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090A - 5-lo 억제제로서의 피라졸 유도체 - Google Patents

5-lo 억제제로서의 피라졸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090A
KR20100072090A KR1020107011376A KR20107011376A KR20100072090A KR 20100072090 A KR20100072090 A KR 20100072090A KR 1020107011376 A KR1020107011376 A KR 1020107011376A KR 20107011376 A KR20107011376 A KR 20107011376A KR 20100072090 A KR20100072090 A KR 20100072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methyl
pyran
pyrazo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가도 알비라
매튜 제이 그라네토
마가렛 라나한 그래퍼하우스
칼리아판 이야나르
토드 마이클 매덕스
매튜 윌리엄 마호니
마크 앨런 마사
커비 레이 샘플
미셸 앤 슈미트
로널드 에드워드 사이델
존 고든 셀보
마이클 브렌트 톨레프슨
리차드 앨런 본더 엠브세
그레이스 메리 와그너
스캇 샌트포드 우다드
Original Assignee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7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for myasthenia gra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61P33/06Antimala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docrinology (AREA)
  • Obesit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Der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IDS & HIV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제조 방법, 5-리폭시게나제 억제제로서의 그의 용도, 및 그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Description

5-LO 억제제로서의 피라졸 유도체 {PYRAZOLE DERIVATIVES AS 5-LO INHIBITORS}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러한 유도체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중간체, 이러한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러한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Q, X, Y, L 및 R1 내지 R12는 하기 의미를 갖되, 단 상기 화합물은 (a) 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또는 (b) 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가 아니다.
류코트리엔 (LT)은 수많은 질환, 예를 들어 염증성 질환 및 알레르기성 질환 상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매우 강력한 지질 매개자 군이다 (문헌 [Samuelsson, B., 1983, Leukotrienes: Science 220, 568-575]). 5-리폭시게나제 (5-LO) 효소는 아라키돈산을 류코트리엔 A4 (LTA4)로 전환시키고, 이어서 이는 LTA4 히드롤라제 효소에 의해 류코트리엔 B4 (LTB4)로 가수분해될 수 있거나, LTC4 신타제-매개 촉매적 반응을 통해 반응하여 류코트리엔 C4 (LTC4)를 형성할 수 있다.
류코트리엔 B4, C4, D4 및 E4는 천식에 관여하는 염증에서 소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험에 의해 밝혀졌다. 또한, 흡입된 LTC4 및 류코트리엔 D4 (LTD4)는 인간 대상체에서 연구된 가장 강력한 기관지수축제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염증성 세포가 천식성 기도로 이동하는 것이 LTC4 및 LTD4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문헌 [O'Byrne, Chest, Vol 111, (2):27]).
5-리폭시게나제 (5-LO) 경로의 활성화는 수많은 염증유발성 류코트리엔 지질 매개자의 생합성을 유도한다. 알레르기성 및 호흡기 질환에 있어서 류코트리엔의 중요한 역할은 LT 결핍의 여러 동물 모델, 특히 5-LO 녹-아웃 마우스를 이용하여 입증되었다 (문헌 [Leuchron Contract No. QLG1-CT-2001-01521, Review, The Leukotrienes: Signaling Molecules in Chronic and Degenerative Diseases: Byrum, R. S., Goulet, J. L., Snouwaert, J. N., Griffiths, R. J. & Koller, B. H. (1999), J Immunol 163, 6810-6819], [Bailie, M. B., Standiford, T. J., Laichalk, L. L., Coffey, M. J., Strieter, R. & Peters-Golden, M. (1996), J. Immunol. 157, 5221-5224]). 또한, LT의 생합성 및 작용을 방해하는 약물이 천식 및 알레르기성 비염에 대한 신규 의약으로서 시판된다 (문헌 [Drazen, J. F., Israel, E. & O'Byrne, P. (1999), N. Engl. J. Med. 340, 197-206]). 리폭시게나제 억제제에 대한 검토 논문에 대해서는 문헌 [H. Masamune and L.S. Melvin, Sr.: Annual Reports in Medicinal Chemistry, 1989, 24, pp 71-80 (Adademic)]을 참조한다.
특히, 4-(3-(4-(2-메틸-1H-이미다졸-1-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는 이전에 인간 임상 시험에서 시험되었다 (US 5,883,106 및 EP 0787127).
따라서, 대체적이며 개선된 것일 수 있는 5-LO 수용체 길항제 (여기서, 개선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용해도의 측면에서의 우수한 물리화학적 성질 및 예를 들어 생체내 활성, 효력, 부작용 또는 약력학의 측면에서의 우수한 약리학적 프로파일에 있음)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은 신규 5-LO 수용체 길항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Q는 -S- 또는 -S(O)-이고;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C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은
(a) 결합
(b) -(CH2)-
(c) -O-
(d) -C(O)-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a) H
(b) 메틸
(c) 에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a) ←CN
(b) ←C(O)NH2
(c) ←C(O)NH(CH3)
(d) ←C(O)N(CH3)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또는 할로이고;
R5
(a) H
(b) 할로
(c) ←CN
(d) ←OCH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
(a) H
(b) 할로
(c) ←CN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a) H
(b) 할로
(c) ←CN
(d) 메틸
(e) ←OCH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Y가 N인 경우에 부재하거나, 또는 R8
(a) H
(b) 할로
(c) ←CN
(d) 메틸
(e) ←OCH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9는 X가 N인 경우에 부재하거나, 또는 R9
(a) H
(b) 할로
(c) ←CN
(d) 메틸
(e) ←CF3
(f) ←OCH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0
(a) H
(b) 할로
(c) ←CN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H 또는 (C1-C7)알킬이고;
R12는 H 또는 할로이되;
단, 화학식 I의 화합물은
(a) 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b) 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아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1종 이상의 추가 치료제를 포함하는, 특히 5-LO-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의약으로 사용하기 위한,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5-LO-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투여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에서의 5-LO-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용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i)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적합한 용매 중에서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과 접촉시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얻거나; 또는
(i)의 별법으로, (ii)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과 접촉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얻고;
(iii) 임의로,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적합한 용매 중에서 산화제와 접촉시켜 상응하는 하기 화학식 18의 술폭시드를 얻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3
<화학식 2>
Figure pct00004
<화학식 3>
Figure pct00005
<화학식 4>
Figure pct00006
<화학식 5>
Figure pct00007
<화학식 18>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X, Y, L 및 R1 내지 R12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고, Z1은 이탈기 또는 커플링 파트너이고, Z2는 수소 또는 보호기이다.
도 1은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및 파라-톨루엔술폰산의 결정질 1:1 몰 비율 염의 측정된 PXRD 패턴 (2-세타 각 ± 0.1°)이다.
도 2는 도 1의 동일 화합물에 대한 TGA/SDTA 자취이다. 융점 흡열은 132.7 ℃에서 피크를 갖는다 (130.9 ℃에서 시작됨).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라도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 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b) 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본 발명에서 용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a 또는 화학식 Ib 또는 화학식 Ic의 화합물을 의미하며, 화학식 Ia, Ib 및 Ic는 아래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본 발명에서 용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화물,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화물을 나타낸다. 또한, 용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모든 다형체 및 정벽, 그의 전구약물 및 이성질체 (광학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및 호변이성질체 포함), 및 동위원소-표지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상기 화학식 I에서,
- 알킬은 시클릭, 직쇄 또는 분지쇄의 완전 포화된 탄화수소 기, 또는 시클릭, 직쇄 또는 분지쇄 완전 포화된 탄화수소 기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용어 (C1-C7)알킬은 1, 2, 3, 4, 5, 6 또는 7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기를 의미한다. 용어 (C1-C6)알킬은 1, 2, 3, 4, 5 또는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기를 의미한다. 적합한 (C1-C7)알킬 또는 (C1-C6)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n-헥실, 이소-헥실,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CH2)-시클로프로필, ←(CH2)-시클로펜틸이 포함된다.
-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를 의미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할로는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이다.
- 화살표는 화학식 I의 화학적 중심에 연결된 라티칼의 측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구절 "치료적 유효"는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의 양, 또는 조합 요법의 경우에 활성 성분들의 조합된 양을 한정한다. 이러한 양 또는 조합된 양은 관련 병태를 치료하려는 목적을 달성할 것이다.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는, 달리 한정되지 않는다면, 화합물, 제약 조성물 또는 조합물을 투여하여 방지적, 완화적, 지지적, 회복적 또는 치유적 치료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방지적 치료"는, 화합물, 제약 조성물 또는 조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대상체, 특히 관련 병태에 유의하게 걸리기 쉬운 집단의 대상체 또는 구성원에서 관련 병태의 발생을 억제 또는 중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완화적 치료"는, 화합물, 제약 조성물 또는 조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관련 병태의 진행 또는 기저 병인을 반드시 변화시키지는 않으면서 병태의 징후 및/또는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통증, 불쾌감, 종창 또는 열의 감소가 포함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지지적 치료"는 치료 요법의 일부로서 화합물, 제약 조성물 또는 조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러한 요법이 화합물, 제약 조성물 또는 조합물의 투여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제한적 예로는, 수술과 동시에 또는 전후에 화합물 또는 조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 및 화합물 또는 조합물을 추가의 약물 또는 작용제 조합물과 함께 투여하는 것이 포함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지지적 치료는, 특히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이 지지적 요법의 또다른 성분과 조합되는 경우에 방지적, 완화적, 회복적 또는 치유적 치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회복적 치료"는 화합물, 제약 조성물 또는 조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병태의 기저 진행 또는 병인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비-제한적 예로는 폐 장애에 대한 1초당 노력 호기량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 1)의 증가, 진행성 신경 파괴의 억제, 질환 또는 장애와 연관 및 상호관련된 바이오마커의 감소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치유적 치료"는, 질환 또는 장애를 완전한 완화 상태로 만들거나 질환 또는 장애가 이러한 치료 후에 검출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화합물, 제약 조성물 또는 조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5-LO 매개 질환" 또는 "5-LO-매개 장애" 또는 "5-LO-매개 병태"는 각각, 5-LO가 5-LO 자체의 제어, 또는 5-LO에 의한 류코트리엔의 방출, 또는 5-LO에 반응하여 여타 유사 화합물의 생성 또는 작용이 악화되거나 분비되는 것을 통해 소정의 역할을 하는 임의의 질환, 장애 또는 병태 (특히, 임의의 병리학적 상태)를 나타낸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화학식 Ia>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Q, X, Y, L 및 R1 내지 R12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b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화학식 Ib>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L은
(a) 결합
(b) -(CH2)-
(c) -O-
(d) -C(O)-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C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a) H
(b) 메틸
(c) 에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a) ←CN
(b) ←C(O)NH2
(c) ←C(O)NH(CH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또는 할로이고;
R5
(a) H
(b) 할로
(c) ←OCH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H 또는 할로이고;
R7
(a) H
(b) 할로
(c) ←CN
(d) 메틸
(e) ←OCH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Y가 N인 경우에 부재하거나, 또는 R8
(a) H
(b) 할로
(c) ←CN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9는 X가 N인 경우에 부재하거나, 또는 R9
(a) H
(b) 할로
(c) ←CN
(d) 메틸
(e) ←CF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0
(a) H
(b) 할로
(c) ←CN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H 또는 (C1-C7)알킬이고;
R12는 H 또는 할로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c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화학식 Ic>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X, Y 및 R2 내지 R12는 화학식 Ib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Q가 S인 화학식 I 또는 Ia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L이 결합, -O- 및 -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L이 결합 또는 -O-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L이 결합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X 및 Y가 둘 다 C이거나, X 및 Y 중 하나가 C이고 다른 하나가 N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X 및 Y는 둘 다 C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1이 H 및 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1이 H인 화학식 I 또는 Ia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2가 H 또는 메틸이고, 바람직하게는 R2가 메틸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3이 ←CN, ←C(O)NH2 및 ←C(O)NHCH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3이 ←CN 또는 ←C(O)NH2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4가 H, Cl 및 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4가 F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5가 H, ←OCH3, Cl 및 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5는 H 또는 F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R5는 H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6이 H 또는 F이고, 바람직하게는 R6이 H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7이 H, Cl 및 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R7은 H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8이 존재하는 경우에 H, ←CN, F 및 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R8은 존재하는 경우에 H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9가 존재하는 경우에 H, ←CN, 메틸, CF3, F 및 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R9는 존재하는 경우에 H, F 및 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9는 존재하는 경우에 H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10이 H 또는 F이고, 바람직하게는 R10이 H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11이 H 또는 (C1-C6)알킬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R11은 H,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메틸렌시클로프로필 및 ←메틸렌시클로펜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1은 메틸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12가 H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4, R5, R6 및 R9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R4, R6 및 R9 중 하나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R4가 할로, 바람직하게는 F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L이 결합, -O- 및 -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L이 -O-이고; X 및 Y 중 하나가 C이고 다른 하나가 N이고, 바람직하게는 X가 C이고 Y가 N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L이 결합, -O- 및 -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L이 -O-이고; X 및 Y 중 하나가 C이고 다른 하나가 N이고, 바람직하게는 X가 C이고 Y가 N이고; R8이 Y가 N인 경우에 부재하거나, R8이 Cl이고; R9가 X가 N인 경우에 부재하거나, R9가 Cl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L이 결합, -O- 및 -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L이 -O-이고; X 및 Y 중 하나가 C이고 다른 하나가 N이고, 바람직하게는 X가 C이고 Y가 N이고; R1, R7, R10 및 R12가 각각 H이고; R2가 메틸이고; R3이 ←CN 또는 ←C(O)NH2이고; R4가 H 또는 F이고, 바람직하게는 R4가 F이고; R5 및 R6이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이고, 바람직하게는 R5 및 R6이 둘 다 H이고; R8이 Y가 N인 경우에 부재하거나, R8이 Cl이고; R9가 X가 N인 경우에 부재하거나, R9가 Cl이고; R11이 메틸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L이 결합, -O- 및 -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L이 결합이고; X 및 Y가 각각 C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L이 결합, -O- 및 -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L이 결합이고; X 및 Y가 각각 C이고; R8이 H, F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8이 H 또는 F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R8이 H이고; R9가 H, F, Cl,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9가 H, Cl 및 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R9가 H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L이 결합이고; X 및 Y가 각각 C이고; R1이 H이고; R2가 H 또는 메틸이고, 바람직하게는 R2가 메틸이고; R3이 ←CN, ←C(O)NH2 및 ←C(O)NHCH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3이 ←CN 및 ←C(O)N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가 H 또는 F이고, 바람직하게는 R4가 F이고; R5 및 R6이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이고, 바람직하게는 R5 및 R6이 둘 다 H이고; R10이 H 또는 F이고, 바람직하게는 R10이 H이고; R7이 H, F 및 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7이 H이고; R8이 H, F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8이 H 또는 F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R8이 H이고; R9가 H, F, Cl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9가 H, Cl 또는 F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R9가 H이고; R11이 메틸이고; R12가 H인 화학식 I, Ia, Ib 또는 Ic,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c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2,5-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2,4-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4-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2-메틸-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4-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3-플루오로-5-{[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2,4-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3-플루오로-5-{[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S,4R)-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S,4R)-4-(2-플루오로-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S,4R)-4-(3-플루오로-5-{[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메틸]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3-({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3-({3-시아노-4-[(1-메틸-1H-피라졸-5-일)옥시]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티오)-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및
(2S,4R)-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티오)-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또는 이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바람직하다. 이 화합물은 화학식
Figure pct00012
을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토실레이트 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화물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및 파라-톨루엔술폰산의 1:1 몰 비율 염이다.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Figure pct00013
을 갖는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문헌에 공지된 여타 표준 조작 이외에도 실험 절차에 예시된 하기 반응식에 제시된 바와 같은 반응을 이용하거나,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본원에 기재된 방법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반응식은 열거된 화합물 또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이용된 임의의 특정 치환기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용매, 온도, 및 본원에 제시된 여타 반응 조건은 당업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최종 표적물을 생성하는 데 이용되는 방법 이외에도, 본원에서 사용되는 출발 물질은 시판중인 화합물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이고, 표준 참고 서적, 예컨대 문헌 [the Compendium of Organic Synthetic Methods, Vol. I-VI (Wiley)]; [March, Advanced Organic Chemistry 5th Ed. (Wiley 2001)]; [Carey and Sundberg, Advanced Organic Chemistry 4th Ed Vols. A and B (2000, 2001)]; [Green and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Wiley 1999)]; [Metal-Catalyzed Cross-Coupling Reactions, Wiley, 2nd Ed., 2004]; [Handbook of Heterocyclic Chemistry by A. R. Katritzky and A.F. Pozharskii, 2nd edition, (Pergamon, 2000)] 및 이들 내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하기 모든 반응식은 Q가 -S-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개시한다. Q가 -S(O)-인 상응하는 화합물 (또한, 상기 화합물 (18) 참조)을 얻기 위해, 예를 들어 하기 티오 유도체 (3)을 적합한 용매 중에서 통상적인 산화제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와 접촉시킴으로써 산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반응식 1.0>
Figure pct00014
상기 반응식 1.0에서, Z1이 이탈기 또는 커플링 파트너, 예컨대 할로 또는 트리플레이트인 적절히 치환된 화합물 (1) 또는 (5)를 본원에 포함된 문헌 및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Z2가 수소 또는 보호기, 예컨대 아세틸 또는 트리이소프로필실릴인 화합물 (2) 또는 (4)과 반응시킨다. 전형적으로, 반응 조건에서 나트륨 tert-부톡시드, 나트륨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탄산세슘 또는 탄산칼륨과 같은 염기가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사용된다. 팔라듐, 구리 또는 여타 금속 촉매, 및 추가의 시약 및 선택적인 부형제, 예컨대 팔라듐 아세테이트, 1,1-비스(디이소프로필포스피노)페로센,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부가생성물,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 에테르,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수화물, 세슘 플루오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를 첨가할 수 있다. 25 내지 120 ℃ 범위의 승온이 필요할 수 있다. 추가적인 조건 및 시약은 문헌 [Metal-Catalyzed Cross-Coupling Reactions, Wiley, 2nd Ed., 2004]; [Chemistry--A European Journal, 12(30), 7782-7796, 2006]; [Chem. Pharm. Bull., 2005, 53, p 965-973]; [Bioorg. Med. Chem. Lett., 2005, 15, p 2611-2615] 및 이들 내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반응식 1.1>
Figure pct00015
상기 반응식 1.1은 R12가 H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 적합하다. 반응식 1.1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Z3이 디메틸아미노 또는 알콕시인 화합물 (6) 및 (7)과 같은 중간체로부터 제조된다. 반응 조건에서, DMF 또는 THF와 같은 용매가 사용될 수 있고, 승온이 필요할 수 있다. 화합물 (6) 및 (7)로 제시된 것들 및 포함된 실시예 이외의 적절한 출발 물질로부터 출발하여, 문헌에 공지된 다른 피라졸 형성 조건, 예컨대 문헌 [Handbook of Heterocyclic Chemistry' by A. R. Katritzky and A.F. Pozharskii, 2nd edition, (Pergamon, 2000)]의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 화합물 (7)과 같은 중간체는 시판중인 화합물 또는 문헌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반응식 1.2>
Figure pct00016
상기 반응식 1.2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Z1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친핵성 치환 반응에 적합한 이탈기인 화합물 (8) 및 (9)와 같은 중간체로부터 제조된다. Z1의 예는 할로겐, 메실레이트 또는 트리플레이트이다. Z4는 친핵성 기이다. Z4의 예는 L이 -O-일 경우에 히드록실이다. 전형적으로, 반응 조건에서 칼륨 t-부톡시드, 수소화나트륨 또는 탄산세슘과 같은 염기의 첨가와 함께, N-메틸피롤리딘 또는 DMF와 같은 용매가 사용된다. 승온이 필요할 수 있다. 친핵성 치환 조건의 추가적인 예는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R3이 CN인 화합물 (1)과 같은 중간체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3>
Figure pct00017
CN 라디칼을 가수분해하여 상응하는 아미드를 얻는 것은 당업자의 통상 지식 내에 있다. 상기 반응식 1.3에서, Z1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친핵성 치환에 적합한 이탈기 (예를 들어, 할로겐, 토실레이트, 메실레이트 또는 트리플레이트)인 화합물 (10)과 같은 화합물을, DMSO, DMF 또는 THF와 같은 용매 및 수소화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탄산세슘과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화합물 (11)과 같은 화합물과 반응시킨다. 반응은 0 내지 110 ℃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인 절차 및 조건은 문헌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53(8), 965-973, 2005];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0191654호 (2000. 7. 11);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5(10), 2611-2615, 2005]; [1977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60(13), 4264-7]; [1995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36(2), 295-6, 1993] 및 이들 내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화합물 (2)와 같은 중간체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4>
Figure pct00018
상기 반응식 1.4에서, Z1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커플링 파트너, 예컨대 할로겐 또는 트리플레이트인 화합물 (5)와 같은 화합물을 디옥산, THF, 톨루엔 또는 에테르와 같은 용매 중에서 트리이소프로필실란 티올과 같은 티올 공급원과 반응시킨다. 염기, 촉매 또는 여타 부형제가 첨가될 수 있다. 그 예로는 1,1-비스(디이소프로필포스피노)페로센,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부가생성물,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PdCl2(디페닐-포스피노 페로센), 나트륨 t-부톡시드 또는 수소화나트륨이 포함된다. 또한, 무수 조건 및 승온이 반응에서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는 문헌 [Organic Letters, 9(20), 4081-4083, 2007];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50(16) 3954-3963, 2007]; [Advanced Synthesis & Catalysis, 347(2+3), 313-319, 2005]; [Tetrahedron Letters, 47(16), 2675-2678, 2006];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28(7), 2180-2181, 2006]; [European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6), 2630-2642, 2007]; [Tetrahedron Letters, 48(17), 3033-3037, 2007]; [Tetrahedron Letters, 44(35), 6699-6702, 2003] 및 이들 내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L이 -C(O)-인 화합물 (5)와 같은 중간체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5>
Figure pct00019
상기 반응식 1.5에서, Z1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이탈기, 예컨대 할로겐인 화합물 (5)와 같은 화합물은 화합물 (12)와 같은 적절한 화합물을 유기리튬 화학에 적합한 용매, 예컨대 THF 또는 에테르 중에서 화합물 (9)와 같은 적절히 치환된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부틸 리튬과 같은 유기리튬 염기를 불활성 분위기 하에 감온에서 피라졸에 첨가한 후, 화합물 (12)와 같은 알데히드를 첨가한다. 생성된 생성물을 문헌에 공지된 산화 조건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중의 피리딘 클로로크로메이트)에 의해 케톤으로 추가로 산화시킨다. 이러한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여타 조건은 문헌, 예컨대 문헌 [Synlett, (6), 765-767, 1999];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49(24), 4687-95, 1984]; [Journal of Heterocyclic Chemistry, 12(1), 49-57, 1975] 및 이들 내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L이 -(CH2)-인 화합물 (5)와 같은 중간체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6>
Figure pct00020
상기 반응식 1.6에서, Z5가 보론산이고 Z1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이탈기 또는 커플링 파트너, 예컨대 할로겐 또는 트리플레이트인 화합물 (5)와 같은 화합물은 화합물 (12)와 같은 화합물을, 문헌에 공지되어 있으며 앞서 기재된 팔라듐-매개 커플링 조건 하에 화합물 (9)와 같은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여타 조건은 문헌, 예컨대 문헌 [Journal of Heterocyclic Chemistry, 24(6), 1669-75, 1987] 및 [Tetrahedron Letters, 46(9), 1501-1504, 2005] 및 이들 내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L이 결합인 화합물 (6)과 같은 중간체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7>
Figure pct00021
상기 반응식 1.7에서, Z2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보호기, 예컨대 트리이소프로필실릴인 화합물 (4)와 같은 화합물을, 칼륨 t-부톡시드, 수소화나트륨 또는 나트륨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와 같은 염기의 첨가와 함께, 톨루엔, THF 또는 DMF와 같은 용매 중에서 Z1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이탈기, 예컨대 할로인 화합물 (13)과 같은 화합물과 반응시킨다. 또한, 추가의 부형제, 예컨대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첨가될 수 있다. 반응을 25 내지 110 ℃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하여 화합물 (14)와 같은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다. 화합물 (14)와 같은 화합물은 DMF 또는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N,N-디메틸 디메틸 아세탈 또는 트리알콕시 오르토포르메이트의 첨가와 함께, Z3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이탈기, 예컨대 디메틸아미노 또는 알콕시인 화합물 (6)과 같은 화합물로 추가로 정교화시킬 수 있다. 반응은 25 내지 110 ℃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L이 결합인 화합물 (5)와 같은 중간체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8>
Figure pct00022
상기 반응식 1.8에서, Z1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이탈기 또는 커플링 파트너, 예컨대 할로겐 또는 트리플레이트인 화합물 (5)와 같은 화합물은 중간체 (6), 및 화합물 (6)과 (7)의 생성물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절차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4)와 같은 중간체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9>
Figure pct00023
상기 반응식 1.9에서, Z1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커플링 파트너, 예컨대 할로겐 또는 트리플레이트이고 Z2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보호기, 예컨대 트리이소프로필실릴인 화합물 (1)과 같은 화합물을 디옥산, THF, 톨루엔 또는 에테르와 같은 용매 중에서 트리이소프로필실란 티올과 같은 티올 공급원과 반응시킨다. 염기, 촉매 또는 여타 부형제가 첨가될 수 있다. 그 예로는 1,1-비스(디이소프로필포스피노)페로센,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부가생성물,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PdCl2(디페닐-포스피노 페로센), 나트륨 t-부톡시드 또는 수소화나트륨이 포함된다. 또한, 무수 조건 및 승온이 반응에서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는 문헌 [Organic Letters, 9(20), 4081-4083, 2007];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50(16) 3954-3963, 2007]; [Advanced Synthesis & Catalysis, 347(2+3), 313-319, 2005]; [Tetrahedron Letters, 47(16), 2675-2678, 2006];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28(7), 2180-2181, 2006]; [European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6), 2630-2642, 2007]; [Tetrahedron Letters, 48(17), 3033-3037, 2007]; [Tetrahedron Letters, 44(35), 6699-6702, 2003] 및 이들 내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화합물 (8)과 같은 중간체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10>
Figure pct00024
상기 반응식 1.10에서, 목적하는 치환 패턴을 위해 적절한 친핵성 치환 반응 또는 팔라듐-매개 커플링 반응을 이용하여, Z2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보호기, 예컨대 트리이소프로필실릴인 화합물 (4)와 같은 화합물을, Z1a가 Z1b보다 반응성이 높도록 Z1a가 이탈기 또는 커플링 파트너, 예컨대 할로 또는 트리플레이트이고 Z1b가 이탈기 또는 커플링 파트너, 예컨대 할로 또는 트리플레이트인 화합물 (17)과 같은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합물 (8)과 같은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러한 합성 전략의 추가적인 예는 문헌, 예컨대 문헌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44(39), 6348-6354, 2005];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49(10), 3012-3018, 2006]; [Chemistry--A European Journal, 13(28), 8051-8060, 2007]; [Chemistry--A European Journal, 13(18), 5100-5105, 2007]; [Tetrahedron Letters, 47(50), 8973-8976, 2006] 및 이들 내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Figure pct00025
실시예에 제시된 방법 이외에도, Z1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이탈기, 예컨대 할로, 메실 또는 토실인 상기 화합물 (11)과 같은 중간체가 문헌, 예컨대 문헌 [Journal fuer Praktische Chemie (Leipzig), 328(5-6), 797-804, 1986];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50(19), 3453-7, 1985]; [Journal fuer Praktische Chemie (Leipzig), 325(5), 719-28, 1983];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48(20), 3412-22, 1983]; [Journal of Physical Organic Chemistry, 16(3), 175-182, 2003] 및 이들 내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에 공지된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26
실시예에 제시된 방법 이외에도, 상기 화합물 (10)과 같은 중간체가 문헌, 예컨대 문헌 [Tetrahedron Letters, 44(14), 2903-2905, 2003]; US 4874764 (1989. 10. 17); [Journal of Combinatorial Chemistry, 4(4), 329-344, 2002]; [Heterocycles, 51(4), 737-750, 1999];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31(5), 1005-9, 1988] 및 이들 내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에 공지된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27
Z1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커플링 파트너, 예컨대 할로 또는 트리플레이트인 상기 화합물 (13)과 같은 중간체는 시판중인 화합물 또는 문헌에 공지된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반응식 1.0 내지 1.10 및 모든 관련 중간체의 제조는 본원에 포함된 실시예에서 수행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그의 산 부가염 및 염기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 부가염은 무독성 염을 형성하는 산으로부터 형성된다. 그 예로는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베실레이트, 바이카르보네이트/카르보네이트, 바이술페이트/술페이트, 보레이트, 캄실레이트, 시트레이트, 시클라메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실레이트, 포르메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히벤제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브로마이드, 히드로요오다이드/요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말로네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술페이트, 나프틸레이트, 2-납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오로테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수소 포스페이트/이수소 포스페이트, 피로글루타메이트, 사카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숙시네이트, 탄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크시노포에이트 염이 포함된다. 토실레이트 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및 파라-톨루엔술폰산의 1:1 몰 비율 염이다.
적합한 염기 염은 무독성 염을 형성하는 염기로부터 형성된다. 그 예로는 알루미늄, 아르기닌, 벤자틴, 칼슘, 콜린, 디에틸아민, 디올아민, 글리신, 리신, 마그네슘, 메글루민, 올라민, 칼륨, 나트륨, 트로메타민 및 아연 염이 포함된다.
