 경구 피임을 제공하는,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치료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용어 "기능장애 자궁 출혈"은 본원에서, 기질적 원인 없이 7일이 넘게 지속되는 월경 주기, 21일 이하 간격의 자궁 출혈, 또는 월경 분비물이 80 ml 이상인 격렬해진 출혈의 상태 중 하나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에스트라디올을 17α-시아노메틸-17β-히드록시에스트라-4,9-디엔-3-온 (디에노게스트)과 조합하여 사용하여 경구 피임과 함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용 다단계 조합 제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 디에노게스트 조합의 사용은 3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3 mg 미만, 바람직하게는 2.25 mg의 에스트라디올 1일 투여 용량 2개를 포함하는 제1 단계, 2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2 mg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mg의 에스트라디올과 2 mg의 디에노게스트와의 조합물 1일 투여 용량 5개를 포함하는 제1 세트 및 2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2 mg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mg의 에스트라디올과 3 mg의 디에노게스트와의 조합물 1일 투여 용량 17개를 포함하는 제2 세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2 세트의 1일 투여 용량을 포함하는 제2 단계, 1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1 mg 미만, 바람직하게는 0.75 mg의 에스트라디올 1일 투여 용량 2개를 포함하는 제3 단계, 및 제약상 허용되는 플라시보 1일 투여 용량 2개를 포함하는 또다른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단계 약물 조합 및 제약상 허용되는 플라시보의 1일 투여 용량의 총 수는 28일에 상응한다.
이러한 처방법은 1회 이상의 주기 동안 사용되며, 치료 기간은 환자의 피임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
청구된 제제의 효과 연구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증상을 가지고, 적절한 진단 방법, 즉, 질경유 초음파 스캔 및 혈중 호르몬 수준의 측정의 도움으로 기질적 원인이 배제된 경우의, 연구에 참여한다고 각자 작성한 사전 동의서를 제출한 18 내지 50세의 180명의 여성에서 무작위의 이중 맹검 플라시보-대조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기 군 중, 120명의 여성에게는 청구된 조합에 따라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및 디에노게스트를 제공한 반면, 60명의 여성에게는 플라시보를 대신 투여하였다.
연구는 생리 불순의 중증도가 확립된 90일의 연속 단계, 6회의 월경 주기에 걸쳐 적당한 치료 및 최종적으로 추적검사 단계를 포함하였다.
여성들을 연구의 전기간에 걸쳐 집합시키고 연구 센터에 보냈으며, 위생 타월 등을 사용하여 알칼리 헤마틴 방법의 도움으로 출혈 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출혈의 지속기간 및 비-출혈 간격의 기간을 전자 수첩에 제공된 일일 항목으로부터 측정하였다.

Claims (1)

  1. 경구 피임과 함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를 위한 총 28일분의 1일 투여 용량의 다단계 조합 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3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3 mg 미만의 에스트라디올 1일 투여 용량 2개를 포함하는 제1 단계,
    2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2 mg 미만의 에스트라디올과 2 mg의 17α-시아노메틸-17β-히드록시에스트라-4,9-디엔-3-온 (디에노게스트(dienogest))과의 조합물 1일 투여 용량 5개를 포함하는 제1 세트 및 2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2 mg 미만의 에스트라디올과 3 mg의 디에노게스트와의 조합물 1일 투여 용량 17개를 포함하는 제2 세트를 포함하는, 2 세트의 1일 투여 용량을 포함하는 제2 단계,
    1 mg의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1 mg 미만의 에스트라디올 1일 투여 용량 2개를 포함하는 제3 단계, 및
    제약상 허용되는 플라시보 1일 투여 용량 2개를 포함하는 또다른 단계를 포함하는, 17α-시아노메틸-17β-히드록시에스트라-4,9-디엔-3-온 (디에노게스트)과 조합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에스트라디올의 용도.
