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020A - 캡 유지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캡 유지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020A
KR20140047020A KR1020137023213A KR20137023213A KR20140047020A KR 20140047020 A KR20140047020 A KR 20140047020A KR 1020137023213 A KR1020137023213 A KR 1020137023213A KR 20137023213 A KR20137023213 A KR 20137023213A KR 20140047020 A KR20140047020 A KR 20140047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electrical plug
cap
connectors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 빌레로체 프랑수아 조돈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4004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2Pair of camm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기 컨덕터(200)를 받아들이도록 적응되는 컨덕터 수용 섹션(4), 및 끼워진 위치(R)에서 컨덕터 수용 섹션(4) 및/또는 컨덕터(2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캡(10)을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1)용 전기 플러그 소자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 소자(2) 상에 캡(10)을 단단하게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단 위치(B)에서 캡(10)을 끼워진 위치(R)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2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캡 유지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PLUG-CONNECTOR WITH CAP-HOLDING MECHANISM}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관통공 커넥터로서, 특히 자동차 분야를 위한,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전기 컨덕터를 받아들이기 위해(take up) 적응되는 컨덕터 수용 섹션, 및 끼워진 위치에서 컨덕터 수용 섹션 및/또는 컨덕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캡을 포함한다.
상기에 설명된 타입의 플러그 소자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다. 플러그 소자들은 자동차 본체 또는 도어 시트들 내의 구멍들을 통하여 도달하는 정합 플러그 소자들에 연결된다. 플러그 소자들이 이에 의해 습기 및 먼지와 같은 해로운 환경 조건들에 노출될 수 있는 갭들 내에 위치될 때, 컨덕터들이 플러그 소자 안으로 삽입되는, 컨덕터 수용 섹션들 및 컨덕터들 자체들은 밀봉되어야만 한다. 또한, 플러그 소자들 및 컨덕터들의 기계적 보호가 바람직하다. 플러그 소자 및 컨덕터들의 밀봉 및 보호를 위해, 캡이 이용된다.
또한, 특히 차량 도어들이 빈번하게 이동되기 때문에, 캡 뿐만 아니라 컨덕터들을 포함하는 플러그 소자는 기계적 응력들을 받을 수 있다. 기계적 응력들은 컨덕터, 캡 및/또는 컨덕터 수용 섹션에서 분열되려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컨덕터, 캡 및/또는 컨덕터 수용 섹션 사이의 연결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해지거나 또는 심지어 끊기기 쉽다. 하지만, 캡이 그의 끼워진 위치로부터 제거될 때, 즉 플러그 소자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될 때, 언급된 습기 및 먼지가 플러그 소자에 들어갈 수 있고 이에 의해 부식 및 단락들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종래 기술의 문제들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캡이 끼워진 위치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플러그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차단 위치에서 캡을 끼워진 위치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가 제공되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캡이 플러그 소자에 제거 불가능하게 구속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컨덕터 수용 섹션 및/또는 컨덕터를 보호 및 밀봉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게 위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각각의 경우에 이들 스스로 유리한 이후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의해 원하는 대로 조합될 수 있고 더 개선될 수 있다 :
가능한 추가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캡은 끼움 방향으로 컨덕터 수용 섹션에 끼워질 수 있고 끼워진 위치는 끼움 방향에 대항하여 돌출부에서 겹침 구역에서 컨덕터 수용 섹션과 겹칠 수 있으며, 차단 위치에서 차단 부재는 끼움 방향에 수직하게 캡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은 끼움 방향에 대항하여 컨덕터 수용 섹션에서 빼내어지지 않을 수 있도록 끼워진 위치로 쉽게 차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캡 및/또는 컨덕터 수용 섹션에는 끼워진 위치에서 끼일 수(interleave) 있는 상호 작용 러그들, 돌출부들 및/또는 리세스들이 제공될 수 있다. 캡 및 컨덕터 수용 섹션의 연결 해제는 차단 부재의 도움에 의해 임의의 겹침 요소들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캡을 플러그 소자에 쉽게 부착하기 위해, 캡 및 컨덕터 수용 섹션이 끼워진 위치에서 서로 래칭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래칭됨으로써, 캡 및 컨덕터 수용 섹션은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겹쳐진다. 겹침은 겹침 구역이 컨덕터 수용 섹션의 외부 둘레를 따라 및/또는 캡의 개구의 내부 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점에서 더 개선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은 컨덕터 수용 섹션을 꼭 맞게 에워쌀 수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는 완전 정합 상태로 플러그 소자를 잠금하기 위해 플러그 소자의 잠금 장치에 연결될 수 있고, 플러그 소자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정합 플러그 소자와 완전히 정합된다. 이에 의해, 또한 커넥터 위치 지정 보장부(CPA)로 종종 불리는, 차단 부재 및 잠금 장치의 동작이 조합될 수 있으며, 이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차단 부재를 잠금 장치에 연결함으로써, 차단 부재 및/또는 잠금 장치는 플러그 소자에 분리 가능하지 않게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들은 쉽게 손실되지 않을 수 있으며 차단 부재, 잠금 장치 및 플러그 소자의 정합이 보장된다.
