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552A -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552A
KR20100077552A KR1020080135519A KR20080135519A KR20100077552A KR 20100077552 A KR20100077552 A KR 20100077552A KR 1020080135519 A KR1020080135519 A KR 1020080135519A KR 20080135519 A KR20080135519 A KR 20080135519A KR 20100077552 A KR20100077552 A KR 20100077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nch
alkoxy
group
branched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258B1 (ko
Inventor
한호규
남기달
신동윤
박찬호
조성우
김은아
남길수
최경일
서선희
신희섭
김동진
배애님
정혜진
추현아
임혜원
조용서
노은주
금교창
최기현
신계정
정찬성
이재균
강용구
김영수
박웅서
김기선
정혜선
송치만
민선준
김은경
이철주
강순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258B1/ko
Priority to US13/142,313 priority patent/US9012481B2/en
Priority to PCT/KR2009/007898 priority patent/WO2010077068A2/en
Priority to JP2011544372A priority patent/JP5649585B2/ja
Publication of KR20100077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77/62Benzothiazoles
    • C07D277/68Benzothi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77/82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22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2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5/30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5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63/54Benzoxazoles; Hydrogenated benzoxazoles
    • C07D263/58Benzoxazoles; Hydrogenated benzox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2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2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one oxygen atom and one sulfur atom
    • C07D327/04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 및 이의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아밀로이드증, 픽 질환 (Pick's disease), 루게릭병, 헌팅턴병,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Jakob)병 등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9843824-PAT00001

Description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BENZOARYLUREIDO COMPOUNDS,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아밀로이드증, 픽 질환 (Pick's disease), 루게릭병, 헌팅턴병,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Jakob)병 등일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여러 질병 중에서 뇌질환은 국가적인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뇌질환은 지난 10년간의 사망원인으로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질환에 비하여 진단 및 치료가 어려워 그로 인한 피해는 증가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치매는 기억력 장애 및 판단력 상실 등의 전반적인 정신기능 장애를 초래하여 인간의 삶을 황폐하게 하는 질환이다. 치매의 원인은 다양한 편으로, 약 50% 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이고, 20-30%는 혈관성 치매, 알코올성 치매 또는 파킨슨병 치매 등이며, 약 15-20%는 알츠하이머형과 혈관성 치매 모두에 의한 것이다.
이중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이하 'AD') 치매는 노인성 치매라고도 하며, 40대에서부터 많이 발병하게 되어 발병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매는 신경세포 손상이나 아세틸콜린 농도저하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신경세포 손상은 자유 라디칼, 글루타메이트, 칼슘 과다, 질소,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및 사이토카인 등의 다수 요인에 의하여 유발되며, 그 중에서 알츠하이머 병을 가진 환자의 신경세포의 경우 과량의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를 포함하는 신경염 플라그를 보인다.
이러한 베타-아밀로이드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amyloid precursor protein, 이하 'APP'라고 함)으로부터 형성되며,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는 상기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로부터 P3 아밀로이드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우는 APP가 변형되어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로 구성된 아밀로이드 플라크(신경세포 외부에 형성)와 신경세포의 구조를 유지하고 신경전달을 돕는 작용을 하는 타우(tau) 단백질이 과잉산화되어 형성되는 신경원섬유엉킴(신경세포 내부에 형성) 등 두가지의 특징적인 병변을 보인다.
상기와 같이 과량의 베타-아밀로이드 형성은 신경퇴행적인 단계의 시작점으로 대표되어질 수 있다. 뇌에서의 베타-아밀로이드 결집의 형성은 현재 신경염 플라크의 형성을 부르는 신경세포에서의 다양한 독성의 효과로 보여진다.
세포내, 외적인 실험 모두에서 신경세포의 세포자멸의 유발을 포함하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신경독성 효과가 증명되었다. 예를 들어, 배양된 중추 신경계 뉴런 및 신경세포 PC 12가 베타-아밀로이드에 노출되면 신경세포 자멸사 를 일으킨다(Loo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993, 7951-7955; Ivins et al., J Bio Chem, 1999, 2107- 2112). 베타-아밀로이드는 미세아교세포의 존재하에서 중간뇌 또는 피질 뉴런에 대하여 신경세포 독성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 및 과산화물 자유 래디칼의 형성이 신경세포 독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Gao et al., J Neurochem., 2002, 1285-1297; Qin et al., Neurochem., 2002, 973-983). 뇌에서의 염증은 파킨스병 및 알츠하이머 병 등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신경퇴행성 질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널리 인식되어있다. 염증-매개 신경세포 퇴행은, 뉴런이 신경퇴행을 일으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에이코사노이드, 사이토카인, 반응성 산소 중간물, 질소산화물 등을 포함하는 전염증 및 신경독성 인자들을 생산하는, 뇌에 존재하는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수반한다 (Qin et al., Neurochem., 2002, 973-983). 선행 연구에서는 미세아교세포의 베타-아밀로이드 의존성 활성화와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서 일어나 뉴런 사멸의 여러가지 특징적인 마커 간의 연관관계를 증명하였다 (Combs et al., J Neurosci., 2001, 1179-1188).
흥미롭게도, 베타-아밀로이드는 미세아교세포의 존재하에서의 중간뇌 및 피질 뉴런 모두에서 대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신경세포 독성을 가졌다(Gao et al., J Neurochem., 2002, 1285-1297; Qin et al., Neurochem., 2002, 973-983). 그러므로 아밀로이드 펩타이드는 알츠하이머병 이외에도 PD(Parkinson's Disease)와 같은 다른 신경세포 퇴행적인 질병의 발병기전에 수반될 수 있다(Puglielli and Kovacs, Rev Med Chil., 2001, 569-575; Small et al., Nature Rev., 2001, 595-598). Parkinsonism 증상은 알츠하이머 환자에게도 일반적이며, 알츠하이머 환자에서 인지력(cognitive) 감소는 파킨스니즘 진행과 연관있는 것으로 밝혀졌다(Wilson et al., Psychol Aging, 2000, 18-28). 도파민 뉴런은 산화 자극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에(Greenamyre et al., Biochem Soc Symp 1999, 85-97), 미세아교세포의 활성 억제가 잠재적인 치료물질의 개발에 대한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다.
따라서, 신경세포퇴행성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있어서, 베타-아밀로이드와 미세아교세포 활성 억제 효과를 갖는 물질의 탐색 및 개발이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 형성으로 인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고 부작용이 적은 화합물과 이를 함유하는 효과적인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아밀로이드증, 픽 질환 (Pick's disease), 루게릭병, 헌팅턴병,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Jakob)병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예는 신규한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9843824-PAT00002
상기 식 중,
X는 S, O, NH, 및 NCH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Y는 O 또는 S이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각각 선택된 것이고,
R3은 페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치환된 페닐,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며, R4는 H,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알칼리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X는 S, O, NH, 및 NCH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Y는 O 또는 S이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F, Cl,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각각 선택된 것이며,
R3은 페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치환된 페닐,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로 이루어 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이 때 R4는 H,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n은 1 내지 3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n이 1인 경우, X는 O 또는 NCH3이거나, Y가 S이거나, R1과 R2 중 하나 이상은 할로겐 원자이거나, R3는 페닐기,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 (단, R4는 H, 메틸, 탄소수 3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알칼리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X가 S이고 Y가 O이고 R1 및 R2가 모두 수소이고 n이 2 또는 3인 경우 R3는 페닐기,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 (단, R4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알칼리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X가 NCH3인 경우, Y는 S이거나, R1 및 R2 중 하나 이상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X와 Y가 모두 S인 경우, R1 및 R2 중 하나 이상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R3는 페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치환된 페닐,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단, R4는 H, 메틸, 탄소수 3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하여 유도된 신경세포의 사멸에 대항하는 효과적인 신경세포 보호제의 개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던 중, 다양한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를 배양된 PC12 세포 및 중간뇌(mesencephalic) 및 피질(cortical) 뉴런-아교세포에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이 우수한 베타-아밀로이드 합성 억제 능력, 미세아교세포 활성 억제 능력, 및 이로 인한 우수한 신경세포 보호 능력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기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이 신경세포 보호제의 능력을 갖는지 여부는 TUNEL(In situ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라벨링 측정법, TH 항체를 이용하여 신경세포퇴행 여부를 면역생화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간질병, 경련, 발작 등의 원인이 되는 GABA(γ-aminobutyrate)의 감소율 및/또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감소율 측정, ER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인산화 정도 측정, MAP-2(microtubule-associated proteins) 염색법, 및/또는 LDH (lactate dehydrogenase) 방출 분석에 의할 수 있다.
GABA는 흥분을 억제시키는 시냅스에서 대표적으로 발견되는 아미노산류의 신경 전달 물질로 몸 전체 중에서 중추신경계에 고농도(30mM)로 분포한다. 베타-아밀로이드로 인하여 감소하였던 GABA의 양이 회복되는 것은 신경 전달 물질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농도에 도달함을 의미한다. 즉, 뇌가 정상적인 기능을 위하여 회복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파민 뉴런에서 주로 나타나는 도파민 흡수의 감소가 약화되는 것도 상기 GAB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GABA 및/또는 도파민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신경세포 보호 작용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ERK 인산화는 세포가 고사되기 위한 신호전달 체계의 한 부분으로 외부의 자극 또는 내부의 세포 사멸시 활성화(인산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ERK 인산화는 신경세포의 사멸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MAP-2 염색법은 피질 신경세포 또는 신경돌기의 형태변화에 있어서 세포가 손상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극으로 인하여 세포막이 손상되는 경우 세포외부로 LDH가 유리되는 특징을 이용하여, LDH 분석에 의하여 세포손상 및 신경세포의 사멸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측정 방법에 의하여,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이 퇴행성 뇌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신경세포의 사멸 또는 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이들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이 퇴행성 뇌질환에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구조 를 갖는 화합물,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베타-아밀로이드로 인한 뇌신경세포사멸에 기인하는 것으로, 예컨대, 알츠하이머,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아밀로이드증, 픽 질환 (Pick's disease), 루게릭병, 헌팅턴병,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Jakob)병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은 조성물 내에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 내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은 0.1 내지 99 중량%일 수 있으나, 바람직한 함량은 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사용방법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사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는 제형에 따라 적절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제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희석제 또는 부형제로는 물,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락토스, 프로필렌글리톨, 리퀴드 파라핀, 탈크, 이성화당,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유당, 생리식염수, 향료 및 색소가 있다.
