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867A - 에지 분리형 진동판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 Google Patents

에지 분리형 진동판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867A
KR20060022867A KR1020040071652A KR20040071652A KR20060022867A KR 20060022867 A KR20060022867 A KR 20060022867A KR 1020040071652 A KR1020040071652 A KR 1020040071652A KR 20040071652 A KR20040071652 A KR 20040071652A KR 20060022867 A KR20060022867 A KR 20060022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dome
edge
edge portion
micro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임준우
배성호
김덕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2867A/ko
Publication of KR2006002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for diaphragms or their outer suspe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or their suspension covered by H04R7/00 but not provided for in H04R7/00 or in H04R2307/00
    • H04R2207/021Diaphragm extensions, not necessarily integrally formed, e.g. skirts, rims, fl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1Diaphragms comprising cellulose-like materials, e.g. wood, paper, lin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5Diaphragm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7Diaphragms comprising metall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9Diaphragms comprising fib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음 및 저음 모두에 적합한 소재로 구성되어 우수한 재생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지 분리형 진동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에 관한 것이고, 이를 위하여 돔 형상의 중앙부와 중앙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돔부(Dome portion); 및 내주면이 돔부의 주변부에 부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환형의 에지부(Edge portion)를 포함하며, 돔부 및 에지부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분리형 진동판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를 개시하고,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고음 및 저음 양측의 재생 특성에 부합하고, 저음과 고음의 분리를 실현하여 음장감과 현실감을 고조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스피커의 고출력화에 대응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피커, 진동판, 돔부, 에지부, 필름

Description

에지 분리형 진동판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 Free edge type diaphragm and micro speaker comprising the same }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진동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판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판의 제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지 분리형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프레임 12 : 단자
20, 120 : 요크 22, 122 : 요홈
30, 130 : 마그네트 32, 132 : 플레이트
40, 140 : 보이스 코일 50, 150, 150', 250 : 진동판
52, 152, 252 : 중앙부 54, 154, 254 : 주변부
56, 156, 256 : 돔부 58, 158, 258 : 에지부
70, 170 : 보호판 72, 172 : 음배출공
100, 200 : 마이크로 스피커 160, 260 : 접착 부재
210, 220 : 금형 212, 222 : 표면
214, 224 : 융기부 216, 226 : 단차
218, 228 : 리브 230, 240 : 필름
230', 240' : 중간체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음 및 저음 모두에 적합한 소재로 구성되어 우수한 재생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에지 분리형 진동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재생기기는 혼 스피커와, 콤포넌트 시스템과 같은 하이파이 오디오 시스템에 사용되며 일정한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우퍼, 미드레인지 및 트위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스피커와, 하나의 유닛으로 전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일반 스피커와, 초소형 캠코더, 워크맨, PDA,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및 IMT2000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초경량·초슬림형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와, 이동통신용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리시버, 일부가 귀속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이어폰, 그리고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수신하는 부저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PDA, 노트북 컴퓨터, IMT2000 통신 단말기 등은 장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사용자가 재생된 음을 듣게 된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은 전체 크기와 중량의 소형화 추세에 맞추어 그 크기가 작아지고 있어 이에 채용되는 마이크로 스피커 또한 다운 사이징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동시에, 이들 마이크로 스피커는 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IMT2000 구현에 따라 각종 음악 파일을 쉽게 내려받게 되면서 마치 오케스트라용 스피커와 같이 고입력/고출력, 그리고 고음에서 저음까지 광대역 재생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진동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조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100)는 중앙에 요홈(22)이 형성된 요크(20)와, 요홈(22)의 내벽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마그네트(30), 마그네트 위로 장착되는 플레이트(32), 요크(20)의 외측에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0), 프레임의 내측단에 의해 지지되는 진동판(50),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고 요크(20)와 마그네트(30)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 상하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40) 및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개방된 상부를 덮고, 적어도 하나의 음배출공(72)이 형성된 보호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일 측에는 보이스 코일(40)에 외부 신호를 공급하는 단자(1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외부 신호를 공급받은 보이스 코일(40)이 마그네트(30)에 접합되어 자화되는 플레이트(32) 등과 작용하여 상하로 진동하 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해 보이스 코일이 그 하면에서 결합되어 있는 진동판(50)이 진동됨으로써 외부 공기와의 압력에 의해 음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진동판(50) 구조는 돔 형상의 중앙부(52)와 중앙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주변부(54)를 갖는 돔부(56; 돔 부분)와, 돔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환형으로 형성된 에지부(58; 에지 부분)를 포함한다.
