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883A - 동화상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동화상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883A
KR20100054883A KR20107010154A KR20107010154A KR20100054883A KR 20100054883 A KR20100054883 A KR 20100054883A KR 20107010154 A KR20107010154 A KR 20107010154A KR 20107010154 A KR20107010154 A KR 20107010154A KR 20100054883 A KR20100054883 A KR 2010005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gop
image data
decoder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701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193B1 (ko
Inventor
겐시 다치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5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using parallelised computatio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단시간에 동화상의 역방향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동화상 재생 장치는 2개의 디코더와 출력 버퍼를 갖는다. 스탠바이 시에, 컨트롤러는 축적 장치에, 지정된 GOP의 I 픽쳐를 기준으로 1 GOP 앞의 제1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지정된 GOP의 I 픽쳐까지의 부호화된 제1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로부터 순차 판독하여, 제1 디코더에 디코드시킨다. 또한 한쪽 디코더에 의한 디코드 중에, 컨트롤러는 축적 장치에, 지정된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제2 GOP의 I 픽쳐까지의 제2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로부터 순차 판독하여, 제2 디코더에 디코드시킨다. 제1, 제2 디코더의 출력을 출력 버퍼에 기록시킨다. 이것에 의해, 역방향 재생 시작 시에 시작부터 바로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가 출력 버퍼로부터 출력되어, 동화상이 재생된다.

Description

동화상 재생 장치{DYNAMIC IMAGE REPRO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예컨대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 소재를 저장하는 방송 프로그램 송출 시스템에 적용되는 동화상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축적 장치에 저장된 소재를 순방향 재생 또는 역방향 재생시켜 확인하기 위한 동화상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 프로그램 송출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 소재를 미리 축적 서버에 저장해 두고, 자동 프로그램 송출 제어 장치(APC)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해당하는 소재를 재생하고, 방송한다. 프로그램 송출 처리에서는, 통상 방송 전에 방송 순서에 따라 소재를 확인한다.
소재의 확인은, 오퍼레이터가 축적 서버로부터 순차 방송되는 소재를 판독하고, 순방향 재생, 빨리감기 재생, 역방향 재생, 건너뛰기 재생에 의해 프리뷰를 행한다. 또한 순방향 재생으로부터 역방향 재생으로 전환한 경우라도, 원활한 역재생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03652호 공보; 소재의 확인에서,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역방향 재생을 하는 경우, 역방향 재생 화상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잠시 시간이 걸린다. 즉, 오픈 GOP(Group Of Pictures) 구조의 동화상 데이터의 경우, I 픽쳐보다 앞에 있는 B 픽쳐는 쌍방향 예측을 위해, 직전의 GOP의 화상 데이터가 없으면 디코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직전의 GOP의 I 픽쳐로부터 순서대로 디코드해 가야 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가 I 픽쳐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직전의 GOP의 화상 데이터의 판독 및 디코드가 필요하여, 역방향 재생을 시작하여 역방향 재생 화상이 표시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역방향 재생을 하는 경우, 역방향 재생 화상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잠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이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기 위한 방법이, 종래부터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시간에 동화상의 역방향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는, 1장의 픽쳐 내 부호화 화면이 되는 I 픽쳐, 이 I 픽쳐에 기초하여 작성된 예측 화면이 되는 P 픽쳐, 이 I 픽쳐 및 P 픽쳐에 기초하여 작성된 B 픽쳐를 갖는 GOP(Group Of Pictures) 구조의 동화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축적 장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디코더;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디코더; 이들 제1 디코더 및 제2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셀렉터; 이 셀렉터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출력 버퍼; 및 축적 장치의 판독 처리, 제1 디코더 및 제2 디코더의 디코드 처리, 및 셀렉터의 전환 처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갖는다. 스탠바이 시에, 컨트롤러는, 축적 장치에 지정된 GOP의 I 픽쳐를 기준으로 1 GOP 앞의 제1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지정된 GOP의 I 픽쳐까지의 제1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로부터 순차 판독시켜, 제1 디코더에 제1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시킨다. 또한 제1 디코더에 의한 디코드 중에, 컨트롤러는, 축적 장치에, 지정된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제2 GOP의 I 픽쳐까지의 제2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로부터 순차 판독시켜, 제2 디코더에 제2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시킨다. 또한 컨트롤러는, 셀렉터에 제1 디코더 및 제2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교대로 전환시킨다. 또한 순방향 재생 시작 시 또는 역방향 재생 시작 시에, 컨트롤러는 출력 버퍼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 디코더를 이용한다. 스탠바이 시에, 지정된 GOP의 I 픽쳐를 기준으로 1 GOP 앞의 제1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지정된 GOP의 I 픽쳐까지의 제1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가 축적 장치로부터 순차 판독되어, 제1 디코더에 의해 디코드된다. 또한 제1 디코더에 의한 디코드 중에, 지정된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제2 GOP의 I 픽쳐까지의 제2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가 축적 장치로부터 순차 판독되어, 제2 디코더에 의해 디코드된다. 또한 제1 디코더 및 제2 디코더의 각 복호된 화상 데이터는 출력 버퍼에 저장된다.
