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369A - 중계 시스템 및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중계 시스템 및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369A
KR20150124369A KR1020140184259A KR20140184259A KR20150124369A KR 20150124369 A KR20150124369 A KR 20150124369A KR 1020140184259 A KR1020140184259 A KR 1020140184259A KR 20140184259 A KR20140184259 A KR 20140184259A KR 20150124369 A KR20150124369 A KR 20150124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failure
mclag
switch devi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야스다
시게루 쓰보타
Original Assignee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37Ring fault isolation or re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6Repea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20Repeater circuits; Rela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6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notification, e.g. enhancement of specific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66Layer 2 routing, e.g. in Ethernet based M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0/00Multiplex communications
    • Y10S370/901Wide area network
    • Y10S370/902Packet switching
    • Y10S370/903Osi compliant network
    • Y10S370/906Fiber data distribution interface, FDD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가용성의 향상을 용이하게 실현 가능한 중계 시스템 및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제1장해감시부(18)는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의 장해유무를 감시하고, 제2장해감시부(19)는 상위 링크용 포트(Pu1)간의 링네트워크를 통한 통신경로의 장해유무를 감시한다. 제3장해감시부(17)는 MCLAG용 포트(Pm1)의 장해유무를 감시한다. MCLAG 제어부(16)는, 제3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으로부터 장해 있음으로 변화되었을 때에 장해통지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때에 MCLAG 제어부(16)는, 장해통지 프레임을, 제1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인 경우에는 브리지용 포트(Pb)로부터 송신하고, 제1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있음인 경우이고 또한 제2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인 경우에는 상위 링크용 포트(Pu1)로부터 송신한다.

Description

중계 시스템 및 스위치 장치{RELAY SYSTEM AND SWITCH APPARATUS}
본 발명은, 중계 시스템(中繼 system) 및 스위치 장치(switch 裝置)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2대의 스위치 장치를 사용한 장치 중복방식이 적용되는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1대의 네트워크 장치와, 2대의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각 링크에 장치 연결기의 링크 어그리게이션(link aggregation)이 설정된 네트워크 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2대의 네트워크 장치간을 접속하는 전용회선(專用回線)에 장해(障害)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당해 링크 어그리게이션의 경로를 사용하여 대체경로(代替經路)가 구축된다. 또한 2대의 네트워크 장치는, 당해 장치간에서의 경로정보의 동기(同期)와 같은 제어 플레인(制御 plane)에 관해서는 운용계/대기계(運用系/待機系)에서 동작하고, 데이터 플레인(data plane)에 관해서는 양쪽 모두 운용상태에서 사용된다.
특허문헌2에는, 유저망(user網)내의 커스터머 에지(customer edge)와, MPLS망(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網)내의 2대의 프로바이더 에지(provider edge)와의 사이의 각 링크에 장치 연결기의 링크 어그리게이션이 설정된 구성이 나타나 있다. 2대의 프로바이더 에지는, 다른 프로바이더 에지로부터 패킷(packet)을 함께 수신하였을 경우에, 상호간에 미리 이루어진 결정에 의거하여 일방(一方)의 프로바이더 에지만이 커스터머 에지로 패킷을 중계한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250185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209984호 공보
예를 들면 특허문헌1이나 특허문헌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레이어2(layer 2)(이후 L2로 약칭한다)의 처리를 하는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와, 2대의 L2스위치 장치와의 사이에서 장치 연결기의 링크 어그리게이션 그룹(link aggregation group)(이후 LAG로 약칭한다)을 설정함으로써 장치 중복화를 실현시키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2대의 L2스위치 장치는, 장치 연결기의 LAG가 설정된 각 포트를 가상적(假想的)으로 1개의 포트로서 취급한다. 이때의 대표적인 제어내용으로서 2대의 L2스위치 장치는, 장치 연결기의 LAG가 설정된 각 포트 중의 어느 하나에 장해가 발생된 경우에는, 나머지 포트로 통신을 축소시킨다.
이러한 제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 2대의 L2스위치 장치는, 장치 연결기의 LAG가 설정된 각 포트의 상태(대표적으로는 장해유무) 등을 서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 구체적인 방식으로서, 2대의 L2스위치 장치 사이에서 제어 프레임(制御 frame)의 통신을 함으로써 각종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2대의 L2스위치 장치간을 접속하는 통신회선에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장치 연결기의 LAG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대의 L2스위치 장치 사이를 접속하는 통신회선에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LAG의 경로(즉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를 통하는 경로)를 사용하여 대체경로를 구축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는, 보통 LAG가 설정되는 각 포트 사이에서의 프레임의 반환을 금지하고 있지만, 이 반환의 금지를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2대의 L2스위치 장치에 더하여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에도 특수한 기능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것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의 하나는 가용성(可用性)의 향상을 용이하게 실현 가능한 중계 시스템 및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에서 대표적인 실시형태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중계 시스템은 제1∼제4스위치 장치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스위치 장치는, 각각 상위 링크용 포트와, MCLAG용 포트와, 브리지용 포트를 가지고, 브리지용 포트를 통하여 서로 통신회선에 접속된다. 제3스위치 장치는, 제1스위치 장치의 MCLAG용 포트 및 제2스위치 장치의 MCLAG용 포트에 각각 서로 다른 통신회선을 통하여 접속되고, 당해 통신회선의 접속원이 되는 포트에 링크 어그리게이션을 설정한다. 제4스위치 장치는, 제1스위치 장치의 상위 링크용 포트와 제2스위치 장치의 상위 링크용 포트 사이의 통신경로상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스위치 장치와 함께 링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스위치 장치의 각각은, 제1∼제3장해감시부와, MCLAG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1장해감시부는 브리지용 포트간의 통신경로의 장해유무를 감시한다. 제2장해감시부는 상위 링크용 포트간의 링네트워크를 통한 통신경로의 장해유무를 감시한다. 제3장해감시부는 MCLAG용 포트의 장해유무를 감시한다. MCLAG 제어부는, 제3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으로부터 장해 있음으로 변화되었을 때에 장해통지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때에 MCLAG 제어부는, 제1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인 경우에는 장해통지 프레임을 브리지용 포트로부터 송신한다. 한편 MCLAG 제어부는, 제1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있음인 경우이고 또한 제2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인 경우에는 장해통지 프레임을 상위 링크용 포트로부터 송신한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에서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장치 중복방식을 사용한 중계 시스템 및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가용성의 향상을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게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그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그 전제가 되는, 장해가 없는 경우의 개략적인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은,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그 전제가 되는, MCLAG용 포트의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개략적인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는,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그 전제로서 검토된 문제점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는,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장해가 없는 경우의 개략적인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은,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브리지용 포트의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개략적인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은,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브리지용 포트에 더하여 MCLAG용 포트에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개략적인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은,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그 MCLAG장치를 구성하는 L2스위치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9에 있어서, (a)는 도8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테이블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b)는 도8에 있어서의 포트 제어 테이블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0은, 도8에 있어서의 MCLAG용 제어 프레임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의상 그 필요가 있을 때에는 복수의 섹션 또는 실시형태로 분할하여 설명하지만, 특별히 명시하였을 경우를 제외하고 그들은 서로 무관계한 것이 아니라 일방(一方)은 타방(他方)의 일부 또는 전부의 변형예, 상세, 보충설명 등의 관계에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소(要素)의 수(數) 등(개수, 수치, 양, 범위 등을 포함한다)을 언급하는 경우에, 특별히 명시하였을 경우 및 원리적으로 분명하게 특정한 수에 한정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그 특정한 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수 이상이더라도 좋고 이하이더라도 좋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구성요소(요소 스텝 등도 포함한다)는, 특별히 명시하였을 경우 및 원리적으로 분명하게 필수적이라고 생각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반드시 필수적인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마찬가지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성요소 등의 형상, 위치관계 등을 언급할 때에는, 특별히 명시하였을 경우 및 원리적으로 분명하게 그렇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그 형상 등에 근사 또는 유사한 것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것은 상기 수치 및 범위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중계 시스템(中繼 system)의 개략적인 구성》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그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에 나타내는 중계 시스템은, 장치 연결기의 LAG(Link Aggregation Group)가 적용되는 2대의 L2스위치 장치(제1 및 제2스위치 장치)(SWm1, SWm2)와, 유저(user)측의 L2스위치 장치(제3스위치 장치)(SWu1)와, 링(ring) 대응의 복수의 L2스위치 장치(제4스위치 장치)(SWr1, SWr2)를 구비한다.
