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767A - 전기 접촉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전기 접촉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767A
KR20100041767A KR1020107000463A KR20107000463A KR20100041767A KR 20100041767 A KR20100041767 A KR 20100041767A KR 1020107000463 A KR1020107000463 A KR 1020107000463A KR 20107000463 A KR20107000463 A KR 20107000463A KR 20100041767 A KR20100041767 A KR 20100041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connector housing
electrical
cabl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7057B1 (ko
Inventor
마르쿠스 짐벨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41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9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clamping part being flexibly or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에어백용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 특히 4 또는 5-핀 전기 플러그 커넥터(10))용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에/상에 전기 접촉 요소(10)와 케이블(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110)가 배열되고, 상기 전기 접촉 요소(10)는 상기 고정 요소(110)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케이블(30)은 상기 고정 요소(110)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상에 클램핑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이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로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 및 전기적 플러그인 커넥션(1)에 의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접촉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PLUG CONNECTOR HOUSING WITH A FIXING FOR AN ELECTRIC CONTACT ELEMENT AND A CABLE}
본 발명은 에어백, 특히 자동차 에어백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용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즉 소켓 또는 핀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 플러그 커넥터 또는 메이팅(mating)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와 그에 대응하는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또는 그에 대응하는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의 특히 전기적 클록 스프링 커넥션 또는 전기적 커플링용의 전기적 플러그인 커넥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케이블들과 단자들을 위한 결합 해제 가능한, 기계적인, 전기적 연결용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들 또는 플러그인 커넥션들이 많은 실시예에서 공지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들의 경우에, 통상 크림핑(crimping) 및/또는 콤팩팅 용접(compacting-welding)에 의하여 케이블들이 전기 접촉 요소들(소켓 또는 핀 콘택)에 기계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기 접촉 요소들은 통상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접촉 챔버들 내에 배열되고 로킹된다.
전기 플러그 커넥터들은 케이블들의 로딩,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와 같은 거친 환경 조건들로부터 야기되는 케이블의 이동 및/또는 케이블 진동이 케이블과 전기 접촉 요소 사이의 전기적 커넥션으로나 플러그인 커넥션의 2개의 접촉 요소들 사이의 전기적 커넥션으로 전달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전기 플러그 커넥터 또는 플러그인 커넥션에 작용하는 기계적 하중들이 별도의 부재에 의하여 정지상태에 있고, 전기 플러그 커넥터 후에, 또는 전기 접촉 요소들에 연결되는 케이블들을 차단하기 위한 플러그인 커넥션 전후에 배열되지만, 이는 바람직하지 않게 부품의 수, 조립의 비용과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DE 4015793 A1은 시일과, 캡으로서 구성되고 또한 외부로부터 케이블 마운트에 부착될 수 있는 추가적인 시일이 제공된 전기 케이블을 보유시키기 위하여 제공제공되는 케이블 삽입 슬롯들이 구비되는 외부 케이블 마운트가 제공되고 가압 또는 호스 물로부터 보호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전기 접촉 요소들은 케이블 마운트에 의하지 않고 종래의 방식으로 정지되어 있다.
US 4200350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원 피스로서 구성되는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인 피봇가능 리드와, 리드가 폐쇄될 때 대응하는 애퍼처들과 전기 케이블을 위한 각각의 도관을 형성하는, 리드의 자유단에 제공된 애퍼처들을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리드의 애퍼처들을 분리시키는 중간 부분들과 하우징은 횡방향으로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제공되는 전기 접촉 요소들을 고정한다. 그러나, 케이블들은 리드가 닫힐 때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플러그 커넥터용의 개선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또는 개선된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개시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수, 조립 비용 및 복잡성을 줄이면서, 전기 접촉 요소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의/상의 케이블의 고정(fixing)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는 단일의 고정 요소에 의하여 달성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와 그에 대응하는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로의 전기적 플러그인 커넥션을 개시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청구항 11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 및 청구항 12에 따른 전기적 플러그인(plug-in) 커넥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전기 접촉 요소를 고정하고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에/상에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들로 만들어지는 단일의 고정 요소를 가진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 요소는 상기 전기 접촉 요소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에 정지되고 동시에 상기 케이블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 고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요소는 상기 전기 접촉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로킹 부재와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부재를 가진다. 이는 상기 전기 접촉 요소가 상기 고정 요소 또는 로킹 요소의 로킹된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상기 고정 요소 또는 상기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된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고정 요소 또는 오직 상기 로킹 부재 또는 오직 상기 클램핑 부재 또는 상기 로킹 및 클램핑 부재가 원 피스로서, 특히 재료적으로 원 피스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된다. 후자의 실시예에서, 작각의 로킹 및 클램핑 부재를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재료적으로) 원 피스로서 직접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원 피스로서 구성된 상기 로킹 부재와 (재료적으로) 원 피스로서 상기 클램핑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간단하고 신속한 제조에 의하여 구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단지 단일의 인젝션(injection) 몰드, 전반적으로 낮은 높이, 및 콤팩트한 디자인을 요한다. 특히, 전기 접촉 요소들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설계가 한편으로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전기 접촉 요소를 고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블 타이들 또는 와인딩 스트립과 같은 부가적인 부품들을 요구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제조자에 의하여 단순한 처리의 이점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인하여, 접촉 요소들을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제공하는 자유로운 액세스의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은 부가적인 응력 완화 부재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소켓 및/또는 상기 전기 플러그인 커넥션의 플러그에서 용이하게 구현되어, 바람직하게 상기 플러그인 커넥션의 양측에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예를 들어, 플로팅(floating) 전기적 커플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요소는 제1힌지, 바람직하게는, 필름 힌지를 통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피봇한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 요소의 상기 로킹 부재 및 클램핑 부재가 제2힌지, 바람직하게는, 필름 힌지를 통해 함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로킹 부재가 상기 제1힌지, 바람직하게는, 필름 힌지를 통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클램핑 부재가 상기 제2힌지, 바람직하게는, 필름 힌지를 통해 상기 로킹 부재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클램핑 부재는 기계적으로 상기 로킹 부재에 연결된다. 클램핑 및 로킹 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를 형성하고, 그 로킹 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관절 결합된다(articulated).
