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040A -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040A
KR20100042040A KR1020080101153A KR20080101153A KR20100042040A KR 20100042040 A KR20100042040 A KR 20100042040A KR 1020080101153 A KR1020080101153 A KR 1020080101153A KR 20080101153 A KR20080101153 A KR 20080101153A KR 20100042040 A KR20100042040 A KR 20100042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vibration member
polymer compound
micro speaker
rig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0756B1 (ko
Inventor
김창원
이원택
도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to KR20080101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756B1/ko
Priority to PCT/KR2009/002679 priority patent/WO2010044526A1/ko
Priority to CN 200910146658 priority patent/CN101729961B/zh
Priority to CN2009201569279U priority patent/CN201422157Y/zh
Priority to TW98121630A priority patent/TW201016040A/zh
Priority to TW98211820U priority patent/TWM379297U/zh
Publication of KR2010004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10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in cont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for diaphragms or their outer suspe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5Diaphragm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장 자리의 에지부와 가운데의 중앙부로 구성되는 제1 진동 부재; 상기 제1 진동 부재의 중앙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진동 부재에 비해 낮은 비중의 강성 소재로 구성된 강성 부재; 및 상기 강성 부재가 부착된 상기 제1 진동 부재의 상면에 부착하여 상기 강성 부재를 밀봉시키는 제2 진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이크로, 스피커, 진동판, 소재, 필름

Description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MICRO SPEAKER DIAPHRAGM, THE METHOD THEREOF AND MICRO SPEAKER COMPRISING THE SAME DIAPHRAGM}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동판의 중앙부에 강성 부재가 삽입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재생기기는 혼 스피커와, 콤포넌트 시스템과 같은 하이파이 오디오 시스템에 사용되며 일정한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우퍼, 미드레인지 및 트위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스피커와, 하나의 유닛으로 전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일반 스피커와, 초소형 캠코더, 워크맨, PDA,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및 IMT2000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초경량·초슬림형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와, 이동통신용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리시버, 일부가 귀속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이어폰, 그리고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수신하는 부저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PDA, 노트북 컴퓨터, IMT2000 통신 단말기 등은 장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사용자가 재생된 음을 듣게 된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은 전체 크기와 중량의 소형화 추세에 맞추어 그 크기가 작아지고 있어 이에 채용되는 마이크로 스피커 또한 다운 사이징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동시에, 이들 마이크로 스피커는 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IMT2000 구현에 따라 각종 음악 파일을 쉽게 내려받게 되면서 마치 오케스트라용 스피커와 같이 고입력/고출력, 그리고 고음에서 저음까지 광대역 재생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진동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100)는 중앙에 요홈(22)이 형성된 요크(20)와, 요홈(22)의 내벽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마그네트(30), 마그네트 위로 장착되는 플레이트(32), 요크(20)의 외측에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0), 프레임의 내측단에 의해 지지되는 진동판(50),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고 요크(20)와 마그네트(30)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 상하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40) 및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개방된 상부를 덮고, 적어도 하나의 음배출공(72)이 형성된 보호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일 측에는 보이스 코일(40)에 외부 신호를 공급하는 단자(1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외부 신호를 공급받은 보이스 코일(40)이 마그네트(30)에 접합되어 자화되는 플레이트(32) 등과 작용하여 상하로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해 보이스 코일이 그 하면에서 결합되어 있는 진동판(50)이 진동됨으로써 외부 공기와의 압력에 의해 음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진동판(50) 구조는 돔 형상의 중앙부(50b)와 중앙부(50b) 외측으로 연장되어 좌우에 환형으로 형성된 에지부(50a)를 포함한다.