L2스위치 장치(SWm1, SWm2)의 각각은, 상위 링크용 포트(上位 link用 port)(Pu1)와, MCLAG용 포트(Pm1)와, 브리지용 포트(bridge用 port)(Pb)를 가진다. L2스위치 장치(제1스위치 장치)(SWm1)와 L2스위치 장치(제2스위치 장치)(SWm2) 사이에는, 브리지용 포트(Pb)를 통하여 서로 통신회선(通信回線)(11)에 의하여 접속된다. 통신회선(11)은, 예를 들면 일반적인 통신회선(예를 들면 이더넷(ethernet)(등록상표) 회선)이나 혹은 전용회선(專用回線)으로 구성된다.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제3스위치 장치)(SWu1)는, 복수(여기에서는 2개)의 LAG용 포트(P1, P2)와, 포트(P3)를 가진다. L2스위치 장치(SWu1)는,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용 포트(Pm1) 및 L2스위치 장치(SWm2)의 MCLAG용 포트(Pm1)에 각각 서로 다른 통신회선(10)을 통하여 접속된다. 이 예에서는, LAG용 포트(P1)는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용 포트(Pm1)에 접속되고, LAG용 포트(P2)는 L2스위치 장치(SWm2)의 MCLAG용 포트(Pm1)에 접속된다. 또한 포트(P3)에는, 특별하게 한정은 되지 않지만 단말(端末) 등이 접속된다. 통신회선(10)은 예를 들면 이더넷 회선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L2스위치 장치(제3스위치 장치)(SWu1)는, L2스위치 장치(SWm1, SWm2)와의 사이에 있어서 통신회선(10)의 접속원(接續元)이 되는 LAG용 포트(P1, P2)에 LAG를 설정한다. 또 LAG는, 일반적으로 1대의 장치 사이에서의 복수 개의 통신회선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여기에서는 1대의 장치와 2대의 장치 사이의 복수 개의 통신회선에 적용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장치 연결기의 LAG를, 일반적인 LAG와 구별하여 멀티-샤시 링크 어그리게이션 그룹(multi-chassis link aggregation group)(이후 MCLAG로 약칭한다)이라고 부른다. L2스위치 장치(SWu1)는, LAG용 포트(P1, P2)에 MCLAG1을 설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장치 연결기의 LAG가 적용되는 2대의 L2스위치 장치(SWm1, SWm2)를 총칭하여 MCLAG장치(MSW)라고 부른다.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SWu1)는, MCLAG장치(MSW)를 가상적(假想的)으로 1대의 장치로 간주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L2스위치 장치(SWu1)는, MCLAG와 LAG를 실제로는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MCLAG1이 설정되는 포트(P1, P2)를 LAG용 포트로서 취급한다.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제4스위치 장치)(SWr1, SWr2)는, L2스위치 장치(SWm1)의 상위 링크용 포트(Pu1)와 L2스위치 장치(SWm2)의 상위 링크용 포트(Pu1) 사이의 통신경로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L2스위치 장치(SWr1, SWr2)는, L2스위치 장치(SWm1, SWm2)와 함께 링네트워크(ring network)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L2스위치 장치(SWr1, SWr2)의 각각은, 2개의 상위 링크용 포트(Pu1, Pu2)와, 하위 링크용 포트(下位 link用 port)(Pd1)를 가진다. 이 예에서는, L2스위치 장치(SWr1) 및 L2스위치 장치(SWm1)에 있어서의 상호 상위 링크용 포트(Pu1) 사이와, L2스위치 장치(SWr2) 및 L2스위치 장치(SWm2)에 있어서의 상호 상위 링크용 포트(Pu1) 사이는 각각 통신회선(10)을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r1, SWr2)에 있어서의 상호 상위 링크용 포트(Pu2) 사이도 통신회선(10)을 통하여 접속된다. L2스위치 장치(SWr1, SWr2)의 하위 링크용 포트(Pd1)에는, 특별하게 한정은 되지 않지만 각각 단말 등이 접속된다.
MCLAG장치(MSW)를 구성하는 L2스위치 장치(SWm1, SWm2)와,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1, SWr2)는 소정의 링프로토콜(ring protocol)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기능을 갖춘다. 링프로토콜은 다양한 종류가 널리 알려져 있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링프로토콜에서는, 링네트워크내에서 어느 하나의 포트는 프레임(frame)의 루프(loop)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상태(BK)로 제어된다. 차단상태(BK)로 제어된 포트는, 관리·제어용의 프레임을 제외한 통상의 프레임(본 명세서에서는 유저 프레임(user frame)이라고 부른다)의 통과를 금지시킨다. 다만 차단상태(BK)로 제어된 포트는, 링네트워크내에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프레임(유저 프레임)의 통과를 허가하는 개방상태로 제어된다. 도1에서는, 일례로서 L2스위치 장치(SWr1)의 상위 링크용 포트(Pu2)가 차단상태(BK)로 제어된다.
도1에서는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1, SWr2)가 2대인 경우를 예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대 혹은 3대 이상이더라도 좋다. 또한 MCLAG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설정되더라도 좋다. 즉 MCLAG장치(MSW)를 구성하는 L2스위치 장치(SWm1, SWm2)의 각각은 복수의 MCLAG용 포트를 가지고, 복수의 유저측의 스위치 장치가 각 MCLAG용 포트에 대하여 장치 연결기에 의하여 접속되는 것과 같은 구성이더라도 좋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m1, SWm2)의 각각은, 여기에서는 1개의 MCLAG에 대응하여 1개의 MCLAG용 포트를 가지지만, 1개의 MCLAG에 대응하여 복수의 MCLAG용 포트를 가지는 것과 같은 구성이더라도 좋다.
L2스위치 장치(제1 및 제2스위치 장치)(SWm1, SWm2)의 각각은, MCLAG 테이블(MCLAG table)(12), 중계처리부(中繼處理部)(13), 어드레스 테이블(address table)(FDB), 포트 제어 테이블(port 制御 table)(14), 장해감시부(障害監視部)(15) 및 MCLAG 제어부(16)를 구비한다. MCLAG 테이블(12)은, 자신의 MCLAG용 포트(Pm1)(실제로는 그 포트 식별자(識別子) {Pm1})를 MCLAG 식별자 {MCLAG1}에 대응시켜서 유지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면 {AA}는 「AA」의 식별자(ID)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MCLAG장치에서는, MCLAG 식별자 {MCLAG1}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미리 정해져 있다. MCLAG장치를 구성하는 L2스위치 장치(SWm1, SWm2)의 각각은, 자신의 MCLAG 테이블(12)에서 MCLAG 식별자 {MCLAG1}에 할당되는 자신의 MCLAG용 포트의 포트 식별자 {Pm1}을 정한다.
장해감시부(15)는, MCLAG포트 감시부(MCLAG port 監視部)(17), 브리지 패스 감시부(bridge path 監視部)(18) 및 링패스 감시부(ring path 監視部)(19)를 구비한다. MCLAG포트 감시부(제3장해감시부)(17)는, 자신의 MCLAG용 포트(Pm1)의 장해유무(障害有無)를 감시한다. 브리지 패스 감시부(제1장해감시부)(18)는, MCLAG장치(MSW)에 있어서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의 장해유무를 감시한다. 링패스 감시부(제2장해감시부)(19)는, MCLAG장치(MSW)의 상위 링크용 포트(Pu1)간의 링네트워크를 통한 통신경로의 장해유무를 감시한다.
장해감시부(15)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수신신호의 신호강도를 검출하는 회로나, FLP(Fast Link Pulse) 등의 펄스신호를 검출하는 회로 등을 대표로 하는 하드웨어에 의하여 장해유무를 검출한다. 당해 하드웨어에 더하여 또는 당해 하드웨어를 대신하여, 장해감시부(15)는 소정의 제어 프레임(制御 frame)(예를 들면 헬로 프레임(hello frame))을 사용하여 장해유무를 감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브리지 패스 감시부(제1장해감시부)(18)는, MCLAG장치(MSW)의 브리지용 포트(Pb)간에서 정기적으로 메인 헬로 프레임(main hello frame)(제1제어 프레임)을 통신함으로써 장해유무를 감시한다. 브리지 패스 감시부(18)는, 브리지용 포트(Pb)에서 소정의 기간에 걸쳐서 메인 헬로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를 장해 있음으로 판정한다. 마찬가지로 링패스 감시부(제2장해감시부)(19)는, MCLAG장치(MSW)의 상위 링크용 포트(Pu1)간에서 링네트워크를 통하여 정기적으로 서브 헬로 프레임(sub hello frame)(제2제어 프레임)을 통신함으로써 장해유무를 감시한다. 링패스 감시부(19)는, 상위 링크용 포트(Pu1)에서 소정의 기간에 걸쳐서 서브 헬로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상위 링크용 포트(Pu1)간의 통신경로를 장해 있음으로 판정한다.