바람직하게, 상기 로킹 및 클램핑 부재는 각각 서로에 대항하여 위치되는 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서 서로 대항하여 위치되는 실질적으로 직각 평형 육면체(parallelepiped) 탭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로킹 및 클램핑 부재는 서로에 대항하여 위치되었을 때 그 로킹된 위치와 클램핑된 위치를 각각 취한다.
상기 로킹 부재와 상기 클램핑 부재가 (상기 로킹 부재는 그 로킹된 위치에 있지 않고 상기 클램핑 부재는 그 클램핑된 위치에 있지 않은) 그 각각의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 부재와 상기 로킹 부재는, 측방에서 봤을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인접하는 벽과 함께, 대략적으로 S자 형상의 구성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클램핑 부재는 아크(arc), 바람직하게는, 대략 180도 아크(U자 형상)로 상기 로킹 부재와 합체되고, 상기 로킹 부재는 아크,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대략 180도 아크(U자 형상)으로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벽과 합체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힌지는 이 경우에 필름 힌지로서 구성되고 각각의 경우에 상기 아크에 직접 연결된다. 즉, 상기 로킹 부재의 상기 필름 힌지는 그 자체가 바람직하게 상기 로킹 부재의 일부이고, 상기 클램핑 부재의 상기 필름 힌지는 그 자체가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 부재의 일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그 내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요소 및 바람직하게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의 경우에, 상기 로킹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와 맞물린다(engage). 이 경우에, 상기 로킹 부재의 돌출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 접촉 요소의 리세스 내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 상에 배열되고, 상기 로킹 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일부가 접촉 챔버 벽의 관통 리세스를 통하여 로킹된 위치에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의 이 부분은 상기 전기 접촉 부재와 맞물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는 바람직하게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 상기 로킹 부재가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돌출부의 엣지는 상기 관통 리세스의 엣지와 맞물린다. 또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로킹 부재의 로킹 및/또는 위치 고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로킹 부재에 바람직하게 관절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부재는 상기 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한 장치를 가진다. 이 경우에, 상기 클램핑 장치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그루브(groove)를 갖는 콤(comb)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램핑 부재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와 클램핑된 위치에서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클램핑 부재 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실제 클램핑 장치는 실질적으로 90도로 상기 클램핑 부재의 상기 탭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서, 상기 돌출하는 클램핑 장치는 전기 접촉 요소들이 수용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챔버들과 접근하기 위한 영역과 중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첩은 상기 클램핑 장치가 상기 케이블들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한다. 클램핑된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부재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그 일부가 바람직하게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대항하여 안치되는 상기 로킹 부재에 직접 인접하게 위치한다. 이 경우에,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관절 결합되는 로킹 부재의 일부와 중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부재는 클램핑된 위치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 장치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에 로킹되거나 고정된다. 이는 상기 클램핑 부재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고, 따라서, 상기 케이블의 이동이 전체로서 상기 고정 요소 내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그 구성에 있어서 강체인,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케이블들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하여 상기 케이블의 이동이 상기 전기 접촉 요소 내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고, 및/또는 예를 들어 로킹에 의하여 상기 로킹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클램핑 장치는 케이블이 클램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그루브를 가진다. 이 경우에, 상기 클램핑 그루브는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케이블의 전기적 절연을 신뢰성 있게 클램핑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 그루브의 폭이 상기 케이블의 직경보다 약간 작도록 구성하는 사실의 결과로서 또는 상기 케이블이 소정의 힘으로 삽입되는 테이퍼링(tapering) 그루브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장치는 교번하는 클램핑 그루브와 핑거들을 갖는 콤의 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핑거들은 바람직하게 일부가 탄성적이다. 탄성 핑거들은 그루브 내에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클램핑하는 것을 허용한다. 더욱이, 한편으로는, 이러한 돌출부들이 상기 케이블을 클램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그루브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이 되도록 상기 그루브의 방향으로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들을 상기 핑거들 상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그루브의 엣지들, 즉, 핑거들에는 로킹 리세스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리세스들은 케이블을 적어도 일부 수용하고 상기 케이블을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2개의 직접 인접한 핑거들에 제공된다. 더욱이, 예를 들어, 상기 클램핑 장치 상의 슬라이드에 의한 맞물림(engagement)의 다른 형태가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장치에서 클램핑되는 영역에서 상기 케이블을 더 얇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에서는, 한편으로는, 상기 그루브들 또는 상기 핑거들은 그것들이 상기 케이블(상기 참조)을 계속 클램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에 적합하게 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케이블을 얇게 하는 것이 그에 수직한 방향(상기 전기 접촉 요소들이 제조 중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핑거들 상에 클램핑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나머지 종속항들로부터 나타난다.