본 발명의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제, 식품 첨가제 또 는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약제로 사용하는 경우 투여방법은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가능하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R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TESIONS), 침제(INFUSIONS), 정제(TABLETS), 주사제(INJECTIONS), 캅셀제(CAPSULES) 및 환제(PILLS) 등일 수 있다.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복용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으며,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체중) 내지 500 ㎎/㎏(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퇴행성 뇌질환 방지용 조성물은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하여 발생하는 뇌세포의 퇴행 및 손상을 방지하는 아릴우레이도아세테이트 화합물을 포함하여 세포독성이 적은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 니다.
[제조예]
KHG25967 [2-(3-벤조[d]티아졸-2-릴우레이도)아세트산]의 제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03
가수분해 방법으로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물 10 ml에 에틸 2-(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100 mg과 KOH 60 mg을 가하고 두 시간 동안 100℃로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다음 얼음중탕에서 냉각하고 진한 염산 1 ml을 가하여 반응혼합물을 산성화하였다. 생성된 흰색고체인 2-(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트산 74 mg을 얻었다.
KHG26027 [에틸 3-(3-1H-벤조[d]이미다졸-2-일우레이도)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04
에스테르화 방법으로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2-아미노-벤즈이미다졸 (0.162g, 1.22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에틸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피오네이트 (0.174g, 0.16 mL, 1.22mmol)를 가하고 40분 동안 66℃로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식히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백색의 고체 79 mg를 얻었다.
KHG26096 [포타슘 2-(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05
아래의 반응식 1-1과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반응식 1-1]
Figure 112008089843824-PAT00006
2-(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트산 (0.26 mmol, 70 mg)을 KOH 15mg을 녹인 수용액 0.55ml에 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Millepore Sterivex-GV (0.22 um fliter unit)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흰색 고체 64mg(수율 80%)을 얻었다.
KHG26345 [N-(벤조[d]티아졸-2-일)-2-(2H-테트라졸-5-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아래의 반응식 1-2과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티아졸을 포함하는 화합 물을 제조하였다.
[반응식 1-2]
Figure 112008089843824-PAT00007
벤조티아졸 0.3 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 ml에 녹인 후, 얼음중탕에서 카르보디이미드 0.32 g을 적가하였다. 10시간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다음 생성된 백색고체를 여과하여 N-(벤조[d]티아졸-2-일)-1H-이미다졸-1-카르복사미드 (0.261 g, 54 %)를 얻었다.
KHG26342 [N-(벤조[d]티아졸-2-일)-2-시아노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08
N-(벤조[d]티아졸-2-일)-1H-이미다졸-1-카르복사미드 (30 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ml에 녹인후 2-아미노아세토니트릴 11.1 mg을 적가하고, 아세트산 29 ㅅl를 적가하였다. 30℃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한 후 옅은 갈색의 고체인 N-(벤조[d]티아졸-2-일)-2-시아노아세트아미드(10 mg)를 얻었다.
KHG26345 [N-(벤조[d]티아졸-2-일)-2-(2H-테트라졸-5-일)아세트아미드]의 제 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09
N-(벤조[d]티아졸-2-일)-2-시아노아세트아미드 (0.1 g)과 NH4Cl (5.0eq, 0.1 g), NaN3 (5.2eq, 0.13 g)를 DMF (dimethylformamide) 2.1mL에 녹인 후 120℃에서 6시간동안 가열하였다. 감압증류하여 DMF를 제거한 후, 물 10 ml와 5% NaOH 용액을 가하였다. 수층을 Et2O 15ml로 씻어준 후, 활성탄으로 처리한 다음, 반응혼합물에 10% 염산수를 가하여 pH=2 가 되도록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여 옅은 황색의 고체 N-(벤조[d]티아졸-2-일)-2-(2H-테트라졸-5-일)아세트아미드 (20%. 21 mg)를 얻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아래의 표 1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표 1]
화합물번호 X Y R1 & R2 (CH2)nR3
KHG25948 S O H, H CH2C6H4(4-CH3)
KHG25954 S O H, H CH2CO2(n-Bu)
KHG25956 S O 6-F, H CH2CO2Et
KHG25967 S O H, H CH2CO2H
KHG25989 O O 6-Cl, H CH2CO2Et
KHG25990 O O 6-Cl, H CH2C6H4(4-CH3)
KHG26004 S O H, H CH2CH2CH2CO2Et
KHG26005 S O H, H CH2CH2CO2Et
KHG26019 S O 6-OCH3, H CH2CO2Et
KHG26025 S O H, H CH2CH2CH2CO2H
KHG26026 S O H, H CH2CH2CO2H
KHG26027 NH O H, H CH2CH2CO2Et
KHG26028 NH O H, H CH2CH2CH2CO2Et
KHG26029 NCH3 O H, H CH 2 CO 2 Et
KHG26030 NCH3 O H, H CH2CH2CO2Et
KHG26031 NCH3 O H, H CH2CH2CH2CO2Et
KHG26096 S O H, H CH2CO2K
KHG26172 NCH3 O H, H CH2CO2K
KHG26175 S O 6-OCH3, H CH2CO2K
KHG26176 S O 6-OEt, H CH2CO2K
KHG26177 S O 6-Cl, H CH2CO2K
KHG26178 S O 4-Cl, H CH2CO2K
KHG26180 S O 5-CH3, 6-CH3 CH2CO2K
KHG26216 S O 6-CH3, H CH2CO2K
KHG26217 S O 4-CH3, H CH2CO2K
KHG26220 S O H, H CH2CH2CO2K
KHG26221 S O H, H CH2CH2CH2CO2K
KHG26222 NCH3 O H, H CH2CH2CO2K
KHG26223 NCH3 O H, H CH2CH2CH2CO2K
KHG26279 S O H, H CH2CH2OH
KHG26280 NCH3 O H, H CH2CO2H
KHG26303 NCH3 S H, H CH2CO2Et
KHG26304 S S H, H CH2CO2Et
KHG26305 S S 6-CH3, H CH2CO2Et
KHG26306 S S 4-CH3, H CH2CO2Et
KHG26307 S S 5-CH3, 6-CH3 CH2CO2Et
KHG26308 S S 6-OCH3, H CH2CO2Et
KHG26309 S S 6-OEt, H CH2CO2Et
KHG26310 S S 6-F, H CH2CO2Et
KHG26311 S S 6-Cl, H CH2CO2Et
KHG26312 S S 4-Cl, H CH2CO2Et
KHG26316 S S H, H CH2CO2H
KHG26332 S O H, H CH2CH3
KHG26334 NCH3 S H, H CH2CO2H
KHG26335 S S 5-CH3, 6-CH3 CH2CO2H
KHG26336 S S 6-OEt, H CH2CO2H
KHG26340 S S 4-CH3, H CH2CO2H
KHG26341 S S 6-Cl, H CH2CO2H
KHG26342 S O H, H CH2CN
KHG26344 S O H, H CH2CH2OEt
KHG26345 S O H, H CH2-tetrazolyl
KHG26246 S O 6-OCH3, H CH2CO2H
KHG26247 S O 6-OEt, H CH2CO2Et
KHG26248 S O 6-OEt, H CH2CO2H
KHG26249 S O 6-Cl, H CH2CO2Et
KHG26250 S O 6-Cl, H CH2CO2H
KHG26251 S O 4-Cl, H CH2CO2Et
KHG26252 S O 4-Cl, H CH2CO2H
KHG26253 S O 5-CH3, 6-CH3 CH2CO2Et
KHG26254 S O 5-CH3, 6-CH3 CH2CO2H
KHG26255 S O 6-CH3, H CH2CO2H
KHG26256 S O 4-CH3, H CH2CO2H
KHG26257 NCH3 O H, H CH2CH2CO2H
KHG26258 NCH3 O H, H CH2CH2CH2CO2H
[동정데이터]
KHG25948
1-(벤조[d]티아졸-2-일)-3-(4-메틸벤질)우레아
Figure 112008089843824-PAT00010
yield : 73 %
mp : 257 ℃
1H NMR (300 MHz, CDCl3) δ 10.75 (s, 1H, NH), 7.88 (d, 1H, 3 J = 7.83 Hz, NH), 7.13-7.62 (m, 8H, Ar-H), 4.32 (d, 2H, 3 J = 5.73 Hz, CH 2 ), 2.27 (s, 3H, CH3).
KHG25954
부틸 2-(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11
yield : 8 %
mp : 294 ℃
1H NMR (300 MHz, DMSO-d 6) δ 11.01 (brs, 1H, NH), 7.88-7.19 (m, 4H, Ar-H), 7.09 (brs, 1H, NH), 4.09 (t, 2H, 3 J = 7.2 Hz, OCH 2 CH2CH2CH3), 3.97 (d, 2H, 3 J = 5.7 Hz, CH2), 1.57 (q, 2H, 3 J = 7.2 Hz, OCH2 CH 2 CH2CH3), 1.34 (m, 2H, 3 J = 7.2 Hz, OCH2CH2 CH 2 CH3), 0.88 (t, 3H, 3 J = 7.2 Hz, OCH2CH2CH2 CH 3 ).
KHG25956
에틸 2-(3-(6-플루오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12
yield : 30 %
mp : 291 ℃
1H NMR (300 MHz, DMSO-d 6) δ 11.05 (brs, 1H, NH), 7.82-7.17 (m, 3H, Ar-H), 7.04 (brs, 1H, NH), 4.13 (q, 2H, 3 J = 7.2 Hz, OCH 2 CH3), 3.96 (d, 2H, 3 J = 5.7 Hz, CH2), 1.21 (t, 3H, 3 J = 7.2 Hz, OCH2 CH 3 )
KHG25967
2-(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13
yield : 85 %
mp : 217 ℃
1H NMR (300 MHz, DMSO-d 6) δ 7.18-7.89 (m, 4H, ArH), 7.01 (t, 1H, 3 J = 5.7 Hz, NH), 3.89 (d, 2H, 3 J = 5.7 Hz, CH2).
KHG25989
에틸 2-(3-(6-클로로벤조[d]옥사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14
yield : 21 %
mp : 225 ℃
1H NMR (300 MHz, DMSO-d 6) δ 11.42 (brs, 1H, NH), 8.55 (brs, 1H, NH), 7.62-7.23 (m, 3H, Ar-H), 4.12 (q, 2H, 3 J = 7.1Hz, CH2), 4.05 (d, 2H, 3 J = 5.5 Hz, CH2), 1.21 (t, 3H, 3 J = 7.1 Hz, CH3).