또한, 산 및 염기의 헤미염, 예를 들어 헤미술페이트 및 헤미칼슘 염이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염에 대한 검토를 위해서는 문헌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by Stahl and Wermuth (Wiley-VCH, 2002)]를 참조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i)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원하는 산 또는 염기와 반응시킨다.
(ii)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적합한 전구체로부터 산- 또는 염기-불안정성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원하는 산 또는 염기를 이용하여 적합한 시클릭 전구체, 예를 들어 락톤 또는 락탐을 개환시킨다.
(iii)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한 염을 적절한 산 또는 염기와의 반응에 의해, 또는 적합한 이온 교환 컬럼을 통해 또다른 염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3가지 반응 모두는 전형적으로, 용액 중에서 수행된다. 생성된 염은 침전되어 여과에 의해 수집될 수 있거나, 용매의 증발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생성된 염의 이온화 정도는 완전히 이온화된 상태로부터 거의 비-이온화된 상태까지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완전 비결정질 상태로부터 완전 결정질 상태까지에 걸쳐 고체 상태의 연속체로 존재할 수 있다. 용어 '비결정질'은, 물질이 분자 수준에서 장거리 질서가 결여되어 있고 온도에 따라 고체 또는 액체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낼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물질은 특징적인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지 않고, 고체의 성질을 나타내면서 보다 형식적으로는 액체로서 기술된다. 가열시, 고체 성질에서 액체 성질로의 변화가 나타나며, 이는 상태 변화 (전형적으로는 2차 ('유리 전이'))를 특징으로 한다. 용어 '결정질'은, 물질이 분자 수준에서 규칙적인 질서의 내부 구조를 가지며 정해진 피크를 갖는 특징적인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고체 상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물질은 충분히 가열되었을 때 액체의 성질을 나타낼 것이나, 고체에서 액체로의 변화는 상 변화 (전형적으로는 1차 ('융점'))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및 파라-톨루엔술폰산의 1:1 몰 비율 염의 결정질 형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화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결정질 형태는 Cu Kα1 방사선 (파장 = 1.5406 Å)을 이용하여 측정시, 다음과 같은 주요 X-선 회절 패턴 피크 (2-세타 각 (± 0.1°)을 통해 표현됨)를 갖는 X-선 회절 패턴을 갖는다.
Figure pct00028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결정질 형태는 Cu Kα1 방사선 (파장 = 1.5406 Å)을 이용하여 측정시, 다음과 같은 주요 X-선 회절 패턴 피크 (2-세타 각 (± 0.1°)을 통해 표현됨)를 갖는 X-선 회절 패턴을 갖는다.
Figure pct00029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상기 두 개의 X-선 회절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갖고, TGA/SDTA 자취에 있어서 약 132.7 ℃에서 융점 흡열 피크를 갖는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및 파라-톨루엔술폰산의 1:1 몰 비율 염의 결정질 형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화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비용해된 형태 및 용해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용어 '용매화물'은 본원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 분자, 예를 들어 에탄올을 포함하는 분자 복합체를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용어 '수화물'은 상기 용매가 물일 때 사용된다.
현재 유기 수화물에 대해 용인된 분류 시스템은 단리된 부위, 채널, 또는 금속-이온 배위된 수화물을 정의하는 것이다 - 문헌 [Polymorphism in Pharmaceutical Solids by K. R. Morris (Ed. H. G. Brittain, Marcel Dekker, 1995)]를 참조한다. 단리된 부위 수화물이란 유기 분자 사이에 개입함으로써 서로 직접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물 분자가 단리된 것을 말한다. 채널 수화물에서, 물 분자는 격자 채널 내에서 다른 물 분자의 옆에 위치한다. 금속-이온 배위 수화물에서, 물 분자는 금속 이온에 결합되어 있다.
용매 또는 물이 단단하게 결합된 경우, 복합체는 습도와 관계없이 뚜렷한 화학량론을 갖게 될 것이다. 그러나, 채널 용매화물 및 흡습 화합물에서와 같이 용매 또는 물이 약하게 결합된 경우, 물/용매 함량은 가습 조건 및 건조 조건에 의존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비-화학량론이 기준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는 또한 약물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성분이 화학량론적 또는 비-화학량론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염 및 용매화물 이외의) 다중-성분 복합체가 포함된다. 이러한 유형의 복합체로는 포접화합물 (약물-숙주 내포 복합체) 및 공결정이 있다. 공결정은 전형적으로 비-공유 상호작용을 통해 함께 결합된 중성 분자 구성성분의 결정질 복합체로 정의되지만, 이는 또한 중성 분자와 염의 복합체일 수도 있다. 공결정은 용융 결정화, 용매로부터의 재결정화, 또는 성분들을 함께 물리적으로 분쇄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 문헌 [Chem Commun, 17, 1889-1896, by O. Almarsson and M. J. Zaworotko (2004)]을 참조한다. 다중-성분 복합체의 일반 검토를 위해, 문헌 [J Pharm Sci, 64 (8), 1269-1288, by Haleblian (August 1975)]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적합한 조건하에서 준결정 상태 (중간상 또는 액체 결정)로 존재할 수 있다. 준결정 상태는 진정한 결정질 상태와 진정한 액체 상태 (용융액 또는 용액) 사이의 중간체이다. 온도 변화의 결과로 발생하는 준결정성을 '온도 전이형'이라 기술하고, 2차 성분, 예컨대 물 또는 또다른 용매의 첨가로 인해 발생하는 준결정성은 '농도 전이형'이라 기술한다. 농도 전이형 중간상을 형성하는 잠재력을 갖는 화합물은 '양친성'이라 기술하며, 이는 이온성 (예컨대 -COO-Na+, -COO-K+, 또는 -SO3 -Na+) 또는 비-이온성 (예컨대 -N-N+(CH3)3) 극성 머리기를 보유한 분자들로 이루어진다. 추가의 정보를 위해, 문헌 [Crystals and the Polarizing Microscope by N. H. Hartshorne and A. Stuart, 4th Edition (Edward Arnold, 1970)]을 참조한다.
이하,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한 모든 언급에는 그의 염, 용매화물, 다중-성분 복합체 및 액체 결정에 대한 언급 및 그의 염의 용매화물, 다중-성분 복합체 및 액체 결정에 대한 언급이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위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전구약물'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즉, 그 자체로는 거의 또는 전혀 약리학적 활성을 가지지 않을 수 있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특정 유도체는 신체 내에 또는 신체 상에 투여되었을 때, 예를 들어 가수분해 절단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한 유도체를 '전구약물'이라 부른다. 전구약물의 사용에 관한 추가의 정보는 문헌 [Pro-drugs as Novel Delivery Systems, Vol. 14, ACS Symposium Series (T. Higuchi and W. Stella)] 및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 Pergamon Press, 1987 (Ed. E. B. Roc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구약물은,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에 존재하는 적절한 관능기를 '전구-잔기'로서, 예를 들어 문헌 [Design of Prodrugs by H. Bundgaard (Elsevier, 198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특정 잔기로 대체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구약물의 몇몇 예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1급 또는 2급 아미노 관능기 (-NH2 또는 -NHR, 여기서 R ≠ H)를 함유하는 경우, 그의 아미드,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아미노 관능기의 수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C1-C10)알카노일에 의해 치환된 화합물이 포함된다.
상기한 예 및 그 밖의 전구약물 유형의 예에 따른 치환기의 추가의 예는 상기에서 언급한 참조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그 자체가 다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전구약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대사물질, 즉 약물 투여시 생체내에서 형성되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사물질의 몇몇 예로는
(i)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메틸 기를 함유하는 경우, 그의 히드록시메틸 유도체 (-CH3 → -CH2OH):
(ii)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알콕시 기를 함유하는 경우, 그의 히드록시 유도체 (-OR → -OH);
(iii) 화학식 I의 화합물이 3급 아미노 기를 함유하는 경우, 그의 2급 아미노 유도체 (-NR1R2 → -NHR1 또는 -NHR2);
(iv) 화학식 I의 화합물이 2급 아미노 기를 함유하는 경우, 그의 1급 유도체 (-NHR1 → -NH2); 및
(v)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아미드 기를 함유하는 경우, 그의 카르복실산 유도체 (-CONH2 → COOH)가 있다.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입체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다. 구조 이성질체가 낮은 에너지 장벽을 통해 상호전환이 가능한 경우, 호변이성질체 현상 ('호변이성질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이미노, 케토, 또는 옥심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에서는 양성자 호변이성질 현상의 형태를, 또는 방향족 잔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에서는 소위 원자가 호변이성질 현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는 단일의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유형의 이성질 현상을 나타낼 수 있는 것에 따른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이성질 현상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비롯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및 호변이성질체 형태, 및 이들의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또한, 반대이온이 광학 활성이거나 (예를 들어, d-락테이트 또는 l-리신), 또는 라세미인 (예를 들어, dl-타르트레이트 또는 dl-아르기닌) 산 부가 염 또는 염기 염도 포함된다.
시스/트랜스 이성질체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기술,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 및 분별 결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개별 거울상이성질체의 제조/단리를 위한 통상적인 기술로는 적합한 광학적으로 순수한 전구체로부터의 키랄 합성, 또는 예를 들어 키랄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를 이용한 라세미체 (또는 염 또는 유도체의 라세미체)의 분할이 있다.
별법으로, 라세미체 (또는 라세미 전구체)를 적합한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 예를 들어 알코올과 반응시킬 수 있거나,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산성 또는 염기성 잔기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1-페닐에틸아민 또는 타르타르산과 같은 염기 또는 산과 반응시킬 수 있다. 생성된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은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분별 결정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부분입체이성질체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들)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랄 화합물 (및 그의 키랄 전구체)은 부피를 기준으로 이소프로판올을 0 내지 50%, 전형적으로 2% 내지 20%, 및 부피를 기준으로 알킬아민을 0 내지 5%, 전형적으로 디에틸아민을 0.1% 함유하는 탄화수소, 전형적으로 헵탄 또는 헥산으로 이루어진 이동상을 이용하여 비대칭 수지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전형적으로 HPLC하여 거울상이성질체-풍부화 형태로 수득할 수 있다. 용출물의 농축은 풍부한 혼합물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문헌 [Chromatography and Separation Science by Satinder Ahuja (Academic Press, 2003)]; [Chiral Separation Techniques: A Practical Approach, 3rd by Ganapathy Subramanian (Wiley, 2007)]을 참조한다.
임의의 라세미체를 결정화하는 경우, 두 가지의 상이한 유형의 결정이 가능하다. 첫번째 유형은 상기에서 언급한 라세미 화합물 (진정한 라세미체)로, 거울상이성질체 둘 모두를 등몰량으로 함유하는 하나의 균질한 결정 형태가 생성된다. 두번째 유형은 라세미 혼합물 또는 집성체로, 각각 단일의 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는 두 가지 형태의 결정이 등몰량으로 생성된다.
라세미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결정 형태가 둘 모두 동일한 물리적 특성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이들은 진정한 라세미체와는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라세미 혼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 예를 들어, 문헌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by E. L. Eliel and S. H. Wilen (Wiley, 1994)]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원자가 원자 번호는 동일하지만 천연에서 우세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와는 상이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에 의해 치환된 화학식 (I)의 제약상 허용되는 동위원소-표지된 화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포함되기에 적합한 동위원소의 예로는 수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2H 및 3H, 탄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11C, 13C 및 14C, 염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36Cl, 불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18F, 요오드의 동위원소, 예컨대 123I 및 125I, 질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13N 및 15N, 산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15O, 17O 및 18O, 인의 동위원소, 예컨대 32P, 및 황의 동위원소, 예컨대 35S가 있다.
동위원소-표지된 특정 화학식 I의 화합물,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원소가 도입된 것은 약물 및/또는 기질 조직 분포 연구에 유용하다. 방사성 동위원소인 삼중수소, 즉 3H 및 탄소-14, 즉 14C는 이들의 도입 용이성 및 용이한 검출 방법의 관점에서 상기 목적에 특히 유용하다.
중수소, 즉 2H와 같은 보다 무거운 동위원소에 의한 치환은 보다 큰 대사 안정성, 예를 들어 증가된 생체내 반감기 또는 감소된 투여 요구량으로 인해 특정 치료상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일부 상황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양전자 방출 동위원소, 예컨대 11C, 18F, 15O 및 13N에 의한 치환은 기질 수용체 점유를 조사하기 위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PET) 연구에 유용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동위원소-표지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기술에 의하거나 또는 종전에 사용되었던 비-표지된 시약 대신 적절한 동위원소-표지된 시약을 사용한, 첨부한 실시예 및 제조예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화물에는 결정화 용매가 동위원소 치환될 수 있는 것, 예를 들어 D2O, d6-아세톤, d6-DMSO인 것이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제안되는 징후를 치료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투여 형태 및 투여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 예컨대 용해도 및 (pH에 전체에 걸친) 용액 안정성, 투과성 등 그의 생물제약학적 특성에 대해 평가될 수 있다,
제약학적 용도로 의도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생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침전, 결정화, 동결 건조, 스프레이 건조 또는 증발 건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고체 플러그, 분말, 또는 필름으로서 수득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무선 주파 건조를 본 목적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의 다른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되어, 또는 1종 이상의 다른 약물과 조합되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제제로서 투여될 것이다. 용어 '부형제'는 본원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 이외의 임의의 요소, 예를 들어 희석제, 담체 및 보조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부형제의 선택은 특정한 투여 방식, 용해도 및 안정성에 대한 부형제의 효과, 및 투여 형태의 속성과 같은 인자에 의존하여 넓은 범위에 이를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것이다. 그러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ition (Mack Publishing Company, 1995)]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는 화합물이 위장관으로 진입하도록 삼키는 것, 및/또는 화합물이 입으로부터 직접 혈류로 진입하도록 협측, 설측 또는 설하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제로는 정제; 다중- 또는 나노-미립자, 액체 또는 분말을 함유하는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로젠지제 (액체-충전된 것을 포함); 츄잉제; 겔제; 급속 분산 투여 형태; 필름제; 오뷸 (ovule); 스프레이제; 및 협측/점막점착성 패치제와 같은 고체, 반-고체 및 액체 시스템이 있다.
액체 제제로는 현탁액제, 용액제, 시럽제 및 엘릭시르제가 있다. 그러한 제제는 연질 또는 경질 캡슐 (예를 들어, 젤라틴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로 제조된 것)의 충전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담체,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셀룰로스, 또는 적합한 오일, 및 1종 이상의 에멀션제 및/또는 현탁화제를 포함한다. 액체 제제는 또한 고체를 재구성하여, 예를 들어 사쉐로부터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문헌 [Therapeutic Patents, 11 (6), 981-986, by Liang and Chen (2001)]의 전문가 의견란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신속-용해, 신속-붕해 투여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정제 투여 형태에 있어서, 용량에 따라 약물은 투여 형태의 1 중량% 내지 80 중량%, 보다 전형적으로 투여 형태의 5 중량% 내지 60 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약물에 더하여, 정제는 일반적으로 붕해제를 함유한다. 붕해제의 예로는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크로스포비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 셀룰로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저급 알킬-치환된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전분, 전호화 전분 및 나트륨 알기네이트가 있다. 일반적으로, 붕해제는 투여 형태의 1 중량%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20 중량%를 구성할 것이다.
결합제는 일반적으로 정제 제제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합한 결합제로는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젤라틴, 당, 폴리에틸렌 글리콜, 천연 및 합성 검, 폴리비닐피롤리돈, 전호화 전분,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가 있다. 정제는 또한 희석제, 예컨대 락토스 (1수화물, 스프레이-건조된 1수화물, 무수물 등), 만니톨, 크실리톨,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소르비톨,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전분 및 2염기 칼슘 포스페이트 2수화물을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임의로 계면 활성제, 예컨대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활택제, 예컨대 이산화규소 및 탈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이 존재하는 경우, 계면 활성제는 정제의 0.2 중량% 내지 5 중량%를 구성할 수 있고, 활택제는 정제의 0.2 중량% 내지 1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일반적으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의 혼합물과 같은 윤활제를 함유한다. 윤활제는 일반적으로 정제의 0.25 중량% 내지 10 중량%를 구성하고,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3 중량%를 구성한다.
그 밖에 가능한 요소들로는 항산화제, 착색제, 풍미제, 보존제 및 맛-차단제가 있다.
예시가 되는 정제는 약물을 최대 약 80%, 결합제를 약 1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희석제를 약 0 중량% 내지 약 85 중량%, 붕해제를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및 윤활제를 약 0.2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함유한다.
정제 블렌드는 직접 또는 롤러에 의해 압축되어 정제로 형성될 수 있다. 정제 블렌드 또는 블렌드의 일부는 별법으로 정제화 이전에 습식-, 건식-, 또는 용융-과립화, 용융 동결, 또는 압출될 수 있다. 최종 제제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 있고; 캡슐화될 수도 있다.
정제 제제는 문헌 [Pharmaceutical Dosage Forms: Tablets, Vol. 1, by H. Lieberman and L. Lachman (Marcel Dekker, New York, 1980)]에 논의되어 있다.
인간 또는 수의학적 용도를 위한 소모성 경구 필름은 전형적으로 유연한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얇은 필름 투여 형태로, 쉽게 용해되거나 점막에 점착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 필름-형성 폴리머, 결합제, 용매, 습윤제, 가소제, 안정화제 또는 에멀션화제, 점도 변형제 및 용매를 포함한다. 제제의 일부 성분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수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다. 수용성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용질을 1 중량% 내지 80 중량%, 보다 전형적으로 20 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한다. 덜 가용성인 화합물은 조성물에서 더 큰 비율을 차지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용질을 최대 88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다중미립자 비드의 형태일 수 있다.
필름-형성 폴리머는 천연 다당류, 단백질, 또는 합성 하이드로콜로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 0.01 내지 99 중량%, 보다 전형적으로 30 내지 80 중량%의 범위로 존재한다.
그 밖에 가능한 요소들로는 항산화제, 착색제, 풍미제 및 풍미 증진제, 보존제, 타액 자극제, 냉각제, 공용매 (오일 포함), 연화제, 증량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및 맛-차단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전형적으로 박리가능한 지원 지지체 또는 종이 상에 코팅된 얇은 수성 필름을 증발 건조시켜 제조한다. 이는 건조 오븐 또는 터널, 전형적으로 조합된 코팅 건조기 내에서 행할 수 있거나, 또는 동결 건조 또는 진공화하여 행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제제는 즉시 방출형 및/또는 변형 방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변형 방출형 제제로는 지연-, 지속-, 펄스형-, 제어-, 표적화 및 프로그램화 방출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변형 방출형 제제가 미국 특허 제6,106,864호에 기술되어 있다. 고에너지 분산법과 같은 그 밖의 적합한 방출 기법 및 삼투 및 코팅 입자에 대한 상세사항은 문헌 [Pharmaceutical Technology On-line, 25(2), 1-14, by Verma et al (2001)]에서 확인한다. 제어 방출형을 달성하기 위해 츄잉검을 이용하는 것은 WO 00/35298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혈류, 근육, 또는 내부 장기로 직접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한 방법으로는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척추강내, 뇌실내, 요도내, 흉골내, 두개내, 근육내, 활막내 및 피하 투여 방법이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한 장치로는 침 (현미침 포함) 주사기, 무침 주사기 및 주입 기술이 있다.
비경구 제제는 전형적으로 수성 용액제이며, 염, 탄수화물 및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의 pH에 대한 것)와 같은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지만, 일부 분야에서는 이를 멸균의 발열원이 없는 물과 같은 적합한 비히클과 함께 사용한 멸균 비-수성 용액제 또는 건조된 형태로 보다 적합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멸균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동결건조에 의한 비경구 제제의 제조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표준 제약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비경구 용액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해도는 적절한 제제화 기술을 이용하여, 예컨대 용해도-증진제를 도입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는 즉시 방출형 및/또는 변형 방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변형 방출형 제제로는 지연-, 지속-, 펄스형-, 제어-, 표적화 및 프로그램화 방출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현탁액으로서, 또는 고체, 반-고체, 또는 활성 화합물의 변형 방출을 제공하는 이식형 데포로서의 투여를 위한 요변성 액체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그러한 제제의 예로는 약물-코팅된 스텐트 및 약물-적재된 폴리(dl-락틱-코글리콜)산 (PGLA)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하는 반-고체 및 현탁액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피부 또는 점막에 국소적으로, 진피(내)로, 또는 경피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전형적인 제제로는 겔제, 하이드로겔제, 로션제, 용액제, 크림제, 연고제, 산포제, 드레싱, 거품제, 필름제, 피부 패치제, 웨이퍼, 임플란트, 스폰지제, 섬유제, 밴드 및 마이크로 에멀션이 있다. 리포솜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담체로는 알콜, 물, 미네랄 오일, 액체 페트롤라텀, 백색 페트롤라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이 있다. 투과 증진제를 도입할 수 있고 - 예를 들어, 문헌 [J Pharm Sci, 88 (10), 955-958, by Finnin and Morgan (October 1999)]을 참조한다.
국소 투여를 위한 그 밖의 방법으로는 전기 천공, 이온 영동, 음파 영동, 초음파 영동 및 현미침 또는 무침 (예를 들어, 파우더젝트 (Powderject, 상표명), 바이오젝트 (Bioject, 상표명) 등) 주사기에 의한 전달법이 있다.
국소 투여를 위한 제제는 즉시 방출형 및/또는 변형 방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변형 방출형 제제로는 지연-, 지속-, 펄스형-, 제어-, 표적화 및 프로그램화 방출형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전형적으로 건조 분말 흡입기로부터의 건조 분말의 형태로 (단독으로, 예를 들어 락토스와의 건조 블렌드 중의 혼합물로서, 또는 예를 들어 인지질, 예컨대 포스파티딜콜린과 혼합된 혼합 성분 입자로서), 적합한 추진체, 예컨대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또는 1,1,1,2,3,3,3-헵타플루오로프로판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가압 용기, 펌프, 스프레이, 분무기 (바람직하게는 전기 유체역학을 이용하여 미세 미스트를 생성하는 분무기), 또는 네뷸라이저로부터의 에어로졸 스프레이로서, 또는 점비제로서 비강내로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비강내 사용을 위해, 분말은 생점착제, 예를 들어, 키토산 또는 시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용기, 펌프, 스프레이, 분무기, 또는 네뷸라이저는, 용매로서 예를 들어 에탄올, 수성 에탄올, 또는 활성 물질 추진체(들)의 분산, 용해 또는 방출 연장을 위한 적합한 대체제, 및 임의적인 계면활성제, 예컨대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올레산 또는 올리고락트산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함유한다.
건조 분말 또는 현탁액 제제에 사용하기 이전에, 약물 생성물을 흡입에 의한 전달에 적합한 크기로 미세화한다 (전형적으로 5 ㎛ 미만). 이는 임의의 적절한 세분법, 예컨대 나선형 제트 밀링, 유동층 제트 밀링, 나노입자 형성을 위한 초임계 유체 가공법, 고압 균질화, 또는 스프레이 건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하기 위한 캡슐 (예를 들어, 젤라틴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로 제조된 것), 블리스터 및 카트리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분말 혼합물, 적합한 분말 기재, 예컨대 락토스 또는 전분 및 성능 변형제, 예컨대 l-류신, 만니톨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함유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락토스는 무수물이거나 또는 1수화물 형태일 수 있고, 후자가 바람직하다. 그 밖에 적합한 부형제로는 덱스트란, 글루코스, 말토스, 소르비톨, 크실리톨, 프룩토스, 수크로스 및 트레할로스가 있다.
전기 유체역학을 이용하여 미세 미스트를 생성하는 분무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용액 제제는 1회 구동 당 본 발명의 화합물을 1 μg 내지 20 mg 함유할 수 있고, 구동 부피는 1 μl 내지 100 μl로 다양할 수 있다. 전형적인 제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프로필렌 글리콜, 멸균수, 에탄올 및 나트륨 클로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렌 글리콜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대안의 용매로는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있다.
적합한 풍미제, 예컨대 멘톨 및 레보멘톨, 또는 감미제, 예컨대 사카린 또는 사카린 나트륨은 흡입/비강내 투여에 의도되는 본 발명의 제제에 첨가될 수 있다.
흡입/비강내 투여를 위한 제제는 즉시 방출형 및/또는 예를 들어, PGLA를 이용하여 변형 방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변형 방출형 제제로는 지연-, 지속-, 펄스형-, 제어-, 표적화 및 프로그램화 방출형이 있다.
건조 분말 흡입제 및 에어로졸의 경우, 투여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단위는 전형적으로 계량된 용량으로,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0.001 mg 내지 10 mg 함유하는 "퍼프 (puff)"로 투여되도록 준비된다. 총 일일 용량은 전형적으로 0.001 mg 내지 40 mg의 범위일 것이고, 이는 단일 용량으로, 또는 보다 통상적으로는 하루 동안의 분할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좌약, 페서리 또는 관장제의 형태로 직장 또는 질로 투여될 수 있다. 코코아 버터는 전통적인 좌약 기재이나, 다양한 대체물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직장/질 투여를 위한 제제는 즉시 방출형 및/또는 변형 방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변형 방출형 제제로는 지연-, 지속-, 펄스형-, 제어-, 표적화 및 프로그램화 방출형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전형적으로 등장성의 pH-조정된 멸균 염수 중의 미세 현탁액 또는 용액의 소적의 형태로 눈 또는 귀로 직접 투여될 수 있다. 안구 및 귀 투여에 적합한 그 밖의 제제로는 연고제, 겔제, 생체분해성 (예를 들어, 흡수성 겔 스폰지, 콜라겐) 및 비-생체분해성 (예를 들어, 실리콘) 임플란트, 웨이퍼, 렌즈 및 미립자 또는 소수포성 시스템, 예컨대 니오솜 또는 리포솜이 있다. 가교된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콜, 히알루론산, 셀룰로스성 폴리머,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또는 메틸 셀룰로스, 또는 헤테로폴리사카라이드 폴리머, 예를 들어 겔란 검과 같은 폴리머는, 예컨대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보존제와 함께 도입될 수 있다. 그러한 제제는 또한 이온 영동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안구/귀 투여를 위한 제제는 즉시 방출형 및/또는 변형 방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변형 방출형 제제로는 지연-, 지속-, 펄스형-, 제어-, 표적화 또는 프로그램화 방출형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임의의 투여 방식으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그의 용해도, 용해 속도, 맛-차단, 생체이용률 및/또는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가용성 고분자 물질, 예컨대 시클로덱스트린 및 그의 적합한 유도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함유 폴리머와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시클로덱스트린 복합체는 대부분의 투여 형태 및 투여 경로에 일반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포접 복합체 및 비-포접 복합체 둘 다 사용할 수 있다. 약물과의 직접적인 복합체 형성에 대한 대안으로서, 시클로덱스트린을 보조 첨가제, 즉 담체, 희석제 또는 가용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것은 알파-, 베타- 및 감마-시클로덱스트린으로, 그 예는 국제 특허 공개공보 제WO 91/11172호, 제WO 94/02518호 및 제WO 98/55148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정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의 조합물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음을 고려하면, 둘 이상의 제약 조성물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함)을 조성물의 공동투여에 적합한 키트의 형태로 알맞게 조합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트는 둘 이상의 개별 제약 조성물 (그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함), 및 상기 조성물을 개별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용기, 분할된 병, 또는 분할된 호일 패킷을 포함한다. 그러한 키트의 예로는 정제, 캡슐제 등의 포장에 사용되는 친숙한 블리스터 팩이 있다.