따라서, 역방향 재생 시작 시에, 출력 버퍼로부터 복호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만으로 동화상을 출력할 수 있어, 역방향 재생 시부터 동화상 출력까지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순방향 재생 시에도 복호 지연을 대기하지 않고, 바로 동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시간에 동화상의 역방향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의 재생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재생 속도에 따라 솎아냈을(thinning image) 때의 재생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GOP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GOP 구조의 동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축적 장치(11)는 미리 방송용 프로그램의 소재 데이터(동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APC(자동 프로그램 송출 제어 장치)(12)로부터 주어지는 방송 지시 신호에 따라서, 해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한다. 판독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는, 제1 디코더(13), 제2 디코더(14)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디코드되어 출력된다. 화상 데이터는 셀렉터(15)에 유도되고, 셀렉터(15)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 버퍼(16)에 저장된다. 또한 출력 버퍼(16)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는 컨트롤러(17)에 의해 출력 버퍼(16)로부터 동화상 데이터로서 적절하게 출력된다.
또한, 컨트롤러(17)는, 오퍼레이터의 조작 입력 지시에 따라, 축적 장치(11)에 대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의 기록/판독 제어, 제1 디코더(13) 및 제2 디코더(14)의 디코드 제어, 셀렉터(15)의 전환 제어, 출력 버퍼(16)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기록/판독 제어를 한다.
이하에 컨트롤러(17)에 의한 각 제어 처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1)에서는, 축적 장치(11)로부터 판독된 GOP 구조의 화상 데이터열을, 제1 디코더(13) 및 제2 디코더(14)에 입력한다.
우선, GOP 구조를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GOP 구조는, 픽쳐 내 부호화에 의한 I(Intra) 픽쳐, 픽쳐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에 의한 P(Predictive) 픽쳐, 및 쌍방향 예측 부호화에 의한 B(Bidirectionally Predictive) 픽쳐의 3타입의 픽쳐를 갖는다. 즉, GOP 구조는, 1장 이상의 픽쳐 내 부호화 화면이 되는 I 픽쳐, 이 I 픽쳐에 기초하여 작성된 예측 화면이 되는 P 픽쳐, 이 I 픽쳐 및 P 픽쳐에 기초하여 작성된 B 픽쳐를 갖는다. 일례로서, 그 배열 순서는 IBBPBBPBBPBBPBB로 되어 있고, 하나의 GOP 기간은 통상 15 픽쳐로 설정되어 있다. 이 GOP 구조가 무너지면, 화상 재생 시에 화면이 흐트러지거나, 재생이 끊기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동화상 데이터는 축적 장치에 상기 배열 순서로 기록되지만, 재생하는 경우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BIBBPBBPBBPBBP의 순으로 디코드된다.