MCLAG 제어부(16)는, L2스위치 장치(SWm1, SWm2)를 MCLAG장치(MSW)로서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제어를 한다. 그 하나로서 MCLAG 제어부(16)는, MCLAG포트 감시부(제3장해감시부)(17)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으로부터 장해 있음으로 변화되었을 때에 장해 프레임의 하나인 장해통지 프레임(障害通知 frame)을 송신한다. 이때에 MCLAG 제어부(16)는, 브리지 패스 감시부(제1장해감시부)(18)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인 경우에는, 장해통지 프레임을 브리지용 포트(Pb)로부터 송신한다. 한편 MCLAG 제어부(16)는, 브리지 패스 감시부(18)의 감시결과가 장해 있음인 경우이고 또한 링패스 감시부(제2장해감시부)(19)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인 경우에는, 장해통지 프레임을 상위 링크용 포트(Pu1)로부터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MCLAG 제어부(16)는, 장해가 없는 경우이고 또한 액티브(active)(ACT)로 설정되는 경우에, MCLAG용 포트(Pm1)를 유저 프레임을 대상으로 송신 및 수신 모두 허가하는 송수신허가상태(제1상태)(P)로 제어한다. 한편 MCLAG 제어부(16)는, 장해가 없는 경우이고 또한 스탠바이(standby)(SBY)로 설정되는 경우에, MCLAG용 포트(Pm1)를 유저 프레임을 대상으로 송신 및 수신 모두 금지하는 송수신금지상태(제2상태)(NP)로 제어한다. 또 제2상태는 적어도 송신을 금지하는 상태이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의상 제2상태가 송수신금지상태(NP)인 경우를 예로 한다.
또한 MCLAG 제어부(16)는, 액티브(ACT)로 설정되는 경우이고 또한 장해통지 프레임을 송신하였을 경우에, MCLAG용 포트(Pm1)를 송수신허가상태(P)로부터 송수신금지상태(NP)로 변경한다. 한편 MCLAG 제어부(16)는, 스탠바이(SBY)로 설정되는 경우이고 또한 장해통지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경우에, MCLAG용 포트(Pm1)를 송수신금지상태(NP)로부터 송수신허가상태(P)로 변경한다.
도1의 예에서는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 제어부(16)는, 장해가 없고 또한 액티브(ACT)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MCLAG용 포트(Pm1)를 송수신허가상태(P)로 제어한다. 이때에 당해 MCLAG 제어부(16)는, 예를 들면 각 포트와 각 포트의 제어상태를 관리하는 포트 제어 테이블(14)을 사용하여 MCLAG용 포트(Pm1)를 송수신허가상태(P)로 제어한다. 한편 L2스위치 장치(SWm2)의 MCLAG 제어부(16)는, 장해가 없고 또한 스탠바이(SBY)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MCLAG용 포트(Pm1)를 송수신금지상태(NP)로 제어한다. 이때에 당해 MCLAG 제어부(16)는, 예를 들면 포트 제어 테이블(14)을 사용하여 MCLAG용 포트(Pm1)를 송수신금지상태(NP)로 제어한다.
중계처리부(13)는, 자신의 MCLAG용 포트(Pm1)가 송수신허가상태(제1상태)(P)로 제어되는 경우에(여기에서는 SWm1의 경우에), MCLAG 식별자 {MCLAG1}을 수신처 포트로 하는 프레임을 자신의 MCLAG용 포트(Pm1)로 중계한다. 한편 중계처리부(13)는, 자신의 MCLAG용 포트(Pm1)가 송수신금지상태(제2상태)(NP)로 제어되는 경우에(여기에서는 SWm2의 경우에), MCLAG 식별자 {MCLAG1}을 수신처 포트로 하는 프레임을 브리지용 포트(Pb)로 중계한다.
여기에서 프레임의 수신처 포트는 어드레스 테이블(FDB)의 검색결과에 의거하여 정해진다. 어드레스 테이블(FDB)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포트와, 당해 포트의 앞에 존재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어드레스와의 대응관계를 유지한다. 중계처리부(13)는, 당해 어드레스 테이블(FDB)에 대하여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처리를 한다.
우선 중계처리부(13)는, 프레임을 수신한 포트가 자신의 MCLAG용 포트(Pm1)인 경우에, 당해 MCLAG용 포트에 대응하는 MCLAG 식별자 {MCLAG1}을 수신포트 식별자로서 정한다. 중계처리부(13)는, 당해 프레임에 포함되는 송신원 MAC어드레스(送信元 MAC address)를 수신포트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한다. 또한 중계처리부(13)는, 소정의 포트에서 수신한 프레임에 포함되는 수신처 MAC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수신처 포트를 어드레스 테이블(FDB)로부터 검색한다.
중계처리부(13)는, 당해 검색결과에 의거하여 수신처 MAC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수신처 포트가 MCLAG 식별자인 경우이고 또한 당해 MCLAG 식별자에 대응하는 자신의 MCLAG용 포트가 송수신금지상태(NP)로 제어되는 경우에, 수신포트 식별자를 부가한 프레임을 브리지용 포트(Pb)로 중계한다. 또한 중계처리부(13)는, 수신포트 식별자가 부가된 프레임을 브리지용 포트(Pb)에서 수신하였을 경우에, 당해 프레임에 포함되는 송신원 MAC어드레스를 당해 프레임에 부가된 수신포트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한다.
이러한 중계처리부(13) 및 MCLAG 제어부(16)의 동작에 의하여 MCLAG장치(MSW)를 구성하는 L2스위치 장치(SWm1, SWm2)를, 액티브/스탠바이 형의 MCLAG장치로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개의 MCLAG용 포트(Pm1) 중에서 일방(여기에서는 SWm1측)으로부터만 프레임이 송신되기 때문에, MCLAG1에 있어서 프레임의 반환이나 중복송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측의 MCLAG용 포트(Pm1)에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장해통지 프레임에 따라서 L2스위치 장치(SWm1, SWm2)에 있어서의 각 MCLAG용 포트(Pm1)의 제어상태를 교체할 수 있다.
다만 MCLAG장치의 실현방식은,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외의 실현방식이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액티브/액티브 형의 MCLAG장치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MCLAG장치는, 각 프레임 별로 2개의 MCLAG용 포트(Pm1) 중에서 어느 일방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제어나, 프레임의 반환이나 중복송신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를 할 필요가 있다. MCLAG용 포트(Pm1)에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이더라도 이러한 제어를 적절하게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각 L2스위치 장치(SWm1, SWm2)는, 도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장해통지 프레임을 사용하여 각 MCLAG용 포트(Pm1)의 장해유무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중계 시스템의 전제동작(장해 없음시)》
도2는,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그 전제가 되는, 장해가 없는 경우의 개략적인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에서는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SWu1)의 포트(P3)에 접속되는 단말과,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2)의 하위 링크용 포트(Pd1)에 접속되는 단말과의 사이에서 프레임을 통신하는 경우를 예로 한다. 여기에서 L2스위치 장치(SWu1)는, L2스위치 장치(SWm2)의 MCLAG용 포트(Pm1)의 송수신금지상태(NP)를 미리 인식하여, MCLAG1로 프레임을 송신할 때에 있어서 송신 포트의 선택사항(P1, P2)으로부터 LAG용 포트(P2)를 제외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SWu1)가, 포트(P3)에서 수신한 프레임(FL1a)을 LAG용 포트(P1)로 중계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L2스위치 장치(SWm1)는, MCLAG용 포트(Pm1)에서 프레임(FL1a)을 수신하고, 도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FL1a)의 송신원 MAC어드레스를 수신포트 식별자 {MCLAG1}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한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m1)는, 프레임(FL1a)의 수신처 MAC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수신처 포트를 어드레스 테이블(FDB)로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로서 브리지용 포트(Pb)의 포트 식별자 {Pb}를 얻는다. 즉 여기에서는, 링네트워크에 있어서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1)에 있어서의 상위 링크용 포트(Pu2)가 차단상태(BK)로 제어되기 때문에, L2스위치 장치(SWm1)는 당해 수신처 MAC어드레스를 브리지용 포트의 포트 식별자 {Pb}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하고 있다. L2스위치 장치(SWm1)는, 수신처 포트의 검색결과에 의거하여 도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수신포트 식별자 {MCLAG1}을 부가한 프레임(FL1a)을 브리지용 포트(Pb)로 중계한다.
L2스위치 장치(SWm2)는, 수신포트 식별자 {MCLAG1}이 부가된 프레임(FL1a)을 브리지용 포트(Pb)에서 수신하고, 그 송신원 MAC어드레스를 당해 수신포트 식별자 {MCLAG1}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한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m2)는, 프레임(FL1a)의 수신처 MAC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수신처 포트를 어드레스 테이블(FDB)로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로서 상위 링크용 포트(Pu1)의 포트 식별자 {Pu1}을 얻는다. L2스위치 장치(SWm2)는, 수신처 포트의 검색결과에 의거하여 프레임(FL1a)을 상위 링크용 포트(Pu1)로 중계한다.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2)는, 프레임(FL1a)을 상위 링크용 포트(Pu1)에서 수신하고, 그 송신원 MAC어드레스를 포트 식별자 {Pu1}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을 학습한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r2)는, 프레임(FL1a)의 수신처 MAC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수신처 포트를 어드레스 테이블(FDB)로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에 의거하여 프레임(FL1a)을 하위 링크용 포트(Pd1)로 중계한다.