본 발명의 키트는 상이한 투여 형태, 예를 들어, 경구 및 비경구 투여 형태를 투여하거나, 개별 조성물을 상이한 투여 간격으로 투여하거나, 또는 개별 조성물을 서로 적정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이행을 돕기 위해, 키트는 전형적으로 투여를 위한 지침서를 포함하고, 소위 기억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인간 환자에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의 총 일일 용량은, 물론 투여 방식에 의존해서, 전형적으로 0.01 mg 내지 2000 mg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총 일일 용량은 전형적으로 0.1 mg 내지 500 mg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총 일일 용량은 전형적으로 1 mg 내지 300 mg의 범위이다. 총 일일 용량은 단일 용량 또는 분할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주치의 재량으로 본원에서 제시하는 전형적인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체중이 약 60 kg 내지 70 kg인 평균 인간 대상체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주치의는 체중이 이 범위를 벗어나는 대상체, 예컨대 유아 및 노인에 대한 용량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은,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의 활성제와 조합하여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기도 질환, 장애, 또는 병태라 칭한다.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기도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예로는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천식, 특히 아토피성 천식, 비-아토피성 천식, 알레르기성 천식, 아토피성 기관지 IgE-매개 천식, 기관지 천식, 본태성 천식, 진성 천식, 병리생리학적 장애로 인한 내인성 천식, 환경 인자로 인한 외인성 천식, 알려지지 않았거나 불명확한 원인의 본태성 천식, 기관지염성 천식, 기종성 천식, 운동-유발성 천식, 알레르기 항원-유발성 천식, 냉기-유발성 천식, 직업성 천식, 박테리아, 진균, 원충 또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감염성 천식, 비-알레르기성 천식, 초기 천식, 천명성 유아 증후군 및 세기관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인 천식,
- 만성 또는 급성 기관지수축, 만성 기관지염, 소기도 폐쇄 및 폐기종,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폐쇄성 또는 염증성 기도 질환, 특히 만성 호산구성 폐렴,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COPD와 연관되거나 연관되지 않은 만성 기관지염, 폐 폐기종 또는 호흡곤란을 포함하는 COPD, 비가역적 진행성 기도 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COPD,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 (ARDS), 다른 약물 요법에 따른 기도 과민반응의 악화, 및 폐 고혈압과 연관된 기도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인 폐쇄성 또는 염증성 기도 질환,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기관지염, 특히 급성 기관지염, 급성 후두 기관지염, 아라키드성 기관지염, 카타르성 기관지염, 크루프성 기관지염, 건성 기관지염, 감염성 천식성 기관지염, 증식성 기관지염, 스타필로코쿠스성 또는 스트렙토코쿠스성 기관지염 및 소수포성 기관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인 기관지염,
- 급성 폐 손상,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기관지확장증, 특히 원통형 기관지확장증, 피포성 기관지확장증, 방추형 기관지확장증, 모세관성 기관지확장증, 낭성 기관지확장증, 건성 기관지확장증 및 여포상 기관지확장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인 기관지확장증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장애 및 병태가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5-LO 매개 질환에는 추가로 표 1에 열거된 것들이 포함된다:
<표 1>
(a) 연기에 의해 유도된 기도 염증 및 기침에 의해 강화된 염증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염증;
(b) 관절염, 예컨대 류마티스성 관절염, 척추관절병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관절염, 소아성 관절염, 골관절염, 및 통풍성 관절염;
(c) 신경염증;
(d) 통증 (즉, 진통제로서의 화합물의 용도), 예컨대 침해성 또는 신경병증성 통증;
(e) 열 (즉, 해열제로서의 화합물의 용도);
(f) 폐 사르코이드증, 및 규폐증;
(g) 심혈관 질환, 예컨대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근 경색 (예컨대, 심근 경색 후 징후) 혈전증, 울혈성 심부전, 심장 재관류 손상, 및 고혈압 및/또는 심부전 관련 합병증, 예컨대 혈관 장기 손상;
(h) 심근증;
(i) 뇌졸중, 예컨대 허혈성 및 출혈성 뇌졸중;
(j) 허혈, 예컨대 뇌 허혈 및 심장/관상동맥 우회술로 인한 허혈 또는 심근 손상으로 유도된 허혈;
(k) 허혈 후 재관류 손상을 비롯한 재관류 손상;
(l) 신장의 재관류 손상;
(m) 뇌 부종 또는 뇌 손상;
(n) 신경외상 및 뇌 외상, 예컨대 폐쇄성 두부 손상;
(o) 신경퇴행성 장애;
(p) 중추 신경계 장애 (여기에는, 예를 들어 염증성 또는 세포사멸 성분을 갖는 장애가 포함됨), 예컨대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헌팅턴 질환,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척수 손상, 및 말초 신경병증;
(q) 간 질환;
(r)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이상지혈증;
(s) 위염, 위 정맥류, 염증성 장 질환, 크론 질환, 위염, 과민성 장 증후군, 및 궤양성 질환 (궤양성 대장염 및 위궤양을 포함)을 비롯한 위장관 병태;
(t) 신장염;
(u) 안과성 질환, 예컨대 망막염, 망막병증 (예컨대 당뇨병성 망막병증), 포도막염, 안구 광선공포증, 비녹내장성 시신경 위축, 및 나이-관련 황반 변성 (ARMD) (예컨대 ARMD-위축형);
(v) 안과학적 병태, 예컨대 각막 이식 거부, 안구 신혈관형성, 망막 신혈관형성 (예컨대 손상 또는 감염 이후의 신혈관형성) 및 수정체뒤 섬유증식증;
(w) 녹내장, 예컨대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 (POAG), 소아 발병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 폐쇄각 녹내장, 가박탈성 녹내장, 전방 허혈 시신경병증 (AION), 안구 고혈압, 레이거 증후군, 정상 안압 녹내장, 혈관신생 녹내장, 안구 염증,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유도 녹내장;
(x) 눈 조직에 대한 급성 손상 및 안구 외상, 예컨대 외상 후 녹내장, 외상성 시신경병증, 및 망막 중심 동맥 폐쇄 (CRAO);
(y) 제I형 당뇨병 및 제II형 당뇨병을 비롯한 당뇨병;
(z) 당뇨병성 신장병증;
(aa) 피부-관련 병태, 예컨대 건선, 습진, 화상, 피부염, 켈로이드 형성, 반흔 조직 형성, 경피증 및 혈관신생 장애;
(bb)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감염, 예컨대 패혈증, 패혈성 쇼크, 그램 네거티브 패혈증, 말라리아, 수막염, 기회 감염, 감염 또는 악성 종양에 대한 2차 악액질,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AIDS)에 대한 2차 악액질, AIDS, ARC (AIDS 관련 증후군), 폐렴, 단순 헤르페스 감염, 리노바이러스 감염, 및 헤르페스 바이러스;
(cc) 감염으로 인한 근육통;
(dd) 인플루엔자;
(ee) 내독소성 쇼크;
(ff) 독성 쇼크 증후군;
(gg) 자가면역 질환, 예컨대 이식편 대 숙주 반응 및 동종이식편 거부 반응;
(hh) 골 재흡수 질환, 예컨대 골다공증;
(ii) 다발성 경화증;
(jj) 여성 생식계 장애, 예컨대 자궁내막증, 월경통, 질염 및 칸디다증;
(kk) 병리학적이지만 비-악성 종양성 병태, 예컨대 혈관종 (예컨대 유아성 혈관종), 비인두의 혈관섬유종, 및 뼈의 무혈성 괴사;
(mm) 임의의 종류의 암, 예컨대 결장직장 암, 뇌 암, 골 암, 상피 세포-유래 신생물형성 (상피 암종), 예컨대 기저 세포 암종, 샘암종, 위장관 암, 예컨대 구순 암, 구강 암, 식도 암, 소장 암 및 위 암, 대장 암, 간 암, 방광 암, 췌장 암, 난소 암, 자궁경부 암, 폐 암, 유방 암, 피부 암, 예컨대 편평상피 세포 및 기저 세포 암, 전립선 암, 신장 세포 암종, 호킨슨 질환, 및 그 밖에 신체를 통해 상피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공지된 암을 비롯한 양성 및 악성 종양/신생물형성;
(nn) 전신 홍반성 루푸스 (SLE);
(oo) 신생물형성을 비롯한 맥관형성;
(pp) (암세포) 전이;
(qq) 섬유성 질환;
(rr) 출혈;
(ss) 응고;
(tt) 감염 및 패혈증과 관련하여, 및 쇼크 (예를 들어, 패혈성 쇼크, 혈류역학 쇼크 등) 동안에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급성기 반응;
(vv) 식욕부진;
(ww) 마이코박테리아 감염;
(xx) 거짓광견병;
(yy) 비기관염;
(zz) HIV;
(aaa) 사르코이드증;
(bbb)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유형-1 (HSV-1),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유형-2 (HSV-2)를 비롯한 헤르페스 바이러스;
(ccc) 거대세포바이러스 (CMV);
(ddd)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eee) 엡스타인-바르 (Epstein-Barr) 바이러스;
(fff)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6 (HHV-6);
(ggg)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7 (HHV-7),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8 (HHV-8);
(hhh) 근육발생;
(iii) 뮤신 과다생성, 및/또는 점액 과잉분비;
(jjj) 알레르기성 비염을 비롯한 알레르기;
(kkk) 조직 파괴;
(lll) 숨이 가쁜 기침과 같은 징후 및 증상;
(mmm) 재생불량성 빈혈을 비롯한 혈액 장애;
(nnn) 요추성 척추증 및 요추성 척추관절증을 비롯한 척추관절병증;
(ooo) 남성 생식계 장애;
(ppp) 편두통 두통 통증, 부비동 두통 통증, 및 긴장성 두통 통증을 비롯한 두통 통증;
(qqq) 치통;
(rrr) 류마티스열;
(sss) 결합 조직 손상 또는 장애;
(ttt) 비만증;
(uuu) 폐 장애 및 질환 (예를 들어, 과산소 폐포 손상);
(vvv) 신장 결석;
(www) 상처 치유;
(xxx) 경증 손상;
(yyy) 방사선 손상;
(zzz) 윤활낭염;
(aaaa) 혈관 질환;
(bbbb) 폐 부종;
(cccc) 결막염;
(dddd) 힘줄염;
(eeee) 외피성 치매;
(ffff) 치은염;
(gggg) 손상 후 발생하는 종창;
(hhhh) 결절성 동맥주위염;
(iiii) 갑상선염;
(kkkk) 다발근육염;
(llll) 베체트 증후군;
(mmmm) 신염 증후군;
(nnnn) 과민증, 및
(oooo) 경도 인지 장애 및 정신분열증의 인지 결함을 비롯한 인지 장애, 양극성 장애, 및 ADHD.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통증이라 칭한다. 통증은 침해성 또는 신경병증성 통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양태에서, 부가적인 활성제(들)로는 GABA 유사체, 예컨대 가바펜틴 또는 프레가발린, 마약성분, 예컨대 모르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NSAID), COX-2 억제제, 스테로이드 또는 에이코사노이드 경로의 조절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생리적 통증은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잠재적으로 손상을 줄 수 있는 자극으로 인한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설계된 중요한 보호 메카니즘이다. 이 시스템은 특정 세트의 1차 감각 뉴런을 통해 작동하고, 말초 변환 메카니즘을 통하여 유해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다 (검토를 위해 문헌 [Millan, 1999, Prog. Neurobiol., 57, 1-164] 참조). 이들 감각 섬유들은 침해수용체로 알려져 있고, 느린 전도 속도를 갖는 작은 직경의 엑손을 특징으로 한다. 침해수용체는 척수에 대한 그의 국소해부적으로 조직화된 돌기에 의해 유해 자극의 강도, 지속기간 및 질과, 자극의 위치를 암호화한다. 침해수용체는 통각 신경 섬유에서 발견되며, 이는 두 가지의 주요 유형, A-델타 섬유 (미엘린화된 것)) 및 C 섬유 (비-미엘린화된 것)가 있다. 침해수용체 입력에 의해 생성된 활성은 등쪽 돌기에서의 복합 프로세싱 이후에 직접적으로 또는 뇌간 중계핵을 통해 복기저 시상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통증 감각이 생성되는 대뇌 피질로 전달된다.
통증은 일반적으로 급성 또는 만성 통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급성 통증은 급작스럽게 시작되어 짧게 지속된다 (통상적으로 12주 이하). 이는 통상적으로 특정 손상과 같은 특정 원인과 관련이 있으며, 종종 날카롭고 심각하다. 이는 수술, 치과 치료, 좌상 또는 염좌로부터 기인한 특정 손상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통증 유형이다. 급성 통증은 일반적으로 어떤 지속적인 심리적 반응도 야기하지 않는다. 반대로, 만성 통증은 장기간의 통증으로, 전형적으로 3달을 초과하여 지속되며, 유의한 심리적 및 감정적 문제를 야기한다. 만성 통증의 흔한 예로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를 들어,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 포진 후 신경통), 손목 터널 증후군, 등통, 두통, 암 통증, 관절염 통증 및 만성 수술후 통증이 있다.
질환 또는 외상에 의해 신체 조직에 실질적인 손상이 발생하면, 침해수용체 활성화의 특징이 변화되고, 주변부, 손상 주위에서는 국소적으로, 그리고 침해수용체가 종결되는 지점에서는 중점적으로 민감해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효과는 통증 감각을 강화시킨다. 급성 통증에서, 이러한 메카니즘은 회복 프로세스를 더 잘 발생시킬 수 있는 보호 거동을 촉진하는데 있어서 유용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기대되는 것은 손상이 치유되면 감도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많은 만성 통증 상태에서, 과민증은 치유 프로세스보다 훨씬 더 지속되고, 이는 종종 신경계 손상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손상은 종종 부적응 및 이상 활성과 관련된 감각 신경 섬유에서 이상을 야기한다 (문헌 [Woolf & Salter, 2000, Science, 288, 1765-1768]).
임상적 통증은 불편함 및 이상 감도가 환자의 증상 중에서 특징이 될 경우에 나타난다. 환자는 매우 다른 경향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다양한 통증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한 증상으로는 1) 둔탁하거나, 화끈거리거나, 또는 찌르는 듯한 것일 수 있는 자발성 통증; 2) 유해 자극에 대한 과장된 통증 반응 (통각과민); 및 3) 정상적으로는 무해한 자극에 의해 생성되는 통증 (이질통 - 문헌 [Meyer et al., 1994, Textbook of Pain, 13-44])이 있다. 다양한 형태의 급성 및 만성 통증으로 고생한 환자가 유사한 증상을 가질 수 있다 하더라도, 근본 메카니즘은 상이할 수 있고, 따라서 상이한 치료 전략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증은 또한 병리생리학을 구분하는 것에 따라 침해성, 염증성 및 신경병증성 통증을 비롯한 다수의 상이한 하위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침해성 통증은 조직 손상 또는 손상을 유발하는 잠재력을 갖는 강한 자극에 의해 유도된다. 통증 구심성 신경은 손상 부위에서의 침해수용체에 의한 자극의 변환에 의해 활성화되고, 그 종결점 수준에서 척수내 뉴런을 활성화시킨다. 이어서, 이는 통증을 감지하는 곳인 뇌를 향해 척수 신경로로 연속 전달된다 (문헌 [Meyer et al., 1994, Textbook of Pain, 13-44]). 침해수용체의 활성화는 두 가지 유형의 구심성 신경 섬유를 활성화시킨다. 미엘린화된 A-델타 섬유는 급속하게 전송하고, 날카롭고 찌르는 듯한 통증 감각에 관여하는 반면, 비미엘린화된 C 섬유는 보다 느린 속도로 전송하고 둔탁하거나 쑤시는 통증을 전달한다. 중등의 급성 침해성 통증으로부터 심각한 급성 침해성 통증은 중추 신경계 외상, 좌상/염좌, 화상, 심근 경색 및 급성 췌장염으로부터의 통증, 수술 후 통증 (임의의 유형의 수술 절차 이후의 통증), 외상후 통증, 신산통, 암 통증 및 등통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암 통증은 종양 관련 통증 (예를 들어, 뼈 통증, 두통, 안면 통증 또는 내장 통증) 또는 암 요법 관련 통증 (예를 들어, 화학요법후 증후군, 만성 수술후 통증 증후군 또는 방사선요법후 증후군)과 같은 만성 통증일 수 있다. 암 통증은 또한 화학요법, 면역요법, 호르몬 요법 또는 방사선요법에 대응하여 발생할 수 있다.
등통은 추간판 탈출증 또는 파열증 또는 요추후 관절, 천장 관절, 척추 주위 근육 또는 후종 인대의 이상이 원인일 수 있다. 등통은 자연적으로 해소될 수 있으나, 등통이 12주 넘게 지속되는 일부 환자에서는 특히 심신을 약화시킬 수 있는 만성 병태가 된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현재 신경계에서의 1차 병변 또는 기능장애에 의해 개시되거나 유발된 통증으로 정의되어 있다. 신경 손상은 외상 및 질환에 의해 유발될 수 있고, 따라서 용어 '신경병증성 통증'은 다양한 병인을 갖는 많은 장애들을 포괄한다. 여기에는 말초 신경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대상포진 후 신경통, 삼차 신경통, 등통, 암 신경병증, HIV 신경병증, 환지통, 손목 터널 증후군, 중추성 뇌졸중 후 통증 및 만성 알콜중독 관련 통증, 갑상선기능저하증, 요독증, 다발성 경화증, 척수 손상, 파킨슨 질환, 간질 및 비타민 결핍증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어떤 보호적 역할도 갖지 않으므로 병리학적이다. 이는 종종 근본적인 원인이 소멸된 후에 더 잘 나타나며, 보통 수년간 지속되고, 환자의 삶의 질을 유의하게 감소시킨다 (문헌 [Woolf and Mannion, 1999, Lancet, 353, 1959-1964]). 신경병증성 통증의 증상은 같은 질환을 가진 환자들 사이에서도 종종 이질적이기 때문에 치료하기가 어렵다 (문헌 [Woolf & Decosterd, 1999, Pain Supp., 6, S141-S147; Woolf and Mannion, 1999, Lancet, 353, 1959-1964]). 신경병증성 통증으로는 연속적일 수 있는 자발성 통증, 및 발작성 또는 비정상적으로 유발된 통증, 예컨대 통각과민 (유해 자극에 대한 감도 증가) 및 이질통 (정상적으로는 무해한 자극에 대한 감도)이 있다.
염증 프로세스는 조직 손상 또는 이물질의 존재에 대응하여 활성화되는 생화학적 및 세포적 사건의 복합적인 일련과정으로, 종창 및 통증을 야기한다 (문헌 [Levine and Taiwo, 1994, Textbook of Pain, 45-56]). 관절염 통증은 가장 흔한 염증성 통증이다. 류마티스성 질환은 선진국에서 가장 흔한 만성 염증성 병태 중 하나이고,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장애의 흔한 원인이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최근의 가설은 유전적 및 미생물학적 인자 둘 모두가 중요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문헌 [Grennan & Jayson, 1994, Textbook of Pain, 397-407]). 거의 1,600 만명의 미국인이 증상이 있는 골관절염 (OA) 또는 퇴행성 관절 질환을 갖고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이 60세를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인구의 연령이 증가될 수록 4,000 만명으로 까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는 공중 보건상 엄청난 규모의 문제가 된다 (문헌 [Houge & Mersfelder, 2002, Ann Pharmacother., 36, 679-686; McCarthy et al., 1994, Textbook of Pain, 387-395]). 대부분의 골관절염 환자는 관련 통증 때문에 의료적인 조치를 구한다. 관절염은 심리사회적 및 물리적 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노년기의 삶에 장애의 원인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직성 척추염은 또한 척추 및 천장 관절의 관절염을 유발하는 류마티스성 질환이다. 이는 삶의 전반에서 일어나는 간헐적인 등통으로부터 척추, 말초 관절 및 그 밖의 신체 장기를 공격하는 심각한 만성 질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또다른 유형의 염증성 통증은 내장 통증으로, 여기에는 염증성 장 질환 (IBD) 관련 통증이 포함된다. 내장 통증은 복강의 장기를 포함하는 내장과 관련된 통증이다. 그러한 장기에는 성기, 비장 및 소화기 계통의 일부가 포함된다. 내장 관련 통증은 소화기 내장 통증 및 비-소화기 내장 통증으로 나눌 수 있다. 흔하게 접하는 통증을 유발하는 위장관 (GI) 장애로는 기능성 장 장애 (FBD) 및 염증성 장 질환 (IBD)이 있다. 이들 GI 장애에는 FBD, 위식도 역류, 소화불량, 과민성 장 증후군 (IBS) 및 기능성 복통 증후군 (FAPS)에 관한 것, 및 IBD, 크론 질환, 회장염 및 궤양성 대장염에 관한 것을 비롯하여, 현재 단지 중간 정도로 조절되는 광범위한 질환 상태가 포함되고, 이들은 모두 정기적으로 내장 통증을 유발한다. 그 밖의 유형의 내장 통증으로는 월경곤란, 방광염 및 췌장염 관련 통증 및 골반 통증이 있다.
일부 유형의 통증은 다중의 병인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침해성 및 신경병증성 요소 둘 모두를 갖는 등통 및 암 통증과 같이 한 가지 영역 이상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주지한다.
그 밖의 유형의 통증으로는
- 근육통, 섬유근육통, 척추염, 혈청반응-음성 (비-류마티스성) 관절병증, 비-관절성 류마티즘, 근이영양증, 글리코겐분해, 다발근육염 및 화농성 근염을 비롯한 근골격 장애로 인한 통증;
- 협심증, 심근 경색, 승모판 협착증, 심장막염, 레이노 현상, 경화부종 및 골격근 허혈에 의해 유발된 통증을 비롯한 심장 및 혈관 통증,
- 두부 통증, 예컨대 편두통 (전조증상이 있는 편두통 및 전조증상이 없는 편두통을 포함), 군집성 두통, 긴장형 두통, 혼합형 두통 및 혈관 장애와 관련된 두통; 및
- 치통, 귀 통증, 구강 작열감 증후군 및 악관절 근막 통증을 비롯한 구강안면 통증
이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병리학적 간 병태로 칭한다. 간 병태에는, 예를 들어 간 경화증, 지방간, 간염,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간 섬유증, 양성 간 종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양태에서, 부가적인 활성제(들)로 항바이러스성, 페록시솜 증식제-활성화된 수용체 (PPAR)-γ 리간드, 예컨대 티아졸리딘디온, 형질전환성 성장 인자 β 억제제 등이 있을 수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골다공증이라 칭한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대사 증후군이라 칭한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병리학적으로 높은 콜레스테롤이라 칭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부가적인 활성제(들)로 콜레스테롤 변형제 또는 조절제가 있을 수 있다. 콜레스테롤 변형제 또는 조절제의 예로는 HMG-CoA 리덕타제 억제제 (또는 "스타틴"), 예컨대 로바스타틴 (메바콜 (Mevacor)), 아토르바스타틴 (리피톨 (Lipitor)), 프라바스타틴 (프라바콜 (Pravachol)), 및 심바스타틴 (조콜 (Zocor)); 스쿠알렌 모노옥시게나제 억제제;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 (스쿠알렌 신타제 억제제로도 알려짐), 아실-조효소 A: 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퍼라제 (ACAT) 억제제; 프로부콜; 니아신; 피브레이트제, 예컨대 클로피브레이트, 페노피브레이트, 및 겜피브리졸;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 담즙산 흡착제; 및 LDL (저밀도 지질단백질) 수용체 유도제가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심혈관 병태라 칭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부가적인 활성제(들)로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조절제, 예컨대 에플레레논 또는 스피로놀락톤,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ACE) 억제제, 예컨대 퀴나프릴 (아쿠프릴 (Accupril)) 또는 포시노프릴 (모노프릴 (Monopril));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 비타민 B-6 (피리독신으로도 알려짐) 및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예컨대 HCl 염; 비타민 B-12 (시아노코발라민으로도 알려짐); β-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차단제; 폴산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에스테르, 예컨대 나트륨 염 및 메틸글루카민 염; 및 항산화 비타민, 예컨대 비타민 C 및 E 및 베타 카로틴이 있을 수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신생물형성이라 칭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부가적인 활성제(들)로 알파-디플루오로메틸오르니틴 (DFMO), 5-FU-피브리노겐, 아칸티폴산, 아미노티아디아졸, 브레퀴날 나트륨, 카르모푸르, 시바-게이지 (Ciba-Geigy) CGP-30694, 시클로펜틸 사이토신, 시타라빈 포스페이트 스테아레이트, 시타라빈 접합체, 릴리 (Lilly) DATHF, 머렐 다우 (Merrel Dow) DDFC, 데자구아닌, 디데옥시시티딘, 디데옥시구아노신, 디독스, 요시토미 (Yoshitomi) DMDC, 독시플루리딘, 웰컴 (Wellcome) EHNA, 머크 & Co. EX-015, 파자라빈, 플록스우리딘, 플루다라빈 포스페이트, 5-플루오로우라실, N-(2'-푸라니딜)-5-플루오로우라실, 다이치 세이야쿠 (Daiichi Seiyaku) FO-152, 이소프로필 피롤리진, 릴리 LY-188011, 릴리 LY-264618, 메토벤자프림, 메토트렉세이트, 웰컴 MZPES, 노르스퍼미딘, NCI NSC-127716, NCI NSC-264880, NCI NSC-39661, NCI NSC-612567, 워너-램버트 (Warner-Lambert) PALA, 펜토스타틴, 피리트렉심, 플리카마이신, 아사히 케미칼 (Asahi Chemical) PL-AC, 타케다 (Takeda) TAC-788, 티오구아닌, 티아조푸린, 얼바몬트 (Erbamont) TIF, 트리메트렉세이트,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티로신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 타이호 (Taiho) UFT, 우리시틴, 시오노기 (Shionogi) 254-S, 알도-포스파미드 유사체, 알트레타민, 아낙시론, 베링거 맨하임 (Boehringer Mannheim) BBR-2207, 베스트라부실, 부도티탄, 와쿠나가 (Wakunaga) CA-102, 카르보플라틴, 카르무스틴, 치노인 (Chinoin)-139, 치노인-153, 클로람부실, 시스플라틴, 시클로포스파미드, 아메리칸 시안아미드 (American Cyanamid) CL-286558, 사노피 (Sanofi) CY-233, 시플라테이트, 데구사 (Degussa) D-19-384, 스미모토 (Sumimoto) DACHP(Myr)2, 디페닐스피로무스틴, 디플래티넘 시토스타틱, 얼바 (Erba) 디스타마이신 유도체, 츄가이 (Chugai) DWA-2114R, ITI E09, 엘무스틴, 얼바몬트 FCE-24517, 에스트라무스틴 포스페이트 나트륨, 포테무스틴, 유니메드 (Unimed) G-6-M, 치노인 (Chinoin) GYKI-17230, 헵술-팜, 이포스파미드, 이프로플라틴, 로무스틴, 마포스파미드, 미토락톨, 니뽄 가야꾸 (Nippon Kayaku) NK-121, NCI NSC-264395, NCI NSC-342215, 옥살리플라틴, 업존 (Upjohn) PCNU, 프레드니무스틴, 프로터 (Proter) PTT-119, 라니무스틴, 세무스틴, 스미스클라인 (SmithKline) SK&F-101772, 야쿠르트 혼샤 (Yakult Honsha) SN-22, 스피로무스-틴, 타나베 세이야꾸 (Tanabe Seiyaku) TA-077, 타우로무스틴, 테모졸로미드, 테록시론, 테트라플라틴, 트리멜라몰, 타이호 4181-A, 아클라루비신, 악티노마이신 D, 악티노플라논, 얼바몬트 ADR-456, 아에로플리시닌 유도체, 아지노모토 (Ajinomoto) AN-201-II, 아지노모토 AN-3, 니뽄 소다 (Nippon Soda) 아니소마이신, 안트라시클린, 아지노-마이신-A, 비수카베린, 브리스톨-마이어스 (Bristol-Myers) BL-6859, 브리스톨-마이어스 BMY-25067, 브리스톨-마이어스 BMY-25551, 브리스톨-마이어스 BMY-26605, 브리스톨-마이어스 BMY-27557, 브리스톨-마이어스 BMY-28438, 블레오마이신 술페이트, 브리오스타틴-1, 타이호 C-1027, 칼리체마이신, 크로목시마이신, 닥티노마이신, 다우노루비신, 교와 하꼬 (Kyowa Hakko) DC-102, 교와 하꼬 DC-79, 교와 하꼬 DC-88A, 교와 하꼬 DC89-A1, 교와 하꼬 DC92-B, 디트리사루비신 B, 시오노기 DOB-41, 독소루비신, 독소루비신-피브리노겐, 엘사미신-A, 에피루비신, 얼브스타틴, 에소루비신, 에스페라미신-A1, 에스페라미신-Alb, 얼바몬트 FCE-21954, 후지사와 (Fujisawa) FK-973, 포스트리에신, 후지사와 FR-900482, 글리도박틴, 그레가틴-A, 그린카마이신, 허비마이신, 이다루비신, 일루딘스, 카주사마이신, 케사리로딘스, 교와 하꼬 KM-5539, 기린 브루어리 (Kirin Brewery) KRN-8602, 교와 하꼬 KT-5432, 교와 하꼬 KT-5594, 교와 하꼬 KT-6149, 아메리칸 시안아미드 LL-D49194, 메이지 세이카 (Meiji Seika) ME 2303, 메노가릴, 미토마이신, 미톡산트론, 스미스클라인 M-TAG, 네오에낙틴, 니뽄 가야꾸 NK-313, 니뽄 가야꾸 NKT-01, SRI 인터내셔널 NSC-357704, 옥살리신, 옥사우노마이신, 페플로마이신, 필라틴, 피라루비신, 포로트라마이신, 피린다마이신 A, 토비시 (Tobishi) RA-I, 라파마이신, 리족신, 로도루비신, 시바노미신, 시웬마이신, 스미토모 (Sumitomo) SM-5887, 스노우 브랜드 (Snow Brand) SN-706, 스노우 브랜드 SN-07, 소란기신-A, 스파르소마이신, SS 파마슈티칼 SS-21020, SS 파마슈티칼 SS-7313B, SS 파마슈티칼 SS-9816B, 스테피마이신 B, 타이호 4181-2, 탈리소마이신, 다께다 (Takeda) TAN-868A, 테르펜테신, 트라진, 트리크로자린 A, 업존 U-73975, 교와 하꼬 UCN-10028A, 후지사와 WF-3405, 요시토미 Y-25024 조루비신, 알파-카로틴, 알파-디플루오로메틸-아르기닌, 아시트레틴, 바이오텍 (Biotec) AD-5, 교린 (Kyorin) AHC-52, 알스토닌, 아모나피드, 암페티닐, 암사크린, 안지오스타트, 안키노마이신, 안티-네오플라스톤 A10, 안티네오플라스톤 A2, 안티네오플라스톤 A3, 안티네오플라스톤 A5, 안티네오플라스톤 AS2-1, 헨켈 (Henkel) APD, 아피디콜린 글리시네이트, 아스파라기나제, 아바롤 (Avarol), 바카린, 바트라실린, 벤플루론, 벤조트립트, 입센-부포 (Ipsen-Beaufour) BIM-23015, 비산트렌, 브리스톨-마이어스 BMY-40481, 베스탈 (Vestar) 보론-10, 브로모포스파미드, 웰컴 BW-502, 웰컴 BW-773, 카라세미드, 칼메티졸 히드로클로라이드, 아지노모토 (Ajinomoto) CDAF, 클로르술파퀴녹살론, 케멕스 (Chemex) CHX-2053, 케멕스 CHX-100, 워너-램버트 CI-921, 워너-램버트 CI-937, 워너-램버트 CI-941, 워너-램버트 CI-958, 클란페누르, 클라비리데논, ICN 화합물 1259, ICN 화합물 4711, 콘트라칸 (Contracan), 야쿠르트 혼샤 CPT-11, 크리스나톨, 쿠라덤, 시토칼라신 B, 시타라빈, 시토시틴, 머츠 (Merz) D-609, DABIS 말레에이트, 다카르바진, 다텔립티늄, 디뎀닌-B, 디해마토폴피린 에테르, 디히드롤렌페론, 디날린, 디스타마이신, 도요 파마 (Toyo Pharmar) DM-341, 도요 파마 DM-75, 다이치 세이야꾸 (Daiichi Seiyaku) DN-9693, 엘리프라빈, 엘립티늄 아세테이트, 추무라 (Tsumura) EPMTC, 에르고타민, 에토포시드, 에트레티네이트, 펜레티니드, 후지사와 FR-57704, 갈륨 니트레이트, 겐콰다프닌, 츄가이 GLA-43, 글락소 (Glaxo) GR-63178, 그리폴란 NMF-5N, 헥사데실포스포콜린, 그린 크로스 (Green Cross) HO-221, 호모하링토닌, 히드록시우레아, BTG ICRF-187, 일모포신, 이소글루타민, 이소트레티노인, 오츠카 (Otsuka) JI-36, 라모트 (Ramot) K-477, 오츠악 (Otsuak) K-76COONa, 구레하 케미칼 (Kureha Chemical) K-AM, MECT Corp KI-8110, 아메리칸 시안아미드 L-623, 류코레귤린, 로니다민, 런드벡 (Lundbeck) LU-23-112, 릴리 LY-186641, NCI (US) MAP, 마리신, 머렐 다우 MDL-27048, 메드코 (Medco) MEDR-340, 멀바론, 메로시아닌 유도체, 메틸라닐이노아크리딘, 몰레큘라 제네틱스 (Molecular Genetics) MGI-136, 민액티빈, 미토나피드, 미토퀴돈, 모피다몰, 모트레티니드, 제냐꾸 고교 (Zenyaku Kogyo) MST-16, N-(레티노일)아미노산, 니신 플로우 밀링 (Nisshin Flour Milling) N-021, N-아실레이트화-데히드로알라닌, 나파자트롬, 다이쇼 (Taisho) NCU-190, 노코다졸 유도체, 놀모상 (Normosang), NCI NSC-145813, NCI NSC-361456, NCI NSC-604782, NCI NSC-95580, 옥트레오티드, 오노 (Ono) ONO-112, 오퀴자노신, 아크조 (Akzo) Org-10172, 판크라티스타틴, 파젤립틴, 워너-램버트 PD-111707, 워너-램버트 PD-115934, 워너-램버트 PD-131141, 피에르 파브레 (Pierre Fabre) PE-1001, ICRT 펩티드 D, 피록산트론, 폴리해마토포르피린, 폴리프레산, 에파몰 (Efamol) 포르피린, 프로비만, 프로카르바진, 프로글루미드, 인비트론 (Invitron) 프로테아제 넥신 I, 토비시 RA-700, 라족산, 사뽀로 브루어리스 (Sapporo Breweries) RBS, 레스트릭틴-P, 레텔립틴, 레티노산, 론-풀랑 (Rhone-Poulenc) RP-49532, 론-풀랑 RP-56976, 스미스클라인 SK&F-104864, 스미토모 SM-108, 쿠라레이 (Kuraray) SMANCS, 시팜 (SeaPharm) SP-10094, 스파톨, 스피로시클로프로판 유도체, 스피로게르마늄, 유니메드 (Unimed), SS 파마슈티칼 SS-554, 스트리폴디논, 스티폴디온 (Stypoldione), 선토리 (Suntory) SUN 0237, 선토리 SUN 2071, 슈퍼옥시드 디스무타제, 토야마 (Toyama) T-506, 토야마 T-680, 탁솔, 테이진 (Teijin) TEI-0303, 테니포시드, 탈리블라스틴, 이스트맨 코닥 (Eastman Kodak) TJB-29, 토코트리에놀, 토포스틴 (Topostin), 테이진 TT-82, 교와 하꼬 UCN-01, 교와 하꼬 UCN-1028, 우크라인, 이스트맨 코닥 USB-006, 빈블라스틴 술페이트, 빈크리스틴, 빈데신, 빈에스트라미드, 비노렐빈, 빈트립톨, 빈졸리딘, 위타놀리드, 야마노우치 (Yamanouchi) YM-534, 우로구아닐린, 콤브레타스타틴, 돌라스타틴, 이다루비신, 에피루비신, 에스트라무스틴, 시클로포스파미드, 9-아미노-2-(S)-캄프토테신, 토포테칸, 이리노테칸 (캠프토살 (Camptosar)), 엑세메스탄, 데카펩틸 (트립토렐린), 또는 오메가-3 지방산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투여할 수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신경퇴행성 질환, 특히 알츠하이머 질환이라 칭한다.
