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630A -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630A
KR20100075630A KR1020107010347A KR20107010347A KR20100075630A KR 20100075630 A KR20100075630 A KR 20100075630A KR 1020107010347 A KR1020107010347 A KR 1020107010347A KR 20107010347 A KR20107010347 A KR 20107010347A KR 20100075630 A KR20100075630 A KR 20100075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nitting
inter
communic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856B1 (ko
Inventor
쇼고 다츠미
료이치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04L12/4625Single bridge functionality, e.g. connection of two networks over a single b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42Adaptation of control equipment on vehicle for actuation from alternative parts of the vehicle or from alternative vehicles of the same vehicle t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36Conductor-based, e.g. using CAN-Bus, train-line or optic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28Determination of vehicle position and orientation within a train consist, e.g. serial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편성 방향이 다른 편성끼리를 병합한 경우에, 통신 처리를 중단하지 않고, 통신 처리의 계속이 가능한 열차 차량간 통신 네트워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말과, 동일한 편성내의 단말에 접속되어 정보를 전송하는 편성내 전송로와, 편성내 전송로에 접속되어 편성내의 단말에서의 정보인 제 1 정보를 수신하여 인접하는 다른 상기 편성으로 제 1 정보를 송신하고, 인접하는 다른 편성으로부터의 정보인 제 2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편성내의 단말로 제 2 정보를 송신하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와, 인접하는 편성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끼리를 접속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편성간 전송로를 구비하고,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는, 수신한 정보의 송신원의 편성과 상기 편성의 편성 방향의 차이를 판단하는 편성 방향 판단 수단과, 편성 방향 판단 수단이 다른 편성 방향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수신한 상기 정보에 포함되는 방향 의존 정보를 반전하도록 재기록하는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을 갖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Description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COMMUNICATION APPARATUS BETWEEN TRAIN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 등에 있어서의 열차의 차량내, 차량간 및 1 이상의 차량으로 구성되는 편성(編成, composition)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성 방향이 다른 2개의 편성이 병합된 열차에서는, 일방(一方)의 편성에 있어서의 오른쪽을 나타내는 도어와, 타방(他方)의 편성에 있어서의 오른쪽을 나타내는 도어가, 서로 반대쪽의 도어로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송로상의 통신 중계 장치의 상류 하류의 방향에 관한 인식의 불일치를 해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구체적으로는, 편성 방향이 다른 편성끼리 병합된 경우에는, 일방의 편성내의 모든 통신 중계 장치에서, 상류 하류에 관한 인식을 반전시키는 것에 따라, 편성간에서 통신 중계 장치의 상류 하류의 방향에 관한 인식을 일치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68126호
종래의 열차 차량간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일방의 편성내의 통신 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인식을 반전시키는 처리의 실행중에는, 통신을 중단해야 한다. 통신을 중단하면 처리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신을 중단시키기 위해서는, 통신 처리중에 확실히 중단시키는 번잡한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통신 중단 시간이 증가하거나, 또는 오류가 일어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편성 방향이 다른 편성끼리를 병합한 경우에, 통신 처리를 중단하지 않고, 통신 처리의 계속이 가능한 열차 차량간 통신 네트워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이상의 차량으로 구성되는 편성에 설치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과, 동일한 상기 편성내의 상기 단말에 접속되어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편성내 전송로와, 상기 편성내 전송로에 접속되어 상기 편성내의 상기 단말로부터의 상기 정보인 제 1 정보를 수신하여 인접하는 다른 상기 편성으로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고, 인접하는 다른 상기 편성으로부터의 상기 정보인 제 2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편성내의 단말로 상기 제 2 정보를 송신하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와, 인접하는 편성의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끼리를 접속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편성간 전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는, 수신한 상기 정보의 송신원의 상기 편성과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가 속하는 상기 편성과의 편성 방향의 차이를 판단하는 편성 방향 판단 수단과, 상기 편성 방향 판단 수단이 다른 편성 방향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수신한 상기 정보에 포함되는 방향 의존 정보를 반전하도록 재기록하는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향 정보 재기록 수단이, 인접하는 편성의 편성 방향이 다른 경우에, 통신 패킷에 포함되는 방향 의존 정보를 재기록하는 것에 따라, 편성 방향이 다른 편성끼리를 병합하더라도 통신을 중단하지 않고 통신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열차용 통신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편성간 중계 우회 수단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단말과 감시 제어 대상 기기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패킷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편성 방향 판단의 기준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패킷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패킷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편성 방향 판단의 기준의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의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의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IP 어드레스의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전송 포트의 IP 어드레스의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편성 방향 판단의 기준의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의 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단말과 감시 제어 대상 기기의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패킷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편성(41)은 적어도 1량의 차량(40)으로 구성되고, 도 1에서는 4량의 차량(40a-40d)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성(41)이란, 1 이상의 차량(40)으로 구성되고, 운용시에 분할되는 일이 없는 열차의 단위이며, 하나의 연결의 열차에 복수의 편성(41)이 병합되는 경우도 있다.
편성(41)에는, 편성(41)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가 마련된다. 또한, 편성(41)이 다른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 사이를 접속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로인 편성간 전송로(21)가 마련된다. 각 차량(40)은 적어도 1대의 단말(30)을 탑재한다. 편성내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 각 단말(30)과의 사이는,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로 연결되어 있다.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다른 편성으로부터 편성간 전송로(21)(21a)를 통해 보내져온 정보에 대하여,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를 경유하여 각 차량(40)내의 단말(30)에 중계한다. 또한, 보내져온 정보를 수신한 편성간 전송로(21)(21a)와는 별도의 편성간 전송로(21)(21b)를 경유하여, 또 다른 편성(41)에 중계한다.
또한,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단말(30)로부터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를 경유하여 송출된 정보를 편성간 전송로(21) 경유로 다른 편성에 중계한다.
단말(30)은,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로부터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를 경유하여 정보를 수취하고, 각 차량(40)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편성(41)은 인접하는 편성(41)과 통신하기 위한 편성간 전송로(21a, 21b)가 마련된다.
정보는 계산기 처리 가능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네트워크층 또는 전송층을 흐르는 분할된 데이터의 단위인 패킷이더라도 좋다.
이하, 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2개의 편성간 전송 포트(15a, 15b) 및 편성내 전송 포트(15c) 및 이들에 접속하는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으로 구성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편성간 전송 포트(15a, 15b)를 통해서 다른 편성(41)과 정보를 중계하고, 편성내 전송 포트(15c)를 통해서 편성내의 단말(30)에 정보를 중계한다.
