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759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759A
KR20100075759A KR1020090130419A KR20090130419A KR20100075759A KR 20100075759 A KR20100075759 A KR 20100075759A KR 1020090130419 A KR1020090130419 A KR 1020090130419A KR 20090130419 A KR20090130419 A KR 20090130419A KR 20100075759 A KR20100075759 A KR 20100075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eat portion
piston
shock absorber
dis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5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8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in their cent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8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 F16F9/585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within the cylinder, in contact with work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완충기는, 통로의 개구부가 마련된 밸브 본체에, 내주측으로부터, 디스크 밸브를 클램프하는 클램프 시트부, 개구부, 디스크 밸브가 착좌 가능한 비원환형의 제1 시트부, 원환형의 제2 시트부가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고, 제1 시트부의 축방향 높이는, 클램프 시트부의 축방향 높이 이상 및 제2 시트부의 축방향 높이 미만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완충기{DAMPER}
본 출원은 2008년 12월 25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33092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일본 특허 출원 제2008-330920호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을 비롯한 모든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완충기에는, 실린더 내를 피스톤이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는 통로에 디스크 밸브를 마련하여 감쇠력을 제어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완충기에 있어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2-6633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 밸브가 착좌(着座)하는 시트에, 원환형의 시트와 이형(異形)(비원환형)의 시트를 마련한 것 등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완충기에는, 고객의 니즈 등에 따라 그 감쇠력 특성에 여러가지 요구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요구마다 시트 형상을 변경하는 등의 대응을 행하면, 시트가 형성되는 밸브 본체의 종류를 다수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 및 관리 비용이 증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조 비용 및 관리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원하는 감쇠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완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로의 개구부가 마련된 밸브 본체에, 내주측으로부터, 디스크 밸브를 클램프하는 클램프 시트부, 상기 개구부, 상기 디스크 밸브가 착좌 가능한 비원환형의 제1 시트부, 원환형의 제2 시트부가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시트부의 축방향 높이는, 상기 클램프 시트부의 축방향 높이 이상 및 상기 제2 시트부의 축방향 높이 미만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완충기를 이용하면, 종래에 비하여 제조 비용 및 관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1)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실린더(2)를 갖고 있다. 실린더(2) 내에는, 피스톤(밸브 본체)(3)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다. 이 피스톤(3) 및 그 외주면에 장착된 원환형의 미끄럼 이동 부재(4)에 의해, 실린더(2) 내부가 실린더 상실(上室)(2A) 및 실린더 하실(下室)(2B)의 2실로 구획되어 있다. 피스톤(3)에는, 피스톤 로드(5)의 일단부가 너 트(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5)의 타단측은, 실린더(2)의 개구측에 장착된 로드 가이드(7) 및 오일 시일(8)에 삽입 관통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5)에는, 피스톤(3)과 로드 가이드(7) 사이에 리테이너(12), 스프링받침(13), 코일 스프링(14), 스프링받침(15) 및 완충체(16)가 이 순서로 설치된다. 피스톤 로드(5)는, 리테이너(12), 스프링받침(13), 코일 스프링(14), 스프링받침(15) 및 완충체(16)를 삽입 관통하고 있다. 여기서, 리테이너(12)는, 피스톤 로드(5)에 고정되어 있고, 스프링받침(13)을 통해 코일 스프링(14)의 일단측을 피스톤 로드(5)에 로킹하고 있다. 한편, 스프링받침(15) 및 완충체(16)는, 코일 스프링(14)의 신축에 의해 피스톤 로드(5)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3)보다 실린더(2)의 바닥부 측에는, 피스톤(3) 측에 실린더 하실(2B)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체(17)가 실린더(2) 내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실린더(2) 내의 실린더 상실(2A) 및 실린더 하실(2B) 내에는, 오일액(유체)이 봉입되어 있다.
피스톤(3)은 소결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피스톤(3)에는 복수의 통로(21)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21)는, 실린더 상실(2A)과 실린더 하실(2B)을 연통시키고 있다. 피스톤(3)이 미끄럼 이동함에 따라, 해당 통로(21)를 통해 오일액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21)는, 신장측 통로[21(a)]와 수축측 통로[21(b)]를 구비하고 있다.
