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451A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451A
KR20100055451A KR1020107004963A KR20107004963A KR20100055451A KR 20100055451 A KR20100055451 A KR 20100055451A KR 1020107004963 A KR1020107004963 A KR 1020107004963A KR 20107004963 A KR20107004963 A KR 20107004963A KR 20100055451 A KR20100055451 A KR 20100055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afety
evaluation unit
elevator system
eleva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7828B1 (ko
Inventor
제라드 텀
마르쿠스 헨레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9612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5545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10005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285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with the use of a speed pattern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통로(11)과 엘리베이터 통로(11)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몸체(12), 분산 통제 시스템을 포함하고, 분산 통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몸체(12) 중에 하나에 관련되는 제1평가 유닛(21), 엘리베이터 통로(12)에 관련되는 제2평가 유닛(23)과 복수 개의 제3평가 유닛(26, 29)를 포함한다. 제1(21), 제2(23), 제3 평가 유닛(26, 29)은 버스 링크(22)를 경유해서 서로 연결되고, 신호는 버스 링크(22)를 경유해서 안전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전달되어 안전 관련 데이터의 전송이 평가 유닛(21, 23, 26, 29) 사이에서 전달된다. 안전 프로토콜은 전송 에러를 검색하고 데이터 변조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엘리베이터 몸체(12)에 관한 제1평가 유닛(21)은 엘리베이터 몸체(12)의 위치를 안전하게 찾을 수 있고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안전 장치(34, 35)의 통제를 허락하는 센서(33)에 연결된다. 제2평가 유닛(23)은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구동부(15)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통로와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몸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감지된 데이터나 신호를 안전 지향으로 처리하는 분산 또는비집중화된 제어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련된다.
분산 또는 비집중화된 제어 개념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설계 분야에 수 년동안 알려져 있었다. 이러한 종류의 전형적인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몸체에서 신호 또는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를 포함하고, 작동 콘솔에 전선으로 연결되며, 엘리베이터 통로에 최상층의 구간에 통상적으로 배치되고,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다. 온/오프 스위치이외에도, 작동 콘솔은 긴급 조치를 작동하는 데에 요구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자주, 작동 콘솔은 건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는 중앙 통제실에 통신을 위해서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엘리베이터 통로 또는 엘리베이터 몸체에서 주파수 변환기(frequency converter)를 구비한 구동 모터와 작동 콘솔 사이에는 와이어링이 있다. 엘리베이터 통로의 홈이나 층들에서 작동 콘솔과 안전 장치 사이에는 와이어 링크가 구비되는 것은 일반적이다.
US 특허 5 360 952는 랜(LAN) 엘리베이터 네트워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신호를 교환하는 한쌍의 중복 필드 버스(redundant field bus), 각각의 엘리베이터 사이에서 신호를 교환하는 한 쌍의 중복 그룹 버스(redundant group bus), 빌딩 제어부와 메세지를 교환하는 한 쌍의 중복 빌딩 버스(redundant builing bus)를 포함한다. 각각의 버스의 모든 노드(node)는 하나의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해서 서로 통신한다. 이러한 배치는 랜 엘리베이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노드들 사이에 메시지에 대한 평균 통신시간을 줄이고자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다.
한국 9309006을 요약하면, 신호 전송 시스템을 구비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예를 개시하고, CPU의 8 비트 어드레스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버스 송수신기와 시리얼 8 비트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설치비용을 줄이고 신호 전송 회선의 장착을 쉽게할 수 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공보 02075583을 요약하면, 버스를 경유하는 시리얼 전송 회선에 의해서 각각의 엘리베이터를 연결하는 통신 회선의 숫자가 감소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최근에는, 복잡한 엘리베이터 장착, 안전 관련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의 상당한 흐름은 와이어링에 높은 노력을 기울이게 하고, 특히 하나의 통로에 두 개이상의 엘리베이터 몸체가 이동되고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최근 경향에서 와이어링은 더욱 복잡해지고, 중대한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된다.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은 하나의 엘리베이터 공간과 그 엘리베이터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몸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안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본 발명에서 설명된 안전 지향 설계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버스 링크에 의해서 연결된 복수 개의 안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안전 어셈블리들 사이에 신호 교환이 버스 링크를 통해서 가능하다.
안전 어셈블리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영역에 관련되고, 예를 들어 안전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신호를 안전하게 수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신호 입력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신호는 안전하고 비중복된 신호로 안전하게 읽혀질 수 있거나, 불안전하고 중복된 신호로 읽혀져서 안전 어셈블리가 안전한 신호를 제작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버스 링크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안전 어셈블리를 버스 링크에 연결한다.
안전 그룹의 숫자와 함께, 버스 링크는 기존에 알려진, 분리되어 와이어링된 안전 루프를 기능적으로 연장하고 대체하는 가상의 안전 루프를 형성한다. 분리되어 와이어링된 안전 루프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고,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는 순간에 안전 루프를 안전 루프를 중단시키는데, 이렇게 알려진 종래기술과는 달리 가상 안전 루프에 안전 스위치는 각각의 안전 어셈블리에 병렬적으로 연결된다. 거기에서, 입력 신호가 처리되고, 현재 정의된 작동 상태로 평가되거나, 평가의 결과로 특정 조치가 수행된다.
가상 안전 루프의 사용에 의해서 와이어링이 간단해질 수 있고,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되는 시리얼 비트 데이터에서는 현재 어떤 스위치에서 문제가 발생되었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진단 기능을 향상시키고, 문제에 차별화된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안전 어셈블리는 제1안전 평가 유닛과 제2안전 평가 유닛을 포함하고, 제1안전 평가 유닛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몸체에 관련되고, 제2안전 평가 유닛은 엘리베이터 통로,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통로의 상부에 관련된다. 더욱이, 안전 어셈블리는 제3 평가 유닛을 포함하고, 제3평가 유닛은 엘리베이터 몸체에서 각각의 층에 관련된다.
안전 어셈블리는 각각 버스 링크에 인터페이스, 안전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안전하게 감지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안전(고정) 장치와 제동 장치를 안전하게 제어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한다. 더욱이, 안전 어셈블리는 불안전 신호를 평가하기 위한 불안전 소영역을 각각 가진다. 제1안전 평가 유닛은 부가적으로 엘리베이터 몸체의 위치와 속도에 대한 센서로부터 신호를 중복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안전 어셈블리는, 특히 제1, 제2 및 제3 평가 유닛, 서로 버스 링크에 의해서 연결되고, 안전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버스 링크를 경유해 신호를 전송해서, 안전 관련 데이터 전송이 안전 어셈블리들 사이에서 가능하게 한다. 동일한 버스 링크는 동시에 불안전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불안전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 내에서, DIN EN ISO 61508에 부합한다면, 평가 유닛이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는 "안전(safe)"하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이라는 용어는 상기 기준에서 안전 종합 순위 SIL 3에 적합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스 링크는 안전 관련 설계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전송은 가능한 전송 에러가 검출되어 재건되고, 어떠한 데이터 변조도 찾을 수 있는 안전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 관련 데이터는 버스 링크를 경유해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설치시에 와이어링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설치시에 더 큰 승강 높이와 통로 당 둘 이상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다. 현재까지 안전 관련 데이터는 분리된 와이어링에 의해서 배타적으로 전송되었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적어도 두 개의 엘리베이터 몸체를 서로 배타적으로 안전 지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내용 내에서 버스 링크는 복수 개의 기능 유닛들 사이에서 데이터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링크이고, 각각 보조 데이터 처리 장치를 구비한다. 버스 링크의 설계는 당업자의 지식에 따라 이루어지고, 당업자는 알려진 설계 옵션들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본 발명의 내용 내의 버스 링크는 시리얼 버스 링크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링크는 물리적인 와이어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고, 대체적으로 무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다양한 형태로, 링크는 와이어나 현재 방식에 따른 케이블(예를 들어 240-volt 케이블과 같은 전원 케이블)과 같은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더욱이, 버스 링크는 설계에 따라서 버스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요구되는 인터페이스의 설계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본 발명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적절한 안전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동작하는 안전 버스 링크는 비변조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안전에 특별한 요구를 하지 않는 "통상적인(normal)" 버스 링크는 구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안전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조합된 이러한 시스템에 관련된다.
