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517A - 켄칭 용기 - Google Patents

켄칭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517A
KR20100061517A KR1020107007231A KR20107007231A KR20100061517A KR 20100061517 A KR20100061517 A KR 20100061517A KR 1020107007231 A KR1020107007231 A KR 1020107007231A KR 20107007231 A KR20107007231 A KR 20107007231A KR 20100061517 A KR20100061517 A KR 20100061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vessel
wall
quench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865B1 (ko
Inventor
덴 베르그 로베르트 반
바우테르 쿤 하르테벨트
한스 요아힘 하이넨
코사크-글로브크체브스키 토마스 파울 폰
Original Assignee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filed Critical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0006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3/00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 F28C3/06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the heat-exchange media being a liquid and a gas or vapour
    • F28C3/08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the heat-exchange media being a liquid and a gas or vapour with change of state, e.g. absorption, evaporation, 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52Ash-removing devices
    • C10J3/526Ash-removing devices for entrained flow gasif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82Gas withdrawal means
    • C10J3/84Gas withdrawal mean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or tar from the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82Gas withdrawal means
    • C10J3/84Gas withdrawal mean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or tar from the gas
    • C10J3/845Quench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4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cooling to condense non-gaseous materials
    • C10K1/06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cooling to condense non-gaseous materials combined with spraying with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8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 C10K1/1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aqueous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8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 C10K1/1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aqueous liquids
    • C10K1/101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aqueous liquids with water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8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 C10K1/16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by washing with liquids; Reviving the used wash liquors with non-aqueous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200/00Details of gasification apparatus
    • C10J2200/15Details of feeding means
    • C10J2200/152Nozzles or lances for introducing gas, liquids or susp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86With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631Coating or impregnation provides heat or fire protection
    • Y10T442/2672Phosphorus conta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strial Gases (AREA)
  • Nozzl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켄칭 용기는, 사용시에, 수직으로 신장하고, 그 상단부에는 가스를 위한 입구, 그 하단부에는 냉각 가스를 위한 출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하방을 향하는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를 규정하고,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는 제 1 내부 관형 벽부가 제공되고, 이 제 1 내부 관형 벽부는 가스를 위한 입구와 유체 연통된 개구를 갖고, 상기 관형 벽부의 하단부에는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의 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진 벽을 갖는 분기 원뿔부가 제공되며, 상기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 안으로 액체 켄칭 매체를 하방으로 분무 및 분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로 된 장치가 상기 분기 원뿔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존재한다.

Description

켄칭 용기{QUENCHING VESSEL}
본 발명은 수직으로 신장되고 그 상단부에는 고온 가스를 위한 입구가 제공되고 그 하단부에는 냉각 가스를 위한 출구가 제공되는 켄칭 용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하방을 향하는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가 존재하게 된다. 용기에는 또한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 안으로 켄칭 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용기가 US-A-2006/0260191 에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의 도 4 에는, 1200 ~ 1800 ℃ 의 온도를 갖는 합성 가스 혼합물을 얻기 위해 고체 탄소질 공급원료의 가스화를 위한 가스화 반응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반응기는 그 상단부에서는 고온 합성 가스를 위한 출구 및 그 하단부에서는 슬래그를 위한 출구를 갖는다. 반응기 자체에는 제 1 단계에서의 온도를 합성 가스에 존재하는 비가스 성분의 응고점 미만의 온도로 낮추기 위한 켄칭 수단이 제공된다. 합성 가스의 온도는, 덕트에 의해 가스화 반응기에 연결된 별도의 켄칭 용기에서 합성 가스의 유동 안으로 물 분무를 주입함으로써 더 낮아진다. 켄칭 용기의 이점은, 이러한 용기의 설계가 다중 열 교환 뱅크를 갖는 폐열 보일러보다 훨씬 간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이점은, 포화 함량보다 낮은 함량으로 물을 포함하는 합성 가스가 얻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실질적으로 냉각된 합성 가스를 얻을 수 있게 해주고, 이 가스로부터의 재는 예를 들어 EP-B-1178858 에 기재된 필터를 이용하거나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분리될 수 있다.
JP-A-53110967 에는 켄칭 매체가 각도를 이루면서 하방으로 유동하는 가스 안으로 주입되는 켄칭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출원인은 US-A-2006/0260191 의 도 4 에 도시된 용기의 설계 또는 JP-A-53110967 의 설계가 소정의 단점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 설계에 대한 주요 관심사는, 합성 가스에 존재하는 비가스 성분의 하나로서의 재가, 물이 주입되는 위치에 비해 하류 지점에 있는 용기 벽에 퇴적물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튼튼하고 재 등의 비가스 성분의 함량을 갖는 합성 가스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켄칭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재된 켄칭 용기는 종래의 켄칭 용기의 단점을 극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시에, 수직으로 신장하고, 그 상단부에는 가스를 위한 입구, 그 하단부에는 냉각 가스를 위한 출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하방을 향하는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를 규정하는 켄칭 용기에 관한 것이고,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는 제 1 내부 관형 벽부가 제공되고, 이 제 1 내부 관형 벽부는 가스를 위한 입구와 유체 연통된 개구를 갖고, 상기 관형 벽부의 하단부에는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의 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진 벽을 갖는 분기 원뿔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 안으로 액체 켄칭 매체를 하방으로 분무 및 분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로 된 장치가 상기 분기 원뿔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존재한다.