차단 부재 및 잠금 장치의 기능성은 잠금 장치가 예비 잠금 위치에 있는 예비 차단 위치로부터, 잠금 장치가 잠금 위치에 있는 차단 위치로 차단 부재가 이동 가능할 수 있는 점에서 플러그 소자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추가로 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편으로는, 차단 위치에 도달하는 것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적절한 정합을 알려주는, 잠금 위치에 도달되는 것을 보장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차단 위치가 어떠한 이유로 인해 도달되지 않을 수 있는 경우에, 플러그-인 커넥터는 잠금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조기 정합 및/또는 오류 정합을 방지하고 알려주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장치는 차단 부재 및/또는 잠금 장치의 동작에 의해 플러그 힘을 가하기 위해 플러그-인 커넥터의 예비 정합 상태로 플러그 소자 및 정합 플러그 소자 양쪽과 맞물리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단 부재 및/또는 잠금 장치의 동작을 위한 임의의 힘들이, 플러그-인 커넥터와 정합할 때 삽입력들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 즉 옮겨질 수 있다.
차단 부재 및/또는 잠금 장치를 동작시키는 힘들은 플러그 소자의 플러그-인 방향에 본질적으로는 수직하게 잠금 장치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플러그 소자에 제공될 수 있는 점에서 삽입력들을 극복하기 위한 플러그 힘들로 옮겨질 수 있다.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잠금 장치에 형성되고 플러그-인 방향에 관하여 비스듬한 또는 베벨형 방식으로 놓이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안내부가 정합 플러그 소자에 형성되는 요소들과 맞물리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이러한 요소들은 잠금 장치가 플러그-인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드될 때 플러그 소자를 향하여 당겨질 수 있게 된다.
추가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는 플러그 소자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단 부재는 예비 차단 위치로부터 차단 위치로 쉽게 이동될 수 있고 플러그 소자에 분리 가능하지 않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잠금 부재의 피봇팅은 차단 부재가 미리 규정된 동작 경로를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플러그 소자 상에 임의의 플러그 힘들을 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부재는 슬롯형 링크를 통하여 플러그 소자에 부착될 수 있다. 슬롯형 링크는 잠금 장치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차단 부재가 슬롯형 링크를 통하여 잠금 장치에 연결될 때와 동시에 컨덕터 수용 섹션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될 때,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차단 부재와 잠금 장치의 상호 작용은 쉽게 달성된다. 그러므로, 차단 부재는 플러그-인 커넥터를 폐쇄하기 위한 동작 레버를 형성한다.
차단 부재를 끼워진 위치에 고착하고 및/또는 그의 끼워진 위치에 도달한 것을 알려주기 위해, 차단 부재가 차단 위치의 플러그 소자에서 카운터 래칭 요소와 맞물리도록 적응될 수 있는 래칭 요소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잠금 장치에는 잠금 위치의 플러그 소자에서 카운터 래칭 요소와 맞물릴 수 있는 래칭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잠금 장치를 잠금 위치에 고착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캡을 덮는 커버로서 차단 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은 특히 기계적 충격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는 캡이 컨덕터 수용 섹션보다 더 높은 탄성을 갖는 것이 제공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캡의 더 높은 탄성을 통하여, 캡은 컨덕터 수용 섹션 및/또는 컨덕터를 밀봉하기 위해 그리고 동시에 컨덕터 수용 섹션에 대한 컨덕터의 이동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컨덕터 수용 섹션 및/또는 컨덕터 상에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이 끼움 부분 및 컨덕터 안내 섹션을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고, 끼움 부분 및 컨덕터 안내 섹션은 서로에 대하여 각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컨덕터는 플러그 소자로부터 멀어지는 특정한 각도로 안내될 수 있다. 이는 플러그 소자 및 컨덕터의 전체 치수들을 작게, 즉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인 방향으로 편평하게 유지하는 것을 돕고, 이는 플러그-인 커넥터가 상기 언급된 차량 도어들에서의 갭들과 같은 좁은 공간들에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은 유리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후에 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설명된 실시예들은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개별적인 특징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행되거나 생략될 수 있는 단지 가능한 구성들이다. 도면들 내에 도시된 대응하는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된다. 상이한 도면들 내의 동일한 요소들에 관한 설명의 부분들은 생략된다.
도 1 은 합침(merge) 준비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캡이 컨덕터 수용 섹션 상에 끼워질 준비가 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소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 은 캡이 컨덕터 수용 섹션 상에 절반이 끼워진 도 2 에 나타낸 플러그 소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6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D-D 를 따른 도 3 에 나타낸 플러그 소자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 5 는 캡이 끼워진 위치에 있는 도 6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D-D 를 따른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낸 플러그 소자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C-C 를 따른 도 5 에 나타낸 플러그 소자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 7 은 예비 정합된 상태의 도 1 에 나타낸 플러그-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 은 도 6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E-E 를 따른 도 7 에 나타낸 것과 같은 예비 정합된 상태의 플러그-인 커넥터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 9 는 예비 정합된 상태의 도 1, 도 7 및 도 8 에 나타낸 플러그-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 은 완전히 정합된 상태의 도 1 및 도 7 내지 도 9 에 나타낸 플러그-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1 은 도 6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E-E 를 따른 도 1 및 도 7 내지 도 10 에 나타낸 플러그-인 커넥터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 12a 는 도 5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C-C 를 따른 완전히 정합된 상태의 도 1 및 도 7 내지 도 11 에 나타낸 플러그-인 커넥터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 12b 는 도 12a 에 나타낸 상세 부분 Ⅵ 이고;
도 13a 는 도 6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D-D 를 따른 완전히 정합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 13b 는 도 13a 에 나타낸 상세 부분 Ⅶ 의 개략도이고;
도 14a 는 횡단면이 후방 차단 구역의 영역 내에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완전히 정합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및
도 14b 는 도 14a 에 나타낸 상세 부분 Ⅷ 이다.