본 발명은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반으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를 보여주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3은 그 내에 수용되는 전기 접촉 요소가 제공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 측방도이고;
도 4는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와 메이팅 되기 전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와 메이팅될 때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 상의 미리 로킹된 위치에서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 상의 최후 로킹된 위치에서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소켓 콘택들의 형태의 4개의 전기 접촉 요소들(10)이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 내에 수용되는 상태에서, 4-핀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용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을 기반으로 본 발명이 매우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이 경우에 에어백의 조향 컬럼 또는 자동차 클록 스프링으로의 전기적 연결, 또는 에어백의 전기적 커플링에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며, 플러그 또는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들 또는 전기 플러그 또는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들에 매우 광범위하게 관련될 것이다. 따라서, 소켓 콘택들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의 핀 콘택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의 전기 접촉 요소들(10)의 수는 변할 수 있다. 또한,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로부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 기술될,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리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블(30)의 이동이 그에 고정되는 전기 접촉 요소들(10)로부터 접근이 방지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들, 특히 도 1,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용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3 및 도 7 참조). 이 경우에,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과 그 내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요소(10)(도 3 참조), 및 바람직하게는 전기 접촉 요소(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에어백의 전기적 클록 스프링 커넥션용의 4-핀 플러그 커넥터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원하는 수의 전기 접촉 요소들(10)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에어백의 전기적 커플링용의 5-핀 플러그 커넥터이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종축(L)에 대하여) 종방향 측에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용의 리셉터클(130)을 가진다.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 상에 맞물리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7 참조).
또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은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와 함께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로의 확고한 맞춤(fit)을 용이하게 하는 칼라(collar)(140)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칼라(140)와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01)(도 4 참조)은 상호적으로 대응하는 돌출부들과 그루브들 등을 가진다. 본 예에서, 칼라(140)는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용의 리셉터클(130)에 대향하면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종방향 측에 제공된다. 이 경우에, 칼라(140)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총 높이의 약 1/3 내지 1/2까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언더사이드(103)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주위에서 90 내지 180도로 연장된다 (도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칼라(140)가 가능한 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모든 부분을 에워싸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칼라(140)는 이 경우에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상에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리셉터클(130) 주위에서 또한 연장될 수 있다.
소켓 콘텍으로서 구성된 전기 접촉 요소(10)를 고정하는 본 발명의 고정 요소(110)와 동시에 전기 접촉 요소(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30)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110)는 한편으로는 전기 접촉 요소(10)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에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기 접촉 요소(10)에 연결된 케이블(30)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고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제1 및 제2개방 위치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10)를 보여주는 반면, 도 4 내지 도 7은 고정된 위치(로킹된 위치 및 클램핑된 위치, 이하 참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110)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요소(110)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과 일체로, 즉 재료적으로 원 피스로 구성된다. 그러나, 고정 요소(110)를 외부 부품으로서 생성하고, 이 외부 부품을 따라서 전기 접촉 요소(10)와 케이블(30)을 고정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상에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베어링들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대하여 피봇될 수 있도록 고정 요소(110)를 제공하는 것도 예컨대 가능하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110)는 바람직하게는 필름 힌지(film hinge)로서 구성되는 제1힌지(112)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연결된다. 제1힌지(112)는 고정 요소(110)의 로킹 탭으로서 구성되는 로킹 부재(114)를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장착한다. 이 경우에, 베어링들은 바람직하게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상부측(101) 상에 구성된다.
고정 요소(110)의 로킹 부재(114)는 전기 접촉 요소(10)를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접촉 챔버(150) 내에 맞물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참조). 이를 위하여, 로킹 부재(114)는 전기 접촉 부재(10)의 이에 대응하는 로킹 표면의 리세스(18)와 맞물릴 수 있는 로킹 러그(locking lug)(118)를 가진다. 즉, 로킹 부재(114) 또는 고정 요소(110)의 로킹된 위치에서, 로킹 러그(118)는 접촉 챔버(150) 내에 또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에 전기 접촉 요소(10)를 로킹한다. 로킹 러그(118)가 전기 접촉 요소(10)의 로킹 표면에 있는 리세스(18)까지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각 부분은 접촉 챔버(150)의 벽(152)의 영역에 관통 리세스(158)을 가진다. 관통 리세스(159)을 통하여, 로킹 러그(118)의 종방향 자유 단부는 접촉 챔버(150) 내로 돌출되어, 로킹 러그(118)가 전기 접촉 요소(10)를 접촉 챔버(150) 내에 맞물리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로킹 부재(114)는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 그 구성에 있어서 탭과 같으며, 로킹 러그(118)는 바람직하게 로킹 부재(114)의 전체 폭(B)(도 1 참조)을 따라서 연장된다. 이 경우에, 로킹 러그(118)는 바람직하게 캐치(catch)로서 로킹 부재(114)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로킹 러그(118)는 바람직하게 로킹 부재(114)의 종방향 단부에 위치한다.