신장측 통로[21(a)]는, 복수의 통로(21) 중 반수(半數)의 통로(21)로 이루어 진다. 반수의 통로(21)는, 수축측 통로[21(b)]의 나머지 반수인 통로(21)에 대하여 교대로 마련된다. 신장측 통로[21(a)]는, 도면 중 위쪽으로 개구되어 있는 신장측 상방 개구부[후술하는 타단 개구부(38)에 대응]와, 도면 중 아래쪽으로 개구되어 있는 신장측 하방 개구부[후술하는 일단 개구부(37)에 대응]를 갖고 있다. 신장측 상방 개구부는, 피스톤(3)의 축선방향 일측(도 1의 상측)에 있어서 직경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신장측 하방 개구부는, 축선방향 타측(도 1의 하측)에 있어서 직경방향 내측에 개구되어 있다. 이들 반수의 통로(21)로 이루어지는 신장측 통로[21(a)]에 대하여, 공통의 감쇠력 발생 기구(23)가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5)가 실린더(2) 밖으로 신장해 나가는 신장측으로 피스톤(3)이 이동할 때에, 오일액은, 신장측 통로[21(a)]를 통과한다. 신장측 통로[21(a)]에 대하여 마련된 감쇠력 발생 기구(23)는, 신장측 통로[21(a)]의 오일액의 유동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23(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수축측 통로[21(b)]는, 교대로 마련된 나머지 반수의 통로(21)로 이루어져 있다. 수축측 통로[21(b)]는, 도면 중 아래쪽으로 개구되어 있는 수축측 하방 개구부[후술하는 타단 개구부(38)에 대응]와, 도면 중 위쪽으로 개구되어 있는 수축측 상방 개구부[후술하는 일단 개구부(37)에 대응]를 갖고 있다. 수축측 하방 개구부는, 피스톤(3)의 축선방향 타측(도 1의 하측)에 있어서 직경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수축측 상방 개구부는, 축선방향 일측(도 1의 위쪽)에 있어서 직경방향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들 나머지 반수의 통로(21)로 이루어지는 수축측 통로[21(b)]에 대하여 공통의 감쇠력 발생 기구(23)가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 로 드(5)가 실린더(2) 내로 들어가는 수축측으로 피스톤(3)이 이동할 때에, 오일액은 수축측 통로[21(b)]를 통과한다. 수축측 통로[21(b)]에 대하여 마련된 감쇠력 발생 기구(23)는, 수축측 통로[21(b)]의 오일액의 유동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23(b)]를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3)은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스톤(3)의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5)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3)은, 축선방향으로 반전, 즉 표리 반전하더라도 동일해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스톤(3)의 축선방향 양측에는, 각각 연장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연장부(26)는, 축선방향 높이가 동일하고, 복수 개(본 실시예에서는 5개소) 마련되어 있다. 연장부(26)는, 삽입 관통 구멍(25)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축선방향 일측의 인접하는 연장부(26)끼리의 사이에 축선방향 타측의 연장부(26)가 위치하도록, 축선방향 양측에서 연장부(26)의 위상은 어긋나 있다. 그리고, 축선방향 동일 측에 있고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연장부(26)끼리는, 삽입 관통 구멍(25) 측의 단부가 서로 이어져 있다. 모든 연장부(26)에는, 축선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27)가 각각 중앙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3)의 축선방향 양측에는, 각각 삽입 관통 구멍(25)의 주위에 원환형의 클램프 시트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시트부(30)는, 축선방향 높이가 동일하고,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3)의 축선방향 양측에는, 각각 제1 시트부(31)가 형성되어 있 다. 제1 시트부(31)는, 축선방향 동일 측에 있는 모든 연장부(26)의 외주연부를 연결하며 축선방향 높이가 동일한 이형 환형(비원환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축선방향 동일 측에 있는 클램프 시트부(30)와 제1 시트부(31)는, 상호 근접측이 공통되어 있고 축 직교 방향에 따르는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3)의 축선방향 양측에는, 각각 원환형의 제2 시트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시트부(32)는, 축선방향 동일 측에 있는 모든 연장부(26)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2 시트부(32)는, 축선방향 높이가, 축선방향 동일 측에 있는 클램프 시트부(30) 및 제1 시트부(31)보다 높게 되어 있다. 