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950A - 피부 세정료 및 이것에 이용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 - Google Patents

피부 세정료 및 이것에 이용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950A
KR20100045950A KR1020097022117A KR20097022117A KR20100045950A KR 20100045950 A KR20100045950 A KR 20100045950A KR 1020097022117 A KR1020097022117 A KR 1020097022117A KR 20097022117 A KR20097022117 A KR 20097022117A KR 20100045950 A KR20100045950 A KR 20100045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amate
acyl
mass
acyl glutamat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아키 이마스
타카마사 히토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Publication of KR2010004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10Amino carboxylic acids; Imino carboxylic acids; Fatty acid condensat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품성, 세정 후의 매끈함, 촉촉함이 우수한 N-아실 글루타민산염 및 이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함유하는 피부 세정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5∼50 질량%의 N-라우로일 글루타민산염을 함유하고, 또한, N-팔미토일 글루타민산염과 N-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염의 합계량이 30∼50 질량%이며, 14∼25 질량%의 N-올레오일 글루타민산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 및 이것을 이용한 피부 세정료이다.

Description

피부 세정료 및 이것에 이용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SKIN CLEANSER, AND N-ACYL GLUTAMIC ACID SALT FOR USE IN THE SAME}
본 발명은 N-아실 글루타민산염에 관한 발명이며, 특히 N-아실 글루타민산염의 지방산 조성을 조정한 N-아실 글루타민산염 및 이것을 이용한 피부 세정료에 관한 발명이다.
세안료나 신체용 등의 피부 세정료에 있어서, 안전성이 높고, 거품성이 좋으며, 헹굼시나 타올 드라이 후의 사용성이 좋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사용성이 좋은 것이란, 헹굼시에는, 린스성이 좋고, 뻑뻑함이 없어 매끈매끈한 감촉, 타올 드라이 후에는, 피부가 건조하지 않고 당기지 않는, 촉촉함이 있는 것이다.
N-아실 글루타민산염은 저자극으로 안전성이 높고, 거품성, 사용 후의 감촉이 좋은 세정제로서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사용한 세정제는 다수 개발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그러나, N-아실 글루타민산염의 지방산 조성을 조정하여, N-아실 글루타민산염의 세정제로서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연구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5에는 식물유 유래의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N-아실 글루타민산염이 동물유 유래의 지방산으로 아실화된 N-아실 글루타민산염과 비교해서 악취가 적은 것이 나타나 있다. 지방산 조성도 개시되어 있지만, 지방산 조성의 차이에 의한 N-아실 글루타민산염의 기능의 차이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N-아실 글루타민산염의 아실기의 쇄 길이가 길면 수용성이 저하되어, 액형 세정제에 배합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나, 고체형 혹은 분말형 세정제에는 아실기의 쇄 길이가 긴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 특유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아실기의 쇄 길이가 긴 N-아실 글루타민산염은 세정 후의 매끈함(헹굼 후의 피부와 손가락과의 미끄러짐 감각)이 우수하고, 이 사용 감촉은 다른 계면 활성제에서는 실현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아실기의 쇄 길이가 긴 N-아실 글루타민산염은, 거품성이 나쁘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한편, 아실기의 쇄 길이가 짧은 N-아실 글루타민산염은, 거품성은 좋지만, 세정 후의 매끈함, 보습감은 뒤떨어진다. 이들 복수 종류의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혼합하더라도, 세정 후의 매끈함, 촉촉함(보습감)과 거품성이 모두 우수한 세정제는 아직 없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15808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15729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5-60298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8455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670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아실기의 쇄 길이가 긴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많이 함유하는 고형 비누용 N-아실 글루타민산나트륨이 알려져 있고, 그 세정제로 세안했을 때의, 세정 후의 매끈함, 보습감은 우수하다. 그러나, 거품성이 약간 뒤떨어지는 것이 결점이다. 거품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 고형 비누용 N-아실 글루타민산 나트륨에, 거품성이 우수한 N-라우로일 글루타민산염을 배합하면, 세정 후의 매끈함, 보습감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특정한 지방산 조성의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조제하여, 거품성, 세정 후의 매끈함, 촉촉함 모두가 우수한 N-아실 글루타민산염 및 이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함유하는 피부 세정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주된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35∼50 질량%의 N-라우로일 글루타민산염을 함유하고, 또한, N-팔미토일 글루타민산염과 N-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염의 합계량이 30∼50 질량%이며, 14∼25 질량%의 N-올레오일 글루타민산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
(2) 용액 상태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상기 (1)에 기재한 N-아실 글루타민산염.