출원인은 분기 원뿔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존재하는 하방을 향하는 주입 수단을 갖춤으로써, 재와 물의 혼합물의 퇴적물이 덜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연장되는 기간 동안 연속적인 작업을 달성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출원인은 하방을 향하는 주입 수단 및 원뿔부로 인해서, 액체 켄칭 매체가 켄칭 용기 자체의 내벽에 접촉하기 전에 완전하게 증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이점이 되는데, 왜냐하면 재 및 액체 켄칭 매체, 특히 액체 물의 조합이 켄칭 용기의 내부 표면과 접촉한다면 심각한 오염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출원인이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알기 때문이다.
도 1 은 켄칭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b 는 켄칭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또는 도 1b 의 켄칭 용기의 AA'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켄칭 용기의 일부로서 켄칭 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4 는 도 3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노즐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켄칭 용기는 상부, 하부, 하방 및 수직이라는 용어를 이용하여 정의된다. 이들 용어는 사용시의 켄칭 용기의 배향에 관한 것이다. 이들 용어가 본 발명의 범위를 수직 배향 용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켄칭 용기에는 그 상단부에 가스를 위한 입구가 제공된다. 이 입구는, US-A-2006/0260191 의 도 4 에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화 반응기와 상기 켄칭 용기 사이에서 연통 덕트와 연통하도록 용기의 최상단부에 또는 대안적으로 용기의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켄칭 용기에는 그 상단부에 제 1 관형 내벽부가 더 제공된다. 이 부분은 가스를 위한 입구와 유체 연통되는 개구를 갖는다. 관형 벽부는, 그 하단부가 가스를 위한 통로의 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진 벽을 갖는 분기 원뿔부와 연통된다. 제 1 내벽부 및/또는 분기 원뿔부의 벽은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 벽 설계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두 벽부 모두는 수냉식 멤브레인 벽 설계를 갖는다. 멤브레인 벽 설계라는 용어는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고 냉각 벽 장치에 관련이 있다. 이러한 벽은 기밀하고 또한 서로 연결된 도관의 장치를 포함한다. 냉각수의 증발에 의해 통상적으로 냉각이 달성된다. 이들 도관은 공통의 분배기를 통해 냉각 매체를 위한 공급부에 유체 연통되고, 그 다른 단부에서 사용된 냉각 매체를 배출하기 위해서 공통의 헤더에 유체 연통된다.
분기 원뿔부는 가스를 위한 통로의 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진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 벽의 표면과 켄칭 용기의 수직 축선 사이의 각도 (도 1 에서 α) 는 3 °~ 3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 °이다.
분기 원뿔부 다음에는 그 하단부에 적절하게는 제 2 관형 내벽이 있다. 이 제 2 관형 벽은 냉각 가스를 위한 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하부 개방 단부를 갖는다. 여기에서는 상기 두 부분은 선택적으로 서로 고정되어서 기밀한 연결을 형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관형 벽은 선택적으로 멤브레인 벽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켄칭 용기의 이 부분에서의 온도 조건은 온화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적절하게는 고합금 강판으로 만들어진 더 간단한 설계가 바람직하다. 상부 원통형부, 원뿔부 및 제 2 관형 내벽에는 하나 이상의 세척 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이 장치는 기계적 래퍼 (rapper), 공기압 블라스터 장치 또는 음향 세척 장치일 수 있다. 제 2 관형 내벽은 그 하단부가 개방된 채 끝난다. 이 개방 단부는 적절하게는 용기의 하단부에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의 테이퍼진 단부 바로 위에 존재할 것이다. 이 바람직한 테이퍼진 단부는 냉각 가스를 위한 출구인 중앙 개구로 끝난다.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를 규정하는 내부 용기 치수는 주어진 설계 처리량을 위해 합성 가스의 소정의 최소 하방 가스 속도를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스 속도는, 가스가 제 1 내부 관형 벽부를 통과할 때 적어도 1 m/s 이다.
가스를 위한 유동 경로의 방향으로 제 2 관형 내벽의 길이는, 켄칭 매체가 상류부에서 첨가된 후에 원하는 냉각을 달성하기에 충분히 길어야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관형 내벽의 내경과 그 길이의 비는 1:1 ~ 1:6 이다.
켄칭 용기에는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 안으로 켄칭 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들 주입 수단은 분기 원뿔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존재한다. 꼭 이하의 이론을 따르지 않더라도, 이 위치에서 이들 주입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재가 벽에 퇴적되는 위험이 상당히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켄칭 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은 하방으로 액체를 분무 및 분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로 된 장치를 포함한다. 하방이란 특히,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의 방향이 수직 하방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당연히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켄칭 매체의 유동이 원뿔 형상을 가질 것이고, 이 원뿔의 평균 방향은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액체의 방향이 될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노즐은 유압식 노즐일 수 있다. 유압식 노즐은 통상적으로 합성 가스의 압력을 적어도 40 bar 초과하는 높은 주입 압력을 요구한다. 이것은, 주입 압력과 원료 합성 가스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가 더 낮을 때, 주입된 분무의 액적이 너무 커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액적은, 예컨대 N2, CO2, 스팀 또는 합성 가스일 수도 있는 분무 가스가 미세한 액적 안으로 유체를 분무하는 소위 쌍유체 노즐 (twin fluid nozzle) 을 이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프셋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분무 가스는 다운스트림 공정 단계로부터 재활용된 합성 가스이다. 분무 가스를 사용하는 것은, 주입 압력과 원료 합성 가스의 압력과의 차가 감소되는 한편, 동일한 액적 크기 및 속도를 달성할 수도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쌍유체 노즐은 잘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Spraying Systems Co. 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적절한 노즐의 예가 US-A-5732885 및 US-A-2004/0222317 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켄칭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노즐은 켄칭 매체를 위해 그 하단부에서 외측 반경 방향 배출 개구를 갖는 통로 본체에 존재하는, 액체 켄칭 매체를 위한 수직 중앙 공급 통로를 포함하는 노즐이고, 상기 반경 방향 배출 개구는 하방으로 유동하는 분무 가스를 위한 환형 통로와 유체 연통되고, 상기 환형 통로는 통로 본체 및 외부 노즐 본체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환형 통로는 상기 중앙 통로의 하단부에서 단일 출구 통로에 유체 연통되고, 상기 출구 통로는 노즐 본체의 내벽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출구 통로의 하단부는 켄칭 매체와 분무 가스의 혼합물을 위한 출구 개구로 끝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의 출구 통로의 하단부는, 하방으로, 사용시에 액체 켄칭 매체와 분무 가스의 원뿔 형상의 분사물이 가스의 유동 경로에서 배출되도록 분기 내벽을 갖는다. 원뿔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0 ~ 7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25 ° 이다 (도 4 의 각도 β). 이러한 노즐의 예가 여기에서 참조로서 통합되는 US-A-2004/0222317 의 도 2 에 도시된다.