도 3은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에서,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편성 방향 판단 수단(5)과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을 갖는다.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편성 자신(41)에 인접하는 다른 편성(41)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중계할 때에, 인접 편성(41)과 편성 방향이 다른 경우는, 다른 편성으로부터 보내져 온 정보 중의 방향 의존 정보를 반전하는 재기록을 행한다. 인접 편성(41)과 편성 방향이 같은 경우는, 방향 의존 정보의 반전의 재기록은 행하지 않고, 그대로 정보를 중계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상기를 실현하기 위해 편성 방향 판단 수단(5)과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을 갖는다.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은, 인접하는 다른 편성(41)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중계할 때에, 정보의 송신원의 인접하는 다른 편성(41)과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이 속하는 상기 편성(41)이 편성 방향에서 다른 경우에는, 방향이 다르다고 판단하고, 편성 방향이 같은 경우에는, 방향이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에 있어서의 편성 방향의 판단의 기초로 되는 정보로서, (1) 편성간 또는 차량간의 연결 장치의 물리적 형상, 전기적 신호에 의해 물리적으로 행한 결과의 정보, (2) 송신원의 편성(41)의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이 송신 정보에 편성 방향 정보를 부가한 정보 등이 생각된다. 예컨대, (1)은, 연결기의 소정의 장소에, 제 1 또는 제 2 방향인 것을 나타내는 오목부 등을 마련하여, 이것에 상대하는 연결기의 소정의 장소에 앞의 오목부를 판독하는 기구를 마련한다. 이 판독하는 기구로 판독한 결과로부터, 연결 상대가 제 1 또는 제 2 방향의 어느 것인지를 구하고, 연결 상대의 방향과, 자기의 차량의 상기 연결기가 제 1 또는 제 2 방향 중 어느 것인지에 의해, 편성 방향의 차이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제 2 방향이 일치하면, 다른 편성 방향이라고 하고, 제 1, 제 2 방향이 다르면, 편성 방향이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앞의 오목부 대신에, 전기 신호로 제 1 또는 제 2 방향을 식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편성 방향의 일치, 불일치는, 인접하는 편성과의 상대적 관계만으로 판단하면 되고, 예컨대, 「상향」, 「하향」 등의 절대적 방향으로 판단할 필요는 없다. 방향 의존 정보를 반전하는지 여부는, 인접하는 편성과의 상대적 관계로 판단하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향」, 「하향」 등의 절대적 방향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열차 운행에 따라 설정을 명시적으로 변경해야 하는 데 비하여, 인접하는 편성과의 상대적 관계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편성 결정시에, 결정하면 후의 운행으로 변화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설정 변경이 불필요해지는 효과가 있다.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에서, 방향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는,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그대로 정보를 출력(중계)한다. 방향이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수신한 정보를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에 재기록을 행하게 하여, 재기록한 정보를 출력(중계)한다.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은, 수신한 정보 중의 방향 의존 정보를 반전하는 재기록을 행한다. 이하,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향 의존 정보란, 편성내의 위치, 방향 등을 정하는 쌍을 이루는 식별 정보 이며, 편성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된다. 편성내의 위치, 방향 등을 정하는 쌍이란, 예컨대, 「전」과 「후」, 「왼쪽」과 「오른쪽」, 「상류」와 「하류」 등이다. 편성 방향이란, 편성의 구성에 따라 일의(一意)로 결정한 전후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의 뒤에서 앞으로의 방향이다. 또, 정의가 일관되어 있으면 좋고, 「앞에서 뒤로의 방향」이라고 정의하더라도 좋다. 방향 의존 정보는, 편성 방향을 향하여, 왼쪽이 「왼쪽」, 오른쪽이 「오른쪽」으로 되도록, 상기 「왼쪽」과 「오른쪽」 등이 정의된다.
예컨대, 하나의 편성의 편성 방향은, 「오른쪽」으로 정의된 도어를 오른손으로 보았을 때의 정면측을 제 1 방향으로 하고, 배면측을 제 2 방향으로 할 수 있다. 그러면, 2개의 편성을 병합한 경우, 각 편성에 있어서의 연결하는 개소로 향하는 방향이, 2개의 편성 모두 제 1 방향이면,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에서 방향이 다르다고 판단된다. 또한 반대로 2개의 편성에서 한쪽이 제 1 방향이고 다른 쪽이 제 2 방향이면,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에서, 방향이 동일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방향 의존 정보를 반전한다는 것은, 방향 의존 정보의 값을 쌍에서의 다른 값으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의 의미의 정보를 「후」의 정보로, 「왼쪽」의 의미의 정보를 「오른쪽」의 의미의 정보로, 「상류」의 의미의 정보를 「하류」의 의미의 정보로 재기록하는 것이다.
도 3(b)는 별도의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상기에 부가하여,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3)을 갖도록 구성된다.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3)은,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가 정보(패킷을 포함한다)를 다른 편성(41)에 중계할 때, 송신원으로 되는 편성(41), 즉,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가 속하는 편성(41)으로부터 보아 중계하는 인접하는 편성(41)의 방향의 정보를 부가한다.
예컨대,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가 속하는 편성에 있어서의 보내는 방향이, 앞의 예에서의 제 2 방향이면, 제 2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한다. 만약에 반대쪽으로 정보를 보내는 경우에는, 제 1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한다. 즉, 보내는 방향에 따라 부가하는 편성 방향의 정보가 변한다.
상기 편성 방향 정보가 부가된 정보를 수신한 편성(41)은, 수신한 쪽의 방향과, 수신한 정보에 부가된 편성 방향 정보를 비교하여, 편성 방향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한 편성(41)의 수신한 쪽이 제 1 방향이며, 수신한 정보에 제 2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어 있으면,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에 의해 편성 방향은 동일하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이,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은,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3)에서 부가된 편성 방향의 정보와, 수신한 쪽의 방향에 의해, 인접하는 편성의 방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편성 방향이 다른 경우에,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에 의해 정보를 재기록한다.
도 3(c)는 별도의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상기에 부가하여, 편성 번호 부가 수단(4)을 갖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편성 번호 부가 수단(4)은,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가 정보를 다른 편성(41)에 중계할 때에, 송신원으로 되는 편성(41), 즉,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가 속하는 편성의 편성 번호를 부가한다. 여기서 편성 번호란, 개별의 편성을 구별하기 위해서 미리 부가되고, 한 열차 내에서 중복되지 않는 번호이다.
상기 편성 번호 부가 수단(4)을 마련하고,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이 인접하는 편성(41)의 번호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각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인접하는 편성(41)이 변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편성 번호를 이용하여,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하는 편성(41)이 변했을 때에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을 기동하여, 인접하는 편성과 편성 방향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내에 기억한다. 이후, 인접하는 편성(41)이 변할 때까지는,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내에 기억된 정보가 다른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에,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을 기동하여 정보를 재기록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이, 수신 정보의 편성 번호로부터 인접하는 편성(41)이 변한 것을 검지하면, 편성 방향 판단 수단(2)을 기동하여 판단 결과를 기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시, 편성 방향 판단 수단(2)을 가동할 필요가 없어, 처리를 간략화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우회 수단(1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우회 수단(16)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열차 차량간 통신 네트워크에, 도면에 나타내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우회 수단(16)을 마련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우회 수단(16)은 우회로(17)와, 전송로를 바꾸는 2개의 스위치(18)로 구성된다. 2개의 스위치(18)는, 각각, 편성간 전송로(21)와 우회로(17)를 접속하는 상태, 및 편성간 전송로(21)와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를 접속하는 상태의 2개 상태를 가진다. 이하, 편성간 전송로(21)와 우회로(17)를 접속한 경로를 우회로측 경로, 편성간 전송로(21)와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를 접속한 경로를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측 경로라고 부른다.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우회 수단(16)은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동작상황을 감시한다. 이 감시중, 정상시는, 스위치(18)의 양쪽을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측 경로로 되도록 설정한다. 감시중에,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이상을 검지한 때는, 스위치(18)를 우회로측 경로가 되도록 설정한다. 후자의 상태가 된 경우, 편성간 전송로(21a)와 전송로(21b)가 직결되기 때문에, 상기 편성(41)을 우회하여 양쪽 이웃의 편성(41)이 직결되는 상태로 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우회 수단(16)은, 예컨대,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전원 오프가 검지된 경우나, 와치독타이머(watch dog timer)의 오류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한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것에 의해 이상을 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우회 수단(16)을 구성함으로써,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가 고장난 경우도, 양쪽 이웃의 편성(41) 사이에서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우회 수단(16)이 우회로측 회로에 설정된 경우에도,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편성 번호 부가 수단(4)을 가지기 때문에, 인접하는 편성이 변화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편성 A, 편성 B, 편성 C가 A, B, C의 순서로 병합되어 있는 경우, 정상으로 전송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편성 C에서 수신하는 패킷의 송신원 편성 번호는 편성 B의 번호로 된다. 편성 B가 고장난 경우에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우회 수단(16)에 있어서, 스위치(18)가 우회로측 회로에 설정되면, 편성 C에서 수신하는 패킷의 편성 번호는 편성 A의 번호로 된다. 따라서, 편성 C에서는, 패킷의 송신원이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어, 인접하는 편성이 변화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편성내의 각 단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단말(30)과 감시 제어 대상 기기(3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단말(30)은 전송 포트(31)를 갖는다. 이 전송 포트(31)는 편성내 전송 포트(15c)를 통해서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과 접속되어 있다. 단말(30)은, 복수의 감시 제어 대상 기기(32)와 접속되어 있고, 접속된 기기의 감시 제어 처리를 행한다. 감시 제어 대상 기기(32)의 중에는, 도어나 모터 등의 편성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할 수 있는 방향 의존 정보에 의해, 감시·제어의 내용이나, 감시·제어의 대상을 지정하는 기기도 포함된다.