종래의 진동판(50)은 단일 소재의 고분자 화합물을 필름 형태로 압착하여 성형되며, 이에 따라 동일한 재질과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단일 고분자 화합물의 진동판(50)은 에지부(50a)에 따라 진동판(50)의 공진 주파수(Fs)가 결정되므로, 중앙부(50b)에 강성을 주기 위하여 아치 형태로 제작된다. 즉, 진동판(50)의 중앙부(50b)를 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강성을 구조적으로 보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진동판(50)을 단일 필름으로 구성할 경우, 소리가 크게 왜곡(distortion)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진동판(50)을 고분자 화합물 필름(111)의 중앙부(111b)에 경량이면서 강성을 갖는 강성 부재(102)를 적층하여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때, 상기 강성 부재(102)에 대한 내화학성 및 내습성을 위해 상기 강성 부재(102)의 상부 및 하부에 필름 시트(sheet)(101, 103)를 적층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부재(102)를 상부 시트(101) 및 하부 시트(103) 사이에 적층시키고, 이를 고분자 화합물 필름(111)의 중앙부(111b)에 접착시킴으로써 진동판(110)의 중앙부(111b)를 변형시키지 않고서도, 내화학성 및 내습성을 강하게 하며, 강성이 크게 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강성 부재(102)를 상, 하부에서 적층시키는 상부 시트(101) 및 하부 시트(103)는 두께가 얇고 가볍고 경성인 소재를 사용한다. 예컨대, 상부 시트(101) 및 하부 시트(103) 소재로 알루미늄 시트와 같은 금속성(metal) 소재나 고분자 화합물 필름 시트를 사용하게 된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진동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분자 화합물 필름(110)과 시트(101, 103)가 접착된 강성 부재(102)를 각각 제작한 후, 두 재료를 접착함으로써 진동판(110)을 완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층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접착(S51)하고, 성형(S52)한 후, 블랭킹(타발; blanking)(S53)함으로써 고분자 화합물 필름(111)을 제작한다.
또한, 강성 부재(102)와 상부 시트(101)를 접착(S54)하고, 하부 시트(103)를 접착(S55)한 후, 시트(101, 103)가 접착된 강성 부재(102)를 블랭킹(blanking; 타발)(S56)함으로써 강성 부재(102)를 제작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고분자 화합물 필름(111)과 시트(101, 103)가 접착된 강성 부재(102)를 접착한 후, 건조(S57)함으로써 진동판(110)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조된 진동판(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부재(102)의 측면이 노출됨으로 인해 완벽한 내화학성과 내습성을 가질 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분자 화합물 필름의 제작하고, 강성 부재를 적층하여 제작하여 접착하는 등의 여러 번의 성형, 블랭킹, 접착 과정 들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아울러, 고분자 화합물 필름과 강성 부재를 접착하게 되면, 이를 경화시키거나 건조시키는 데 별도의 시간이 더 소요됨으로써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판을 형성하는 고분자 화합물 필름의 중앙부에 강성 부재를 밀봉하여 진동판을 제작함으로써 내화학성과 내습성이 우수하며, 제작 공정이 간단한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부재의 중앙부에 강성 부재를 적층하고, 제2 진동 부재를 제1 진동 부재에 적층하여 진동판을 제작함으로써 강성 부재를 진동판의 중앙부에 밀봉시키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은, 가장 자리의 에지부와 가운데의 중앙부로 구성되는 제1 진동 부재; 상기 제1 진동 부재의 중앙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진동 부재에 비해 낮은 비중의 강성 소재로 구성된 강성 부재; 및 상기 강성 부재가 부착된 상기 제1 진동 부재의 상층면에 부착하여 상기 강성 부재를 밀봉시키는 제2 진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진동 부재는, 고분자 화합물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며, 복수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강성 부재는, 고분자 화합물, 세라믹 및 펄프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진동 부재는, 고분자 화합물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복수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판 제조 방법은, 고분자 화합물 필름 재질로 제1 진동 부재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진동 부재의 중앙부에 상기 제1 진동 부재에 비해 낮은 비중의 강성 소재로 구성된 강성 부재를 부착하는 제2 단계; 상기 강성 부재가 부착된 상기 제1 진동 부재의 상면에 고분자 화합물 필름 재질의 제2 진동 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강성 부재를 밀봉시키는 제3 단계; 및 접합된 상기 제1 진동 부재, 강성 부재 및 제2 진동 부재를 성형하여 진동판을 제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는, 중앙에 요홈이 형성된 요크; 상기 요홈의 내벽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요홈에 장착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요크의 외측에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단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플레이트 위로 걸쳐져 