여기서, 축선방향 동일 측에 있는 제1 시트부(31)와 제2 시트부(32) 사이는, 제1 시트부(31)보다 약간 축선방향 높이가 낮은 저위부(33)로 되어 있다. 제2 시트부(32)의 주위는, 제2 시트부(32)보다 축선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부(34)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시트부의 시트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오목부로 형성되는 고정 오리피스(32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모든 오목부(27)에는, 피스톤(3)을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21)의 일단 개구부(개구부)(37)가 개구되어 있다. 모든 통로(21)에는, 일단 개구부(37)와 위상을 맞춰, 타단 개구부(개구부)(38)가 축선방향 반대측의 단차부(34)에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단 개구부(37)는 원형 구멍 형상을 이루고 있고, 타단 개구부(38)는 피스톤(3)의 원주 방향으로 긴 각형 구멍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상에 의해, 피스톤(3)의 축방향 양측에는, 각각 내주측으로부터, 클램프 시트부(30), 일단 개구부(37), 비원환형의 제1 시트부(31), 원환형의 제2 시트 부(32)가 이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시트부(31)의 축방향 높이가, 축선방향 동일 측에 있는 클램프 시트부(30)의 축방향 높이와 동일하고, 축선방향 동일 측에 있는 제2 시트부(32)의 축방향 높이 미만으로 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23)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시트부(32)보다 소직경이며 제1 시트부(31) 전체에 착좌 가능한 원환형의 제1 디스크 밸브(디스크 밸브)(41)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디스크 밸브(41)보다 대직경이며 제2 시트부(32) 전체에 착좌 가능한 원환형의 제2 디스크 밸브(디스크 밸브)(42)가 준비되어 있다.
즉, 제1 디스크 밸브(41)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3)의 축선방향 양측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하여 장착을 행한다.
우선, 제1 디스크 밸브(41)의 중앙측을 클램프 시트부(30)에 접촉시키고, 제1 디스크 밸브(41)의 직경방향 외측을 제1 시트부(31)에 접촉시키도록 하여, 제1 디스크 밸브(41)를 배치한다.
계속해서, 제1 디스크 밸브(41) 각각의 축선방향 외측에, 제1 디스크 밸브(41)보다 소직경의 원환형 박판인 스페이서(45)를 배치한다.
또한, 스페이서(45) 각각의 축선방향 외측에 스페이서(45)보다 대직경이며 두꺼운 원환형 밸브 규제 부재(46)를 배치하고, 이들 밸브 규제 부재를 양측으로부터 너트(6) 및 피스톤 로드(5)의 단차부(5A)로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시트부(31)에 접촉하고, 제2 시트부(32)보다 소직경인 제1 디스크 밸브(41)를, 통로(21)의 일단 개구부(37)를 덮도록 피스톤(3)에 마련하 여 감쇠력 발생 기구(23)를 구성한다. 이 때, 제1 디스크 밸브(41)는, 제2 시트부(32)에는 접촉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통로(21)의 타단 개구부(38)는 항상 개방되어 있다.
이 경우, 피스톤 로드(5)의 신장 행정시에는, 실린더(2) 내의 피스톤(3)의 미끄럼 이동과 함께, 실린더 상실(2A)의 오일액이 피스톤(3)의 신장측 통로[21(a)]를 통하여 실린더 하실(2B)로 흐르고, 제1 디스크 밸브(41)를 갖는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23(a)]의 유통 저항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한다. 또한, 수축 행정시에는, 실린더(2) 내의 피스톤(3)의 미끄럼 이동과 함께, 실린더 하실(2B)의 오일액이 피스톤(3)의 수축측 통로[21(b)]를 통하여 실린더 상실(2A)로 흐르고, 제1 디스크 밸브(41)를 갖는 수축측 감쇠력 발생 기구[23(b)]의 유통 저항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한다.
또한, 제2 디스크 밸브(42)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3)의 축선방향 양측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하여 장착을 행한다.
우선, 소직경의 원환형 스페이서(48)를 클램프 시트부(30)에 접촉시켜 배치한다.