안전 어셈블리는 연결된 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읽고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버스 링크를 통해 안전 어셈블리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제1평가 유닛은 센서를 사용해서 엘리베이터 몸체의 안전 위치와 안전 속도를 결정할 수 있고, 현재 작동 상태에 대한 정의된 설정값에 따라 현재 위치와 속도를 관찰할 수 있다. 더욱이, 안전 스위치, 검지 콘트롤러, 전기적 반환 콘트롤러(electrical return controller)로 알려진 부품을 관찰하고 동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 어셈블리는 특정 상황에서 제동 장치나 안전 고정 장치를 관련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몸체를 특정 멈춤 및/또는 즉시 멈춤 또는 긴급 멈춤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유발 신호는 버스 링크에 의해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처럼, 안전 어셈블리나 제2 트리거 유닛과 제2트리거 유닛의 데이터 출력부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면 제동 장치나 안전 고정 장치에 직접 유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안전 고정 장치는 standard EN81-1, 9.8과 9.9에 부합될 수 있고, 하나의 안전 어셈블리이면서 다른 안전 어셈블리로부터 수신된 유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속도 제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제한기는 수신된 유발 신호에 대한 대응 처리 또는 엘리베이터 몸체의 속도가 속도 제한기에 정의된 유발 속도로부터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구동부를 중지시킬 수 있다.
긴급 멈춤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몸체의 구동부와 제동 장치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탈거되고, 구동부에 전원이 차단되고 제동 장치가 작동된다. 긴급 멈춤은 관련된 안전 어셈블리 또는 특정한 경우에 제1 또는 제2평가 유닛에 의해 안전 스위치가 개방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엘리베이터 몸체의 속도가 정의된 유발 속도보다 빠르거나 느리다면, 소위 긴급 멈춤이 수행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몸체는 긴급 멈춤의 상황에서는 정상 작동 상태에서보다 더 큰 감속도로 멈출 수 있고, 긴급 멈춤이나 안전 고정 장치가 사용될 때에 비해서 더 작은 감속도로 멈출 수 있다.
현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안전 어셈블리 각각은 버스 링크에 대한 두 개의 독립적인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각각의 버스 링크는 두 개의 개별적 버스 링크 또는 동질적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채널을 구비하는 중복 복제 버스 링크(redundant duplicated bus link)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안전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채널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가져서, 동시에 다른 채널을 통해서 도달하는 복수의 신호를 읽어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신호의 중간과 최종 결과 사이에 크로스 체크(cross-check)가 가능하여, 각각의 프로세서는 그 결과에 독립적으로는 물론 다른 프로세서에 독립적으로 어떤 상황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안전 어셈블리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적용해서 제동 장치나 낙하 방지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 소정의 제한 값이 안전 어셈블리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제1평가 유닛은 부가적으로 한계 커브의 세트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되고, 한계 커브는 현재 작동 상태에 따라 계산된다. 예에 따라서, 이러한 한계 커브 세트는 제동 장치의 유발을 위한 한계 커브(제동 장치를 위한 유발 한계 커브), 제동 장치가 작동될 때 엘리베이터 몸체에 대한 정지점을 정의하는 한계 커브(제동 장치에 대한 정지 한계 커브)를 포함한다. 더욱이, 한계 커브의 세트는 안전 고정 장치의 유발을 위한 한계 커브(안전 고정 장치에 대한 유발 한계 커브), 안전 고정 장치가 작동될 때 엘리베이터 몸체의 정지점을 정의하는 한계 커브(안전 고정 장치에 대한 정지 한계 커브)를 포함한다. 개별적인 한계 커브는 각각 엘리베이터 통로의 길이(또는 높이)에 대한 속도 범위를 정의하고, 따라서 엘리베이터 몸체의 궤적에서 각각의 위치에 대한 최대 속도값에 관련된다. 제1평가 유닛은 관련 센서에 의해서 제공된 중복 속도와 위치 신호를 읽고, 이러한 신호를 사용해서 엘리베이터 몸체의 안전 속도와 위치를 결정한다. 현재 작동 상태에 기초해서 제1평가 유닛은 적절한 유발 제한 커브를 선택하고, 그것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엘리베이터 몸체의 현재 속도가 제동 장치나 안전 고정 장치의 유발을 위한 한계 커브에 의해서 판단된 엘리베이터 통로 내의 현재 위치에서의 속도 제한 값 이상이면, 각각의 장치는 정의된 반응 시간 내에 동작한다. 엘리베이터 몸체는 각각의 정지 한계 커브 내에서 멈추고, 정지 한계 커브는 각각의 장치가 동작될 때에 정지 점을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2평가 유닛은 마찬가지로 제1평가 유닛의 평가 계산을 체크한다. 이것 때문에, 제2평가 유닛에서 설명된 기능이 구현되고, 한계 값과 한계 커브가 저장되며, 제1평가 유닛에 의해서 평가된 정보는 제2평가 유닛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안전 관련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 즉 확인된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몸체의 과도한 속도가 발생된 경우에 적절한 안전 장치가 두 개의 평가 유닛 중에 하나에 의해서 동작되고, (상기 예에 한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동 장치를 동작시키거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고정 장치를 유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 때문에, 제1 및/또는 제2평가 유닛은 통신을 위해서 안전 장치에 연결되고, 안전 장치가 평가 유닛에서 읽을 수 있도록 한다. 적절한 제어 장치 회로는 본 발명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된 EP 1 679 279 A1에 개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몸체의 안전 확인 위치와 속도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한계 스위치, 검사 한계 스위치, 감속 제어 회로, 도어 영역 모니터, 처짐 또는 낙하 방지 장치, 엘리베이터 몸체와 카운터 웨이트 버퍼(counterweight buffer)를 (검증된) 안전 소프트웨어 평가로 대체하기 위해서 위치와 속도에 대해 도시된 한계 커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등하게 엘리베이터 몸체가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 남겨졌을 때를 안전하게 인식하고, 적절한 수단을 초기화할 수 있다. 이것은 어셈블리가 낙하되는 상황에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구동부에 전원을 차단하고 제동 장치를 적용하는 등, 현재 통상적인 기술을 (배타적으로) 적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제동 장치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 구동부에 전원을 차단하는 것은 엘리베이터 몸체를 그 층으로부터 이동시켜, 특히 상층에 위치한 경우에는, 위험한 빠른 속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통상의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소프트웨어 평가는 이러한 종류의 위험한 상황이 인식된 후에, 구동부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거나 엘리베이터 몸체를 무게비에 의해서 최종 층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이 최종 층에서 엘리베이터 몸체나 카운터 웨이트는 고정된 한계 정지점에 놓여지고, 안전 상태가 더욱 강화된다. 만일 엘리베이터 몸체에 사람이 있다면, 하중 비를 역으로 돌리는 결과에 따라 새로운 위험 상황을 초래하지 않기 위해서, 하중 상황에 따라 더욱 적절한 대책이 수행되어야 한다.