하방으로 액체를 분무 및 분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로 된 장치는 합성 가스 유동과 액체 매체의 접촉을 가능하게 해주는 임의의 설계를 가질 수도 있다. 출원인은, 장치가 켄칭 용기의 벽으로부터 분기 원뿔부의 벽에 있는 개구를 통과해 중앙 위치까지 연장하는 다수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아암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설계를 발견하였다. 아암에는 하나 이상의 하방을 향하는 노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의 출구 개구의 중앙과 분기 원뿔부의 벽과의 최소 수평 거리 (도 3 에서 거리 d) 는 0.2 ~ 1 m이다.
바람직하게는 4 ~ 15 개의 아암이 존재한다. 각각의 아암은 적절하게는 3 개 ~ 10 개 이하의 노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위치에 가장 가까운 노즐은 하방과 중앙 위치 사이에서 약간 경사진 주 유출 방향을 갖는다.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수평면에 존재한다. 대안적으로 아암은 상이한 평면, 예컨대 스태거 구조 (staggered configuration) 로 존재할 수도 있다.
합성 가스가 실질적인 양의 비가스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들 조건 하에서 노즐 주위에 쉴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동일한 이유로, 아암에는 아암의 최상부에 퇴적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수단은 바로 아암 자체에 있는 기계적 래퍼 수단이거나, 상기 아암 위에 위치된 금속 쉴드일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또한 음향 세척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또한 임의의 고체 퇴적물을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블라스팅하거나 임의의 고체 퇴적물을 제거할 수 있는 블라스팅 수단일 수 있다. 쉴딩 및/또는 블라스팅 가스는 예를 들어 N2, CO2, 스팀 또는 합성 가스일 수도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무 가스와 동일한 원료이다.
켄칭 용기는, 주입 수단을 통해 분무로서 적절한 켄칭 매체를 가스의 유동으로 주입함으로써 적절하게는 재 등의 비가스 성분을 갖는 가스를 상승된 온도에서 더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스는 탄소질 공급원료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재를 가스화할 때 얻어지는, 예를 들어 주로 수소 및 일산화 탄소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합성 가스이다. 이러한 공급원료의 예로는 석탄, 석탄으로부터의 코크스, 석탄 액화 잔여물, 석유 코크스, 그을음, 바이오매스, 및 혈암유 (oil shale), 사암 및 피치 (pitch) 로부터 생긴 미립자 고체가 있다. 석탄은 갈탄, 아역 청탄 (sub-bituminous), 역청 및 무연탄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켄칭 용기를 위한 공급원료를 얻기 위한 이러한 공급원료의 가스화는 중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슬래그로부터 고온 합성 가스가 각각 배출되고 냉각되는 가스화 반응 구성이 이용된다. 따라서 고온 가스가 통과되고 동시에 슬래그 및 합성 가스의 온도가 감소되는, 하단부에서 욕조를 갖는 가스화 반응기는 제외된다.
켄칭 용기로 들어가는 합성 가스는 500 ~ 900 ℃, 보다 적절하게는 600 ~ 900 ℃ 의 온도를 가질 수도 있다. 압력은 적절하게는 1 ~ 10 MPa 이다. 켄칭 단계 이후의 가스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 6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500 ℃ 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50 ~ 450 ℃ 이다.
켄칭 매체는 원자화되기 위해서 적절한 점도를 갖는 임의의 액체일 수도 있다. 주입될 액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탄화수소 액체, 공급원료로서 합성 가스를 이용하는 다운스트림 공정에서 얻어지는 폐수 스트림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체는 적어도 50 wt% 의 물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액체는 실질적으로 물로 구성된다 (즉 95 vol% 초과).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가능한 다운스트림 합성 가스에서 얻어진 블랙 워터로도 불리는 폐수가 액체로서 사용된다. 켄칭 매체가 물을 포함하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입되는 물의 양은 켄칭 구역을 떠나는 원료 합성 가스가 적어도 40 vol.% 의 H2O, 바람직하게는 40 ~ 60 vol.% 의 H2O,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55 vol.% 의 H2O 를 포함하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주입되는 켄칭 매체는 주입 순간에 우세 압력 조건에서의 버블 포인트보다 최대 50 ℃ 아래, 특히 버블 포인트보다 최대 15 ℃ 아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 아래의 온도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주입되는 켄칭 매체가 물이라면, 일반적으로 90 ℃ 초과, 바람직하게는 150 ℃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 270 ℃, 예컨대 230 ℃ 의 온도를 갖는다. 온도는 명백히 가스화 반응기의 작업 압력, 즉 이하에 더 설명될 원료 합성 가스의 압력에 좌우될 것이다. 이에 의해, 주입되는 켄칭 매체는 냉점 (cold spot) 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빠르게 증발된다.