오픈 GOP의 동화상 데이터에서는, I 픽쳐보다 앞에 있는 B 픽쳐는 쌍방향 예측을 위해, 직전의 GOP의 화상 데이터가 없으면 디코드할 수 없다. 예컨대 도 6에 있어서, 고속 서치하여 GOP2의 I02 픽쳐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B00, B01 픽쳐는, 직전의 GOP1의 P14 픽쳐의 데이터가 없으면 디코드할 수 없다. 또한 P14는 그 앞의 I02로부터 순서대로 디코드하지 않으면 디코드할 수 없다. 따라서, 역방향 재생을 시작한 후 B01 픽쳐가 표시될 때까지, 약 0.5초(15 픽쳐)의 지연이 발생한다.
도 2는, 디코드 전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와 그것을 디코드하는 디코더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출력 버퍼와의 관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동화상 재생 장치(1)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탠바이 상태가 되면 바로 전후 각 1 GOP분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출력 버퍼(16)에 축적해 둔다. 즉, 제1 디코더(13) 및 제2 디코더(14)를 동시에 동작시켜, 앞 1 GOP분 및 뒤 1 GOP분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동시에 디코드한다. 컨트롤러(17)는, 축적 장치(11)에, 스탠바이 위치에 있는 GOP2의 I02 픽쳐를 기준으로, 이 GOP2의 앞에 있는 GOP1(B00 픽쳐로부터 P14 픽쳐까지)과 이것에 연속하는 GOP2의 B00, B01, I02 픽쳐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로부터 판독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러(17)는, GOP1의 I02 픽쳐부터 GOP2의 I02 픽쳐 직전까지(B01 픽쳐까지)의 1 GOP 기간의 15 픽쳐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제2 디코더(14)에 디코드시킨다. 또한, 제2 디코더(14)의 디코드 중에, 컨트롤러(17)는 축적 장치(11)에, 스탠바이 위치의 I02 픽쳐를 포함하는 GOP2(B00 픽쳐로부터 P14 픽쳐까지)와 이것에 연속하는 GOP3의 B00, B01, I02 픽쳐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로부터 판독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러(17)는, 스탠바이 위치의 GOP2의 I02 픽쳐로부터 GOP3의 I02 픽쳐 직전까지(B01 픽쳐까지)의 1 GOP 기간의 15 픽쳐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제1 디코더(13)에 디코드시킨다.
각각 최초의 GOP의 I 픽쳐 직전까지의 B00 및 B01 픽쳐는, 제1 디코더(13), 제2 디코더(14)로 디코드할 수 없기 때문에 파기된다. 그리고, 컨트롤러(17)는 I 픽쳐 이후의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를, 픽쳐마다 셀렉터(15)를 제1 디코더(13)의 출력, 제2 디코더(14)의 출력으로 교대로 전환시켜, 출력 버퍼(16)에 기록시킨다. 또한, 출력 버퍼(16)는 링버퍼로 구성되고, 기록 포인터를, 각 픽쳐마다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디코더(13)의 출력, 제2 디코더의 출력이, 출력 버퍼(16) 상에서, 각 GOP 마다 각 픽쳐가 연속한 위치에 보존된다. 또한 링 버퍼에서는, 기록 포인터 및 판독 포인터는, 각각 우단까지 행하면 좌단으로 포인터가 이동한다.
이후, 출력 버퍼(16)에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되어 있으면, 역방향 재생 시작 시에 시작부터 바로 화상 데이터가 출력 버퍼(16)로부터 출력되어, 동화상이 재생된다. 또한 순방향 재생 시작 시도 디코드 지연을 대기하지 않고, 바로 화상 데이터가 출력 버퍼(16)로부터 출력되어, 동화상이 재생된다.