가능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정상 모드(normal mode), 감지 모드(inspection mode) 또는 전기적 회귀 모드(electrical return mode)가 작동 상태에 따라서 정의될 수 있다.
정상 모드에서, 제동 장치에 대한 유발 한계 커브는 가상의 한계 스위치의 위치에서 멈추고, 유발 커브의 형상은 정상 작동시에 발생되는 최대 명목 속도(maximum nominal speed)를 사용해서 계산된다. 위에서 예시된 바처럼, 이러한 형상은 특정 최대 속도 형상을 도시하는데, 그것은 엘리베이터 몸체가 가상의 한계 스위치에 접근하는 형상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한계 스위치와 달리, 유발 한계 커브가 초과되었을 때에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비해서 긴급 멈춤이 조기에 수행될 수 있다. 긴급 멈춤이 엘리베이터 몸체를 특정한 정도로 늦추지 못한다면, 안전 고정 장치가 작동된다. 안전 고정 장치는 검증된 안전 어셈블리이기 때문에, 이것은 엘리베이터 몸체가 안전 고정 장치에 대한 정지 한계 커브를 넘어서 이동되지 않음을 보장한다.
엘리베이터 몸체가 정상 모드에서 하나의 층에 있을 때, 한계 커브는 조정되어 제동 장치에 대한 유발 한계 커브와 정지 한계 커브는 도어 영역에 의해서 제한된다. 한계 커브는 재조정 속도나 이 경우에 소위 재산정된 속도(relevelling speed)를 사용해서 계산된다. 이것은 엘리베이터 몸체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데에 사용된 최대 속도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재조정은 하중 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필수적이고, 각 층에서 승객이 출입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몸체의 지지 케이블의 지름과 길이에 따라서 케이블의 인장이 변화되어서, 엘리베이터 몸체가 층의 구멍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검사 모드에서, 제동 장치를 유발하는 한계 커브는 가상의 검사 한계 스위치의 위치에 끝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런 것들은 보통 이러한 위치에 위치한 통상의 검사 한계 스위치를 대체한다. 한계 커브의 정의된 끝은 엘리베이터 몸체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데에 사용되어서, 검사 모드에서 통로 내의 충분히 큰 공간이 근처 통로의 일단과 승객을 위한 엘리베이터 몸체의 사이에 보장된다. 검사 모드에 대한 관련 한계 커브는 검사 모드에 대한 최대 속도를 사용해서 계산된다. 상술한 바처럼, 이러한 형태는 특정 최대 속도 형태를 가상의 검사 한계 스위치에 대해 접근하도록 규정한다. 종래 통상의 검사 한계 스위치와 달리, 유발 커브가 실제로 초과했을 때에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보다 더 빨리 긴급 멈춤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긴급 멈춤이 엘리베이터 몸체를 충분한 정도로 감속시키지 못한다면, 안전 고정 장치가 작동된다. 안전 고정 장치는 검증된 안전 어셈블리이기 때문에, 이것은 엘리베이터 몸체가 안전 고정 장치에 대한 정지 한계 커브를 넘어서 움직일 수 없음을 보장한다. 반대로, 이러한 해답은 항상 안전 가상의 검사 한계 스위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통상의 검사 한계 스위치는 안전 어셈블리나, 안전 스위치가 아니다. 만일 엘리베이터 몸체가 가상의 검사 한계 스위치의 위치에서 정지한다면, 근처 통로의 일단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고 더욱이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성취된 결과는 승객을 위한 충분히 큰 공간이 통로의 일단과 엘리베이터 몸체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전기적 회귀 모드에서, 한계 커브가 한계 스위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으면서, 한계 커브는 최대 회귀 속도를 사용해서 계산된다. 전기적 회귀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몸체는 전기적 회귀 제어부에 의해서 동작된다. 이것은 엘리베이터의 통상적인 전원 공급부에 의해서 동작되고, 부가적으로 대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될 수 있어서, 긴급 상황에서 동작될 수 있다.
전기적 회귀 모드와 개별 테스트 상태는 엘리베이터 몸체가 가상의 한계 스위치의 위치를 넘어서 이동할 수 있는 유일한 작동 상태이다. 이러한 작동 상태에서, 한계 커브는 아치 형태가 아니라, 소위 전기적 회귀 속도로 엘리베이터 몸체가 버퍼 위로 이동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엘리베이터 몸체가 한계 스위치를 넘어서 움직이는 것을 허락하는, 본질적으로 직선 형태의 커브를 도시한다.
위에서 예시된 바처럼,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 몸체는 제1안전 평가 유닛을 포함한다. 두 개 이상의 엘리베이터 몸체를 구비하고, 각각이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몸체는 이러한 종류의 제1안전 평가 유닛을 구비한다. 더욱이, 엘리베이터 통로에 관련된 제2안전 평가 유닛이 제공되고, 작동 콘솔(operator console)(개입 패널)(사람 또는 기계의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이루어짐)에 연결된다. 엘리베이터 몸체에 제1평가 유닛은 유사하게 사람 또는 기계의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 콘솔(cab console)(몸체 작동 패널)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해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전용의 제2평가 유닛을 갖는다.
