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899A -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899A
KR20100043899A KR1020080103146A KR20080103146A KR20100043899A KR 20100043899 A KR20100043899 A KR 20100043899A KR 1020080103146 A KR1020080103146 A KR 1020080103146A KR 20080103146 A KR20080103146 A KR 20080103146A KR 20100043899 A KR20100043899 A KR 20100043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track
connecting pin
wea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8729B1 (ko
Inventor
박경현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8010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7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트랙링크와 링크연결핀의 결합구조 사이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고, 트랙 조립체의 마모수명을 향상할 수 있도록 개량된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가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에 있어서,
양측 선단에 형성된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 일측에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가 연결 설치되는 링크연결핀;
상기 안착부 일측에 압입 설치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상기 링크연결핀 양측 선단에 고정하는 핀보스;
상기 링크연결핀의 안착부 내측으로 압입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회동에 의해 발생하는 상대운동을 지지하는 제1 마모감쇄부재; 및
상기 제1 마모감쇄부재 외주연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마모감쇄부재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하는 지지보스;를 포함한다.
중장비, 트랙, 링크연결핀, 마모감쇄부재

Description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Track Link Assembly For Heavy Constructioin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링크와 링크연결핀의 결합구조 사이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고, 트랙 조립체의 마모수명을 향상할 수 있도록 개량된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불도우저 등의 중장비에 장착되는 무한궤도(무한궤도식, 이하 "무한궤도"라 한다.) 차량은 지면과의 접지면적이 커 높은 견인 성능을 발휘한다.
건설 중장비의 주행장치인 무한궤도식 트랙은 다수의 트랙슈우(track shoe)들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트랙링크 조립체가 구성되어 건설현장을 주행하도록 되어 있어서, 각종 하중(피로, 충격, 인장 및 마모하중 등)이 트랙 및 트랙링크 조립체에 과도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그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공지의 예로서, 도 1은 중장비에 적용된 공지된 무한궤도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트랙링크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트랙(1)은 다수의 트랙슈(2), 그리고 링크연결핀(3)에 의해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속적으로 링크(1a)(1b)가 연결되고, 트랙슈(2)의 중앙으로는 스프라켓홈(4)이 형성되어 있다.
트랙(1)의 내측으로는 스프라켓(5)이 장착되며, 스프라켓(5)에는 원주방향으로 기어이(5a)가 연속하여 돌출되어 있다.
스프라켓(5)은 주행모터(6)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주행모터(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트랙섀시(14)의 일측단부에 설치되고 보호커버(7)는 지면을 주행하는 트랙(1)의 트랙슈(2)를 따라 상승하는 흙 이나 잡석 등 이물질이 주행모터(6)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행모터(6) 외측에 설치된다.
스프라켓(5)의 회전시 스프라켓(5)의 기어이(5a)는 링크연결핀(3) 외측에 장착되는 부싱(13)과의 접촉과 트랙슈(2)의 스프라켓홈(4)의 삽입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며 트랙(1)을 회전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트랙조립체로써 링크연결핀(3)의 양측 선단부에 각각 링크(1a)(1b)가 전방 및 후방측에 연속적으로 구성되며, 링크연결핀(3)의 외주연상에는 링크의 핀보스(8), 시일(11) 및 부싱(9)이 각각 설치되고, 부싱(9)은 링크연결핀(3)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부싱보스(12)에 의해 압입되며, 링크연결핀(3)의 선단부에는 링크의 핀보스(8)가 압입된다.