접촉 챔버(150)의 외부로의 로킹 러그(118)의 우발적인 슬라이딩과, 이에 따른 전기 접촉 요소(10)의 맞물림 해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로킹 러그(118)는 접촉 요소(150)의 엣지(159)와 로킹되는 그 위에 형성되는 엣지(119)를 가진다. 이 경우에, 엣지(159)의 적어도 일부는 접촉 챔버(150)의 벽(152)(도 3 및 도 5 참조)의 내부로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로킹 러그(118)는 접촉 챔버(150)의 접촉 챔버 벽(152)과 맞물리고, 또한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의 전기 접촉 요소(10)와 맞물린다. 또한, 엣지(159)는 서로 인접하는 접촉 요소들(150) 사이에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에서 계속 연장된다.
로킹 부재(114)는 바람직하게 로킹 부재(114)의 전체 폭(B)(도 1 참조) 상에서 연장되는 돌출부(116)를 가질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에서 그에 대응하는 로킹 표면에 있는 리세스(106)과 맞물릴 수 있다. 명백하게, 돌출부(116)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상에 배열되고 리세스(116)이 로킹 부재(114) 내에 배열되는 역상황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 돌출부(116)와 리세스(106)은 로킹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킹 부재(114)를 위치시키는 역할을 하며, 적어도 종방향(L)으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돌출부(116)와 리세스(106)의 엣지는 하나가 다른 하나 상에 맞물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110)는, 로킹 부재(114)에 부가하여, 클램핑 부재(122)를 가진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부재(122)는 로킹 부재(114)에 대하여 피봇할 수 있으며 클램핑 탭으로서 구성된다. 이는 유사하게 바람직하게 필름 힌지로서 구성되는 제2힌지(120)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로킹 부재(114)와 별도로 클램핑 부재(122)를 구성하고 베어링들을 통해 피봇할 수 있도록 로킹 부재(114) 상에 클램핑 부재(122)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로킹 부재(114) 상에 클램핑 부재(122)의 장착은 로킹 러그(118)에 반대되는 로킹 부재(114)의 측에 제공된다. 이는 로킹 러그(118)에 반대되는 로킹 부재(114)의 표면의 임의의 원하는 부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부재(122)는 하지만 로킹 부재(114)의 일단에 링크되며, 로킹 러그(118)는 로킹 부재(118)의 (도 3에 도시된 단면과 관련하여) 반대측에 제공된다. 이 경우에, 클램핑 부재(122)는 로킹 부재(114)의 단부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U자 형상부를 통해 재료적으로 원 피스를 이룬다. 제2힌지(120)는 이 U자 형상부의 일부이다. 클램핑 부재(122)는 제2힌지(120)에 연결된다. 제2힌지(120)에 반대되는 클램핑 부재(122)의 일단에서, 클램핑 부재(122)는 클램핑 장치(126)를 가진다.
본 발명의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램핑 부재(122)는 자유 단부를 형성하며, 로킹 부재(114)는 고정 요소(110)의 경계 단부를 형성하나, 그 역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 클램핑 부재(122)는 바람직하게 재료적으로 원 피스를 이루면서 제1힌지(112)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연결되며, 고정 요소(110)의 자유 단부로서 작용하는 로킹 부재(114)는 클램핑 부재(122)에 연결되어, 다시 바람직하게 제2힌지(120)를 통해 재료적으로 원 피스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126)는 전기 접촉 요소들(10)의 케이블(30)(도 7 참조)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며, 케이블들(30)의 이동의 결과로 차단되며 더 이상 전기 접촉 요소(10) 내로 진행할 수 없다. 이 경우에, 케이블(30)로부터의 힘들은 클램핑 장치(126)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로 그리고 클램핑 부재(122)와 로킹 부재(114)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로 안내된다. 전자의 경우에, 클램핑 장치(126)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상의 돌출부(109)와 클램핑 장치(126) 상의 돌출부(109)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직접 로킹되며, 후자의 경우에는, 이 힘들은 로킹 부재(114)의 돌출부(116)를 통해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로킹 표면(106)의 범위 한정을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로 안내된다.
클램핑 장치(126)는 케이블(30)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예컨대, 클램핑 장치(126)에 의한 케이블(30)의 클램핑과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대응 부분에 의하여 수행된다. 또한, 핑거들(128)과 그루브들(127)을 갖는 콤의 방식으로 클램핑 장치(126)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케이블들(30)은 그루브들(127) 내에서 클램핑된다.
이 경우에, 그루브들(127) 각각은 케이블(30) 또는 케이블(30)의 절연이 그루브(127) 내에서 신뢰성 있게 클램핑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그루브(127)의 폭은, 예컨대, 케이블(30)의 외경보다 약간 작다. 더욱이, 그루브(127)를 V-형상으로 구성하고 그루브(127) 내로의 삽입에 의하여 케이블(30)을 그 내에 확고하게 클램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후에 케이블(30)이 클램핑되는 돌출부들(도시하지 않음)이 핑거들(128) 상에 측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이는 또한 핑거들(128) 상에 제공되는 리세스들(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돌출부들(도시하지 않음) 또는 리세스들(도시하지 않음)이 핑거들(128) 상에 존재하면, 상기 돌출부들(도시하지 않음) 또는 리세스들(도시하지 않음)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횡방향(그루브(127)의 폭 방향)으로 서로 직접 반대되게 위치한다.