설명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몸체에 관련된 제1평가 유닛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몸체의 위치를 안전하게 감지하기 위한 센서에 연결된다. 엘리베이터 몸체의 이동 상태를 안전하게 결정하기 위한 적절한 시스템은 본 발명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된 EP 1 621 504 A1에 개시되어 있다. 안전 위치 감지를 위해서 센서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기초해서, 제1평가 유닛은 확정된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몸체의 속도를 계산하고, 이 속도가 설명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더욱이, 평가된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공된 안전 버스 링크를 경유해서 시리얼 비트 데이터로 작동 콘솔에 연결된 제2평가 유닛에 전송된다. 부가적으로, 제2평가 유닛은 외부 통제실이나 통제 센터에 연결되고(이 내용에서, 통제 센터라는 용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가능하거나 적당한 중심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긴급 통제 센터, 원격 서비스 통제 센터, 건물의 관리 통제 센터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가된 데이터를 제1평가 유닛으로부터 제2평가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은 엘리베이터 몸체에 제1평가 유닛의 평가 계산을 체크하는 제2평가 유닛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안전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라, 버스 링크를 경유해서 데이터를 안전 지향으로 전송하는 것은 제2평가 유닛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고장이 발생된 지점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케이블이 단순화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효과로, 특히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 몸체를 구비하는 현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특히, 본 발명은 동일한 엘리베이터 통로에 남아있는 엘리베이터 몸체 중에 하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때에 사용될 수 있고, 각각의 다른 엘리베이터 몸체에 의해서 적어도 현재 사용되지 않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구획으로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엘리베이터 몸체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 영향받은 엘리베이터 몸체가 분명하게 판단되고, 적당한 조치(제동 장치의 유발이나 극단적인 경우에 안전 고정 장치의 유발 등)가 남아있는, 즉 영향받지 않은 엘리베이터 몸체가 전체적으로 정지하도록 작동할 필요없이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통로에 두 개의 엘리베이터 몸체 중에 아래쪽에 위치한 것이 확정된 위치(예를 들어 3층)에 고정된다면, 그것 위에 위치한 엘리베이터 몸체는 낮게 위치한 엘리베이터 몸체의 고정위치의 위쪽에서 운행될 수 있다. 통상적인 제어 공학에서의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와이어링이 요구되는데, 많은 층과 많은 엘리베이터 통로를 가진 복잡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경우에는 높은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엘리베이터 몸체는 고장이 발생된 모든 상황에서 즉시 고정될 필요는 없다. 엘리베이터 몸체의 동작에서 변화가 발생되면 충분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통로 문이 더 이상 잠기지 않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몸체는 이 문의 아래쪽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고, 긴급 상황에서 그곳으로 대피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더 이상 잠겨지지 않는 문의 위치는 이러한 상황에서 부가적인 안전 어셈블리의 도움으로 알려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에서, 엘리베이터 몸체는 통로 문의 아래쪽에 위치한 층으로 이동되고, 통로를 통해 낙하되어서 발생될 수 있는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경우에서, 엘리베이터 통로의 통로 피트(pit)에 배치된 안전 장치는 작동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동은 제2평가 유닛을 사용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평가 유닛과 안전 장치 사이에 통신 링크는 정보가 안전 장치로부터 제3평가 유닛으로 읽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당연히 예상가능하다.
상술한 바처럼,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몸체가 동일한 통로에 제공된다면,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이 장치는 두 개의 인접한 엘리베이터 몸체가 충돌하지 않고, 제2엘리베이터 몸체에 의해서 상대적인 접근이 이루어진 상황에서 지붕에 위치한 사람에게 위로부터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을 성취하기 위해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몸체는 각각의 안전 영역을 가지고, 안전 영역은 제동 장치나 안전 고정 장치에 의해서 구현된다. 여기까지, 다양한 엘리베이터 몸체의 각각의 제1평가 유닛은 안전 버스 링크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안전 버스 링크는 관련된 안전 영역의 한계를 교환하는 각각의 제1평가 유닛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다. 제1평가 유닛에 대한 안전 영역이 제2평가 유닛에 대한 안전 영역과 겹치는 순간에는 각각의 제동 장치 및/또는 안전 고정 장치는 작동된다.
만일 엘리베이터 몸체가 안전 버스 링크와 연결이 끊어지면, 문제가 발생한 엘리베이터 몸체는 긴급 멈춤이나 안전 고정 장치에 의해서 정지된다. 엘리베이터 몸체는 안전 영역 내에 위치해서 다른 엘리베이터 몸체는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거기서 정지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몸체에 탑승한 승객은 갇히는 일 없이 각각의 엘리베이터 몸체를 탈출할 수 있다. 충돌 방지를 위한 장치는 유발 한계 커브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부가적인 장치이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몸체들 사이에 간격은 회귀 모드에서 조차 0이 되면 안된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는 통로 문을 관찰하는 것에 관련된다. 만일 엘리베이터가 정상 모드에 있고, 통로 문이 잠기지 않아 사람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개방된다면, 일반적으로 승객이 통로로 떨어지거나 지나가는 엘리베이터 몸체나 떨어지는 물체에 의해서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설명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고장이 발생한 통로 문을 판단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한계 커브를 선택하여 엘리베이터 몸체가 고장난 영역을 지나가지 않도록 한다. 만일 엘리베이터 몸체가 개방된 통로 문의 아래에 위치하면, 엘리베이터 몸체를 정상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 이동 궤적은 개방된 통로 문의 아래쪽 영역으로 한정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다른 가능한 장치는 처짐이나 낙하방지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이것은 엘리베이터 몸체가 정지했을 때에 작동된다. 만일 엘리베이터 몸체가 처짐 방지 장치가 작동하는 위치에 상대적으로 정의된 거리만큼 아래쪽으로 이동되었다고 이 장치에서 판단하면, 안전 고정 장치가 작동된다. 만일 엘리베이터 몸체가 이동된 후에 정지될 필요가 있다면, 처짐 방지 장치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각 층에는 관찰되는 문 영역(door zone)이 제공된다. 관찰되는 문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동 장치와 안전 고정 장치에 대한 유발 한계 커브는 엘리베이터 몸체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한 후에, 언록킹 존( unlocking zone)의 부분으로 감소될 수 있다. 언록킹 존은 몸체가 각 층에 여전히 접근하는 동안에 문이 자동으로 열릴 수 있는 층의 영역에서 엘리베이터 통로의 측면을 설명한다. 그래서 엘리베이터 몸체가 통로 문과 동일한 높이에 도달하기 전에 조차 문 개방이 초기화될 수 있어서, 승객은 지연없이 엘리베이터로부터 내릴 수 있다. 언록킹 존의 값을 넘어서 엘리베이터 몸체에 의한 비 의도적 움직임이 발생된다면, 제동 장치와 낙하 방지 장치가 작동된다. 엘리베이버 몸체가 언록킹 존이 아닌 곳에서 정지한 동안에 그 장치가 작동된다면, 예를 들어 검사 모드에서, 동일한 장치는 엘리베이터 몸체의 정지 위치를 보호하기 위해서 언록킹 존의 값에 대응되는 영역을 관찰할 수 있다.
제공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현재 설명은 예시적인 방식과 케이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마찬가지로 다른 형태의 엘리베이터에 상술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유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hydraulic elevator), 선형 구동 엘리베이터(linear drive elevator)와 케이블이 없는 엘리베이터(cableless elevator), 카운터 웨이트가 없는 엘리베이터(elevator without a counterweight)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런 의도에 적합한 계산 장치에서 수행될 때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창의적인 작동과 창의적인 제어 수단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가진 컴퓨터에서 가독가능한 매개체를 포함한다. 창의적인 제어 수단과 창의적인 작동을 위한 규정은 소위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이나 FPGA(field progamming gate array)와 같은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유닛에서 구연될 수 있다. 그러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유닛은 본 발명의 주요한 개념이다. 이 내용에서, 계산 장비는 제어 유닛, 평가 유닛 또는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와 실시예는 아래 포함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찾아질 수 있다. 상술한 특징들과 이하 설명될 특징들은 설명된 각각의 조합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고, 다른 조합의 형태나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는 언제든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형태로 간략하게 도시되고, 도면에 대한 참조 부호를 이용해서 아래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엘리베이터 통로와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몸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간략한 형태를 도시함.
도 2는 제1평가 유닛과 제2평가 유닛 사이에 창의적인 버스 링크의 개략적 블록도를 도시함.
도 3은 본 발명의 제1평가 유닛의 개략적인 블록도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연결을 도시함.
도 4는 본 발명의 제2평가 유닛의 개략적인 블록도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연결을 도시함.
도 5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높이를 넘어 각각의 특정 속도 형태를 정의하는 다양한 한계 커브의 형태를 도시함.
도 6은 엘리베이터 몸체에 관련된 안전 영역을 도시하고, 두 개의 엘리베이터 몸체와 장치를 사용할 때에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한계 커브의 형태를 도시함.