다음에, 제2 디스크 밸브(42)의 중앙측을 스페이서(48)에 접촉시키고, 제2 디스크 밸브(42)의 직경방향 외측을 제2 시트부(32)에 접촉시키도록 하여, 스페이서(48) 각각의 축선방향 외측에 제2 디스크 밸브(42)를 배치한다.
또한, 제2 디스크 밸브(42) 각각의 축선방향 외측에, 제2 디스크 밸브(42)보다 소직경의 원환형 박판인 스페이서(45)를 배치한다.
또한, 스페이서(45) 각각의 축선방향 외측에 스페이서(45)보다 대직경이며 두꺼운 원환형의 밸브 규제 부재(46)를 배치하여, 이들 밸브 규제 부재를 양측으로부터 너트(6) 및 피스톤 로드(5)의 단차부(5A)로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시트부(31)보다 대직경이며 제2 시트부(32)에 접촉하는 제2 디스크 밸브(42)를, 통로(21)의 일단 개구부(37)를 덮도록 피스톤(3)에 마련하여 감쇠력 발생 기구(23)를 구성한다. 이 때, 제2 디스크 밸브(42)는, 제1 시트부(31)에는 접촉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통로(21)의 타단 개구부(38)는 항상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1 디스크 밸브(41) 및 제2 디스크 밸브(42) 모두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3)의 축선방향 양측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하여 장착을 행한다.
우선, 제1 디스크 밸브(41)의 중앙측을 클램프 시트부(30)에 접촉시키고, 제1 디스크 밸브(41)의 직경방향 외측을 제1 시트부(31)에 접촉시키도록 하여, 제1 디스크 밸브(41)를 배치한다.
다음에, 제1 디스크 밸브(41) 각각의 축선방향 외측에, 제1 디스크 밸브(41)보다 소직경의 원환형 박판인 스페이서(45)를 배치한다.
또한, 스페이서(45) 각각의 축선방향 외측에서, 제2 디스크 밸브(42)의 중앙측을 스페이서(45)에 접촉시키고, 제2 디스크 밸브(42)의 직경방향 외측을 제2 시트부(32)에 접촉시키도록 하여, 제2 디스크 밸브(42)를 배치한다.
그리고, 제2 디스크 밸브(42) 각각의 축선방향 외측에, 제2 디스크 밸브(42)보다 소직경의 원환형 박판인 스페이서(45)를 배치한다.
또한, 스페이서(45) 각각의 축선방향 외측에서, 스페이서(45)보다 대직경이며 두꺼운 원환형의 밸브 규제 부재(46)를 배치하고, 이들 밸브 규제 부재를 양측으로부터 너트(6) 및 피스톤 로드(5)의 단차부(5A)로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시트부(31)에 접촉하고, 제2 시트부(32)보다 소직경인 제1 디스크 밸브(41)와, 제1 시트부(31)보다 대직경이며 제2 시트부(32)에 접촉하는 제2 디스크 밸브(42)를 동시에, 통로(21)의 일단 개구부(37)를 덮도록 피스톤(3)에 장착한다. 이 때에도, 통로(21)의 타단 개구부(38)는 항상 개방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디스크 밸브(41)만을 이용한 경우에,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도 6에 선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 특성은, 극저속시(0∼0.05 m/s)에 있어서, 제1 디스크 밸브(41)가 제1 시트부(31)의 연장부(26)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오일액이 둘레방향의 부분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비교적 감쇠 계수가 큰 밸브 특성(일차 특성)을 나타낸다. 그 후, 저속시(0.1 m/s 정도)에는, 제1 디스크 밸브(41)가 제1 시트부(31)로부터 전체적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극저속시보다 낮은 감쇠 계수가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디스크 밸브(42)만을 이용한 경우에,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도 6에 선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디스크 밸브(41)만을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동일한 피스톤 속도에서 낮은 감쇠력을 발생시키 게 된다. 즉, 극저속시(0∼0.05 m/s)에서부터 저속시(0.1 m/s 정도)에 있어서는, 고정 오리피스(32A)에서 오리피스 특성(2차 특성)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극저속시의 감쇠력은 작아진다.