클램핑 부재(122)의 클램핑 장치(126)는 바람직하게 클램핑 부재(122)의 탭의 일단으로부터 약 90도의 각으로 돌출되며, 클램핑된 위치(도 4 내지 도 7 참조)에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상의 로킹 부재(114)의 장착부와 중첩된다. 또한, 고정 요소(110)의 클램핑된 위치와 로킹된 위치에서, 클램핑 부재(122)는 로킹 부재(114)에 직접 대항하여 안착되며, 이 로킹 부재(114)는 그 부분에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직접 대항하여 안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킹 부재(114)와 클램핑 부재(122) 양자는 이 경우에 각각 다른 하나의 상부에, 다른 한편으로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함께 폴딩(folding)될 수 있는 폴딩 리드들로서 구성된다.
도 1 및 도 3에서 가장 명료하게 보여질 수 있는 로킹 부재(114)와 클램핑 부재(122)의 개방 위치에서, 클램핑 부재(122), 제2힌지(120), 로킹 부재(114), 제1힌지(112), 및 제1힌지(112)에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일부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종방향(L)(도 3 참조)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S자 형상을 가진다. 고정 요소(110)의 지그재그 형상의 결과로서, 단일의 핸들이 전기 접촉 요소(101) 양자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에 로킹되는 것을 허용하며, 동시에 케이블(30)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상에 확고하게 클램핑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 경우에, 로킹 부재(114)의 일단과 클램핑 부재(122)의 일단 상에 힘이 단지 가해진다. 클램핑 부재(122)의 단순한 조작을 위하여, 클램핑 부재(122)는 그로부터 돌출되는 캐치의 형태로 액츄에이팅 장치(124)를 가질 수 있으며, 액츄에이팅 장치(124)는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01) 상에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스톱 역할을 한다 (도 7 참조).
클램핑 부재(122)의 클램핑된 위치에서, 또한 따라서 바람직하게 로킹 부재(114)의 로킹된 위치에서, 클램핑 장치(126)는 바람직하게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상부측(102)에 로킹된다. 이는 바람직하게 클램핑 장치(126) 상에 일체로서 구성되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숄더부 또는 돌출부(109)에 대항하여 안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클램핑 장치(126)를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고정하는 돌출부(129)를 통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클램프로서 구성되는 이러한 연결을 통해, 케이블들(30)의 이동으루부터의 힘들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로 직접 안내된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클램프 장치(126)를 고정하는데 있어서 상호 작용하는 돌출부(109)와 돌출부(129)는 연동되지 않는 위치에서 도 2에 명료하게 보여질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은 상부측(102)에 치들(teeth)로서 구성되는 돌출부(108)를 가지며, 핑거(128)의 종방향 단 또는 종방향 단부는 서로 직접 인접하는 돌출부들(108) 중의 둘 사이에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도 1 및 도 4 참조). 이 경우에, 돌출부들(108)은 핑거들(128)을 위치시키는 임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핑거들(128)을 클램핑한다. 즉, 서로 직접 인접하는 돌출부들(108)은 핑거들(128)이 그 내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이 경우에, 서로 대응하는 로킹 돌출부들 또는 로킹 리세스들은 다시 핑거(128) 또는 돌출부들(108)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핑거들(128)을 거치는 케이블 이동으로부터 돌출부(108) 내로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로 힘이 효과적으로 유입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을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에 연결하는 것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이 경우에,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그 내에 수용되는 4개의 소켓 콘택들(도시하지 않음)과 소켓 콘택으로서 형성되는 전기 접촉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도 7 참조)을 가진다. 이 경우, 케이블(30)은 절연 크림프(12)(도 3 참조)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예컨대, 용접, 솔더링, 또는 크림핑을 통해 전기 접촉 영역(14)(도 3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로킹 부재(114)와 클램핑 부재(122)로부터 구성되는 고정 요소(110)는 로킹된 위치와 클램핑된 위치 양자에 있다. 그 결과로, 전기 접촉 요소들(10)은 로킹 부재(114)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에 로킹되며, 케이블들(30)은 제1힌지(112)에 의하여 피봇되는 클램핑 부재(122)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고정된다.
메이팅 플러그 커텍터(200)의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01)은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그 구성에 있어 대응하고,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와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인 커넥션(1)을 결합식으로(jointly) 형성한다.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01)은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110)를 가질 수 있다. 핀 콘택들(도 5 내지 도 7 참조)로서 구성되는 전기 접촉 요소들(20)은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전기 접촉 요소들(10)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01) 내에 수용된다.
도 4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이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를 향하여 이동되는 출발 위치를 보여준다. 이 경우에,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는 리셉터클(130) 내의 미리 로킹된 위치에 수용되거나 그 내에 일부가 삽입된다 (또한 도 5 및 도 6 참조). 그러나, 단지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이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에 맞물리면, 리셉터클(130) 내에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을 위치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5는 일부가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에 부착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을 보여주며, 전기 접촉 요소들(10,20)는 아직 서로 기계적 접촉을 하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도 5는 접촉 챔버(150) 내에서의 로킹 러그(118)의 로킹을 명료하게 보여준다. 이 경우에, 로킹 러그(118)의 엣지들(119,159)과 관통 리세스(158) 또는 접촉 챔버(152)는 서로 접한다.
도 6은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 상의 미리 로킹된 위치에서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보여주며(이 경우, 마찬가지로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는 여전히 그 미리 로킹된 위치에 있다), 전기 접촉 요소(20)는 미리 전기 접촉 부재들(10)과 전기 접촉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리셉터클(130) 내세서 측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되는, 리셉터클(130)의 캐치(160) 또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은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01)의 돌출부(260)에 대항하여 안치된다. 캐치(160)는 바람직하게 그 구성에 있어서 탄성적이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안치 위치에 있다. 더욱이,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의 고정 탭(360)의 고정 돌출부(362)는 미리 로킹된 위치에서 캐치(160)에 대항하여 안치된다.