인간의 치료에 유용한 것에 더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본 개시물에서 개시하는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을 비롯하여 반려 동물, 야생 동물 및 농장 동물의 수의학적 치료에도 유용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말, 개, 또는 고양이의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특히 5-LO-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조합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1종 이상의 부가적인 치료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합물은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합물의 치료제는 환자에게 공동 투여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질환, 장애 또는 병태, 예를 들어 표 1에서 열거한 것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치료하는 것과 같은, 몇몇의 특히 목적으로 하는 최종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원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치료제를 언급할 때 사용하는 용어 "공동 투여", "공동으로 투여된" 및 "조합하여"란, 다음과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고, 다음과 같은 것을 언급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 성분들이 단일의 투여 형태로 함께 제제화되고, 상기 투여 형태가 상기 성분들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환자에게 방출하는 것일 경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들)과 치료제(들)의 조합물을 동시에 투여하는 것;
- 성분들이 별개의 투여 형태로 서로 분리되어 제제화되고, 상기 투여 형태가 환자에게 실질적으로 동시에 섭취되는 것이며, 그 결과 상기 성분들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환자에게 방출되는 것일 경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들)과 치료제(들)의 조합물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투여하는 것;
- 성분들이 별개의 투여 형태로 서로 분리되어 제제화되고, 상기 투여 형태가 각각의 투여 사이에 유의한 시간 간격을 두고 환자에게 연이어 섭취되는 것이며, 그 결과 상기 성분들이 실질적으로 상이한 시간에 상기 환자에게 방출되는 것일 경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들)과 치료제(들)의 조합물을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 및
- 성분들이 단일의 투여 형태로 함께 제제화되고, 상기 투여 형태가 상기 성분들을 제어된 방식으로 방출하며, 그 결과 이들은 동일하고/하거나 상이한 시간에 동시에, 연속하여, 및/또는 중복하여 환자에게 투여되고, 각 부분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는 것일 경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들)과 치료제(들)의 조합물을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또는 조성물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치료제의 적합한 예로는 이하의 표 2에 열거된 것들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공동투여될 수 있는 수많은 치료제 중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1종 이상의 5-LO 억제제가 있다.
<표 2>
(a) 5-리폭시게나제 활성화 단백질 (FLAP) 길항제;
(b) LTB4, LTC4, LTD4, 및 LTE4의 길항제를 비롯한 류코트리엔 길항제 (LTRA);
(c) H1 및 H3 길항제를 비롯한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d) 충혈제거 용도를 위한 α1- 및 α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혈관수축 교감신경흥분제;
(e) 무스카린성 M3 수용체 길항제 또는 항콜린제;
(f) PDE 억제제, 예를 들어 PDE3, PDE4 및 PDE5 억제제, 예컨대 테오필린;
(g) 나트륨 크로모글리케이트;
(h) COX 억제제 (비-선택적 및 선택적 COX-1 또는 COX-2 억제제 둘 모두) (예컨대 NSAID);
(i)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DAGR (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해리된 효능제);
(j) 내생적 염증성 물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활성제;
(k) 지속 작용성 β2 효능제를 비롯한 β2 효능제;
(l) 인테그린 길항제;
(m) VLA-4 길항제를 비롯한 점착 분자 억제제;
(n) 키닌-B1- 및 B2-수용체 길항제;
(o) IgE 경로 억제제를 비롯한 면역억제제, 및 시클로스포린;
(p) 기질 메탈로프로테아제 (MMP) 억제제, 예를 들어, MMP9 및 MMP12;
(q) 타키키닌 NK1, NK2 및 NK3 수용체 길항제;
(r) 프로테아제 억제제, 예를 들어 엘라스타제;
(s) 아데노신 A2a 수용체 효능제 및 A2b 길항제;
(t) 우로키나제 억제제;
(u) 도파민 수용체에 대해 작용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D2 효능제;
(v) NFκB 경로 조절제, 예를 들어 IKK 억제제;
(w) 사이토카인 신호전달 경로 조절제, 예컨대 syk 키나제, JAK 키나제 억제제, p38 키나제, EGF-R 또는 MK-2;
(x) 점액용해제 또는 진해제, 및 점액활성제로 분류할 수 있는 작용제;
(y) 항생제;
(z) 항바이러스제;
(aa) 백신;
(bb) 케모카인;
(cc) 상피 나트륨 채널 (ENaC) 차단제 또는 상피 나트륨 채널 (ENaC) 억제제;
(dd) P2Y2 효능제 및 기타 뉴클레오티드 수용체 효능제;
(ee) 트롬복산 억제제;
(ff) 니아신;
(gg) PGD2 합성 및 PGD2 수용체 억제제 (DP1 및 DP2/CRTH2);
(hh) VLAM, ICAM, 및 ELAM을 비롯한 점착 인자;
(ii) 스타틴 또는 그밖의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제; 콜레스테롤 및 지질 흡수 억제제 (예를 들어, 니코틴 산, 니아신, 콜레스테롤 운반자)
(jj) 이뇨제;
(kk) 칼슘 채널 차단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표 2에 열거된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는 표 1에 열거된 것 중에서 선택된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DAGR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해리된 효능제)을 포함한다.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예로는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플루니솔리드,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부데소니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시클레소니드 및 모메타손 푸로에이트가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하기에 유용한 DAGR 화합물의 예로는 국제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WO/2000/06522호 및 제WO/2004/005229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들이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COX 억제제 (비-선택적 또는 선택적 COX-1 또는 COX-2 억제제 (NSAID), 예컨대 이부프로펜 또는 셀레콕시브),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β2 효능제를 포함한다. β2 효능제의 예로는 살메테롤, 포메테롤, QAB-149 및 카모테롤이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무스카린성 M3 수용체 길항제 또는 항콜린제를 포함한다. M3 수용체 길항제의 예로는 티오트로피움, 이파트로피움, 옥시트로피움, 페렌제핀, 티오스피움, 아클리디늄 및 텔렌제핀이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를 포함하며, 그러한 길항제의 예로는 H1, H3 또는 H4 길항제가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이뇨제를 포함한다. 이뇨제는 여러 공지된 계열, 예컨대 티아지드 및 관련 술폰아미드, 칼륨-보존성 이뇨제, 고리 이뇨제 및 유기 수은 이뇨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티아지드의 비제한적 예로는 벤드로플루메티아지드, 벤즈티아지드, 클로로티아지드, 시클로티아지드,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히드로플루메티아지드, 메틸클로티아지드, 폴리티아지드 및 트리클로로메티아지드가 있다. 칼륨-보존성 이뇨제의 비제한적 예로는 트리아메테렌 및 아밀로리드가 있다. 고리 이뇨제, 즉 신장의 헨레 (Henle)의 고리의 상행각 (ascending limb)에 대해 작용하는 이뇨제의 비제한적 예로는 토르세미드, 부메타니드, 푸로세미드 및 에틴아크릴산이 있다. 유기 수은 이뇨제의 비제한적 예로는 머캅토메린 나트륨, 메레톡실린, 프로카인 및 머살릴-테오필린이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칼슘 채널 차단제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칼슘 채널 차단제는 펠로디핀, 암로디핀, 니페디핀, 베라파밀 HCl, 니카르디핀 HCl, 딜티아젬 HCl, 아라니디핀, 아토시반, 발니디핀, 부플로메딜, 실니디핀, 도코사헥사엔산, 에포니디핀 HCl, 파수딜, 이스라디핀, 라시디핀, 레르카니디핀, 로머리진, 마니디핀, 니펠란, 닐바디핀, 니모디핀, 텍젬, 베렐란, 플렌딜, 니솔디핀, 니트렌디핀, 메베프라딜 및 베프리딜 H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칼슘 채널 차단제는 NS-7, NW-1015, SB-237376, SL-34.0829-08, 테로딜린, R-베라파밀, 비사라밀, CAI, 이페녹사존, JTV-519, S-312d, SD-3212, 타몰라리진, TA-993, 빈토페롤, YM-430, CHF-1521, 엘고디핀, 퍼니디핀, L-651582, 옥소디핀, 라놀라진, AE-0047, 아젤니디핀, 도타리진, 레밀디핀, 프라니디핀, 세모티아딜, 테미베린 HCl, 테노살, 바타니디핀 HCl 및 지코노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하의 실시예는 중간체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설명한다.
제조
중간체 1
4-(3-브로모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EP 1081144에 기재된 절차에 의해 제조된 4-(3-브로모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1.05 kg, 3.95 mole)을 실온에서 약 40시간 동안 98% H2SO4 (3.00 L) 중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아이스에 붓고 매우 미세한 현탁액을 여과하고, 세척액의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H2O로 철저하게 세척하였다. 백색 고체를 헥산으로 세척한 다음 35-40℃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켜 99.9% 순도의 생성물을 1119 g 수득하였다 (99.8% 수율). LC/MS: 10분에 걸쳐 5%-100% CH3CN:H2O-0.01%TFA 구배: 4.68분 (M+H)+.
Figure pct00030
중간체 2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별법 1
단계 1에서 제조된 4-(3-브로모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300 g, 1.06 mole), 나트륨 tert-부톡시드 (122 g, 1.27 mole), Pd(OAc)2 (4.74 g, 0.0211 mole) 및 DIPPF (1,1-비스(디이소프로필포스피노)페로센) (10.6 g, 0.0253 mole)를 배기 및 N2로 3회 충전시킨 플라스크에 넣었다. 무수 디옥산 (2.3 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트리이소프로필실란 티올 (221 g, 1.16 mole)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1시간 후에 환류를 중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7 L)에 부은 다음 H2O (2 X 4 L) 및 염수 (2 L)로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세척액을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 (3 L)로 추출한 다음, H2O (2 X 2 L) 및 염수 (1 L)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건조상태로 농축시켰다. 상기 고체에 에틸 아세테이트 (0.5 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회전 증발기 상에서 교반하여 미세한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헥산 (1.5 L)을 첨가하고 상기 현탁액을 1시간 동안 그대로 두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1:1의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1 L)으로 세척한 다음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갈색 고체를 진공하에 건조시켜 99% 순도의 생성물을 334 g 수득하였다 (80% 수율). 여과물로부터 제2 수확량을 수득하고, 이를 상기와 같이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생성물을 15 g 더 수득하였다 (총 84% 수율). LC/MS: 10분에 걸쳐 5%-100% CH3CN:H2O-0.01%TFA 구배: 9.35분. 394.1 (M+H)+.
Figure pct00031
별법 2
3-목 플라스크 (오버헤드 교반기, 질소 유입구, 셉텀 캡)를 질소로 퍼징하였다. 단계 1에서 제조된 4-(3-브로모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10 g, 0.03519 mole)를 첨가하였다. 나트륨 t-부톡시드 (4.1 g, 0.04223 mole)를 첨가하였다. 무수 톨루엔을 첨가하였다. 톨루엔은 가능한 한 건조되어야 하고, KF에 의한 < 0.01% 물은 충분하였다. 교반을 개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각 주기에 대해 30초 동안 60 torr 진공을 유지하면서 진공 / 질소 퍼지 주기로 4회 퍼징하였다. 산소가 용기 안에 도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티올 (9.1 g, 0.04223 mole)을 첨가하였다. 75℃로 가열하였다. PdCl2(디페닐포스피노 페로센) (0.258 g, 0.00035 mole)을 첨가하였다. 최소 1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을 계속하였다 (반응 온도 : 약 107℃). 상기 혼합물은 30분 내에 환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로 냉각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 30 mL/g)를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셀라이트 (30 g)를 통해 여과하였다. 셀라이트를 세정용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세정될 생성물의)로 세정하고 여과물을 합하였다. 여과물 부피의 80%가 제거될 때까지 여과물을 70 torr 및 30℃에서 진공 증류를 통해 농축시켰다. 결정화시키기 위해, 5분에 걸쳐 상기 슬러리에 헥산 (200 mL, 20 mL/결정화될 생성물의 g)을 첨가하였다. 교반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5℃로 냉각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최소 1시간 동안 5℃에서 유지하였다.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단리하였다. 케이크를 헥산 (100 mL, 세정될 생성물의)으로 세정하였다. 필터 상의 케이크를 5% 이하의 LOD가 되도록 건조시켰다. 상기 고체를 45-50℃에서 진공하에 1.5% 이하의 LOD가 되도록 건조시켰다. 12 g을 수득하였다 (85% 수율). 상기 제시된 특정 mL/g 양은 브로모 카르복스아미드의 g을 지칭한다.
중간체 3
5-(4-브로모페닐)-1-메틸-1H-피라졸
별법 1
4-브로모아세토페논 (10.60 g, 53.25 mmo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탈 (2.5 당량)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 용액을 3시간 동안 125℃에서 가열하였다. 진적색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여 적색의 점성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에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 및 메틸 히드라진 (7.6 g, 160 mmol, 3 당량)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4시간 동안 75℃에서 가열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한 다음, 조 잔류물을 소량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녹였다. 상기 적색 용액을 실리카 겔 카트리지에 적용하였다. 카트리지를 각각 20:80의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혼합물로 용리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한 다음 농축시켜 백색 고체를 12.5 g 생성하였다.
Figure pct00032
별법 2
4-브로모아세토페논 (20.0 g; 0.10 mole)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탈 (28.5 mL; 0.20 mole)을 DMF (12 mL) 중에서 함께 혼합한 다음 4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였다. 반응 동안 생성된 메탄올 및 물을 증류하였다 (6.2 mL). 상기 혼합물을 25℃로 냉각시켰다. 메틸 t-부틸 에테르 (100 mL) 및 메틸히드라진 (21.2 mL; 0.40 mole)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M 수성 염화암모늄 (3 x 40 mL) 및 물 (4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딘-스타크(Dean-Stark) 장치를 사용한 공비혼합식 증류에 의해 건조시켰다. 증류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기 용액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카트리지를 통해 건조시켰다. 상기 용액을 실리카 겔 카트리지 (60 g)를 통해 여과하였다. 생성물을 메틸 t-부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카트리지로부터 플러쉬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증류에 의해 약 70 mL로 농축시켰다. 헵탄 (120 mL)을 첨가하고, 포트 온도가 98.4℃에 다다를 때까지 증류를 계속하였다. 약 100 mL의 증류물을 수집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40℃로 냉각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분산시키고, 온도를 30분 동안 40℃로 유지하면서 결정화를 개시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90분에 걸쳐 0℃로 서서히 냉각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냉각된 (0℃) 헵탄으로 세척하였다 (3 x). 고체를 필터 상에서 건조시켰다. 크림색의 결정질 고체 (16.3 g; 68% 수율)를 수득하였다. 표제 화합물의 NMR 데이타는 별법 1과 동일하였다.
비교예 1
Figure pct00033
4-[3-({4-[1-(2-히드록시에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4-{3-[(4-아세틸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플루오로아세토페논 (3.0 g, 21.7 mmol) 및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8.5 g, 21.7 mol) 및 테트라에틸암모늄 히드로클로라이드 (6.9 g, 42 mmol)를 질소 분위기하에 무수 톨루엔 (50 ml) 중에 현탁시켰다. 상기 혼합물에 THF 중의 1.0 M 칼륨 t-부톡시드 (43 ml, 43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교반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불균질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및 1.0 N HCl (수성) (43 ml) 및 물 (50 ml)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층을 1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불용성 생성물을 흡입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 및 에틸 에테르 (4 x 50 ml)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베이지색 고체를 수득하였고, 이는 추가로 정제하지 않았다 (4.80 g, 13.5 mmol, 62%). 역상 LCMS M+H = 356.2, 체류 시간 3.03분, 4분에 걸쳐 5% → 95%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함유한 수성 완충액.
단계 2: N-[(1E)-(디메틸아미노)메틸렌]-4-[3-({4-[(2E)-3-(디메틸아미노)프로프-2-에노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4-아세틸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3.5 g, 9.8 mmol)를 무수 DMF (3 ml)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DMF의 디메틸아세탈 (3.5 g, 29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5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에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여 진적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오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겔 컬럼에 적용하였다. 컬럼을 각각 1:1의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로 용리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한 다음 농축시켜 황갈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2.8 g, 6.8 mmol, 69%).
Figure pct00034
단계 3: 4-[3-({4-[1-(2-히드록시에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N-[(1E)-(디메틸아미노)메틸렌]-4-[3-({4-[(2E)-3-(디메틸아미노)프로프-2-에노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50 mg, 0.011 mmol) 및 2-히드록시에틸히드라진 (152 mg, 1.0 mmol)을 12시간 동안 80℃의 DMF (1 ml) 중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소량의 DMSO 중에 용해시키고, 역상 HPLC (아세토니트릴/물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순수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한 다음 농축시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21 mg, 45%).
Figure pct00035
실시예 1
Figure pct00036
4-(3-{[3-클로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5-(4-브로모-2-클로로페닐)-1-메틸-1H-피라졸의 제조.
4'-브로모-2'-클로로아세토페논 (대략 95% 순수) 0.379 mg을 질소하에 두고 무수 N,N-디메틸 포름아미드 7.5 mL 중에 용해시켰다.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탈 0.80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환류하였다. 이어서, 환류 콘덴서를 증류 헤드로 대체하고, 증류 헤드 온도가 150℃에 이를 때까지 상기 혼합물을 증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메틸히드라진 0.18 mL를 첨가한 다음 30분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하고, 5%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4회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프하여 무색 오일을 0.370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7
단계 2: 4-(3-{[3-클로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68.2 mg, 5-(4-브로모-2-클로로페닐)-1-메틸-1H-피라졸 287.4 m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84.4 mg,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에테르 37.7 mg, 불화세슘 180.0 mg 및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수화물 191.1 mg을 셉텀-씰링된 바이알 안에 넣고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무수 이소프로판올 6 mL를 첨가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0 M 칼륨 t-부톡시드 1.07 m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40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수성 탄산칼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을 410.2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8
실시예 2
Figure pct00039
4-(3-{[3-시아노-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5-브로모-2-(1-메틸-1H-피라졸-5-일)벤조니트릴의 제조.
5-브로모-2-요오도벤조니트릴 (0.30 g, 1.0 mmol), (1-메틸-1H-피라졸-5-일)보론산 (188 mg, 1.5 mmol), 디클로로[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로메탄 부가물 (26 mg, 0.05 mmol) 및 탄산세슘 (651 mg, 2.00 mmol)을 각각 3:1의 디옥산/물의 용매 혼합물 (5 mL) 중에서 1시간 동안 80℃에서 함께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25 mL) 및 1 N HCl (5 mL)을 첨가하였다. 생성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 유기 혼합물을 회전 증발에 의해 소량으로 농축시키고, 이를 40 g의 실리카 겔 카트리지에 적용하였다. 카트리지를 각각 70:30의 헥산-아세톤 혼합물로 용리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한 다음 농축시켜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10 mg, 80%).
단계 2: 4-(3-{[3-시아노-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무수 디옥산 (5 mL) 중 5-브로모-2-(1-메틸-1H-피라졸-5-일)벤조니트릴 (160 mg, 0.61 mmol),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64 mg, 0.67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70 mg, 0.061 mmol),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 에테르 (32.8 mg, 0.061 mmol),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수화물 (251 mg, 1.52 mmol) 및 탄산세슘 (497 mg, 1.5 mmol)의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에 9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1 N HCl (4 mL)을 첨가한 다음 물 (20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3 x 1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황산나트륨) 농축시켜 조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소량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에 용해시키고 120 g의 실리카 겔 카트리지에 적용하였다. 생성물을 각각 6:4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아세톤 혼합물을 사용하여 용리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한 다음 증발시켜 담갈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70 mg, 27%).
Figure pct00040
실시예 3 내지 9의 화합물은 적절한 히드라진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비교예 1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Figure pct00041
4-(3-{[4-(1-시클로펜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2
실시예 4
Figure pct00043
4-(3-{[4-(1-시클로헵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4
실시예 5
4-(3-{[4-(1-시클로헥실-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6
실시예 6
Figure pct00047
4-[3-({4-[1-(시클로프로필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8
실시예 7
Figure pct00049
4-[3-({4-[1-(시클로펜틸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0
실시예 8
Figure pct00051
4-(3-{[4-(1-에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2
실시예 9
Figure pct00053
4-(3-{[4-(1-이소프로필-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54
실시예 10
Figure pct00055
N-메틸-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100 mg, 0.25 mmol)를 무수 THF (10 mL) 중에 현탁시켰다. 상기 혼합물에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50% 분산액, 25 mg)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요오도메탄 (0.14 g, 1.0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 (2 mL)을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1 N HCl을 첨가하여 pH를 대략 5로 조정하였다. 생성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각각 97:3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이동상으로의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한 다음 농축시켜 N-메틸-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82 mg, 79%).
Figure pct00056
실시예 11
Figure pct00057
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피리딘-3-일]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5-브로모-3-클로로-2-요오도피리딘의 제조.
5-브로모-2,3-디클로로피리딘 1.11 g을 건조된 바이알 안에 질소하에 두고 무수 1,2-디클로로에탄 12 ml 중에 용해시켰다. 요오도트리메틸실란 0.862 mL를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3일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포화된 수성 탄산칼륨으로 추출하고, 대략 0.5% 수성 메타중아황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농축시켜 아세토니트릴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10% 수성 탄산칼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간단히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0.439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58
단계 2: 5-브로모-3-클로로-2-(1-메틸-1H-피라졸-5-일)피리딘의 제조.
5-브로모-2,3-디클로로피리딘 102.7 mg, 1-메틸피라졸-5-보론산 52.8 mg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부가물 24.9 mg을 셉텀-씰링된 바이알 안에 넣고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무수 디옥산 2.00 mL 및 질소 포화된 2 M 수성 탄산세슘 0.630 mL를 첨가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20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1-메틸피라졸-5-보론산 43.2 mg을 더 첨가한 후에 추가 15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프하여 생성물을 50.2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59
단계 3: 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피리딘-3-일]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90.6 mg, 5-브로모-3-클로로-2-(1-메틸-1H-피라졸-5-일)피리딘 48.4 m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14.0 mg,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 에테르 6.7 mg, 불화세슘 35.4 mg 및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수화물 34.5 mg을 셉텀-씰링된 바이알 안에 넣고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무수 이소프로판올 2 mL를 첨가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0 M 칼륨 t-부톡시드 0.180 m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30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수성 탄산칼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66.5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0
실시예 12
Figure pct00061
4-(3-{[2-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4-{3-[(4-아세틸-2-플루오로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3,4-디플루오로아세토페논 (0.234 g, 1.50 mmol),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0.590 g, 1.50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0.66 g, 2.54 mmol) 및 칼륨 tert-부톡시드 (THF 중의 1.0 M, 2.0 mL, 2.0 mmol)를 무수 톨루엔 (10 mL)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를 1.0 N HCl (6 mL)과 함께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베이지색 침전물을 흡입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조 생성물을 추가로 각각 70:30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아세톤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정제하였다. 생성물은 담갈색 고체였고 0.36 g이었다 (64%). LC/MS: 4.5분에 걸쳐 5%-100% CH3CN:H2O 구배: 3.1분, 374.2 (M+H).
단계 2: 4-[3-({4-[(2E)-3-(디메틸아미노)프로프-2-에노일]-2-플루오로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4-아세틸-3-플루오로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600 mg, 1.60 mmol)를 무수 DMF (5 mL)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DMF 중의 디메틸 아세탈 (1.03 g, 8.7 mmol)을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4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주황색 잔류 고체를 제공하였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3: 4-(3-{[2-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4-[(2E)-3-(디메틸아미노)프로프-2-에노일]-2-플루오로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52 mg, 0.121 mmol)를 무수 DMF (5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메틸 히드라진 (2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한 다음 10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점성의 유성 잔류물을 소량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겔 카트리지에 적용하였다. 카트리지를 각각 7:3 비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아세톤 → 2:8 비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아세톤으로의 구배를 사용하여 용리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한 다음 농축시켜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5 mg, 30%).
Figure pct00062
실시예 13
Figure pct00063
4-(3-{[2-클로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4-{3-[(4-브로모-2-클로로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1.15 g, 4-브로모-2-클로로요오도벤젠 1.016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206 g,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 에테르 0.0916 g, 불화세슘 0.525 g 및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수화물 0.631 g을 플라스크 안에 넣고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무수 이소프로판올 22 mL를 첨가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0 M 칼륨 t-부톡시드 3.50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한 다음 냉각시키고,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프하여 생성물을 0.98 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4
단계 2: 4-(3-{[2-클로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4-브로모-2-클로로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117.5 mg, (1-메틸-1H-피라졸-5-일)보론산 130.1 g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부가물 38.1 mg을 바이알 안에 넣고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무수 디옥산 2 mL 및 2 M 수성 탄산세슘 0.55 mL를 첨가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70℃에서 가열하고, 냉각시키고, 디옥산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을 71.9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5
실시예 14
Figure pct00066
4-(3-{[3-메틸-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5-(4-브로모-2-메틸페닐)-1-메틸-1H-피라졸의 제조.