다음으로,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의 네트워크의 정보(패킷을 포함한다)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말(30)로부터 패킷이 송신된 경우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30)은, 방향 의존 정보를 포함한 감시·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하여 통신상대의 단말(30)을 향해 송신한다. 통신상대가 편성내(41)의 단말(30)인 경우에는, 송신된 패킷은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를 통해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를 경유하지 않고 원하는 단말(30)에 도달한다.
통신상대가 다른 편성(41)의 단말(30)인 경우에는, 단말(30)로부터 송신된 패킷은,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를 통해, 상기 편성(41)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에 도달하고,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편성내 전송 포트(15c)에서 수신된다. 상기 편성(41)내의 단말(30)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편성내 전송 포트(15c)에서 수신한 경우는, 편성 방향 판단 수단(5),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은 기동되지 않는다.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의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3)과 편성 번호 부가 수단(4)이 있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한 방향 의존 정보를 포함한 패킷에, 각각,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 송신원 편성 번호(102)를 부가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편성간 전송 포트(15a, 15b) 중 어느 것이나, 또는, 양쪽에 대하여 패킷을 중계(송신)한다.
송신된 인접하는 다른 편성(41)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편성간 전송 포트(15a, 또는 15b) 중 어느 것으로부터, 인접하는 편성(41)으로부터의 패킷을 수신한다. 수신한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편성간 전송 포트(15)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편성내 전송 포트(15c), 및 상기 패킷을 수신한 것과는 다른 편성간 전송 포트(15)(15a 또는 15b)에 중계한다. 이 때,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에 의한 판단, 또는 기억하는 편성 방향 판단 결과가 다른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에,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을 기동한다.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은, 패킷에 포함되는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가 상기 편성의 편성 방향과 다른 경우에, 패킷의 데이터부에 포함되는 방향 의존 정보를 반전한다.
인접하는 편성(41)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편성내 전송 포트(15c)에 중계하는 경우에는,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수신한 패킷으로부터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 및 송신원 편성 번호(102)를 제거하여 데이터부만을 중계한다.
또한, 편성간 전송 포트(15a 또는 15b)에 중계하는 경우에는,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3)과, 편성 번호 부가 수단(4)이, 수신한 패킷의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와 송신원 편성 번호(102)를 각각 상기 편성(41)의 편성 방향과 편성 번호에 재기록하여 중계한다.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3)이 부가하는 편성 방향 정보로서, 예컨대, 도 2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내의 편성간 전송 포트(15a, 15b)의 포트 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편성 방향 정보는, 자기의 편성(41) 중에서의 송출하는 인접 편성(41)의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이기 때문에, 같은 편성(41)의 편성간 전송 포트(15a, 15b)를 나타내는 값으로 된다. 단, 편성간 전송 포트(15)에 부여하는 번호는, 병합할 가능성이 있는 편성(41)끼리, 「오른쪽」의 도어를 오른쪽으로 보아 정면측을 「a」라고 하고, 배면측을 「b」라고 하는 등의 결정(상술에서는 「제 1 방향」, 「제 2 방향」)을 행하고, 동일한 기준으로 설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한 경우, 송신원의 인접하는 편성(41)과 상기 편성(41)과의 편성 방향의 일치, 불일치는 도 7의 기준으로 구해진다. 즉, 송신원의 편성간 전송 포트(15)의 편성 방향 정보와 편성 자신(41)에서 수신한 편성간 전송 포트(15)의 편성 방향 정보가 같은 경우에는, 서로의 편성 방향이 불일치(역 방향)로 된다. 상기 편성 방향 정보가 다른 경우에는, 서로의 편성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동일 방향임)고 판단한다.
도 6의 패킷에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를 포함하지 않고, 편성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에 인접하는 편성(41)의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를 기억해 두고,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이, 이것에 근거하여 편성 방향을 판단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러나 병합, 분할이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우회 수단(16)의 스위치(18)의 상태의 변화 등에 의해, 인접하는 편성(41)의 편성 방향이 변했을 때에, 그 변화가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에 전해지기 전에, 변화후에 송신된 패킷이 수신될 가능성이나, 변화가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에 전해진 후에, 변화되기 전에 송신된 패킷이 수신될 가능성이 있다. 편성 방향의 변화가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에 전해지기 전에 패킷이 송신된 경우에는, 편성 방향의 판단시와 패킷 작성시가 다르면, 처리의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는, 즉 원래 있어야 할 감시 제어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비하여, 패킷에 편성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에서는, 패킷 작성시에 편성 방향의 판단 기준으로 되는 정보를 부여하기 때문에, 편성(41)과 편성(41)의 접속 상태가 변화한 때에도, 그 정보에 근거하여 처리하는 대상인 패킷과 함께 그 변화가 전달된다. 이 때문에, 처리의 일관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향 의존 정보가 저장되는 장소를 패킷의 종류마다 정해두고, 패킷의 종류별 방향 의존 정보 저장장소를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에 기억해둘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재기록해야 할 방향 의존 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별도의 방법으로서, 패킷마다 방향 의존 정보의 저장장소를 나타내는 포맷 정보를 부가해 두는 것에 의해서도,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가 방향 의존 정보를 재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별도의 방법으로서,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 필요 여부를 플래그로서 나타내는 재기록 필요 여부 정보를 패킷에 정의하는 방법도 생각된다. 이 재기록 필요 여부 정보는 방향 의존 정보로서 취급하고,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에 의한 재기록 대상의 데이터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이 편성 방향이 다르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재기록 필요 여부 정보의 플래그를 반전한다. 그리고, 패킷에 포함되는 다른 방향 의존 정보는,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이 다른 편성(41)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에 의한 재기록 대상으로는 하지 않고, 상기 재기록 필요 여부 정보를 재기록 대상으로 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이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에 패킷을 중계하는 경우에는, 재기록 필요 여부 정보를 참조하고, 재기록 필요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이, 패킷 내부의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 및 재기록 필요 여부 정보를 재기록 불필요로 재기록을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편성(41) 사이를 중계하는 경우에는, 재기록 필요 여부 정보가 재기록될 가능성이 있지만, 처리가 많은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처리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 중계 수단(19)이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에 패킷을 중계할 때에도, 패킷에 포함되는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을 행하지 않고, 그것을 수신한 단말(30)에서,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을 마련하고, 재기록 필요 여부 정보에 따라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을 행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 경우, 최초에 수신한 단말(30)이, 재기록 필요 여부 정보가 재기록 필요인 것을 검지하여,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 및 상기 재기록 필요 여부 정보를 재기록 불필요로 하는 재기록을 행하여, 하류로 패킷을 전송하더라도 좋다. 또한, 최초에 수신한 단말(30)이 아니라, 전송순서 중에서, 패킷중의 감시 제어 정보 등을 최초에 이용하는 단말(30)이, 재기록 필요 여부 정보가 재기록 필요인 것을 검지하여,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 및 상기 재기록 필요 여부 정보를 재기록 불필요로 하는 재기록을 행하여, 하류로 패킷을 전송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편성내에서 패킷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방향 의존 정보를 재기록하는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어, 시스템 전체의 처리량을 삭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패킷을 수신한 단말(30)에서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패킷을 수신한 단말(30)에서는, 데이터내의 방향 의존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대상으로 되는 기기(32)의 감시 제어 대상의 방향을 판단하여(대상으로 되는 기기(32)를 특정하여), 감시 제어를 행한다. 방향 의존 정보는, 데이터 송신원의 편성(41), 및 편성 자신(41)의 편성 방향에 근거하여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에 있어서 재기록이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편성(41)내의 단말(30)에서는 수신한 방향 의존 정보를 그대로 해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30)에 있어서, 방향 의존 정보에 관련되는 제어 상황이나 고장 정보를 기록하는 처리에 있어서도, 방향 의존 정보는 특별히 재기록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의 고장 정보를 단말(30)로 기록하는 지령이 다른 편성으로부터 나온 경우에는, 단말(30)에서는, 방향 의존 정보에 근거하여 편성 자신(41)에서의 도어의 방향 정보와 도어의 고장 정보를 기록하면 된다.