도 1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1)가 플러그 소자(2) 및 정합 플러그 소자(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다. 플러그 소자(2)는 하나 이상의 전기 컨덕터(아직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적응되는 컨덕터 수용 섹션(4)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정합 플러그 소자(3)는 하나 이상의 정합 전기 컨덕터(아직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적응되는 정합 컨덕터 수용 섹션(5)을 포함한다.
플러그 소자(2)는 정합 플러그 소자(3)의 정합 플러그 부분(7)과 합쳐지도록 적응되는 플러그 부분(6)을 포함한다. 따라서, 플러그 부분(6)은 플러그(8)로서 형성되고 정합 플러그 부분(7)은 플러그(8)를 위한 수용부(9)를 제공한다. 수용부(8)는 플러그 방향(P)을 향하여 개방된다. 플러그 방향(P)은 플러그-인 커넥터(1)의 높이 방향(Z)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또한, 플러그-인 커넥터(1)는 서로에 대해 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Z)에 수직으로 놓이는 길이방향(X) 및 폭 방향(Y)을 따라 연장한다.
또한, 도 1 은 차량 본체 또는 도어의 부분을 형성하는 금속 시트 재료의 부품일 수 있는 벽 부분(100)을 나타낸다. 벽 부분(100)은 관통공(101)을 제공하고, 그의 내부 윤곽은 정합 플러그 소자(3)의 외부 윤곽에 적응된다. 정합 플러그 부분(7)은 플러그 방향(P)에 평행하게 그리고 반대로 놓이는 정합 플러그 방향(P')으로 관통공(101)을 통하여 밀어넣어진다.
도 2 는 플러그 소자(2)를 개략적인 사시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러그 소자(2)는 컨덕터 수용 섹션(4) 및 그 안에 배열되는 임의의 컨덕터(200)들을 커버 및 보호하기 위한 캡(10)을 포함하거나 이 캡(10)이 플러그 소자(2)에 제공되고, 컨덕터들은 전기 단자들(아직 도시되지 않음) 뿐만 아니라 이에 부착되는 전기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컨덕터(200)들은 컨덕터 수용 섹션(4) 내에 형성되고 높이 방향(Z)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컨덕터 수용부(4a)들 내에 유지된다. 캡(10)은 끼움 부분(11) 및 컨덕터 안내 섹션(12)을 포함한다. 끼움 부분(11)에는 높이 방향(Z)에 평행하게 놓이는 끼움 방향(I)으로 컨덕터 수용 섹션(4)에 형성되는 캡 유지 섹션(14) 상에 끼워질 수 있는 개구(13)가 제공된다.
또한, 플러그 소자(2)는 캡(10)에 대한 커버(21)를 제공하는 차단 부재(20)를 포함한다. 차단 부재(20)는 플러그-인 커넥터(10)의 잠금 장치(30)와 맞물리는 스터드(23)들 및 레버(22)를 통하여 플러그 소자(2)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다. 스터드(23)들은 잠금 장치(30)에 형성되고 높이 방향(Z)에 평행하게 놓이는 슬롯형 링크(31)들 내에 안내된다. 차단 부재(20)에는 플러그 소자(2)에 형성되는 카운터 래칭 요소(25)와 맞물리도록 적응되는 래칭 요소(24)가 제공된다. 래칭 요소(24)는 러그 또는 멈춤쇠(detent)로서 형성되고 카운터 래칭 요소(25)는 개구 또는 리세스로서 형성된다. 잠금 장치(30)에는 잠금 장치(30)가 플러그 방향(P)에 수직으로 그리고 길이방향(X)에 평행하게 놓이는 잠금 방향(J)으로 및 이 방향에 대항하여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플러그 소자(2)에 형성되는 안내부(33) 내에서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 레일(32)들이 추가로 제공된다.
도 3 은 플러그 소자(2)를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캡(10)이 절반이 끼워진 위치(Q)에 있고 캡은 캡 유지 섹션(14) 상에 부분적으로 끼워진다. 캡(10)을 캡 유지 섹션(14) 상에 끼우기 위한 진보적인 방법에 따르면, 차단 부재(20)에 인접한 개구(13)의 측이 캡 유지 섹션(14) 상에 안착되고 그 후 밀음력(Fb)에 의해 밀어넣어지기 전에 당김력(Fa)에 의해 당겨진다. 당김력(Fa) 및 밀음력(Fb)은 캡(10)을 컨덕터 수용 섹션(4) 상에 끼우기 위한 끼움 이동(F)으로 조합된다.