삽입되고 로킹될 때의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의 주요 목적은, 오직 이 경우에,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을 그 미리 로킹된 위치(도 5 및 도 6 참조)로부터 이탈시켜 그 최종 로킹된 위치(도 7 참조)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와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이 올바르게 상호 로킹(interlocking)되도록 하는 것이다. 미리 로킹된 위치에서, 바람직하게 고정 돌출부(362)를 갖는 고정 탭(360)과 캐치(160)는, 단지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올바른 플러그인 위치에 있고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이 리셉터클(130) 내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면, 로킹이 해제되도록 상호로킹되며, 리셉터클(130) 내의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의 로킹된 위치는 돌출부(260)와 캐치(160)의 상호 보완적인 표면들(262,162)에 의하여 확립된다. 미리 로킹된 위치에서, 반면에, 고정 돌출부(362)와 캐치(160)은 상호 대응하는 고정 표면들(363,163)에서 서로 접하고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이 리셉터클(130) 내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서로를 가로 막는다.
고정 돌출부(362)는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의 고정 탭(360)의 종방향 자유 단부 상에 구성되며, 또한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 상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도 7에 도시된 플러그인 위치에서, 캐치(160), 따라서 또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이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가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개방 위치 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를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에 결합하는 동안(도 6으로부터 도 7로의 변이)에,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캐치(160)는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01) 상의 돌출부(260)의 보완적인 표면(262)을 따라서 먼저 슬라이딩되고, 돌출부(260)를 완전히 지나서, (도 6 및 도 7과 하기 참조) 그 안치 위치로 되돌아간다. 고정 탭(360)의 고정 돌출부(362)와 또한 고정 탭(360)의 종방향 단부는 결합식으로 이러한 이동을 수행한다. 단지 그것이 돌출부(260)을 지나가면, 고정 돌출부(362)가 캐치(160)의 보완적인 표면(162)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260)와 돌출부(260) 후의 캐치(160)의 스냅핑-백(snapping-back)은 고정 표면(363)을 캐치(160) 상으로 들어 올리며, 따라서 고정 표면(363)이 캐치(160)의 보완적인 표면(162)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허용하며, 이는 캐치(160)와 돌출부(260)이 "공통된" 표면 상에서 실제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또는 상기 둘의 조인트에 있다는 사실에 의하여 용이하게 된다. 그것이 캐치(160)을 지나치면, 고정 돌출부(362)는 캐치(160) 후에(도 7과 하기 참조) 그 로킹된 위치 내로 스냅된다.
이 위치에서,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은 리셉터클(130) 내의 그 최종 로킹 위치에 있으며,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는 더 이상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이 위치에서,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는, 예컨대, 로킹 러그(332)에 의하여, 리셉터클(130) 상의/내의 숄더(132) 상에 로킹된다. 미리 로킹된 위치에서,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는, 바람직하게, 도 1에 도시된 로킹 후크들(310)에 의하여, 리셉터클(130) 내에서 로킹된다. 리셉터클(130) 내의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의 이러한 2개의 로킹들(332,132;310,130)의 결과로서,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는, 한편으로는, 그 미리 로킹된 위치에서 리셉터클(13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그 로킹된 위치에서 맞물린다.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을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로 삽입하거나 그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로킹 후크들(310)(도 1 참조)과 일체로 구성된 아크들(312)은 고정 탭(360)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차라리 그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즉, 탭(360)이 로킹 후크들(310)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탭(360)이 그 다음으로 올려지면, 이는 이제 서로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아크들(312)와의 결합 위치를 떠나서, 따라서 리셉터클(130) 내에서의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의 결합의 해제를 허용한다.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는 부가적으로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이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면,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위치 내로 다시 이동된다. 먼저, 이 경우에, 리셉터클(130)과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의 맞물림 해제되고, 고정 탭(360)의 고정 돌출부(362)는 이어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캐치(160)을 통해 멀어지는 측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고정 돌출부(362)와 캐치(160)의 기계적 접촉은 바람직하게 진정한 로킹 연결로서보다는 2개의 (전기 플러그인 커넥션(1)의 종방향(L)으로 구성된) 경사진 표면들의 인접으로서 구성된다. 다음으로,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의 미리 로킹된 위치에서, 로킹 후크(310)는 리셉터클(130) 상의/내의 돌출부(도시하지 않음) 또는 리세스(도시하지 않음)의 접촉면과 다시 맞물린다. 다음으로, 캐치(160)는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210)의 돌출부(260)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바람직하게,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는 리셉터클(130)로부터 다시 이동되지 않고, 차라리 그 미리 로킹된 위치(4.5 mm)에 남아있게 된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및/또는 리셉터클(130) 및/또는 리셉터클(130)로부터 돌출되는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의 일부에 작용하는 (전기적 플러그인 커넥션(1)의 종축(L)에 수직한) 측방 압력은 캐치(160)와 돌출부(26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허용하고, 따라서,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이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를 위하여, 캐치(160)는, 바람직하게 재료적으로 원 피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토션 바(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및/또는 리셉터클(130)에 연결된다. 상기 측방 압력의 결과로서, 캐치(160)와 고정 탭(360)(고정 돌출부(362))의 자유 단부는 바람직하게 2개의 토션 바들을 통해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돌출부(260)를 통해 멀어지는 측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은 대응하는 로킹 요소들 또는 로킹 표면들(118,116,128,129,106,18,159,109,332,118,119,260,363,160,130,132,160)과 상호작용하는 많은 수의 로킹 요소들 또는 로킹 표면들(18,106,108,109,116,118,119,129,132,158,159,160,163,260,310,332,362)을 가지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지시키는, 로킹된 위치, 클램핑된 위치, 결합 등을 구성하거나 확립시킨다. 명백하게, 각각 적용되는 것들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로킹 요소들 또는 로킹 표면들(18,106,108,109,116,118,119,129,132,158,159,160,163,260,310,332,362,363) 또는 로킹 요소들 또는 로킹 부재 또는 로킹 표면들(18/118,106/16,108/128,109/129,109/108/128,110/101,114/101,119/159,122/101,126/30,127/30,128/30,132/332,158/118,160/260,160/362,163/363,300/130,300/101,300/201,310/130,332/132,360/130,360/312,360/310)의 결합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각각의 로킹을 역으로 하는 것이 동력학적으로 가능하다. 즉, 예컨대, 로킹 돌출부로부터 로킹 리세스가 따라서 로킹 리세스으로부터 로킹 돌출부가 또는 함께 로킹될 수 있는 숄더들이 교환된다.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300)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또한 가능하며, 이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이 리셉터클(130)을 가지지 않는, 바람직하게는 칼라(140)가 실제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모든 부분을 에워싸는 후자 실시예에서 바람직하다.