KR1020107014574A 2005-10-13 2006-10-12 경구용 피임제 형태로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를 위한 디에노게스트와 조합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에스트라디올의 용도 KR101218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22324A EP1787649B1 (de) 2005-10-13 2005-10-13 Verwendung von Estradiolvalerat in Kombination mit Dienogest zur oralen Therapie der dysfunktionellen uterinen Blutung in Einheit mit einer oralen Kontrazeption
EP05022324.7 2005-10-1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203A Division KR20080065651A (ko) 2005-10-13 2006-10-12 경구용 피임제 형태로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를위한 디에노게스트와 조합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또는 에스트라디올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389A true KR20100082389A (ko) 2010-07-16
KR101218872B1 KR101218872B1 (ko) 2013-01-07

Family

ID=358115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203A KR20080065651A (ko) 2005-10-13 2006-10-12 경구용 피임제 형태로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를위한 디에노게스트와 조합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또는 에스트라디올의 용도
KR1020107014574A KR101218872B1 (ko) 2005-10-13 2006-10-12 경구용 피임제 형태로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를 위한 디에노게스트와 조합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에스트라디올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203A KR20080065651A (ko) 2005-10-13 2006-10-12 경구용 피임제 형태로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를위한 디에노게스트와 조합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또는 에스트라디올의 용도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EP (2) EP1787649B1 (ko)
JP (2) JP5735200B2 (ko)
KR (2) KR20080065651A (ko)
CN (1) CN101312733A (ko)
AR (1) AR056694A1 (ko)
AT (2) ATE424828T1 (ko)
CA (1) CA2623024C (ko)
CL (1) CL2011000283A1 (ko)
CY (2) CY1110321T1 (ko)
DE (2) DE502005006837D1 (ko)
DK (2) DK1787649T3 (ko)
DO (1) DOP2006000221A (ko)
ES (2) ES2322479T3 (ko)
HR (1) HRP20090256T1 (ko)
ME (1) ME01056B (ko)
PE (2) PE20070555A1 (ko)
PL (2) PL1787649T3 (ko)
PT (2) PT1787649E (ko)
SI (2) SI1787649T1 (ko)
TW (2) TWI328453B (ko)
UY (1) UY29861A1 (ko)
WO (1) WO20070422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9743B4 (de) 2004-04-20 2008-11-27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Mehrphasenpräparat zur Kontrazeption auf der Basis eines natürlichen Estrogens
DK1787649T3 (da) * 2005-10-13 2009-06-02 Bayer Schering Pharma Ag Anvendelse af estradiovalerat i kombination med dienogest til oral behandling af dysfunktionel uterin blöding i enhed med en oral kontraception
US8153616B2 (en) 2005-10-17 2012-04-10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Combination preparation for oral contraception and oral therapy of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containing estradiol valerate and dienogest and method of using same
EP1930010A1 (de) 2006-10-20 2008-06-11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Verwendung von Estradiolvalerat oder 17ß-Estradiol in Kombination mit Dienogest zur oralen Therapie für den Erhalt und/oder die Steigerung der weiblichen Libid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9374C1 (de) * 1994-08-12 1996-02-01 Jenapharm Gmbh Pharmazeutische Präparate zur Kontrazeption/Hormonsubstitution mit biogener Estrogenkomponente
DE19540253C2 (de) * 1995-10-28 1998-06-04 Jenapharm Gmbh Mehrphasenpräparat zur Kontrazeption auf der Basis natürlicher Estrogene
KR20000029536A (ko) * 1996-07-26 2000-05-25 이곤 이 버그 2상피임방법및프로제스틴과에스트로젠과의배합물을포함하는킷
US6251956B1 (en) 1998-08-20 2001-06-26 Ortho Pharmaceutical Corporation Combination progestin oral contraceptive regimen
EP1462106A1 (en) * 2003-03-28 2004-09-29 Pantarhei Bioscience B.V.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kits comprising 17-beta-estradiol and a progesteron for the treatment of gynecological disorders
DE102004019743B4 (de) * 2004-04-20 2008-11-27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Mehrphasenpräparat zur Kontrazeption auf der Basis eines natürlichen Estrogens
DK1787649T3 (da) * 2005-10-13 2009-06-02 Bayer Schering Pharma Ag Anvendelse af estradiovalerat i kombination med dienogest til oral behandling af dysfunktionel uterin blöding i enhed med en oral kontrace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35200B2 (ja) 2015-06-17
CY1111406T1 (el) 2015-08-05
PE20100090A1 (es) 2010-03-12
SI1787649T1 (sl) 2009-08-31