종래의 진동판은 단일 필름을 압착하여 성형되며, 이에 따라 동일한 재질과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일 재질의 진동판이 적용되는 경우에, 재생하고자 하는 음 대역이 고음과 저음 모두의 특성에 최적화 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스피커의 마그네트의 크기가 커질 경우에는 고음 쪽 왜율에 대한 제어가 더욱 난해해지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음 및 저음 모두에 최적화될 수 있는 구조의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음 및 저음 모두에 최적화된 구조의 에지 분리형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돔 형상의 중앙부와 중앙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돔부; 및 내주면이 돔부의 주변부에 부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환형의 에지부를 포함하며, 돔부 및 에지부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에지 분리형 진동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돔부는 필름, 고강성 펄프류, 금속시트 및 페놀 함침 수지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에지부는 고분자 필름, 펄프류, 고무소재 및 탄성중합체, 직조물 및 부직포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에지 분리형 진동판은 돔부와 에지부가 각각 상이한 재질로 구성된 후 접착 등을 통하여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고음 및 저음 모두에 최적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돔부는 고탄성의 재질 또는 큰 내부손실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맑고 카랑카랑한 음색 또는 부드러운 음색을 재생할 수 있으며, 반면 에지부는 신뢰성에 유리하고 박력 있는 저음을 재생하기에 적합하도록 고탄성의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에지부는 진폭이 크고 부품 스트레스가 많이 가해지는 부분이므로, 그에 맞추어 돔부와 다른 재질로 적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은 (a) 돔부 및 에지부에 대응되는 표면을 각각 구비하고 표면의 단부에 단차가 형성된 금형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b) 금형들 위로 필름들을 열압착 성형함으로써 돔부 및 에지부용 중간체들을 성형하는 단계와; (c) 단차를 기준으로 중간체들을 절단하는 단계; 및 (d) 절단된 중간체들을 접착하여 진동판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금형들 위로 열압착 성형되는 필름들은 돔부 및 에지부에 대응하여 상호 상이한 재질의 필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c) 단계에서 에지부는 (c-1) 에지부용 중간체에서 돔부에 대응하는 중앙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c-2) 에지부용 중간체에서 단차진 부분을 제거하여 환형의 에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진동판은 서로 다른 재질의 돔부와 에지부가 접착부재 등을 개재하여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일체형 진동판과 비교하여 손색없는 강도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돔부와 에지부 각각이 원하는 재질과 크기 및 두께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요홈이 형성된 요크와; 요홈의 내벽에 대해 간격을 두고 요홈에 장착되는 마그네트와; 마그네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와; 요크의 외측에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측단에 의해 지지되고 플레이트 위로 걸쳐져 결합되며, 앞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갖는 에지 분리형 진동판과;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고 마그네트와 요크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부 신호에 따라 상하 진동을 하는 보이스 코일; 및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진동판의 상부를 덮고 적어도 하나의 음배출공이 형성된 보호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분리형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형성된 진동판의 두 가지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진동판(150)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 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돔부(156)는 돔형의 중앙부(152)와 중앙부의 외측으로 수평으로 형성된 주변부(154)로 구성되며, 에지부(158)는 주변부의 하부에서 접착부재(160)를 개재하여 환형 형상의 내측부분이 접착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돔부(156)와 에지부(158)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진동판(150')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돔부(156)는 돔형의 중앙부(152)와 중앙부의 외측으로 수평으로 형성된 주변부(154)로 구성되며, 에지부(158')는 주변부의 하부에서 접착부재(160)를 개재하여 환형 형상의 내측부분이 접착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돔부(156)와 에지부(158')는 서로 상이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도 3 및 도 4에서 각각 상이한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된 진동판의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표적인 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들 재질과 두께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진동판이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별개로 구성되어 결합되는 돔부와 에지부를 포함하는 진동판에 대하여 그 상세를 설명한다.