다음에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2)가, 하위 링크용 포트(Pd1)에서 수신한 프레임(FL1b)을 상위 링크용 포트(Pu1)로 중계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L2스위치 장치(SWm2)는, 상위 링크용 포트(Pu1)에서 프레임(FL1b)을 수신하고, 프레임(FL1b)의 송신원 MAC어드레스를 포트 식별자 {Pu1}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한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m2)는, 프레임(FL1b)의 수신처 MAC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수신처 포트를 어드레스 테이블(FDB)로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로서 MCLAG 식별자 {MCLAG1}을 얻는다. L2스위치 장치(SWm2)는, MCLAG 식별자 {MCLAG1}에 대응하는 자신의 MCLAG용 포트(Pm1)가 송수신금지상태(NP)로 제어되기 때문에, 도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FL1b)을 브리지용 포트(Pb)로 중계한다.
L2스위치 장치(SWm1)는, 프레임(FL1b)을 브리지용 포트(Pb)에서 수신하고, 그 송신원 MAC어드레스를 포트 식별자 {Pb}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한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m1)는, 프레임(FL1b)의 수신처 MAC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수신처 포트를 어드레스 테이블(FDB)로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로서 MCLAG 식별자 {MCLAG1}을 얻는다. L2스위치 장치(SWm1)는, MCLAG 식별자 {MCLAG1}에 대응하는 자신의 MCLAG용 포트(Pm1)가 송수신허가상태(P)로 제어되기 때문에 프레임(FL1b)을 MCLAG용 포트(Pm1)로 중계한다.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SWu1)는, 프레임(FL1b)을 LAG용 포트(P1)에서 수신하고, 어드레스 테이블의 학습 및 검색을 거쳐서 당해 프레임(FL1b)을 포트(P3)로 중계한다.
《중계 시스템의 전제동작(MCLAG용 포트의 장해발생시)》
도3은,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그 전제가 되는, MCLAG용 포트의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개략적인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에서는 도2에 나타낸 장해 없음시의 상태로부터,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용 포트(Pm1)에 접속되는 통신회선(10)에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를 예로 한다. 우선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포트 감시부(17)는, MCLAG용 포트(Pm1)의 장해발생을 검출한다(스텝(S11)).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 제어부(16)는, 당해 장해발생의 검출에 따라 그 장해발생 장소(예를 들면 SWm1의 {MCLAG1})의 정보를 포함시킨 장해통지 프레임(TRf)을 브리지용 포트(Pb)로 송신한다(스텝(S12)).
또한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 제어부(16)는, 장해통지 프레임(TRf)을 송신했기 때문에 MCLAG용 포트(Pm1)를 송수신허가상태(P)에서 바꾸어 송수신금지상태(NP)로 제어한다(스텝(S13)). 한편 L2스위치 장치(SWm2)의 MCLAG 제어부(16)는, 장해통지 프레임(TRf)을 수신했기 때문에 그 장해발생 장소(SWm1의 {MCLAG1})와의 사이에서 동일한 MCLAG를 구성하는 자신의 MCLAG용 포트(Pm1)를 송수신금지상태(NP)에서 바꾸어 송수신허가상태(P)로 제어한다(스텝(S13)).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SWu1)는, LAG용 포트(P1)의 장해발생을 검출하고 또한 L2스위치 장치(SWm2)의 MCLAG용 포트(Pm1)의 송수신허가상태(P)를 인식한다. 그 결과 L2스위치 장치(SWu1)는, MCLAG1로 프레임을 송신할 때에 있어서 송신 포트의 선택사항으로부터 LAG용 포트(P1)를 제외하고 또한 당해 선택사항에 LAG용 포트(P2)를 더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선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SWu1)가, 포트(P3)에서 수신한 프레임(FL2a)을 LAG용 포트(P2)로 중계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L2스위치 장치(SWm2)는, MCLAG용 포트(Pm1)에서 프레임(FL2a)을 수신하고, 프레임(FL2a)의 송신원 MAC어드레스를 수신포트 식별자 {MCLAG1}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한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m2)는, 프레임(FL2a)의 수신처 MAC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수신처 포트를 어드레스 테이블(FDB)로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로서 상위 링크용 포트(Pu1)의 포트 식별자 {Pu1}을 얻는다. 즉 링네트워크에 있어서 차단상태(BK)의 포트의 위치에 따라 L2스위치 장치(SWm2)는, 당해 수신처 MAC어드레스를 상위 링크용 포트의 포트 식별자 {Pu1}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하고 있다. L2스위치 장치(SWm2)는, 수신처 포트의 검색결과에 의거하여 프레임(FL2a)을 상위 링크용 포트(Pu1)로 중계한다.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2)는, 프레임(FL2a)을 상위 링크용 포트(Pu1)에서 수신하고, 그 송신원 MAC어드레스를 포트 식별자 {Pu1}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을 학습한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r2)는, 프레임(FL2a)의 수신처 MAC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수신처 포트를 어드레스 테이블(FDB)로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에 의거하여 프레임(FL2a)을 하위 링크용 포트(Pd1)로 중계한다.
다음에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2)가, 하위 링크용 포트(Pd1)에서 수신한 프레임(FL2b)을 상위 링크용 포트(Pu1)로 중계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L2스위치 장치(SWm2)는, 상위 링크용 포트(Pu1)에서 프레임(FL2b)을 수신하고, 프레임(FL2b)의 송신원 MAC어드레스를 포트 식별자 {Pu1}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한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m2)는, 프레임(FL2b)의 수신처 MAC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수신처 포트를 어드레스 테이블(FDB)로부터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로서 MCLAG 식별자 {MCLAG1}을 얻는다. L2스위치 장치(SWm2)는, MCLAG 식별자 {MCLAG1}에 대응하는 자신의 MCLAG용 포트(Pm1)가 송수신허가상태(P)로 제어되기 때문에 프레임(FL2b)을 MCLAG용 포트(Pm1)로 중계한다.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SWu1)는, 프레임(FL2b)을 LAG용 포트(P2)에서 수신하고, 어드레스 테이블의 학습 및 검색을 거쳐서 당해 프레임(FL2b)을 포트(P3)로 중계한다.
《중계 시스템의 전제동작(문제점의 일례)》
도4는,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그 전제로서 검토된 문제점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의 예에서는, 우선 MCLAG장치(MSW)의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회선(11)에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스텝(S21)).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1)는, 이 링네트워크내의 장해에 따라 상위 링크용 포트(Pu2)를 차단상태(BK)로부터 유저 프레임의 통과를 허가하는 개방상태(OP)로 변경한다(스텝(S22)).
이러한 상태에서, 도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용 포트(Pm1)에 접속되는 통신회선(10)에 장해가 더 발생하였을 경우를 상정한다. L2스위치 장치(SWm1)는, MCLAG용 포트(Pm1)의 장해발생을 검출하였지만(스텝(S23)), 브리지용 포트(Pb)의 장해에 따라 도3의 경우와 같이 브리지용 포트(Pb)로부터 장해통지 프레임(TRf)을 송신할 수 없다. 그 결과 L2스위치 장치(SWm2)의 MCLAG용 포트(Pm1)는, 송수신금지상태(NP)를 유지한다.
그러면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SWu1)는, 포트(P3)에서 수신한 프레임(FL3a)을 MCLAG1로 송신할 때에 송신 포트의 선택사항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SWu1)에 있어서의 포트(P3)의 단말로부터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2)에 있어서의 하위 링크용 포트(Pd1)의 단말을 향한 통신경로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또한 그 역방향의 통신경로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2)가 포트(P3)에서 수신한 프레임(FL3b)을 플러딩(flooding)하였을 경우이더라도, 당해 프레임(FL3b)은 수신처의 단말에 도달하지 않는다.
그래서 예를 들면 MCLAG장치(MSW)를 구성하는 L2스위치 장치(SWm1, SWm2)의 각각이 브리지용 포트(Pb)의 장해발생을 검출했을 때에, 자신의 MCLAG용 포트(Pm1)를 송수신허가상태(P)로 제어하는 것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L2스위치 장치(SWm2)의 MCLAG용 포트(Pm1)가 송수신허가상태(P)로 제어되기 때문에, 상기한 각 단말간의 통신경로가 확보된다. 다만 이러한 제어는 스텝(S23)의 장해가 있는 경우에는 특별히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당해 장해가 없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당해 장해가 없는 상태에서 L2스위치 장치(SWm2)의 MCLAG용 포트(Pm1)가 송수신허가상태(P)로 제어되면, 예를 들면 L2스위치 장치(SWu1→SWm2→SWr2→SWr1→SWm1→SWu1)의 루프경로가 발생해 버린다.
《중계 시스템의 동작(장해 없음시)》
도5는,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장해가 없는 경우의 개략적인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MCLAG장치(MSW)를 구성하는 L2스위치 장치(SWm1, SWm2)의 브리지 패스 감시부(18)는, 서로 브리지용 포트(Pb)로부터 메인 헬로 프레임(제1제어 프레임)(HLm)을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m1, SWm2)의 링패스 감시부(19)는, 서로 상위 링크용 포트(Pu1)로부터 서브 헬로 프레임(제2제어 프레임)(HLs)을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이때에 링네트워크내에서는,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의 설정 등에 의하여 L2스위치 장치(SWr1)의 상위 링크용 포트(Pu2)를 포함시켜서 서브 헬로 프레임(HLs)의 통과를 허가하도록 설정된다.