정보를 기록 정보에 기록한 편성과 동일한 편성으로부터 기록 정보를 판독하는 경우에는, 편성(41)의 편성 방향과 기록 정보내의 방향 의존 정보로부터, 기록된 도어의 방향을 특정할 수 있다. 정보를 기록 정보에 기록한 편성과는 다른 편성으로부터 기록 정보를 판독하는 경우에는,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의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이, 편성의 접속 방향에 따라,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에 기록 데이터내의 방향 의존 정보를 재기록하게 하기 때문에, 판독을 행한 편성의 편성 방향과, 기록 정보내의 방향 의존 정보로부터 기록된 도어의 방향을 특정할 수 있다. 어느 쪽의 경우도, 기록 정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판독을 행한 편성을 특정하는 정보를 기록 정보와 합쳐서 관리하면 좋다.
다음으로, 상술한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의, 도어 제어 정보를 송신할 때의 순서에 대하여,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설명에 이용하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편성(41A, 41B, 41C)이 이 순서로 병합되어 있다. 편성(41A)과 편성(41B)의 편성 방향은 반대이며, 편성(41B)과 편성(41C)의 편성 방향은 같다. 이하, 이 경우를 예로, 도어 제어 정보를 송신할 때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편성(41)의 단말(30)은 각각 왼쪽 도어(32a), 오른쪽 도어(32b)를 감시·제어하기 위해서, 각각, 도어와의 접속용 전송 채널 a, b를 가진다. 왼쪽 도어, 오른쪽 도어라는 식별 정보는 방향 의존 정보다. 예컨대, 선로 등의 기준에 대하여 편성 방향이 변하면, 그 기준(선로)에 관한 도어의 물리적인 위치는 교체된다. 환언하면, 편성 방향이 다른 편성 A와 편성 B에서는 방향 의존 정보인 왼쪽 도어에 대응하는 도어의 선로에 관한 물리적 위치는 서로 반대로 된다. 또한, 편성 방향이 동일한 편성 B와 편성 C에서는 편성 의존 정보인 왼쪽 도어에 대응하는 도어의 선로에 관한 물리적 위치는 동일해진다.
편성(41A)의 임의의 단말(30)로부터 「오른쪽 도어-개방」이라고 하는 패킷(도 9(a))이 송신된 경우에 대하여, 패킷의 흐름에 따라 각부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되는 패킷은 선로를 기준으로 하여, 동일한 방향의 도어를 여는 것을 의도한 도어 제어 정보다.
편성(41A)의 단말(30)로부터 송신된 패킷은, 편성(41A)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편성내 전송 포트(15c)에 도달한다. 수신된 패킷은, 편성간 전송 중계 수단(19)의 편성 번호 부가 수단(4), 및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3)에 의해, 송신원 편성 번호(102), 및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가 부가된다. 이 때,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로서, 이 패킷을 출력하는 편성간 전송 포트(15)의 포트 번호(a 또는 b)를 부가한다. 도면에서는, 편성간 전송 포트(15a)에서 송신하는 경우는 a가 부가된다(도면의 경우). 또한, 편성간 전송 포트(15b)로부터 송신하는 경우는 b로 된다. 각각의 패킷을 도 9(c), (b)에 나타낸다.
편성(41A)의 편성간 전송 포트(15a)에서 송신된 패킷(도 9(c))은, 편성(41B)의 편성간 전송 포트(15a)를 통과하여, 편성(41B)의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에 도달한다. 여기서, 편성(41B)의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은, 수신한 패킷(도 9(c))의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와, 그것을 수신한 편성간 전송 포트(15a)의 포트 번호를 비교한다. 이 비교의 결과, a와 a로 동일하기 때문에, 송신원의 편성(41A)과 편성 자신(41B)의 편성 방향이 반대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에 의해, 패킷내의 방향 의존 정보인 「오른쪽 도어」를 반전하여, 「왼쪽 도어」로 재기록한다(도 9(d)).
다음으로, 상기 패킷(도 9(d))은, 편성(41B)의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에 의해,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와 송신원 편성 번호(102)가 제거된다(도 10(a)). 이들 정보가 제거된 패킷(도 10(a))은 편성내 전송 포트(15c)에서 편성(41B)의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에 송신된다. 편성(41B)의 단말(30)은 수신한 패킷(도 10(a))에 포함되는 「왼쪽 도어-개방」에 따라 도어를 여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상기 패킷(도 10(a))은, 편성(41B)의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의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3)에 의해,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로서 「b」를 부가하고, 편성 번호 부가 수단(4)에 의해, 송신원 편성 번호(102)로서 B를 부가한다(도 10(b)). 그 후, 상기 패킷(도 10(b))은, 편성(41B)의 편성간 전송 포트(15b)로부터 송신되어, 편성(41C)의 편성간 전송 포트(15a)를 통과하여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에 도달한다.
여기서, 편성(41C)의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의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은, 수신한 패킷(도 14(b))의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와, 수신한 편성간 전송 포트(15a)의 포트 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송신원의 편성과 편성 자신의 편성 방향이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을 기동하지 않고, 상기 패킷은 그대로로 된다(도 10(c)).
다음으로, 상기 패킷(도 10(c))은, 편성(41C)의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에 의해,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와 송신원 편성 번호(102)가 제거된다(도 10(a)). 이들 정보가 제거된 패킷(도 10(a))은, 편성내 전송 포트(15c)에서 편성(41C)의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에 송신된다. 편성(41C)의 단말(30)은, 수신한 패킷(도 10(a))에 포함되는 「왼쪽 도어-개방」에 따라 도어를 여는 제어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가 동작하기 때문에, 「오른쪽 도어-개방」이라고 하는 패킷은, 편성(41A), 편성(41B), 편성(41C)에서는, 각각 「오른쪽 도어-개방」, 「왼쪽 도어-개방」, 「왼쪽 도어-개방」으로 재기록되어, 각 편성(41A, 41B, 41C) 내의 단말(30)로 전송된다. 이 결과, 기준으로 되는 선로에 대하여, 모든 편성에 있어서 물리적으로 동일한 방향의 도어에 대하여 도어 제어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을 단말(30)과 별도의 장치로서 실현하고 있지만, 편성의 끝의 차량에 탑재되는 단말(30)의 하나가, 통신 중계 수단(19)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구성요소가 적어지고, 전송로가 복잡하게 되지 않고,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편성(41)내의 단말(30)은, 방향 의존 정보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기기를 감시 제어하면 바람직하고, 각 단말(30)이나 기기(32)에 있어서, 방향 의존 정보를 재기록한다고 하는 처리가 일체 불필요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보통, 방향 의존 정보를 단말(30)이나 기기(32)에 있어서 행하는 경우에는, 속해 있는 편성(41)의 편성 방향과, 송신원의 편성(41)의 편성 방향이 밝혀져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들 정보가, 단말(30)이나 기기(32) 사이에서 일관성이 취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정확한 동작을 할 수 없다. 편성(41)의 병합·분할시 등의 과도적인 상황에서는, 편성 방향에 관한 단말(30)이나 기기(32)에서의 인식을 일치시키기 위한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인식을 일치시키는 대상인 단말(30)이나 기기(32)는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인식을 일치시키는 기구는 복잡해지고, 잘못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종래의 열차 차량간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일방의 편성내의 통신 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인식을 반전시키는 처리의 실행중에, 모든 통신 중계 장치에서 인식의 반전을 완료할 때까지, 통신을 중단해야 한다. 중심을 중단하면, 처리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신을 중단시키기 위해서는, 통신 처리중에 확실히 중단시키는 번잡한 수단, 및 모든 통신 중계 장치에서 인식의 반전이 완료한 것을 확인하는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신 처리중에 확실히 중단시키는 수단, 및 모든 통신 중계 장치의 인식의 반전의 완료를 확인하는 수단에 의해, 통신 중단 시간이 증가하거나, 또는 오류가 일어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열차 차량간 통신 네트워크는, 3 이상의 편성이 병합된 상태에서, 통신 중계 장치에서 인식의 반전을 완료하기 전에, 연결기의 접촉 불량 등에 의해 전송로의 절단, 접속이 반복 발생한 경우에는, 방향 인식의 반전 처리가 반복 실시되는 상태에 빠져, 안정한 동작을 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에 있어서,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을 행하고, 각 단말(30)에 있어서의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 필요 여부의 판단 처리를 불필요하게 했기 때문에, 일방의 편성내의 통신 중계 장치에 있어서의 인식을 반전시키는 처리를 할 필요가 없다. 이것 때문에, 통신을 중단하지 않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처리가 지연되는 문제, 통신 중단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 또는 오류가 일어나기 쉬워지는 문제없이,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에 있어서,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을 행하고, 각 단말(30)에 있어서의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 필요 여부의 판단 처리를 불필요로 했기 때문에, 3 이상의 편성이 병합된 상태에서, 연결기의 접촉 불량 등에 의해 전송로의 절단, 접속이 반복 발생한 경우에도, 방향 인식의 반전 처리가 없고, 안정한 동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에 있어서,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을 행하기 때문에, 각 단말(30)에서 방향 의존 정보를 편성 자신(41)의 방향에 따라 재기록할 필요가 없다. 이것 때문에, 병합시 등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또는 네트워크)의 상태가 안정하지 않는 경우에도,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다른 편성(41)과 병합한 직후에, 다른 편성(41)으로부터 방향 의존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이 보내져오는 경우에도, 패킷을 수신한 편성(41)에서는, 편성 자신(41)의 편성 방향과 패킷내의 편성 방향 정보로부터,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이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필요한 경우에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으로 재기록하기 때문에, 각 단말(30)에서 통신이나 처리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
또한, 편성(41) 사이의 연결기의 접촉 불량 등에 의해, 인접 편성과의 병합과 분리가 반복된 경우에도, 다른 편성(41)으로부터 정상적으로 보내진 패킷내의 방향 의존 정보는, 재기록의 필요 여부를 정보내의 편성 방향 정보에 의해서 판단하기 때문에, 각 단말(30)에서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우회 수단(16)내의 스위치(18)의 전환이 빈번히 행해진 때에도,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의 필요 여부의 판단을 패킷마다 행하기 때문에, 인접 편성(41)의 편성 방향의 변화의 인식과, 재기록 필요 여부의 판단에 어긋남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각 단말(30)에서 방향 의존 정보를 정확하게 해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송 정보내의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의 필요 여부를 상기 정보내의 편성 방향 정보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열차 차량간 통신 네트워크는 편성 변화나 우회로의 전환 등, 동작이 불안정해지기 쉬운 과도기에서도 안정하게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가 편성(41)내에 하나 존재했지만, 동일 편성(41)내에 2개로 해도 좋다.