KHG25990
에틸 2-(3-(6-클로로벤조[d]옥사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15
yield : 31 %
mp : 233 ℃
1H NMR (300 MHz, DMSO-d 6) δ 11.31 (brs, 1H, NH), 8.61 (brs, 1H, NH), 7.61-7.14 (m, 3H, Ar-H), 4.43 (d, 2H, 3 J = 6.0 Hz, CH2), 2.07 (s, 3H, CH3).
KHG26004
에틸 4-(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부타노에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16
yield : 56 %
mp : 278 ℃
1H NMR (300 MHz, DMSO-d 6) δ 10.65 (s, 1H, NH), 7.87-7.17 (m, 4H, Ar-H), 6.80 (brs, 1H, NH), 4.05 (q, 2H, 3 J = 6.0 Hz, OCH 2 CH3), 3.16 (q, 2H, 3 J = 6.0 Hz, CH 2 CH2CH2), 2.33 (t, 2H, 3 J = 9.0 Hz, CH2CH2 CH 2 ), 1.77-1.67(m, 2H, 3 J = 6.0 Hz, CH2 CH 2 CH2), 1.17 (t, 2H, 3 J = 6.0 Hz, OCH2 CH 3 ).
KHG26005
에틸 3-(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프로파노에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17
yield : 89 %
mp : 256 ℃
1H NMR (300 MHz, DMSO-d 6) δ 10.76 (s, 1H, NH), 7.90-7.20 (m, 4H, Ar- H), 6.92 (t, 1H, 3 J = 6.0 Hz, NH), 4.11 (q, 2H, 3 J = 6.3 Hz, OCH 2 CH3), 3.42 (q, 2H, 3 J = 6.3 Hz, CH2), 2.56 (t, 2H, J = 6.3 Hz, CH2), 1.22(t, 2H, 3 J = 7.2 Hz, OCH2 CH 3 ).
KHG26019
에틸 2-(3-(6-메톡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18
yield : 79 %
mp : 281.9 ℃
1H NMR (300 MHz, DMSO-d 6) δ 10.86 (s, 1H, NH), 7.53-6.93 (m, 3H, Ar-H), 7.03 (brs, 1H, NH), 4.13 (q, 2H, 3 J = 7.2 Hz, OCH2CH3), 3.95 (d, 2H, 3 J = 5.7 Hz, CH2), 3.32 (s, 3H, OCH3), 1.21 (t, 3H, 3 J = 7.2 Hz, OCH2 CH 3 ).
KHG26025
4-(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부타노익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19
yield : 99 %
mp : 210 ℃
1H NMR (300 MHz, DMSO-d 6) δ 10.6 (brs, 2H, NH, COOH), 7.88-7.18 (m, 4H, Ar-H), 6.88 (t, 1H, J = 5.4 Hz, NH), 3.18 (q, 2H, 3 J = 6.6 Hz, CH 2 CH2CH2), 2.27 (t, 2H, 3 J = 7.4 Hz, CH2CH2 CH 2 ), 1.75-1.65(m, 2H, CH2 CH 2 CH2).
KHG26026
3-(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프로판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20
yield : 70 %
mp : 243 ℃
1H NMR (300 MHz, DMSO-d 6) δ 7.17-7.87 (m, 4H, ArH), 6.89 (t, 1H, 3 J = 5.5 Hz, NH), 3.35 (m, 2H, CH2), 2.47 (m, 2H, CH2).
KHG26027
에틸 3-(3-1H-벤조[d]이미다졸-2-일우레이도)프로파노에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21
yield : 23 %
mp : 264 ℃
1H NMR (300 MHz, DMSO) δ 11.33 (s, 1H, NH), 9.89 (s, 1H, NH), 7.34 (s, 1H, NH), 7.25 (s, 2H, Ar-H), 6.99~7.02 (m, 2H, Ar-H), 4.05~4.12 (q, 2H, 2 J = 6.9 Hz, 3 J = 14.1 Hz, ethyl-CH2), 3.37~3.46 (q, 2H, 2 J = 11.1 Hz, 3 J = 17.7 Hz, CH2), 2.52~2.57 (t, 2H, 2 J = 6.6 Hz, 3 J = 13.2 Hz, CH2), 1.19 (t, 3H, 2 J = 7.2 Hz, 3 J = 14.1 Hz, ethyl-CH3).
KHG26028
에틸 4-(3-1H-벤조[d]이미다졸-2-일우레이도)부타노에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22
yield : 16 %
mp : 277 ℃
1H NMR (300 MHz, CDCl3) δ 7.30 (s, 2H, Ar-H), 7.04~7.07 (m, 2H, Ar-H), 4.03~4.10 (q, 2H, 2 J = 6.9 Hz, 3 J = 15.6 Hz, ethyl-CH2), 3.26~3.33 (q, 2H, 2 J = 6.9 Hz, 3 J = 13.5 Hz, CH2), 2.31~2.36 (t, 2H, 2 J = 7.8 Hz, 3 J = 15.0 Hz, CH2), 1.85~1.92 (m, 2H, 2 J = 12.0 Hz, 3 J = 19.2 Hz, CH2), 1.19 (t, 3H, 2 J = 7.2 Hz, 3 J = 14.4 Hz, ethyl-CH3).
KHG26029
에틸 2-(3-(1-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23
yield : 38 %
mp : 157 ℃
1H NMR (300 MHz, CDCl3) δ 7.10~7.17 (m, 4H, Ar-H), 4.19~4.26 (q, 2H, 2 J = 7.2 Hz, 3 J = 14.4 Hz, ethyl-CH2), 4.07 (d, 2H, J = 5.4 Hz, CH2), 3.54 (s, 3H, N-CH3), 1.29 (t, 3H, 2 J = 7.5 Hz, 3 J = 14.4 Hz, ethyl-CH3).
KHG26030
에틸 3-(3-(1-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우레이도)프로파노에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24
yield : 8 %
mp : 105 ℃
1H NMR (300 MHz, CDCl3) δ 7.12~7.23 (m, 4H, Ar-H), 4.13~4.20 (q, 2H, 2 J = 6.9 Hz, 3 J = 14.1 Hz, ethyl-CH2), 3.58~3.69 (d, 2H, J = 7.5 Hz, CH2), 3.54 (s, 3H, N-CH3), 2.59~2.63 (t, 2H, 2 J = 5.7 Hz, 3 J = 12.0 Hz, CH2), 1.27 (t, 3H, 2 J = 7.5 Hz, 3 J = 14.4 Hz, ethyl-CH3).
KHG26031
에틸 4-(3-(1-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우레이도)부타노에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25
yield : 8 %
mp : 81 ℃
1H NMR (300 MHz, CDCl3) δ 7.12~7.23 (m, 4H, Ar-H), 4.13~4.20 (q, 2H, 2 J = 6.9 Hz, 3 J = 14.1 Hz, OCH 2 CH3), 3.58~3.69 (d, 2H, J = 7.5 Hz, CH2), 3.54 (s, 3H, N-CH3), 2.59~2.63 (t, 2H, 2 J = 5.7 Hz, 3 J = 12.0 Hz, CH2), 1.27 (t, 3H, 2 J = 7.5 Hz, 3 J = 14.4 Hz, OCH2 CH 3 ).
KHG26096
포타슘 2-(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26
yield : 86.7 %
mp : 234 ℃
1H NMR (300 MHz, D2O) δ 7.75-7.20 (m, 4H, Ar-H), 3.70 (s, 2H, CH2).
KHG26172
포타슘 2-(3-(1-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27
yield : 76.61 %
mp : 229 ℃
1H NMR (300 MHz, D2O) δ 7.20-7.07 (m, 4H, Ar-H), 3.60 (s, 2H, CH2), 3.36 (s, 3H, CH3).
KHG26175
포타슘 2-(3-(6-메톡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28
yield : 71.38 %
mp : 264 ℃
1H NMR (300 MHz, D2O) δ 7.34-6.83 (m, 3H, Ar-H), 3.70 (d, 3H, 4 J = 1.5 Hz, OCH3), 3.67 (d, 2H, 3 J = 1.8 Hz, CH2).
KHG26176
포타슘 2-(3-(6-메톡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29
yield : 44 %
mp : 246 ℃
1H NMR (300 MHz, D2O) δ 7.40-6.88 (m, 3H, Ar-H), 4.00 (q, 2H, 3 J = 6.9 Hz, OCH 2 CH3), 3.77 (s, 2H, CH2), 1.35 (t, 3H, 3 J = 6.9 Hz, OCH2 CH 3 ).
KHG26177
포타슘 2-(3-(6-클로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30
yield : 24 %
mp : 237 ℃
1H NMR (300 MHz, D2O) δ 7.61-7.26 (m, 3H, Ar-H), 3.76 (s, 2H, CH2).
KHG26178
포타슘 2-(3-(4-클로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31
yield : 50 %
mp : 259 ℃
1H NMR (300 MHz, D2O) δ 7.57-7.07 (m, 3H, Ar-H), 3.74 (s, 2H, CH2).
KHG26180
포타슘 2-(3-(5,6-디메틸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32
yield : 92.5 %
mp : 278 ℃
1H NMR (300 MHz, D2O) δ 7.34 (m, 2H, Ar-H), 3.74 (s, 2H, CH2), 2.24 (d, 6H, 5 J = 4.5 Hz, 2×CH3).
KHG26216
포타슘 2-(3-(6-메틸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33
yield : 48.2 %
mp : 236 ℃
1H NMR (300 MHz, D2O) δ 7.07-7.37 (m, 3H, Ar-H), 3.64 (s, 2H, CH2), 2.26 (s, 3H, CH3).
KHG26217
포타슘 2-(3-(4-메틸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34
yield : 56.1 %
mp : 264.4 ℃
1H NMR (300 MHz, D2O) δ 7.07-7.54 (m, 3H, Ar-H), 3.69 (s, 2H, CH2), 2.41 (s, 3H, CH3).