저속시에서부터 중고속시에는, 제2 디스크 밸브(42)가 제2 시트부(32)로부터 떨어져 개방되기 때문에, 밸브 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제2 시트부(32)는 원형이므로, 제2 디스크 밸브(42)가 개방되는 순간, 개구 면적이 순간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감쇠 계수가 불연속에 가까운 형태로 저하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디스크 밸브(41) 및 제2 디스크 밸브(42) 모두를 이용한 경우는, 도 6에 선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중간의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동일한 피스톤(3)을 이용하더라도 3종류의 감쇠력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특성은, 극저속시(0∼0.05 m/s)에 있어서, 제1 디스크 밸브(41)가 제1 시트부(31)의 연장부(26)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따라, 오일액이 둘레방향의 부분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비교적 감쇠 계수가 큰 밸브 특성(일차 특성)을 나타낸다. 그 후, 저속시(0.1 m/s 정도)에서는, 제1 디스크 밸브(41)의 개구 면적이 고정 오리피스(32A)의 개구 면적과 동일한 정도가 되어, 고정 오리피스(32A)의 오리피스 특성을 나타내지만, 직후에 원형의 제2 시트부(32)로부터 제2 디스크 밸브(42)가 떨어진다. 이 때, 도 4의 경우와 다르게, 제1 디스크 밸브(41)의 특성이 가산되기 때문에, 제2 디스크 밸브(42)가 개방되는 순간, 개구 면적이 순간적으로 증가되지 않아, 저속시에 감쇠 계수가 연속적으로 매끄럽게 저하된다. 따라서, 이 이형의 제1 시트부(31)와 제1 디스크 밸브(41), 원형의 제2 시트부(32)와 제2 디스크 밸 브(42), 고정 오리피스(32A)의 조합에 의해, 극저속시에서는, 감쇠 계수가 큰 밸브 특성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저속시에 매끄러운 감쇠 계수 변화를 나타내며, 중고속은 제2 디스크 밸브(42)로 원하는 감쇠 특성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기술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1)에 의하면, 통로(21)의 일단 개구부(37)가 마련된 피스톤(3)에, 내주측으로부터, 디스크 밸브(41, 4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클램프하는 클램프 시트부(30), 일단 개구부(37), 디스크 밸브(41)가 착좌 가능한 비원환형의 제1 시트부(31), 디스크 밸브(42)가 착좌 가능한 원환형의 제2 시트부(32)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시트부(31)의 축방향 높이가, 클램프 시트부(30)의 축방향 높이와 동등하고 제2 시트부(32)의 축방향 높이 미만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크 밸브(41)만을 장착하는 경우, 제2 디스크 밸브(42)만을 장착하는 경우, 양 디스크 밸브(41, 42)를 장착하는 경우의 3종류의 감쇠력 특성을 얻는 구조에 대하여, 피스톤(3)을 공통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 및 관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트부(31)의 축방향 높이가, 클램프 시트부(30)의 축방향 높이보다 높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1 시트부와 클램프 시트부를 이격시키고 클램프 시트부에 스페이서를 개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혹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1 시트부와 클램프 시트부의 근접측이 공통되고, 제1 시트부의 축방향 높이가 직경방향 외측 쪽이 내측보다 높게 된 것과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시트부(31)에 접촉하는 제1 디스크 밸 브(41)의 외경을 제2 시트부(32)보다 소직경으로 하고, 제2 시트부(32)에는 제1 디스크 밸브(41)가 접촉하지 않는 구조로 하면, 저속 영역에서 제1 시트부(31)에 의한 감쇠력 특성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미소한 정면적(定面積) 오리피스를 제1 시트부(31)에 추가하여, 저속 영역에서 제2 시트부(32)에 의한 특성과 동일한 특성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시트부(32)에 접촉하는 제2 디스크 밸브(42)의 외경을 제1 시트부(31)보다 대직경으로 하고, 제1 시트부(31)에는 제2 디스크 밸브(42)가 접촉하지 않는 구조로 하면, 저속 영역에서 제2 시트부(32)에 의한 감쇠력 특성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시트부(31)에 접촉하는 제1 디스크 밸브(41)의 외경을 제2 시트부(32)보다 소직경으로 하고, 제2 시트부(32)에 접촉하는 제2 디스크 밸브(42)의 외경을 제1 시트부(31)보다 대직경으로 하는 구조로 하면, 제1 디스크 밸브(41)에 의해 저속 영역을 제1 시트부(31)의 감쇠력 특성으로 조정하고, 제2 시트부(32)의 제2 디스크 밸브(42)에 의해 중속 영역의 감쇠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저중속 영역의 감쇠력 조정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피스톤(3)에 채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피스톤(3)과는 다른 위치고정으로 마련된 베이스 밸브에 채용하더라도 좋고, 피스톤(3)과 베이스 밸브 모두에 채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피스톤(3)에 있어서의 신장측 및 수축측 중 어느 한쪽에 채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실린더의 상실과 하실에 연통하는 연통로를 실린더 밖에 마련하고, 이 연통로에 전술한 감쇠력 발생 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에 이용되는 피스톤의 평면도이다.