도 11은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12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의 주요부인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도 11에서, 편성(41), 차량(40)(40a-40d), 단말(30), 편성간 전송로(21)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이지다. 이하,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의 양단에 배치되고, 편성(41)내에 2개 존재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도 12와 같이, 하나의 편성간 전송 포트(15a)와, 편성내 전송 포트(15c)와,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우회 수단(16)의 우회로(17)와 스위치(18)가, 편성(41)내에 설치된 2개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양쪽을 우회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는 사항에 관해서는, 원칙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이며,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패킷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말(30)은, 방향 의존 정보를 포함한 감시·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패킷으로서 송신한다. 통신상대가 편성(41)내의 단말(30)인 경우에는, 송신된 패킷은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를 통해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를 경유하지 않고 원하는 단말(30)에 도달한다.
통신상대가 다른 편성(41)의 단말(30)인 경우에는, 송신된 패킷은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를 통해 상기 편성(41)내에 존재하는 2개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양쪽에 도달한다. 이후, 어느쪽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에 있어서도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편성내 전송 포트(15c)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한 방향 의존 정보를 포함한 패킷에,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 송신원 편성 번호(102)를 부가하여(도 6), 편성간 전송 포트(15a)로부터 패킷을 전송하여 중계한다.
인접하는 편성(41)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편성간 전송 포트(15a)로부터 인접하는 편성(41)으로부터 상기 패킷(도 6)을 수신한다. 이 수신한 편성(41)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편성간 전송 포트(15a)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편성내 전송 포트(15c)에 중계한다. 이 때,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에서 패킷에 포함되는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와, 상기 편성(41)에 있어서의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편성 방향 정보를 비교하여 편성 방향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편성(41)의 편성 방향과 다른 경우에는,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은 패킷의 데이터부에 포함되는 방향 의존 정보를 반전하는 재기록을 행한다.
인접하는 편성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편성내 전송 포트(15c)에 중계하는 경우에는, 도 6의 패킷으로부터,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 송신원 편성 번호(102)를 제거하고, 데이터부만을 상기 편성(41)내의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에 전송한다.
또한, 편성간 전송 포트(15a)로부터 다른 인접하는 편성에 중계하는 경우에는,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3)과, 편성 번호 부가 수단(4)이, 수신한 패킷의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 및 송신원 편성 번호(102)를 각각 상기 편성의 편성 방향 및 편성 번호에 재기록한다.
여기서,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 및 편성 방향의 차이의 판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2)은, 편성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앞쪽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식별자를 a, 다른 쪽의 식별자를 b로 하고, 중계 처리를 하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식별자를 기입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앞쪽이란, 예컨대, 편성에서 「오른쪽」으로 하고 있는 쪽을 오른쪽으로 보아, 정면측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편성 방향이 편성 자신(41)과 동일한지의 판단 기준을 도 13에 나타낸다. 송신원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식별자와, 패킷을 수신한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에는, 편성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된다. 또한, 송신원의 식별자와 수신한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식별자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편성 방향이 동일하다고 한다.
상기에서는,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을 단말(30)과 별도의 장치로서 실현했지만, 편성(41)의 양단의 차량에 탑재되는 단말(30)이 통신 중계 수단(19)의 기능을 실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는 편성(41)의 변화나 우회로의 전환 등, 동작이 불안정해지기 쉬운 과도기에서도, 안정하게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말(30)의 전송 포트는 하나로 하여 설명했지만, 단말(30)이 2개의 전송 포트를 갖고,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의 사용권을 토큰 패킷의 순회에 의해서 관리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도 14는 본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15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의 주요부인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 성(41), 차량(40)(40a-40d), 단말(30), 편성간 전송로(21)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이지다. 이하,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말(30)은 2개의 전송 포트(31a, 31b)를 갖고, 이들 전송 포트가 인접 차량(40)과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a)를 통해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a)(네트워크)의 사용권을 토큰 패킷의 순회에 의해서 관리하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를 생각한다. 여기서, 토큰 패킷이란 네트워크를 배타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제어용 패킷이다. 단말(30)이 토큰 패킷을 수신하고 나서, 다른 단말(30)에 송신하기까지의 동안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말(30)은, 상기 편성내의 편성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전송 포트(31a)를 상류, 전송 포트(31b)를 하류로 인식하고 있다. 단말(30)은, 토큰 패킷을 수신했을 때, 토큰 패킷에 지시된 방향, 즉, 상류로부터 하류, 하류로부터 상류 중 어느 것인가의 방향에 따라서, 토큰 패킷을 전송한다. 또한,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편성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식별자(a 또는 b)를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전송 포트(31)의 상류측을 「a」, 하류측을 「b」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를 가지는 열차가, 편성 방향이 다른 2개의 편성이 병합된 상태에서의 토큰 패킷의 순회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 토큰 패킷에는, 토큰 패킷 전송 방향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토큰 패킷의 전송 방향의 정보는 방향 의존 정보다.
토큰 패킷을 송신 개시하는 단말(30)은, 예컨대, 「편성내에서 최상류, 또는 최하류의 어느 것인가로 설정한다」라는 규칙으로 결정할 수 있다. 토큰 패킷을 송신 개시하는 단말(30)을 편성내의 최상류의 단말(30)로 하는 경우에는, 토큰 패킷을 송신 개시하는 단말(30)은, 토큰 패킷 전송 방향을 「상류로부터 하류」로 설정한다. 반대로 토큰 패킷을 송신 개시하는 단말(30)을 편성내의 최하류의 단말(30)로 하는 경우에는, 이 반대로 「하류로부터 상류」로 설정한다.
이하, 토큰 패킷을 송신 개시하는 단말(30)을 편성내의 최상류의 단말(30)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반대의 경우도, 「상류」와 「하류」를 교체시키는 것에 의해, 같은 처리를 할 수 있다.