장비 주행시 각각의 링크(1a)(1b)와 링크연결핀(3) 및 부싱(13)은 마모를 일 으킬 수 있는 상대적인 동적변화를 갖는 상대운동을 하게 되며, 특히 부싱(13)은 스프라켓(5)과의 접촉에 의해 외주연상에서도 마모가 심하게 발생한다.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부싱(13)의 내주연에 그리스를 포함하는 윤활제를 주입하지만, 장기간 사용시에는 부싱(13)과 링크연결핀(3) 사이에 흙이나 암석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어 마모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극심한 경우에는 고착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부싱(13)의 성능 개선을 위하여 2006년08월04일자 특허공개된 한국특허공개 제2006-0088205호에는 개량된 부싱압출공정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 다른 기술로써, 2003년12월24일자 특허공개된 한국특허공개 제2003-0095962호(출원인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에는 각각의 트랙링크(1a)(1b)가 트랙롤러(미도시함)에 간섭함으로 인해 강성이 크게 요구되는 점을 고려하여 개량된 고주파 담금질 및 뜨임과 같은 표면경화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부싱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트랙링크의 표면경화를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오히려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거나 장기간 사용시 마모현상이 극심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써,
종래 링크연결핀에 요구되는 부싱요소를 제거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감축할 수 있으며, 트랙링크와 링크연결핀의 결합구조 사이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가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에 있어서,
양측 선단에 형성된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 일측에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가 연결 설치되는 링크연결핀;
상기 안착부 일측에 압입 설치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상기 링크연결핀 양측 선단에 고정하는 핀보스;
상기 링크연결핀의 안착부 내측으로 압입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회동에 의해 발생하는 상대운동을 지지하는 제1 마모감쇄부재; 및
상기 제1 마모감쇄부재 외주연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마모감쇄부재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하는 지지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핀보스의 결합홀 일측에 단차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요홈부에 제2 마모감쇄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핀보스와 상기 링크연결핀 사이에 발생하는 마모를 방지하는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1 마모감쇄부재 및 제2 마모감쇄부재는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링크연결핀의 안착부가 다단의 단차구조로 형성된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는 종래 링크연결핀에 요구되는 부싱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제조원가를 크게 감축할 수 있으며, 마모방지부재가 밀폐구조로 형성되어 외부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는 링크연결핀 안착부에 압입되는 링크들이 마모감쇄부재를 매개로 결합됨으로써 주행을 위해 링크연결핌 및 링크들이 상대운동을 할 때 이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링크연결핀 및 링크요소의 마모수명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1a) 및 제2 링크(1b)가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에 있어서,
양측 선단에 형성된 안착부(22)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22) 일측에 상기 제1 링크(1a) 및 제2 링크(1b)가 연결 설치되는 링크연결핀(20);
상기 안착부(22) 일측에 압입 설치되며, 상기 제1 링크(1a) 및 제2 링크(1b)를 상기 링크연결핀(20) 양측 선단에 고정하는 핀보스(23);
상기 링크연결핀(20)의 안착부(22) 내측으로 압입되며, 상기 제1 링크(1a) 및 제2 링크(1b)의 회동에 의해 발생하는 상대운동을 지지하는 제1 마모감쇄부재(24); 및
상기 제1 마모감쇄부재(24) 외주연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링크(1a) 및 제2 링크(1b)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마모감쇄부재(24)를 상기 안착부(22)에 고정하는 지지보스(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링크(1a)(1b)는 통상적으로 장비의 주행시 회전하는 트랙(10)에 의해 상기 링크연결핀(20)을 기준으로 각각 소정의 각도로 굴절 및 회동하도록 상대운동을 수행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마모감쇄부재(24)가 이를 지지하여 마찰 및 마모를 감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안착부(22)는 상기 링크연결핀(20)의 양측 선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보스(23)의 설치위치까지 단차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연결핀(20)의 안착부(22)가 다단의 단차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마모감쇄부재를 구성하는데 적 당하다.