또한 켄칭 매체가 미세한 액적의 안개의 형태로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안개는 50 ~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50 ㎛ 의 직경을 갖는 액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주입된 액체의 적어도 60 vol.% 가 표시된 크기를 갖는 액적의 형태이다.
원료 합성 가스의 켄칭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켄칭 매체는 바람직하게는 10 ~ 60 m/s,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50 m/s 의 평균 속도로 주입된다.
노즐이 쌍유체 노즐일 때는, 켄칭 매체가 원료 합성 가스의 압력을 적어도 5 bar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원료 합성 가스의 압력을 적어도 10 bar 초과하고, 원료 합성 가스의 압력을 최대 20 bar 까지 초과하는 주입 압력으로 주입된다.
켄칭 용기에서 얻어진 수소와 일산화탄소의 혼합물에 존재하는 고체의 상당부는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론에 의해 분리된다. 잔존 고체는 다음의 스크러빙 단계에서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러빙 단계는 벤츄리 스크러버 다음에 있는 층진층 세척 컬럼을 포함한다. 그 결과로 생긴 가스는, 이 가스를 다운스트림 시프트 반응을 수행하기에 적절하게 만들어주는 50 ~ 60 vol% 의 높은 물 함량을 가질 것이다. 이 촉매 시프트 반응에서, 일산화탄소가 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수소가 생성된다. 시프트로 향하는 공급물에 물이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시프트 구역에 추가의 물이 거의 첨가되지 않거나 아예 첨가되지 않아도 된다. 시프트 반응은 순수 수소 또는 일산화탄소 비율에 대해 높은 수소가 요구될 때 유리하다. 이러한 경우의 예로는 이산화탄소 포획을 갖는 소위 IGCC 공정, 수소 제조, 및 Fischer-Tropsch 합성, 아세트산 합성, 메탄올 합성 및 디메틸 에테르 합성에 대한 공급물로서 또는 직접적인 철광석 환원 공정 등에서의 환원 가스로서 혼합물이 사용되는 공정이 있다.
스크러빙 단계에서 얻어진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CO2, H2S, COS 및/또는 HCN 및 다른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서 더 정화된다. 이러한 정화에 적합한 공정의 예로는 상업적인 가스 처리 공정 Sulfinol-D, Sulfinol-M, DIPA-X, Genosorb, Selexol 및 Rectisol 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공정에 관한 것이다. 합성 가스가 용기를 하방으로 통과하고, 용기가 가스의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경사진 벽을 갖는 분기 원뿔부를 갖고, 분기 원뿔부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가스에는 액체 수적의 안개가 하방으로 주입되는 용기에서, 500 ~ 900 ℃ 의 온도 및 1 ~ 10 MPa 의 압력을 갖는 상기 합성 가스를 200 ~ 600 ℃ 의 온도로 켄칭하기 위한 공정이고, 주입되는 물의 양은 용기를 떠나는 합성 가스가 40 ~ 60 vol.% 의 물을 포함하도록 선택된다. 출원인은, 분기 원뿔부에서 물의 분무를 합성 가스와 동일한 방향으로 주입함으로써, 액체 물의 액적이 용기의 내벽과 접촉하게 되는 기회가 최소화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출원인이 합성 가스에 존재하는 액체 물 및 재가 공정 장비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게 되면 심각한 오염을 야기할 것을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알기 때문에 이것은 이점이 된다.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이상에서 설명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이 공정은 본 발명에 따른 켄칭 용기에서 실행된다.
도 1 은 수직으로 위치된 켄칭 용기 (1) 를 도시한다. 용기 (1) 는 그 상단부에는 고온 가스를 위한 입구 (2) 를, 그 하단부에는 냉각 가스를 위한 출구 (3) 를 갖고, 하방을 향하는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 (4) 를 규정한다. 용기 (1) 에는 또한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 (4) 에 켄칭 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 (9) 이 제공된다. 도 1 은 제 1 내부 관형 벽부 (5) 를 도시하고, 제 1 내부 관형 벽부 (5) 는 가스를 위한 입구 (2) 에 유체 연통되어 있는 개구 (6) 를 갖는다. 관형 벽부 (5) 는 그 하단부가 가스를 위한 통로 (4) 의 방향에서 외측으로 경사진 벽 (8) 을 갖는 분기 원뿔부 (7) 와 연통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 (4) 안으로 켄칭 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 (9) 은 분기 원뿔부 (7) 로 둘러싸여져 있는 공간 (10) 에 존재한다.
분기 원뿔부 (7) 다음에는 그 하단부 (11) 에 제 2 관형 내벽 (12) 이 있다. 제 2 관형 내벽 (12) 의 하부 개방 단부 (13) 는 냉각 가스를 위한 출구 (3) 와 유체 연통되어 있다.