Claims (12)

  1. 에어백용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 특히 4 또는 5-핀 전기 플러그 커넥터(10))용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에/상에 전기 접촉 요소(10)와 케이블(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110)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촉 요소(10)는 상기 고정 요소(110)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케이블(30)은 상기 고정 요소(110)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상에 클램핑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110)는 로킹 부재(114)를 가지며, 상기 로킹 부재(114)에 의하여 상기 고정 요소(110)의 로킹된 위치에서 상기 고정 요소(110)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내에 로킹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요소(110)는 클램핑 부재(122)를 가지며, 상기 클램핑 부재(122)에 의하여 상기 고정 요소(110)의 클램핑된 위치에서 상기 케이블(30)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상에 고정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11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과 원 피스로, 바람직하게는 재료적으로 원 피스로 구성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114)는 제1힌지(112)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필름 힌지를 통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연결되고, 상기 클램핑 부재(122)는 제2힌지(120)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필름 힌지를 통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연결되며, 상기 클램핑 부재(12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힌지(120)를 통해 상기 로킹 부재(114)에 연결되고, 상기 로킹 부재(114)는 상기 제1힌지(112)에 의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에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110)의 상기 로킹 부재(114)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상기 전기 접촉 요소(10)를 위한 접촉 챔버 벽(152) 내의 관통 리세스(158)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로킹 러그(118)를 가지며, 상기 전기 접촉 요소(10)는 상기 로킹 부재(114)의 상기 로킹된 위치에서 상기 로킹 러그(118)에 의하여 로킹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110)의 상기 클램핑 부재(112)는 클램핑 장치(126)를 가지며, 상기 클램핑 장치(126)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3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클램핑 부재(122)의 상기 클램핑 장치(126)는 바람직하게는 그루브(127)를 가지며, 상기 그루브(127) 내에 상기 케이블(30)이 클램핑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장치(126)는 상기 케이블(30)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일부와 상호작용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110)의 상기 로킹 부재(114)와 상기 고정 요소(110)의 상기 클램핑 부재(122)는 그 각각의 닫힌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상에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열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110)의 상기 클램핑 부재(122)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이 되도록 상기 고정 요소(110)의 상기 로킹 부재(114)에 연결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요소(110)의 상기 로킹 부재(114)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이 되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의 벽(152)에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112)는 상기 고정 요소(110)의 상기 로킹 부재(114)의 일부이며/또는 상기 제2힌지(120)는 상기 고정 요소(110)의 상기 클램핑 부재(122)의 일부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
  11. 전기 접촉 요소(10), 바람직하게는 소켓 콘택을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로서,
    상기 전기 접촉 요소(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30),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01)을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
  12. 에어백, 특히 자동차의 에어백의 클록 스프링 커넥션 또는 커플링을 위한 전기 플러그인 커넥션(1)으로서,
    제11항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100)와 그에 대응하는 메이팅 전기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션(1).