KHG26220
포타슘 3-(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프로파노에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35
yield :54.9 %
mp : 249 ℃
1H NMR (300 MHz, D2O) δ 7.19-7.73 (m, 4H, Ar-H), 3.35 (t, 3 J = 6.7 Hz, 2H, CH2), 2.37 (t, 3 J = 6.7 Hz, 3H, CH2).
KHG26221
포타슘 4-(3-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부타노에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36
yield : 63.8 %
mp : 241 ℃
1H NMR (300 MHz, D2O) δ 7.66-7.15 (m, 4H, Ar-H), 3.11 (t, 2H, 3 J = 6.9 Hz, CH 2 CH2CH3), 2.21 (t, 3H, 3 J = 7.2 Hz, CH2CH2 CH 3 ), 1.74 (q, 2H, 3 J = 7.5 Hz, CH2 CH 2 CH3).
KHG26222
포타슘 3-(3-(1-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우레이도)프로파노에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37
yield : 5.5 %
mp : 219 ℃
1H NMR (300 MHz, D2O) δ 7.21-7.14 (m, 4H, Ar-H), 3.42 (t, 2H, 3 J = 6.6 Hz, CH 2 CH2), 3.3 (s, 3H, N-CH3), 2.45 (t, 2H, 3 J = 7.2, CH2 CH 2 ).
KHG26223
포타슘 3-(3-(1-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우레이도)프로파노에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38
yield : 57.1 %
mp : 222 ℃
1H NMR (300 MHz, D2O) δ 7.04-7.40 (m, 4H, Ar-H), 3.57 (s, 3H, CH3), 3.13 (q, 3 J = 6.1 Hz, 2H, N-CH 2 CH2CH2), 1.89 (t, 3 J = 7.1 Hz, 2H, N-CH2CH2 CH 2 ), 1.62 (q, 3 J = 6.9 Hz, 2H, N-CH2 CH 2 CH2).
KHG26279
1-(벤조[d]티아졸-2-일)-3-(2-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Figure 112008089843824-PAT00039
yield : 27.2 %
mp : 223 ℃
1H NMR (300 MHz, DMSO-d 6) δ 10.65 (s, 1H, NH), 7.17-7.87 (m, 4H, Ar-H), 6.83 (brs, 1H, NH), 4.84 (q, 3 J = 5.1 Hz, 1H, OH), 3.47 (q, 3 J = 5.7 Hz, 3 J = 5.1 Hz, 2H, N-CH 2 CH2), 3.22 (q, 3 J = 5.7 Hz, 2H, CH2 CH 2 OH).
KHG26280
2-(3-(1-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40
yield : 91.8 %
mp : 200 ℃
1H NMR (300 MHz, DMSO-d 6) δ 7.28-7.63 (m, 4H, Ar-H), 3.91 (d, 3 J = 5.5 Hz, 2H, CH2), 3.77 (s, 3H, CH3).
KHG26303
에틸 2-(3-(1-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41
yield : 58.5 %
mp : 185 ℃
1H NMR (300 MHz, DMSO-d 6) δ 7.28-7.63 (m, 4H, Ar-H), 4.11 (q, 2H, 3 J = 7.2 Hz, OCH 2 CH3), 3.91 (d, 3 J = 5.5 Hz, 2H, CH2), 3.32 (s, 3H, CH3), 1.17 (t, 3 J = 7.2 Hz, 3H, OCH2 CH 3 ).
KHG26304
에틸 2-(3-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42
yield : 18.5 %
mp : 204 ℃
1H NMR (300 MHz, DMSO-d 6) δ 7.26-7.92 (m, 4H, Ar-H), 4.40 (brs, 2H, CH2), 4.15 (q, 3 J = 7.2 Hz, 2H, OCH 2 CH3), 1.22 (t, 3 J = 7.2 Hz, 3H, OCH2 CH 3 ).
KHG26305
에틸 2-(3-(6-메틸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43
yield : 40 %
mp : 290.8 ℃
1H NMR (300 MHz, DMSO-d 6) δ 7.57-7.12 (m , 3H, Ar-H), 4.30 (d, 2H, 3 J = 5.1 Hz, CH2), 4.24 (q, 2H, 3 J = 7.2 Hz, OCH 2 CH3), 2.33 (s, 3H, CH3), 1.29 (t, 3H, 3 J = 6.9 Hz, OCH2 CH 3 ).
KHG26306
에틸 2-(3-(4-메틸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44
yield : 10.0 %
mp : 219 ℃
1H NMR (300 MHz, DMSO-d 6) δ 7.59-7.02 (m, 3H, Ar-H), 4.43 (d, 2H, 3 J = 5.1 Hz, CH2), 4.17 (q, 2H, 3 J = 7.2 Hz, OCH 2 CH3), 2.42 (s, 3H, CH3), 1.23 (t, 3H, 3 J = 7.2 Hz, OCH2 CH 3 )
KHG26307
에틸 2-(3-(5,6-디메틸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45
yield : 32.5 %
mp : 255 ℃
1H NMR (300 MHz, DMSO-d 6) δ 7.12-7.65 (m, 2H, Ar-H), 4.39 (brs, 2H, CH2), 4.15 (q, 3 J = 6.9 Hz, 2H, OCH 2 CH3), 2.29 (d, 4 J = 4.5 Hz, 2ㅧCH3), 1.22 (t, 3 J = 6.9 Hz, 3H, OCH2 CH 3 ).
KHG26308
에틸 2-(3-(6-메톡시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46
yield : 23.2 %
mp : 324 ℃
1H NMR (300 MHz, DMSO-d 6) δ 7.29-6.78 (m, 3H, Ar-H), 4.31 (d, 2H, 3 J = 4.8 Hz, CH2), 4.24 (q, 2H, 3 J = 7.2 Hz, OCH 2 CH3), 3.72 (s, 3H, OCH3), 1.31 (t, 3H, 3 J = 7.2 Hz, OCH2 CH 3 ).
KHG26309
에틸 2-(3-(6-에톡시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47
yield : 26.0 %
mp : 183 ℃
1H NMR (300 MHz, DMSO-d 6) δ 7.12-7.65 (m, 2H, Ar-H), 4.39 (brs, 2H, CH2), 4.15 (q, 3 J = 6.9 Hz, 2H, OCH 2 CH3), 1.22 (t, 3 J = 6.9 Hz, 3H, OCH2 CH 3 ).
KHG26310
에틸 2-(3-(6-플루오로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48
yield : 5.4 %
mp : 160 ℃
1H NMR (300 MHz, DMSO-d 6) δ 7.59-6.99 (m, 3H, Ar-H), 4.39 (brs, 2H, CH2), 4.15 (q, 3 J = 6.9 Hz, 2H, OCH 2 CH3), 1.22 (t, 3 J = 6.9 Hz, 3H, OCH2 CH 3 ).
KHG26311
에틸 2-(3-(6-클로로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49
yield : 15.2 %
mp : 184 ℃
1H NMR (300 MHz, DMSO-d 6) δ 7.77-7.19 (m, 3H, Ar-H), 4.31 (d, 2H, 3 J = 4.8 Hz, CH2), 4.24 (q, 3 J = 6.9 Hz, 2H, OCH 2 CH3), 1.29 (t, 3 J = 7.2 Hz, 3H, OCH2 CH 3 ).
KHG26312
에틸 2-(3-(4-클로로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50
yield : 12.3 %
mp : 198 ℃
1H NMR (300 MHz, DMSO-d 6) δ 7.83-6.96 (m, 3H, Ar-H), 4.31 (d, 2H, 3 J = 4.8 Hz, CH2), 4.24 (q, 3 J = 6.9 Hz, 2H, OCH 2 CH3), 1.29 (t, 3 J = 7.2 Hz, 3H, OCH2 CH 3 ).
KHG26316
2-(3-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51
yield : 93.3 %
mp : 200 ℃
1H NMR (300 MHz, DMSO-d 6) δ 10.05 (brs, 1H, NH), 7.97-7.18 (m, 4H, Ar-H), 4.32 (d, 2H, 3 J = 5.4 Hz, CH2).
KHG26332
1-(벤조[d]티아졸-2-일)-3-에틸우레아
Figure 112008089843824-PAT00052
yield : 73%
mp : 197 ℃
1H NMR (300 MHz, DMSO-d 6) δ 10.66 (brs, 1H, NH), 7.87-7.17 (m, 4H, Ar-H), 6.71 (t, 1H, J = 8.7 Hz, NH), 3.23-3.14(m, 2H, ethyl CH2), 1.08(t, 3H, J = 7.2 Hz, CH3).
KHG26334
2-(3-(1-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53
yield : 67 %
mp : 172 ℃
1H NMR (300 MHz, DMSO-d 6) δ 13.24 (brs, 1H, NH), 8.11 (brs, 1H, NH), 7.63-7.18 (m, 4H, Ar-H), 3.92 (d, 2H, 3 J = 6.0 Hz, CH2), 3.52 (s, 3H, CH3).
KHG26335
2-(3-(5,6-디메틸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54
yield : 91 %
mp : 212 ℃
1H NMR (300 MHz, DMSO-d 6) δ 7.65-7.43 (m, 2H, Ar-H), 4.32 (d, 2H, 3 J = 5.1 Hz, CH2), 2.30 (d, 6H, 3 J = 3.9 Hz, 2ㅧCH3).
KHG26336
2-(3-(6-에톡시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55
yield : 24 %
mp : 200 ℃
1H NMR (300 MHz, DMSO-d 6) δ 7.55-6.98 (m, 3H, Ar-H), 4.34 (d, 2H, 3J = Hz, CH2), 4.05 (q, 2H, 3 J = 7.2 Hz, OCH 2 CH3), 1.34 (t, 3H, 3 J = 6.9 Hz, OCH2 CH 3 ).
KHG26340
2-(3-(4-메틸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56
yield : 60 %
mp : 214 ℃
1H NMR (300 MHz, DMSO-d 6) δ 7.75-7.16 (m, 3H, Ar-H), 4.34 (d, 2H, 3 J = 4.8 Hz, CH2), 2.58 (s, 3H, CH3).
KHG26342
N-(벤조[d]티아졸-2-일)-2-시아노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08089843824-PAT00057
mp : 143 ℃
1H NMR (300 MHz, DMSO-d 6) δ 11.43 (brs, 1H, NH), 7.91-7.20 (m, 4H, Ar-H), 7.44 (t, 1H, 3 J = 5.4 Hz, NH), 4.23 (d, 2H, 3 J = 5.7 Hz, CH2).