1-브로모-4-요오도-5-메틸벤젠 0.1 g, 1-메틸-1H-피라졸-5-일보론산 0.043 g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0.045 g을 셉텀-씰링된 바이알 안에 넣고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1,4-디옥산 3 mL를 첨가한 다음 1 M 탄산세슘 0.5 m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4시간 동안 7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을 0.05 g 수득하였다. LCMS (M+H): 252.
단계 2: 4-(3-{[3-메틸-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0.157 g,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068 g, 옥시디-2,1-페닐렌 비스-(디페닐포스핀) 0.01 g, 팔라듐(0)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0.024 g, 5-(4-브로모-2-메틸페닐)-1-메틸-1H-피라졸 0.1 g 및 불화세슘 0.065 g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3회 배기 및 질소로 충전시켰다. 질소-퍼징된 이소프로판올 5 mL를 첨가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0 M 칼륨 t-부톡시드 0.6 m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을 0.082 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7
실시예 15
Figure pct00068
4-(3-플루오로-5-{[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4-(3,5-디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5-디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문헌 [Synthesis (2004), 16, 2625-2628]의 절차에 따라 제조됨) (10 g)을 빙냉 황산 100 mL와 천천히 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145℃에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아이스에 붓고 5 N NaOH를 사용하여 pH를 10으로 조정하였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물 및 헥산으로 세정하여 생성물을 2.2 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9
단계 2: 1-메틸-5-{4-[(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1H-피라졸의 제조.
5-(4-브로모페닐)-1-메틸-1H-피라졸 (7.84 g), 나트륨 tert-부톡시드 (3.81 g), 1,1'-비스(디-i-프로필포스피노)페로센 (332 mg) 및 팔라듐 아세테이트 (148 mg)를 질소하에 두고 무수 1,4-디옥산 60 mL와 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트리이소프로필실란티올 (7.81 ml)을 첨가한 다음 1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2회 및 5%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0
단계 3: 4-(3-플루오로-5-{[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1-메틸-5-{4-[(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1H-피라졸 (100 mg)을 질소하에 두고 무수 1-메틸-2-피롤리디논 1.5 mL로 용해시켰다. 물 (5.2 uL)을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0 M 칼륨 tert-부톡시드 (0.29 mL)를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별도의 바이알에서, 4-(3,5-디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70 mg)를 무수 1-메틸-2-피롤리디논 1 mL 중에 용해시켜 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0시간 동안 135℃에서 가열한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27 mg).
Figure pct00071
실시예 16
Figure pct00072
4-(3-{[2-클로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3의 화합물 80 mg 및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를 오븐-건조된 바이알 안에 넣었다.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60% 분산액) 30 mg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메틸 요오다이드 0.035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빙초산 0.042 mL를 첨가한 다음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및 5% 염화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41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3
실시예 17
Figure pct00074
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3-브로모-2-플루오로페닐)메탄올의 제조.
3-브로모-2-플루오로벤조산 5.0 g 및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40 mL를 오븐-건조된 플라스크 안에 질소하에 넣고 0℃로 냉각시켰다. 1 M 보란-테트라히드로푸란 착물 34.2 mL를 첨가 깔때기로부터 첨가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물 5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하고, 포화된 탄산칼륨, 물 및 5% 염화나트륨으로 추출한 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용액을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4.26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5
단계 2: 1-브로모-3-(클로로메틸)-2-플루오로벤젠의 제조.
(3-브로모-2-플루오로페닐)메탄올 4.26 g 및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 70 mL를 오븐-건조된 플라스크 안에 질소하에 넣었다. 티오닐 클로라이드 1.64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하였다. 포화된 탄산칼륨 50 mL를 첨가하여 상이 분리되도록 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2회 및 5% 염화나트륨으로 1회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2.72 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6
단계 3: (3-브로모-2-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의 제조.
1-브로모-3-(클로로메틸)-2-플루오로벤젠 2.7 g, 칼륨 시아나이드 0.83 g 및 무수 디메틸술폭시드 25 mL를 오븐-건조된 플라스크 안에 질소하에 넣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염화나트륨으로 4회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1.17 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7
단계 4: 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3-브로모-2-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 1.17 g 및 무수 DMSO 15 mL를 오븐-건조된 플라스크 안에 질소하에 넣었다. 수소화나트륨 (오일 중 60% 분산액) 459 mg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무수 DMSO 2 ml로 용해된 2-클로로에틸 에테르 0.86 g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빙초산 0.65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및 5% 염화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730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8
단계 5: 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705 mg 및 분쇄된 수산화칼륨 418 mg을 오븐-건조된 바이알에 넣고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3급 부틸 알콜 8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2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2회 및 5% 염화나트륨으로 1회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593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9
단계 6: 4-(1-메틸-1H-피라졸-5-일)벤젠티올의 제조.
아르곤 충전된 장갑 백 내의 나트륨 t-부톡시드 3.41 g을 오븐-건조된 플라스크에 넣었다. 5-(4-브로모페닐)-1-메틸-1H-피라졸 7.03 g, 팔라듐 아세테이트 0.328 g 및 1,1'-비스(디-i-프로필포스피노)-페로센 0.7720 g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무수 1,4-디옥산 50 mL를 첨가한 다음 트리이소프로필실란티올 7.00 mL를 첨가하였다. 40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한 후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2.5 N 수성 수산화나트륨 20 mL 및 DMSO 15 mL를 질소하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40분 동안 실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한 다음 에테르로 희석하였다. 대략 5 mL의 농축된 염산을 함유한 5% 수성 염화나트륨 125 mL를 첨가하여 수성상의 pH를 4로 조정하고, 상기 혼합물을 추출하고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테르로 다시 추출하고, 에테르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켜 어두운 색의 액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에테르로 희석하고, 100-mL 분량의 0.5 N 수성 수산화나트륨으로 2회 추출하고 (에테르는 폐기함), 수성 추출물을 합하고, 수용액을 에테르로 추출하고 (에테르는 폐기함), 농축된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으로 조심스럽게 조정하고, 에테르로 3회 추출하고, 에테르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프하여 생성물을 4.4600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0
단계 7: 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1-메틸-1H-피라졸-5-일)벤젠티올 277 mg, 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00 mg,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에테르 35.1 m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77.9 mg을 오븐-건조된 바이알 안에 넣고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무수 1,4-디옥산 15 mL 및 2 M 탄산세슘 3.97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밤새 80℃에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농축시킨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처리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223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1
단계 8: 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198 mg 및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를 오븐-건조된 바이알 안에 질소하에 넣었다.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60% 분산액) 39 mg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메틸 요오다이드 0.050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빙초산 0.055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 및 5% 염화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108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2
실시예 18
Figure pct00083
4-(3-플루오로-5-{[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표제 화합물은 출발 물질로서 실시예 15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6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84
실시예 19
Figure pct00085
4-(2,5-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4-아미노-2,5-디플루오로벤조니트릴의 제조.
4-브로모-2,5-디플루오로아닐린 10 g, 구리(I) 시아나이드 4.48 g 및 무수 디메틸 포름아미드 110 mL를 오븐-건조된 플라스크 안에 질소하에 넣고 밤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킨 다음 10% 수성 나트륨 시아나이드 110 mL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200 mL로 희석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5% 탄산나트륨 및 물로 추출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5 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6
단계 2: 4-아미노-3-브로모-2,5-디플루오로벤조니트릴의 제조.
4-아미노-2,5-디플루오로벤조니트릴 5.0 g, 브롬 5.13 g, 물 2 mL 및 빙초산 50 mL를 오븐-건조된 플라스크 안에 질소하에 넣고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희석하고, 물 및 5% 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6.9 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7
단계 3: 4-아미노-3-브로모-2,5-디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의 제조.
4-아미노-3-브로모-2,5-디플루오로벤조니트릴 6.70 g 및 산화백금(IV) 0.754 g을 피셔-포터(Fischer-Porter) 압력 병에 넣고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질소 분위기하에 포름산 36 mL 및 질소-포화된 물 9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4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셀라이트 층 상에서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포화된 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4.61 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8
단계 4: 3-브로모-2,5-디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의 제조.
4-아미노-3-브로모-2,5-디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4.6 g, 빙초산 110 mL 및 차아인산 54 mL를 오븐-건조된 플라스크 안에 질소하에 넣고 0℃로 냉각시켰다. 물 11 mL로 용해된 아질산나트륨 1.96 g을 반응 온도를 1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첨가 깔때기로부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빙수 300 mL로 희석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 10% 수산화나트륨으로 2회 및 물로 2회 추출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키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생성물을 2.79 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9
단계 5: (3-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닐)메탄올의 제조.
3-브로모-2,5-디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2.69 g 및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30 mL를 오븐-건조된 플라스크 안에 질소하에 넣고 0℃로 냉각시켰다. 보란-테트라히드로푸란 착물 18.3 mL를 첨가 깔때기로부터 천천히 첨가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5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하고, 포화된 탄산칼륨으로 추출하였다. 수성층을 디에틸 에테르로 3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물 및 5% 염화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밤새 그대로 둔 후 결정이 형성되었고, 이를 진공하에 건조시켜 생성물을 2.7 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0
단계 6: 1-브로모-3-(클로로메틸)-2,5-디플루오로벤젠의 제조.
(3-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닐)메탄올 590 mg 및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 5 ml를 오븐-건조된 바이알 안에 질소하에 넣고 0℃로 냉각시켰다. 티오닐 클로라이드 0.42 ml를 첨가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하고, 포화된 탄산칼륨 5 ml 및 추가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2개의 상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물 및 5% 염화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275 mg 수득하였다. GCMS (M-Cl) 220.
단계 7: (3-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의 제조.
1-브로모-3-(클로로메틸)-2,5-디플루오로벤젠 775 mg, 칼륨 시아나이드 251 mg 및 무수 디메틸 술폭시드 7 ml를 오븐-건조된 바이알 안에 질소하에 넣고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염화나트륨으로 4회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277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1
단계 8: 4-(3-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3-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 930 mg, 수소화나트륨 (오일 중 60% 분산액) 373 mg 및 무수 디메틸 술폭시드 10 ml를 오븐-건조된 플라스크 안에 질소하에 넣고 4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2-클로로에틸 에테르 0.71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빙초산 0.53 ml를 첨가한 다음 반응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5% 염화나트륨으로 2회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748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2
단계 9: 4-(3-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748 mg 및 분쇄된 수산화칼륨 417 mg을 오븐-건조된 바이알에 넣고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무수 3급 부틸 알콜 20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1회 및 5% 염화나트륨으로 3회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 50%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처리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건조시켜 생성물을 631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3
단계 10: 4-(2,5-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05 mg, 4-(1-메틸-1H-피라졸-5-일)벤젠티올 265 mg,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에테르 33.5 m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 74.5 mg을 오븐-건조된 바이알에 넣고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무수 1,4-디옥산 6 ml 및 2 M 탄산세슘 3.8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밤새 8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농축시킨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다시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137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4
단계 11: 4-(2,5-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2,5-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106 mg, 수소화나트륨 (오일 중 60% 분산액) 48.6 mg 및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를 오븐-건조된 바이알에 질소하에 넣고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요오도메탄 129 mg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빙초산 0.07 ml를 첨가한 다음 반응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5% 염화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28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5
실시예 20
Figure pct00096
4-(2,4-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4-(2,3,4-트리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2,3,4-트리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 1 g, 수소화나트륨 (오일 중 60% 분산액) 0.52 g 및 무수 디메틸 술폭시드 10 mL를 오븐-건조된 바이알 안에 질소하에 넣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2-클로로에틸 에테르 0.733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1 N 염화수소 및 5% 염화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실리카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175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7
단계 2: S-[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의 제조.
4-(1-메틸-1H-피라졸-5-일)벤젠티올 1.60 g을 질소하에 두고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 중에 용해시켰다.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200 g 및 무수 피리딘 0.70 mL를 첨가한 다음 아세트산 무수물 0.960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테르로 희석하고, 물로 추출하고, 0.1 N 수성 염산으로 추출하고, 1%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프하여 생성물을 1.57 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8
단계 3: 4-(2,4-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S-[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169 mg 및 무수 1-메틸-2-피롤리디논 5 mL를 오븐-건조된 바이알 안에 질소하에 넣고 0℃로 냉각시켰다.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 M 칼륨 t-부톡시드 0.726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무수 1-메틸-2-피롤리디논 2 mL 중에 용해된 4-(2,3,4-트리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175 mg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밤새 4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킨 다음 빙초산 0.041 mL를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염화나트륨으로 3회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48.1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9
단계 4: 4-(2,4-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2,4-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45 mg을 오븐-건조된 바이알 안에 질소하에 넣었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황산의 4:1 (v/v) 용액 1.5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4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10% 탄산나트륨, 물 및 5% 염화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생성물을 32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00
실시예 21
Figure pct00101
4-(4-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2-(3-브로모-4-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의 제조.
DMSO (80 mL) 중 2-브로모-4-(브로모메틸)-1-플루오로벤젠 (5.0 g, 18.7 mmol)의 용액을 나트륨 시아나이드 (1.16 g, 22.4 mmol)로 처리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붓고 5% 염화나트륨으로 4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켜 오일을 수득하였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한 호박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3.6 g, 75%).
LC/MS: 5분에 걸쳐 10% - 90% CH3CN:H2O 구배: 2.57분, 214,216 (M+H);
Figure pct00102
단계 2: 4-(3-브로모-4-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DMSO (5 mL) 중 2-(3-브로모-4-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 (300 mg, 1.40 mmol)의 용액을 수소화나트륨 (120 mg, 3.0 mmol)으로 처리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2-클로로에틸 에테르 (409 mg, 0.335 mL, 2.8 mmol)로 처리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켜 오일을 수득하였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한 호박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240 mg, 30%).
Figure pct00103
단계 3: 4-(4-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t-부탄올 (1 mL) 중 4-(3-브로모-4-플루오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100 mg, 0.352 mmol)의 용액을 분말 수산화칼륨 (59.2 mg, 1.06 mmol)으로 처리하고 1.5시간 동안 8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제거한 다음 건조시켰다 (93 mg). 상기 고체를 1,4-디옥산 (3 mL) 중의 S-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71.5 mg, 0.31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57.8 mg, 0.05 mmol) 및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에테르 (32.3 mg, 0.06 mmol)와 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Ar(g)로 퍼징하고, 수성 탄산나트륨 (1.21 mL, 2 M)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85℃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MSO (1 mL) 중에 용해시키고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8 mg, 39%). LC/MS: 5분에 걸쳐 10% - 90% CH3CN:H2O 구배: 2.72분, 412 (M+H).
실시예 22
Figure pct00104
(2S,4R)-2-메틸-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S)-에틸 2-(2-에톡시-2-옥소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에틸 (S)-(-)-락테이트 (738 g, 6247 mmol, 1 당량) 및 탄산칼륨 (856 g, 6.193 mmol, 1 당량)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7.0 L) 중에 용해시키고 2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에틸 브로모아세테이트 (1049 g, 6.200 mmol, 0.98 당량)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25 L)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 (3 x 3 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 (1 x 3 L)로 세척한 다음 농축시켜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오일을 진공하에 (1 mmHg) 증류시켜 목적하는 중간체를 418 g (33%) 수득하였다. LC/MS (M+H) = 205.
단계 2: (S)-2-(2-히드록시에톡시)프로판-1-올의 제조.
(S)-에틸 2-(2-에톡시-2-옥소에톡시)프로파노에이트 (418 g, 2050 mmol, 1 당량)를 THF (3.0 L) 중에 용해시켰다. 교반하면서, 리튬 알루미늄 히드라이드 (2.52 L, 2520 mmol, 1.2 당량)를 온도를 60℃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47 mL)을 적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켰다. 상기 혼합물에 수산화나트륨 용액 (94 mL, 2.5 N)을 첨가한 다음 물 (141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고체를 여과하고 아세톤으로 세정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켜 순수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오일을 진공하에 (<1 mmHg, 90 - 105℃) 증류시켜 목적하는 알콜을 146 g (59%)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05
단계 3: (S)-1-요오도-2-(2-요오도에톡시)프로판의 제조.
트리페닐포스핀 (45.0 g, 166 mmol, 4 당량) 및 이미다졸 (11.7 g, 166 mmol, 4 당량)을 아세토니트릴 (100 mL) 및 디에틸 에테르 (300 mL) 중에 용해시켰다. 요오드 (52.4 g, 206 mmol, 5 당량)를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S)-2-(2-히드록시에톡시)프로판-1-올 (5.0 g, 42 mmol, 1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고 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유성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잔류물을 5% 에틸 아세테이트/헵탄을 사용하여 실리카 컬럼을 통해 여과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추가로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임의의 잔존하는 (R)-1-요오도-2-(2-요오도에톡시)프로판 (5%)을 제거하였다.
Figure pct00106
(S)-1-요오도-2-(2-요오도에톡시)프로판의 키랄 순도의 증진을 위한 절차
키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Chiral Technologies, Inc.)사로부터의 키랄팩(Chiralpak) AS-H 30 x 250 mm 컬럼을 사용한 베르거 멀티그램(Berger MultiGram) II SFC 크로마토그래프 (70 ml/분으로 5% MeOH/95% CO2로 등용매 용리)로 분리를 수행하였다. 샘플을 MeOH 중에 50 mg/ml로 용해시켰다 (2 ml/주입). 제1 피크는 부차적 거울상이성질체이고, 제2 피크는 주요 거울상이성질체이고, 제3 피크는 알려지지 않은 불순물이었다. 키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사로부터의 키랄팩 AD-H 4.6 x 250 mm 컬럼을 사용하여 분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3 ml/분으로 20% MeOH/80% CO2로 등용매 용리). 제1 피크는 1.86분에서 용리하였고, 제2 피크는 1.99분에서 용리하였고, 불순물 피크는 2.26분에서 용리하였다.
단계 4: (2S,4R)-4-(3-브로모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3-브로모페닐 아세토니트릴 (1.04 g, 5.3 mmol, 1 당량) 및 (S)-1-요오도-2-(2-요오도에톡시)프로판 (2.13 g, 6.25 mmol, 1.2 당량)을 디메틸 술폭시드 (20 mL) 중에 용해시켰다. 수소화나트륨 (405 mg, 10.1 mmol, 1.9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1 M HCl (1 x 10 ml), 물 (1 x 10 ml) 및 염수 (1 x 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황색 액체를 수득하였다. 형성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1:1)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단일 이성질체로서 수득하였다 (350 mg, 24%). 입체화학은 NMR에 의해 확인하였다.
Figure pct00107
단계 5: (2S,4R)-2-메틸-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296 mg, 1.27 mmol, 1 당량), (2S,4R)-4-(3-브로모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350 mg, 1.20 mmol, 1 당량), 팔라듐 테트라키스 (80 mg, 0.07 mmol, 0.05 당량) 및 DPEphos (37 mg, 0.07 mmol, 0.05 당량), 칼륨 tert-부톡시드 (3.75 mL, THF 중의 1 M, 3.75 mmol, 3 당량)를 실온의 이소프로판올 (5 mL)에서 혼합하였다. 질소를 5분 동안 반응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하였다. 상기 용액을 24시간 동안 65℃로 가열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 mL) 및 물 (5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단리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49.4 mg, 10%).
Figure pct00108
단계 6: (2S,4R)-2-메틸-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2S,4R)-2-메틸-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443 mg, 1.14 mmol, 1 당량) 및 수산화칼륨 (300 mg, 5.4 mmol, 4.7 당량)을 tert-부틸 알콜 (10.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조 고체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43 mg, 31%).
Figure pct00109
실시예 23
Figure pct00110
(2S,4R)-4-(4-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표제 화합물은 출발 물질로서 2-(3-브로모-4-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실시예 15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11
실시예 24
Figure pct00112
(2S,4R)-4-(4-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출발 물질로서 2-(3-브로모-4-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하기 실시예 27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 절차를 사용하여 하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13
실시예 25
Figure pct00114
(2S,4R)-4-(2-플루오로-3-(2-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단계 1: (4-브로모-3-플루오로페닐)(모르폴리노)메타논의 제조
메틸렌 클로라이드 (50 mL) 중 4-브로모-3-플루오로벤조산 (3.0 g, 14 mmol)의 용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3.41 g, 1.3 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 (502 mg, 4.11 mmol) 및 모르폴린 (1.22 g, 14 mmol)을 첨가하였다. 주변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물 (300 mL)에 붓고, 물 (2 x 100 mL)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에 의해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3.68 g).
Figure pct00115
단계 2: 1-(4-브로모-3-플루오로페닐)에타논의 제조.
아이스-배스로 냉각된, 아르곤 하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45 mL) 중 (4-브로모-3-플루오로페닐)(모르폴리노)메타논 (3.14 mg, 10.9 mmol)의 용액에 메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1.22 g, 16.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동안 아이스 배스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주변 온도로 가온하였다. 반응물을 물 (35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75 mL)로 추출하고,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에 의해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액체로서 제공하였다 (2.8 g).
Figure pct00116
단계 3: 5-(4-브로모-3-플루오로페닐)-1-메틸-1H-피라졸의 제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 1-(4-브로모-3-플루오로페닐)에타논 (2.8 g, 12 mmol)의 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탈 (3.45 mL, 2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메틸 히드라진 (2.5 mL, 46 mmol)으로 처리하고 18시간 동안 75℃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75 mL)로 추출하고,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20:80) →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60:40)으로 변경되는 용매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66 g).
Figure pct00117
단계 4: S-2-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의 제조.
아르곤 하의 탈기된 무수 1,4-디옥산 (13 mL) 중 5-(4-브로모-3-플루오로페닐)-1-메틸-1H-피라졸 (120 mg, 0.470 mmol)의 용액에 팔라듐 아세테이트 (8.1 mg, 0.036 mmol),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에테르 (9.7 mg, 0.018 mmol), 탄산세슘 (234 mg, 0.719 mmol) 및 트리이소프로필실란 티올 (205 mg, 0.231 mL, 1.0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45분 동안 95℃로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아세트산 무수물 (1.5 mL)로 처리하였다. 18시간 후 반응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75 mL)로 추출하고,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5:95) →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40:60)으로 변경되는 용매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50 mg).
Figure pct00118
단계 5: (2S,4R)-4-(2-플루오로-3-(2-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아르곤 하의 탈기된 무수 1,4-디옥산 (3 mL) 중 S-2-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100 mg, 0.400 mmol)의 용액에 ((2S,4R)-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119 mg, .0400 mmol), 팔라듐 아세테이트 (13.7 mg, 0.060 mmol),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에테르 (21.5 mg, 0.040 mmol) 및 고체 탄산세슘 (391 mg, 1.20 mmol)을 첨가하였다. 18시간 동안 85℃로 가열한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한 다음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질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44 mg).
Figure pct00119
실시예 26
Figure pct00120
(2S,4R)-4-(2-플루오로-3-(2-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t-부탄올 (2 mL) 중 실시예 25의 화합물 (98 mg, 0.23 mmol)의 용액을 분말 수산화칼륨 (41.6 mg, 0.741 mmol)으로 처리하고 18시간 동안 7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고, 여과한 다음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38 mg).
Figure pct00121
실시예 27
Figure pct00122
(2S,4R)-4-(3-플루오로-5-(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2S,4R)-4-(3-브로모-5-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2-(3-브로모-5-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 (1.40 g, 4.6 mmol, 1 당량) 및 (S)-1-요오도-2-(2-요오도에톡시)프로판 (2.30 g, 6.87 mmol, 1.5 당량)을 디메틸 술폭시드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수소화나트륨 (450 mg, 11 mmol, 2.5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1 M HCl (1 x 10 ml), 물 (1 x 10 ml) 및 염수 (1 x 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2S,4R)-4-(3-브로모-5-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및 (2S,4S)-4-(3-브로모-5-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1:1)을 수득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단일 이성질체로서 수득하였다 (522 mg, 38%). LCMS (M+1) = 298 (100%), 300 (98%).
단계 2: (2S,4R)-4-(3-플루오로-5-(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123
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407 mg, 1.75 mmol, 1 당량), (2S,4R)-4-(3-브로모-5-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522 mg, 1.75 mmol, 1 당량), 팔라듐 테트라키스 (111 mg, 0.096 mmol, 0.05 당량) 및 DPEphos (51.7 mg, 0.096 mmol, 0.05 당량), 칼륨 tert-부톡시드 (5.25 ml, THF 중의 1 M, 5.25 mmol, 3 당량)를 실온의 이소프로판올 (10 ml)에서 혼합하였다. 질소를 5분 동안 반응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하였다. 상기 용액을 24시간 동안 65℃로 가열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 ml) 및 물 (5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단리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520 mg, 73%).
Figure pct00124
단계 3: (2S,4R)-4-(3-플루오로-5-(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2S,4R)-4-(3-플루오로-5-(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370 mg, 0.91 mmol, 1 당량) 및 수산화칼륨 (428 mg, 7.6 mmol, 8.7 당량)을 tert-부틸 알콜 (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조 고체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26 mg, 33%).
Figure pct00125
실시예 28
Figure pct00126
(2S,4R)-4-(2,4-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2S,4R)-4-(3-브로모-2,4-디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2-(3-브로모-2,4-디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 (1.60 g, 9.4 mmol, 1 당량) 및 (S)-1-요오도-2-(2-요오도에톡시)프로판 (3.40 g, 10 mmol, 1.1 당량)을 디메틸 술폭시드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수소화나트륨 (828 mg, 21 mmol, 2.2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1 M HCl (1 x 10 ml), 물 (1 x 10 ml) 및 염수 (1 x 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2S,4R)-4-(3-브로모-2,4-디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및 (2S,4S)-4-(3-브로모-2,4-디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1:1)을 수득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30-85%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단일 이성질체로서 수득하였다 (251 mg, 11%). LC/MS (M+1) = 316 (100%), 318 (98%).
단계 2: (2S,4R)-4-(2,4-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233 mg, 1.0 mmol, 1 당량)를 1-메틸-2-피롤리디논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칼륨 tert-부톡시드 (1.0 ml, THF 중의 1 M, 1.0 mmol, 1 당량)를 첨가하였다. 유리 티올로의 완전한 전환이 관찰될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LCMS로 추적하였다. (2S,4R)-4-(3-브로모-2,4-디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51 mg, 0.98 mmol, 1.0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45℃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5 ml) 및 물 (5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염수 (2 x 10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단리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110 mg, 26%).
Figure pct00127
단계 3: (2S,4R)-4-(2,4-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2S,4R)-4-(2,4-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100 mg, 0.23 mmol, 1 당량)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황산 (4:1)의 혼합물 3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7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물 (5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포화된 중탄산나트륨 용액 (1 x 10 mL)으로 세척한 다음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조 고체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37 mg, 36%).
Figure pct00128
실시예 29
Figure pct00129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2S,4R)-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2-(3-브로모-2-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 (800 mg, 3.7 mmol, 1 당량) 및 (S)-1-요오도-2-(2-요오도에톡시)프로판 (1.27 g, 3.74 mmol, 1 당량)을 디메틸 술폭시드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수소화나트륨 (331 mg, 8.3 mmol, 2.2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1 M HCl (1 x 10 mL), 물 (1 x 10 mL) 및 염수 (1 x 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2S,4R)-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및 (2S,4S)-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1:1)을 수득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단일 이성질체로서 수득하였다 (252 mg, 23%). 입체화학은 NMR에 의해 확인하였다.
Figure pct00130
단계 2: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Figure pct00131
별법 1
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156 mg, 0.67 mmol, 1 당량), (2S,4R)-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00 mg, 0.67 mmol, 1 당량), 팔라듐 테트라키스 (42.8 mg, 0.07 mmol, 0.05 당량) 및 DPEphos (19.9 mg, 0.07 mmol, 0.05 당량), 칼륨 tert-부톡시드 (2.01 mL, THF 중의 1 M, 2.01 mmol, 3 당량)를 실온의 이소프로판올 (5 mL)에서 혼합하였다. 질소를 5분 동안 반응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하였다. 상기 용액을 24시간 동안 65℃로 가열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 mL) 및 물 (5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단리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220 mg, 80%).
Figure pct00132
별법 2
(2S,4R)-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80 g, 268 mmol), 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62 g, 268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17 g, 15 mmol),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에테르 (8 g, 15 mmol)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4 g, 13 mmol)를 질소 분위기하에 톨루엔 (800 mL)에서 함께 혼합하였다. 2.5 M 수산화나트륨 (365 mL, 912 mmol)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고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3시간 내 완료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25℃로 냉각시킨 다음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무정형의 경질 유리질 물질로서 수득하였다 (89 g).
단계 3: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00 mg, 0.49 mmol, 1 당량) 및 수산화칼륨 (428 mg, 7.6 mmol, 15 당량)을 tert-부틸 알콜 (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조 고체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00 mg, 48%).
Figure pct00133
최종 화합물의 키랄 순도의 증진을 위한 절차
키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사로부터의 키랄팩 AS-H 30 x 250 mm 컬럼을 사용한 베르거 멀티그램 II SFC 크로마토그래프 (70 ml/분으로 30% MeOH/70% CO2로 등용매 용리)로 분리를 수행하였다. 샘플을 MeOH에 주입하였다 (3 mg/ml, 5 ml/주입).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경우 2개의 피크를 획득하였으며, 제1 피크는 부차적 거울상이성질체이고 제2 피크가 주요 거울상이성질체였다. 키랄팩 AS-H 4.6 x 250 mm 컬럼, 20% MeOH/80% CO2를 사용하여 분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1 피크는 4.446분의 체류 시간에서 용리하였고, 제2 피크는 6.345분의 체류 시간에서 용리하였다.
실시예 29bis
Figure pct00134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토실레이트 염, 1:1 몰 비율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 즉, 실시예 29의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합물 - (4.5 g, 11.0 mmol) 및 파라-톨루엔술폰산 (2.3 g, 12.1 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 (68 mL)에서 함께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환류하에 가열하고 균질해질 때까지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5℃로 냉각시키고 결정화가 시작될 때까지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로 냉각시키고 30분 동안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5℃로 냉각시키고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5.81 g, 90%).