또한, 재생이 시작되면, 이후, 현재 출력중인 GOP의 재생 방향에 따라, 컨트롤러(17)는 축적 장치에, 다음의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GOP의 I 픽쳐까지의 단위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로부터 판독시켜, 제1 디코더(13), 제2 디코더(14)에 교대로 입력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러(17)는 판독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제1 디코더(13), 제2 디코더(14)에 디코드시킨다. 또한 컨트롤러(17)는, 셀렉터(15) 및 출력 버퍼(16)에, 각 디코더(13, 14)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그 GOP의 I 픽쳐로부터 이것에 연속하는 GOP의 I 픽쳐 앞까지의 1 GOP 기간분의 15 픽쳐마다 교대로 순차 출력 버퍼(16)에 기록시킨다. 또한, 출력 버퍼(16)로부터는 순차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화상을 재생시킨다.
순방향·역방향의 1.1배속부터 1.9배속 재생을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7)는, 제1 디코더(13) 및 제2 디코더(14)에, 제1 디코더(13) 및 제2 디코더(14)의 출력을 재생 속도에 따라서 솎아내고, 출력 버퍼(16)에 기록한다. 출력 버퍼(16)로부터 통상의 속도로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면, 동화상은 1.1배속부터 1.9배속으로 재생된다.
2배속 이상의 재생은, B 픽쳐를 디코드하지 않고, I 픽쳐 및 P 픽쳐만 디코드하도록, 컨트롤러(17)로써 제1 디코더(13), 제2 디코더(1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속의 재생은, I 픽쳐만 디코드하도록, 컨트롤러(17)로써 제1 디코더(13), 제2 디코더(1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1)에 의하면, 제1 디코더(13) 및 제2 디코더(14)의 2개의 디코더를 이용한다. 스탠바이 시에, 컨트롤러(17)는 축적 장치(11)에, 지정된 GOP의 I 픽쳐를 기준으로 그 하나 앞의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지정된 GOP의 B00, B01, I02 픽쳐의 제1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로부터 순차 판독시키고, 제2 디코더(14)에 디코드시켜, 하나 앞의 GOP의 I 픽쳐로부터 지정된 GOP의 I 픽쳐 앞까지의 1 GOP 기간분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 버퍼(16)에 기록시킨다. 또한 제2 디코더(14)에 의한 디코드 중에, 컨트롤러(17)는 축적 장치(11)에, 지정된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GOP의 B00, B01, I02 픽쳐의 제2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로부터 순차 판독시키고, 제1 디코더(13)에 디코드시켜, 기준의 I 픽쳐로부터 다음 GOP의 I 픽쳐 앞까지의 1 GOP 기간분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 버퍼(16)에 기록시킨다.
따라서, 스탠바이 위치를 기준으로 전후 각 1 GOP분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가 디코드되어,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가 출력 버퍼에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역방향 재생 시작 시에, 역방향 재생 시작부터 동화상 출력까지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순방향 재생 시작 시에도, 디코드 지연을 대기하지 않고, 바로 동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디코더로 앞 GOP, 뒤 1 GOP분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각각 디코드하기 때문에, 디코드에 요하는 시간도 짧게 할 수 있어, 순방향 재생으로부터 역방향 재생으로 전환한 경우라도, 조속히 동화상 재생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상기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1)는, 제1 디코더(13)의 출력단에 제1 출력 버퍼(18)를, 또한 제2 디코더(14)의 출력단에 제2 출력 버퍼(19)를 설치한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와 상이하다.
컨트롤러(17)는, 축적 장치(11)에, 축적 장치(11)로부터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시키고, 제1 디코더(13), 제2 디코더(14)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디코드시킨다. 그리고, 제1 디코더(13)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는, 제1 출력 버퍼(18)에 저장되어, 적절하게 출력된다. 또한, 제2 디코더(14)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는, 제2 출력 버퍼(19)에 저장되어, 적절하게 출력된다.
각 출력 버퍼(18, 19)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는, 셀렉터(15)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실시예 1과는 상이하게, 스탠바이 시도, 셀렉터(15)는 컨트롤러(17)에 의해 1 GOP 기간 단위로 전환 제어된다.
이후, 각 출력 버퍼(18, 19)에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되어 있으면, 역방향 재생 시작 시에 시작부터 바로 화상 데이터가 각 출력 버퍼(18 또는 19)로부터 출력되어, 동화상이 재생된다. 또한 순방향 재생 시작 시도 디코드 지연을 대기하지 않고, 바로 화상 데이터가 각 출력 버퍼(19 또는 18)로부터 출력되어 동화상이 재생된다.