KHG26344
1-(벤조[d]티아졸-2-일)-3-(2-메톡시에틸)우레아
Figure 112008089843824-PAT00058
yield : 80 %
mp : 257 ℃
1H NMR (300 MHz, DMSO-d 6) δ 10.62 (brs, 1H, NH), 7.89-7.19 (m, 4H, Ar-H), 6.86 (brs, 1H, NH), 3.43 (q, 2H, 3 J = 5.1 Hz, CH 2 CH2), 3.30 (s, 3H, OCH3), 3.2 (brs 2H, CH2 CH 2 ).
KHG26345
N-(벤조[d]티아졸-2-일)-2-(2H-테트라졸-5-일)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08089843824-PAT00059
yield : 20 %
mp : 249 ℃
1H NMR (300 MHz, DMSO-d 6) δ 8.30-7.19 (m, 4H, Ar-H), 7.04 (t, 1H, 3 J = 6.6 Hz, NH), 3.89 (d, 2H, 3 J = 5.7 Hz, CH2).
KHG26346
2-(3-(6-메톡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60
yield : 95 %
mp : 198.3 ℃
1H NMR (300 MHz, DMSO-d 6) δ 7.53-6.93 (m, 3H, Ar-H), 6.98 (brs, 1H, NH), 3.87 (d, 2H, 3 J = 5.7 Hz, CH2), 3.78 (s, 3H, OCH3).
KHG26347
에틸 2-(3-(6-에톡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61
yield : 81 %
mp : 264 ℃
1H NMR (300 MHz, DMSO-d 6) δ 10.85 (s, 1H, NH), 7.52-6.92 (m, 3H, Ar-H), 7.03 (brs, 1H, NH), 4.13 (q, 2H, 3 J = 7.2 Hz, OCH 2 CH3), 4.03 (q, 2H, 3 J = 6.9 Hz, OCH 2 CH3), 3.95 (d, 2H, 3 J = 5.7 Hz, CH2) 1.33 (t, 3H, 3 J = 6.9 Hz, OCH2 CH 3 ) 1.21 (t, 3H, 3 J = 7.2 Hz, OCH2 CH 3 ).
KHG26348
2-(3-(6-에톡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62
yield : 97 %
mp : 197 ℃
1H NMR (300 MHz, DMSO-d 6) δ 7.52-6.92 (m, 3H, Ar-H), 6.98 (t, 1H, 3 J = 5.7 Hz, NH), 4.03 (q, 2H, 3 J = 6.9 Hz, OCH 2 CH3), 3.88 (d, 2H, 3 J = 5.7 Hz, CH2) 1.33 (t, 3H, 3 J = 6.9 Hz, OCH2 CH 3 ).
KHG26349
에틸 2-(3-(6-클로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63
yield : 93 %
mp : 295 ℃
1H NMR (300 MHz, DMSO-d 6) δ 11.15 (s, 1H, NH), 8.02-7.36 (m, 3H, Ar-H), 7.08 (brs, 1H, NH), 4.13 (q, 2H, 3 J = 7.2 Hz, OCH 2 CH3), 3.96 (d, 2H, 3 J = 5.7 Hz, CH2), 1.21 (t, 3H, 3 J = 6.9 Hz, OCH2 CH 3 ).
KHG26350
2-(3-(6-클로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64
yield : 87 %
mp : 216 ℃
1H NMR (300 MHz, DMSO-d 6) δ 8.02-7.35 (m, 3H, Ar-H), 7.01 (t, 1H, 3 J = 5.4 Hz, NH), 3.89 (d, 2H, 3 J = 5.7 Hz, CH2).
KHG26351
에틸 2-(3-(4-클로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65
yield : 96 %
mp : 213 ℃
1H NMR (300 MHz, DMSO-d 6) δ 11.59 (s, 1H, NH), 7.88-7.18 (m, 3H, Ar-H), 6.91 (brs, 1H, NH), 4.13 (q, 2H, 3J = 7.2 Hz, OCH 2 CH3), 3.95 (d, 2H, 3 J = 5.4 Hz, CH2), 1.21 (t, 3H, 3 J = 6.9 Hz, OCH2 CH 3 ).
KHG26352
2-(3-(4-클로로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66
yield : 98 %
mp : 198 ℃
1H NMR (300 MHz, DMSO-d 6) δ 11.52 (s, 1H, NH), 7.89-7.18 (m, 3H, Ar-H), 6.85 (brs, 1H, NH), 3.88 (d, 2H, 3 J = 5.4 Hz, CH2).
KHG26353
에틸 2-(3-(5,6- 디메틸벤조[d]티아졸 -2-일) 우레이도 )아세테이트
Figure 112008089843824-PAT00067
yield : 97 %
mp : 268 ℃
1H NMR (300 MHz, DMSO-d 6) δ
KHG26354
2-(3-(5,6-디메틸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68
yield : 89 %
mp : 198 ℃
1H NMR (300 MHz, DMSO-d 6) δ 7.61-7.41 (m, 2H, Ar-H), 7.03 (brs, 1H, NH), 3.87 (d, 2H, 3 J = 5.4 Hz, CH2), 2.27 (d, 6H, 3 J = 2.7 Hz, 2ㅧCH3).
KHG26355
2-(3-(6-메틸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69
yield : 90 %
mp : 201 ℃
1H NMR (300 MHz, DMSO-d 6) δ 7.66-7.15 (m, 3H, Ar-H), 7.05 (t, 1H, 3 J = 5.4 Hz, NH), 3.88 (d, 2H, 3 J = 5.7 Hz, CH2), 2.37 (s, 3H, CH3).
KHG26356
2-(3-(4-메틸벤조[d]티아졸-2-일)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70
yield : 96 %
mp : 203 ℃
1H NMR (300 MHz, DMSO-d 6) δ 7.69-7.08 (m, 3H, NH), 6.92 (brs, 1H, NH), 3.88 (d, 2H, 3 J = 5.6 Hz, CH2), 2.52 (s, 3H, CH3).
KHG26357
3-(3-(1-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우레이도)프로판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71
yield : 37.5 %
mp : 237 ℃
1H NMR (300 MHz, DMSO-d 6) δ 12.35 (brs, 1H, NH), 7.54-7.26 (m, 4H, Ar-H), 3.73 (s, 3H, CH3), 3.42 (q, 2H, 3 J = 6.0 Hz, CH2), 2.50 (brs, 2H, CH2).
KHG26358
4-(3-(1-메틸-1H-벤조[d]이미다졸-2-일)우레이도)부타노익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72
yield : 52 %
mp : 197 ℃
1H NMR (300 MHz, DMSO-d 6) δ 7.36-7.11 (m, 4H, Ar-H), 3.64 (brs, 2H, CH 2 CH2CH2), 3.33 (s, 3H, N-CH3), 2.27 (t, 2H, 3 J = 6.6 Hz, CH2CH2 CH 2 ), 1.72 (m, 2H, CH2 CH 2 CH2).
KHG26341
2-(3-(6-클로로벤조[d]티아졸-2-일)티오우레이도)아세트산
Figure 112008089843824-PAT00073
yield : 38 %
mp : 193 ℃
1H NMR (300 MHz, DMSO-d 6) δ 8.06-7.42 (m, 3H, Ar-H), 4.31 (d, 2H, 3 J = 5.4 Hz, CH2).
[실험예 1]
베타-아밀로이드의 처리
베타-아밀로이드(Aβ25-35,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는 무균의 탈염수 및 보존용액 (1mM)으로 희석하였으며, 영하 70℃에서 부분표본으로 보관하였다. 처리를 위하여 베타-아밀로이드 보존용액을 처리배지에 있어서 원하는 농도로 맞추어 희석하였다. 시약은 DMSO (dimethylsulfoxide) 하에서 보존용액(10mM)으로 새롭게 준비되었고, 처리 배지에서 원하는 농도로 희석하였다.
세포 배양
BV-2 마이크로글리아 세포(아주대학교 약리학교실에서 분양받음)는 5% 소태아혈청(Invitrogen, Carlsbad, CA, USA) 50U/㎖ 페니실린(Invitrogen, Carlsbad, CA, USA) 및 50㎍/㎖ 스트렙토마이신(Invitrogen, Carlsbad, CA, USA)이 보충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5% CO2 및 95% 공기를 포함하는 대기조건 하, 37℃에서 배양되었다. 상기 배지를 하루에 한 번씩 교체하였으며, 세포를 각각의 실험 규모에 따라 적절한 밀도로 평판배양 하였다.
세포 생존률 측정
BV-2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5 X 104의 밀도로 평판배양 하였으며, 세포 생존률을 통상적인 MTT 분석법 및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LDH) 분석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MTT 분석법은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대사 능력에 따라 달라지며, 세포내 산화환원 상태를 반영한다. 배양 후, 세포를 MTT 용액(최종농도 1㎎/㎖)으로 4시간동안 처리하였다. 원래의 세포에 형성된 진청색 포르마잔 결정을 용해 버퍼에 용해시키고, 마이크로플래이트 리더로 59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배양배지에서 방출된 LDH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세포 사멸 지수로서 평가하였다. 상기 배양배지를 소디움 락테이트, NADH 및 소디움 피루베이트를 함유하는 시약(test,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 첨가한 후, NADH에 의한 340nm에서의 흡광도 감소를 측정하였다. 미처리 대조군의 균등액에서의 LDH 활성을 100%로 하여 결과 값을 계산하였다.
사이토카인 측정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ipopolysaccharide, LPS)로 처리된 세포(6-웰의 5 X 105셀/3㎖, Fluka, Sigma-Aldrich, St. Louis, MO,USA)를 수집하여 인산염완충식염수(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기 세포를 4℃에서 Pro-prep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용해 시킨다. 용해 시킨 세포용해액으로 부터 인터루킨-1베타와 종양괴사인자-알파를 측정하기 위해서 효소결합 면역흡착제 분석법 플레이트(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또한, 사이토카인 측정시스템(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사이토카인을 측정하였다.
동물실험
12 내지 14 주령 (20-25kg)된 C57BL/6 mice(Harlan Sprague Dawley inc, Indianapolis, IN, USA)를 사용하여 stereotaxis를 이용하며,intracerebroventricular (ICV) 주입 방법은 Craft et al., 2004b의 뇌실 주입시스템을 따랐다. 무질병원시설(SPF)에서 대략 12시간 밝음/어두음의 반복을 경험하게 한 다음 무질병시설에서 권고하는 먹이와 물을 공급하였다. 모든 절차와 과정은 동물시설위원회에서 승인된 절차아래 시행 하였다.