도 1은 엘리베이터 통로 11과 엘리베이터 통로 11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몸체 12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10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몸체 12는 지지 케이블 14에 의해서 구동부 15와 카운터 웨이트 16에 연결되고, 구동부 15는 지지 케이블 14를 구동하고, 지지 케이블 14의 구동 방향에 따라 상하로 엘리베이터 몸체가 이동된다. 카운터 웨이트 16은 대응되는 방식으로 반대 방향을 향해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통로 11은 복수 개의 층 13a, 13b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몸체 12는 승객이 엘리베이터 몸체 12로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각각의 층에 정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통로 11의 하부 끝단은 통로 피트(pit) 17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버스 링크 22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안전 버스 링크 22는 제1평가 유닛 21, 제2평가 유닛 23에 연결되고, 제1평가 유닛 21은 엘리베이터 몸체 12와 엘리베이터 통로 11에 관련된 다른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평가 유닛 21은 몸체 콘솔 32를 사람 또는 기계 인터페이스로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몸체의 위치와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 33, 선택적으로 안전 고정 장치 35와 그것에 연결되는 제동 장치 34를 구비한다. 센서 33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서, 제1 평가 유닛 21은 엘리베이터 몸체의 현재 위치와 속도를 계산하고, 저장된 한계 커브와 한계 값들과 비교한다. 만일 한계 커브와 한계 값들이 초과하면, 제1평가 유닛은 안전 고정 장치 35나 제동 장치 34를 작동시켜서 엘리베이터 몸체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작동된 각각의 장치의 선택은 평가 결과에 관련된 수단이나 평가에 의존한다. 더욱이, 안전 어셈블리 26, 29는 안전 버스 링크 22에 연결된다. 이러한 예에 의해서, 각각의 층 13a, 13b에 연관되고, 각각은 복수 개의 병렬 연결된 안전 스위치 27, 28 또는 30, 31을 갖는다. 안전 스위치 27, 28, 30, 31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수신되어서 각각 연결된 안전 어셈블리 26, 29에서 가공된다. 소정의 수단에 따라, 신호는 안전 버스 링크 22를 경유해서 안전 버스 링크 22에 연결된 다른 구성요소로 보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또는 제2평가 유닛 21, 23에 개방된 안전 스위치 27, 28, 30, 31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적절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제1과 제2평가 유닛 21, 23은 버스 링크 23을 경유해서 신호를 전달하는데, 제1평가 유닛 21에 의해서 가공된 신호는 제2평가 유닛 23에서 체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평가 유닛 23은 체크된 결과에 대한 대응으로 제동 장치 34의 안전 고정 장치 35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평가 유닛은 통제 센서 24에 연결된다.
도 3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능한 엘리베이터 몸체 서브시스템(subsystem) 39의 블록도이다. 제1평가 유닛 21은 도 2에 도시된 바처럼 안전 버스 링크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통로 11에 관련된 제2평가 유닛 23에 통신을 위해서 연결된다. 엘리베이터 몸체의 영역이나 엘리베이터 몸체 서브 시스템 39 내에서, 제1평가 유닛 21은 몸체 콘솔 32에 연결되고, 몸체 콘솔 32는 검사 한계 스위치 32a, 긴급 오프 스위치 32b, 제어 패널 32c와 같은 복수 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것은 통상적인 승객이 아닌 서비스 요원만이 접근가능하도록 의도된 통제 기능에 사용된다. 더욱이, 개시된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안전 스위치 36은 제1평가 유닛 21에 통신을 위해서 연결되고, 안전 스위치 36이 제1평가 유닛에서 읽혀질 수 있다.이러한 안전 스위치 36은 몸체 문을 위한 고정 스위치 36a, 안전 고정 스위치 36b, 엘리베이터 몸체의 지붕에 대한 관찰 스위치 36c, 엘리베이터 몸체의 난간에 대한 관찰 스위치 36d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전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몸체의 상태를 관찰하고, 비정규적이거나 위험이 발생된 경우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제1평가 유닛 21로 신호를 전송한다. 센서 33은 평가 유닛 21에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몸체 21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두 개의 센서 33a, 33b를 포함한다. 더욱이, 안전 버스 링크 22는 그것에 연결된 긴급 유닛 37을 구비한다. 긴급 유닛은 긴급 신호기 37a, 스피치 변환기 37b, 긴급 콜을 발생시키는 데에 필요한 다른 유닛들을 포함한다. 소위 게이트웨이 38a는 부가적인 장치 38을 안전 버스 링크 22에 연결할 수 있다. 부가적인 장치는 하중 측정기 38b, 문 구동부 38c, 발성기 38d, 승객에게 알리기 위한 통제 및 디스플레이 수단 38e를 포함한다.
도 4는 제2평가 유닛 23과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브 시스템 40에 연결된 구성요소에 대한 가능한 배치에 관련된 블록도를 도시한다. 제2평가 유닛 23은 도 2에 도시된 바처럼 안전 버스 링크 22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몸체 12에 관련된 제1평가 유닛에 통신을 위해서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제2평가 유닛 23은 회귀 제어부47에 연결되고, 회귀 제어부 47은 회귀 모드를 작동 또는 비작동하기 위한 회귀 스위치 47a, 제어 스위치 47b, 47c를 포함해서 엘리베이터 몸체 1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주 스위치 41은 제2평가 유닛 23에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온/오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통제 센터 24에 연결은 방화벽 42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후자는 안전 버스 링크에 연결되고, 신호를 외부 통제 센터로 송수신할 수 있다. 동시에, 방화벽 42은 버스 링크의 외부로부터 허용불가한 접근으로부터 안전 버스 링크를 보호하고 통제한다. 안전 버스 링크는 따라서 방화벽 42에서 끝난다. 외부 통제 센터는 건물 관리를 위한 통제 센터 44, 긴급 통제 센터 45,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원격 서비스를 위한 통제 센터 46을 포함하고, 건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이, 무선 진단 기능을 제공하는 불루투스 진단 노드(bluetooth diagnosis node)가 버스 링크 2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엘리베이터 통로의 높이 s에 대해 속도 형태를 정의하는 다양한 한계 커브의 예를 도시한다. 커브 51은 엘리베이터 몸체 12의 현재 속도의 아치형 형태를 도시하고, 유발 한계 커브 52와 제동 장치에 대한 정지 한계 커브 53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유발 한계 커브 52와 제동 장치에 대한 정지 한계 커브 53은 각각 하부 끝 56과 상부 끝 57에서 끝난다. 이런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몸체 12는 정상 모드와 검사 모드에서 이러한 위치에 정지한다. 이것은 실제 한계 스위치나 검사 한계 스위치가 가상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속도 형태의 커브 51이 제동 장치의 유발 한계 커브 52를 넘는다면, 제동 장치는 작동되고 엘리베이터의 몸체는 감속되어서 현재 속도 형태의 커브 51이 제동 장치의 정지 한계 커브 53을 초과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 발생되지 않는다면, 안전 고정 장치에 대한 유발 한계 커브 54와 안전 고정 장치에 대한 정지 한계 커브 55가 상술한 커브들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된다. 만일, 현재 속도 형태의 커브 51이 안전 고정 장치의 유발 한계 커브 54를 초과하면, 안전 고정 장치는 작동되고 엘리베이터 몸체는 안전 고정 장치의 정지 한계 커브 55 내에서 정지된다.