도 1 은 또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약 7.5 °인 각도 (α) 를 도시한다. 제 2 관형 내벽 (12) 에는 하나 이상의 래퍼 (rappers; 15) 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제 1 관형 내벽 (5) 및 분기 원뿔부 (7) 에는 하나 이상의 래퍼가 제공될 수 있다. 용기 (1) 의 하단부는 적절하게는 냉각 가스를 위한 출구 (3) 로서 중앙 개구 (27) 로 끝나는 테이퍼진 단부 (1a) 를 갖는다.
도 1b 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수직으로 위치된 켄칭 용기 (1b) 를 도시한다. 용기 (1b) 는, 가스를 위한 입구 (2b) 가 용기 (1b) 의 상단부의 측벽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용기 (1) 와 다르다. 이러한 구조는 US-A-2006/0260191 의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덕트 (5b) 가 사용될 때 바람직하다. 용기 (1b) 의 상단부는 가스 반전실로 불린다.
도 2 는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는 노즐이 제공된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아암 (25) 을 도시한다. 아암은 용기 (1) 의 벽에 고정되고, 분기 원뿔부 (7) 의 벽 (8) 과 교차하여 중앙 위치로 연장한다. 아암 (25) 은 플랜지 (25a) 를 통해 용기에 연결되어서 유지 보수를 위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도 3 은 이러한 아암 (25) 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하나의 아암 (25) 에는 분무 가스를 위한 공급 채널 (26) 및 켄칭 매체를 위한 공급 채널 (27) 이 제공된다. 도시된 아암 (25) 에는 하방을 향하는 4 개의 노즐 (16) 이 제공되고 약간 경사진 하나의 노즐 (28) 이 제공된다. 하방을 향하는 노즐 (16) 의 축선은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 (16) 로부터 배출된 결과로서 생긴 액체의 분사 방향은 수직 하방이다. 아암은 용기 (1) 의 벽에 있는 개구에 고정된다. 용기 (1) 의 벽은 내화물 (36) 및 분기 원뿔부 (7) 의 멤브레인 벽 (8) 에 의해 고온에 대해 보호되는데, 내화물은 상기 벽의 내측에 접한 층으로서 존재한다. 또한 제 2 내벽 (12) 의 상단부와 관형 벽부 (5) 의 하단부가 도시된다. 공급 채널 (26) 은 분무 가스를 위한 입구 (26a) 와 연통되어 있다. 공급 채널 (27) 은 액체를 위한 입구 (27a) 와 연통되어 있다.
도 3 은 또한 아암 (25) 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블라스팅 수단 (38) 을 도시한다. 블라스팅 수단 (38) 은 아암 (25) 의 상부측에 형성될 수도 있는 임의의 퇴적물을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블라스팅하기 위해서 존재한다. 블라스팅 수단의 방향은 아암 (25) 의 수평 방향과 일직선을 이룬다. 블라스팅 수단 (38) 에는 블라스팅 가스를 위한 공급 도관 (39) 이 제공된다.
도 4 는 아암 (25) 및 하나의 노즐 (16) 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노즐 (16) 은, 공급 채널 (27) 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 켄칭 매체를 위해 공급 통로 본체 (17) 에 존재하는 수직의 중앙 공급 통로를 갖는다. 통로 본체 (17) 는 혼합실 (37) 에 존재하는 켄칭 매체를 위해 그 하단부에서 외부 반경 방향 배출 개구 (19) 를 갖는다. 반경 방향 개구 (19) 는 하방으로 유동하는 분무 가스를 위한 환형 통로 (20) 와 유체 연통한다. 환형 통로 (20) 는 기본체 (31) 에 있는 통로 (30) 를 통과하는 분무 가스 공급 채널 (26) 과 유체 연통한다. 환형 통로 (20) 는 공틉 통로 본체 (17) 및 외부 노즐 본체 (21) 및 인서트 (29) 에 의해 규정된다. 환형 통로 (20) 는 노즐 (16) 의 하단부 (23) 에서 단일 출구 통로 (22) 에 유체 연통된다. 출구 통로 (22) 는 노즐 본체 (21) 의 내벽에 의해 규정된다. 출구 통로 (22) 의 하단부는 켄칭 매체와 분무 가스의 혼합물을 위한 분기 출구 개구 (24) 로 끝난다.
도 4 는 또한 그 상단부가 아암 (25) 에 고정되고 그 하단부가 개방된 바람직한 쉴드 (32) 를 도시한다. 쉴드 (32) 는 예컨대 직사각형의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적절하게는 쉴드 (32) 의 형태는 관형이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쉴드는 하나 이상의 노즐을 둘러쌀 수 있다. 노즐 (16) 에는 분무 가스를 위한 공급 채널 (26) 과 유체 연통하는 분무 가스 출구 개구 (33) 가 제공된다. 이들 개구 (33) 를 통해, 분무 가스의 일부가 노즐 (16) 과 그를 둘러싸는 쉴드 (32) 사이의 공간으로 나간다. 이 방식으로, 재가 상기 공간 (34) 에 축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아암 (25) 의 상단부에는 개구 (35) 가 도시된다. 아암 (25) 의 최상부에 재가 퇴적되는 것을 제거하거나 방지하기 위해서, 이들 개구 (35) 를 통해 분무 가스의 다른 일부가 배출될 수 있다.