(3) 분말형 혹은 과립형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N-아실 글루타민산염.
(4)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료.
(5)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혹은 과립형의 피부 세정료.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거품성이 좋고, 피부 세정 후에는 매끈함, 촉촉함(보습감) 모두가 우수한 세정제의 원료가 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이것을 이용한 우수한 세정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각 세정료의 NMF 용출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각 세정료의 각질층 수분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각 세정료의 기포(起泡)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는, 35∼50 질량%의 N-라우로일 글루타민산염을 함유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이용한다. N-라우로일 글루타민산염의 함유량이 35 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거품성(기포력)을 얻을 수 없고, 50 질량%를 넘으면 세정 후의 매끈함, 촉촉함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거품성, 촉촉함 및 매끈함은 예컨대 후술하는 시험예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거품성은, 거품을 낸 거품 양의 다소에 의해 평가할 수 있고, 예컨대 기포력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촉촉함은, 보습감이라고도 하고, 세정 후의 수분을 닦아낸 후의 피부와 손바닥과의 밀착 감각이나, NMF 용출 시험, 각질층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 등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매끈함은, 헹굼 후의 피부와 손가락과의 미끄러짐 감각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N-아실 글루타민산염은, N-팔미토일 글루타민산염과 N-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염을 합쳐 30∼50 질량% 함유하고, N-올레오일 글루타민산염을 14∼25 질량% 함유한다. N-팔미토일 글루타민산염과 N-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염을 합친 함유량이 30 질량% 미만이면 매끈함, 촉촉함이 뒤떨어지고, 50 질량%를 넘으면 충분한 거품성을 얻기 어렵다. N-올레오일 글루타민산염의 함유량이 14 질량% 미만이면 매끈함, 촉촉함, 거품성 중 어느 하나가 뒤떨어지거나, 매끈함, 촉촉함, 거품성이 전체적으로 나빠진다. N-올레오일 글루타민산염의 함유량이 25 질량%를 넘으면 분말이 시간 경과적으로 융착되어, 분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N-아실 글루타민산염의 지방산 조성은, 상기 범위 내이면 좋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N-라우로일 글루타민산염의 농도가 36∼41 질량%, N-팔미토일 글루타민산염과 N-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염을 합친 농도가 38∼46 질량%이면 기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세정료로서 이용하는 경우,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N-아실 글루타민산염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고, 예컨대 지방산 염화물과 글루타민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아실기로서는 탄소수 8∼2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아실기로 예컨대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베헨산 등의 단일 조성의 지방산 혼합물에 의한 아실기 이외에, 팜유 지방산, 야자유 지방산, 해바라기유 지방산, 대두유 지방산, 우지 지방산, 경화우지 지방산 등의 천연에서 얻어지는 혼합 지방산을 정제한 것 혹은 합성에 의해 얻어진 지방산의 혼합물에 의한 아실기라도 좋다.
본 발명의 분말형 혹은 과립형의 N-아실 글루타민산염은, 지방산 조성이 다른 복수 종류의 분말형 혹은 과립형의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제조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35∼50 질량%의 N-라우로일 글루타민산염, 30∼50 질량%의 N-팔미토일 글루타민산염과 N-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염의 혼합물 및 14∼25 질량%의 N-올레오일 글루타민산염을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거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성의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용액 상태에서 균일하게 한 것을 건조하여, 예컨대 분말형 혹은 과립형으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35∼50 질량%의 N-라우로일 글루타민산염, 30∼50 질량%의 N-팔미토일 글루타민산염과 N-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염의 혼합물 및 14∼25 질량%의 N-올레오일 글루타민산염을 함유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용액 상태에서 균일하게 한 것을 분말형 혹은 과립형으로 가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적당량의 라우린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을 함유하는 지방산 혼합물의 염화물과 글루타민산을 반응시키고, 얻어진 N-아실 글루타민산을 중화하여, 분말화 혹은 과립화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35∼50 질량%의 N-라우로일 글루타민산염, 30∼50 질량%의 N-팔미토일 글루타민산염과 N-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염의 혼합물 및 14∼25 질량%의 N-올레오일 글루타민산염을 함유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용액 상태에서 균일하게 한 것을 건조하는 방법으로서, 35∼50 질량%의 N-라우로일 글루타민산염, 30∼50 질량%의 N-팔미토일 글루타민산염과 N-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염의 혼합물 및 14∼25 질량%의 N-올레오일 글루타민산염을 혼합하고, 용매에 용해하여 균일하게 한 후, 건조시키더라도 좋다. 용매로서는, 예컨대 열수(熱水) 등을 들 수 있다.