웨스턴 블랏 분석
베타-아밀로이드로 처리된 세포(6-웰의 5 X 10셀/3㎖, 아주대학교 약리학교실에서 분양받음)를 수집하여 인산염완충식염수(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기 세포를 4℃에서 0.1 ㎖의 RIPA 버퍼(150mM NaCl, 1% NP-40, 0.5% 소디움디옥시콜레이트, 0.1% SDS, 50mM Tris-HCl, pH 7.4, 50mM 글리세로포스페이트, 20mM NaF, 20mM EGTA, 1mM DTT, 1mM Na3VO4, 및 프로티아제 억제제를 포함)하에서 15분 동안 세게 진탕하여 용해시켰다. 얼음에서 10분 동안 배양한 후, 용해질을 5분 동안 14,000rpm으로 원심분리 하였다. 세포 용해질로부터 얻은 단백질 20㎍을 가열하여 끓이고, 12%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에서 환원조건하에서 전기영동 하였다. 1시간동안 블로킹버퍼(20mM Tris, 5% 비지방 건조 우 유를 포함하는 0.1% 트윈 20을 함유하는 pH 7.4-버퍼 식염수)에서 배양하여 비 특이적 결합을 억제하였다. 일차 항체(항-ERK1, 항-ERK2, 항-인산-ERK1, 및 항-인산-ERK2, Cell Signaling Technology Inc, Beverly, Massachusetts, USA에서 입수)를 90분 동안 멤브레인에 노출시켰다. 세척 후, 블랏을 1:1,000로 희석한 고추냉이 (horseradish) 과산화효소-접합 항-마우스 IgG 와 함께 1시간 동안 배양하고, 화학발광 물질 (Chemiluminescent Substrate, Pierce)를 사용하여 제조자 사용설명서에 따라 1분 동안 검출하고, X-레이 필름으로 가시화시켰다.
통계학적 분석
세포 생존률의 변화를 ANOVA (analysis of variance)에 의하여 분석한 후, Student's t-test를 수행하였다. p-값이 0.05 이하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BV-2 세포에서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된 세포염증에 대한 KHG25967의 효과
BV-2 세포를 50 μM의 베타-아밀로이드로 2시간 동안 전처리하고, 상기 베타-아밀로이드로 처리된 세포에 50 nM KHG25967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현미경 분석에서는 BV-2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5 x 105 cells/well를 사용하였으며, MTT 분석에 있어서는 96웰 플레이트에 BV-2 세포 5 x 104 cells/well를 사용하였다.
상기 시험에서 얻어진 KHG25967 화합물의 BV-2 세포에서의 베타-아밀로이드 에 의하여 유발된 독성 예방 효과를 도 1a 및 1b에 나타내었다. 도 1a는 상기 세포들을 현미경 분석하여 얻은 형태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고, 1b는 MTT 분석에 의한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베타-아밀로이드 및 KHG25967을 처리하지 아니한 대조군, 베타-아밀로이드 50 μM을 24 시간 동안 처리한 경우, 및 베타-아밀로이드 50 μM을 2 시간 처리한 후 50 nM KHG25967을 24 시간 처리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1b는 1a의 각 경우에 대한 세포 생존률 분석 결과이다.
도 1a에 나타나듯이, 정상적인 BV-2 세포(대조군)과 비교하여, 베타-아밀로이드로 처리된 세포는 신경세포와 같은 돌기를 보이며 바닥에서 이탈하여 응집된 상태로 존재하였으나, KHG25967을 처리 한 경우는 손상 세포의 형태학적인 특징이 완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도 1b에 나타나듯이, 베타-아밀로이드를 처리한 경우(대조군)의 세포생존율은 35%였으나, 여기에 KHG25967을 처리한 경우에는 세포생존율이 83%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한편, BV-2세포에서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세포퇴행에 있어서, 베타-아밀로이드를 첨가하기 전 미리 KHG25967을 첨가한 배양액에서의 신경퇴행에 대한 보호효과의 결과도 상기의 KHG25967을 후처리한 경우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해 유발된 ERK1/2와 caspase 3의 활성에 미치는 KHG25967의 효과
화합물 KHG25967의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ERK의 인산화와 caspase 3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베타-아밀로이드로 자극된 BV-2세포 배양액에 있어서 ERK1/2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 & 2)와 caspase 3의 가능한 병발을 측정하였다. ERK의 활성은 트레오닌 및 티로신의 인산화에 의하므로 특이적인 항-포스포-ERK1/2 항체 및 항-ERK1/2 항체(Cell Signaling Technology Inc, Beverly, Massachusetts, USA)를 이용한 면역블롯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Caspase 3 활성은 아스파르트산과 세린이 자극에 의한 잘려짐을 항-클리브즈-caspase 3 항체(Cell Signaling Technology Inc, Beverly, Massachusetts, USA)를 사용하여 면역블롯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베타-엑틴(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을 사용하여 상대적인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도 2a 내지 2c에 나타내었다. 도 2a는 BV-2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p-ERK 및 caspase 3 에 대한 KHG25967의 저해도를 Western blot으로 나타낸 것으로, BV-2세포 배양에 있어서 50 nM KHG25967 존재 하에서 베타-아밀로이드를 처리한 경우,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포스포-ERK1/2의 증가가 현저하게 약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2b는 BV-2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p-ERK에 대한 KHG25967의 저해도를 농도계측적인 분석으로 나타낸 것으로, KHG25967와 함께 처리된 배양액에서의 포스포-ERK1 및 포스포-ERK2의 발현 정도는 베타-아밀로이드만 처리된 경우에 비하여 90% 및 70%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c는 BV-2 세포에서 LPS 에 의해 유도된 caspase 3 에 대한 KHG25967의 저해도를 농도계측적인 분석으로 나타낸 것으로, KHG25967와 함께 처리된 배양액에서의 클리브즈-casepase3의 발현정도는 베타-아밀로이드만 처리된 경우에 비해서 93%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3. BV-2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신경염증변화에 대한 사이토카인 변화에 대한 KHG25967의 효과
BV-2 세포를 1 μg/ml의 LPS(Fluka, Sigma-Aldrich, St. Louis, MO,USA)로 2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50 nM KHG25967을 6시간 동안 더욱 처리하였다. 세포용해액(Intron Biotechnology, Seoul, Korea)으로 부터 용해시킨 용해액으로 부터 인터루킨-1베타와 종양괴사인자-알파의 싸이토카인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인터루킨-1베타와 종양괴사인자-알파의 사이토카인은 신경세포 염증반응에서 특이적으로 상승되어지는 물질로 효소결합 면역흡착제 분석은 특이적인 사이토카인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BV-2 세포 배양에서 KHG25967 에 의한 염증성 싸이토카인 IL-1β 및 TNF-α의 생성 저해 효과를 도 3a 및 3b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3a 및 3b에 나타나듯이, LPS를 처리한 것의 사이토카인을 100%로 보았을 때 LPS와 50 nM KHG25967을 함께 처리한 경우 인터루킨-1베타는 70%, 종양괴사인자-알파는 61% 억제되었다.
4. C57BL/6 mice brain에서 LPS로 유도된 신경염증변화에 대한 사이토카인 변화에 대한 KHG25967의 brain 특이적인 효과
12-14 주령 된 C57BL/6 mice를 사용하여 in vivo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에 대한 KHG25967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Control군은 2주간 PBS만 투여한 후, 다시 PBS를 6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LPS군은 2주 동안 PBS만 투여 후, LPS 10mg/kg을 streotaxis를 사용하여 뇌로 투여하였다. KHG25967 처리군은 KHG25967 10mg/kg 또는 20mg/kg을 경구투여를 통해 매일 반복하여 2주간 처리한 후, LPS 10mg/kg을 streotaxis를 사용하여 뇌로 투여하였다. LPS 투여 6시간 이후 심장이나 복대정맥을 통해 blood(혈청)를 수집하고,brain을 꺼낸 후 용해시킨 이후 blood와 brain 내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인터루킨-1베타와 종양괴사인자-알파)들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KHG25967의 경구투여에 의한 중추신경계 염증에 대한 선택성 결과를 도 4a 내지 4d에 나타내었다. 도4a는 뇌에서의 인터루킨-1베타 변화량을, 4b는 뇌에서의 종양괴사인자-알파의 변화량을, 4c는 혈청에서의 인터루킨-1베타 변화량을, 4d는 혈청에서의 종양괴사인자-알파의 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와 4b에 나타나듯이, LPS만 처리한 것의 사이토카인을 100%로 보았을 때 KHG25967를 2주간 투여한 후 LPS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인터루킨-1베타는 55%, 종양괴사인자-알파는 42% 정도 감소하였다. 반면, 도4c와 4d에 나타나듯이 blood에서의 인터루킨-1베타와 종양괴사인자-알파는 KHG25967 여부에 별 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이 말초혈액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변화와 뇌 내 사이토카인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살펴보았을 때 KHG25967의 뇌 특이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생물활성 (세포사멸억제) 시험결과
BV-2 세포를 50 μM의 베타-아밀로이드로 2시간 동안 전처리하고, 상기 베타-아밀로이드로 처리된 세포에 각 약물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MTT 분석에 있어서는 96웰 플레이트에 BV-2 세포 5 x 104 cells/well를 사용하였다. MTT 결과에 대한 세포 생존률 정량분석결과 (단위: %)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농도별로 세 번의 반복 실험된 평균값이다.