도 6은 두 개의 엘리베이터 몸체를 사용할 때와 충돌 방지를 위한 장치를 사용할 때에 한계 커브의 형태를 도시하고, 엘리베이터 몸체에 관련된 안전 영역을 도시한다. 두 개의 엘리베이터 몸체는 임의의 시간에 두 개의 현재 엘리베이터 위치 61에 위치하고, 현재 속도 62를 갖는다. 각각의 엘리베이터 몸체는 현재 속도 62에 기초해서 위치 63에 상부 끝단이 위치한 안전 영역을 구비하고, 제동 장치에 의해서 보호된다. 엘리베이터 몸체의 아래쪽에는, 안전 영역이 현재 속도에 기초해서 위치 64에서 끝난다. 두 개의 위치 63, 64는 엘리베이터 몸체를 정지하고, 부가적으로 두 개의 엘리베이터 사이에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안전 영역의 양단을 의미한다. 이것 때문에, 정지 한계 커브 65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몸체가 제동 장치에 의해서 감속되고, 안전 영역의 양단으로부터 충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몸체가 제동 장치에 의해서 감속되지 않으면, 안전 고정 장치가 작동되고, 엘리베이커 몸체는 안전 고정 장치에 대한 정지 커브 66에 따라서 정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또한, 엘리베이터 몸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고, 엘리베이터 몸체는 안전 영역의 양단 63, 64로부터 정의된 간격에서 정지할 필요가 있다. 거리 67은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에 엘리베이터 몸체의 높이를 설명한다. 거리 68과 69는 갑작스런 작동 상황에서 몸체가 안전 고정 장치나 제동 장치에 의해서 정지되기 위해서 요구되는 각각의 거리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 거리 70은 각각의 엘리베이터 몸체에 대한 잔존하는 안전 영역을 도시한다.
10: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엘리베이터 몸체

Claims (29)

  1. 엘리베이터 통로(11)와 엘리베이터 통로(11)에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몸체(12)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몸체(12)에 각각 관련된 제1평가 유닛(21), 엘리베이터 통로(11)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평가 유닛(23)을 포함하는 분산 통제 시스템을 구비하고,
    제1평가 유닛(21)과 제2평가 유닛(23)은 버스 링크(22)에 의해서 연결되어 안전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버스 링크(22)를 경유해서 신호가 전송되며,
    안전 관련 데이터 전송이 평가 유닛(21, 23) 사이에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통로(11)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엘리베이터 몸체(12)를 구비하고,
    각각의 엘리베이터 몸체(12)는 전용의 제1평가 유닛(21)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전 프로토콜은 전송 에러가 탐지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 프로토콜은 데이터 변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몸체(12)에 관련된 제1평가 유닛(21)이 엘리베이터 몸체(12)에 대한 안전 위치와 속도 감지를 위한 센서(3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몸체(12)에 관련된 제1평가 유닛(21)은 엘리베이터 몸체(12)에 대한 안전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3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몸체(12)에 관련된 제1평가 유닛(21)은 통신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안전 스위치(36)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안전 스위치(36)가 제1평가 유닛(21)에서 읽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몸체(12)에 관련된 제1평가 유닛(21)은 통신을 위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적어도 하나의 안전 장치(34, 35)에 연결되고,
    안전 장치(34, 35)가 제1평가 유닛(21)에서 읽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안전 장치(34, 35)는 제1평가 유닛(21)과 제2평가 유닛(23)에 의해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평가 유닛(23)은 사람 또는 기계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작동 콘솔(2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평가 유닛(23)은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구동부(1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평가 유닛(23)은 구동부(15)의 주파수 변환기(frequency converter)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평가 유닛(23)은 엘리베이터 통로(11)의 피트(pit)(17)에 설치된 안전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평가 유닛(23)은 통제 센터나 외부 통제실(2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스 링크(22)는 시리얼 버스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3평가 유닛(26, 29)이 제공되고,
    각각의 제3평가 유닛(26, 29)은 신호 전송을 위해서 버스 링크(22)에 연결되고,
    에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장치(34, 35)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평가 유닛(26, 29)은 통신을 위해서 안전 장치(34, 35)에 연결되고,
    안전 장치(34, 35)가 제3평가 유닛(26, 29)에서 읽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스 링크(22)는 적어도 두 개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채널을 구비하고,
    제1평가 유닛(21), 제2평가 유닛(23), 제3평가 유닛(26, 29)은 채널의 개수에 대응되는 적어도 복수의 프로세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엘리베이터 통로(11)에 엘리베이터 몸체(12)의 임의의 위치에 따른 관련 속도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한계 커브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몸체가 한계 커브의 각각의 값에 따라 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몸체(12)의 위치와 속도를 안전하게 감지하기 위해서 센서(33)로부터 측정된 값과 한계 커브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몸체(12)의 위치와 속도를 안전하게 감지하기 위해서 센서(33)로부터 측정된 값을 한계 커브와 비교하는 것에 대응해서,
    기 설정된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한계 커브는 적어도 하나의 유발 커브(52, 54)와 정지 한계 커브(53, 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장치는 엘리베이터 몸체(12)의 속도와 위치를 안전하게 감지하기 위해 센서(33)로부터 측정된 값이 엘리베이터 통로(11)의 각각의 위치에서 한계 커브, 유발 커브(52, 54), 정지 한계 커브(53, 55)를 초과하는 순간에 작동되는 안전 장치(34, 35)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몸체(12)는 정지 한계 커브(53, 55)에 의해서 정의된 엘리베이터 통로(11)의 단면 내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24. 제19항 또는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버스 링크(22)에 의해서 제어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 몸체(12)를 포함하고,
    각각의 엘리베이터 몸체(12)는 잔존하는 엘리베이터 몸체(12)에 독립적으로 제어되고,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 몸체(12)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엘리베이터 몸체(12)에 의해서 현재 사용되지 않는 엘리베이터 통로(11)의 개별 단면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각 층(13a, 13b)에 통로 문이 잠기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몸체(12)가 잠기지 않는 통로 문 아래에 위치한 엘리베이터 통로(11)의 구역으로 이동되거나, 엘리베이터 몸체(12)가 잠기지 않는 통로 문의 아래쪽 영역에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 몸체(12)는 제19항과 제23항에 따라서 한계 커브를 계산하는 것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몸체의 제어부는 계산된 엘리베이터 통로(11)에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 몸체(12)의 사이에서 간격을 갖는 충돌 방지 수단,
    엘리베이터 몸체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계산된 각각의 엘리베이터 몸체(12)에 대한 적어도 한 개의 한계 커브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28. 제19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몸체(12)가 버스 링크(22)와 연결이 끊어지면 적어도 하나의 관련된 엘리베이터 몸체(12)의 안전 장치(34, 35)가 작동되며,
    남아있는 엘리베이터 몸체는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29. 제19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데에 적합한 프로그램 코드를 구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적절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 될 때, 특히 컴퓨팅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07004963A 2007-08-07 2008-07-08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317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15475.2 2007-08-07
EP07015475.2A EP2022742B1 (de) 2007-08-07 2007-08-07 Aufzugsystem
PCT/EP2008/005535 WO2009018886A1 (de) 2007-08-07 2008-07-08 Aufzug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451A true KR20100055451A (ko) 2010-05-26
KR101317828B1 KR101317828B1 (ko) 2013-10-15

Family

ID=3896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963A KR101317828B1 (ko) 2007-08-07 2008-07-08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30977B2 (ko)
EP (1) EP2022742B1 (ko)
JP (1) JP2010523445A (ko)
KR (1) KR101317828B1 (ko)
CN (1) CN101687606B (ko)
BR (1) BRPI0812319A2 (ko)
ES (1) ES2499340T3 (ko)
WO (1) WO20090188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259A (ko) * 2017-03-29 2019-11-04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멀티-케이지 리프트 시설 및 멀티-케이지 리프트 시설을 동작시키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7355B2 (ja) * 2006-02-03 2012-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FI118642B (fi) * 2006-04-28 2008-01-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CN101511716B (zh) * 2006-11-20 2013-05-0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MX2010000566A (es) * 2007-07-17 2010-03-08 Inventio Ag Metodo de monitoreo de sistema de elevadores.