최상류의 단말(30)로부터 송신된 토큰 패킷은 하류측의 전송 포트(31b)로부터 송신된다. 인접하는 단말(30)이, 이 패킷을 상류측의 전송 포트(31a)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토큰 패킷에 포함되는 토큰 패킷 전송 방향(「상류로부터 하류」)에 따라, 하류측의 전송 포트(31b)에 송신한다. 이것을 반복 처리한 후, 토큰 패킷은, 편성내의 최하류의 단말(30)의 포트(31b)로부터 송신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b)는 편성내 전송 포트(15c)를 통해 이 토큰 패킷을 수신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b)의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의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2) 및 편성 번호 부가 수단(4)은, 토큰 패킷에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와 송신원 편성 번호(102)를 부가하여, 편성간 전송 포트(15a)로부터 편성간 전송로(21)를 경유하여 인접하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에 송신한다. 여기서,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로서,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b)의 식별자 b를 설정할 수도 있다.
편성간 전송 포트(15a)로부터 패킷을 수신한 인접하는 편성(41)의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이, 상기 실시예 2의 도 13에 도시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편성 방향의 차이를 판단한다.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이 편성 방향이 다르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이 방향 의존 정보를 반전한다. 여기서, 반전하는 방향 의존 정보에는, 토큰 패킷 전송 방향도 포함된다.
여기서의 설명에서는, 2개의 편성 방향이 반대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토큰 패킷내의 토큰 패킷 전송 방향은 「하류로부터 상류」로 재기록된다.
이 토큰 패킷은,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편성내 전송 포트(15c)로부터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a)를 통해서 송신된다. 이 예에서는, 편성 방향이 반대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 토큰 패킷은 단말(30)의 전송 포트(31b), 즉 하류측으로부터 수신된다. 단말(30)은, 토큰 패킷에 포함되는 토큰 패킷 전송 방향, 즉 「하류로부터 상류」 방향에 따라서, 토큰 패킷을 전송한다. 따라서, 토큰 패킷은 상류측인 전송 포트(31a)로부터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a)를 통해서 송신된다.
이와 같이, 편성간의 편성 방향이 다른 경우에도,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의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이, 방향 의존 정보인 토큰 패킷 전송 방향을 반전시키기 때문에, 토큰 패킷을 열차내의 전체 단말(30)에 순회시킬 수 있다. 또한, 편성 병합시에, 일방의 편성(41)내에 있는 모든 단말(30)이나 기기(32)의 편성 방향에 관한 인식을 일제히 반전시키는 처리도 불필요하다.
상기 설명에서는, 통신 중계 수단(19)을 단말(30)과 별도의 장치로 하여 설명했지만, 편성(41)의 양단의 차량(40)에 탑재되는 단말(30)이 통신 중계 수단(19)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의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는 편성 변화나 우회로의 전환 등, 동작이 불안정해지기 쉬운 과도기에서도 안정하게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a)의 사용권을 토큰 패킷으로 관리하는 구성에서, 토큰 패킷 전송 방향도 방향 의존 정보로서 취급하기 때문에, 동작이 불안정해지기 쉬운 편성 변화시에도 안정하게 토큰 패킷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에서는,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 편성간 전송로(21)가 다중화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로 및 전송에 관한 장치를 이중화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의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21은 본 실시예의 단말(30)과 단말에 접속되는 감시 제어 대상 기기(32)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는,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20a, 20b), 편성간 전송로(21),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 및 단말(30)의 전송 포트(31)가 각각 이중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단말(30)의 2개의 전송 포트(31a, 31b)는, 각각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a, 20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말(30)은, 2개의 전송 포트(31a, 32b)를 제어하는 수신부(33)와 송신부(34)를 구비한다. 한편, 이하, 2중화된 각 계통을 「1계」 및 「2계」라고 부른다.
상기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해, 편성(41)내의 단말(30) 사이, 및 다른 편성(41)에 속하는 단말(30) 사이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독립된 2개의 전송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는 이미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요소를 가진다. 이 중에서,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의 구성요소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우회 수단(16)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이다.
2개의 편성(41)을 병합할 때, 편성 방향이 같은 경우에는, 각각의 편성(41)에 있어서의 1계의 편성간 차량간 전송로(21a)끼리와, 2계의 편성간 전송로(21b) 끼리가 접속된다. 그러나, 편성 방향이 반대의 경우에는, 일방의 편성(41)의 1계의 편성간 전송로(21a)가, 타방의 편성(41)의 2계의 편성간 전송로(21b)에 접속된다.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a, 21b)의 식별 정보, 편성간 전송로(21a, 21b)의 식별 정보,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a, 1b)의 식별 정보, 및 단말(30)의 전송 포트(31a, 31b)의 식별 정보는, 전부 편성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는 방향 의존 정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a), 편성간 전송로(21a),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a), 단말(30)의 전송 포트(31a)를 「1계」로,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b), 편성간 전송로(21b),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b), 단말(30)의 전송 포트(31b)를 「2계」로 부르기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단말간의 IP 통신을 실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30)은 2개의 전송 포트(31a, 31b)를 구비한다. 도 17은 이 각 단말(30)의 전송 포트(31a, 32b)의 IP 어드레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전송 포트(31)가 속하는 「계」(1계이거나 2계이거나), 편성(41)의 「편성 번호」, 및 편성(41)내에서의 단말(30)의 「편성내 차량 번호」를 IP 어드레스에 반영시키고 있다.
도 18은 도 16의 편성(41)에 있어서의 각 단말(30)의 전송 포트(31)(31a, 31b)에 할당된 IP 어드레스의 예를 도시한다. 또, 여기서는, 편성 번호를 1이라고 하고 있다. 또한, 동일한 단말(30)에 접속된 복수의 전송 포트(31a, 31b)는, 각각 다른 서브네트워크에 할당되도록, 네트워크 마스크를 설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들이 동일한 서브네트워크에 할당되면, 단말(30)은, IP 패킷을 송신할 때에, 어느쪽의 전송 포트(31)로부터 IP 패킷을 송신해야 할지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 때문에, 여기서는, 단말(30)의 전송 포트(31a, 31b)에는, 네트워크 마스크로서, 255. 255. 0. 0이 할당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에 있어서의 패킷의 전송 처리에 있어서의, 편성 번호 부가 수단(3)의 실현 방법은 실시예 1에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다. 또한,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4)은,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로서,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가 속하는 계의 정보를 부가한다.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은, 편성간 전송 포트(15a 또는 15b)에서 패킷을 수신했을 때, 인접하는 편성(41)과의 편성 방향의 차이(방향 정보의 재기록 필요 여부)를 도 19에 근거하여 판단한다. 편성 방향이 다르다(방향 정보의 재기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을 기동하여, 패킷에 포함되는 방향 의존 정보가 반전하도록 재기록한다. 여기서 방향 의존 정보에는, 모든 IP 어드레스의 계(系)(상기, 「1계」, 「2계」의 계)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의 정보도 포함된다. 계는 편성 방향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예컨대, 각 편성에서 편성 방향을 향하여 오른쪽을 「1계」라고 한다. 또한, 병합하는 때는, 선로에 대하여 같은 쪽에 있는 계끼리가 접속된다. 이것 때문에, 편성을 병합했을 때, 일방의 편성의 1계와 타방의 편성의 2계가 접속될 가능성이 있다.
도 20은, 편성 번호 1과 2의 편성이, 서로 편성 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병합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20의 구성에 있어서의 편성 번호 1의 차량 번호 1의 단말(30x)이, 편성 번호 2의 차량 번호 4의 단말(30y)과, IP 통신하는 경우의 패킷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말(30x)이, 목적지의 단말(30y)의 IP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IP 패킷을 출력한다. 여기서, 단말(30y)의 전송 포트(31)의 일방에 할당된 10. 2. 1. 4를 지정하여 송신한 경우를 상정하여, 이하 설명한다.
단말(30x)은, 목적지의 IP 어드레스 10. 2. 1. 4의 서브네트워크 어드레스가 10. 2. 0. 0이기 때문에, 단말(30x)의 2계쪽의 전송 포트(31)로부터 IP 패킷을 송신한다. 이 때, 송신원 IP 어드레스로서, 10. 2. 1. 1이 저장된다.