[표 2]
화합물번호 50μM 1000nM 500nM 100nM 50nM
KHG25948 30
KHG25954 48
KHG25956 36
KHG25967 83
KHG25989 55
KHG25990 37
KHG26004 37
KHG26005 40
KHG26006 65
KHG26019 47
KHG26025 90 89 73
KHG26026 82 85 66
KHG26027 45
KHG26028 34
KHG26029 70 73 86
KHG26030 75 76 60
KHG26031 56
KHG26096 72
KHG26172 68
KHG26175 76
KHG26176 51
KHG26177 62
KHG26178 59
KHG26180 62
KHG26216 62
KHG26217 49
KHG26220 33
KHG26221 44
KHG26222 33
KHG26223 51
KHG26279 36
KHG26280 33
KHG26303 48
KHG26304 41
KHG26305 37
KHG26306 62
KHG26307 48
KHG26308 44
KHG26309 65
KHG26310 30
KHG26311 67
KHG26312 55
KHG26316 57
KHG26332 18
KHG26334 75
KHG26335 81
KHG26336 67
KHG26340 78
KHG26341 67
KHG26342 88
KHG26344 58
KHG26345 63
도 1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처리 없이 베타-아밀로이드만 처리된 세포(대조군)의 생존률이 35%인 것을 감안할 때, 표 2에 나타난 대부분의 화합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35% 이하로 나타난 화합물은 모두 500 nM 이하의 저농도에서의 결과이므로, 농도를 높이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a 및 1b은 BV-2 세포에서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세포독성 (Aβ25-35-induced cytotoxicity)에 대한 화합물 KHG25967의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1a는 현미경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1b는 MTT 결과에 대한 세포 생존률 정량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ontrol: 베타-아밀로이드를 처리하지 아니하고 5% DMSO만 26시간 처리한 대조군,
Ab: 베타-아밀로이드 50 μM을 2 시간 동안 처리한 후, 5% DMSO를 추가로 투여하여 24 시간 처리한 경우,
Ab + KHG25967: 베타-아밀로이드 50 μM을 2 시간 동안 처리한 후, 5% DMSO에 녹인 KHG25967 50 nM을 24 시간 처리한 경우)
도 2a 내지 2c는 BV-2 세포에서 ERK1 과 ERK2의 인산화 활성 및 Caspase 3의 활성에 대한 KHG25967의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2a는 인산화-ERK1, 인산화-ERK2, ERK1, ERK2, 및 cleaved caspase 3에 대한 면역블랏 분석 결과이고, 2b는 2a에 대한 p-ERK의 정량분석결과이고, 2c는 2a에 대한 caspase 3의 정량분석결과이다.각 lane에 대한 조건은 도 1과 동일하다.
도 3a 및 3b는 BV-2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발된 싸이토카인에 대한 KHG25967의 in vitro 보호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3a는 인터루킨-1베타의 정량분석 결과로서 LPS 처리 이후의 반응결과를 100%로 하여 비교한 상대적 %수치로 계산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고, 3b는 종양괴사인자-알파의 정량분석 결과로서, LPS 처리 이후의 반응결과를 100%로 하여 비교한 상대적 %수치로 계산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Control: PBS를 2 시간 전처리한 후, 5% DMSO를 6 시간 처리한 경우,
LPS: PBS에 녹인 LPS 1 μg/ml을 2 시간 전처리한 후, 5% DMSO를 6 시간 처리한 경우,
LPS + KHG25967: PBS에 녹인 LPS 1μg/ml을 2 시간 전처리한 후, 화합물 5% DMSO에 녹인 KHG25967 50 nM을 6 시간 처리한 경우).
도4a 내지 4d는 LPS에 의해 유발된 C57BL/6 mice의 뇌와 혈액의 싸이토카인 변화에 대한 KHG25967의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4a와 4b는 뇌 내 인터루킨-1베타와 종양괴사인자-알파의 정량분석결과이고, 4c와 4d는 혈액 (혈청) 내 인터루킨-1베타와 종양괴사인자-알파의 정량분석결과를 나타낸다.
(Control: 2주간 5% DMSO만 투여한 후, PBS를 6시간 동안 처리한 경우
LPS: 2주 동안 5% DMSO만 투여 후, PBS에 녹인 LPS 10mg/kg을 6시간 동안 처리한 경우
LPS + KHG25967: 5% DMSO에 녹인 KHG25967 (10mg/kg 또는 20mg/kg)을 경구투여를 통해 매일 반복하여 2주간 처리한 후, PBS에 녹인 LPS 10mg/kg을 6시간 동안 처리한 경우)

Claims (9)

  1. 하기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89843824-PAT00074
    상기 식 중,
    X는 S, O, NH, 및 NCH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Y는 O 또는 S이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각각 선택된 것이고,
    R3은 페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치환된 페닐,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며, R4는 H,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알칼리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며,
    X가 NCH3인 경우, Y는 S이거나, R1 및 R2 중 하나 이상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X와 Y가 모두 S인 경우, R1 및 R2 중 하나 이상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R3는 페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치환된 페닐,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이 때, R4는 H, 메틸, 탄소수 3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n이 1인 경우, X는 O 또는 NCH3이거나, Y가 S이거나, R1과 R2 중 하나 이상은 할로겐 원자이거나, R3는 페닐기,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치환된 페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 (이 때, R4는 H, 메틸, 탄소수 3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알칼리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n이 2 또는 3이고, X가 S이고 Y가 O이고 R1 및 R2가 모두 수소인 경우, R3는 페닐기,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치환된 페닐,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 (이 때, R4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알칼리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는 S, O, NH, 및 NCH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Y는 O 또는 S이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F, Cl,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각각 선택된 것이며,
    R3은 페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치환된 페닐,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이 때 R4는 H,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 형 알킬, 및 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n은 1 내지 3의 정수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하기의 표 1-1의 화합물.
    [표 1-1]
    화합물번호 X Y R1 & R2 (CH2)nR3 KHG25948 S O H, H CH2C6H4(4-CH3) KHG25954 S O H, H CH2CO2(n-Bu) KHG25956 S O 6-F, H CH2CO2Et KHG25989 O O 6-Cl, H CH2CO2Et KHG25990 O O 6-Cl, H CH2C6H4(4-CH3) KHG26004 S O H, H CH2CH2CH2CO2Et KHG26005 S O H, H CH2CH2CO2Et KHG26019 S O 6-OCH3, H CH2CO2Et KHG26027 NH O H, H CH2CH2CO2Et KHG26028 NH O H, H CH2CH2CH2CO2Et KHG26030 NCH3 O H, H CH2CH2CO2Et KHG26031 NCH3 O H, H CH2CH2CH2CO2Et KHG26096 S O H, H CH2CO2K KHG26172 NCH3 O H, H CH2CO2K KHG26175 S O 6-OCH3, H CH2CO2K KHG26176 S O 6-OEt, H CH2CO2K KHG26177 S O 6-Cl, H CH2CO2K KHG26178 S O 4-Cl, H CH2CO2K KHG26180 S O 5-CH3, 6-CH3 CH2CO2K KHG26216 S O 6-CH3, H CH2CO2K KHG26217 S O 4-CH3, H CH2CO2K KHG26220 S O H, H CH2CH2CO2K KHG26221 S O H, H CH2CH2CH2CO2K KHG26222 NCH3 O H, H CH2CH2CO2K KHG26223 NCH3 O H, H CH2CH2CH2CO2K KHG26279 S O H, H CH2CH2OH KHG26280 NCH3 O H, H CH2CO2H KHG26303 NCH3 S H, H CH2CO2Et KHG26305 S S 6-CH3, H CH2CO2Et KHG26306 S S 4-CH3, H CH2CO2Et KHG26307 S S 5-CH3, 6-CH3 CH2CO2Et KHG26308 S S 6-OCH3, H CH2CO2Et KHG26309 S S 6-OEt, H CH2CO2Et KHG26310 S S 6-F, H CH2CO2Et KHG26311 S S 6-Cl, H CH2CO2Et KHG26312 S S 4-Cl, H CH2CO2Et KHG26316 S S H, H CH2CO2H KHG26332 S O H, H CH2CH3 KHG26334 NCH3 S H, H CH2CO2H KHG26335 S S 5-CH3, 6-CH3 CH2CO2H KHG26336 S S 6-OEt, H CH2CO2H KHG26340 S S 4-CH3, H CH2CO2H KHG26341 S S 6-Cl, H CH2CO2H KHG26342 S O H, H CH2CN KHG26344 S O H, H CH2CH2OEt KHG26345 S O H, H CH2-tetrazolyl KHG26246 S O 6-OCH3, H CH2CO2H KHG26247 S O 6-OEt, H CH2CO2Et KHG26248 S O 6-OEt, H CH2CO2H KHG26249 S O 6-Cl, H CH2CO2Et KHG26250 S O 6-Cl, H CH2CO2H KHG26251 S O 4-Cl, H CH2CO2Et KHG26252 S O 4-Cl, H CH2CO2H KHG26253 S O 5-CH3, 6-CH3 CH2CO2Et KHG26254 S O 5-CH3, 6-CH3 CH2CO2H KHG26255 S O 6-CH3, H CH2CO2H KHG26256 S O 4-CH3, H CH2CO2H KHG26257 NCH3 O H, H CH2CH2CO2H KHG26258 NCH3 O H, H CH2CH2CH2CO2H
  6. 하기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아밀로이드증, 픽 질환 (Pick's disease), 루게릭병, 헌팅턴병, 및 크로이츠펠트-야콥(Creutzfeld-Jakob)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89843824-PAT00075
    상기 식 중,
    X는 S, O, NH, 및 NCH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Y는 O 또는 S이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각각 선택된 것이고,
    R3은 페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치환된 페닐,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며, R4는 H,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알칼리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며,
    n이 1인 경우, X는 O 또는 NCH3이거나, Y가 S이거나, R1과 R2 중 하나 이상은 할로겐 원자이거나, R3는 페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치환된 페닐,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 (이 때, R4는 H, 메틸, 탄소수 3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알칼리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X와 Y가 모두 S인 경우, R1 및 R2 중 하나 이상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R3는 페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치환된 페닐,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이 때, R4는 H, 메틸, 탄소수 3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아래의 표 1의 구조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인 조성물:
    [표 1]