라우린산은 주로 야자유 지방산 정제물로부터, 스테아르산은 주로 팜유 지방산 정제물로부터, 올레산은 주로 해바라기유 지방산 정제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올레산에 대해서는, 우지 지방산, 팜유 지방산, 대두유 지방산을 정제하여 얻은 것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서, 해바라기유 지방산을 정제한 것을 이용함으로써,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N-아실 글루타민산은, 나트륨, 칼륨 등의 금속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유기염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말형 또는 과립형 피부 세정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N-아실 글루타민산염 이외의 계면 활성제를 배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등의 계면 활성 작용을 갖는 것이며, 천연의 것이나 합성의 것 어느 것이라도 좋다. 음이온 계면 활성제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지방산염, 아실이세티온산염, 아실아스파라긴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료에는, 당류, 당알콜류, 유기 분체, 무기 분체, 고분자류, 방부제, 금속 이온 봉쇄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보습제, 향료, pH 조정제, 건조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비타민류, 피부 부활제, 혈행 촉진제, 상재균 컨트롤제, 활성 산소 소거제, 항염증제, 미백제, 살균제 등의 다른 약효 성분, 생리 활성 성분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당류, 당알콜류로서는, 글루코오스, 소르비톨, 만노스, 만니톨, 갈락토오스, 갈락티톨, 말토스, 멀티톨, 트레할로오스, 에리스로스, 에리스리톨, 크실로스, 크실리톨, 수크로스, 락토스, 락티톨, 디프럭토스 언하이드라이드(difructose anhydride)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분말, 나일론 분말, 폴리우레탄 분말, 한천 분말, 코르크 분말,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분체로서는, 탈크, 카올린, 실리카, 운모,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이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류로서는, 아라비아 고무, 트라가칸스검, 갈락탄, 구아검, 카라기난, 펙틴, 크산탄검, 퀸스시드, 덱스트란, 양이온화 덱스트란, 풀루란, 카르복시메틸전분, 콜라겐, 카제인, 젤라틴메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POL 등)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 예컨대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서, 예컨대 에틸렌디아민사초산이나트륨, 에데트산, 에데트산나트륨염 등의 에데트산염을 들 수 있다.
약효 성분으로서는,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빈산모노팔미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빈산디팔미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빈산-2-글루코시드 등의 비타민 C류 등, 글루타티온, 범의귀 추출물 등의 미백제, 로열젤리, 너도밤나무 엑기스 등의 피부 부활제, 캡사이신, 진저론(zingerone), 칸타리 스 틴크(cantharis tincture), 이크타몰, 카페인, 탄닌산γ-오리자놀 등의 혈행 촉진제,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아줄렌 등의 소염제, 아르기닌, 세린, 류신, 트립토판 등의 아미노산류, 상재균 컨트롤제의 말토스 수크로스 축합물, 염화라이소자임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N-아실 글루타민산염의 제조〕
각 지방산 조성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염화물과 반응량의 글루타민산염을 반응시켜, 중화 반응을 시킨 후, 용액 상태에서 균일하게 하고, 이것을 건조하여, 표 1의 각 조성의 분말형의 아실 글루타민산 나트륨염을 제조했다. 얻어진 각 아실 글루타민산 나트륨염을 세정료로 해서 이하의 시험에 이용했다.
Figure 112009064743311-PCT00001
〔시험예 1〕세정료의 사용성 평가 시험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N-아실 글루타민산 나트륨염에 대해, 0.5 g을 손바닥에 추출하고, N-아실 글루타민산염 분말의 약 10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거품을 내며, 통상의 세안 방법으로 세안를 행하여, 거품성, 매끈함, 촉촉함에 대해 5단계 평가를 행했다. 피험자는 전문 패널 10명으로 했다. 표준으로서 비교예 1의 조성의 고형 비누용 N-아실 글루타민산 Na(이하 단순히, 비교예 1 성분이라고 함)을 이용하여, 이 평가를 5단계 평가 중의 3으로 했다.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1) 거품성: 거품을 낸 거품의 양(많음 5→적음 1)으로 평가하여, 비교예 1 성분은 약간 거품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표준의 「3점」을 「△: 거품성이 뒤떨어짐」으로 하여, 이하의 기준을 마련했다.
4.5점 이상 5점 이하 ◎: 거품성이 매우 우수하다.