이 다른 실시형태의 피스톤(3')은, 축선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연장부(26')의 형상을 전술한 실시형태와 다르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실시형태의 연장부(26)는 삽입 관통 구멍(25) 측으로부터 제2 시트부(32) 측을 향해 통로(21)를 둘러싸서 연장되는 연장부(26) 사이가 동일한 폭인 데 비하여, 다른 실시형태의 연장부(26')는 삽입 관통 구멍(25) 측으로부터 제2 시트부(32) 측을 향해 통로(21)를 둘러싸서 연장되는 연장부(26') 사이가 제2 시트부(32) 측을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의 피스톤(3')에는 제1 시트부(31)와 축방향 높이가 동일한 볼록부(50)를 마련한다. 이 볼록부(50)는, 역행정시에 상류측이 되는 실린더실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디스크 밸브가 휠 때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시트부(31)에 접촉되는 제1 디스크 밸브(41) 중 압력을 받는 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감쇠력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압력을 받는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고속 영역에서의 감쇠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오리피스(32A)를 제2 시트부(32)에 코이닝(coining) 등에 의해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시트 부(32)에 접하는 제2 디스크 밸브(42)의 외주에 하나 또는 복수의 절결부를 마련함으로써, 고정 오리피스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상기 피스톤(3)은, 1피스의 것을 예로 나타냈지만, 제조상, 2피스, 3피스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완충기에 의하면, 제1 디스크 밸브(41)만을 장착하는 경우, 제2 디스크 밸브(42)만을 장착하는 경우, 양 디스크 밸브(41, 42)를 장착하는 경우의 3종류의 감쇠력 특성을 얻는 구조에 대하여, 피스톤(3)을 공통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가 형성되는 밸브 본체의 종류를 다수 준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 비용 및 관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몇몇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신규한 교시사항 및 장점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서도,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많은 변형을 실시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단면도.
도 2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에 이용되는 피스톤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의 (a)는 평면도, 도 2의 (b)는 정단면도, 도 2의 (c)는 하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에 있어서 피스톤에 제1 디스크 밸브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에 있어서 피스톤에 제2 디스크 밸브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에 있어서 피스톤에 제1 디스크 밸브 및 제2 디스크 밸브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에 있어서 감쇠력 특성을 나타내는 선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에 이용되는 피스톤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완충기
2 : 실린더
3 : 피스톤
5 : 피스톤 로드
26 : 연장부
30 : 클램프 시트부
31 : 제1 시트부
32 : 제2 시트부
32A : 고정 오리피스
37 : 개구부
41 : 제1 디스크 밸브
42 : 제2 디스크 밸브
45 : 스페이서
46 : 밸브 규제 부재

Claims (13)

  1. 완충기로서,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피스톤이 미끄럼 이동함에 따라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는 통로와,
    이 통로에 마련된 디스크 밸브를 갖는 감쇠력 발생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통로의 개구부가 마련된 밸브 본체를 갖고,
    이 밸브 본체에는, 내주측으로부터, 상기 디스크 밸브를 클램프하는 클램프 시트부, 상기 개구부, 상기 디스크 밸브가 착좌 가능한 비원환형의 제1 시트부, 원환형의 제2 시트부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시트부의 축방향 높이는, 상기 클램프 시트부의 축방향 높이 이상 및 상기 제2 시트부의 축방향 높이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피스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부에 접촉하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외경을 상 기 제2 시트부보다 소직경으로 하고, 상기 제2 시트부에는 상기 디스크 밸브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부에 접촉하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외경을 상기 제1 시트부보다 대직경으로 하고, 상기 제1 시트부에는 상기 디스크 밸브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부에 접촉하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외경을 상기 제2 시트부보다 소직경으로 하고, 상기 제2 시트부에 접촉하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외경을 상기 제1 시트부보다 대직경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부와 상기 디스크 밸브 사이에 항상 연통하는 고정 오리피스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7. 완충기로서,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를 제1 실린더실과 제2 실린더실로 나누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피스톤이 미끄럼 이동함에 따라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이 통로는, 상기 제1 실린더실과 상기 제2 실린더실을 연통시키고 있으며,