TGA/SDTA 분석
메틀러(Mettler) TGA/SDTA851e 열중량 분석기 동시 시차 열 분석기(thermogravimetric analyzer simultaneous differential thermal analyzer)를 사용하여 온도 데이타에 대해 중량 손실 및 샘플 온도를 수집하였다. 샘플을 구멍을 뚫을 수 있는 40 μL 알루미늄 캡슐 안에 씰링하였다. 샘플을 20℃에서부터 최대 400℃ 이하까지 5℃/분으로 가열하였다. 온도 및 모의 열 흐름 축을 인듐을 사용하여 보정하였다. TGA/SDTA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분말 X-선 회절 방법
브루커(Bruker) D-8 고급 회절분석기를 사용하여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측정하였다. 시스템은 40 kV 및 40 mA에서 유지되는 구리 X-선 공급원을 사용하여 Cu Kα1 (1.5406 Å) 및 Cu Kα2 (1.54439 Å) 방사선 및 1.54184 Å의 세기 가중 평균 (Kαave)을 제공하였다. 검출에 대해 섬광 계수기를 사용하였다. 3 내지 35°의 2-세타 범위에 걸쳐 포인트 당 0.02°의 단계 스캔 및 1초/포인트 계수 시간을 사용하여 데이타를 수집하였다. 브루커 플라스틱 샘플 컵 홀더 안에 둔 제작된 알루미늄 삽입물을 모든 분석에 대해 이용하였다. 우선 배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샘플을 그대로 진행시키고 분석 동안 회전시켰다. 측정된 패턴을 하기에 제시하였다 (도 1의 PXRD 패턴으로부터 유래된 피크 위치; 2 세타 각 ± 0.1°):
Figure pct00135
실시예 30
Figure pct00136
(2S,4R)-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S-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의 제조
S-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2.00 g, 7.8 mmol, 1 당량), 나트륨 tert-부톡시드 (753 mg, 7.8 mmol, 1 당량), 팔라듐 아세테이트 (35.2 mg, 0.157 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핀)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115 mg, 0.157 mmol)을 1,4 디옥산 (2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트리이소프로필실란 티올 (1.49 g, 7.80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30 mL)에 부었다. 유기물을 물 (1 x 20 mL) 및 염수 (1 x 30 mL)로 세척한 다음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물을 증발시켜 조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오일을 THF 중의 테트라부틸 암모늄 플루오라이드 용액 (1 M) 16 mL 중에 용해시키고 1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무수물 (7.42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25 mL)에 붓고 디클로로메탄 (2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수 (1 x 20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농축시켰다. 생성된 오일을 크로마토그래피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0-100%)에 의해 정제하여 호박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추가로 정제하지 않았다. LCMS (M+1)= 251.
단계 2: (2S,4R)-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S-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692 mg, 2.76 mmol, 1.1 당량), (2S,4R)-4-(3-브로모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700 mg, 2.50 mmol, 1 당량),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150 mg, 0.130 mmol, 0.05 당량) 및 DPEphos (70.0 mg, 0.130 mmol, 0.05 당량), 칼륨 tert-부톡시드 (7.50 ml, THF 중의 1 M, 7.49 mmol, 3 당량)를 실온의 이소프로판올 (10 ml)에서 혼합하였다. 질소를 5분 동안 반응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하였다. 상기 용액을 24시간 동안 65℃로 가열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 ml) 및 물 (5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단리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620 mg, 61%).
Figure pct00137
단계 3: (2S,4R)-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2S,4R)-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380 mg, 0.93 mmol, 1 당량) 및 수산화칼륨 (812 mg, 14.5 mmol, 15.5 당량)을 tert-부틸 알콜 (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조 고체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10 mg, 53%).
Figure pct00138
실시예 31
Figure pct00139
(2S,4R)-4-(2-플루오로-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2S,4R)-4-(2-플루오로-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S-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539 mg, 2.15 mmol, 1.1 당량), (2S,4R)-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580 mg, 1.94 mmol, 1 당량),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117 mg, 0.101 mmol, 0.05 당량) 및 DPEphos (54.4 mg, 0.101 mmol, 0.05 당량), 칼륨 tert-부톡시드 (5.84 ml, THF 중의 1 M, 5.84 mmol, 3 당량)를 실온의 이소프로판올 (10 ml)에서 혼합하였다. 질소를 5분 동안 반응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하였다. 상기 용액을 24시간 동안 65℃로 가열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 ml) 및 물 (5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단리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274 mg, 33%).
Figure pct00140
단계 2: (2S,4R)-4-(2-플루오로-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2S,4R)-4-(2-플루오로-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160 mg, 0.376 mmol, 1 당량) 및 수산화칼륨 (812 mg, 14.5 mmol, 15.5 당량)을 tert-부틸 알콜 (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조 고체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15 mg, 69%).
Figure pct00141
실시예 32
Figure pct00142
(2S,4R)-4-(3-플루오로-5-(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2S,4R)-4-(3-플루오로-5-(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S-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349 mg, 1.39 mmol, 1.1 당량), (2S,4R)-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375 mg, 1.26 mmol, 1 당량),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75 mg, 0.065 mmol, 0.05 당량) 및 DPEphos (35 mg, 0.065 mmol, 0.05 당량), 칼륨 tert-부톡시드 (3.77 ml, THF 중의 1 M, 3 당량)를 실온의 이소프로판올 (10 ml)에서 혼합하였다. 질소를 5분 동안 반응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하였다. 상기 용액을 24시간 동안 65℃로 가열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 ml) 및 물 (5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단리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300 mg, 56%).
Figure pct00143
단계 2: (2S,4R)-4-(3-플루오로-5-(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2S,4R)-4-(3-플루오로-5-(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169 mg, 0.397 mmol, 1 당량)을 디메틸 술폭시드 (6.0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수산화나트륨 (0.476 mL, 2.5 N)을 첨가한 다음 과산화수소 (0.476, 35%)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희석하고, 물 (1 x 10 mL) 및 염수 (1 x 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조 고체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40-90% 아세토니트릴-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17 mg, 66%).
Figure pct00144
실시예 33
Figure pct00145
4-{3-[3-플루오로-4-(2-메틸-2H-피라졸-3-일메틸)페닐술파닐]-페닐}-테트라히드로-피란-4-카르복실산 아미드
단계 1: 5-(4-브로모-2-플루오로-벤질)-1-메틸 피라졸의 제조
1-메틸-1H-피라졸-5-일보론산 (224 mg, 1.78 mmol, 1 당량), 4-브로모-1-(브로모메틸)-2-플루오로벤젠 (500 mg, 1.87 mmol, 1.05 당량), Pd(PPh3)4 (0.05 당량) 및 2 N 탄산나트륨 수용액 (2.4 당량)을 톨루엔:에탄올 (4:3)에 녹이고 질소로 퍼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20시간 동안 5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추출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헥산 중 0-100% 디클로로메탄의 구배로 용리하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조 오일로서 중간체를 0.60 g 수득하였다. APCI(+) = 269, 271.
단계 2: 4-{3-[3-플루오로-4-(2-메틸-2H-피라졸-3-일메틸)페닐술파닐]-페닐}-테트라히드로-피란-4-카르복실산 아미드의 제조.
무수 이소프로판올 중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630 mg, 1.6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5-(4-브로모-2-플루오로-벤질)-1-메틸 피라졸 (430 mg, 1.60 mmol, 1.0 당량),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 당량), 불화세슘 (1.0 당량), DPEPhos (0.066 당량) 및 Pd(PPh3)4 (0.22 당량)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질소로 충전시켰다. 이어서, 칼륨 tert-부톡시드 용액 (THF 중의 1 M, 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70℃에서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과 함께 슬러리로 만들고, 용리액으로서 1-5% 메탄올 / 클로로포름을 사용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생성물을 17 mg 단리하였다 (4%).
Figure pct00146
실시예 34
Figure pct00147
4-[3-({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4-플루오로페닐)(1-메틸-1H-5-일)메탄올의 제조.
1-메틸-1H-피라졸 (1.32 g, 16.1 mmol)을 무수 THF (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78℃로 냉각시키고 1.6 M nBuLi 용액 (1.2 당량)을 시린지를 통해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5분 동안 -78℃에서 교반한 후 4-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2.0 g, 16.1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상기 혼합물이 실온이 되도록 한 다음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1 N 염화암모늄 (25 m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켰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및 물 (25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혼합하고, 유기상을 수집한 다음 다시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황산나트륨) 농축시켜 (4-플루오로페닐)(1-메틸-1H-5-일)메탄올을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수율 = 3.1 g, 93%.
단계 2: (4-플루오로페닐)(1-메틸-1H-피라졸-5-일)메타논의 제조.
(4-플루오로페닐)(1-메틸-1H-5-일)메탄올 (3.1 g, 15.1 mmol)을 아세토니트릴 (20 ml) 중에 현탁시켰다.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 (6.4 g, 30.2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4시간 동안 50℃에서 가열하였다. 물 (2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침전물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침전물을 흡입 여과로 수집하였다. 물로 철저하게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생성물 (4-플루오로페닐)(1-메틸-1H-피라졸-5-일)메타논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수율 = 1.65 g, 53%.
Figure pct00148
단계 3: 4-[3-({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플루오로페닐-1-메틸-1H-피라졸-5-일)메타논 (250 mg, 1.2 mmol) 및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82 mg, 1.2 mmol)를 톨루엔/THF의 1:1 용액 (20 ml)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80℃로 가열하였더니 균질해졌다. 테트라 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1.5 당량, THF 중의 1 M 용액으로서)를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80℃에서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5시간에 걸쳐 미세한 담갈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침전물 4-[3-({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를 흡입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 및 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율 = 265 mg, 51%.
Figure pct00149
실시예 35
Figure pct00150
4-[3-({4-[(1-메틸-1H-피라졸-5-일)메틸]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5-(4-브로모벤질)-1-메틸-1H-피라졸의 제조.
4-브로모벤질 브로마이드 0.25 mg, 1-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피라졸 0.208 mg 및 팔라듐 (0)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0.022 mg을 셉텀 씰링된 바이알에 넣고 3회 배기/질소 충전시켰다. 이어서, 1,4-디옥산 8 ml를 첨가한 다음 1 M 탄산세슘 2 m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4시간 동안 7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을 0.13 g 수득하였다. LCMS (M+H): 252.
단계 2: 4-[3-({4-[(1-메틸-1H-피라졸-5-일)메틸]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0.59 mg,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253 mg, 옥시디-2,1-페닐렌 비스-(디페닐포스핀) 0.04 mg, 팔라듐(0)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0.89 mg, 5-(4-브로모벤질)-1-메틸-1H-피라졸 0.377 mg 및 불화세슘 0.228 mg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3회 배기 및 질소로 충전시켰다. 질소-퍼징된 이소프로판올 10 ml를 첨가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0 M 칼륨 t-부톡시드 1.5 m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을 0.202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51
실시예 36
Figure pct00152
4-[3-({3-클로로-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2-클로로-4-플루오로페닐)(1-메틸-1H-피라졸-5-일)메탄올의 제조.
-78℃로 냉각된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35 mL) 중 N-메틸피라졸 (1.0 g, 12.18 mmol)의 용액에 1.6 M n-부틸리튬 용액 (9.1 mL)을 시린지를 통해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분 동안 -78℃에서 교반한 후 2-클로로-4-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1.93 g, 12.2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 M 염화암모늄 (12 m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물 (20 mL) 및 포화된 염화나트륨 (2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조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0.94 g).
LC/MS: 5-100% 아세토니트릴/tfa-물/tfa (4분 구배) 2.87분 [(M+H)+ = 241].
Figure pct00153
단계 2: (2-클로로-4-플루오로페닐)(1-메틸-1H-피라졸-5-일)메타논의 제조.
아세토니트릴 (5 mL) 중 (2-클로로-4-플루오로페닐)(1-메틸-1H-피라졸-5-일)메탄올 (0.94 g, 3.91 mmol)의 현탁액에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 (1.26 g, 5.8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8시간 동안 50℃에서 가열하였다. 물 (13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침전물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침전물을 흡입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 (100 mL)로 철저하게 세척하였다. 이어서, 침전물을 에틸 에테르 (100 mL)로 세척하고 2개의 여과물을 합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물 (50 mL) 및 포화된 염화나트륨 (5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0.86 g).
LC/MS: 5-100% 아세토니트릴/tfa-물/tfa (4분 구배) 3.47분 [(M+H)+ = 239].
Figure pct00154
단계 3: 4-[3-({3-클로로-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디메틸포름아미드 (14 mL) 중 (2-클로로-4-플루오로페닐)(1-메틸-1H-피라졸-5-일)메타논 (500 mg, 2.10 mmol) 및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825 mg, 2.10 mmol)의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0 M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용액 (2.72 mL, 2.72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물 (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침전된 생성물을 흡입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 및 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침전물을 진공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0.82 g).
LC/MS: 5-100% 아세토니트릴/tfa-물/tfa (4분 구배) 3.53분 [(M+H)+ = 456].
Figure pct00155
실시예 37
Figure pct00156
4-[3-({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피라졸-5-일)메탄올의 제조.
-78℃로 냉각된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35 mL) 중 N-메틸피라졸 (1.0 g, 12.18 mmol)의 용액에 1.6 M n-부틸리튬 용액 (9.1 mL)을 시린지를 통해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분 동안 -78℃에서 교반한 후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 (2.34 g, 12.2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아이스 배스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 M 염화암모늄 (12 m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물 (20 mL) 및 포화된 염화나트륨 (2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조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39 g).
LC/MS: 5-100% 아세토니트릴/tfa-물/tfa (4분 구배) 3.11분 [(M+H)+ = 275].
Figure pct00157
단계 2: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피라졸-5-일)메타논의 제조.
아세토니트릴 (10 mL) 중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피라졸-5-일)메탄올 (1.37 g, 5.0 mmol)의 현탁액에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 (1.62 g, 7.4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8시간 동안 50℃에서 가열하였다. 물 (13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침전물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침전물을 흡입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 (100 mL)로 철저하게 세척하였다. 이어서, 침전물을 에틸 에테르 (100 mL)로 세척하고 2개의 여과물을 합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물 (50 mL) 및 포화된 염화나트륨 (50 mL)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23 g).
LC/MS: 5-100% 아세토니트릴/tfa-물/tfa (4분 구배) 3.54분 [(M+H)+ = 273].
Figure pct00158
단계 3: 4-[3-({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디메틸포름아미드 (14 mL) 중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메틸-1H-피라졸-5-일)메타논 (510 mg, 1.87 mmol) 및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885 mg, 2.25 mmol)의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0 M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용액 (2.44 mL, 2.44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물 (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침전된 생성물을 흡입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 및 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침전물을 진공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0.83 g).
LC/MS: 5-100% 아세토니트릴/tfa-물/tfa (4분 구배) 3.57분 [(M+H)+ = 490].
Figure pct00159
실시예 38
Figure pct00160
4-[3-({3-시아노-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36의 화합물, 나트륨 시아나이드 (103 mg, 2.10 mmol) 및 니켈(II) 브로마이드 (230 mg, 1.05 mmol)를 함유한 마이크로웨이브 용기에 1-메틸-2-피롤리디논 (5 m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분 동안 200℃, 120 W의 마이크로웨이브 장치에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와 물 (5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증발시켜 조 고체를 수득하였다.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6 mg).
LC/MS 5-100% 아세토니트릴/tfa-물/tfa (5분 구배) 4.62분 [(M+H)+ = 447].
Figure pct00161
실시예 39
Figure pct00162
(2S,4R)-2-메틸-4-(3-(4-(1-메틸-1H-피라졸-5-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하기 실시예 55의 화합물 (77 mg, 0.18 mmol)을 TFA:T2SO4의 4:1 용액 5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2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2.5 N NaOH를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 mL)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켜 오일을 173 mg 수득하였다. 역상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리하여 생성물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63
실시예 40
Figure pct00164
(2S,4R)-2-메틸-4-(3-(4-(1-메틸-1H-피라졸-5-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150 mg, 0.36 mmol)을 TFA:H2SO4의 4:1 용액 5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2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2.5 N NaOH를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 mL)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켜 오일을 173 mg 수득하였다. 역상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리하여 생성물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65
실시예 41
Figure pct00166
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1-메틸-1H-피라졸-5-올의 제조.
메틸 트랜스-3-메톡시아크릴레이트 (2.32 g, 20.0 mmol)의 MeOH (6 mL) 용액에 메틸히드라진 (0.92 g, 20.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8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킨 다음 농축시켜 반고체를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Figure pct00167
단계 2: 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NMP 12 mL 중 4-{3-[(5,6-디클로로피리딘-3-일)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310 mg, 0.809 mmol) 및 1-메틸-1H-피라졸-5-올 (120 mg, 0.41 mmol)의 용액을 탄산세슘 (255 mg, 0.783 mmol)으로 처리하고 1시간 동안 11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생성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 단리하였다 (21 mg, 18%).
Figure pct00168
실시예 42
Figure pct00169
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카르보닐)피리딘-3-일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질소 분위기하에, 무수 DMF (6 mL) 중 4-{3-[(5,6-디클로로피리딘-3-일)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00 mg, 0.522 mmol), 1-메틸-1H-피라졸-5-카르브알데히드 (57.5 mg, 0.522 mmol) 및 1,3-디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20.8 mg, 0.157 mmol)의 혼합물에 수소화나트륨 (27.2 mg, 0.67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5℃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pH를 조절하였다.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 및 포화된 황산나트륨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고체를 수득하였고, 이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4.4 mg).
Figure pct00170
실시예 43 및 44
Figure pct00171
4-(4-메톡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및 4-(4-메톡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2-브로모-4-(브로모메틸)-1-메톡시벤젠의 제조.
사염화탄소 (40 mL) 중 2-브로모-1-메톡시-4-메틸벤젠 (2.5 g, 12 mmol)의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 (2.77 g, 15.5 mmol) 및 벤조일퍼옥시드 (0.331 g, 1.37 mmol)를 첨가하였다. 18시간 동안 환류한 후, 반응물을 주변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물 (200 mL)에 붓고, 메틸렌 클로라이드 (3 x 75 mL)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5:95) →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50:50)으로 변경되는 용매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2.71 g).
Figure pct00172
단계 2: 2-(3-브로모-4-메톡시페닐)아세토니트릴의 제조.
질소하의 무수 디메틸술폭시드 (30 mL) 중 2-브로모-4-(브로모메틸)-1-메톡시벤젠 (2.71 g, 9.68 mmol)의 용액에 나트륨 시아나이드 (549 mg, 10.6 mmol)를 첨가하였다. 2시간 후에 반응물을 5% 염화나트륨 (20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75 mL)로 추출하고,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5:95) →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50:50)으로 변경되는 용매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45 g).
Figure pct00173
단계 3: 4-(3-브로모-4-메톡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아르곤하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중 2-(3-브로모-4-메톡시페닐)아세토니트릴 (500 mg, 2.21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186 mg, 4.64 mmol)을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2-클로로에틸 에테르 (0.556 mL, 4.64 mmol)를 첨가하고 18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상기 시간 후 반응물을 물 (15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75 mL)로 추출하고,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662 mg). LCMS: m/z [MH+] 295.2, 297.2
단계 4: 4-(4-메톡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아르곤하의 탈기된 1,4-디옥산 (10 mL) 중 4-(3-브로모-4-메톡시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635 mg, 2.14 mmol)의 용액에 S-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498 mg, 2.14 mmol), 팔라듐 아세테이트 (48 mg, 0.214 mmol) 및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에테르 (57.6 mg, 0.107 mmol) 및 나트륨 tert-부톡시드 (412 mg, 4.29 mmol)를 첨가하였다. 20분 동안 100℃로 가열한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200 mL)에 붓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75 mL)로 추출하고,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50:50) →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100:0)으로 변경되는 용매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610 mg).
Figure pct00174
단계 5: 4-(4-메톡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tert-부탄올 (3 mL) 중 4-(4-메톡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100 mg, 0.247 mmol)의 용액에 수산화칼륨을 첨가하였다. 18시간 동안 70℃로 가열한 후 반응물을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 (20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75 mL)로 추출하고,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00 mg).
Figure pct00175
실시예 45
Figure pct00176
단계 1: (4-브로모-3-플루오로페닐)(모르폴리노)메타논의 제조
메틸렌 클로라이드 (50 mL) 중 4-브로모-3-플루오로벤조산 (3.0 g, 14 mmol)의 용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3.41 g, 1.3 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 (502 mg, 4.11 mmol) 및 모르폴린 (1.22 g, 14 mmol)을 첨가하였다. 3시간 동안 주변 온도에서 교반한 후 반응물을 물 (300 mL)에 붓고, 물 (2 x 100 mL)로 세척하고, 유기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3.68 g).
Figure pct00177
단계 2: 1-(4-브로모-3-플루오로페닐)에타논의 제조.
아이스-배스로 냉각된 아르곤하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45 mL) 중 (4-브로모-3-플루오로페닐)(모르폴리노)메타논 (3.14 mg, 10.9 mmol)의 용액에 메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1.22 g, 16.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아이스 배스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주변 온도로 가온하였다. 반응물을 물 (35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75 mL)로 추출하고,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액체로서 제공하였다 (2.8 g).
Figure pct00178
단계 3: 5-(4-브로모-3-플루오로페닐)-1-메틸-1H-피라졸의 제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 1-(4-브로모-3-플루오로페닐)에타논 (2.8 g, 12 mmol)의 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탈 (3.45 mL, 2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메틸 히드라진 (2.5 mL, 46 mmol)으로 처리하고 18시간 동안 75℃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75 mL)로 추출하고,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20:80) →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60:40)으로 변경되는 용매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66 g).
Figure pct00179
단계 4: S-2-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의 제조.
아르곤하의 탈기된 무수 1,4-디옥산 (13 mL) 중 5-(4-브로모-3-플루오로페닐)-1-메틸-1H-피라졸 (120 mg, 0.470 mmol)의 용액에 팔라듐 아세테이트 (8.1 mg, 0.036 mmol),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에테르 (9.7 mg, 0.018 mmol), 탄산세슘 (234 mg, 0.719 mmol) 및 트리이소프로필실란 티올 (205 mg, 0.231 mL, 1.0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45분 동안 95℃로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아세트산 무수물 (1.5 mL)로 처리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75 mL)로 추출하고,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5:95) →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부피를 기준으로 40:60)으로 변경되는 용매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50 mg).
Figure pct00180
단계 5: 4-(2-플루오로-3-(2-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아르곤하의 탈기된 무수 1,4-디옥산 (3 mL) 중 S-2-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 에탄티오에이트 (100 mg, 0.400 mmol)의 용액에 ((2S,4R)-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119 mg, 0400 mmol), 팔라듐 아세테이트 (13.7 mg, 0.060 mmol) 및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에테르 (21.5 mg, 0.040 mmol) 및 탄산세슘 (391 mg, 1.20 mmol)을 첨가하였다. 18시간 동안 85℃로 가열한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한 다음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질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44 mg).
Figure pct00181
실시예 46
Figure pct00182
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디클로로메탄 3 mL 중 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50 mg, 0.12 mmol)의 용액에 피리딘 (0.099 mL, 1.22 mmol)을 첨가한 다음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0.119 mL, 0.85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증발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Figure pct00183
실시예 47
Figure pct00184
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피리딘-3-일]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디클로로메탄 3 mL 중 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피리딘-3-일]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35 mg, 0.082 mmol)의 용액에 피리딘 (0.066 mL, 0.82 mmol)을 첨가한 다음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0.08 mL, 0.57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증발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Figure pct00185
실시예 48
Figure pct00186
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디클로로메탄 3 mL 중 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30 mg, 0.073 mmol)의 용액에 피리딘 (0.059 mL, 0.73 mmol)을 첨가한 다음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0.071 mL, 0.51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증발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Figure pct00187
실시예 49
Figure pct00188
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디클로로메탄 3 mL 중 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50 mg, 0.13 mmol)의 용액에 피리딘 (0.103 mL, 1.27 mmol)을 첨가한 다음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0.124 mL, 0.88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증발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Figure pct00189
실시예 50
Figure pct00190
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술피닐}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187.2 mg 및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2 ml를 오븐 건조된 바이알 안에 넣었다. 과산화수소 40 u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메틸렌 클로라이드 8 ml 및 5% 수성 티오황산나트륨 2 ml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5%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킨 다음 진공 건조시켜 생성물을 175 mg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91
실시예 51
Figure pct00192
4-[3-({3-시아노-4-[(1-메틸-1H-피라졸-5-일)옥시]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5-요오도-2-(1-메틸-1H-피라졸-5-일옥시)벤조니트릴의 제조
1-메틸-2-피롤리디논 5 mL 중 2-플루오로-5-요오도벤조니트릴 (100 mg, 0.405 mmol) 및 2-메틸-2,4-디히드로-3H-피라졸-3-온 (63.6 mg, 0.648 mmol)의 용액을 탄산세슘 (396 mg, 1.22 mmol)으로 처리하고 2시간 동안 11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5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 50 mL 및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증발시켜 조 물질을 수득하였다.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93 mg). LC/MS 5-100% 아세토니트릴/tfa-물/tfa (6분 구배) 4.74분 [(M+H)+ = 326].
Figure pct00193
단계 2: 4-[3-({3-시아노-4-[(1-메틸-1H-피라졸-5-일)옥시]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4-{3-[(트리이소프로필실릴)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131 mg, 0.332 mmol), 5-요오도-2-(1-메틸-1H-피라졸-5-일옥시)벤조니트릴 (90 mg, 0.28 mmol), 비스[(2-디페닐포스피노)페닐]에테르 (7.5 mg, 0.014 mmol) 및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19.6 mg, 0.017 mmol)을 플라스크에 넣고 3회 배기/아르곤 충전시켰다. 이어서, 무수 1,4-디옥산 (2 mL)을 첨가한 다음 2 M 수성 탄산세슘 (아르곤 포화됨) 0.554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4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 5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50 mL)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 50 mL 및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증발시켜 조 물질을 수득하였다.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41 mg). LC/MS 5-100% 아세토니트릴/tfa-물/tfa (6분 구배) 4.46분 [(M+H)+ = 435].
Figure pct00194
실시예 52
(2S,4R)-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티오)-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1-메틸-1H-피라졸-5-올의 제조
메탄올 (6 ml) 중 3-메톡시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2.44 g, 20 mmol)의 용액에 메틸히드라진 (921 mg, 2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2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회백색 반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97 g, 96.8%).
Figure pct00196
단계 2: 5-브로모-3-클로로-2-(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의 제조
DMF (4 ml) 중 5-브로모-2,3-디클로로피리딘 (3.22 g, 14 mmol) 및 1-메틸-1H-피라졸-5-올 (1.4 g, 14 mmol)의 용액에 탄산세슘 (13.9 g, 4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시간 동안 100℃에서 교반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고, 물 (1 x 50 ml) 및 염수 (1 x 5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오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그대로 고형화시켰다 (3.2 g, 79%).
LC/MS: 5분에 걸쳐 (5%-95% CH3CN:H2O) 구배: 2.89분. 289 M+H.
단계 3: S-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 에탄티오에이트의 제조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202 mg, 0.276 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77.1 mg, 0.139 mmol)을 질소하에 플라스크에 넣은 다음 1,4-디옥산 (20 mL) 중 5-브로모-3-클로로-2-(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 (1.60 g, 5.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5분 동안 탈기시킨 다음 트리이소프로필실란티올 (1.17 mg, 6.16 mmol) 및 THF 중의 1.0 M 칼륨 t-부톡시드 (6.10 mL, 684 mg, 6.10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시간 동안 92℃에서 가열하였다. 1.0 M 칼륨-t-부톡시드 (6.0 mL, 6.0 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202 mg, 0.276 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77.1 mg, 0.13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4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포화된 NH4Cl (30 m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수집하였다. TBAF 용액 (THF 중의 1.0 M) (7.65 mL, 2.00 g, 7.65 mmol)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무수물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에 붓고 디에틸 에테르 (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켰다. 실리카 상에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210 mg, 13%).
Figure pct00197
단계 4: (2S,4R)-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티오)-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제조
탈기된 디옥산 (3 mL) 중 (2S,4R)-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31 mg, 0.775 mmol) 및 S-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 에탄티오에이트 (220 mg, 0.775 mmol)의 용액에 DPEphos (42 mg, 0.078 mmol) 및 팔라듐 (II) 아세테이트 (27 mg, 0.116 mmol)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탈기된 2 N Cs2CO3을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N2 하에 씰링하고 18시간 동안 9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25 mL를 사용하여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25 mL)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켜 황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리하였다.
Figure pct00198
단계 5: (2S,4R)-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티오)-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2S,4R)-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티오)-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77 mg, 0.17 mmol)을 TFA:T2SO4의 4:1 용액 5 mL 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2시간 동안 9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2.5 N NaOH를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 mL)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켜 오일을 100 mg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역상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리하였다.
Figure pct00199
실시예 53
Figure pct00200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탈기된 디옥산 (3 mL) 중 (2S,4R)-4-(3-브로모-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86 mg, 0.959 mmol) 및 S-4-(1-메틸-1H-피라졸-5-카르보닐)페닐 에탄티오에이트 (250 mg, 0.959 mmol)의 용액에 DPEphos (51.7 mg, 0.096 mmol) 및 Pd(II)(OAc)2 (33 mg, 0.144 mmol)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탈기된 2 N Cs2CO3 (2 mL)을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N2 하에 캡핑하고 18시간 동안 9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25 mL를 사용하여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25 mL)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시켜 황갈색 오일 (620 mg)을 수득하였다. 역상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리하여 생성물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01
실시예 54
Figure pct00202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술피닐)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70 mg, 0.17 mmol, 1 당량)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10.0 mL) 중에 용해시켰다. 30% 과산화수소 (4.0 mL, 40 mmol)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수 (1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15 ml)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오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70.0 mg, 96%).