브리지 패스 감시부(18)는 메인 헬로 프레임(HLm)을 그 송신간격에 따른 소정의 기간내에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의하여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를 감시하고, 링패스 감시부(19)도 서브 헬로 프레임(HLs)을 소정의 기간내에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위 링크용 포트(Pu1)간의 통신경로를 감시한다. 또 브리지 패스 감시부(18) 및 링패스 감시부(19)의 감시방법은, 도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헬로 프레임을 사용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에 의한 검출회로를 사용하는 방법을 병용하더라도 좋다.
도5의 경우에 L2스위치 장치(SWm1)는, 메인 헬로 프레임(HLm)(및 서브 헬로 프레임(HLs))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를 장해 없음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러한 상태에서 도3의 스텝(S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L2스위치 장치(SWm1)는 도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브리지용 포트(Pb)로부터 장해통지 프레임(TRf)을 송신하고, 이후에 도3의 경우와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중계 시스템의 동작(브리지용 포트의 장해발생시)》
도6은,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브리지용 포트의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개략적인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의 예에서는,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회선(11)에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 L2스위치 장치(SWm1)의 브리지 패스 감시부(18)는, 메인 헬로 프레임(HLm)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를 장해 있음으로 판정한다(스텝(S31)). 또한 L2스위치 장치(SWm1)의 링패스 감시부(19)는, 서브 헬로 프레임(HLs)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상위 링크용 포트(Pu1)간의 통신경로를 장해 없음으로 판정한다.
또 더 상세하게는, 통신경로에는 송신경로와 수신경로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L2스위치 장치(SWm2)는, L2스위치 장치(SWm1)로부터의 메인 헬로 프레임(HLm)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L2스위치 장치(SWm1)를 향해서 수신불가의 정보를 더한 메인 헬로 프레임(HLm)을 송신한다. L2스위치 장치(SWm1)는, L2스위치 장치(SWm2)로부터의 메인 헬로 프레임(HLm)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더하여, 이 수신불가의 정보가 더하여진 메인 헬로 프레임(HLm)을 수신하였을 경우에도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를 장해 있음으로 판정한다. 또한 이러한 처리는 서브 헬로 프레임(HLs)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1)는, 이 링네트워크내의 장해(스텝(S31))를 검출하여 상위 링크용 포트(Pu2)를 차단상태(BK)로부터 개방상태(OP)로 변경한다(스텝(S32)). 구체적인 검출방법은, 링프로토콜에 따라 다르지만 대표적으로는 헬로 프레임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트랩 프레임(trap frame)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전자(前者)의 방법에서는, L2스위치 장치(SWr1)는 예를 들면 상위 링크용 포트(Pu2)로부터 정기적으로 헬로 프레임을 송신하고, 그것을 상위 링크용 포트(Pu1)에서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의하여 장해를 검출한다. 후자(後者)의 방법에서는, 링네트워크내에서의 포트의 장해를 하드웨어 등에 의하여 검출한 L2스위치 장치(여기에서는 SWm1, SWm2)가 링네트워크내로 트랩 프레임을 송신하고, L2스위치 장치(SWr1)는 당해 트랩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장해를 검출한다.
《중계 시스템의 동작(브리지용 포트 및 MCLAG용 포트의 장해발생시)》
도7은,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브리지용 포트에 더하여 MCLAG용 포트에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개략적인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에서는 도6의 상태로부터,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용 포트(Pm1)에 접속되는 통신회선(10)에 장해가 더 발생하였을 경우를 예로 한다.
우선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포트 감시부(17)는, MCLAG용 포트(Pm1)의 장해발생을 검출한다(스텝(S41)).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 제어부(16)는, 당해 장해발생의 검출에 따라 그 장해발생 장소(예를 들면 SWm1의 {MCLAG1})의 정보를 포함시킨 장해통지 프레임(TRf)을 송신한다. 이때에 당해 MCLAG 제어부(16)는, 브리지 패스 감시부(18)의 감시결과가 장해 있음이고, 링패스 감시부(19)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이기 때문에, 장해통지 프레임(TRf)을 상위 링크용 포트(Pu1)로부터 송신한다(스텝(S42)). 이때에 링네트워크내에서는, 서브 헬로 프레임(HLs)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리 장해통지 프레임(TRf)에 대한 통과를 허가하는 것과 같은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 제어부(16)는, 장해통지 프레임(TRf)을 송신했기 때문에, MCLAG용 포트(Pm1)를 송수신허가상태(P)에서 바꾸어 송수신금지상태(NP)로 제어한다(스텝(S43)). 한편 L2스위치 장치(SWm2)의 MCLAG 제어부(16)는, 상위 링크용 포트(Pu1)에서 장해통지 프레임(TRf)을 수신했기 때문에, 그 장해발생 장소(SWm1의 {MCLAG1})와의 사이에서 동일한 MCLAG를 구성하는 자신의 MCLAG용 포트(Pm1)를 송수신금지상태(NP)에서 바꾸어 송수신허가상태(P)로 제어한다(스텝(S43)).
그 결과 도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FL2a, FL2b)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즉 도4의 경우와 달리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SWu1)의 포트(P3)에 접속되는 단말과,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2)의 하위 링크용 포트(Pd1)에 접속되는 단말과의 사이에서 쌍방향의 통신경로가 형성된다. 이때에 L2스위치 장치(SWm2)는, 장해통지 프레임(TRf)에 의거하여 MCLAG용 포트(Pm1)를 송수신허가상태(P)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도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루프경로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 본 실시형태의 중계 시스템 및 스위치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대표적으로는 가용성(可用性)의 향상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에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이더라도, 링네트워크를 이용하여 MCLAG장치(MSW)내의 통신을 함으로써 MCLAG장치로서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용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이때에는, 특허문헌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MCLAG장치(MSW)를 제외한 L2스위치 장치에 특수한 기능을 실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용성의 향상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즉 유저측의 L2스위치 장치(SWu1)는, 특허문헌1과 같이 MCLAG1에 있어서 반환의 금지를 해제하는 것과 같은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1, SWr2)는 간단하게 서브 헬로 프레임(HLs)이나 장해통지 프레임(TRf) 등을 링네트워크내에 중계하면 되어, 이러한 처리는 VLAN 등의 일반적인 기능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실현된다.
또 여기에서는, MCLAG장치(MSW)는 메인 헬로 프레임(HLm) 및 서브 헬로 프레임(HLs)을 함께 정기적으로 송신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브 헬로 프레임(HLs)을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에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즉 MCLAG장치(MSW)는, 대체경로의 필요성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당해 경로의 장해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 서브 헬로 프레임(HLs)을 송신한다. 다만 이 경우에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절체동작(切替動作)에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양쪽의 헬로 프레임을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의 링프로토콜에 의하여 링네트워크의 장해를 검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서브 헬로 프레임(HLs)의 송신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1의 링패스 감시부(19)는, 소정의 링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장해발생이나 장해회복이 발생했을 때에 링네트워크내로 송신되는 트랩 프레임 등을 검출함으로써, 상위 링크용 포트(Pu1)간의 통신경로의 장해유무를 판별하더라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링네트워크내의 차단상태(BK)의 포트를 L2스위치 장치(SWr1)의 상위 링크용 포트(Pu2)에 설치하였지만, MCLAG장치(MSW)의 상위 링크용 포트(Pu1)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MCLAG장치(MSW)는, 링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헬로 프레임을 사용하여 링네트워크내의 소통성(疏通性)을 감시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 링프로토콜에 의거하는 헬로 프레임과, MCLAG의 제어에서 사용하는 서브 헬로 프레임(HLs)을 공통화(共通化)할 수도 있다.
《스위치 장치의 구성》
도8은, 도1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그 MCLAG장치를 구성하는 L2스위치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9(a)는 도8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테이블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9(b)는 도8에 있어서의 포트 제어 테이블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8에 나타내는 L2스위치 장치(제1 또는 제2스위치 장치)(SWm)는, 복수의 MCLAG용 포트(Pm1, Pm2, …)와, 상위 링크용 포트(Pu1)와, 브리지용 포트(Pb)와, 각종 처리부 및 각종 테이블을 구비한다.
복수의 MCLAG용 포트(Pm1, Pm2, …)의 각각은,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MCLAG용 포트로 구성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MCLAG용 포트(Pm1)는, 2개의 MCLAG용 포트(Pm1[1], Pm1[2])로 구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위 링크용 포트(Pu1)나 브리지용 포트(Pb)의 각각도,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포트로 구성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상위 링크용 포트(Pu1)는, LAG가 설정되는 2개의 상위 링크용 포트(Pu1[1], Pu1[2])로 구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m)는, MCLAG가 설정되지 않는 통상의 포트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각종 처리부 및 각종 테이블에 관하여 설명한다.