    상기 완충기는, 상기 통로를 흐르는 유체에 저항을 부여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발생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쇠력 발생 기구는, 상기 피스톤에 마련된 밸브 시트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밸브 시트부에는, 상기 통로의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밸브 시트부에는, 그 내주측으로부터, 클램프 시트부(30), 상기 개구부(37), 비원환형의 제1 시트부(31), 원환형의 제2 시트부(32)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시트부(31)의 축방향 높이는, 상기 클램프 시트부(30)의 축방향 높이 이상 및 상기 제2 시트부(32)의 축방향 높이 미만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감쇠력 발생 기구(23)는,
    상기 제2 시트부(32)보다 소직경이며 상기 제1 시트부(31) 전체에 착좌 가능한 원환형의 제1 디스크 밸브(41)와,
    상기 제1 디스크 밸브(41)보다 대직경이며 제2 시트부(32) 전체에 착좌 가능한 원환형의 제2 디스크 밸브(42)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클램프 시트부(30)는, 상기 제1 디스크 밸브(41)와 상기 제2 디스크 밸브(42) 중 적어도 한쪽을 클램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크 밸브(41) 와 상기 제2 디스크 밸브(42)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는, 상기 제1 디스크 밸브(41)와 상기 제2 디스크 밸브(42) 중 상기 제1 디스크 밸브(41)만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디스크 밸브(41)는, 상기 제2 시트부(32)에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디스크 밸브(41)에 의해, 상기 개구부(37)를 밀봉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는, 상기 제1 디스크 밸브(41)와 상기 제2 디스크 밸브(42) 중 상기 제2 디스크 밸브(42)만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디스크 밸브(42)는, 상기 제1 시트부(31)에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디스크 밸브(42)에 의해, 상기 개구부(37)를 밀봉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는, 상기 제1 디스크 밸브(41)와 상기 제2 디스크 밸브(4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디스크 밸브(41)는, 상기 제2 시트부(32)에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디스크 밸브(42)는, 상기 제1 시트부(31)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1 디스크 밸브(41)와 상기 제2 디스크 밸브(42)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린더실과 상기 제2 실린더실 중 한쪽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린더실과 상기 제2 실린더실 중 다른쪽 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상기 제2 개구부는, 항상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부와 상기 제2 디스크 밸브 사이에 항상 연통하는 고정 오리피스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KR1020090130419A 2008-12-25 2009-12-24 완충기 KR201000757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30920 2008-12-25
JPJP-P-2008-330920 2008-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759A true KR20100075759A (ko) 2010-07-05

Family

ID=4228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419A KR20100075759A (ko) 2008-12-25 2009-12-24 완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63355A1 (ko)
JP (1) JP5325763B2 (ko)
KR (1) KR20100075759A (ko)
CN (1) CN101793303A (ko)
DE (1) DE102009060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44688A1 (en) * 2010-10-22 2012-04-25 Öhlins Racing Ab Valve arrangement
US9169890B2 (en) * 2011-07-21 2015-10-27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Low noise valve assembly
JP5883362B2 (ja) * 2012-08-10 2016-03-15 Kyb株式会社 バルブおよび緩衝器
KR101716831B1 (ko) * 2015-01-29 2017-03-15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어셈블리