Figure pct00203
상기 개시된 절차 및 반응식을 사용하여, 하기 화합물들을 또한 제조하였다:
Figure pct00204
Figure pct00205
Figure pct00206
Figure pct00207
Figure pct00208
Figure pct00209
생물학적 데이타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기도 질환에 대한 분석
형광 세기 5-LOX 효소 분석
효소 분석은 아라키돈산-의존성 반응에서 5-LOX에 의한 비-형광성 화합물 2'7'-디클로로디히드로플루오레신 디아세테이트 (H2DCFDA)의 형광성 2',7'-디클로로플루오레신으로의 산화를 기초로 한다. 기질 H2DCFDA의 아세테이트 기의 에스테르 절단은 산화 전에 일어나야 한다. 이는 재조합 인간 5-LOX의 조 세포 용해질 제제의 사용을 통해 달성된다. 효소 분석액 (40 L)은 50 mM 트리스 (pH 7.5), 2 mM CaCl2, 2 mM EDTA, 3 μM 아라키돈산 (누-체크 프렙(Nu-Chek Prep)사; #S-1133), 10 μM ATP, 10 μM H2DCFDA (인비트로겐(Invitrogen)사; #D399), 억제제 (다양한 농도) 및 재조합 인간 5-LOX 효소 (웰 당 1.25 μL의 조 용해질)를 함유하였다.
억제제 (DMSO 중에 용해됨)를 1 μL로 384-웰 분석 플레이트 (코닝(Corning)사 #3654) 내에 플레이팅한 다음, 5-LO 효소 및 H2DCFDA를 함유하는 용액 20 μL를 첨가하였다. 분석 플레이트에 첨가하기 전에 효소 및 H2DCFDA를 5분 동안 예비-인큐베이션시켜 염료의 아세테이트 기 절단이 가능해지도록 하였다. 억제제 및 효소/염료 혼합물을 예비-인큐베이션시킨지 10분 후, 아라키돈산 및 ATP를 함유한 기질 용액을 첨가하여 분석을 개시하였다. 효소 반응을 20분 동안 실온에서 수행한 다음 아세토니트릴 40 μL를 첨가하여 종결시켰다. 분석 플레이트를 플루오레신에 대한 표준 파장을 사용하여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판독하였다. 3배 계열 희석으로의 2중 7개의 억제제 농도를 사용한 4-파라미터 적합법을 사용하여 억제제의 IC50을 계산하였다. 각 플레이트에 대한 대조군은 억제제를 포함하지 않고 (0% 효과) 25 μM CJ-13610을 포함하였다 (100% 효과). 시험되는 최고 억제제 농도는 통상적으로 25 μM이었다. 분석시 최종 DMSO 농도는 2.5%였다.
인간 전혈 분석
인간 전혈을 10 ml 헤파린 튜브 (진공채혈관, 벡톤 디켄슨(Becton Dickenson)사)에 수집하였다. 수집된 혈액을 풀링하고, 80 μL를 384-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분배하였다. 플레이트메이트(PlateMate)를 사용하여 DMSO에 용해된 화합물 용액 2 μL를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의 혈액 80 μL에 첨가하였다. 혈액 및 화합물이 첨가된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이어서, 60% 에탄올 중 칼시마이신 (800 ng/ml) (A23187 C-7522, 시그마(Sigma)사) 및 아라키돈산 (30 μM) (누-체크 프렙, 인코포레이티드사, S-1133)의 용액 2 μL를 마이크로멀티드롭(Micromultidrop)을 사용하여 혈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얕은 수조에서 37℃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4℃에서 10분 동안 800 g으로 회전시켰다. 상등액을 제거하고 ELISA (케이만 케미칼(Cayman Chemical)사)에 의해 분석하였다.
인간 전혈로부터의 아이코사노이드 생성:
10 ml 헤파린-첨가 튜브 (진공채혈관 튜브; 뉴저지주 프랭클린 레이크스에 소재한 벡톤 디켄슨사)에 건강하거나 또는 천식을 앓는 인간 공여자로부터 인간 전혈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혈액을 풀링하고, 80 μL를 멀티-드롭(Multi-Drop; 상표명) 384-웰 디스펜서 (앨라배마주 헌츠빌에 소재한 티터텍(Titertek)사)를 사용하여 384-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분배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을 DMSO에 용해시킨 다음, 플레이트메이트 플러스(PlateMate Plus; 상표명) 자동화된 피펫팅 스테이션 (뉴햄프셔주 허드슨에 소재한 매트릭스 테크놀로지스(Matrix Technologies)사)을 사용하여 2 μL/웰을 혈액에 첨가하였다. 화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혈액과 함께 예비-인큐베이션시킨 다음, 60% 에탄올에 용해된 40 μM 칼슘 아이오노포어 (A23187,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에 소재한 시그마 케미칼 캄파니(Sigma Chemical Co.)사, Cat. # C-7522) 및 30 μM 아라키돈산 (S-1133, 미네소타주 엘리시안에 소재한 누-체크 프렙, 인코포레이티드사, Cat. # S-1133)으로 자극하였다. 얕은 수조에서 37℃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후 혈액을 4℃에서 10분 동안 800 g으로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수집하고, 류코트리엔 및 프로스타글란딘 수준을 제조업자의 지시사항에 따라 ELISA (미시건주 앤 아버에 소재한 케이만 케미칼 캄파니사)에 의해 측정하였다. 분석은 2.5% DMSO의 최종 농도로 수행하였다.
래트 공기 주머니에서의 카라기난-유도된 아이코사노이드 생성:
수컷 루이스(Lewis) 래트 (175 내지 200 g) (메사츄세츠주 윌밍톤에 소재한 찰스 리버 래보래토리즈(Charles River Laboratories)사)를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멸균 공기 20 ml를 등의 견갑골내 부위 안에 피하 주입하여 공기 주머니를 생성하였다. 주머니를 1일 동안 발달시켰다. 약물 투여 전 16 내지 24시간 동안 동물 (군 당 6 마리)을 물에 자유롭게 접근시키면서 단식시켰다. 약물 또는 비히클을 위관 영양법으로 투여한지 1시간 후, 염수 중에 용해된 카라기난의 1% 현탁액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소재한 FMC 바이오폴리머(FMC BioPolymer)사, Cat. # GP209-NF) 2 ml를 주머니 안에 주입하였다. 카라기난 주입후 3시간에서, 염수 중의 50 μg/ml 칼슘 아이오노포어 (A23187,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에 소재한 시그마 케미칼 캄파니사, Cat. #C-7522) 1 ml를 주머니 안에 주입하고, 10분 후에 세척에 의해 주머니 유체를 수집하였다. 상기 유체를 4℃에서 10분 동안 3500 rpm으로 원심분리하고, 분석을 위해 상등액을 수집하였다. 류코트리엔 및 프로스타글란딘 수준을 제조업자의 지시사항에 따라 ELISA (미시건주 앤 아버에 소재한 케이만 케미칼 캄파니사)에 의해 정량하였다.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기도 질환에 대한 분석에서 획득한 결과는 하기 표 III에 보고하였다.
[표 III]
Figure pct00210
Figure pct00211
Figure pct00212
(a) 형광 세기 5-LOX 효소 분석 IC50
(b) 인간 전혈로부터의 아이코사노이드 생성 IC50
(c) 3 mpk에서 래트 공기 주머니에서의 카라기난-유도된 아이코사노이드 생성 억제%
(d) US 5,883,106 및 EP 0787127에 개시된 4-(3-(4-(2-메틸-1H-이미다졸-1-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213
괄호 안의 숫자는 특정 실시예의 단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29(2)는 실시예 29의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지칭한다.
PK 파라미터의 측정
수컷 스프래그-돌리(Sprague-Dawley) 래트를 찰스 리버 래보래토리즈 (델라웨어주 윌밍톤에 소재함)사로부터 입수하여 임의로 제공된 음식 및 물로 대략 1주 동안 그의 환경에 순응시켰다. 연구 전날에, 동물을 (작용시키기 위해) 이소플루란으로 마취시킨 다음 혈관 카테터를 사용하여 목 동맥 및 목 정맥에 이식하였다. 동물을 쿨렉스(Culex) (바이오아날리티칼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Bioanalytical Systems, Inc.)사) 케이지 안에서 밤새 순응시킨 후 투여하였다. 쿨렉스 ABS의 "텐드(tend)" 기능을 사용하여 목 동맥 카테터의 개방을 유지하였다. 동물을 밤새 (대략 18시간) 단식시킨 후 경구 투여하고, 투여후 4시간에서 음식을 공급하였다. 투여는 1일째에 경구 투여한 다음 2일째에 목 정맥 카테터를 통해 정맥 투여하는 단일 교차 디자인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두 경로 모두 1 mg/kg으로 투여하였다. 투여한 날 아침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혈액 수집은 0.03, 0.08, 0.25, 0.5, 1, 1.5, 2, 4, 6, 8, 12, 18 및 24시간의 예정된 시점에서 쿨렉스에 의해 수행하였다. 샘플을 냉각된 헤파린-첨가 튜브 안에 수집하고, 10분 동안 3000 rpm으로 원심분리하고, 생성된 혈장을 생분석을 위해 96-웰 플레이트에 분취하였다. 혈장이 수확되자마자 샘플을 동결시키고, 연구 종료 후 생분석이 수행될 때까지 플레이트를 -80℃에서 동결시켰다. 뇨 샘플을 정맥내 투여 후 0 내지 24시간에 수집하였다. 200 μL의 샘플을 샘플 플레이트에 분취하고 혈장 샘플과 함께 분석하였다. 대략 1.8 mL의 잔뇨 샘플을 필요한 경우, 추가 분석을 위해 샘플 튜브로 이동시켜 보존하고, 샘플의 나머지는 폐기하였다. 분석은 표준 샘플에 대해 LC-MS에 의해 수행하였다.
통증 질환에 대한 분석
생체내
모든 절차는 화이자 동물 실험 윤리 위원회(Pfizer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지침을 따르고, 실험실 동물 복지(laboratory animal welfare)에 대한 NIH 지침에 따른다. 달리 제시되지 않는다면, 모든 시약은 시그마사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에 소재함)로부터 입수가능하였다.
카라기난 발
시험 화합물을 실온에서 건조 분말로서 저장하였다. 화합물을 0.5% 메틸셀룰로스 및 0.025% 트윈(Tween)-20을 함유하는 비히클로 제조하고 경구 위관 영양법으로 투여하였다 (부피 = 1 ml). 150-250 g 체중의 수컷 스프래그-돌리 래트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 소재한 할란(Harlan)사)를 사용하였다. 래트를 연구 전날에 밤새 단식시키고 물에 자유롭게 접근시켰다. 각각의 군은 6 마리의 래트로 구성되었다. 카라기난을 생리 식염수 중 1% 현탁액으로서 제조한 다음, CO2/O2로 마취시킨 래트의 오른쪽 뒷발바닥에 27-게이지 니들을 사용하여 0.1 ml의 부피를 피내로 주입하였다. 주입되지 않은 왼쪽 뒷발은 정상 대조군 역할을 하였다. 화합물을 투여한 후 카라기난을 주입하였다. 카라기난을 주입한지 3시간 후, 뒷발에 적용된 기계적 압력에 대한 회피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통각과민을 측정하였다 (문헌 [Randall LO, Selitto JJ (1957) A method for measurement of analgesic activity on inflamed tissue. Arch Int Pharmacodyn Ther 111:409-419]).
완전 프로인트 아쥬반트(Complete Freund's adjuvant; CFA)
성인 수컷 스프래그-돌리 래트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 소재한 할란사 또는 마이애미주 포테이지에 소재한 찰스 리버 래보래토리즈사) (190-250 g)를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래트는 경구 투여 전에 단식시키지 않았고, 실험 전반에 걸쳐 음식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시켰다. 각 처치군은 5 또는 6 마리의 래트로 구성되었다. 염증성 통증의 CFA 래트 모델에서, CFA의 1 mg/ml 현탁액 (광유 중에 현탁된 가열 살균된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150 μl를 CO2/O2로 마취시킨 래트의 뒷발바닥 표면에 주입하였다. 상기 주입은 즉시 국소 염증, 발의 부기 및 기계적 통각과민 (MH)으로서 측정된 통증을 유발하였다. 반대쪽의 비-염증성 발은 대조군/정상 동물의 것에 필적하는 역치를 나타냈다. CFA 주입 다음날 란달-셀리토 아날게시-미터(Randall-Selitto Analgesy-Meter)를 사용하여 모든 래트에 대해 기저 통증 측정을 수행하여 래트의 뒷발의 MH를 측정하였다. 약물 연구를 CFA 48시간 후 급성 경구 위관 영양법으로 수행하였다. 기계적 통각과민 측정은 단일 투여 2 내지 3시간 후에 실행하였다.
내측 반월상연골 절단 (MMT)
275-375 g 체중의 수컷 스프래그-돌리 래트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 소재한 할란사)를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군은 6 또는 8 마리의 래트로 구성되었다. 래트의 오른쪽 무릎에서 MMT를 진행시켰다. 기체 마취 시스템하에, 오른쪽 대퇴경골 관절의 내측면 위의 피부를 털을 깎은 다음 베타딘을 사용하여 클렌징하여 수술을 위해 준비하였다. 비절개 박리하여 내측 곁인대가 노출되게 하고 절단하여 내측 반달연골을 노출시켰다. 반달연골을 2 조각으로 잘랐다 (선단부는 여전히 부착됨). 반달연골의 근위단은 무릎 관절에 남아있었다. 피부를 봉합으로 닫았다 (에티콘(Ethicon) 모노필라멘트 나일론 규격 5.0). 수술 10 내지 14일 후 스테플을 제거하였다. 수술 1달 후에 모든 동작 테스트를 시작하였다. MMT 수술에 따른 일관된 기저 통증 반응을 전개시키는 래트에서 화합물을 평가하였다. 화합물을 경구 투여하고, 화합물을 투여한지 2 내지 2.5시간 후 통증 반응을 평가하였다. 기저 통증 측정은 투여 24시간 전에 모든 래트에서 행하였다.
척수 신경 결찰 (SNL)
275-375 g 체중의 수컷 스프래그-돌리 래트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 소재한 할란사)를 사용하였다. 래트를 연구 전반에 걸쳐 음식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시켰다. 각각의 군은 5 마리의 래트로 구성되었다. 래트의 왼쪽 L5 및 L6 상에서 SNL을 진행시켰다 (문헌 [Kim SH, Chung JM.; An experimental model for peripheral neuropathy produced by segmental spinal nerve ligation in the rat. Pain, 1992; 50:355-363]). 수술 스크럽/프렙 (베타딘, 알콜) 후, 골반대 (무명골)를 촉진하고, 후방 장골능선의 수준을 절개 중앙 지점으로서 사용하여 등 중간선 바로 왼쪽 측면의 피부를 4 cm 절개하였다. 중간-엉치 부위에서, 수술칼(scalpel blade)이 엉치뼈를 치는 느낌이 들 때까지 수술칼로 배쪽 기둥 (시상면에서)의 왼쪽 측면을 따라 미끄러지듯 자상을 행하였다. 가위 팁을 찌르기를 통해 도입하고, 근육 및 인대를 척수로부터 분리하여 항상 엉치뼈/가로 돌기의 수준 아래에 있는 등뼈를 2-3 cm 노출시켰다. 근육 및 근막의 골 구조를 제거하여 왼쪽 L6의 가로 돌기를 확인하였다. L6 돌기의 꼬리 가장자리 아래 론저 팁이 완만하게 미끄러질 수 있게 허리엉치 근막을 분할하였다. L4 및 L5 신경에 접근할 수 있을 때까지 가로 돌기를 집어 제거하였다 (이들은 막 노출된 근육 아래 근막에 함께 캡슐화되어 존재함). 작은 유리 후크를 L4, L5 신경 중간에 배치하고 (아래쪽, 척추에 대해), 팁을 신경 아래에서 좌우 회전시켜 그들을 끌어당겼다. 이는 주위 근육 조직으로부터 서서히 상승하였다. L5는 배내측에 위치하고, 후크를 약간 낮추고 중간선 쪽으로 이동시켜 L4가 측면/깊은 신경을 지나가게 하였다. L4가 후크에서 떨어지는 경우, 스트레칭 또는 끌어당김을 피하는 동안 왼쪽 뒷발에서 마비를 일으킬 것이고 동물이 쓸모없게 될 것이다. 일단 L4가 L5 후크에서 자유롭게 되면, 6-0 길이의 가는 실크 실로 후크의 팁에서 볼을 빙 돌아 두 번 묶고 다시 신경 아래로 통과시켰다. L5 신경의 부드럽지만 단단한 (손으로 단단히 조인) 결찰은 손으로 깊은 매듭/기기 포지션을 사용하여 사각 매듭으로 이루어졌다. 신경은 묶음실의 양 끝에서 약간 불룩해졌다. 일단 L5가 결찰되면, L6은 엉치뼈의 가장자리 아래에서 후크로 끌어당겨졌다. 후크를 수평면의 45도 각도로 천장골 가장자리의 골 아래로 미끄러뜨렸다. L6을 서서히 올리고 결찰하였다. 근육 상의 근막을 4-0 비크릴로 봉합하고 수술용 스태플을 사용하여 피부를 닫았다. 수술 10 내지 14일 후에 스태플을 제거하였다. 수술 1달 후에 모든 동작 테스트를 시작하였다.
화합물을 경구 투여하고, 화합물을 투여한지 2 내지 2.5시간 후 통증 반응을 평가하였다. 기저 통증 측정은 투여 24시간 전에 모든 래트에서 행하였다.
동작 테스트
기계적 통각과민
뒷발의 기계적 통각과민을 아날게시-미터 (유고-바질(Ugo-Basile)사)를 사용한 란달-셀리토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반대쪽에 이어서 염증성 (같은쪽)의 각각의 뒷발을 무딘 바이스-유사(vice-like) 플랫폼 상에 순차적으로 놓고, 래트가 자극에 반응할 때까지 (운동, 버둥거림, 목소리를 냄) 압력을 끊임없이 증가하는 속도로 발에 적용하였다. 이어서, 래트를 반응시키는 데 요구되는 압력의 양 (g으로 측정됨)을 기록하였다. 반대쪽 발의 회피 역치 (PWT)와 주입된 발의 회피 역치 사이의 차이를 사용하여 통각과민 반응을 측정하였다.
촉각성 이질통 (TA)
일련의 보정된 미세한 필라멘트 (본 프레이 필라멘트(von Frey filament), 일리노이주 우드 데일에 소재한 스토일팅 캄파니(Stoelting Co.)사)로 발바닥 표면을 탐침한 후 발의 회피를 측정함으로써 촉각성 이질통 (정적)을 측정하였다. 본 프레이 필라멘트의 강도는 0.4 g 내지 8 g 범위였다. 상기 필라멘트를 무해한 기계적 자극으로서 사용하여 기계적 이질통을 정량하였다. 래트를 높은 철사 그물층 및 제거가능한 플라스틱 커버 상의 투명한 플라스틱 케이지 안에 넣고 30분 동안 순응시켰다. 일련의 필라멘트를 래트가 회피 반응할 때까지 오른쪽 뒷발바닥 표면에 차례로 적용하였다 (각 3회). 발을 들어올리는 것을 양성 반응으로 기록하고, 다음으로 가장 가벼운 필라멘트를 다음 측정을 위해 선별하였다. 반응이 없는 경우, 증가한 중량의 다음 필라멘트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패러다임 (문헌 [Dixon WJ (1980) Efficient analysis of experimental observations. Annu Rev Pharmacol Toxicol 20:441-462]에 최초 기재된 업-다운(up-down) 방법)을 동작에서의 초기 변화 후 4회 측정이 완료될 때까지 또는 연속적인 음성 반응이 일어날 때까지 계속하였다. 야기된 일련의 양성 및 음성 스코어를 사용하여 발 회피 역치 (g)를 삽입하였다.
체중 부하 차이
뒷발 사이의 체중 부하 차이 (WBD)를 힘판 계량기 (영국 노퍽에 소재한 린톤 인스트루멘테이션(Linton Instrumentation)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래트를 평평한 센서 (2개의 플레이트/각각의 뒷발에 대해 1개) 위에 놓고 각 뒷발의 체중 부하를 측정하였다. 9회의 판독치를 취하고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심혈관 질환에 대한 분석
물질 및 방법
LDLr 무표지 마우스 죽상동맥경화증 모델.
잭슨 래보래토리즈(Jackson Laboratories)사 (메인주 바르 하버에 소재함)로부터 입수가능한 수컷 LDL 수용체 -/- 마우스 (6주령)를 12-시간 간격으로 명암 주기를 번갈아가면서 일정한 온도 환경에서 한 마리씩 집 안에 넣었다. 물은 항상 이용할 수 있었다. 표준 설치류 음식물에 대해 2 내지 4주의 순응 기간 후, 마우스를 12 내지 36주의 기간 동안 0.075% 첨가된 콜레스테롤을 가진 변형된 웨스턴 식이 마우스(Western Diet Mice) (D06092202, 리서치 다이어츠 인코포레이티드(Research Diets Inc.)사)로 변경시켰다. 이어서, 마우스를 모든 군이 유사한 혈청 콜레스테롤 및 체중 평균 및 범위를 가지도록 블록 무작위 절차를 사용하여 8-20 마리 마우스/군의 처치군에 배정하고, PF-4332150의 농도를 변경시키면서 변형된 웨스턴 식이 (D060922, 리서치 다이어츠 인코포레이티드사) +/-를 사용한 규정식 혼합물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하였다. 1일 마우스 식이 소비량이 예측가능한 혈장 노출을 야기하도록 식이에서의 약물의 농도를 조절하였다. 혈청 지질, 염증성 매개체 및 다른 바이오마커, 간 효소 및 약물동태학 분석에 대한 혈액을 안와동(orbital sinus) 또는 심장 천공에 의한 처치 기간 동안에 선택된 시간에서 1 ml 헤파린-첨가 튜브 (진공채혈관 튜브; 뉴저지주 프랭클린 레이크스에 소재한 벡톤 디켄슨사) 안에 수집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900 x g을 적용한 다음 혈청을 폐기하였다. 처치 기간 후, 간, 심장, 췌장 및 혈관 조직을 제거하고 10% 완충 포르말린 (세인트 루이스에 소재한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사)에 넣거나, 또는 이후의 분석을 위해 액체 질소에서 플래쉬 동결시켰다.
조직 및 혈청 지질의 측정
총 콜레스테롤 분석
제조업자의 설명서에 따라 총 콜레스테롤 이 키트(Total Cholesterol E kit) (미국 버지니아주에 소재한 와코 케미칼스 유에스에이(Wako Chemicals USA)사)를 사용하여 총 콜레스테롤의 조직 분석을 수행하였다. PBS (pH 7.4) (미국 위스콘신주에 소재한 인비트로겐사) 중에 분석법의 직선성 내에서 희석된 5 μl의 샘플을 96-웰 투명-바닥 플레이트 (미국 뉴욕주에 소재한 코스타(Costar)사)에 첨가하였다. 각 96-웰 투명-바닥 플레이트는 또한 농도가 18.75-200 mg/dl인 제공된 표준 콜레스테롤 5 μl를 갖는 지정된 웰을 함유한다. 제공된 완충 용액 75 ml를 동결건조된 착색제에 첨가하여 2x 착색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2x 착색제 용액 95 μl를 각 웰에 첨가한 다음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색 변화를 600 nm의 테칸 사파이어(Tecan Safire) 2 상에서 측정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을 표준 콜레스테롤의 선형 곡선-적합화를 통해 정량하였다.
유리 콜레스테롤 분석
제조업자의 설명서에 따라 유리 콜레스테롤 이 키트(Free Cholesterol E kit) (미국 버지니아주에 소재한 와코 케미칼스 유에스에이사)를 사용하여 유리 콜레스테롤의 조직 분석을 수행하였다. PBS (pH 7.4) (미국 위스콘신주에 소재한 인비트로겐사) 중에 분석법의 직선성 내에서 희석된 5 μl의 샘플을 96-웰 투명-바닥 플레이트 (미국 뉴욕주에 소재한 코스타사)에 첨가하였다. 각 96-웰 투명-바닥 플레이트는 또한 농도가 10-100 mg/dl인 제공된 표준 콜레스테롤 5 μl를 갖는 지정된 웰을 함유한다. 제공된 완충 용액 75 ml를 동결건조된 착색제에 첨가하여 2x 착색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2x 착색제 용액 95 μl를 각 웰에 첨가한 다음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색 변화를 600 nm의 테칸 사파이어 2 상에서 측정하였다. 유리 콜레스테롤을 표준 콜레스테롤의 선형 곡선-적합화를 통해 정량하였다.
트리글리세리드 분석
제조업자의 설명서에 따라 L-형 TG H 키트 (미국 버지니아주에 소재한 와코 케미칼스 유에스에이사)를 사용하여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직 분석을 수행하였다. PBS (pH 7.4) (미국 위스콘신주에 소재한 인비트로겐사) 중에 분석법의 직선성 내에서 희석된 5 μl의 샘플을 96-웰 투명-바닥 플레이트 (미국 뉴욕주에 소재한 코스타사)에 첨가하였다. 각 96-웰 투명-바닥 플레이트는 또한 농도가 5.5-110 mg/dl인 제공된 표준 트리글리세리드 5 μl를 갖는 지정된 웰을 함유한다. L-형 TG H 효소 착색제 A (R1) 150 μl를 각 웰에 첨가한 다음 5분 동안 진탕시킨 후 37℃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색 변화를 600 nm의 테칸 사파이어 2 상에서 측정하고, 값을 데이타의 배경 정규화에 대해 유지하였다. L-형 TG H 효소 착색제 B (R2) 75 μl를 각 웰에 첨가한 다음 5분 동안 진탕시킨 후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색 변화를 600 nm의 테칸 사파이어 2 상에서 측정하였다. 제1 판독으로부터의 배경값을 뺄셈한 후 표준 트리글리세리드의 선형 곡선-적합화를 통해 농도를 측정하였다.
비-에스테르화된 지방산 분석
제조업자의 설명서에 따라 와코 NEFA C 키트 (미국 버지니아주에 소재한 와코 케미칼스 유에스에이사)를 사용하여 비-에스테르화된 지방산 (NEFA)의 조직 분석을 수행하였다. PBS (pH 7.4) (미국 위스콘신주에 소재한 인비트로겐사) 중에 분석법의 직선성 내에서 희석된 10 μl의 샘플을 96-웰 투명-바닥 플레이트 (미국 뉴욕주에 소재한 코스타사)에 첨가하였다. 각 96-웰 투명-바닥 플레이트는 또한 농도가 0.05-1 mmol인 제공된 표준 NEFA 10 μl를 갖는 지정된 웰을 함유한다. 제공된 완충 용액 A를 동결건조된 착색제에 첨가하여 착색제 A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A 75 μl를 각 웰에 첨가한 다음 5분 동안 진탕시킨 후 37℃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색 변화를 550 nm의 테칸 사파이어 2 상에서 측정하고, 값을 데이타의 배경 정규화에 대해 유지하였다. 제공된 완충 용액 B를 동결건조된 착색제에 첨가하여 착색제 B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B 150 μl를 각 웰에 첨가한 다음 5분 동안 진탕시킨 후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색 변화를 550 nm의 테칸 사파이어 2 상에서 측정하였다. 제1 판독으로부터의 배경값을 뺄셈한 후 표준 NEFA의 선형 곡선-적합화를 통해 농도를 측정하였다.
리포단백질-관련 콜레스테롤 분석
수퍼로즈(Superose) 6HR 컬럼을 사용한 고속-단백질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FPLC) 및 리포단백질에서 콜레스테롤 수준의 컬럼 후 인-라인(in-line) 분석을 사용하여 리포단백질-관련 콜레스테롤 분석을 수행하였다. 혈장 샘플을 0.6 μ 96-웰 필터 플레이트를 통해 예비-여과한 후, 바리안(Varian) 430 오토샘플러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소재한 바리안 인코포레이티드(Varian Inc.)사)로 수퍼로즈 6-10/300GL 컬럼 (스웨덴에 소재한 아머샴 바이오사이언시즈(Amersham Biosciences)사) 상에 50 μL를 주입하였다. 이동상으로서 0.9% 염수를 사용하여 0.518 mL/분에서 등용매적 크기-배제에 의해 리포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용리액을 0.182 mL/분으로 펌핑하는 (전체 유속의 26%) 50% 콜레스테롤 R1 용액 (미국 인디애나주에 소재한 로슈 디아그노스틱스(Roche Diagnostics)사)과 합한 후, 37℃로 설정된 CRX 400 컬럼후 반응기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소재한 피커링 래보래토리즈(Pickering Laboratories)사)에 투입하였다. 콜레스테롤 염색 반응 후, 용리액 리포단백질-콜레스테롤을 바리안 프로-스타(Varian Pro-Star) UV-Vis 검출기를 사용하여 490 nm에서 검출하였다. 각각의 상대 콜레스테롤 분포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효소적으로 측정된 총 혈장 콜레스테롤에 곱하여 각 리포단백질에서의 콜레스테롤 농도 (mg/dL)를 정량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중성 지질 분석
증기화 광산란 검출 (HPLC-ELSD)
2,2,4-트리메틸펜탄 (TMP) 및 이소프로필 알콜 (IPA)의 4:1 혼합물 3 mL로 조직 샘플을 추출하였다. 분석적 분석용 내부 표준물질로서 작용하는 2 mg/mL 아라키돈산 알콜 (AA) 용액 10 μL를 각각의 샘플에 첨가하였다. 샘플을 광의 부재하에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추출 후, 물 1 mL를 샘플에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15분 동안 1,500 rpm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유기상 (상층) 2 mL를 분석을 위해 유리 바이알에 옮기고 N2 하에서 건조시켰다. 각 샘플을 TMP 50 uL로 재구성하고 교반한 다음, 100 uL 유리 삽입물이 내장된 2 mL HPLC 바이알에 옮겼다.