Claims (12)

  1. 사용시에, 수직으로 신장하고, 그 상단부에는 가스를 위한 입구, 그 하단부에는 냉각 가스를 위한 출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하방을 향하는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를 규정하는 켄칭 용기로서,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는 제 1 내부 관형 벽부가 제공되고, 이 제 1 내부 관형 벽부는 가스를 위한 입구와 유체 연통된 개구를 갖고, 상기 관형 벽부의 하단부에는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의 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진 벽을 갖는 분기 원뿔부가 제공되며,
    상기 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 안으로 액체 켄칭 매체를 하방으로 분무 및 분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로 된 장치가 상기 분기 원뿔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존재하는 켄칭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내벽부 및/또는 분기 원뿔부의 벽은 수냉식 멤브레인 벽으로 설계된 켄칭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원뿔부의 벽의 표면과 수직 축선 사이의 각도는 3 °~ 30 °인 켄칭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원뿔부의 하단부에는 하부 개방 단부를 갖는 제 2 관형 내벽이 이어지고, 상기 하부 개방 단부는 냉각 가스를 위한 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켄칭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형 내벽에는 하나 이상의 세척 장치가 제공되는 켄칭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의 출구 개구의 중앙과 분기 원뿔부의 벽 사이의 최소 수평 거리는 0.2 ~ 1 m 인 켄칭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통로 본체에 존재하는 액체 켄칭 매체를 위한 수직의 중앙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 본체는 그 하단부에서 외측 반경 방향 배출 개구를 가지고, 상기 반경 방향 배출 개구는 분무 가스를 위한 환형 통로와 유체 연통되고, 상기 환형 통로는 상기 중앙 통로 본체의 하단부에서 단일 출구 통로와 유체 연통되고, 상기 출구 통로는 노즐 본체의 내벽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출구 통로의 하단부는 켄칭 매체와 분무 가스의 혼합물을 위한 분기 출구 개구로 끝나는 켄칭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통로의 하단부는, 사용시에 액체 켄칭 매체 및 분무 가스의 원뿔 형상 분사물이 가스의 유동 경로에서 배출되도록 하방으로의 분기 내벽을 갖는 켄칭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켄칭 매체를 주입하기 위해 액체를 하방으로 분무 및 분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로 된 장치는 켄칭 용기의 벽으로부터 분기 원뿔부의 벽에 있는 개구를 통과하여 중앙 위치까지 연장하는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에는 하방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이 제공되는 켄칭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단부는 냉각 가스를 위한 출구로서 중앙 개구로 끝나는 테이퍼진 단부를 갖는 켄칭 용기.
  11. 합성 가스가 용기를 하방으로 통과하고, 용기가 가스의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경사진 벽을 갖는 분기 원뿔부를 갖고, 분기 원뿔부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가스에는 액체 수적의 안개가 하방으로 주입되는 용기에서, 500 ~ 900 ℃ 의 온도 및 1 ~ 10 MPa 의 압력을 갖는 상기 합성 가스를 200 ~ 600 ℃ 의 온도로 켄칭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주입되는 물의 양은 용기를 떠나는 합성 가스가 40 ~ 60 vol.% 의 물을 포함하도록 선택되는 공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0 항에 기재된 켄칭 용기에서 실행되는 공정.
KR1020107007231A 2007-09-04 2008-09-04 켄칭 용기 KR101547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15657.4 2007-09-04
EP07115657 2007-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517A true KR20100061517A (ko) 2010-06-07
KR101547865B1 KR101547865B1 (ko) 2015-08-27

Family

ID=3883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231A KR101547865B1 (ko) 2007-09-04 2008-09-04 켄칭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012436B2 (ko)
EP (1) EP2197988B1 (ko)
JP (1) JP5535912B2 (ko)
KR (1) KR101547865B1 (ko)
CN (1) CN101605877B (ko)
AU (1) AU2008294831B2 (ko)
WO (1) WO2009030674A2 (ko)
ZA (1) ZA2010015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4620A1 (en) * 2006-06-22 2008-02-21 Moshe Rock High pile fabrics
EP2061919B1 (en) * 2006-11-10 2013-04-24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Process and device for melt-spinning and cooling synthetic filaments
JP2012518772A (ja) * 2009-02-23 2012-08-16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ナル・リサーチ・マートスハツペイ・ベー・ヴエー 廃熱ボイラ
EP2336276B1 (de) 2009-12-12 2015-03-11 KOPF SynGas GmbH & Co. KG Gaskühler mit Klopfvorrichtung
WO2011089268A2 (en) * 2010-01-25 2011-07-28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Gasification reactor and process
EP2388520B1 (en) * 2010-05-20 2016-10-26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Lance of a gas turbine burner
DK2582756T3 (en) * 2010-06-17 2018-06-18 Du Pont FLAMMABLE POLY (TRIMETHYLEN) TEREPHTHALAT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OF
CN101906326B (zh) * 2010-07-20 2013-03-13 武汉凯迪控股投资有限公司 生物质双炉连体裂解气化工艺及其设备
CN101906325B (zh) * 2010-07-20 2013-09-04 阳光凯迪新能源集团有限公司 生物质低温裂解高温气化工艺及其设备
US9267744B2 (en) * 2010-08-30 2016-02-23 Shell Oil Company Gasification reactor with a heat exchange unit provided with one or more fouling protection devices
EP2619290A2 (en) * 2010-09-23 2013-07-31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Gasification reactor and process
KR101357753B1 (ko) 2013-06-26 2014-02-04 국방과학연구소 삽입형 인젝터가 구비된 기체혼합기
CN110898607B (zh) * 2018-09-18 2021-07-23 中国石化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活性焦吸附塔及活性焦吸附净化烟气的方法
CN112011370A (zh) * 2019-05-31 2020-12-01 航天长征化学工程股份有限公司 高温气体急速降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0019A (en) 1947-05-03 1949-08-23 Gilbert & Barker Mfg Co Rotary air atomizing burner
US2797963A (en) 1954-09-28 1957-07-02 Wald Ind Inc Spraying apparatus
US2998464A (en) * 1957-08-05 1961-08-29 Monsanto Chemicals Quench system
US2970772A (en) 1960-04-14 1961-02-07 Thomas H Boosinger Fuel nozzle anti-coking cap
US3197436A (en) * 1962-03-16 1965-07-27 Pennsalt Chemicals Corp Coordination polymers
US3255125A (en) * 1963-02-19 1966-06-07 Pennsalt Chemicals Corp Double bridged bivalent tetrahedral metal polymers
US3541788A (en) 1968-05-03 1970-11-24 Bolkow Gmbh Nozzle construction and liquid fuel rocket fuel system
IT961166B (it) 1972-05-10 1973-12-10 Tecnochim Srl Processo ed apparecchiatura per la depurazione di gas
NL178134C (nl) * 1974-06-17 1986-02-03 Shell Int Research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ehandelen van een heet produktgas.