인터페이스부(interface部)(25)는, 프레임 식별부(frame 識別部)(28)와, 장해검출부(29)를 구비하고, 각 포트(MCLAG용 포트(Pm1, Pm2, …), 상위 링크용 포트(Pu1), 브리지용 포트(Pb)) 사이에서 프레임의 송신 또는 수신을 한다. 프레임 식별부(28)는, 수신된 프레임에 대하여 유저 프레임인지, 링용 제어 프레임인지, MCLAG용 제어 프레임인지의 식별을 한다. 특별하게 한정은 되지 않지만 프레임 식별부(28)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프레임 타입이나 수신처 MAC어드레스(예를 들면 MCLAG장치가 수신처인지 여부) 등에 의하여 프레임을 식별한다.
유저 프레임이란,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낸 프레임(FL1a)과 같은 일반적인 프레임을 의미한다. 링용 제어 프레임이란, 소정의 링프로토콜에 의거하는 각종 제어 프레임을 의미한다. MCLAG용 제어 프레임이란, 도5에 나타낸 메인 헬로 프레임(HLm)이나, 서브 헬로 프레임(HLs)이나, 도3 및 도7에 나타낸 장해통지 프레임(TRf) 및 후술하는 장해회복 프레임 등을 의미한다.
장해검출부(29)는, 도1에서 기술한 장해감시부(15)의 일부의 기능을 담당한다. 장해검출부(29)는, 수신신호의 신호강도의 검출회로나 FLP 등의 펄스신호의 검출회로와 같은 하드웨어에 의하여 각 포트(MCLAG용 포트(Pm1, Pm2, …), 상위 링크용 포트(Pu1), 브리지용 포트(Pb))의 장해발생 및 장해회복을 검출한다. 또한 장해검출부(29)는, 예를 들면 이더넷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의 기능을 갖추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장해검출부(29)는, 예를 들면 이더넷 OAM에 의거하여 CC(Continuity Check)기능을 사용하여 MCLAG용 포트(Pm1, Pm2)의 장해유무를 감시한다.
인터페이스부(25)는, 예를 들면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경우에 당해 프레임에, 수신된 포트의 포트 식별자(수신포트 식별자)를 부가하고, 그것을 프레임 식별부(28)의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처리부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인터페이스부(25)는, 대상이 되는 프레임이 유저 프레임인 경우에는 그것을 중계처리부(13)로 송신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5)는, 대상이 되는 프레임이 링용 제어 프레임인 경우에는 그것을 링프로토콜 제어부(26)로 송신하고, MCLAG용 제어 프레임인 경우에는 그것을 MCLAG 제어부(16)로 송신한다.
링프로토콜 제어부(26)는, 소정의 링프로토콜에 의거하여 각종 제어 및 각종 처리를 한다. 일례로서 링프로토콜 제어부(26)는, 도6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장해검출부(29)에 의하여 링네트워크내의 포트(여기에서는 상위 링크용 포트(Pu1) 및 브리지용 포트(Pb))의 장해발생이나 장해회복이 검출된 경우에, 링네트워크내로 트랩 프레임을 송신한다. 또한 링프로토콜 제어부(26)는,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링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제어 포트의 상태가 차단상태(BK)와 개방상태(OP) 사이에서 천이(遷移)되었을 때에 생성되는 어드레스 테이블(FDB)의 플래시 명령(flash 命令) 등을 수신하고, 당해 플래시 명령을 실행한다. 또한 링프로토콜 제어부(26)는, 링프로토콜에 의거하여 헬로 프레임 등의 중계를 한다.
또한 링프로토콜 제어부(26)는, 자신이 링네트워크의 마스터 장치(master 裝置)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상위 링크용 포트(Pu1)에서 정기적으로 헬로 프레임의 송신 및 수신을 한다. 이 경우에 링프로토콜 제어부(26)는, 링네트워크내의 장해유무에 따라 포트 제어 테이블(14)을 사용하여 상위 링크용 포트(Pu1)의 차단상태(BK) 또는 개방상태(OP)를 제어한다.
ACT/SBY 유지부(27)는, 관리자 등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장치단위 또는 MCLAG용 포트 단위에서의 액티브(ACT) 또는 스탠바이(SBY)의 설정정보를 유지한다. MCLAG 테이블(12)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신의 MCLAG용 포트(예를 들면 Pm1)를 당해 MCLAG용 포트의 MCLAG 식별자 {MCLAG1}에 대응시켜서 유지한다.
MCLAG 제어부(16)는, 헬로 프레임 처리부(30) 및 장해 프레임 처리부(31)를 구비하여, 도1∼도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MCLAG장치(MSW)를 적절하게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제어 및 각종 처리를 한다. 헬로 프레임 처리부(30)는, 도6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메인 헬로 프레임(HLm) 및 서브 헬로 프레임(HLs)의 정기적인 송신 및 수신을 하여, 이에 따라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 및 상위 링크용 포트(Pu1)간의 통신경로를 감시한다. 즉 헬로 프레임 처리부(30)는, 도1에서 기술한 장해감시부(15)(브리지 패스 감시부(18) 및 링패스 감시부(19))의 다른 일부의 기능을 담당한다.
장해 프레임 처리부(31)는, 장해검출부(29)에 의하여 MCLAG용 포트(Pm1, Pm2, …)의 장해발생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도3 및 도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자신과 함께 MCLAG장치(MSW)를 구성하는 L2스위치 장치(본 명세서에서는 피어 장치(peer 裝置)라고 부른다)를 향해서 장해 프레임의 하나가 되는 장해통지 프레임(TRf)을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장해 프레임 처리부(31)는, 장해검출부(29)에 의하여 MCLAG용 포트(Pm1, Pm2, …)의 장해회복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피어 장치를 향하여 장해 프레임의 다른 하나가 되는 장해회복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때에 장해 프레임 처리부(31)는, 장해 프레임의 송신 포트를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의 장해유무 및 상위 링크용 포트(Pu1)간의 통신경로의 장해유무에 의거하여 정한다. 또한 장해 프레임 처리부(31)는 피어 장치로부터의 장해 프레임을 수신한다.
MCLAG 제어부(16)는, 도2 등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ACT/SBY 유지부(27)에 의하여 유지되는 정보(액티브(ACT)인지 스탠바이(SBY)인지)에 의거하여 포트 제어 테이블(14)을 사용하여 MCLAG용 포트(Pm1, Pm2, …)의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MCLAG 제어부(16)는, 도3 및 도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ACT/SBY 유지부(27)에 의하여 유지되는 정보와, 장해통지 프레임(TRf)의 송신측인지 수신측인지에 따라 포트 제어 테이블(14)을 사용하여 MCLAG용 포트(Pm1, Pm2, …)의 상태를 제어한다.
포트 제어 테이블(14)은, 도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포트 식별자 또는 MCLAG 식별자와, 그것에 대응하는 포트(MCLAG용 포트를 포함한다)의 제어상태를 관리한다. 도9(b)에서는, 도8의 MCLAG용 포트(Pm1, Pm2)에 각각 MCLAG 식별자 {MCLAG1}, {MCLAG2}가 할당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이들이 함께 송수신허가상태(P)로 제어되어 있다.
중계처리부(13)는, 인터페이스부(25)로부터의 유저 프레임을 대상으로 하여 도1∼도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 테이블(FDB)의 학습 및 검색을 함과 아울러, 포트 제어 테이블(14)의 정보를 반영하여 수신처 포트를 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드레스 테이블(FDB)의 학습에 있어서 중계처리부(13)는, 유저 프레임의 송신원 MAC어드레스를 인터페이스부(25)에서 부가된 수신포트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한다. 이때에 중계처리부(13)는, MCLAG 테이블(12)에 의거하여 수신포트 식별자가 MCLAG용 포트의 포트 식별자인 경우에는, 당해 포트 식별자를 MCLAG 식별자로 치환하여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한다.
또한 중계처리부(13)는, 수신포트 식별자(MCLAG 식별자)가 부가된 유저 프레임을 브리지용 포트(Pb)에서 수신하였을 경우에, 그 송신원 MAC어드레스를 당해 수신포트 식별자에 대응시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학습한다. 그 결과 어드레스 테이블(FDB)은, 도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포트와, 당해 포트의 앞에 존재하는 MAC어드레스와의 대응관계를 유지한다. 도9(a)에 있어서 포트는, 포트 식별자(예를 들면 {Pb}) 혹은 MCLAG 식별자(예를 들면 {MCLAG1})로서 유지된다. 또 어드레스 테이블(FDB)은, 실제로는 MAC어드레스에 더하여 VLAN 식별자도 유지한다.
한편 어드레스 테이블(FDB)의 검색에 있어서 중계처리부(13)는, 유저 프레임의 수신처 MAC어드레스(및 VLAN 식별자)를 검색키(檢索key)로서 어드레스 테이블(FDB)을 검색하여, 수신처 포트를 취득한다. 중계처리부(13)는, 포트 제어 테이블(14)에 의거하여 당해 수신처 포트의 제어상태를 판별한 뒤에 최종적인 수신처 포트 등을 정한다. 예를 들면 중계처리부(13)는, 검색결과에 의한 수신처 포트가 MCLAG 식별자이며, 포트 제어 테이블(14)에 의거하여 당해 MCLAG 식별자의 제어상태가 송수신허가상태(P)인 경우에는, 당해 MCLAG 식별자에 대응하는 MCLAG용 포트를 최종적인 수신처 포트로서 정한다. 중계처리부(13)는, 유저 프레임에 당해 MCLAG용 포트의 포트 식별자를 수신처 포트 식별자로서 부가하고, 그것을 인터페이스부(25)로 송신한다.