도 4 는 캡(10)이 도 6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D-D 를 따라 절반이 끼워진 위치(Q)에 있는 플러그 소자(2)의 개략적인 횡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절반이 끼워진 위치(Q)에서, 겹침 구역(15) 내에서, 개구(13)의 내부 둘레 또는 윤곽(16)은 캡 유지 섹션(14)의 외부 둘레 또는 윤곽(17)과 겹친다. 내부 윤곽(16)은 내부 림(16a) 및 내부 노치(16b)에 의해 형성된다. 외부 윤곽(17)은 외부 림(17a) 및 외부 노치(17b)에 의해 형성된다. 외부 림(17a)에는 캡(10)을 컨덕터 수용 섹션(4) 상에 끼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끼움 방향(I)을 향하여 베벨(17c)이 제공된다.
또한, 레버(22)에 형성된 핀(26a)이 플러그 소자(2)에 형성되는 소켓(26b)과 맞물려서 핀(26a) 및 소켓(26b)은 차단 부재(20)가 이를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피봇 조인트(26)를 함께 형성하는 것이 도 4 에서 명백하게 된다.
도 5 는 끼워진 위치(R)에 있는 캡(10)이 구비된 플러그 소자(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끼워진 위치(R)에서, 캡(10)에 형성되는 내부 림(16a)은 캡 유지 섹션(14)에 형성되는 외부 노치(17b) 내에 안착된다. 캡 유지 섹션(14)의 외부 림(17a)은 캡(10)에 형성되는 내부 노치(16b) 내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내부 윤곽(16)은 끼움 방향(I)을 따라 돌출부에서 외부 윤곽(17)과 겹친다. 상세하게는, 내부 림(16a)은 외부 림(17a) 아래에 위치되고, 즉 끼움 방향(I)으로 외부 림(17a) 뒤에 위치된다. 외부 림(17a)은 내부 노치(16b)의 영역에서 내부 윤곽(16)에 끼인다. 다시 말하면, 내부 윤곽(16)은 외부 림(17a) 위에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즉 끼움 방향(I)으로 외부 림(17a)의 앞에 위치된다.
또한, 도 5 는 개구(13)를 통하여 연장하는 끼움 부분(11)의 길이방향 축선(L11)이 높이 방향(Z) 뿐만 아니라 삽입 방향(I)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고 따라서 길이방향(X)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컨덕터 안내 섹션(12)의 길이방향 축선(L12)에 수직인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끼움 부분(11)은 컨덕터 안내 섹션(12)에 대하여 각을 형성한다.
도 6 은 캡(10)이 끼워진 위치(R)에 있는 도 5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C-C 를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로 플러그 소자(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겹침 구역(15)이 또한 길이방향(X)을 따라 연장하는 것이 명백하게 된다. 그러므로, 겹침 구역(15)은 플러그 소자(2)를 둘레적으로 에워싸고 캡(10)은 캡 유지 섹션(14) 상에 안착된다.
또한, 도 6 은 컨덕터 수용부(4a)들 중 하나 내에 위치되는 단자(201)를 포함한다. 단자(201)는 접촉 핀(아직 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수용부로서 형성된다. 단자(201)는 컨덕터 수용부를 통하여 캡(10) 안으로 연장하는 전기 라인(202)에 연결된다. 플러그 부분(6)에는 벽 부분(100)에 대항하여 플러그 소자(2)를 밀봉하기 위해 플러그 방향(P)으로 플러그 부분(6)으로부터 돌출하는 라멜라(lamella; 18a)들을 갖는 시일링(18)이 추가로 제공된다.
도 7 은 플러그 소자(2) 및 정합 플러그 소자(3)가 예비 정합된 상태(M')에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1)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플러그 소자(2)는 벽 부분(100)의 관통공(101) 내에 안착되는 정합 플러그 소자(3)와 절반이 정합된다. 캡(10)은 끼워진 위치(R)에 있다. 차단 부재(20)는 예비 차단 위치(A)에 있고 이는 캡(10)을 그의 끼워진 위치(R)로 아직 차단하지 않는다. 잠금 장치(30)는 예비 잠금 위치(K)에 있고, 잠금 장치(30)는 플러그-인 커넥터(1)를 아직 잠금하지 않는다.
도 8 에서, 플러그-인 커넥터(1)가 도 6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E-E 를 따라 개략적인 횡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여기서, 플러그-인 커넥터(1)는 도 7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상태이다. 즉, 플러그 소자(2) 및 정합 플러그 소자(3)는 예비 정합된 상태(M')이다. 캡(10)은 끼워진 위치(R)에 있다. 차단 부재(20)는 예비 차단 위치(A)에 있다. 잠금 장치(30)는 예비 잠금 위치(K)에 있다. 스터드(23) 및 차단 부재(20)는 슬롯형 링크(31)의 하부 단부(31a)에 위치된다. 하부 단부(31a)는 슬롯형 링크(31)의 상부 단부(31b) 반대에 위치된다.
플러그 소자(2), 특히 잠금 장치(30)의 잠금 요소(40)들은 정합 플러그 소자(3)에 형성되는 카운터 잠금 요소(41)들과 맞물린다. 잠금 요소(40)들은 플러그 방향(P)으로 개방되는 개구(40a)를 각각 갖는 슬롯형 링크들로서 형성된다. 각각의 잠금 요소(40)들의 안내부(40b)는 개구(40a)에 연결되고 잠금 장치(30)를 잠금 방향(J)으로 밀어넣을 때 정합 플러그 소자(3)를 향하여 플러그 소자(2)를 당기는 플러그 힘(FP)을 가하기 위해 길이방향(X) 및 높이 방향(Z)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식으로 연장한다. 안내부(40b)는 잠금 구역(40c) 안으로 유도되고, 안내부는 길이방향(X)에 평행하게, 즉 플러그 방향(P) 및 정합 플러그 방향(P')에 수직으로 놓인다. 안내부(40b)의 단부에서, 잠금 구역(40c)에는 카운터 잠금 요소(41)에 대한 제한 멈춤부(40d)가 제공된다.