DE2511185A1 (de) * 1975-03-14 1976-09-23 Hoechst Ag Schwerentflammbare kunststoffe
DE2447726A1 (de) * 1974-10-07 1976-04-08 Hoechst Ag Schwerentflammbare kunststoffe
US4083932A (en) 1976-05-12 1978-04-11 Ppg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gases
JPS53110967A (en) * 1977-03-11 1978-09-28 Babcock Hitachi Kk Device of quencher
US4208322A (en) * 1978-04-13 1980-06-17 Pennwalt Corporation Polyester-polyamide resins flame retarded by poly(metal phosphinate)s
US4208321A (en) * 1978-04-13 1980-06-17 Pennwalt Corporation Polyamide resins flame retarded by poly(metal phosphinate)s
US4180495A (en) * 1978-04-13 1979-12-25 Pennwalt Corporation Polyester resins flame retarded by poly(metal phosphinate)s
GB2099567B (en) * 1981-06-02 1984-11-21 British Gas Corp Heat recovery process and apparatus
JPS60126521A (ja) * 1983-12-08 1985-07-06 Nissan Motor Co Ltd ガスタ−ビン用燃焼器の燃料噴射弁
JPS6183812A (ja) * 1984-09-28 1986-04-28 Babcock Hitachi Kk スラリ燃料用アトマイザ装置
JP2731384B2 (ja) * 1986-05-30 1998-03-25 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水噴射減温装置
DE3762288D1 (de) 1987-02-13 1990-05-17 Bbc Brown Boveri & Cie Zerstaeuberduese.
DE3711314A1 (de) * 1987-04-03 1988-10-13 Babcock Werke Ag Vorrichtung zum kuehlen eines synthesegases in einem quenchkuehler
DE3872357T2 (de) 1987-10-23 1993-01-21 Shell Int Research Wasserbadbenetzungsvorrichtung.
FR2624115B1 (fr) * 1987-12-03 1990-04-13 Gaz De France Procede et appareil pour la conversion des hydrocarbures
DE3809313A1 (de) 1988-03-19 1989-10-05 Krupp Kopper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uehlen von partialoxidationsgas
DE3816340A1 (de) 1988-05-13 1989-11-23 Krupp Kopper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uehlen eines heissen produktgases, das klebrige bzw. schmelzfluessige partikel enthaelt
US4859213A (en) * 1988-06-20 1989-08-22 Shell Oil Company Interchangeable quench gas injection ring
DE3901601A1 (de) 1989-01-20 1990-07-26 Krupp Kopper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uehlen von partialoxidationsgas
GB8912316D0 (en) 1989-05-30 1989-07-12 Shell Int Research Coal gasification reactor
US4897090A (en) * 1989-06-27 1990-01-30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inhibition of flyslag deposits
JPH04244590A (ja) * 1991-01-30 1992-09-01 Meidensha Corp 熱交換装置
US5329760A (en) 1991-10-07 1994-07-19 Fuel Systems Textron, Inc. Self-sustaining fuel purging fuel injection system
JP3032098B2 (ja) * 1993-02-09 2000-04-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ソフトフェライト原料粉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と装置
WO1994023826A1 (en) 1993-04-09 1994-10-27 Babcock-Hitachi Kabushiki Kaisha Wet type flue gas desulfurizer
US5433760A (en) * 1993-05-13 1995-07-18 Shell Oil Company Method of quenching synthesis gas
JP3167837B2 (ja) * 1993-07-26 2001-05-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冷却室及びガス冷却室を備えた廃棄物処理装置
JP2606318Y2 (ja) * 1993-12-27 2000-10-23 日鉄化工機株式会社 二流体噴霧ノズル
US6062547A (en) * 1994-06-22 2000-05-16 Kvaerner Pulping Ab Quench vessel for recovering chemicals and energy from spent liquors
TW288052B (ko) * 1994-06-30 1996-10-11 Du Pont
US5732885A (en) 1994-10-07 1998-03-31 Spraying Systems Co. Internal mix air atomizing spray nozzle
US6113825A (en) * 1995-05-08 2000-09-05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carpet yarn
DE19714071C2 (de) 1997-04-05 1999-06-17 Karasto Armaturenfabrik Oehler Vorrichtung zur Zerstäubung einer Flüssigkeit mit Rohr-in-Rohr-Zuleitungen
DE19714376C1 (de) * 1997-04-08 1999-01-21 Gutehoffnungshuette Man Synthesegaserzeuger mit Brenn- und Quenchkammer
CN1203936A (zh) * 1997-04-08 1999-01-06 曼-古特霍夫农舒特股份公司 带有燃烧室和骤冷室的合成气发生炉
JPH119949A (ja) * 1997-06-23 1999-01-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オゾンフォグ発生装置
JP3651220B2 (ja) * 1998-01-07 2005-05-25 三菱化学株式会社 噴霧乾燥機およびこれを用いる噴霧乾燥方法
US6006999A (en) 1998-02-27 1999-12-28 Chrysler Corporation Air knife blow-off for maintaining cleanliness of rotary powder applications
DE19820399A1 (de) * 1998-05-07 1999-11-11 Basf Ag Flammgeschützte Polyesterformmassen
DE19820398A1 (de) * 1998-05-07 1999-11-11 Basf Ag Flammgeschützte Polyesterformmassen