결합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상하 진동을 하는 보이스 코일; 및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진동판의 상부를 덮고, 적어도 하나의 음배출공이 형성된 보호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진동판은, 가장 자리의 에지부와 가운데의 중앙부로 구성되는 제1 진동 부재; 상기 제1 진동 부재의 중앙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진동 부재에 비해 낮은 비중의 강성 소재로 구성된 강성 부재; 및 상기 강성 부재가 부착된 상기 제1 진동 부재의 상면에 부착하여 상기 강성 부재를 밀봉시키는 제2 진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제작에 있어, 진동판 필름 중앙부에 비중이 낮아 경량이면서 강성인 소재가 삽입되어 밀봉됨으로써 강성 부재의 취약점인 내화학과 내습성을 보완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진동판 제작을 위해 고분자 화합물 필름의 제작하고, 강성 부재를 적층하여 제작하여 접착하는 등의 여러번의 성형, 블랭킹, 접착 과정들을 거치지 않고, 고분자 화합물 필름의 중앙부에 강성 부재를 접착하고 다시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밀봉함으로써 제작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되어, 원가 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아울러, 종래와 같이 고분자 화합물 필름과 강성 부재를 접착한 후, 이를 경화시키거나 건조시키는 데 별도의 시간이 더 소요되지 않음으로 제작 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피커에 삽입되는 진동판의 중앙부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강성 부재를 접착하고, 이때 접착되는 강성 부재의 내화학성 및 내습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강성 부재를 진동 부재로 사용하는 고분자 화합물 필름 사이에 밀봉하여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120)은 고분자 화합물 필름 형태의 제1 진동 부재(111)의 중앙부(111b)에 강성 부재(121)를 접착하고, 상기 강성 부재(121)가 접착된 제1 진동 부재(111)의 상부에 고분자 화합물 필름 형태의 제2 진동 부재(122)를 적층하여 접착하여 제조함으로써, 상기 강성 부재(121)가 밀봉된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가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진동 부재(111)와 제2 진동 부재(122)는 진동판의 고유한 기능을 담당하게 되며, 상기 두 진동 부재들(111, 122)의 중앙부(111b) 내부에 밀봉된 강성 부재(121)는 진동판(120)의 중앙부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삽입된다.
한편, 상기 제1 진동 부재(111)는 진동판(120)의 중심쪽에서 주로 고음을 담당하는 중앙부(111b)와 진동판(120)의 바깥쪽에서 돔 형태로 환형을 형성하여 저음 을 담당하는 에지부(111a)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진동 부재(111)는 고분자 화합물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 소재로는 'polyphenylene sulfide(PPS)', 'polyethylene naphthalate(PEN)', 'polyethylene teraphthalate (PET)', 'polyehter imide(PEI)', 'poly imid(PI)'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에지부(111a) 또는 중앙부(111b)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진동 부재(111)로 복수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적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즉, 중앙부(111b)를 돔형 또는 평면 등의 기타 어떠한 형태로도 변형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강성 부재(121)는 경량이면서 강성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중이 낮은 소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주로 발포성 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고분자, 세라믹, 나무 등과 같은 비중이 낮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 부재(122)는 상기 제1 진동 부재(111)와 마찬가지로 고분자 화합물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진동 부재(111)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진동 부재(122)는 상기 제1 진동 부재(111)와 접착하여 전체적으로 진동판(120)을 형성하게 되므로 진동판(120)의 특성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진동 부재(122)의 경우에도 복수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적층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부재(121)가 진동 부재들(111, 122) 사이에 삽입되어 밀봉되므로 내화학성 및 내습성이 확보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강 성 부재(121)의 측면이 진동 부재들(111, 122)에 의해 밀봉되므로,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강성 부재(121)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제조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다층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접착(S71)하여 제1 진동 부재(111)를 형성하고, 다음으로 강성 부재(121) 및 다층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제2 진동 부재(122)로 접착(S72)하게 된다.