또한, 플러그 부분(6)에는 시일링 요소(18)를 유지하고 길이방향(X) 및 폭 방향(Y)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베이스(50)가 제공된다. 정합 플러그 부분(7)에 형성되는 정합 베이스(51)는 본질적으로 길이방향(X) 및 폭 방향(Y)을 따라 연장하고 벽 부분(100)에 아래로부터 안착된다. 벽 부분(100)에 정합 베이스(51)를 유지하기 위해, 멈춤쇠들의 형태의 유지 요소(53)들이 벽 부분(100) 뒤에서 스냅 결합된다. 그러므로, 유지 요소(53)들은 벽 부분(100) 상에 위치되고 정합 베이스(51)는 벽 부분(100) 아래에 위치되며, 이에 의해 정합 플러그 소자(3)는 벽 부분(100)의 관통공(101) 내에 단단하게 유지된다.
도 9 는 예비 정합된 상태(M')에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1)의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차단 부재(20)는 예비 차단 위치(A)로부터 잠금 위치(아직 도시되지 않음)로 차단 부재(20)의 동작 경로(W)를 따라 옮겨질 것이다. 동시에, 잠금 장치는 세미 잠금 위치(K')를 유지하면서 잠금 방향(J)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예비 잠금 위치(K)로부터 잠금 위치(아직 도시되지 않음)로 이동된다.
도 10 은 완전히 정합된 상태(N)에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차단 부재(20)는 동작 경로(W)를 따라 그의 차단 위치(B)로 이동된다. 차단 부재(20)의 래칭 요소(24)는 카운터 래칭 요소(25)와 맞물리고, 즉 멈춤쇠(24)는 플러그 방향(P)으로 개구(25) 뒤에서 스냅 결합된다. 캡(10)은 끼움 방향(I)에 대항하는 캡(10)의 임의의 이동들이 억제되도록 차단 부재(20)에 의해 유지된다. 잠금 장치(30)는 잠금 방향(J)을 따라 그의 잠금 위치(L)로 이동된다. 잠금 위치(L)에서, 잠금 장치(30)는 플러그 소자(2) 및 정합 플러그 소자(3)를 완전히 정합된 상태(N)로 잠금한다. 또한, 정합 컨덕터 수용 섹션(5)에는 정합 컨덕터(300)들이 제공된다.
도 11 은 도 6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E-E 를 따른 완전히 정합된 상태(N)에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1)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이러한 횡단면은 본질적으로 잠금 장치(30)의 안내 레일(32)을 통하여 길이방향(X) 및 높이 방향(Z)에 평행하게 걸쳐있는 평면 내에 만들어진다.
차단 부재(20)의 천장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차단 구역(20a)이 캡(10)의 상부 에지(10a)에 적어도 인접하거나 또는 그 근처에 접하거나 또는 놓이며, 이에 의해 끼워진 위치(R)에 있는 캡(10)을 차단한다. 카운터 잠금 요소(41)들은 이들 각각의 안내부(40b)들을 따라 이동되고 이제 이들 각각의 잠금 구역(40c)들 내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플러그 소자(2) 및 정합 플러그 소자(3)는 완전히 정합된 상태(N)로 잠금된다. 잠금 장치(30)가 잠금 위치(L)로 구속된 것을 유지하기 위해, 잠금 장치(30)에 형성되는 래칭 부재(34)는 잠금 방향(J)에 대항하는 잠금 장치의 이동들이 이들 각각의 안내부(40b)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차단되도록 안내부(33) 내의 카운터 래칭 부재(도시되지 않음) 뒤에서 스냅 결합된다. 카운터 잠금 요소(41)들은, 안내 레일(32)들이 플러그 방향(P)에 대항하여 그리고 이 방향으로 이들 각각의 안내부(33)들이 이동 불가능하게 될 때, 플러그 소자(2), 특히 잠금 장치(30)를 플러그 방향(P)으로 당긴다.
잠금 장치(30)를 잠금 방향(J)으로 구동시키는 것은 차단 부재(20)의 동작 경로(W)를 따라, 스터드(23)가 슬롯형 링크(31)의 하부 단부(31a)로부터 슬롯형 링크(31)의 상부 단부(31b)로 이동하면서 슬롯형 링크(31)의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동작 표면(31c)에 대항하여 밀어넣어지고 높이 방향(Z), 플러그 방향(P) 및 정합 플러그 방향(P')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점에서 용이하게 된다. 또한, 완전히 정합된 상태(N)에서, 시일링 요소(18)는 이 시일링 요소가 플러그-인 커넥터(1)를 밀봉하도록 벽 부분(100)의 상부 측과 베이스(50) 사이에서 프레스된다.