KR20100063121A (ko) 2007-09-18 2010-06-1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차체 이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수 차체용 승강로
US8439167B2 (en) * 2007-12-21 2013-05-14 Inventio Ag Spacing control for two elevator cars in a common shaft
WO2009084076A1 (ja) * 2007-12-27 2009-07-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装置
US20110240412A1 (en) * 2008-12-17 2011-10-06 Schienda Greg A Elevator braking control
BRPI0923522B1 (pt) * 2008-12-23 2019-08-06 Inventio Aktiengesellschaft Instalação de elevador
BRPI0923698B1 (pt) * 2008-12-26 2020-01-14 Inventio Ag instalação de elevador com pelo menos duas cabines de elevador, método de monitoramento de uma instalação de elevador e dispositivo de segurança
KR101250735B1 (ko) * 2009-03-13 2013-04-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EP2243738A1 (de) * 2009-04-24 2010-10-27 Inventio AG Verfahren zur Kommunikation mit einer Aufzugsanlage
CN102459049A (zh) * 2009-06-22 2012-05-1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DE102009037347A1 (de) * 2009-08-14 2011-02-17 K.A. Schmersal Holding Gmbh & Co. Kg Elektronisches Sicherheitssystem für einen Aufzug
DE102009058571A1 (de) * 2009-12-17 2011-06-22 Elektro-Anlagen-Ernst GmbH, 07552 Vorrichtung zur Fahrtregelung für eine ein- oder doppeltrümige Förderanlage und Verfahren zum Ausführen der Fahrtregelung
FI20105033A (fi) * 2010-01-18 2011-07-19 Kone Corp Menetelmä hissikorin liikkeen valvomiseksi sekä hissijärjestelmä
US9371210B2 (en) * 2010-09-13 2016-06-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 having multiple buses
WO2012066937A1 (en) * 2010-11-17 2012-05-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motion of a first car and a second car in a multi-car elevator system
US8424651B2 (en) * 2010-11-17 2013-04-2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otion planning for elevator cars moving independently in one elevator shaft
EP2465804A1 (de) * 2010-12-16 2012-06-20 Inventio AG Multikabinenaufzug mit Bremszustandsanzeige
WO2013020934A1 (de) * 2011-08-11 2013-02-14 Inventio Ag Funktionsüberwachung eines sicherheitselementes
DE102011054590B4 (de) 2011-10-18 2022-06-09 Elgo-Electronic Gmbh & Co. Kg Vorrichtung zur Positionserfassung einer Aufzugkab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anlage
DE202011051667U1 (de) * 2011-10-18 2012-02-23 Elgo-Electronic Gmbh & Co. Kg Vorrichtung zur Positionserfassung einer Aufzugkabine
EP2594519A1 (de) * 2011-11-15 2013-05-22 Inventio AG Aufzug mit Sicherheitseinrichtung
EP2604563B1 (de) * 2011-12-12 2015-10-21 Cedes AG Sicherungsvorrichtung Antriebsvorrichtung und Aufzugvorrichtung
EP2604566B1 (de) * 2011-12-12 2014-03-26 Cedes AG Sicherungsvorrichtung sowie Aufzugvorrichtung
US10227208B2 (en) 2011-12-12 2019-03-12 Cedes Ag Safety apparatus for an elevator
EP2607282A1 (de) 2011-12-23 2013-06-26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Aufzug mit mehreren Kabinen
ES2566386T3 (es) 2012-01-25 2016-04-12 Inventio Ag Dispositivo de seguridad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la traslación de una cabina de ascensor
CN102602769A (zh) * 2012-03-17 2012-07-25 苏州莱茵电梯制造有限公司 一种智能电梯控制系统
WO2013140598A1 (ja) * 2012-03-23 2013-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FI123506B (fi) * 2012-05-31 2013-06-14 Kone Corp Hissin käyttölaite sekä hissin turvajärjestely
JP5894516B2 (ja) * 2012-10-05 2016-03-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制御システム
EP2956366B1 (de) * 2013-02-12 2017-03-29 Inventio AG Sicherheitskreisüberwachung mit wechselspannung
EP2813459A1 (en) * 2013-06-14 2014-12-17 Kone Corporation A safety controller for a hoisting machine
US9452909B2 (en) 2013-10-25 2016-09-27 Thyssenkrupp Elevator Ag Safety related elevator serial communication technology
ES2538418B1 (es) * 2013-12-19 2016-04-14 Orona, S. Coop. Sistema de control de seguridad de un ascensor, escalera mecánica o ánden móvil
JP6366165B2 (ja) * 2014-01-23 2018-08-01 三菱重工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走行制御装置、車両、交通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998259A1 (en) * 2014-09-18 2016-03-23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safety
WO2016062686A1 (de) 2014-10-21 2016-04-28 Inventio Ag Aufzug mit einem dezentralen elektronischen sicherheitssystem
DE102014017487A1 (de) 2014-11-27 2016-06-02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anlage sowie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ausgebildete Aufzugsanlage
DE102014017486A1 (de) * 2014-11-27 2016-06-02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mit einer Mehrzahl von Fahrkörben sowie einem dezentralen Sicherheitssystem
EP3230189B1 (de) 2014-12-10 2020-06-24 Inventio AG Aufzugsystem mit sicherheitsüberwachungssystem mit einer master-slave-hierarchie
WO2016203513A1 (ja) * 2015-06-15 2016-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安全システム
DE102015212882A1 (de) * 2015-07-09 2017-01-12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Steuerungssystem und Aufzugsanlage
CN106542392B (zh) 2015-09-16 2020-09-15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制动控制系统
AU2016231585B2 (en) * 2015-09-25 2018-08-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ponent separation assur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0472206B2 (en) 2015-12-04 2019-11-12 Otis Elevator Company Sensor failure detection and fusion system for a multi-car ropeless elevator system
DE202016101183U1 (de) * 2015-12-21 2017-03-23 Wittur Holding Gmbh Aufzug mit einem Sicherheitscontroller zum unmittelbaren Beeinflussen der Bremskraft
EP3257798A1 (de) 2016-06-17 2017-12-20 Inventio AG Personentransportanlage mit einem ersten und wenigstens einem zweiten auswertemodul
CN109789993B (zh) * 2016-09-29 2020-10-09 因温特奥股份公司 带有具有例如乘客自主撤离的选择的两个单元的电梯安全监督实体
WO2018059944A1 (en) 2016-09-29 2018-04-05 Inventio Ag Car and entity safety supervising unit for an elevator
US10384911B2 (en) * 2016-09-30 2019-08-2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having lockdown mode
EP3366626B1 (en) * 2017-02-22 2021-01-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EP3366627A1 (en) * 2017-02-22 2018-08-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EP3434634B2 (en) 2017-07-25 2024-07-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device
CN111212805B (zh) * 2017-10-27 2021-07-09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建筑物的人员运送设备的安全系统
CN109896371B (zh) * 2017-12-11 2021-08-27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电梯中的通信系统
CN110304507A (zh) * 2018-03-27 2019-10-08 蒂森克虏伯电梯(上海)有限公司 用于电梯的监控系统