또한, 재생이 시작되었다면, 한쪽 출력 버퍼로부터의 출력이 종료 등을 하여 화상 데이터가 필요 없게 된 후에, 현재 출력중인 GOP의 재생 방향에 따라, 다음의 GOP 및 이것에 연속하는 GOP의 I 픽쳐까지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축적 장치(11)로부터 판독한다. 판독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가 필요 없게 된 출력 버퍼가 접속된 디코더로 디코드되고, 그 GOP의 I 픽쳐로부터 이것에 연속하는 GOP의 I 픽쳐 앞까지의 1 GOP 기간의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가 출력 버퍼에 기록된다. 또한 출력 버퍼(18, 19)의 출력은 1 GOP 기간마다 전환되고, 순차 화상 데이터가 판독된다.
실시예 2에서도, 제1 출력 버퍼, 제2 출력 버퍼에 전후 각 1 GOP분의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역방향 재생 시작 시에, 역방향 재생 시작부터 동화상 출력까지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순방향 재생 시작 시에도, 디코드 지연을 대기하지 않고, 바로 동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디코더로 앞 1 GOP, 뒤 1 GOP분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각각 디코드하기 때문에, 디코드에 요하는 시간도 짧게 할 수 있어, 순방향 재생으로부터 역방향 재생으로 전환한 경우라도, 조속히 동화상 재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에 한정되지 않고, 동화상 재생 장치의 구성, 재생 제어 순서 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탠바이 상태시에, 역방향 재생 시작 시에, 역방향 재생 시작부터 동화상 출력까지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순방향 재생, 정지, 역방향 재생이 반복하여 행해지는 용도로 사용되는 동화상 재생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11: 축적 장치, 12: APC, 13: 제1 디코더, 14: 제2 디코더, 15: 셀렉터, 16: 출력 버퍼, 17: 컨트롤러, 18: 제1 출력 버퍼, 19: 제2 출력 버퍼.

Claims (10)

1장의 픽쳐 내 부호화 화면이 되는 I 픽쳐, 이 I 픽쳐에 기초하여 작성된 예측 화면이 되는 P 픽쳐, 이 P 픽쳐에 기초하여 작성된 B 픽쳐를 갖는 GOP(Group Of Pictures) 구조의 동화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축적 장치;
이 축적 장치로부터 판독되는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디코더;
이 축적 장치로부터 판독되는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디코더;
이들 제1 및 제2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셀렉터;
이 셀렉터로부터 출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출력 버퍼; 및
상기 축적 장치의 판독 처리,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의 디코드 처리, 및 상기 셀렉터의 전환 처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로서,
a) 스탠바이 시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축적 장치에, 지정된 GOP의 I 픽쳐를 기준으로 1 GOP 앞의 제1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상기 지정된 GOP의 I 픽쳐까지의 제1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 장치로부터 순차 판독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제1 디코더에 상기 제1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게 하고,
상기 제1 디코더에 의한 디코드 중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축적 장치에, 상기 지정된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제2 GOP의 I 픽쳐까지의 제2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 장치로부터 순차 판독하게 하고, 상기 제2 디코더에 상기 제2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게 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셀렉터에,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교대로 전환하게 하고,
b) 순방향 재생 시작 시 또는 역방향 재생 시작 시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출력 버퍼에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는 것인 동화상 재생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재생 시 또는 상기 역방향 재생 시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축적 장치에, 재생 방향에 따라 재생 중인 GOP의 다음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GOP의 I 픽쳐까지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 장치로부터 판독하게 하고,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에 교대로 입력하게 하고,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에, 상기 재생 중인 GOP의 다음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GOP의 I 픽쳐까지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교대로 디코드하게 하고, 또한 상기 셀렉터에,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1 픽쳐 기간마다 교대로 전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시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디코더에, 상기 제1 GOP와 상기 지정된 GOP의 I 픽쳐까지의 상기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GOP의 I 픽쳐로부터 상기 지정된 GOP의 I 픽쳐 앞까지의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고, 상기 제2 디코더에, 상기 지정된 GOP와 상기 제2 GOP의 I 픽쳐까지의 상기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지정된 