도 12a 는 도 5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C-C 를 따른 완전히 정합된 상태(N)에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1)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여기서, 차단 부재(20)가 캡(10)의 가로 에지(10b)에 인접하여 또는 그 근처에 접하거나 또는 적어도 놓이는 가로 차단 구역(20b)을 제공하는 것이 명백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로 이동들, 즉 폭 방향(Y)에 평행한 캡의 이동들은 억제된다.
또한, 플러그 소자(2)의 플러그(8)는 정합 플러그 소자(3)의 수용부(9) 내에 위치된다. 플러그 소자(2)의 단자(201)는 정합 플러그 소자(3)의 정합 컨덕터 수용 섹션(5a) 내에 위치하는 정합 단자(301)와 맞물린다. 정합 단자(301)는 정합 컨덕터(300)의 정합 전기 라인(302)에 연결된다.
도 12b 는 도 12a 에 나타낸 상세 부분 Ⅵ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차단 부재(20)의 가로 차단 구역(20b)과 캡(10)의 가로 에지(10b) 사이에 폭 방향(Y)에 평행하게 측정된 거리(d)가 외부 노치(17b)의 깊이(d17)보다 더 작은 것이 명백하게 된다. 그러므로, 캡(10)의 내부 림(16a)은 캡(10)이 끼움 방향(I)에 대항하여 당겨질 때 컨덕터 수용 섹션(4)의 외부 림(17a)으로부터 미끄러질 수 없다. 캡(10)의 가로 이동(SL)이 억제된다.
도 13a 는 도 6 에 나타낸 횡단면 라인 D-D 를 따른 완전히 정합된 상태(N)에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1)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그의 차단 위치(B)에서, 차단 부재(20)는 캡(10)의 전방 에지(10c)에 적어도 인접하여 또는 그 근처에 접하거나 또는 놓이는 캠 또는 림의 형태의 전방 차단 구역(20c)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캡(10), 특히 컨덕터 안내 섹션(12)이 길이방향(X)에 평행하게 놓이는 당김 방향(U)으로 당겨질 때, 내부 림(16a)은 외부 림(17a)으로부터 및 노치(17b)의 밖으로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도 13b 는 도 13a 에 나타낸 상세 부분 Ⅶ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겹침 구역(15)에서, 전방 차단 구역(20c)과 캡의 전방 에지(10c) 사이에서 측정된 거리(d)는 다시 깊이(d17)보다 작다는 것이 명백하게 된다. 그러므로, 캡(10)의 전방 이동(SS)들은 억제되고 캡은 그의 끼워진 위치(R)로 차단된다.
도 14a 는 캡(10)이 끼워진 위치(R)에 있는 완전히 정합된 상태(N)에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 도면은 겹침 구역(15)의 후방 섹션에서 부분적으로 횡단면으로 되어 있다.
도 14b 는 도 14a 에 나타낸 상세 부분 Ⅷ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횡단면 영역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캡(10)의 후방 에지(10d)는 겹침 구역(15) 내에 및/또는 추가적인 림(16a')에 형성될 수 있다. 완전히 정합된 상태(N)에서, 차단 부재(20)에 형성되는 후방 차단 구역(20d)은 당김 방향(U)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후방 이동(SR)을 따라 돌출부에서 후방 에지(10d)와 겹칠 수 있다. 그러므로, 후방 에지(10d)는 후방 이동(SR)이 억제되거나 또는 적어도 억제되고 캡(10)의 끼워진 위치(R)로 차단되도록 후방 차단 구역(20d)에 접하거나 또는 적어도 그 근처에 놓인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실시예들로부터의 파생예들이 진보적인 아이디어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가능하다 : 플러그-인 커넥터(1)는 원하는 개수의 컨덕터 수용 섹션(4)들, 컨덕터 수용부(4a)들, 정합 컨덕터 수용 섹션(5)들, 정합 컨덕터 수용부(5a)들, 플러그 부분(6)들, 정합 플러그 부분(7)들, 플러그(8)들, 수용부(9)들 및 캡(10)들이 제공될 수 있는 임의의 원하는 개수의 정합 가능한 플러그 소자(2)들 및 정합 플러그 소자(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캡(10)은 이 캡이 상부, 가로 및 전방 에지(10a 내지 10d)들, 끼움 부분(11)들, 컨덕터 안내 섹션(12)들 및 개구(13)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원하는 대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끼움 부분(11)은 여기서 나타낸 것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로 컨덕터 안내 섹션(12)에 대하여 각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45°또는 180°와 같은 다른 각도들이 또한 가능하다. 하지만 캡(10)의 개구(13)는 플러그 소자(2)와 캡 유지 섹션(14)과 끼이도록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로므로, 겹침 구역(15)에는, 캡(10)이 컨덕터 수용 섹션(4)을 보호하고 밀봉하기 위해 플러그 소자(2)와 맞물리게 하기 위해 원하는 것과 같이, 내부 윤곽들, 림들, 노치(16, 16a, 16a', 16b)들 뿐만 아니라 외부 윤곽들, 림들, 노치(17, 17a, 17b)들이 제공될 수 있다. 벽 부분(100)에 대하여 플러그 소자(2)를 밀봉하기 위해, 임의의 원하는 개수 및 형상의 라멜라(18a)들을 갖는 시일링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
차단 부재(20)는 하지만 상부, 가로, 전방 및 후방 차단 구역들(20a 내지 20d) 뿐만 아니라 커버(21) 및 레버(22)를 제공하기 위해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 부재(20)는 스터드(23)들 및 피봇 조인트(26)들을 통하여 잠금 장치(30)와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플러그 소자(2)의 하우징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컨덕터 수용 섹션(4)들 및 플러그 부분(6)을 포함할 수 있다. 피봇 조인트(26)는 차단 부재(20)의 피봇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원하는 어떠한 형태의 핀(26a)들 및 소켓(26b)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차단 부재(20)를 피봇팅하는 것은 의무적이지 않다. 대안으로서 차단 부재(20)는 차단 부재가 예비 차단 위치(A)로부터 차단 위치(B)로 병진식 이동으로 옮겨질 수 있도록 또한 디자인될 수 있다. 차단 부재(20)를 차단 위치(B)로 잠금하기 위해, 차단 부재(20)에는 원하는 어떠한 형태 및 개수의 카운터 래칭 요소(25)들과 맞물리도록 적응되는 래칭 요소(24)들이 제공될 수 있다.