US10239376B2 (en) 2016-09-22 2019-03-26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Hydraulic damper with an x-flow piston assembly
CN110259870A (zh) * 2019-06-28 2019-09-20 杭州金士顿实业有限公司 用于座椅阻尼器的安全阀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0023A1 (de) * 1991-03-27 1992-10-01 Ringsdorff Werke Gmbh Stossdaempferkolben aus ungleichen, gefuegten teilen
JP3009151B2 (ja) 1988-04-04 2000-02-14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液圧緩衝器
JPH0276937A (ja) * 1988-06-03 1990-03-16 Honda Motor Co Ltd 油圧緩衝器
DE3925470C2 (de) * 1988-08-02 1996-04-18 Atsugi Motor Parts Co Ltd Stoßdämpfer mit einer Dämpfungsventilkonstruktion mit einer innerhalb eines großen Bereichs variablen Dämpfungscharakteristik
US5042624A (en) * 1988-09-29 1991-08-27 Atsugi Unisia Corporation Hydraulic shock absorber with pre-loaded valve for linear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damping force
JPH0740746Y2 (ja) * 1989-02-14 1995-09-20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減衰力可変型液圧緩衝器
JP2857403B2 (ja) * 1989-02-14 1999-02-17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減衰力可変型液圧緩衝器
JPH0312039U (ko) * 1989-06-15 1991-02-07
JPH03140644A (ja) * 1989-10-21 1991-06-14 Nhk Spring Co Ltd 減衰力発生装置
JPH03219132A (ja) * 1990-01-23 1991-09-26 Atsugi Unisia Corp 液圧緩衝器
US5043578A (en) * 1990-04-05 1991-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riting atomic scale features with fine tip as source of deposited atoms
US5595269A (en) * 1993-05-10 1997-01-21 Fichtel & Sachs Ag Vibration damper for a motor vehicle
JPH07286639A (ja) * 1994-10-31 1995-10-31 Unisia Jecs Corp 液圧緩衝器のバルブ構造
JPH08261268A (ja) * 1995-03-24 1996-10-08 Tokico Ltd 油圧緩衝器
JP3827179B2 (ja) * 1997-02-21 2006-09-27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緩衝器
DE19755994C2 (de) * 1997-12-17 2003-02-20 Thyssen Krupp Bilstein Gmbh Kolben für einen hydraulischen Schwingungsdämpfer
JP2000257659A (ja) * 1999-03-10 2000-09-19 Showa Corp 油圧緩衝器用ピストン及びピストン油路成形方法
DE19914557B4 (de) * 1999-03-31 2006-06-29 Zf Sachs Ag Kolben für einen Kolben-Zylinder-Aggregat
US6464053B1 (en) * 1999-07-26 2002-10-15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ingle piece piston
US6260678B1 (en) * 1999-08-31 2001-07-17 Delphi Technologies, Inc. Digressive base valve for automotive damper
US6390257B1 (en) * 2000-02-16 2002-05-21 Delphi Technologies, Inc. Suspension damper having piston plate with coined, continuously curved bypass
CN100526674C (zh) * 2004-05-25 2009-08-12 日产自动车株式会社 液压缓冲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69258A (ja) 2010-08-05
DE102009060154A1 (de) 2010-08-12
US20100163355A1 (en) 2010-07-01
CN101793303A (zh) 2010-08-04
JP5325763B2 (ja)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2783B2 (ja) 緩衝器
KR20100075759A (ko) 완충기
KR102232127B1 (ko) 완충기
KR20110098630A (ko) 완충기
JP2009287731A (ja) 緩衝器
US10316922B2 (en) Shock absorber
JP2014047829A (ja) 圧力緩衝装置およびバルブ部材
EP0889258A1 (en) Damping force generator
JP2014194259A (ja) 緩衝器
US9228631B2 (en) Damping valve
JP2018105378A (ja) 緩衝器
CN111989506B (zh) 缓冲器
US10837514B2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JP6623099B2 (ja) 緩衝器
WO2018163444A1 (ja) 圧力緩衝装置
JP2005201345A (ja) 自動二輪車等のフロントフォーク
JP2020034068A (ja) 流体圧緩衝器
US20230349440A1 (en) Shock absorber
US6499572B2 (en) Damping force generator
JP6789004B2 (ja) 緩衝器
JP2024008421A (ja) 減衰バルブおよび緩衝器
JP7154166B2 (ja) 緩衝器
JP2006183775A (ja) 油圧緩衝器
KR20230116934A (ko) 완충기
JP6949123B2 (ja) 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