GOP의 I 픽쳐로부터 상기 제2 GOP의 I 픽쳐 앞까지의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재생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에, 각각의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를 솎아내고(thinning out), 상기 출력 버퍼에 기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재생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에, 상기 I 픽쳐 및 상기 P 픽쳐, 또는 상기 I 픽쳐를 디코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1장의 픽쳐 내 부호화 화면이 되는 I 픽쳐, 이 I 픽쳐에 기초하여 작성된 예측 화면이 되는 P 픽쳐, 이 P 픽쳐에 기초하여 작성된 B 픽쳐를 갖는 GOP(Group Of Pictures) 구조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축적 장치;
이 축적 장치로부터 판독되는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디코더;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디코더;
상기 제1 디코더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제1 출력 버퍼;
상기 제2 디코더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며, 출력하는 제2 출력 버퍼;
상기 제1 출력 버퍼의 출력 및 상기 제2 출력 버퍼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셀렉터; 및
상기 축적 장치의 판독 처리,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의 디코드 처리, 및 상기 셀렉터의 전환 처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동화상 재상 장치로서,
a) 스탠바이 시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축적 장치에, 지정된 GOP의 I 픽쳐를 기준으로 1 GOP 앞의 제1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상기 지정된 GOP의 I 픽쳐까지의 제1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 장치로부터 순차 판독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제1 디코더에 상기 제1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게 하고,
이 제1 디코더에 의한 디코드 중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축적 장치에, 상기 지정된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제2 GOP의 I 픽쳐까지의 제2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 장치로부터 순차 판독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제2 디코더에 상기 제2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게 하고,
b) 순방향 재생 시작 시 또는 역방향 재생 시작 시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출력 버퍼 또는 상기 제2 출력 버퍼에,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는 것인 동화상 재생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재생 시 또는 상기 역방향 재생 시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축적 장치에, 재생 방향에 따라 재생 중인 GOP의 다음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GOP의 I 픽쳐까지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축적 장치로부터 판독하게 하고,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에 교대로 입력하게 하고,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에, 상기 재생 중인 GOP의 다음 GOP와 이것에 연속하는 GOP의 I 픽쳐까지의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교대로 디코드하게 하고, 또한 상기 셀렉터에, 상기 제1 출력 버퍼 및 상기 제2 출력 버퍼의 출력을 1 GOP 기간마다 교대로 전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시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디코더에, 상기 제1 GOP와 상기 지정된 GOP의 I 픽쳐까지의 상기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GOP의 I 픽쳐로부터 상기 지정된 GOP의 I 픽쳐 앞까지의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고, 상기 제2 디코더에, 상기 지정된 GOP와 상기 제2 GOP의 I 픽쳐까지의 상기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지정된 GOP의 I 픽쳐로부터 상기 제2 GOP의 I 픽쳐 앞까지의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재생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에, 각각의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를 솎아내고, 상기 제1 출력 버퍼 및 상기 제2 출력 버퍼에 기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재생 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1 디코더 및 상기 제2 디코더에, 상기 I 픽쳐 및 상기 P 픽쳐, 또는 상기 I 픽쳐를 디코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KR20107010154A 2007-11-09 2008-11-10 동화상 재생 장치 KR101177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2424A JP4575417B2 (ja) 2007-11-09 2007-11-09 動画像再生装置
JPJP-P-2007-292424 2007-11-09
PCT/JP2008/003243 WO2009060630A1 (ja) 2007-11-09 2008-11-10 動画像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883A true KR20100054883A (ko) 2010-05-25
KR101177193B1 KR101177193B1 (ko) 2012-08-24

Family