한편 중계처리부(13)는, 검색결과에 의거하여 수신처 포트가 MCLAG 식별자이며, 포트 제어 테이블(14)에 의거하여 당해 MCLAG 식별자의 제어상태가 송수신금지상태(NP)인 경우에는, 브리지용 포트(Pb)를 최종적인 수신처 포트로 정한다. 중계처리부(13)는, 유저 프레임에 브리지용 포트(Pb)의 포트 식별자 {Pb}를 수신처 포트 식별자로서 부가하고, 그것을 인터페이스부(25)로 송신한다. 인터페이스부(25)는, 중계처리부(13)로부터의 유저 프레임을 수신처 포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포트로부터 송신한다.
《MCLAG용 제어 프레임의 구조》
도10은, 도8에 있어서의 MCLAG용 제어 프레임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0에 나타내는 MCLAG용 제어 프레임은, 일반적인 이더넷 프레임에 준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10의 MCLAG용 제어 프레임은, 수신처 MAC어드레스(35), 송신원 MAC어드레스(36), VLAN 식별자(VID)(37), 이더넷 타입(ethernet type)(38), 프레임 타입(frame type)(39) 및 MCLAG데이터(40) 등을 포함한다.
VLAN 식별자(37)에는, 예를 들면 소정의 링프로토콜이 적용되는 VLAN값과는 다른 VLAN값이 저장된다. 도7에 나타낸 링 대응의 L2스위치 장치(SWr1, SWr2)에서는, 당해 VLAN값을 가지는 프레임의 중계를 허가하는 것과 같은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MCLAG용 제어 프레임은, 링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차단상태(BK)의 제어 포트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는다. 또한 VLAN 식별자(37)에는, 상기한 브리지용 포트(Pb)간에서 통신하는 제어 프레임과, 상위 링크용 포트(Pu1)간에서 통신하는 제어 프레임에 의하여 다른 VALN값이 저장된다.
이더넷 타입(38)에는 소정의 고정값이 저장된다. 프레임 타입(39)에는, 상기한 헬로 프레임(메인 헬로 프레임(HLm) 및 서브 헬로 프레임(HLs))이나 장해 프레임(장해통지 프레임(TRf) 및 장해회복 프레임)을 각각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저장된다. MCLAG데이터(40)에는, 프레임 타입(39)에 따라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도1의 MCLAG포트 감시부(제3장해감시부)(17)(도8의 장해검출부(29))의 감시결과가 장해 있음인 경우로서, 도1의 브리지 패스 감시부(18) 및 링패스 감시부(19)(도8의 헬로 프레임 처리부(30))가 헬로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즉 도1의 브리지 패스 감시부(제1장해감시부)(18)가 메인 헬로 프레임(제1제어 프레임)(HLm)을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링패스 감시부(제2장해감시부)(19)가 서브 헬로 프레임(제2제어 프레임)(HLs)을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 헬로 프레임의 MCLAG데이터(40) 중에, MCLAG용 포트의 장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란, 장해 있음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이더라도 좋고, MCLAG용 포트의 제어상태와 같은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이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7의 L2스위치 장치(SWm1)가 자신의 MCLAG용 포트(Pm1)의 제어상태(송수신금지상태(NP))를 L2스위치 장치(SWm2)에 인식시킴으로써, L2스위치 장치(SWm2)는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용 포트(Pm1)의 장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MCLAG장치(MSW)의 일방에 있어서의 MCLAG용 포트의 장해는, 장해통지 프레임(TRf)에 의하여 피어 장치에 인식시킬 수 있다. 다만 피어 장치가 어떠한 우발적인 요인에 의하여 장해통지 프레임(TRf)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을 경우에, L2스위치 장치(SWm1, SWm2)의 쌍방에 있어서 MCLAG용 포트가 송수신금지상태(NP)로 계속하여 제어되는 것과 같은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이 장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헬로 프레임에도 포함시켜서, 그것을 수신한 L2스위치 장치에 당해 정보를 순차적으로 확인시킴으로써 장해통지를 더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하여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것으로서,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할 수 있으며 또한 어느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서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에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링네트워크를 대체경로로 하여 장해 프레임(장해통지 프레임 및 장해회복 프레임)을 송신하는 예를 나타냈다. 다만 대체경로의 대상이 되는 것은, 장해 프레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MCLAG장치(MSW)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제어 프레임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유저 프레임을 대체경로의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7에 있어서 L2스위치 장치(SWm1, SWm2)가 MCLAG용 포트(Pm2)를 더 구비하여, 당해 MCLAG용 포트(Pm2)와 다른 L2스위치 장치(SWu2라고 한다) 사이에 MCLAG2가 설정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또한 L2스위치 장치(SWm1)의 MCLAG용 포트(Pm2)는 송수신허가상태(P)로 제어되고, L2스위치 장치(SWm2)의 MCLAG용 포트(Pm2)는 송수신금지상태(NP)로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L2스위치 장치(SWu1)로부터 L2스위치 장치(SWu2)를 향하여 유저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에, 브리지용 포트(Pb)가 장해 없음인 경우에는 L2스위치 장치(SWu1→SWm2→SWm1→SWu2)의 통신경로가 사용된다. 한편 브리지용 포트(Pb)가 장해 있음인 경우에는, 링네트워크를 대체경로로 함으로써 L2스위치 장치(SWu1→SWm2→SWr2→SWr1→SWm1→SWu2)의 통신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리지용 포트(Pb)간의 통신경로에 장해가 없는 경우에, 브리지용 포트(Pb)간에서 전송되는 각종 프레임(유저 프레임 및 제어 프레임)을 대체경로의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10, 11 ; 통신회선
12 ; MCLAG 테이블
13 ; 중계처리부
14 ; 포트 제어 테이블
15 ; 장해감시부
16 ; MCLAG 제어부
17 ; MCLAG포트 감시부
18 ; 브리지 패스 감시부
19 ; 링패스 감시부
25 ; 인터페이스부
26 ; 링프로토콜 제어부
27 ; ACT/SBY 유지부
28 ; 프레임 식별부
29 ; 장해검출부
30 ; 헬로 프레임 처리부
31 ; 장해 프레임 처리부
35 ; 수신처 MAC어드레스
36 ; 송신원 MAC어드레스
37 ; VLAN 식별자
38 ; 이더넷 타입
39 ; 프레임 타입
40 ; MCLAG데이터
ACT ; 액티브
BK ; 차단상태
FDB ; 어드레스 테이블
FL1a, FL1b, FL2a, FL2b, FL3a, FL3b ; 프레임
HLm ; 메인 헬로 프레임
HLs ; 서브 헬로 프레임
MSW ; MCLAG장치
NP ; 송수신금지상태
OP ; 개방상태
P ; 송수신허가상태
P1, P2 ; LAG용 포트
P3 ; 포트
Pb ; 브리지용 포트
Pd1 ; 하위 링크용 포트
Pm1, Pm2 ; MCLAG용 포트
Pu1, Pu2 ; 상위 링크용 포트
SBY ; 스탠바이
SWm1, SWm2, SWu1, SWr1, SWr2 ; L2스위치 장치
TRf ; 장해통지 프레임

Claims (12)

  1. 상위 링크용 포트(上位 link用 port)와, MCLAG용 포트와, 브리지용 포트(bridge用 port)를 각각 가지고, 상기 브리지용 포트를 통하여 서로 통신회선에 접속되는 제1스위치 장치 및 제2스위치 장치와,
    상기 제1스위치 장치의 상기 MCLAG용 포트 및 상기 제2스위치 장치의 상기 MCLAG용 포트에 각각 서로 다른 통신회선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통신회선의 접속원(接續元)이 되는 포트에 링크 어그리게이션(link aggregation)을 설정하는 제3스위치 장치와,
    상기 제1스위치 장치의 상기 상위 링크용 포트와 상기 제2스위치 장치의 상기 상위 링크용 포트 사이의 통신경로(通信經路)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스위치 장치 및 상기 제2스위치 장치와 함께 링네트워크(ring network)를 구성하는 제4스위치 장치를
    구비하는 중계 시스템(中繼 system)으로서,
    상기 제1스위치 장치 및 상기 제2스위치 장치의 각각은,
    상기 브리지용 포트간의 통신경로의 장해유무(障害有無)를 감시하는 제1장해감시부(第1障害監視部)와,
    상기 상위 링크용 포트간의 상기 링네트워크를 통한 통신경로의 장해유무를 감시하는 제2장해감시부와,
    상기 MCLAG용 포트의 장해유무를 감시하는 제3장해감시부와,
    상기 제3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으로부터 장해 있음으로 변화되었을 때에, 장해통지 프레임(障害通知 frame)을 송신하는 MCLAG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MCLAG 제어부는, 상기 제1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인 경우에는 상기 장해통지 프레임을 상기 브리지용 포트로부터 송신하고, 상기 제1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있음인 경우이고 또한 상기 제2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인 경우에는 상기 장해통지 프레임을 상기 상위 링크용 포트로부터 송신하는
    중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해감시부는, 상기 브리지용 포트간에서 정기적으로 제1제어 프레임을 통신함으로써 장해유무를 감시하는
    중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해감시부는, 상기 제3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있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1제어 프레임 중에 상기 장해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제1스위치 장치 및 상기 제2스위치 장치중에서 일방(一方)의 스위치 장치는, 상기 장해통지 프레임에 더하여 상기 제1제어 프레임에 의하여 타방(他方)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MCLAG용 포트의 장해 있음을 인식하는
    중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해감시부는, 상기 상위 링크용 포트간에서 상기 링네트워크를 통하여 정기적으로 제2제어 프레임을 통신함으로써 장해유무를 감시하는
    중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해감시부는, 상기 제3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있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2제어 프레임 중에 상기 장해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제1스위치 장치 및 상기 제2스위치 장치중에서 일방의 스위치 장치는, 상기 장해통지 프레임에 더하여 상기 제2제어 프레임에 의하여 타방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MCLAG용 포트의 장해 있음을 인식하는
    중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LAG 제어부는, 또한,
    장해가 없는 경우이고 또한 액티브(active)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MCLAG용 포트를 송신 및 수신 모두 허가하는 제1상태(第1狀態)로 제어하고,
    장해가 없는 경우이고 또한 스탠바이(standby)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MCLAG용 포트를 적어도 송신을 금지하는 제2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스탠바이로 설정되는 경우이고 또한 상기 장해통지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경우에, 상기 MCLAG용 포트를 상기 제2상태로부터 상기 제1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제1스위치 장치 및 상기 제2스위치 장치중에서 일방의 상기 MCLAG 제어부는 상기 액티브로 설정되고, 타방의 상기 MCLAG 제어부는 상기 스탠바이로 설정되는
    중계 시스템.