    화합물번호 X Y R1 & R2 (CH2)nR3 KHG25948 S O H, H CH2C6H4(4-CH3) KHG25954 S O H, H CH2CO2(n-Bu) KHG25956 S O 6-F, H CH2CO2Et KHG25967 S O H, H CH2CO2H KHG25989 O O 6-Cl, H CH2CO2Et KHG25990 O O 6-Cl, H CH2C6H4(4-CH3) KHG26004 S O H, H CH2CH2CH2CO2Et KHG26005 S O H, H CH2CH2CO2Et KHG26019 S O 6-OCH3, H CH2CO2Et KHG26025 S O H, H CH2CH2CH2CO2H KHG26026 S O H, H CH2CH2CO2H KHG26027 NH O H, H CH2CH2CO2Et KHG26028 NH O H, H CH2CH2CH2CO2Et KHG26029 NCH3 O H, H CH 2 CO 2 Et KHG26030 NCH3 O H, H CH2CH2CO2Et KHG26031 NCH3 O H, H CH2CH2CH2CO2Et KHG26096 S O H, H CH2CO2K KHG26172 NCH3 O H, H CH2CO2K KHG26175 S O 6-OCH3, H CH2CO2K KHG26176 S O 6-OEt, H CH2CO2K KHG26177 S O 6-Cl, H CH2CO2K KHG26178 S O 4-Cl, H CH2CO2K KHG26180 S O 5-CH3, 6-CH3 CH2CO2K KHG26216 S O 6-CH3, H CH2CO2K KHG26217 S O 4-CH3, H CH2CO2K KHG26220 S O H, H CH2CH2CO2K KHG26221 S O H, H CH2CH2CH2CO2K KHG26222 NCH3 O H, H CH2CH2CO2K KHG26223 NCH3 O H, H CH2CH2CH2CO2K KHG26279 S O H, H CH2CH2OH KHG26280 NCH3 O H, H CH2CO2H KHG26303 NCH3 S H, H CH2CO2Et KHG26304 S S H, H CH2CO2Et KHG26305 S S 6-CH3, H CH2CO2Et KHG26306 S S 4-CH3, H CH2CO2Et KHG26307 S S 5-CH3, 6-CH3 CH2CO2Et KHG26308 S S 6-OCH3, H CH2CO2Et KHG26309 S S 6-OEt, H CH2CO2Et KHG26310 S S 6-F, H CH2CO2Et KHG26311 S S 6-Cl, H CH2CO2Et KHG26312 S S 4-Cl, H CH2CO2Et KHG26316 S S H, H CH2CO2H KHG26332 S O H, H CH2CH3 KHG26334 NCH3 S H, H CH2CO2H KHG26335 S S 5-CH3, 6-CH3 CH2CO2H KHG26336 S S 6-OEt, H CH2CO2H KHG26340 S S 4-CH3, H CH2CO2H KHG26341 S S 6-Cl, H CH2CO2H KHG26342 S O H, H CH2CN KHG26344 S O H, H CH2CH2OEt KHG26345 S O H, H CH2-tetrazolyl KHG26246 S O 6-OCH3, H CH2CO2H KHG26247 S O 6-OEt, H CH2CO2Et KHG26248 S O 6-OEt, H CH2CO2H KHG26249 S O 6-Cl, H CH2CO2Et KHG26250 S O 6-Cl, H CH2CO2H KHG26251 S O 4-Cl, H CH2CO2Et KHG26252 S O 4-Cl, H CH2CO2H KHG26253 S O 5-CH3, 6-CH3 CH2CO2Et KHG26254 S O 5-CH3, 6-CH3 CH2CO2H KHG26255 S O 6-CH3, H CH2CO2H KHG26256 S O 4-CH3, H CH2CO2H KHG26257 NCH3 O H, H CH2CH2CO2H KHG26258 NCH3 O H, H CH2CH2CH2CO2H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고제, 과립제, 로션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에어로솔제, 연고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침제, 정제, 주사제, 캅셀제 및 환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형화된 것인,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하기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08089843824-PAT00076
    상기 식 중,
    X는 S, O, NH, 및 NCH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Y는 O 또는 S이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각각 선택된 것이고,
    R3은 페닐기,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콕시 치환된 페닐기,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며, R4는 H,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알칼리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며,
    n이 1인 경우, X는 O 또는 NCH3이거나, Y가 S이거나, R1과 R2 중 하나 이상은 할로겐 원자이거나, R3는 페닐기,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치환된 페닐,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 (이 때, R4는 H, 메틸, 탄소수 3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 형 알킬, 및 알칼리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X와 Y가 모두 S인 경우, R1 및 R2 중 하나 이상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R3는 페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치환된 페닐,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 치환된 페닐, 시아노,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 테트라졸, OH, 및 COOR4(이 때, R4는 H, 메틸, 탄소수 3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및 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다.
KR1020080135519A 2008-12-29 2008-12-29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4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519A KR101064258B1 (ko) 2008-12-29 2008-12-29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3/142,313 US9012481B2 (en) 2008-12-29 2009-12-29 Benzoarylureido compounds,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brain disease containing the same
PCT/KR2009/007898 WO2010077068A2 (en) 2008-12-29 2009-12-29 Benzoarylureido compounds,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brain disease containing the same
JP2011544372A JP5649585B2 (ja) 2008-12-29 2009-12-29 ベンゾアリールウレイド化合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神経退行性脳疾患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519A KR101064258B1 (ko) 2008-12-29 2008-12-29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552A true KR20100077552A (ko) 2010-07-08
KR101064258B1 KR101064258B1 (ko) 2011-09-14

Family

ID=4231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519A KR101064258B1 (ko) 2008-12-29 2008-12-29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12481B2 (ko)
JP (1) JP5649585B2 (ko)
KR (1) KR101064258B1 (ko)
WO (1) WO20100770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0008B1 (en) 2011-08-18 2016-11-3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generative brain disease and method of screening the same
US20130047731A1 (en) * 2011-08-30 2013-02-28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Laser generation of narrowband lamb waves
CN103387551B (zh) * 2012-05-11 2015-05-20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毒物药物研究所 噻唑类化合物及其用途
GB201401886D0 (en) * 2014-02-04 2014-03-19 Lytix Biopharma As Neurodegenerative therapies
CZ305633B6 (cs) * 2014-08-13 2016-01-13 Univerzita Hradec Králové Deriváty benzothiazolylmočoviny, způsob jejich přípravy a jejich použití
KR101671437B1 (ko) * 2014-12-19 2016-11-01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상심자 및 복령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8163B1 (ko) 2014-12-19 2017-01-19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복령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S2744304B2 (es) * 2018-08-24 2020-06-22 Consejo Superior Investigacion Compuestos inhibidores de LRRK2 y su uso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neurodegenerativas
KR102583195B1 (ko) 2020-12-10 2023-09-2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퀴노바산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27677A1 (de) 1975-06-21 1977-01-20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4- dioxo-1,2,3,4-tetrahydro-s-triazino- eckige klammer auf 1,2-a eckige klammer zu -benzimidazolen
JPS5828568B2 (ja) * 1978-09-25 1983-06-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乳剤
JPS57149280A (en) 1981-03-10 1982-09-14 Kyowa Hakko Kogyo Co Ltd Amino acid derivative and its preparation
JPS57175189A (en) * 1981-04-21 1982-10-28 Kyowa Hakko Kogyo Co Ltd Benzothiazole derivative and its preparation
JPS5828568A (ja) 1981-08-13 1983-02-1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供給量制御方法
JPS6332073A (ja) 1986-07-24 1988-02-10 本多 勉 自動車のドア錠用開閉装置
IL102548A (en) 1991-08-02 1998-08-16 Medivir Ab Use of painting derivatives in the preparation of drugs for VIH inhibition and treatment of SDIA and new compounds
JPH08240873A (ja) 1995-03-06 1996-09-17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写真用乳剤とそれを含む感光材料及びその処理方法
US6093742A (en) 1997-06-27 2000-07-25 Vertex Pharmaceuticals, Inc. Inhibitors of p38
ATE385794T1 (de) 2000-06-21 2008-03-15 Hoffmann La Roche Benzothiazolderivate zur behandlung von alzheimer und parkinson
JP2004509949A (ja) 2000-09-26 2004-04-02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アリゾナ ファウンデーション 化合物および癌またはウイルス性感染症治療におけるその使用方法
KR100758214B1 (ko) 2006-06-14 2007-09-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아릴우레이도아세테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GB0613674D0 (en) 2006-07-10 2006-08-16 Proskelia Sas Derivatives of urea and related diamines,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use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19456A1 (en) 2011-12-29
WO2010077068A2 (en) 2010-07-08
JP5649585B2 (ja) 2015-01-07
WO2010077068A3 (en) 2011-04-21
JP2012514032A (ja) 2012-06-21
US9012481B2 (en) 2015-04-21
KR101064258B1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258B1 (ko) 벤조아릴우레이도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093260B2 (en) Aporph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use thereof
EP3130583B1 (en) Kynurenine-3-monooxygenase inhibitor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1119557B1 (de) Indeno-, naphtho- und benzocyclohepta-dihydrothiazol derivate,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als anorektische arzneimittel
CA3032609A1 (en) Aldehyde trapping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17203107A1 (en) Small molecule CD38 inhibitor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02369202A (zh) 氮杂喹啉酮衍生物及其应用
EP3102202A1 (en) Neurodegenerative therapies
CH707498B1 (de) Heterocyclische Dihydro-Fünfring-Ketonderivate als DHODH-Inhibitor und ihre Verwendung.
US20220017467A1 (en) Compounds for modulating mitochondrial function
CA2751474A1 (fr) Derives de 6-(6-substitue-triazolopyridazine-sulfanyl) 5-fluoro-benzothiazoles et 5-fluoro-benzimidazoles : preparation,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et utilisation comme inhibiteurs de met
JP2021120391A (ja) 8−ヒドロキシキノリン誘導体のエナンチオマーとその合成
US6187801B1 (en) Polycyclic thiazole system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s comprising these compounds
SK2722002A3 (en) Use of bis-sulfonamides for producing medicaments used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lipidaemia
KR20010103775A (ko)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폴리사이클릭 티아졸 시스템의 용도
US20080153886A1 (en) Use Of Heterocyclic Compounds As Neurogenic Agents
US20030220337A1 (en) Seleno compounds containing nitrone moiety, their preparation and their therapeutic uses
DE102005020105A1 (de) Neue Thiazolidinone ohne basischen Stickstoff,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Arzneimittel
WO2014152869A2 (en) Benzyl urea derivatives for activating tgf-beta signaling
KR100758214B1 (ko) 아릴우레이도아세테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072380B (zh) 氨基甲酸酯取代的苯乙烯基砜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AU2022288713A1 (en) Inhibitors of ttbk1
KR100454649B1 (ko) 니트론 함유 셀레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치료적 용도
WO2024050434A1 (en) ISOQUINOLINE COMPOUNDS AND THEIR USE IN TREATING AhR MEDIATED DISEASES
US20090048310A1 (en) Agent for prevention/treatment of disease caused by acyclovir-resistant herpesvir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