상기 핀보스(21)는 상기 각각의 링크(1a)(1b)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지지보스(23)가 전술한 각각의 링크(1a)(1b) 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한궤도를 위한 트랙(1)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링크(1a)(1b)가 링크연결핀(20)에 의해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인접한 두개의 링크(1a) 및 (1b)가 상대운동을 하는 바, 상기 제1 마모감쇄부재(24)는 상기 링크(1a)(1b)와 상기 링크연결핀(20) 사이에 발생하는 마모를 방지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핀보스(21)의 결합홀(21a) 일측에 단차요홈부(21b)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요홈부(21b)에 제2 마모감쇄부재(25)가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마모감쇄부재(25)는 상기 핀보스(21)와 상기 링크연결핀(20) 사이에 발생하는 마모를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마모감쇄부재(24) 및 제2 마모감쇄부재(25)가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양호하며, 상기 링크연결핀(20)이 상기 핀보스(21)에 의해 압착고정될 때, 상기 제1 마모감쇄부재(24) 및 제2 마모감쇄부재(25)의 양측이 안착부(22)의 단차면 및 핀보스(21)의 내측면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도록 밀폐구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비의 이동을 위해 트랙(10)의 회전시 상기 링 크연결핀(20)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부위가 주행모터(6)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라켓(5)과 직접접촉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는,
전술한 핀보스(21)의 결합홀(21a) 일측에 단차요홈부(21b)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요홈부(21b)에 미리 설정된 제1 마모감쇄부재(24) 및 제2 마모감쇄부재(25)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보스(33) 측에는 별도의 마모감쇄부재를 구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링크연결핀(20)이 상기 핀보스(21)에 의해 압착고정될 때, 외부와 폐쇄되는 밀폐구조를 엄밀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종래에 소요되는 시일(11) 및 부싱(9)을 포함하는 자재의 소모를 더욱 저감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장비의 주행시 무한궤도, 즉 트랙(10)의 회전을 위해서 다수의 링크(1a)(1b)가 링크연결핀(20)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주행모터(6)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라켓(5)이 트랙슈(2)의 중앙에 형성된 스프라켓홈(4)에 결합되며, 그에 따라서 장비의 이동을 위해 트랙(10)의 회전시 링크연결핀(20)은 도면상 좌측의 링크(1a) 및 우측의 링크(1b)를 고정 지지하는 중심축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에 도면상 링크연결핀(20)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링크(1a) 및 우측에 배치된 링크(1b)는 각각 소정의 각도로 굴절 및 회동하도록 상대운동을 수행하는 작동원리는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는, 인전합 각각의 링크(1a) 및 (1b)와 링크연결핀(20) 사이의 상대운동은 안착부(22) 상에서 작동하는 제1마모감쇄부재(24) 또는 제2 마모감쇄부재(25)를 매개로 수행된다.
예를 들면, 링크연결핀(20)의 안착부(22)에 장착된 제1 마모감쇄부재(24)는 좌측의 링크(1a)에 의한 부하를 지지하며, 제2마모감쇄부재(25)는 좌측의 링크(1a)에 의한 부하를 지지한다.
전술한 부하는 링크연결핀(20)에 대한 마찰력으로 작용하지만, 각각의 마모감쇄부재(24) 및 (25)는 윤활성능에 의해 마찰력을 흡수 및 감쇄한다. 이때, 각각의 마모감쇄부재(24) 및 (25)를 베어링 부재로 적용하는 것이 마찰력 감쇄에 효율적이다.