에지부는 저음 재생에 유리한 고탄성의 재질을 사용하여 큰 진폭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기존의 일체형 진동판에서 고음 재생에 부적합하여, 예컨대 고음 음질이 매우 시끄러워져 사용하기에 어려운 재질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재질이 적용되는 경우에 진동에 유리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박력 있고 풍부한 저음을 재생하는 마이크로 스피커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내부손실이 큰 재질로 에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부드럽고 풍부한 저 음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에지부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음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필름을 이용하여 에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지부의 재료로는 고분자 필름, 펄프류, 고무소재, 탄성중합체(elastomer), 천연 혹은 가공의 직조물 그리고 부직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에지부는 돔부에 적용되는 재질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돔부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물론, 동일한 재질로 돔부와 에지부가 형성되는 경우, 필요에 의해 그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고음 및 저음에 모두 최적화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스피커가 재생하는 고음의 음질과 음색은 그 음의 개성을 살려주고 분위기를 좌우하는 주된 요소가 될 수 있다. 실제로 하이파이(high fidelity)를 실현하는 대구경 스피커에서도 클래식 음악에 어울리는 부드러운 고음 음색의 스피커, 팝이나 록 음악에 어울리는 맑고 명쾌한 고음 음색의 스피커 등이 소비자의 취향에 맞추어 판매되고 있다.
저음 재생시 필요한 강성 때문에 고음을 정확하게 구현하지 못하던 종래의 문제점은 본 발명과 같이 돔부와 에지부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용이하게 극복될 수 있다. 즉, 에지부에 적용된 재질에 관계없이, 고음 재생에 요구되는 재질로 돔부를 형성함으로써 고음 재생에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형화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신호 재생시 발생하 는 고음의 노이즈를 특별한 회로의 추가 설계 없이 내부손실이 큰 재질을 적용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에서의 고음의 일그러짐 현상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고강성 재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명쾌한 고음 음색이 재생되며 유연성이 뛰어나고 내부손실이 큰 재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부드러운 음색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두꺼운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돔에서 발생하는 분할공진과 음의 일그러짐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이처럼, 돔부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음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필름을 이용하여 돔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돔부의 재료로는 필름, 고강성 펄프류, 금속시트 및 페놀 함침 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진동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그 상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돔부 및 에지부에 대응하는 표면들(212, 222)을 구비한 금형들(210, 220)을 제공한다. 돔부용 금형(210)의 표면(212)에는 돔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된 융기부(214)가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212)의 단부에는 단차(216)가 형성되고, 단차에 인접한 표면에는 리브(218)가 형성된다. 유사하게, 에지부용 금형(220)의 표면(222)에는 에지부의 환형상에 대응하여 융기부(224)가 형성되고, 표면(222)의 단부에는 단차(226)가 형성되고, 단차에 인접한 표면에는 리브(2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금형에서 단차는 차후 공정에서 기준이 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것 이며, 금형 표면에 형성된 리브는 필름이 편편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금형들(210, 220)에 서로 상이한 재질 또는 두께의 필름들(230, 240)이 적용되어 열압착 성형된다. 도 5a에는 일 실시예로써 상이한 두께의 필름들이 적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성형된 중간체들(230', 240')의 형상이 도 5b에 도시되고, 중간체들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구성되는 돔부(256) 및 에지부(258) 각각이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중간체들(230', 240') 각각은 대응되는 금형(210, 220)의 표면 형상에 따른 구조를 가지며, 이후 절단 공정을 거쳐 돔부(256) 및 에지부(258)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에지부용 중간체(240')는 단차진 단부(246)를 기준으로 하여 중간체(240')의 중심 부분(화살표 A 부분)을 절단한 이후 다시 단부(246)를 포함하는 외곽 부분(화살표 B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환형의 에지부(258)를 형성한다. 또한 돔부용 중간체(230')는 단차진 단부(236)를 기준으로 하여 중간체의 외곽 부분(화살표 C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돔부(256)를 형성한다. 