KR1020107000463A 2007-06-08 2008-06-03 전기 콘택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KR101527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6582A DE102007026582B3 (de) 2007-06-08 2007-06-08 Steckverbindergehäuse mit einer Fixierung für ein elektrisches Kontaktelement und eine elektrische Leitung
DE102007026582.6 2007-06-08
PCT/EP2008/056817 WO2008148748A1 (en) 2007-06-08 2008-06-03 Plug connector housing with a fixing for an electric contact element and a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767A true KR20100041767A (ko) 2010-04-22
KR101527057B1 KR101527057B1 (ko) 2015-06-08

Family

ID=3985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463A KR101527057B1 (ko) 2007-06-08 2008-06-03 전기 콘택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156519B1 (ko)
JP (1) JP5230032B2 (ko)
KR (1) KR101527057B1 (ko)
CN (1) CN101682140B (ko)
DE (1) DE102007026582B3 (ko)
ES (1) ES2579773T3 (ko)
WO (1) WO2008148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3128A1 (en) * 2009-12-14 2011-06-23 Fci Automotive Holding Connector assembly
DE102010029192B4 (de) * 2010-05-20 2012-04-05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 und Steckmodulsystem
DE102010029670A1 (de) 2010-06-02 2011-12-08 Tyco Electronics Amp Gmbh Verbinderbaugruppe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konfektioniertes elektrisches Kabel
FR2972861B1 (fr) * 2011-03-15 2014-06-06 Tyco Electronics France Sas Element de fiche avec organe de decharge de contrainte
WO2012143570A1 (en) * 2011-04-22 2012-10-26 Fci Automotive Holding Airbag connector system
CN104969421B (zh) * 2012-12-07 2018-04-27 泰科电子英国有限公司 具有弹簧分离功能的电连接器和具有该电连接器的组件
EP2846416B1 (en) * 2013-08-23 2020-02-12 TE Connectivity India Private Limited Connector housing with a monolithically integrated 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 device
DE102013111506B3 (de) * 2013-10-18 2015-01-0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Verrastungssystem
US10193273B2 (en) 2014-12-03 2019-01-29 Hirschmann Automotive Gmbh Plug-in connection having a locking element
DE102015009039A1 (de) 2015-07-13 2017-01-19 Kostal Kontakt Systeme Gmbh Mehrpoliges elektrisches Steckverbinderteil und Steckverbinderanordnung
USD831574S1 (en) 2017-03-02 2018-10-23 Molex, Llc Connector housing
USD829658S1 (en) 2017-03-02 2018-10-02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USD835044S1 (en) 2017-03-02 2018-12-04 Molex, Llc Connector housing
USD818962S1 (en) 2017-03-02 2018-05-29 Molex, Llc Connector shell
USD821974S1 (en) 2017-03-02 2018-07-03 Molex, Llc Connector shell
DE102019134579A1 (de) * 2019-12-16 2021-06-17 Amphenol Tuchel Industrial GmbH Steckverbindung, Steckmodul und Kontaktelement
JP7271498B2 (ja) * 2020-12-16 2023-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
DE102021133010A1 (de) 2021-12-14 2023-06-15 Amphenol Tuchel Industrial GmbH Modularer Steck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0350A (en) * 1978-03-20 1980-04-29 Amp Incorporated Toolless retention system
JPS6086825A (ja) * 1983-10-19 1985-05-16 Matsushita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1202884U (ko) * 1985-06-11 1986-12-19
JPH067584Y2 (ja) * 1989-05-31 1994-02-23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形コネクタ
US5624273A (en) * 1995-04-21 1997-04-29 The Whitaker Corporatio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with strain relief
US5871374A (en) * 1996-02-08 1999-02-16 Maney; Boytcho Connector housing
JPH11214101A (ja) * 1998-01-20 1999-08-06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該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ジョイント回路成形方法
DE10045714A1 (de) * 1999-09-15 2001-05-17 Whitaker Corp Steckverbinder für zumindest einen Flachfolienleiter
JP2002015809A (ja) * 2000-06-30 2002-01-18 Yazaki Corp 圧接コネクタ
JP3589167B2 (ja) * 2000-08-28 2004-11-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50101128D1 (de) * 2000-11-02 2004-01-22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Verbinder für Flachkabel
FR2821493A1 (fr) * 2001-02-26 2002-08-30 Fci Automotive France Connecteur electrique avec dispositif serre fils
WO2006131607A1 (fr) * 2005-06-06 2006-12-14 Fci Dispositif de reprise d'efforts pour cables de connecteur electrique
JP4569448B2 (ja) * 2005-11-21 2010-10-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2140B (zh) 2013-01-30
WO2008148748A1 (en) 2008-12-11
EP2156519B1 (en) 2016-05-04
DE102007026582B3 (de) 2008-12-04
EP2156519A1 (en) 2010-02-24
KR101527057B1 (ko) 2015-06-08
CN101682140A (zh) 2010-03-24
JP2010529605A (ja) 2010-08-26
JP5230032B2 (ja) 2013-07-10
ES2579773T3 (es)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1767A (ko) 전기 접촉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JP4688113B2 (ja) コネクタ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レバー嵌合型コネクタ組立体
JP6667965B2 (ja) コネクタ
US9048563B2 (en) Connector for flat cables
US709051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JP6754389B2 (ja) コネクタ
US20090221190A1 (en) Electric connector housing
KR20170136991A (ko) 개선된 체결 장치를 가지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
JPH11126636A (ja) 圧接コネクタのカバー固定構造
CN107534257B (zh) 接头连接器
KR20140047020A (ko) 캡 유지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EP1701414B1 (en) Electrical connector
JP6501339B2 (ja)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
WO2019045039A1 (ja) 部材の係止構造
US6129574A (en) Connector having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neous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CN101971434B (zh) 连接器护盖
JP2007273418A (ja) フラットハーネス用コネクタ
JP7189822B2 (ja) コネクタ構造
JP7142088B2 (ja) プラグコネクタ部品
JP3467419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H10106680A (ja) 電気的な差込み結合カップリング
WO2019045038A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KR100952811B1 (ko) 차폐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차폐용 커넥터 세트
JP4891714B2 (ja) 電線カバーのロック構造
JP4242378B2 (ja) ロック機構付き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