  7. 링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상위 링크용 포트와, MCLAG용 포트와, 브리지용 포트를 가지고, 다른 스위치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브리지용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브리지용 포트와, 상기 다른 스위치 장치의 브리지용 포트와의 사이에 있어서 통신경로의 장해유무를 감시하는 제1장해감시부와,
    상기 상위 링크용 포트와, 상기 다른 스위치 장치의 상위 링크용 포트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링네트워크를 통한 통신경로의 장해유무를 감시하는 제2장해감시부와,
    상기 MCLAG용 포트의 장해유무를 감시하는 제3장해감시부와,
    상기 제3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으로부터 장해 있음으로 변화되었을 때에, 장해통지 프레임을 송신하는 MCLAG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MCLAG 제어부는, 상기 제1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인 경우에는 상기 장해통지 프레임을 상기 브리지용 포트로부터 송신하고, 상기 제1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있음인 경우이고 또한 상기 제2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없음인 경우에는 상기 장해통지 프레임을 상기 상위 링크용 포트로부터 송신하는
    스위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해감시부는, 상기 브리지용 포트간에서 정기적으로 제1제어 프레임을 통신함으로써 장해유무를 감시하는
    스위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해감시부는, 상기 제3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있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1제어 프레임 중에 상기 장해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스위치 장치는, 상기 장해통지 프레임에 더하여 상기 제1제어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다른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MCLAG용 포트의 장해 있음을 인식하는
    스위치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해감시부는, 상기 상위 링크용 포트간에서 상기 링네트워크를 통하여 정기적으로 제2제어 프레임을 통신함으로써 장해유무를 감시하는
    스위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해감시부는, 상기 제3장해감시부의 감시결과가 장해 있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2제어 프레임 중에 상기 장해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스위치 장치는, 상기 장해통지 프레임에 더하여 상기 제2제어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다른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MCLAG용 포트의 장해 있음을 인식하는
    스위치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CLAG 제어부는, 또한,
    장해가 없는 경우이고 또한 액티브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MCLAG용 포트를 송신 및 수신 모두 허가하는 제1상태로 제어하고,
    장해가 없는 경우이고 또한 스탠바이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MCLAG용 포트를 적어도 송신을 금지하는 제2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스탠바이로 설정되는 경우이고 또한 상기 장해통지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경우에, 상기 MCLAG용 포트를 상기 제2상태로부터 상기 제1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스위치 장치는, 상기 다른 스위치 장치가 상기 스탠바이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액티브로 설정되고, 상기 다른 스위치 장치가 상기 액티브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탠바이로 설정되는
    스위치 장치.
KR1020140184259A 2014-04-28 2014-12-19 중계 시스템 및 스위치 장치 KR201501243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3142 2014-04-28
JP2014093142A JP6278818B2 (ja) 2014-04-28 2014-04-28 中継システムおよび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369A true KR20150124369A (ko) 2015-11-05

Family

ID=5433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259A KR20150124369A (ko) 2014-04-28 2014-12-19 중계 시스템 및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5609B2 (ko)
JP (1) JP6278818B2 (ko)
KR (1) KR20150124369A (ko)
CN (1) CN1050493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7019B2 (en) * 2015-12-04 2019-04-09 Arista Networks, Inc. Link aggregation split-brain detection and recovery
JP6499625B2 (ja) * 2016-09-09 2019-04-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6922442B2 (ja) * 2017-06-02 2021-08-18 富士通株式会社 伝送システム、伝送装置及びループ防止方法
JP7021543B2 (ja) 2018-01-29 2022-02-1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6839115B2 (ja) 2018-02-08 2021-03-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事業者ネットワーク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131370B2 (ja) * 2018-12-21 2022-09-06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7208458B2 (ja) * 2019-02-27 2023-01-1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7159940B2 (ja) 2019-03-27 2022-10-25 株式会社デンソー 中継装置
CN114651426B (zh) * 2019-11-20 2023-08-18 三菱电机株式会社 光通信装置及通信系统
WO2022003899A1 (ja) * 2020-07-02 2022-01-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伝送システムおよび伝送システムの中継方法
CN115410292B (zh) * 2022-07-29 2023-10-27 成都赛力斯科技有限公司 车辆故障分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5383B2 (ja) * 2010-05-27 2013-02-06 アラクサラ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US9172662B2 (en) * 2010-08-04 2015-10-27 Alcatel Lucent Virtual chassis system control protocols
US8488608B2 (en) * 2010-08-04 2013-07-16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distribution in a multi-chassis link aggregation
US9148391B2 (en) * 2010-08-04 2015-09-29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a pass thru mode in a virtual chassis system
JP5144727B2 (ja) * 2010-09-02 2013-02-13 アラクサラ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エッジ装置およびパケット中継方法
CN102594696B (zh) * 2012-03-08 2016-09-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管理网络设备链路聚合组的方法及装置
JP5364187B2 (ja) 2012-08-02 2013-12-11 アラクサラ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エッジ装置
JP5821815B2 (ja) * 2012-09-11 2015-11-24 日立金属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の処理方法
JP6278800B2 (ja) * 2014-04-03 2018-02-14 APRESIA Systems株式会社 中継システムおよびスイッチ装置
JP6189783B2 (ja) * 2014-04-08 2017-08-30 APRESIA Systems株式会社 中継システムおよび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49348A (zh) 2015-11-11
CN105049348B (zh) 2019-06-18
US9525609B2 (en) 2016-12-20
US20150312121A1 (en) 2015-10-29
JP6278818B2 (ja) 2018-02-14
JP2015211402A (ja)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4369A (ko) 중계 시스템 및 스위치 장치
US9525591B2 (en) Relay system and switching device
US9794194B2 (en) Relay system and switching device
US8208369B2 (en) Ethernet ring system and a master node and an initialization method thereof
US9590815B2 (en) Relay system and switching device
US891759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U2013271091B2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connectivity between Ethernet ring network nodes, and first node
CN101094190B (zh) 以太环网保护控制报文的传输方法
US20110063971A1 (en) Data relay apparatus, and ring-type communication system
WO2010031295A1 (zh) 一种以太网故障恢复的控制方法
JP5338428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6295137B2 (ja) 中継システムおよびスイッチ装置
US9692636B2 (en) Relay system and relay device
JP6383232B2 (ja) 中継システムおよびスイッチ装置
CN102143004B (zh) 一种链路保护方法和网络设备
EP3001612B1 (en) Multi-domain network protection method and node
CN102857423A (zh) 一种分布式链路聚合系统中业务流转发方法及节点
US9525590B2 (en) Relay system and relay device
US9001646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KR20150002475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경로 장애 처리 방법
KR20160047663A (ko) MPLS-TP 기반 네트워크의 듀얼 홈(Dual homing) 구조에서 이더넷 CCM을 이용한 장애 검출 및 보호 절체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