상기 접착된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성형(S73)한 후, 블랭킹(타발; blanking)(S74)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 제작이 완료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200)는 중앙에 요홈(22)이 형성된 요크(20)와; 요홈(22)의 내벽에 대해 간격을 두고 요홈(22) 내에 장착되는 마그네트(30)와; 마그네트(30)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32)와; 요크(20)의 외측에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내측단에 의해 지지되고 플레이트(32) 위로 걸쳐져 결합되며, 앞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갖는 일체형 진동판(120)과; 진동판(120)의 하면에 부착되고 마그네트(30)와 요홈(22)의 내벽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부 신호에 따라 상하 진동을 하는 보이스 코일(40); 및 프레임(10)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진동판(120)의 상부를 덮고 적어도 하나의 음배출공(72)이 형성된 보호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외부 신호를 공급받은 보이스 코일(40) 이 마그네트(30)에 접합되어 자화되는 플레이트(32) 등과 작용하여 상하로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해 보이스 코일(40)이 그 하면에서 결합되어 있는 진동판(50)이 진동됨으로써 외부 공기와의 압력에 의해 음이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이 적용된 점에 있어서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 구조와 구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진동판을 포함한다는 전제하에서 모든 형태의 스피커로 그 구조가 확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을 적용하는 경우에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진동판 필름 중앙부에 경량이면서 강성인 소재가 삽입되어 밀봉됨으로써 강성 부재의 취약점인 내화학과 내습성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여러 번의 성형, 블랭킹, 접착 과정들을 거쳐지 않고, 고분자 화합물 필름의 중앙부에 강성 부재를 접착하고 다시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밀봉함으로써 제작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되어, 원가 절감을 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고분자 화합물 필름과 강성 부재를 접착한 후, 이를 경화시키거나 건조시키는 데 별도의 시간이 더 소요되지 않음으로 제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진동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판에 부착되는 강성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강성 부재가 부착된 진동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판 제조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제조 공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단자
20 : 요크 22 : 요홈
30 : 마그네트 32 : 플레이트
40 : 보이스 코일 50, 110, 120 : 진동판
50a, 111a : 에지부 50b, 111b : 중앙부
70 : 보호판 72 : 음배출공
100 : 마이크로 스피커 101 : 상부 시트
102, 121 : 강성 부재 103 : 하부 시트
111 : 고분자 화합물 필름, 제1 진동 부재
122 : 제2 진동 부재 200 : 마이크로 스피커

Claims (18)

  1. 가장 자리의 에지부(111a)와 가운데의 중앙부(111b)로 구성되는 제1 진동 부재(111);
    상기 제1 진동 부재(111)의 중앙부(111b)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진동 부재에 비해 낮은 비중의 강성 소재로 구성된 강성 부재(121); 및
    상기 강성 부재(121)가 부착된 상기 제1 진동 부재(111)의 상면에 부착하여 상기 강성 부재(121)를 밀봉시키는 제2 진동 부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부재는,
    고분자 화합물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부재는,
    복수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고분자 화합물, 세라믹 및 펄프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 부재는,
    고분자 화합물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 부재는,
    복수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7.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분자 화합물 필름 재질로 제1 진동 부재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진동 부재의 중앙부에 상기 제1 진동 부재에 비해 낮은 비중의 강성 소재로 구성된 강성 부재를 부착하는 제2 단계;
    상기 강성 부재가 부착된 상기 제1 진동 부재의 상층면에 고분자 화합물 필름 재질의 제2 진동 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강성 부재를 밀봉시키는 제3 단계; 및
    접합된 상기 제1 진동 부재, 강성 부재 및 제2 진동 부재를 성형하여 진동판을 제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부재는,
    고분자 화합물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부재는,
    복수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고분자 화합물, 세라믹 및 펄프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 부재는,
    고분자 화합물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 부재는,
    복수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제조 방법.
  13. 중앙에 요홈(22)이 형성된 요크(20);
    상기 요홈(22)의 내벽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요홈(22)에 장착되는 마그네트(30);
    상기 마그네트(30)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32);
    상기 요크(20)의 외측에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단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플레이트(32) 위로 걸쳐져 결합되는 진동판(120);
    상기 진동판(120)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마그네트(30)와 상기 요크(20) 사 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상하 진동을 하는 보이스 코일(40); 및
    상기 프레임(10)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진동판(120)의 상부를 덮고, 적어도 하나의 음배출공(72)이 형성된 보호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진동판(120)은,
    가장 자리의 에지부(111a)와 가운데의 중앙부(111b)로 구성되는 제1 진동 부재(111);
    상기 제1 진동 부재(111)의 중앙부(111b)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진동 부재에 비해 낮은 비중의 강성 소재로 구성된 강성 부재(121); 및
    상기 강성 부재(121)가 부착된 상기 제1 진동 부재(111)의 상층면에 부착하여 상기 강성 부재(121)를 밀봉시키는 제2 진동 부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부재는,
    고분자 화합물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부재는,