잠금 장치(30)에는 차단 부재(20)를 안내하기 위해 원하는 어떠한 형태 및 형상의 하부 및 상부 단부(31a, 31b)들 뿐만 아니라 동작 표면(31c)을 갖는 슬롯형 링크(31)들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슬롯형 링크(31)는 플러그 소자(2)의 하우징에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잠금 장치(30)를 예비 잠금 위치(K)로부터 잠금 위치(L)로 슬라이드하는 것은 의무적이지 않다. 대안으로서, 잠금 장치(30)가 예컨대 또한 피봇될 수 있다. 잠금 장치(30)를 잠금 위치(L)에 고정시키기 위해, 잠금 장치(30)에는 원하는 어떠한 형태 또는 개수의 래칭 부재(34)들이 제공될 수 있다.
잠금 요소(40)들 및 각각의 카운터 잠금 요소(41)들은 플러그-인 커넥터(1)를 잠금 위치(L)로 잠금하기 위해 및/또는 플러그 방향(P) 뿐만 아니라 정합 플러그 방향(P')으로/또는 대항하여 플러그 힘을 가하기 위해 원하는 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개구(40a), 안내부(40b), 잠금 구역(40c) 및 제한 멈춤부(40d)를 갖는 잠금 요소(40)에 의해 제공되는 슬롯형 레버 또는 슬롯형 링크에 대한 대안으로서, 잠금 요소(40) 및 카운터 잠금 요소(41)는 예컨대 상호 작용 기어들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플러그-인 커넥터(1)를 완전히 정합된 상태(N)로 당기고 뿐만 아니라 플러그-인 커넥터를 그 안에 잠금할 수 있다. 하지만 잠금 장치(30)에는 래칭 부재(34)와 제한 멈춤부(40d) 사이에 차단되는 잠금 위치(L)에서 구속되도록 하기 위해 제한 멈춤부(40d)가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베이스(50), 정합 베이스(51) 및 유기 요소(53)는 하지만 벽 부분(100)의 관통공(101) 내에 플러그 소자(2) 및/또는 정합 플러그 소자(3)를 유지하기 위해 원하는 대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플러그 소자(2)가 정합 플러그 소자(3)와 이들 사이에 벽 부분(100)이 없이 꼭 맞게 접하는 대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전기 컨덕터(200)를 받아들이도록 적응되는 컨덕터 수용 섹션(4), 및 끼워진 위치(R)에서 컨덕터 수용 섹션(4) 및/또는 컨덕터(2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캡(10)을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1)용 전기 플러그 소자(2)에 있어서,
    차단 위치(B)에서 캡(10)을 끼워진 위치(R)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2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은 끼움 방향(I)으로 컨덕터 수용 섹션(4) 상에 끼워지고 끼워진 위치(R)에서 끼움 방향(I)에 대항하여 돌출부에서 겹침 구역(15)에서 컨덕터 수용 섹션(4)과 겹치고, 상기 차단 위치(B)에서 차단 부재(20)는 끼움 방향(I)에 수직하게 캡(10)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10) 및 컨덕터 수용 섹션(4)은 끼워진 위치(R)에서 서로 래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 구역(15)은 컨덕터 수용 섹션(4)의 외부 둘레(17)를 따라 및/또는 캡(10)의 개구(13)의 내부 둘레(16)를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20)는 상기 플러그 소자(2)가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1)의 정합 플러그 소자(3)와 완전히 정합되는 완전 정합 상태(N)로 플러그 소자(2)를 잠금하기 위해 플러그 소자(2)의 잠금 장치(3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20)는, 잠금 장치(30)가 예비 잠금 위치(K)에 있는 예비 차단 위치(A)로부터, 잠금 장치(30)가 잠금 위치(L)에 있는 차단 위치(B)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30)는 차단 부재(20) 및/또는 잠금 장치(30)의 동작에 의해 플러그 힘(Fp)을 가하기 위해 플러그-인 커넥터(1)의 예비 정합된 상태(M')로 플러그 소자(2) 및 정합 플러그 소자(3) 양쪽과 맞물리도록 적응되는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소자(2)는 플러그 소자(2)의 플러그-인 방향(P)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잠금 장치(3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잠금 장치(30)용 안내부(33)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20)는 플러그 소자(2)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20)는 슬롯형 링크(31)를 통하여 플러그 소자(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20)는 플러그-인 커넥터(1)를 폐쇄하기 위한 동작 레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20)에는 차단 위치(B)에서 플러그 소자(2)에서 카운터 래칭 요소(25)와 맞물리도록 적응되는 래칭 요소(2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20)는 차단 위치(B)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캡(10)을 커버하는 커버(21)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은 컨덕터 수용 섹션(4)보다 더 높은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은 끼움 부분(11) 및 컨덕터 안내 섹션(12)을 가지며, 상기 끼움 부분(11) 및 컨덕터 안내 섹션(12)은 서로에 대하여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용 전기 플러그 소자.