상기 송신시의 패킷의 구성을 도 22(a)에 나타낸다. 도면에서, 설명을 위해, 송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IP 패킷 부분을 추출하고, 그 헤더 중, 목적지, 및 송신원의 IP 어드레스 저장 영역을 나타내고, 나머지를 데이터로서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패킷(도 22(a))은, 편성 번호 1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b)에 의해, 편성내 전송 포트(15c)에서 수신된다.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b)의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3)은,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로서,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b)에서 수신한 계, 즉, 2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한다. 또한, 편성 번호 부가 수단(4)은, 송신원 편성 번호(102)로서, 편성 번호 1을 부가한다. 이상과 같이 정보가 부가된 패킷은,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2(a)의 정보에,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 송신원 편성 번호(102)가 추가된 정보로 된다. 이렇게 하여 구성된 패킷(도 22(b))은 편성간 전송 포트(15a, 15b)로부터 송신된다.
다음으로, 상기 패킷(도 22(b))은, 상기 편성(41)에 인접하는 편성인 편성 번호 2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a)의 편성간 전송 포트(15a, 15b)에서 수신된다. 이 때, 편성 방향 판단 수단(5)은,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가, 2계인 데 비하여, 편성 자신(41)의 방향 정보가, 1계이기 때문에, 도 19의 판단 기준에 근거하여, 편성 방향이 다르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은,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을 기동하여, 상기 패킷내의 방향 의존 정보가 반전하도록 재기록한다. 이 때, 패킷에 포함되는 목적지 IP 어드레스, 및 송신원 IP 어드레스의 계의 정보 부분도 반전하도록 재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10. 2. 1. 4를 10. 1. 1. 4로, 10. 2. 1. 1을 10. 1. 1. 1로 재기록한다.
또한, 수신한 패킷을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의 수신한 것과는 별도의 편성간 전송 포트(15)에 전송할 때,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3), 및 편성 번호 부가 수단(4)은, 각각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 및 송신원 편성 번호(102)를, 편성 자신의 내용, 즉 1계, 및 2에 재기록한다. 이렇게 하여 구성된 패킷을 도 22(c)에 나타낸다.
또한, 수신한 패킷을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에 전송할 때, IP 어드레스가 재기록된 도 22(c)로부터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103)와, 송신원 편성 번호(102)를 제거하고, 남은 부분을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구성된 패킷을 도 22(d)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패킷(도 22(d))은, 편성 번호 2의 편성의 1계의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a)에 송신되고, 목적지 어드레스가 10. 1. 1. 4이다, 편성 번호 2의 편성의 차량 번호 4의 단말(30y)의 1계측의 전송 포트(31a)에서 수신된다.
만약에 방향 의존 정보의 재기록을 행하지 않았다고 하면, 편성 번호 2의 1계의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a)로부터, 1계의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a)에, 도 22(a)에 도시되는 패킷이 송신된다. 그러나, 본 패킷은, 목적지의 IP 어드레스의 서브네트워크 어드레스가 2계이다. 즉, 10. 2. 0. 0 그대로이며, 이것이 1계의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a)에 송신된다. 그런데, 단말(30y)의 1계의 전송 포트(31)의 서브네트워크는 1계의 10. 1. 0. 0이기 때문에, 이 패킷을 수신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 통신을 할 수 없다.
다음으로, 도 21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30)의 수신부(33), 송신부(3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30x)의 송신부(34)는 송신하는 패킷에 대하여 시퀀스 번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단말(30y)의 2개의 전송 포트(31a, 31b)에 부여된 IP 어드레스를 목적지로 하여, 각각에, 동일한 시퀀스 번호를 부여한 패킷을 송신한다. 그러면, 단말(30y)은 1계, 2계의 전송 포트(31a, 31b)의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시퀀스 번호를 가지는 패킷을 하나씩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30y)의 수신부(33)는 수신한 2개의 패킷을 아래와 같이 취급한다.
(1) 수신한 패킷의 시퀀스 번호가 새로운 것이면 그것을 수신 데이터로서 취급한다.
(2) 그렇지 않으면 파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일방의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20)(20a, 20b)에 고장이 발생하여, 전송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에도, 수신 데이터를 취급하는 단말(30y)에서는, 수신에 관한 처리를 변경하지 않고 처리를 계속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단말(30y)의 수신부(33)는 수신한 2개의 패킷을 아래와 같이 취급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1) 수신한 패킷의 시퀀스 번호가 새로운 것이면, 동일한 시퀀스 번호의 패킷을 수신할 때까지 일정 시간 기다린다.
(2) 일정 시간 이내에 동일한 시퀀스 번호의 패킷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는, 패킷을 파기한다.
(3) 일정 시간 이내에 동일한 시퀀스 번호의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는,
(i) 양자의 패킷의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에 수신 데이터로서 취급한다.
(ii)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파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취급하는 것에 의해, 전송로중에서의 패킷 내용의 의도하지 않는 변화에 의한 오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통신이 실현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19)을 단말(30)과 별도의 장치로서 실현하고 있지만, 편성의 양단의 차량(40)에 탑재되는 단말(30)이 통신 중계 수단(19)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마찬가지로,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는, 편성 변화나 우회로의 전환 등, 동작이 불안정해지기 쉬운 과도기에서도 안정하게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1)가 편성 방향 판단 수단(5), 및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2)을 구비하기 때문에, 2중화된 전송로를 갖고, 편성 방향이 다른 편성끼리 병합되고, 또한 한쪽의 계통에 불량이 생긴 경우에도, 처리를 계속하여 안정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1a, 1b :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
2 :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
3 : 편성 방향 정보 부가 수단
4 : 편성 번호 부가 수단
5 : 편성 방향 판단 수단
15, 15a, 15b : 편성간 전송 포트
15c : 편성내 전송 포트
16 : 편성간 중계 장치 우회 수단
19 : 편성간 통신 중계 수단
20, 20a, 20b :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
21, 21a, 21b : 편성간 전송로
30, 30x, 30y : 단말
31, 31a, 31b : 전송 포트
32 : 기기
33 : 수신부
34 : 송신부
40, 40a, 40b, 40c, 40d : 차량
41 : 편성
101 : 데이터
102 : 송신원 편성 번호
103 : 송신원 편성 방향 정보

Claims (8)

1 이상의 차량으로 구성되는 편성에 설치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과,
동일한 상기 편성내의 상기 단말에 접속되어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편성내 전송로와,
상기 편성내 전송로에 접속되어 상기 편성내의 상기 단말로부터의 상기 정보인 제 1 정보를 수신하여 인접하는 다른 상기 편성으로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고, 인접하는 다른 상기 편성으로부터의 상기 정보인 제 2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편성내의 상기 단말로 상기 제 2 정보를 송신하는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와,
인접하는 편성의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끼리를 접속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편성간 전송로
를 구비하고,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는, 수신한 상기 정보의 송신원의 상기 편성과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가 속하는 상기 편성과의 편성 방향의 차이를 판단하는 편성 방향 판단 수단, 및 상기 편성 방향 판단 수단이 다른 편성 방향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수신한 상기 정보에 포함되는 방향 의존 정보를 반전하도록 상기 정보를 재기록하는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는, 이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가 속하는 편성의 양쪽에 상기 편성이 병합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신한 정보의 송신원의 상기 편성과 다른 다른 인접하는 상기 편성으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는, 다른 편성에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편성 방향을 나타내는 편성 방향 정보를 상기 정보에 부가하는 송신원 편성 방향 부가 수단을 갖고,
편성 방향 판단 수단은, 해당 편성 방향 판단 수단이 속하는 상기 편성의 상기 편성 방향 정보와 수신한 상기 정보의 상기 편성 방향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는, 다른 편성에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가 속하는 상기 편성에 미리 부여된 편성 번호를 상기 정보에 부가하는 편성 번호 부가 수단을 갖고, 수신한 상기 정보의 편성 번호의 변화를 검지하여 변화가 있었던 경우에는, 상기 편성 방향 판단 수단을 기동하여 상기 편성 방향 판단 수단이 판단한 판단 결과를 기억하고,
상기 기억한 판단 결과가 다른 편성 방향인 경우에 방향 의존 정보 재기록 수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성의 양쪽에 다른 편성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양쪽의 상기 편성끼리를 직접 연결하도록 편성간 전송로를 구성하는 중계 장치 우회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 편성간 전송로 및 편성간 통신 중계 장치를 2 계통 구비하고,