이때, 돔부는 돔 형상의 중앙부(252) 및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주변부(25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절단 공정 후 에지부(258) 및 돔부(256)가 접착제와 같은 접합 부재(260)를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본 발명의 진동판(250)이 완성되며, 완성된 진동판(250)의 단면이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돔부와 에지부의 결합은 돔부의 주변부에 환형의 에지부 내측부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적층부위의 결합은 일반적인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열융착 등의 접합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적층되는 순서는 관계없으며, 도면과 달리 돔부 주변부 위로 에지부의 내측면이 적층된 후 접합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의 제조 방법은 돔부 및 에지부를 각각 재질 또는 두께 등이 상이한 별개 재질의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상호 독립적인 음 재생 특성을 갖도록 함에 특징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돔부 및 에지부에 대응되는 별개의 금형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별개로 구성된 돔부와 에지부를 접착하는 단계 등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을 참조하여 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200)는 중앙에 요홈(122)이 형성된 요크(120)와; 요홈의 내벽에 대해 간격을 두고 요홈 내에 장착되는 마그네트(130)와; 마그네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132)와; 요크(120)의 외측에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의 내측단에 의해 지지되고 플레이트 위로 걸쳐져 결합되며, 앞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갖는 에지 분리형 진동판(150)과;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고 마그네트(130)와 요홈의 내벽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부 신호에 따라 상하 진동을 하는 보이스 코일(140); 및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진동판(150)의 상부를 덮고 적어도 하나의 음배출공(172)이 형성된 보호판(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이 적용된 점에 있어서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 구조와 구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에지 분리 형 진동판을 포함한다는 전제하에서 모든 형태의 스피커로 그 구조가 확장될 수도 있다.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을 적용하는 경우에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먼저, 저음 및 고음 재생에 있어 보다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하다. 종래의 경우 단일 재질로 형성된 진동판을 적용하기 때문에 저음과 고음 중 어느 한 편에 치우친 음색 및 음질이 구현되어야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은 각기 고음 및 저음 모두에 부합하는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저음과 고음 양측의 요구를 만족하는 음질 및 음색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저음과 고음의 재생 특성이 모두 자유롭게 제어될 수 있음에 따라 종래 5 ㎐ ~ 5 ㎑ 정도로 국한되어 있던 재생 주파수 대역을 가청주파수 전 대역(예컨대, 20 ㎐ ~ 20 ㎑ 정도)으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저음과 고음의 분리가 잘 이루어져 음장감과 현실감이 고조될 수 있다. 이는 최근의 멀티미디어화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 각종매체의 음을 재생하기 위한 요구에도 일치한다.
다음으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의 멀티미디어화가 급속히 이루어짐에 따라 수반되는 스피커의 고출력화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을 사용하는 경우 높은 부품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에지부(에지 부분)에만 고강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음 음질과 상관없이 출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지 분리형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에 의하면, 돔부 및 에지부를 각기 별개의 재질과 두께로 형성한 후 결합시킨 구조의 진동판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단일 소재로 제작된 진동판을 사용하던 경우에 비하여 고음 및 저음 양측의 재생 특성에 모두 부합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돔 형상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돔부(Dome portion); 및
    내주면이 상기 돔부의 주변부에 부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환형의 에지부(Edge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돔부 및 상기 에지부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에지 분리형 진동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부는 필름, 고강성 펄프류, 금속시트 및 페놀 함침 수지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에지 분리형 방식 진동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고분자 필름, 펄프류, 고무소재 및 탄성중합체, 직조물 및 부직포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피커용 에지 분리형 진동판.