KR1020137023213A 2011-02-03 2012-01-24 캡 유지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KR201400470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00339A FR2971372B1 (fr) 2011-02-03 2011-02-03 Connecteur enfichable avec mecanisme de support de bonnette de protection arriere
FR11/00339 2011-02-03
PCT/EP2012/051031 WO2012104172A1 (en) 2011-02-03 2012-01-24 Plug-connector with cap-holding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020A true KR20140047020A (ko) 2014-04-21

Family

ID=4431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213A KR20140047020A (ko) 2011-02-03 2012-01-24 캡 유지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309897A1 (ko)
EP (1) EP2671291A1 (ko)
JP (1) JP5878563B2 (ko)
KR (1) KR20140047020A (ko)
CN (1) CN103460519A (ko)
BR (1) BR112013019484A2 (ko)
FR (1) FR2971372B1 (ko)
WO (1) WO20121041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279A (ko) * 2018-11-13 2020-05-22 오두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슬라이더 파트를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1696A1 (de) 2013-10-23 2015-04-23 Endress + Hauser Flowtec Ag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Feldgerät sowie Feldgerät mit einer solchen Anschlussvorrichtung
DE102013111760B3 (de) 2013-10-25 2015-04-09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
KR101510044B1 (ko) * 2014-02-21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커넥터
CN104979683A (zh) * 2014-04-02 2015-10-14 苏州晟庄电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连线抱紧及防入水装置
JP2016207414A (ja) * 2015-04-21 2016-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66621B2 (ja) * 2016-12-07 2020-10-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ゴムカバー付きコネクタ
DE102017215516A1 (de) * 2017-09-05 2019-03-0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Fingerentriegelungsschutz
JP1658716S (ko) * 2019-06-20 2020-04-27
CN112152013B (zh) 2019-06-26 2022-04-08 莫列斯有限公司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DE202021101740U1 (de) 2021-03-31 2022-07-0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r Stecker mit einem Kontaktkammerblock und einem Gehäusedeckel
JP2023167427A (ja) * 2022-05-12 2023-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30364T2 (de) * 1995-01-16 2004-02-12 Molex Inc., Lisl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bessertem Nockensystem
JPH0992409A (ja) * 1995-09-25 1997-04-04 Hosiden Corp 多極ジャック
US6071153A (en) * 1998-02-19 2000-06-06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lock for multi-row electrical connector system
IT1303186B1 (it) * 1998-11-27 2000-10-30 Framatome Connectors Italia Connettore elettrico.
US6217354B1 (en) * 2000-03-20 2001-04-17 Molek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ITTO20010290A1 (it) * 2001-03-27 2002-09-27 Framatome Connectors Italia Connetore elettrico.
US7004769B1 (en) * 2004-08-20 2006-02-28 Molex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with slide members having dual latching and feedback functions
DE202009000542U1 (de) * 2009-01-14 2010-06-02 Coninver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rastbarem werkzeuglos lösbarem Isolierkörper
DE102009037202A1 (de) * 2009-01-15 2010-11-11 Bartec Gmbh Elektrisches Gerä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279A (ko) * 2018-11-13 2020-05-22 오두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슬라이더 파트를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4172A1 (en) 2012-08-09
JP2014504791A (ja) 2014-02-24
CN103460519A (zh) 2013-12-18
FR2971372B1 (fr) 2013-11-29
BR112013019484A2 (pt) 2019-09-24
EP2671291A1 (en) 2013-12-11
JP5878563B2 (ja) 2016-03-08
US20130309897A1 (en) 2013-11-21
FR2971372A1 (fr) 201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7020A (ko) 캡 유지 메커니즘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EP325288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device
US8187042B2 (en) Waterproof connector that can be designed to be short in overall length
EP1873871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3650249B (zh) 具有端子位置保证的电连接器
US10644430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US20150318639A1 (en) Lever-type connector
US1044696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JP6099723B2 (ja) ロック封止を有するプラグ要素
KR20100041767A (ko) 전기 접촉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US10535951B2 (en)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 plug connection
EP2412062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latch
US9300072B2 (en) Connector
JP2013157148A (ja) コネクタ
JP6015628B2 (ja) コネクタ
JP7063848B2 (ja) ハウジング
CN114628953B (zh) 具有可释放的用于位置保证元件的阻挡机构的电插头装置
US9627794B2 (en) Connector element having a contact module engagement
CN113557641B (zh) 连接器位置保证构件
WO2015114662A1 (en) Multi function connector positioning assurance device
WO2008084339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