크로마토그래피: 워터스 스페리소르브(Waters Spherisorb) S3W 4.6 x 100 mm 분석용 컬럼을 아길런트(Agilent) 컬럼 히터 유닛에 의해 30℃에서 유지시켰다. HPLC 오토샘플러를 프로그래밍시켜 샘플 온도를 작동 동안에 20℃에서 유지시켰다. 각각의 샘플 10 μl를 주입하였다. 이동상은 2종의 용매 구배로 구성되었다. 용매 A는 트리메틸펜탄 (TMP; 말린크로트(Mallincrodt)사 6051-08)이고, 용매 B는 에틸아세테이트 (EA; 말린크로트사 3442-10)였다. 구배는 하기 표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00214
검출: ELSD를 8의 눈금으로 45℃에서 작동시키고, N2 압력을 3.1 bar로 유지하였다. 기기에 의해 획득한 아날로그 신호를 아길런트 A/D 인터페이스 모듈로 보내고, 여기서 디지털 출력으로 변환되었다. 변환은 10,000 mAU/V 설정 포인트를 기준으로 하고, 데이타 속도는 10 Hz (0.03분)로 설정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디지털 출력을 피크 면적의 적분을 위해 아길런트 켐스테이션(Agilent ChemStation; 등록상표) 소프트웨어에 입력하였다. 콜레스테롤 (시그마-알드리치사 362794) 및 콜레스테릴 올레에이트 (시그마-알드리치사 C9253)의 보정 곡선을 사용하여,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농도를 μg/mL로 변환시켰다. 두 보정 곡선은 2차 다항 방정식
Figure pct00215
에 가장 적합하였다. 콜레스테롤 반응은 20 내지 800 μg/mL의 선형이었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반응은 20 내지 700 μg/mL의 선형이었다.
이중-라벨 콜레스테롤 흡수 모델
잭슨 래보래토리즈사로부터 입수가능한 6주령 수컷 LDLr-/- 마우스를 통상의 12-시간 간격 명암 주기하에 집 안에 넣고, 연구 기간 전반에 걸쳐 음식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시켰다. 마우스를 푸리나(Purina) 5001 설치류 음식물에 대해 7일 동안 실험실 환경에 순응시킨 다음 변형된 웨스턴 식이에 대해 7일 동안 순응시킨 후 처치군으로 분류하였다. 장 콜레스테롤 흡수에 대한 시험 물질의 영향 평가를 상기 기재된 이중-라벨 배설물 동위원소 비율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4일 후, 식이 혼합물 노출된 비-단식 및 비-마취시킨 마우스에 100% 중간쇄 트리글리세리드 (MCT) 오일 150 μl 중에 용해된 3H-시토스타놀 (2.78 uCi) 및 14C-콜레스테롤 (1.74 uCi)을 위내 위관 영양법으로 제공하였다. 마우스를 즉시 개별적 철망-바닥 케이지 안으로 이동시키고, 추가 72시간 동안 각각의 연구 식이 혼합물을 계속 섭취시켰으며, 이 시간 동안 배설물을 매일 수집하여 모았다.
3일간 모은 총 배설물 샘플을 N2 기체하에 건조시키고, 분쇄하고, 연구에서의 각 동물로부터의 샘플을 14C 및 3H 농도의 정량화를 위해 WBAL-IMS COE에 의해 활용된 표준 이중-카운트 방법론을 통해 3H 및 14C 동위원소 내용물 (DPM)에 대해 산화시켰다. 배경값을 뺄셈하고 평균 산화 효율로 나누어 교정된 DPM 값을 개선시켰다. 상기 값을 사용하여 불안정한 최종 동위원소 활성을 계산한 다음 (nCi), 산화된 건조된 배설물 샘플 질량으로 나누어 nCi/mg 배설물 중의 불안정한 동위원소 함량을 제공하였다. 14C 대 3H 함량 비를 각 동물에 대해 측정하고, 콜레스테롤 흡수%를 하기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Figure pct00216
"콜레스테롤 흡수%"에 대한 평균 및 평균의 표준 편차를 모든 군에 대해 측정하였다. 미처치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처치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편파적(one-sided) P-값 (P<0.05)을 갖는 던넷 쌍별 비교(Dunnette Pairwise Compariso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비-가비누화 및 가비누화 지질로의 14C-아세테이트 혼입 (5LOCS-001)
잭슨 래보래토리즈사로부터의 21주령 수컷 LDLr-/- 마우스를 통상의 12-시간 간격 명암 주기하에 집 안에 넣고, 연구 마지막 날 6시간 단식 동안 단지 물만 제공할 때를 제외하고는 물 및 연구 식이에 자유롭게 접근시켰다. 마우스를 변형된 웨스턴 식이 (D06092202, 리서치 다이어츠 인코포레이티드사)에 대해 7일 동안 순응시킨 후 처치군으로 분류하였다. 급성 및 만성 처치된 마우스 모두를 2.5시간 단식시킨 후, 비히클 또는 시험 물질을 위내 위관 영양법으로 제공하였다. 급성 및 만성 시험 물질 노출군 둘 다에 대해, 비히클 또는 시험 물질의 위내 전달 1.5시간 후 염수 중 [1-14C]-아세테이트 25 uCi를 단일 복강내 주입으로 전달하였다. 마우스를 [1-14C]-아세테이트에 노출시킨지 2.5시간 후 CO2 흡입시켜 안락사시키고, 혈액을 수집한 다음 혈청 분리를 진행시켰다. 0.175 ml 내지 0.3 ml의 혈청으로부터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가비누화 (SAP) 및 비-가비누화 (NONSAP) 혈청 지질로의 [1-14C]-아세테이트의 혼입을 측정하였다. SAP 및 NONSAP 지질에 대해 혈청 ml 당 DPM을 각 동물에 대해 측정하고, 평균 및 평균의 표준 편차를 모든 군에 대해 측정하였다. 미처치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처치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짝지어지지 않은 스튜던츠 T-테스트(Student's T-test) (P<0.05)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가용성 바이오마커
마우스 혈청 또는 혈장 샘플을 상기 기획에 대해 수행된 다양한 효능 연구로부터의 다양한 시간에서 수집하였다. 샘플을 회사 내부 및 외부 둘 다의 다수의 상이한 분석 시스템에서 시험하였다. 애드비아(ADVIA; 등록상표) 1650 화학 시스템을 알칼리 포스파타제 (ALPAMP),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 (ALT) 및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AST)의 시험관내 진단 정량적 측정에 대해 사용하였다.
(ALPAMP) 알칼리 포스파타제는 PNPP 기질을 가수분해하여 p-니트로페놀을 형성하고, 이는 착색되어 (황색) 그만의 색소원을 제공한다. 반응은 410 nm에서 알칼리 포스파타제 활성에 비례하는 p-니트로페놀의 형성 속도의 색 측정으로 추적하였다. 2-아미노-2-메틸-1 프로판올 (AMP) 완충액을 사용하여 반응 pH를 10.3 내지 10.4로 유지하였다. 마그네슘 및 아연 이온을 AMP 완충액에 첨가하여 효소를 활성화 및 안정화시켰다.
(ALT) 제2 시약으로서 α-케토글루타레이트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340 nm에서의 그의 흡광도에 의해 NADH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흡광도 감소 속도는 ALT의 활성에 비례하였다.
(AST) 340 nm에서의 그의 흡광도에 의해 NADH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흡광도 감소 속도는 AST의 활성에 비례하였다. 반응은 제2 시약으로서 α-케토글루타레이트를 첨가함으로써 개시하였다.
애드비아 (등록상표) 1650 화학 시스템은 바이엘 어세이드 케미스트리 컨트롤 1(Bayer Assayed Chemistry Control 1) (REF 05788372; Prod. No. T03-1220-62) 및 컨트롤 2 (REF 00944686; Prod. No. T03-1221-62)를 사용하여 제어하였다.
란독스(RANDOX)사에 의해 공급된 최적화된 표준 키트를 사용하여 글루타메이트 데히드로게나제 (GLDH)를 측정하였다. 이 절차는 비-특이적 포복을 측정한다.
Figure pct00217
NADH가 산화됨에 따라, 분 당 흡광도의 감소가 340 nm에서 분광측광학적으로 측정되고, 이는 GLDH의 활성에 비례한다. 혈청 및 혈장 샘플을 선호되는 분석물의 특정 패널에서의 프로파일링을 위해 외부의 린코 앤드 룰스 베이스드 메디슨(LinCo and Rules Based Medicine)사로 보냈다.
조직학 및 영상 분석 방법
조직학: 대동맥굴 및 치근, 심장, 지방, 간, 근육 등을 비롯한 조직을 안락사 직후에 제거하고,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에 배치하거나 또는 액체 N2에서 동결시키고, 기재된 바와 같이 절편화를 위해 함몰시켰다. 동결된 조직 샘플을 냉동절단한 다음, 지질에 대해서는 오일-레드-오(oil-red-o) (ORO)로 착색시키고 (Bowles et al, 2004) 콜라겐에 대해서는 피크로시리우스 레드(picrosirius red) (PSR)로 착색시켰다 (Rubio et al, 1988). ORO (Bowles et al, 2004) 및 PSR (Rubio et al, 1988)의 면적%를 이미지프로플러스(ImageProPlus)로의 컴퓨터 보조 영상 분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고정된 조직 분석에 대해, 조직을 실온의 10% NBF 중에 24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조직을 티슈 텍 브이아이피(Tissue Tek VIP) 5 조직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단계적 알콜 및 크실렌을 통해 파라핀으로 탈수시켰다. 조직을 새로운 파라핀 중에 함몰시키고, 절편을 레이카 알엠(Leica RM) 2235 회전식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4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절단하고 유리 슬라이드 상에 올려놓았다.
대동맥근 플라크 영역 및 조성을 측정하기 위해, 판막편(valve leaflet)에서 시작하고 슬라이드 당 2개의 절편을 수집하는, 니시나(Nishina) 등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이 대동맥근으로부터 연속 절편을 절단하여 1 단계를 생성하였다. 단계 2, 8, 14, 20, 26 및 32를 마손(Masson) 3색 (프로펫(Prophet)사)으로 염색시키고, 플라크 영역 측정 및 조성에 대해 사용하였다. 플라크 조성을 모든 복합 플라크 상에서 측정하였다 (유형 3 또는 4). 병변 내 평활근 세포 (SMC) 영역을 모두 캘리포니아주 카르펜테리아에 소재한 다코 코포레이션(DAKO Corp.)사로부터의 애니멀 리서치 키트(Animal Research Kit: ARK, Cat. No. K3955)를 갖춘 마우스 조직에 대해 채택된 α-SMC 액틴 (마우스 항-인간 α-액틴, Cat. No. M0851)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가시화시켰다. 대식세포를 기재된 바와 같이 (Lutgens et al.) 래트 대식세포 단백질 ED-1 (영국 옥스포드에 소재한 세로테크, 리미티드(Serotec, Ltd.)사)에 대한 항체로 염색시켰다.
플라크는 하기 기준에 의해 유형 1, 2, 3 또는 4로 정의된다:
유형 1 - 1-2 층의 포말 세포, 신생내막 염증성 세포의 증식 없음.
유형 1B - 유형 1보다 매끄러움. 염증 없음. 기질 조직-콜라겐. 안정함.
유형 2 - 다중층의 포말 세포, 관내강에서 돌출, 플라크 내 최소 침윤물. 판/배지 무손상. 외막 영역에 염증성 세포 없음.
유형 2B - 유형 2 + 섬유 성분 및 기질 조직을 더 함유함.
유형 2C - 유형 2 & 2b + 외막 영역에 유의한 염증성 성분을 함유함.
유형 3 - 관내강 및 배지에 거대 플라크가 침범함. 콜레스테롤 조각, 염증성 침윤물, 불규칙한 표면, 외막 영역에 염증 없음, 분해된 배지.
유형 3B - 증가된 기질 성분.
유형 4 - 외막 염증, 매끄러운 플라크 표면, 내피 무손상을 제외하고는 3과 유사함. 플라크에서 염증성 반응을 가질 수 있음/가지지 않음.
캐스트(CAST) 시스템을 사용한 플라크 영역 및 조성의 측정 절차
올림푸스 덴마크(Olympus Denmark)사에 의한 캐스트 (컴퓨터 보조 입체해석적 툴박스(Computer Assisted Stereological Toolbox)) 개정 0.9를 플라크 영역 및 조성의 분석에 대해 사용하였다. 10 x 대물렌즈 하에서 플라크의 경계선을 따라 선을 그어 모든 플라크의 영역을 측정하였다. 10 x 대물렌즈 하에서 "굴곡 샘플링(meander sampling)"을 사용하여 복합 플라크 (유형 3 또는 4)의 조성을 측정하였다. 2개 이상의 복합 플라크를 함유하는 샘플에 대해, 7 x 7 포인트 프로브를 영상에 적용하고, 전체 관심 영역과 교차하여 무작위 샘플링을 수행하였다. 단지 하나의 복합 플라크를 함유하는 샘플에 대해서는, 8 x 8 포인트 프로브를 적용하였다. 각 샘플링 포인트에서, 십자가의 오른쪽 상부 4분의 1 지점의 조직을 포말 세포, 콜라겐 및 콜레스테롤 조각 등으로 동정하였다. 샘플 조직의 퍼센트는 100%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가능한 100%에 매우 가까웠다.
Figure pct00218
Figure pct00219
구토 평가
초기 화합물은, 천식 또는 염증성 장애와 같은 질환에 대한 5-리폭시게나제 효소의 치료 억제에서의 기대치와 유사하게 노출할 때, 경구 투여 후 인간에서 메스꺼움 및 구토를 야기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들 화합물의 투여 후 이러한 위장관 증상의 발생은 임상적 유용성을 제한하였다. 용해 동안 국소적 위장관 구토 자극, 및 혈류를 통한 전신 노출 동안에 생성된 구토 자극으로부터 경구 화합물의 흡수를 분화시키기 위해 실험을 착수하였다. 초기 화합물에서는, 용해 및 흡수 부위에서 위장관 내의 국소적 농축을 통하기보다는 오히려 전신 노출을 통해 메스꺼움 및 구토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화합물의 방출 위치를 변경시키거나 또는 이의 용해를 늦추는 공식 변경이 위장관의 부작용들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지 않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발견은 30분 내지 1시간의 지속시간에 걸쳐 피크 혈액 수준을 획득하기 위해 적재 투여 후 완속 주입을 사용하여, 8 내지 12 kg의 의도적으로 사육된 비글(beagle) 개에 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를 IV 주입에 의해 투여한 후에 관찰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입 펌프를 사용하여 정맥내 카테터를 통해 10 ml/kg의 총 부피가 투여되는 농도까지 화합물을 인산염 완충 염수 중에 희석하였으며, 총 투여량의 대략 90%는 최초 5분 내에 전달되고 나머지 투여량은 다음 25분에 걸쳐 투여되었다. 경구 전달에서 관찰된 전신 약동학적 프로파일에 근접하는 노출을 야기하는 유사 전달 방법은 유사 결과를 얻는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신속한 투여 방법 및 생성된 높은 혈장 농도는 유용하지 않은 화합물로부터 유용한 화합물을 구별하는 것으로 기대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IV 볼루스 투여는 GI 관으로부터의 흡수에 뒤따르는 허용가능한 피크 혈장 농도 및 치료 효과를 갖는 화합물에 대해 달성되는 것보다 높은 피크 혈장 농도 및 전신 위장관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화합물의 투여 동안 및 이후, 개에서 임의의 원치않는 임상적 효과, 가장 뚜렷하게는 구토 또는 위장관 고통의 다른 조짐이 관찰되었다. 최초 6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혈청 및 혈장 샘플을 획득하여 5-리폭시게나제 효소의 전신 억제 및 화합물의 노출 수준을 기록하였다. 따라서, 유사한 원치않는 효과를 갖지 않고 이에 따라 천식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서 증가된 유용성을 가질 수 있는 신규 화합물을 확인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해, 구토는 예를 들어, 개에서 kg 당 10 mg, 단식시킨 kg 당 100 mg 및 먹이를 준 kg 당 100 mg의 투여량으로 명명된 화합물을 경구 투여한 다음 구토를 평가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었다. 개에서의 구토의 감소는 인간에서 메스꺼움 또는 구토의 감소 또는 제거로 해석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화학식 I>
    Figure pct00220

    상기 식에서,
    Q는 -S- 또는 -S(O)-이고;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C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은
    (a) 결합
    (b) -(CH2)-
    (c) -O-
    (d) -C(O)-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a) H
    (b) 메틸
    (c) 에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a) ←CN
    (b) ←C(O)NH2
    (c) ←C(O)NH(CH3)
    (d) ←C(O)N(CH3)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또는 할로이고;
    R5
    (a) H
    (b) 할로
    (c) ←CN
    (d) ←OCH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
    (a) H
    (b) 할로
    (c) ←CN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a) H
    (b) 할로
    (c) ←CN
    (d) 메틸
    (e) ←OCH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Y가 N인 경우에 부재하거나, 또는 R8
    (a) H
    (b) 할로
    (c) ←CN
    (d) 메틸
    (e) ←OCH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9는 X가 N인 경우에 부재하거나, 또는 R9
    (a) H
    (b) 할로
    (c) ←CN
    (d) 메틸
    (e) ←CF3
    (f) ←OCH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0
    (a) H
    (b) 할로
    (c) ←CN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H 또는 (C1-C7)알킬이고;
    R12는 H 또는 할로이되;
    단, 화학식 I의 화합물은
    (a) 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b) 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이 아니다.
  2. 제1항에 있어서,
    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2,5-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2,4-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4-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2-메틸-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4-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3-플루오로-5-{[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2,4-디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3-플루오로-5-{[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S,4R)-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S,4R)-4-(2-플루오로-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2S,4R)-4-(3-플루오로-5-{[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4-[3-({3-플루오로-4-[(1-메틸-1H-피라졸-5-일)메틸]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3-({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4-[3-({3-시아노-4-[(1-메틸-1H-피라졸-5-일)옥시]페닐}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카르보닐]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티오)페닐]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2S,4R)-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티오)-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및
    (2S,4R)-4-[3-({5-클로로-6-[(1-메틸-1H-피라졸-5-일)옥시]피리딘-3-일}티오)-2-플루오로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3.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Figure pct00221
    을 갖는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4. 제3항에 있어서,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의 토실레이트 염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화물.
  5. 제4항에 있어서, 결정질이며, Cu Kα1 방사선 (파장 = 1.5406 Å)을 이용하여 측정시 하기 주요 X-선 회절 패턴 피크 (2-세타 각 (± 0.1°)을 통해 표현됨)를 갖는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2S,4R)-4-(2-플루오로-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2-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4-카르보니트릴 및 파라-톨루엔술폰산의 1:1 몰 비율 염인 화합물.
    Figure pct0022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1종 이상의 추가 치료제를 포함하는, 특히 5-LO-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조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DAGR을 포함하는 조합물;
    -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비-선택적 또는 선택적 COX-1 또는 COX-2 억제제로서의 COX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합물;
    -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β2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합물;
    -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무스카린성 M3 수용체 길항제 또는 항콜린제를 포함하는 조합물;
    -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를 포함하는 조합물;
    -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이뇨제를 포함하는 조합물; 및
    -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칼슘 채널 차단제를 포함하는 조합물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합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으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10. 5-LO-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투여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에서의 5-LO-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12.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용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LO 매개 질환, 장애 또는 병태가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천식, 특히 아토피성 천식, 비-아토피성 천식, 알레르기성 천식, 아토피성 기관지 IgE-매개 천식, 기관지 천식, 본태성 천식, 진성 천식, 병리생리학적 장애로 인한 내인성 천식, 환경 인자로 인한 외인성 천식, 알려지지 않았거나 불명확한 원인의 본태성 천식, 기관지염성 천식, 기종성 천식, 운동-유발성 천식, 알레르기 항원-유발성 천식, 냉기-유발성 천식, 직업성 천식, 박테리아, 진균, 원충 또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감염성 천식, 비-알레르기성 천식, 초기 천식, 천명성 유아 증후군 및 세기관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인 천식,
    - 만성 또는 급성 기관지수축, 만성 기관지염, 소기도 폐쇄 및 폐기종,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폐쇄성 또는 염증성 기도 질환, 특히 만성 호산구성 폐렴,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COPD와 연관되거나 연관되지 않은 만성 기관지염, 폐 폐기종 또는 호흡곤란을 포함하는 COPD, 비가역적 진행성 기도 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COPD,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 (ARDS), 다른 약물 요법에 따른 기도 과민반응의 악화, 및 폐 고혈압과 연관된 기도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인 폐쇄성 또는 염증성 기도 질환,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기관지염, 특히 급성 기관지염, 급성 후두 기관지염, 아라키드성 기관지염, 카타르성 기관지염, 크루프성 기관지염, 건성 기관지염, 감염성 천식성 기관지염, 증식성 기관지염, 스타필로코쿠스성 또는 스트렙토코쿠스성 기관지염 및 소수포성 기관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인 기관지염,
    - 급성 폐 손상,
    - 모든 유형, 병인 또는 발병기전의 기관지확장증, 특히 원통형 기관지확장증, 피포성 기관지확장증, 방추형 기관지확장증, 모세관성 기관지확장증, 낭성 기관지확장증, 건성 기관지확장증 및 여포상 기관지확장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인 기관지확장증,
    - 계절성 알레르기성 비염, 통년성 알레르기성 비염, 혈관운동성 비염, 약물성 비염 및 고초열을 비롯한 모든 유형의 알레르기성 비염,
    - 침해성 또는 신경병증성 통증을 비롯한 통증,
    - 신경퇴행성 질환, 및
    - 심혈관 병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발명.
  14. (i)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적합한 용매 중에서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과 접촉시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얻거나; 또는
    (i)의 별법으로, (ii)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과 접촉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얻고;
    (iii) 임의로,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적합한 용매 중에서 산화제와 접촉시켜 상응하는 하기 화학식 18의 술폭시드를 얻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pct00223

    <화학식 2>
    Figure pct00224

    <화학식 3>
    Figure pct00225

    <화학식 4>
    Figure pct00226

    <화학식 5>
    Figure pct00227

    <화학식 18>
    Figure pct00228

    상기 식에서, X, Y, L 및 R1 내지 R12는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Z1은 이탈기 또는 커플링 파트너이고, Z2는 수소 또는 보호기이다.
KR1020107011376A 2007-11-26 2008-11-20 5-lo 억제제로서의 피라졸 유도체 KR201000720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3607P 2007-11-26 2007-11-26
US426107P 2007-11-26 2007-11-26
US61/004,261 2007-11-26
US61/004,236 2007-11-26
US5549708P 2008-05-23 2008-05-23
US61/055,497 2008-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090A true KR20100072090A (ko) 2010-06-29

Family

ID=4056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376A KR20100072090A (ko) 2007-11-26 2008-11-20 5-lo 억제제로서의 피라졸 유도체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8097733B2 (ko)
EP (1) EP2225229A1 (ko)
JP (1) JP4718650B2 (ko)
KR (1) KR20100072090A (ko)
CN (1) CN101918392A (ko)
AP (1) AP2010005269A0 (ko)
AR (1) AR069743A1 (ko)
AU (1) AU2008331199A1 (ko)
BR (1) BRPI0819661A2 (ko)
CA (1) CA2705729C (ko)
CL (1) CL2008003495A1 (ko)
CO (1) CO6280402A2 (ko)
CR (1) CR11392A (ko)
DO (1) DOP2010000155A (ko)
EA (1) EA201000703A1 (ko)
EC (1) ECSP10010200A (ko)
IL (1) IL205602A0 (ko)
MA (1) MA31863B1 (ko)
MX (1) MX2010004604A (ko)
NI (1) NI201000089A (ko)
PA (1) PA8805301A1 (ko)
PE (1) PE20091069A1 (ko)
SV (1) SV2010003579A (ko)
TN (1) TN2010000231A1 (ko)
TW (1) TW200927098A (ko)
UY (1) UY31487A1 (ko)
WO (1) WO2009069044A1 (ko)
ZA (1) ZA2010027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2995B1 (en) 2008-05-23 2015-08-26 Novartis AG Derivatives of quinolines and quinoxalines as protein tyrosine kinase inhibitors
EP2563359A1 (en) * 2010-04-30 2013-03-06 Allergan, Inc. Novel treatment for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ocular ischemic disease associated with complement activation by targeting 5-lipoxygenase
WO2011161615A1 (en) 2010-06-24 2011-12-29 Ranbaxy Laboratories Limited 5-lipoxygenase inhibitors
SG11201600726QA (en) * 2013-07-29 2016-03-30 Merck Patent Gmbh 1,3-disubstituted cyclopentane derivatives
GB201403605D0 (en) * 2014-02-28 2014-04-16 Mologic Ltd Monitoring inflammation status
EP3702355B1 (en) 2015-05-18 2022-01-12 Shenyang Sinochem Agrochemicals R&D Co., Ltd. Substituted pyrazole compounds containing pyrimidine,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CN111825678A (zh) * 2020-06-05 2020-10-27 连庆泉 一种卡马替尼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4581A (en) * 1990-06-21 1993-10-19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yran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inhibitors of 5-lipoxygenase
US5272173A (en) * 1990-11-28 1993-12-21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5-lipoxygenase inhibitors
IE913866A1 (en) * 1990-11-28 1992-06-03 Ici Plc Aryl derivatives
GB9300894D0 (en) * 1992-02-07 1993-03-10 Zeneca Ltd Oxime derivatives
SK281577B6 (sk) * 1994-10-18 2001-05-10 Pfizer Inc. Heterocyklické zlúčeniny a farmaceutický prostriedok na ich báze
JP3400392B2 (ja) * 1994-10-18 2003-04-28 ファイザー製薬株式会社 5−リポキシゲナーゼ阻害剤及び新規医薬組成物
US5883106A (en) * 1994-10-18 1999-03-16 Pfizer Inc. 5-lipoxygenase inhibitors
US6063928A (en) * 1994-10-18 2000-05-16 Pfizer Inc 5-lipoxygenase inhibitors
US6239285B1 (en) * 1998-02-06 2001-05-29 Pfizer Inc Process for making 5-lipoxygenase inhibitors having varied heterocyclic ring systems
CA2636043A1 (en) * 2006-01-23 2007-08-02 Amira Pharmaceuticals, Inc. Tricyclic inhibitors of 5-lipoxygenase
US7674811B2 (en) * 2006-03-14 2010-03-09 Ranbaxy Laboratories Limited 5-lipoxygenase inhibitors
WO2008065493A1 (en) * 2006-11-27 2008-06-05 Pfizer Products Inc. Pyrazole analo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04514A (ja) 2011-02-10
EA201000703A1 (ru) 2010-12-30
AU2008331199A1 (en) 2009-06-04
EP2225229A1 (en) 2010-09-08
JP4718650B2 (ja) 2011-07-06
US20090227634A1 (en) 2009-09-10
UY31487A1 (es) 2009-07-17
DOP2010000155A (es) 2010-07-15
CA2705729A1 (en) 2009-06-04
TW200927098A (en) 2009-07-01
CL2008003495A1 (es) 2010-03-12
MX2010004604A (es) 2010-08-04
SV2010003579A (es) 2011-03-23
IL205602A0 (en) 2010-11-30
ECSP10010200A (es) 2010-06-29
CA2705729C (en) 2012-09-18
TN2010000231A1 (fr) 2011-11-11
PA8805301A1 (es) 2009-06-23
WO2009069044A1 (en) 2009-06-04
MA31863B1 (fr) 2010-11-01
NI201000089A (es) 2010-10-05
CN101918392A (zh) 2010-12-15
CO6280402A2 (es) 2011-05-20
PE20091069A1 (es) 2009-07-19
CR11392A (es) 2010-05-28
US8097733B2 (en) 2012-01-17
ZA201002758B (en) 2011-06-29
AR069743A1 (es) 2010-02-17
AP2010005269A0 (en) 2010-06-30
BRPI0819661A2 (pt)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4760B1 (en) Sulfamoylheteroaryl pyrazole compounds as anti-inflammatory/analgesic agents
CA2705729C (en) Pyrazole derivatives as 5-lo inhibitors
DE60006057T2 (de) Heteroarylphenylpyrazolverbindungen zur Verwendung als analgetisches/entzündungshemmendes Mittel
JP3256526B2 (ja) 抗炎症および鎮痛剤としての置換インドール化合物
WO2005037797A1 (en) Substituted pyrazole urea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WO2005105777A1 (en) Substituted thiophene amid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JP3962425B2 (ja) 炎症治療用置換ピラジノン化合物
JP4469924B2 (ja) ピラゾール類似体
WO2005040133A1 (en) Pyrimidin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JP2006519839A (ja) S−[2−[(1−イミノエチル)アミノ]エチル]−2−メチル−l−システインマレエートii型結晶塩
TW200426135A (en) S-[2-(1-iminoethyl)amino]ethyl]-2-methyl-l-cysteine maleate crystalline sa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