    복수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로 스피커.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고분자 화합물, 세라믹 및 펄프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 부재는,
    고분자 화합물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 부재는,
    복수의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KR20080101153A 2008-10-15 2008-10-15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00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1153A KR101000756B1 (ko) 2008-10-15 2008-10-15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PCT/KR2009/002679 WO2010044526A1 (ko) 2008-10-15 2009-05-21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CN 200910146658 CN101729961B (zh) 2008-10-15 2009-06-09 微型扬声器用一体形振动板及其制作方法以及微型扬声器
CN2009201569279U CN201422157Y (zh) 2008-10-15 2009-06-09 微型扬声器用一体形振动板以及微型扬声器
TW98121630A TW201016040A (en) 2008-10-15 2009-06-26 Micro speaker diaphragm, the method thereof and micro speaker comprising the same diaphragm
TW98211820U TWM379297U (en) 2008-10-15 2009-06-30 Micro speaker diaphragm and micro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1153A KR101000756B1 (ko) 2008-10-15 2008-10-15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040A true KR20100042040A (ko) 2010-04-23
KR101000756B1 KR101000756B1 (ko) 2010-12-13

Family

ID=4180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01153A KR101000756B1 (ko) 2008-10-15 2008-10-15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000756B1 (ko)
CN (2) CN201422157Y (ko)
TW (2) TW201016040A (ko)
WO (1) WO20100445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8792B2 (en) 2013-08-27 2017-12-05 Goertek Inc. Vibration system of a loudspeaker
CN109862490A (zh) * 2018-12-30 2019-06-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扬声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1849A (zh) * 2010-09-30 2010-12-29 无锡杰夫电声有限公司 具有锥形定位支片的薄型扬声器
KR101156053B1 (ko) * 2010-11-22 2012-06-20 주식회사 비에스이 마이크로 스피커
CN102256196B (zh) * 2011-01-26 2015-06-03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微型动圈式电声转换器及其组装方法
US9584886B2 (en) * 2014-07-16 2017-02-28 Htc Corporation Micro-speak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7795A (ja) * 1984-04-13 1985-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カ用振動板
JPS6119299A (ja) * 1984-07-05 1986-01-28 Sansui Electric Co スピ−カ用振動板
JPH0728478B2 (ja) * 1984-12-28 1995-03-29 幅 秀幸 スピ−カ
JPS63283394A (ja) * 1987-05-15 1988-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板振動板
JPH1175295A (ja) * 1997-08-29 1999-03-16 Kyocera Corp 電磁型レシーバ
JP2002218585A (ja) * 2001-01-18 2002-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KR200337835Y1 (ko) * 2003-08-22 2004-01-13 주식회사 대림음향 소형 스피커 유닛용 진동판
KR100592100B1 (ko) * 2004-04-16 2006-06-21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마이크로 스피커의 진동판
KR100788476B1 (ko) * 2006-09-04 2007-12-24 주식회사 이엠텍 고음질 마이크로 스피커 및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8792B2 (en) 2013-08-27 2017-12-05 Goertek Inc. Vibration system of a loudspeaker
CN109862490A (zh) * 2018-12-30 2019-06-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扬声器
CN109862490B (zh) * 2018-12-30 2021-07-09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扬声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16040A (en) 2010-04-16
CN201422157Y (zh) 2010-03-10
CN101729961B (zh) 2013-06-05
WO2010044526A1 (ko) 2010-04-22
TWM379297U (en) 2010-04-21
KR101000756B1 (ko) 2010-12-13
CN101729961A (zh)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6575B (zh) 微型喇叭
KR100339816B1 (ko) 3-모드 재생 특성을 갖는 소형 전기-음향 변환기
TWI499315B (zh) 微型揚聲器
KR101000756B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KR20020085811A (ko) 스피커
WO2007125569A1 (ja) スピーカ装置
CN205283773U (zh) 一种入耳式耳机
WO2004103017A1 (ja) スピーカ
EP2369855B1 (en)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et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4557495B2 (ja) 電気音響変換器
JP2013522946A (ja) スピーカー
CN203896502U (zh) 压电型扬声器
KR101461410B1 (ko) 음향 진동판
KR101353590B1 (ko) 하나의 고분자 필름에서 강성도가 다르게 일체로 성형된 스피커용 진동판
KR101518607B1 (ko)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JP2005294982A (ja) スピー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モジュール、電子機器および装置
JP2009164866A (ja) マイクロスピーカ用振動板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マイクロスピーカ用振動板、該振動板を用いたマイクロスピーカおよび該マイクロスピーカ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S5912699A (ja) 複合型スピ−カ
JP2012044352A (ja) スピーカー
KR20060022867A (ko) 에지 분리형 진동판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KR100422097B1 (ko) 일체형 보빈캡 이용한 마이크로스피커용 진동계 및 그의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광대역 재생 특성을 갖는마이크로스피커
KR100783683B1 (ko) 마이크로스피커
JP3687235B2 (ja) スピーカ
KR101738516B1 (ko) 압전 스피커
KR20070025875A (ko)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진동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