EP1787649B1 (de) 2009-03-11
WO2007042296A1 (de) 2007-04-19
PL1787649T3 (pl) 2009-08-31
PT1787649E (pt) 2009-05-08
EP1933843B1 (de) 2011-02-02
TWI328453B (en) 2010-08-11
AR056694A1 (es) 2007-10-17
CN101312733A (zh) 2008-11-26
PL1933843T3 (pl) 2011-06-30
TW200829255A (en) 2008-07-16
DOP2006000221A (es) 2007-08-31
EP1933843A1 (de) 2008-06-25
DK1933843T3 (da) 2011-04-18
ES2322479T3 (es) 2009-06-22
DE502006008853D1 (de) 2011-03-17
ATE424828T1 (de) 2009-03-15
SI1933843T1 (sl) 2011-06-30
KR20080065651A (ko) 2008-07-14
CA2623024C (en) 2012-03-06
DE502005006837D1 (de) 2009-04-23
JP2009511526A (ja) 2009-03-19
ES2360302T3 (es) 2011-06-02
PT1933843E (pt) 2011-04-29
CL2011000283A1 (es) 2011-07-08
HRP20090256T1 (en) 2009-06-30
ME01056B (me) 2012-10-20
TW200731977A (en) 2007-09-01
UY29861A1 (es) 2007-05-31
ATE497387T1 (de) 2011-02-15
PE20070555A1 (es) 2007-07-12
DK1787649T3 (da) 2009-06-02
JP2013047269A (ja) 2013-03-07
KR101218872B1 (ko) 2013-01-07
EP1787649A1 (de) 2007-05-23
CY1110321T1 (el) 2015-01-14
CA2623024A1 (en)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ürmann et al. Estradiol and drospirenone for climacteric symptoms in postmenopausal women: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of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ree dose regimens
ES2202498T3 (es) Estuche para la contracepcion en mamiferos hembras, que consta de una combinacion de un agente gestageno y un agente estrogeno.
AU2005294269B2 (en) Methods of hormonal treatment utilizing ascending-dose extended cycle regimens
US20070111975A1 (en) Methods of Hormonal Treatment Utilizing Ascending-Dose Extended Cycle Regimens
HU223753B1 (hu) Természetes ösztrogén bázisú többlépcsős fogamzásgátló készítmény
AU714959B2 (en) Progesterone antagonists for the production of pharmaceutica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JPH09502194A (ja) 少なくとも1種のプロゲストーゲンおよび少なくとも1種のエストロゲンを含む、代替療法用製剤
KR20150058555A (ko) 연장된 호르몬성 피임제 투약법에서 파탄성 출혈의 관리
CZ302568B6 (cs) Trífázový orální antikoncepcní prostredek
JP2007512291A (ja) 2種のエストロゲン及び/又はプロゲスチン組成物を含んで成る、21〜28日よりも長い期間にわたっての連続ホルモン処理のための医薬製剤
Jabiry-Zieniewicz et al. Low-dose hormonal contraception after liver transplantation
ZA200404249B (en) Oral contraceptives to prevent pregnancy and diminish premenstrual symptomatology
LaGuardia et al. Suppression of estrogen-withdrawal headache with extended transdermal contraception
KR101218872B1 (ko) 경구용 피임제 형태로의 기능장애 자궁 출혈의 경구 치료를 위한 디에노게스트와 조합된 에스트라디올 발러레이트 또는 에스트라디올의 용도
US8153616B2 (en) Combination preparation for oral contraception and oral therapy of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containing estradiol valerate and dienogest and method of using same
Schneider et al. Clinical experiences with a non-androgenic progestogen in an estradiol-valerate-containing regimen fo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Meuwissen et al. A 1-year comparison of the efficacy and clinical tolerance in postmenopausal women of two hormone replacement therapies containing estradiol in combination with either norgestrel or trimegestone
US20060183725A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oral contraception
ZA200201374B (en) Method for the therapeutic management of extrauterine proliferation of endometrial tissue, chronic pelvic pain and fallopian tube obstruction.
US20070088010A1 (en) Method of making a single-stage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oral therapy of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containing ethinyl estradiol and dienogest
Calhoun et al. Hormonal therapies for menstrual migraine
US20070088011A1 (en) Combination preparation for oral contraception and oral therapy of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containing estradiol valerate and dienogest and method of using same
ES2382459T3 (es) Utilización de valerato de estradiol, en combinación con dienogest para la terapia por vía oral de la hemorragia uterina disfuncional, en unión con una contracepción oral
Affinito et al. Efficacy, cycle control and side-effects of two monophasic combination oral contraceptives: Gestodene/ethinylestradiol and norgestimate/ethinylestradiol
Zichella et al. Comparative study on the acceptability of two modern monophasic oral contraceptive preparations: 30 μg ethinyl estradiol combined with 150 μg desogestrel or 75 μg gestod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