US6149137A (en) * 1998-11-02 2000-11-21 Callidu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quenching hot flue gases
US6680031B2 (en) 1998-12-22 2004-01-20 Genencor International, Inc. Spray gun with a plurality of single nozzles for a fluid be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EP1178858B1 (en) 1999-05-21 2004-10-06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Apparatus and process for removing solid particles from gases
DE19933901A1 (de) * 1999-07-22 2001-02-01 Clariant Gmbh Flammschutzmittel-Kombination
DE10004138C2 (de) 2000-01-31 2002-05-16 Thermoselect Ag Vaduz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tsorgung und Verwertung von Abfallgütern
US6740270B2 (en) * 2000-10-10 2004-05-25 Shell Oil Company Spin draw process of making partially oriented yarns from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DE10296994B4 (de) * 2001-06-27 2011-06-01 Polyplastics Co. Ltd. Flammenhemmende Harzzusammensetz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Formkörper
US7169836B2 (en) * 2001-06-27 2007-01-30 Polyplastics Co., Lt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DE10137930A1 (de) * 2001-08-07 2003-02-20 Basf Ag Halogenfreie flammgeschützte Polyester
US7205346B2 (en) * 2001-11-30 2007-04-17 Polyplastics Co., Lt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JP4210219B2 (ja) * 2001-11-30 2009-01-14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3254529A (ja) * 2002-03-05 2003-09-10 Jfe Engineering Kk 排ガス冷却方法および冷却装置
JP2004028558A (ja) * 2002-05-07 2004-01-29 Takuma Co Ltd 熱水を利用した排ガス減温方法及びその装置
CN1298434C (zh) 2002-05-07 2007-02-07 喷洒系统公司 内混合式空气雾化喷射喷嘴组件
EP1532229A1 (en) 2002-07-02 2005-05-25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Method for gasification of a solid carbonaceous feed and a reactor for use in such a method
DE10245704A1 (de) * 2002-09-30 2004-04-01 Bayer Ag Verfahren zum Quenchen eines gasförmigen Reaktionsgemisches bei der Gasphasenphosgenierung von Diaminen
US20040186208A1 (en) * 2002-12-17 2004-09-23 Hiroyuki Sumi Flame resistant, laser weldabl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U2003292608A1 (en) * 2002-12-27 2004-07-29 Polyplastics Co., Lt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DE10331889A1 (de) * 2003-07-14 2005-02-17 Clariant Gmbh Flammwidrige Polyamide
US8034870B2 (en) * 2003-12-17 2011-10-1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DE102004026799B4 (de) * 2004-06-02 2006-05-18 Clariant Gmbh Pressgranulierte Flammschutzmittelzusammensetz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102005004341B4 (de) 2005-01-25 2007-03-22 Karasto Armaturenfabrik Oehler Gmbh Vorrichtung zur Zerstäubung einer unter Druck stehenden Flüssigkeit mittels Druckluft
UA89671C2 (uk) * 2005-05-02 2010-02-25 Шелл Інтернаціонале Рісерч Маатшаппідж Б.В. Спосіб виробництва синтез-газу
SI1890823T1 (sl) * 2005-05-06 2013-12-31 Dieter Wurz Pršilna šoba, pršilni sestav in postopek za obratovanje pršilne šobe in pršilnega sestava
US7423080B2 (en) * 2006-03-03 2008-09-0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Radiation crosslinking of halogen-free flame retardant 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94831B2 (en) 2012-02-02
WO2009030674A3 (en) 2009-06-18
US20090214813A1 (en) 2009-08-27
AU2008294831A1 (en) 2009-03-12
EP2197988B1 (en) 2016-10-26
WO2009030674A2 (en) 2009-03-12
EP2197988A2 (en) 2010-06-23
JP5535912B2 (ja) 2014-07-02
US8012436B2 (en) 2011-09-06
ZA201001584B (en) 2010-10-27
CN101605877B (zh) 2013-08-21
KR101547865B1 (ko) 2015-08-27
US20090133328A1 (en) 2009-05-28
CN101605877A (zh) 2009-12-16
JP2010538237A (ja)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865B1 (ko) 켄칭 용기
KR20100080524A (ko) 분사 노즐 매니폴드 및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고온 가스를 켄칭하기 위한 공정
JP5107903B2 (ja) 合成ガスの製造方法及びシステム
CA2699714C (en) Gasification reactor and process for entrained-flow gasification
US8960651B2 (en) Vessel for cooling syngas
AU2009324116B2 (en) Vessel for cooling syngas
US9261307B2 (en) Self cleaning nozzle arrangement
EP2226376A1 (en) Configuration for gasification and quen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7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