AT520189B1 (de) * 2018-04-17 2019-02-15 Weigl Liftsysteme Gmbh Aufzugssicherheitseinrichtung
EP3587323A1 (en) * 2018-06-22 2020-01-0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CN108861930A (zh) * 2018-07-23 2018-11-23 辽宁华盾安全技术股份有限公司 电梯运行的物联网监控方法与系统
EP3609205B1 (en) 2018-08-10 2021-12-15 Otis Elevator Company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n a system
EP3672897A4 (en) * 2018-09-21 2021-03-24 G-Technology Co., Ltd. FIRST SAFETY CONTROL UNIT, PROCESS FOR ACTING THE FIRST SAFETY CONTROL UNIT, SECOND SAFETY CONTROL UNIT, PROCESS FOR ACTING THE SECOND CONTROL UNIT, AND ELEVATOR SYSTEM
US11591183B2 (en) 2018-12-28 2023-02-28 Otis Elevator Company Enhancing elevator sensor operation for improved maintenance
EP3744672A1 (de) 2019-05-31 2020-12-02 Cedes AG Grenzkurvensteuerung für aufzüge
EP3828117B1 (en) * 2019-11-26 2024-02-14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brake trigger
CN112027848A (zh) * 2020-07-14 2020-12-04 安徽银胜电梯设备有限公司 一种电梯运行安全监测系统
DE102020127515A1 (de) * 2020-10-19 2022-04-21 Pilz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sicherheitskritischen Prozesses
JP7332058B2 (ja) * 2020-11-05 2023-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US20240034593A1 (en) 2020-12-22 2024-02-01 Inventio Ag Elevator,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CN114834982B (zh) * 2022-05-20 2023-08-08 武汉理工大学 基于数字孪生技术的电梯智能调度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4484A (ja) * 1982-10-01 1984-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保守時運転装置
US4473133A (en) * 1982-12-06 1984-09-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DE3688073T2 (de) * 1986-04-03 1993-06-24 Otis Elevator Co Zweirichtungsringverbindungssystem fuer aufzugsgruppensteuerung.
GB2208731B (en) * 1987-08-12 1991-10-16 Hitachi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in elevator equipment
JPH0275583A (ja) 1988-09-13 1990-03-15 Toshiba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969401B2 (ja) 1991-10-29 1999-11-02 株式会社新川 ボンデイングワイヤ検査装置
US5360952A (en) * 1993-06-01 1994-11-01 Otis Elevator Company Local area network eleveator communications network
JPH07187525A (ja) * 1993-11-18 1995-07-25 Masami Sakita 複数ばこ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5654531A (en) * 1995-08-07 1997-08-05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Redundant multidrop communication system for elevators
ATE333431T1 (de) * 1995-10-17 2006-08-1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gruppe
KR0186120B1 (ko) * 1995-11-08 1999-04-15 이종수 내고장성과 범용성을 갖는 엘리베이터의 분산 제어장치
US6173814B1 (en) * 1999-03-04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elevators having a dual redundant safety bus
WO2002098778A1 (en) * 2001-06-04 2002-12-12 Read Holdings Limited Communication means for lift control system
DE50206242D1 (de) * 2001-09-03 2006-05-18 Inventio Ag Situationsabhängige reaktion im falle einer störung im bereich einer türe eines aufzugsystems
JP2004002020A (ja) * 2002-05-27 2004-01-08 Inventio Ag 数台の自走式かごと少なくとも3つの隣接配置されたエレベータ昇降路と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
EP1618059B1 (de) * 2003-04-30 2007-01-03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sowie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ufzuganlage
US7353914B2 (en) 2003-10-20 2008-04-08 Inventio Ag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JP4737941B2 (ja) 2004-03-09 2011-08-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BRPI0416606B1 (pt) * 2004-05-25 2015-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de segurança para um elevador
US20080202862A1 (en) 2004-07-27 2008-08-28 Frank Dudde Signal Strip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Movement Status Of A Moving Body
EP1785384B1 (en) * 2004-08-31 2014-04-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ler of one-shaft multi-car system elevator
JP2006157387A (ja) 2004-11-29 2006-06-15 Toshiba Elevator Co Ltd シリアル通信を用いた分散型マイコン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ATE371624T1 (de) 2005-01-07 2007-09-15 Thyssen Krupp Aufzuege Gmbh Aufzugsanlage mit einer steuervorrichtung
JP2006206245A (ja) * 2005-01-27 2006-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の信号伝送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WO2006106574A1 (ja) * 2005-03-31 2008-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7918320B2 (en) * 2005-11-25 2011-04-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mergency stop system for elevator
JP5186494B2 (ja) * 2006-06-07 2013-04-1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数台またはすべてのエレベータかご間で通信異常があった後に昇降路内のすべてのかごより少ないかごで行う運転
FI119508B (fi) * 2007-04-03 2008-12-15 Kone Corp Vikaturvallinen tehonohjauslaitteist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259A (ko) * 2017-03-29 2019-11-04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멀티-케이지 리프트 시설 및 멀티-케이지 리프트 시설을 동작시키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30977B2 (en) 2012-07-31
EP2022742B1 (de) 2014-06-25
EP2022742A1 (de) 2009-02-11
KR101317828B1 (ko) 2013-10-15
CN101687606B (zh) 2013-08-28
ES2499340T3 (es) 2014-09-29
CN101687606A (zh) 2010-03-31
WO2009018886A1 (de) 2009-02-12
BRPI0812319A2 (pt) 2014-11-25
JP2010523445A (ja) 2010-07-15
US20090277724A1 (en)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828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EP3599203B1 (en) Elevator safety system
EP3366626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EP2616376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US9708158B2 (en) Multi-car elevator using an exclusion zone and preventing inter-car collision
US8813919B2 (en) Elevator safety system preventing collision of cars
EP3333110B1 (en) Elevator safety system,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JP5215410B2 (ja) 単一の昇降路内で2つのエレベータかごを運転する制御方法
EP3322660B1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4907097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10947087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CN110002299B (zh) 电梯安全系统、电梯系统和操作电梯系统的方法
WO2013084279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制御装置
KR20120118058A (ko) 엘리베이터 안전 제어 장치
CN109311626B (zh) 多轿厢电梯的安全控制装置及安全控制方法
EP3519338B1 (en) Elevator safety supervising entity with two units having an option for e.g. autonomous passenger evacuation
JP2020001923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方法
KR1011899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220613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7328866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JP6471202B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WO2021070325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