3.5점 이상 4.5점 미만 ○: 거품성이 우수하다.
2.5점 이상 3.5점 미만 △: 거품성이 뒤떨어진다.
2.5점 미만 ×: 거품성이 매우 뒤떨어진다.
(2) 매끈함: 헹굼 후의 피부와 손가락과의 미끄러짐 감각(매끈매끈함 5→매끈매끈하지 않음 1)으로 평가하여, 비교예 1 성분은 매끈함이 우수하기 때문에, 표준의 「3점」을 「○: 매끈함이 우수함」으로 하여 이하의 기준을 마련했다.
3.5점 이상 5점 미만 ◎: 매끈함이 매우 우수하다.
2.5점 이상 3.5점 미만 ○: 매끈함이 우수하다.
1.5점 이상 2.5점 미만 △: 매끈함이 뒤떨어진다.
1.5점 미만 ×: 매끈함이 매우 뒤떨어진다.
(3) 촉촉함: 수분을 닦아낸 후의 피부와 손바닥과의 밀착 감각(촉촉함 5→산뜻함 1)으로 평가하여, 비교예 1 성분은 촉촉함이 우수하기 때문에, 표준의 「3점」을 「○: 촉촉함이 우수함」이라고 하여 이하의 기준을 마련했다.
3.5점 이상 5점 미만 ◎: 촉촉함이 매우 우수하다.
2.5점 이상 3.5점 미만 ○: 촉촉함이 우수하다.
1.5점 이상 2.5점 미만 △: 촉촉함이 뒤떨어진다.
1.5점 미만 ×: 촉촉함이 매우 뒤떨어진다.
실시예 1의 조성의 N-아실 글루타민산 Na(이하 단순히, 실시예 1 성분이라고 함)과 비교예 2의 라우로일 글루타민산 Na(이하 단순히, 비교예 2 성분이라고 함)의 평가 수치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검정법은 Wilcoxon의 부호 부착 순위합 검정법을 이용했다. 또, 표준으로서 비교예 1 성분을 이용했다.
Figure 112009064743311-PCT00002
실시예 1 성분은 표준의 비교예 1 성분과 동일한 정도의 매끈함, 촉촉함을 유지하면서, 거품성이 상당히 개선되었다.
Figure 112009064743311-PCT00003
비교예 2 성분은, 표준의 비교예 1 성분과 비교해서 거품성이 상당히 우수하지만, 매끈함, 촉촉함이 상당히 뒤떨어졌다.
〔시험예 2〕세안 파우더의 사용성 평가 시험
표준의 비교예 1 성분을 배합한 세안 파우더와 실시예 1 성분을 배합한 세안 파우더에 대해 거품성, 매끈함, 촉촉함을 비교 평가했다.
비교예 1 성분을 배합한 세안 파우더를 표준으로서 「3점」으로 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한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각 세안 파우더의 조성을 표 4에, 평가 수치를 표 5에 나타낸다. 세안 파우더는, 각 조성 성분(분체)을 교반 혼합함으로써 조제했다.
Figure 112009064743311-PCT00004
Figure 112009064743311-PCT00005
실시예 1 성분을 배합한 세안 파우더는 표준의 비교예 1 성분을 배합한 세안 파우더와 동일한 정도의 매끈함, 촉촉함을 유지하면서, 거품성이 상당히 개선되었다.
〔시험예 2〕NMF 용출 시험
표 6에 나타내는 세정료를 시료로서, NMF 성분으로서 대표적인 유로카닌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PCA), 젖산의 3성분을 지표 성분으로 해서 이들이 시료 성분에 의한 세정에 의해 제거된 양을 측정했다. 측정은 이하의 순서에 의해 6명에 대하여 행해지고, 그 평균치를 표 6 및 도 1에 나타낸다.
(i) 피시험자의 아래팔 내측부에 컵을 장착한다.
(ii) 컵 내에 시료 2 mL을 넣고, 마개를 닫는다.
(iii) 컵을 장착한 팔을 용액이 새지 않도록 진탕기에 올려둔다.
(iv) 그대로 10분간 진탕하고, NMF를 추출한다.
(v) 그 후, 컵 내의 용액을 스포이드로 추출하고, 2 mL 튜브에 넣는다.
(vi) 이 용액을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한다.