ID=4062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7010154A KR101177193B1 (ko) 2007-11-09 2008-11-10 동화상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542985B2 (ko)
JP (1) JP4575417B2 (ko)
KR (1) KR101177193B1 (ko)
CN (1) CN101855904B (ko)
BR (1) BRPI0818907B1 (ko)
CA (2) CA2895907C (ko)
MX (1) MX2010005020A (ko)
WO (1) WO2009060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2418B2 (ja) 2012-04-12 2014-11-26 株式会社東芝 ビデオサーバ、およびその映像信号出力制御方法
US9883194B2 (en) * 2015-06-15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 bit rate video decoding
US9832476B2 (en) 2015-06-15 2017-11-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 bit rate video decod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8874B2 (ja) * 1996-06-05 2001-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圧縮ディジタルビデオビットストリーム分割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復号方法及び装置
JPH1098713A (ja) 1996-09-20 1998-04-14 Sony Corp 映像信号切換装置
JP2002223416A (ja) * 2001-01-29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像の復号化方法
JP3874730B2 (ja) * 2002-01-24 2007-01-31 シャープ株式会社 動画像再生装置
KR100591754B1 (ko) * 2003-06-11 200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의 역재생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5341168A (ja) * 2004-05-26 2005-12-08 Sony Corp 復号化装置及び方法
JP4221667B2 (ja) * 2004-08-25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867235B2 (ja) * 2004-10-26 2012-02-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244974B2 (ja) * 2004-10-26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再生装置、データ処理装置、再生方法、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303652A (ja) * 2005-04-15 2006-11-02 Sony Corp 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方法
JP4297121B2 (ja) * 2006-03-01 2009-07-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4775209B2 (ja) * 2006-09-22 2011-09-2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符号分割多重光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90760A1 (en) 2010-11-18
CA2895907C (en) 2018-01-23
JP4575417B2 (ja) 2010-11-04
BRPI0818907A2 (pt) 2015-05-12
CA2705236A1 (en) 2009-05-14
US8542985B2 (en) 2013-09-24
CA2705236C (en) 2016-10-11
US8682147B2 (en) 2014-03-25
KR101177193B1 (ko) 2012-08-24
JP2009118432A (ja) 2009-05-28
BRPI0818907B1 (pt) 2020-10-20
US20130188934A1 (en) 2013-07-25
CA2895907A1 (en) 2009-05-14
WO2009060630A1 (ja) 2009-05-14
CN101855904A (zh) 2010-10-06
MX2010005020A (es) 2010-05-27
CN101855904B (zh)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8960A (ko) 기록 비디오의 트릭 모드 재생
EP2219382A1 (en) Image coder, video camera, integrated circuit, and image coding method
KR101177193B1 (ko) 동화상 재생 장치
EP1701545B1 (en) Image reproduc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9990088644A (ko) 트릭플레이형태를갖는디지털영상플레이백
US6978082B1 (en) AV decoder control method and AV decoder control apparatus
JP4171414B2 (ja) シャドー・イントラ・ピクチャの挿入によるビデオ変更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3039416B2 (ja) 映像記憶再生装置
JP2001177829A (ja) 動画像データの再生方法および動画画像データ再生装置
NL1030073C2 (nl) Bewegend beeld compressie-codeerinrichting en opslagwerkwijze.
KR20120074191A (ko) 비디오 서버 및 심리스 재생 방법
JP4284830B2 (ja) 動画像編集復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H0993540A (ja) Vodシステムにおける特殊再生方式
JP4046496B2 (ja) 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復号方法、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ている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H08223534A (ja) 画像再生装置
JP200011577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動画像符号化方法
EP2487910B1 (en) Image coding device and image coding method
JP2012151582A (ja) ビデオサーバ装置、およびビデオサーバにおける素材連続再生方法
KR100223656B1 (ko) 엠펙(mpeg) 비디오 데이터 복호기가 구비된 장치의 화면 디스플레이방법
JP2001145111A (ja) 動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H09252457A (ja) 圧縮映像編集装置
JPH0923407A (ja) デコード装置及び再生装置
JPH10173993A (ja) ビデオデータ送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