  4. 제 1 항에 따른 진동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돔부 및 에지부에 대응되는 표면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표면의 단부에 단차가 형성된 금형들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금형들 위로 필름들을 열압착 성형함으로써 상기 돔부 및 에지부용 중간체들을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단차를 기준으로 상기 중간체들을 절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절단된 중간체들을 접착하여 진동판으로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들 위로 열압착 성형되는 필름들은 상기 돔부 및 에지부에 대응하여 상호 상이한 재질의 필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분리형 진동판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에지부용 중간체에서 상기 돔부에 대응하는 중앙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c-2) 상기 에지부용 중간체에서 상기 단차진 부분을 제거하여 환형의 에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분리형 진동판의 제조 방법.
  6. 중앙에 요홈이 형성된 요크;
    상기 요홈의 내벽에 대해 간격을 두고 상기 요홈에 장착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요크의 외측에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단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플레이트 위로 걸쳐져 결합되 며, 제 1 항에 따른 구조를 갖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요크 사이의 간격에 끼워져 결합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상하 진동을 하는 보이스 코일; 및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진동판의 상부를 덮고 적어도 하나의 음배출공이 형성된 보호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분리형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KR1020040071652A 2004-09-08 2004-09-08 에지 분리형 진동판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KR20060022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652A KR20060022867A (ko) 2004-09-08 2004-09-08 에지 분리형 진동판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652A KR20060022867A (ko) 2004-09-08 2004-09-08 에지 분리형 진동판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867A true KR20060022867A (ko) 2006-03-13

Family

ID=3712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652A KR20060022867A (ko) 2004-09-08 2004-09-08 에지 분리형 진동판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28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683B1 (ko) * 2007-05-02 2007-12-07 한만대 마이크로스피커
KR102176421B1 (ko) * 2019-10-23 2020-11-11 삼원액트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피커의 필름형 진동판
US11212616B2 (en) * 2019-10-29 2021-12-28 Em-Tech Co., Ltd. Bonding structure of diaphragm for receiv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683B1 (ko) * 2007-05-02 2007-12-07 한만대 마이크로스피커
KR102176421B1 (ko) * 2019-10-23 2020-11-11 삼원액트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피커의 필름형 진동판
US11212616B2 (en) * 2019-10-29 2021-12-28 Em-Tech Co., Ltd. Bonding structure of diaphragm for recei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9315B (zh) 微型揚聲器
US7596235B2 (en) Transducer
WO2013114872A1 (ja) スピーカ、スピーカを備えたインナーイヤーヘッドホンおよび補聴器
JP2001086590A (ja) 小型電気−音響変換器
WO2006082774A1 (ja) スピーカ
WO2007125569A1 (ja) スピーカ装置
KR101000756B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일체형 진동판, 그 제조 방법 및 그 진동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WO2005117488A1 (ja) スピーカ
JP2011166722A (ja) スピーカ
KR101184537B1 (ko) 스피커
KR101595175B1 (ko) 이중 구동부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CN203896502U (zh) 压电型扬声器
KR20060022867A (ko) 에지 분리형 진동판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피커
KR101461410B1 (ko) 음향 진동판
KR101045613B1 (ko) 마이크로 스피커
KR100834075B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마이크로스피커
JP3687235B2 (ja) スピーカ
KR100783683B1 (ko) 마이크로스피커
KR20070025875A (ko) 마이크로스피커용 이중 진동판
KR100422097B1 (ko) 일체형 보빈캡 이용한 마이크로스피커용 진동계 및 그의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광대역 재생 특성을 갖는마이크로스피커
US20190191251A1 (en) Diaphragm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2009164866A (ja) マイクロスピーカ用振動板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マイクロスピーカ用振動板、該振動板を用いたマイクロスピーカおよび該マイクロスピーカを用いた携帯電話機
TWI491274B (zh) 多功能微型揚聲器(二)
JP4596969B2 (ja) 振動板及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ユニット
KR102569319B1 (ko) 개선된 센터 진동판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의 진동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