또한, 흙이나 암석분 등 극심한 마찰을 유발할 수 있는 외부이물질은 주로 트랙(10)의 회전시 제1마모감쇄부재(24) 또는 제2 마보감쇄부재(25)와 링크연결핀(20) 사이로 침입하려 시도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각각의 마모감쇄부재(24) 및 (25)는 구조적으로 각각의 링크(1a)(1b)의 핀보스(21)의 내측면 및 안착부(22)의 단차면에 의해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보호되며, 그에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링크연결핀(20) 및 링크(1a)(1b)들의 내구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22)를 구비한 링크연결핀(20)은 종래의 링크연결핀(3)의 양측선단에 설치된 한 쌍의 링크(1a) 사이에 필요한 부싱(9)을 구조적으 로 제거함으로써 제조원가가 크게 저감되며, 부싱(9)과 링크연결핀(3) 사이에 이물질 침투에 의해 발생하는 고착현상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예시적인 것으로 설명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트랙조립체가 설치된 무한궤도의 트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랙조립체를 구성하는 링크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트랙조립체에 표시된 A-B 라인을 기준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1a,1b; 링크
3; 종래 링크연결핀
5; 스프라켓
9,13; 부싱
20; 링크연결핀
21; 핀보스
22; 제1 마모감쇄부재
23; 부싱보스
24: 제2 마모감쇄부재

Claims (4)

  1. 제1 링크 및 제2 링크가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에 있어서,
    양측 선단에 형성된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 일측에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가 연결 설치되는 링크연결핀;
    상기 안착부 일측에 압입 설치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상기 링크연결핀 양측 선단에 고정하는 핀보스;
    상기 링크연결핀의 안착부 내측으로 압입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회동에 의해 발생하는 상대운동을 지지하는 제1 마모감쇄부재; 및
    상기 제1 마모감쇄부재 외주연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마모감쇄부재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하는 지지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보스의 결합홀 일측에 단차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요홈부에 제2 마모감쇄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핀보스와 상기 링크연결핀 사이에 발생하는 마모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모감쇄부재 및 제2 마모감쇄부재는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를 특징으로 한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연결핀의 안착부가 다단의 단차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
KR1020080103146A 2008-10-21 2008-10-21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 KR101568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46A KR101568729B1 (ko) 2008-10-21 2008-10-21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46A KR101568729B1 (ko) 2008-10-21 2008-10-21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899A true KR20100043899A (ko) 2010-04-29
KR101568729B1 KR101568729B1 (ko) 2015-11-12

Family

ID=4221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146A KR101568729B1 (ko) 2008-10-21 2008-10-21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0345A (zh) * 2018-05-24 2018-11-23 苏州瓦尔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机器人用的行走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2354B2 (en) 2020-10-30 2024-02-27 Caterpillar Inc. Reduced material hydraulic mining shovel track pa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0545A1 (en) * 1979-08-29 1981-03-05 M Roussin Track joint locking collar and assembly method
JP4225457B2 (ja) * 2002-07-25 2009-02-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ローラ式作業車両の履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0345A (zh) * 2018-05-24 2018-11-23 苏州瓦尔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机器人用的行走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729B1 (ko)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913B1 (ko) 크롤러 벨트
EP2583883B1 (en) Track Chain Joint for a Crawler Type Work Vehicle
JP4183701B2 (ja) チェーン駆動を用いる芯金無しゴムクローラーを備えたアンダーキャリッジ{undercarriageequippedwithanon−steeltyperubbercrawlerusingchainaction}
JP5230836B1 (ja) 履帯用リンクおよび履帯装置
RU2506189C2 (ru) Направляющее колесо и узел ходовой части для гусеничной машины
WO1998025809A1 (fr) Dispositif de chenilles pour vehicule chenille
WO2011136135A1 (ja) 履帯と履帯のためのマスタリンク
KR20080102233A (ko) 트랙 벨트 어셈블리
WO2009101836A1 (ja) 履帯式走行装置および転輪組立体
WO2014112553A1 (ja) 装軌式作業車両のためのローラ装置、ローラシェルユニットおよびローラシェル
KR20100043899A (ko)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
KR100390295B1 (ko) 크롤러 벨트
KR100480392B1 (ko) 크롤러 벨트 및 크롤러 벨트에 사용하는 실
JP6756594B2 (ja) リンクアセンブリ及びシールアセンブリ
JP6732692B2 (ja) ショベル
KR20210127311A (ko) 무한궤도용 링크시일
US20230356793A1 (en) A linkage unit for a roller chain link assembly suitable for use in a caterpillar track
JP2011017411A (ja) フローティングシール構造
JP2009067068A (ja) 履帯
CN220551416U (zh) 张紧弹簧、张紧弹簧组件、张紧装置和履带式行走机构
JP5236585B2 (ja) 装軌式車両の走行体
JP2001039361A (ja) 履帯シール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シール
JP2002225758A (ja) 履 帯
RU2481994C2 (ru) Гусеничный ход карьерного экскаватора
JP2001018862A (ja) 履 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