(vii) 시료 용액 및 표준 용액 각각 20 μL를 취하고, 하기의 조건에 의해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여, 얻어진 피크 면적으로부터 검량선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양을 산출한다.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 조건
컬럼: TSK-GEL ODS-80 Ts 4.6 mmφ×150 mm
검출기: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 UV210nm
용리액: 0.5 M 황산나트륨, 0.1 M 인산 수용액
유속: 0.4 mL/min
주입량: 2O μl
Figure 112009064743311-PCT00006
표 6으로부터, 실시예 1 성분을 세정료로서 이용한 경우는, 피부에 필요한 유로카닌산, PCA, 젖산을 합계한 양이 다른 세정료에 비교해서 적어, 본 세정료에 의하면, 세정 후에도 피부의 NMF 성분이 잔존하고, 보습 효과가 유지되어, 촉촉함이 뛰어남을 정량적으로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각질층 수분량
표 7의 세정료를 시료로서 이하의 순서에 의해, 세정전, 세정 5분 후, 10분 후, 15분 후의 각질층 수분량을 측정했다. 측정은 이하의 순서에 의해 1명에 대하여 5회 행해지고, 그 평균치를 표 7 및 도 2에 나타낸다. 또한, 세정전의 각질층 수분량을 100%로 했다.
(i) 시료 0.5 g을 충분히 거품낸다.
(ii) 아래팔 내측부를 (i)의 거품으로 세정한다.
(iii) 세정 후, 흐르는 물로 30초간 헹군다.
(iv) 헹굼 후, 타올로 수분을 닦아낸다.
(v) 그 후, 실온 23℃, 습도 40%의 항온실 하에서 안정하게 한다.
(vi) 안정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SKICON-200EX(아이·비·에스사 제조)로 수분량을 5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했다.
Figure 112009064743311-PCT00007
표 7로부터, 실시예 1 성분을 세정료로 이용한 경우에는, 세정 후의 각질층 수분량이 비교예 1 성분 정도이며, 다른 세정료와 비교하여, 보습성(촉촉함)이 우수한 세정료임을 정량적으로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기포성 시험
표 8의 세정료를 시료로서 이하의 순서에 의해, 반복 교반법에 의해 기포력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8 및 도 3에 나타낸다.
(i) 시료 0 .5% 농도의 용액을 조제하고, 40℃로 가온한다.
(ii) 가온 후, 눈금이 있는 1 L 긴 비커에 용액을 거품이 일지 않도록 부어 넣는다.
(iii) 1 L 긴 비커를 반전 교반 장치[PROMIX PR-1200 시바타 카가쿠기카이고교사(주) 제조]에 세트하고, 교반하여 거품을 낸다(우회전 20초+좌회전 20초+우회전 20초).
(iv) 거품을 내고 1분 후, 거품량을 읽어낸다(데이터는 N=3의 평균치).
Figure 112009064743311-PCT00008
〔시험예 5〕지방산 조성의 차이에 의한 각종 평가
표 1의 각 조성의 아실 글루타민산염으로 이루어지는 세정료 전부에 대해, 그 지방산 조성의 차이에 의한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시험예 1과 동일한 사용성 평가 시험, 시험예 4와 동일한 기포성 시험을 각각에 대해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시험예 6〕안정성 평가
표 1의 각 조성의 아실 글루타민산염에 대해, 40℃ 1개월 보관한 후에 분체가 고결(固結)되지 않았는지를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 안정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분체에 고결이 생기지 않았다.
×: 분체가 고결되어, 분말형 혹은 과립형의 피부 세정료로서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해, 거품성이 좋고, 피부 세정 후에는 매끈함, 촉촉함(보습감) 모두가 우수한 세정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35∼50 질량%의 N-라우로일 글루타민산염을 함유하고, 또한, N-팔미토일 글루타민산염과 N-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염의 합계량이 30∼50 질량%이며, 14∼25 질량%의 N-올레오일 글루타민산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
  2. 제1항에 있어서, 용액 상태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말형 혹은 과립형인 N-아실 글루타민산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N-아실 글루타민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혹은 과립형의 피부 세정료.