단말은 상기 각 계통의 편성내 차량간 전송로에 접속된 2개의 송수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제 6 항에 있어서,
단말은, 정보 송신시에 동일한 번호를 부가한 정보를 2개의 계통의 전송부에서 송신하고, 정보 수신시에 미수신의 상기 번호가 부가된 상기 정보를 처리하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제 6 항에 있어서,
단말은, 정보 송신시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가한 정보를 2개의 계통의 전송부로부터 송신하고, 한쪽의 전송부가 정보 수신시에 미수신의 상기 번호가 부가된 상기 정보의 경우에는, 다른 전송부가 상기 번호가 부가된 상기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일정 시간 기다리고, 상기 정보를 수신하면 2개의 전송부가 수신한 상기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한 상기 정보를 처리하는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KR1020107010347A 2007-12-06 2008-04-22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KR101129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16085 2007-12-06
JPJP-P-2007-316085 2007-12-06
PCT/JP2008/057762 WO2009072313A1 (ja) 2007-12-06 2008-04-22 列車車両間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630A true KR20100075630A (ko) 2010-07-02
KR101129856B1 KR101129856B1 (ko) 2012-03-23

Family

ID=4071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347A KR101129856B1 (ko) 2007-12-06 2008-04-22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254289B2 (ko)
EP (1) EP2219325B1 (ko)
JP (1) JP4738533B2 (ko)
KR (1) KR101129856B1 (ko)
CN (1) CN101809937B (ko)
AT (1) ATE550218T1 (ko)
CA (1) CA2706005C (ko)
ES (1) ES2384591T3 (ko)
HK (1) HK1144860A1 (ko)
TW (1) TWI381962B (ko)
WO (1) WO2009072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7771B (zh) * 2009-01-27 2014-05-28 三菱电机株式会社 列车用通信系统及列车用通信方法
FR2953301B1 (fr) * 2009-12-02 2011-12-09 Airbus Operations Sas Procede et dispositif pour determiner une trajectoire de decollage permettant de maximiser la masse au decollage d'un aeronef
CN101947964B (zh) * 2010-08-24 2013-04-24 河南辉煌科技股份有限公司 列车位置动态跟踪方法
DE102011007588A1 (de) * 2011-04-18 2012-10-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s-Kommunikation zwischen gekoppelten Zugteilen
US8725395B2 (en) * 2012-01-10 2014-05-1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ystem for constructing a spanning forest in a vehicular network
US9037339B2 (en) * 2012-05-29 2015-05-19 Thales Canada Inc. Automatic and vital determination of train length and configuration
JPWO2013179410A1 (ja) * 2012-05-30 2016-01-14 株式会社東芝 鉄道車両用伝送装置、鉄道車両、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4782183B (zh) * 2012-07-17 2020-07-28 泰雷兹加拿大公司 列车内部网络管理系统
CN102808558B (zh) * 2012-08-16 2015-05-20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车门安全回路
US8914189B2 (en) 2012-08-23 2014-12-1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in a vehicle consist
CN105264730B (zh) * 2013-06-10 2018-06-12 三菱电机株式会社 车辆间传输装置
US9096246B2 (en) * 2013-08-23 2015-08-04 Electro-Motive Diesel, Inc. Determining positional relationships between cars in a consist
US8938326B1 (en) * 2013-10-24 2015-01-20 Electro-Motive Diesel, Inc. System and method for expediting data transfer for a locomotive
US11323284B2 (en) 2014-04-21 2022-05-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a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routing table update method
EP3296149B1 (en) * 2015-05-13 2022-06-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n-train transmission control system and relay device
CN109756897B (zh) * 2018-06-13 2021-11-05 云控智行科技有限公司 一种车联网的认证授权机制及系统
JP7257922B2 (ja) * 2019-09-06 2023-04-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情報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62B2 (ja) * 1982-07-01 1995-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上デ−タ伝送システム
JPH071962A (ja) 1993-03-31 1995-01-06 Nissan Shatai Co Ltd 車両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3270298B2 (ja) 1995-07-13 2002-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情報伝送装置
US6172619B1 (en) * 1996-09-13 2001-01-09 New York Air Brake Corporation Automatic train serialization with car orientation
DE69727106T2 (de) * 1996-09-13 2004-11-18 New York Air Brake Corp. Automatische Wagenreihungsbestimmung für Zug mit Orientierung eines Waggons
US5803411A (en) * 1996-10-21 1998-09-08 Abb Daimler-Benz Transportation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izing an automated train control system
JP3904987B2 (ja) * 2002-06-26 2007-04-11 株式会社東芝 データ伝送方法
JP3847705B2 (ja) 2002-12-20 2006-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列車車両間通信中継装置
JP4213621B2 (ja) 2003-06-26 2009-01-21 株式会社東芝 鉄道車両用伝送装置
JP4358608B2 (ja) 2003-11-25 2009-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伝送システム及び情報伝送方法
JP4280155B2 (ja) * 2003-12-01 2009-06-17 株式会社東芝 鉄道車両用伝送装置
JP4455946B2 (ja) 2004-07-02 2010-04-21 三菱電機株式会社 列車搭載情報制御システム
CN2862528Y (zh) * 2005-08-25 2007-01-24 郭亚晋 移动式公用电话及电信业务车
US7705743B2 (en) * 2006-03-01 2010-04-27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Self-assembling wireless network, vehicle communications system, railroad wheel and bearin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81962B (zh) 2013-01-11
EP2219325A1 (en) 2010-08-18
ES2384591T3 (es) 2012-07-09
ATE550218T1 (de) 2012-04-15
CN101809937A (zh) 2010-08-18
JP4738533B2 (ja) 2011-08-03
CN101809937B (zh) 2012-06-20
TW200932591A (en) 2009-08-01
US8254289B2 (en) 2012-08-28
JPWO2009072313A1 (ja) 2011-04-21
WO2009072313A1 (ja) 2009-06-11
CA2706005A1 (en) 2009-06-11
EP2219325B1 (en) 2012-03-21
CA2706005C (en) 2014-06-10
EP2219325A4 (en) 2011-02-16
KR101129856B1 (ko) 2012-03-23
HK1144860A1 (en) 2011-03-11
US20100020723A1 (en) 201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856B1 (ko) 열차 차량간 통신 장치
US9673995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dundant message transmission in an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US20130223204A1 (en) Communication Device for a Redundantly Operable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mmunication Device
WO2003021895A1 (en) Vehicle active network adapted to specific architecture
WO2003021898A1 (en) Vehicle active network with redundant devices
CN102106121A (zh) 用于高可用性网络的环耦合节点
KR101113488B1 (ko) 정보 전송 시스템 및 정보 전송 방법
WO2003021894A1 (en) Vehicle active network with communication path redundancy
WO2003021893A1 (en) Vehicle active network with data redundancy
EP1425884A1 (en) Vehicle active network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paths
WO2003021879A1 (en) Vehicle active network topologies
WO2003021896A1 (en) Vehicle active network with fault tolerant devices
WO2003021910A1 (en) Data packet for a vehicle active network
KR20140001170A (ko) 열차 및 열차의 구성을 안전하게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20150124369A (ko) 중계 시스템 및 스위치 장치
JP2021129278A (ja) 通信システム
WO2003021867A2 (en) Linked vehicle active networks
JP7400820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車載装置および車両通信方法
CN107005593B (zh) 用于借助于以太网标准在机动车辆中传输安全相关数据的方法和控制设备
WO2003021897A1 (en) Vehicle active network with backbone structure
JP4472535B2 (ja) 情報伝送システム、鉄道車両用情報伝送システム及び車両用情報伝送端末装置
WO2003021881A1 (en) Vehicle active network with data encryption
KR20100093499A (ko) 링 네트워크에서의 보호 절체 방법 및 장치
WO2003021892A1 (en) Vehicle active network with reserved portions
CN111656737B (zh) 用于工业自动化系统的无线电通信系统和用于运行无线电通信系统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