KR1020097022117A 2007-08-27 2008-07-01 피부 세정료 및 이것에 이용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 KR20100045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19864A JP4257442B2 (ja) 2007-08-27 2007-08-27 皮膚洗浄料及びこれに用いるn−アシルグルタミン酸塩
JPJP-P-2007-219864 2007-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950A true KR20100045950A (ko) 2010-05-04

Family

ID=4038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117A KR20100045950A (ko) 2007-08-27 2008-07-01 피부 세정료 및 이것에 이용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57442B2 (ko)
KR (1) KR20100045950A (ko)
CN (1) CN101688151A (ko)
WO (1) WO20090282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2986B2 (ja) * 2012-10-30 2015-02-04 株式会社ファンケル 粉末皮膚洗浄料
CN103435509B (zh) * 2013-08-21 2016-03-16 南京华狮化工有限公司 一种n-酰基酸性氨基酸或其盐的制备方法及其应用
JP2017137273A (ja) * 2016-02-05 2017-08-10 株式会社ファンケル 粉末状または顆粒状皮膚洗浄料
CN106591011B (zh) * 2016-10-21 2018-03-27 威莱(广州)日用品有限公司 一种抗菌皂及其制备方法
CN107184407B (zh) * 2017-05-24 2020-10-20 云南贝泰妮生物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滑保湿造粒洁颜粉及其制备方法
JP6940328B2 (ja) * 2017-08-21 2021-09-29 株式会社ファンケル 液状洗浄用組成物
EP3708643A4 (en) * 2017-11-06 2021-08-18 Ajinomoto Co., Inc. DETERGENT COMPOSITION
EP4043098A4 (en) 2019-10-10 2024-01-03 Ajinomoto Kk SURFACTANT, AND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1398A (ja) * 1985-05-24 1986-12-01 川研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改良された生薬配合固形洗剤
JP3238204B2 (ja) * 1992-08-06 2001-12-10 川研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改良された固形洗剤
JPH09125100A (ja) * 1995-11-02 1997-05-13 Ajinomoto Co Inc 透明固形洗浄剤
JPH11131099A (ja) * 1997-08-29 1999-05-18 Kawaken Fine Chem Co Ltd 枠練り成形法に適した透明固形洗浄剤用組成物
JPH11323379A (ja) * 1998-05-12 1999-11-26 Ajinomoto Co Inc 固形洗浄剤組成物
JP2001199876A (ja) * 2000-01-21 2001-07-24 Shiseido Co Ltd 皮膚洗浄料
JP2003034670A (ja) * 2001-05-17 2003-02-07 Asahi Kasei Corp 植物性アシルアミノ酸またはその塩
JP2003096489A (ja) * 2001-09-25 2003-04-03 Tsumura & Co 固形石鹸
JP2003306696A (ja) * 2002-02-15 2003-10-31 Ajinomoto Co Inc 界面活性剤
JP4600030B2 (ja) * 2003-12-19 2010-12-15 味の素株式会社 N−長鎖アシルグルタミン酸及び/又はその塩の結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8151A (zh) 2010-03-31
WO2009028259A1 (ja) 2009-03-05
JP4257442B2 (ja) 2009-04-22
JP2009051945A (ja)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5950A (ko) 피부 세정료 및 이것에 이용하는 n-아실 글루타민산염
EP3644948B1 (en) Anhydrous solid composition comprising an isethionic acid derivative, a glutamic acid derivative, an amphoteric surfactant and fillers
US6294509B1 (en) Disintegrating particles and cleanser or detergent composition
JP4253687B1 (ja) 洗浄料組成物
KR20060009896A (ko) 세정제 조성물
CN105997550B (zh) 粉末状或颗粒状皮肤洗净用组合物
JP2004323401A (ja) 皮膚外用剤
DE102010055252A1 (de) Verfahren zur Entwicklung einer als Schaum auf die Haut zu applizierende flüssige Zusammensetzung sowie eine topisch applizierbare Zusammensetzung
JP6093740B2 (ja) 粉末皮膚洗浄料
JP5662986B2 (ja) 粉末皮膚洗浄料
JP5952933B1 (ja) 皮膚洗浄用組成物
JP6759395B2 (ja) 粉末皮膚洗浄料
JPS63135317A (ja) 新規毛髪用洗浄剤組成物
TWI709413B (zh) 粉末狀或顆粒狀皮膚洗淨料
KR20220041691A (ko) 분말 형태 또는 과립 형태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1515237B1 (ko) 세정료 조성물
JP7208107B2 (ja) 粉末状洗顔料
JP2017137273A (ja) 粉末状または顆粒状皮膚洗浄料
JP2023157038A (ja) 発泡性洗浄剤組成物
JP2019034915A (ja) 液状洗浄用組成物
JP3905214B2 (ja) 入浴剤
JPS63280799A (ja) ボディ−用洗浄剤組成物
JPH03227908A (ja) 酵素配合トイレタリー製品
JPH11217326A (ja) 指及び爪の洗浄組成物
JPH04210622A (ja) 浴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