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925A -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925A
KR20100040925A KR1020107003106A KR20107003106A KR20100040925A KR 20100040925 A KR20100040925 A KR 20100040925A KR 1020107003106 A KR1020107003106 A KR 1020107003106A KR 20107003106 A KR20107003106 A KR 20107003106A KR 20100040925 A KR20100040925 A KR 20100040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rotation
guide rail
rail suppor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4931B1 (ko
Inventor
나오유키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0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rotatable eccentrically-moun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가이드 레일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하우징에 수용 레일 지지부재 및 회동 레일 지지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은 수용 레일 지지부재와 회동 레일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회동 레일 지지부재는, 하우징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한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수용 레일 지지부재와 회동 레일 지지부재와의 사이에서 파지된다. 회동 레일 지지부재에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가 상하 어느 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수용 레일 지지부재와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구름 접촉부(rolling contact portion)가 마련되어 있다. 구름 접촉부의 형상은, 회동축의 중심선에 대해 편심한 축선을 가지는 하나의 원통의 외주면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SAFETY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이 제동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이상(異常)이 발생했을 경우에, 전기적으로 제동 동작되는 쐐기식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쐐기를 변위시켜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쐐기를 끼워 넣음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에 제동력을 주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1:WO03/008317
그러나, 엘리베이터 칸에 제동력을 주기 위해서 쐐기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량이 커지므로, 비상 브레이크 장치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커져 버린다. 또, 예를 들어 집게로 유지시키면서 쐐기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 등이 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이에 의해, 비상 브레이크 장치의 제조에 시간이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되어, 가이드 레일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하우징, 하우징에 마련된 수용 레일 지지부재, 및 수용 레일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가이드 레일이 개재하도록 수용 레일 지지부재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우징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한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수용 레일 지지부재와의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회동 레일 지지부재에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가 상하 어느 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수용 레일 지지부재와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구름 접촉부(rolling contact portion)가 마련되고, 구름 접촉부의 형상은 회동축의 중심선에 대해 편심한 축선을 가지는 하나의 원통의 외주면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상 멈춤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구름 접촉부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회동 레일 지지부재의 위쪽으로의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파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회동 레일 지지부재의 변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의 원통 축선의 위치가 도 2의 회동 레일 지지부재와 다르게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의 비상 멈춤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접촉 회동체의 구름 접촉부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접촉 회동체의 회동에 의해 종동 회동체의 하부에 결합 핀이 결합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14는 접촉 회동체 및 종동 회동체의 위쪽으로의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파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는 메인 로프(2)에 의해 매달아져 있다. 메인 로프(2)는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다. 구동 쉬브는 권상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는 구동 쉬브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된다.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의 이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4)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반(4)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센서(5), 엘리베이터 칸(1)의 출입구(도시하지 않음)의 개폐 유무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센서(6), 및 메인 로프(2)의 파단 유무를 검출하는 메인 로프 파단 검출 센서(7)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가 보내진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센서(5)로는, 예를 들어 구동 쉬브의 회전 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인코더나 리졸버(resolver) 등이 이용된다. 도어 개폐 검출 센서(6)로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1)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 등이 이용된다. 메인 로프 파단 검출 센서(7)로는, 예를 들어 메인 로프(2)의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기 등이 이용된다.
제어반(4)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센서(5), 도어 개폐 검출 센서(6) 및 메인 로프 파단 검출 센서(7)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동 지령부(8)가 마련되어 있다. 제동 지령부(8)는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 제동 지령을 출력한다.
제동 지령부(8)는 연산 처리부(CPU 등), 기억부(ROM, RAM 및 하드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제동 지령부(8)의 기능은 컴퓨터에 의한 연산 처리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칸(1)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을 파지하여 엘리베이터 칸(1)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인 한 쌍의 비상 멈춤 장치(9)가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 멈춤 장치(9)는, 제동 지령부(8)로부터의 제동 지령을 받음으로써 엘리베이터 칸(1)을 제동하는 제동 동작을 실시한다.
도 2는, 도 1의 비상 멈춤 장치(9)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에는 장착 틀(10)이 장착되어 있다. 장착 틀(10)에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부 가이드 로드(11) 및 하부 가이드 로드(12)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로드(11) 및 하부 가이드 로드(12)는 서로 평행 또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장착 틀(10)의 안쪽에는 하우징(13)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3)의 상하에는 슬라이드 가이드(13a~13d)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13a, 13c)에는 상부 가이드 로드(11)가 관통하고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13b, 13d)에는 하부 가이드 로드(12)가 관통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상부 가이드 로드(11) 및 하부 가이드 로드(12)를 따라서 장착 틀(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하우징(13)은, 엘리베이터 칸(1)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13)은, 하우징 본체(14)와, 하우징 본체(14)로부터 가이드 레일(3)측으로 돌출하는 장착 안내부(15)와, 하우징 본체(14)로부터 가이드 레일(3)측과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조정 볼트 장착부(16)(도 3)를 가지고 있다.
장착 안내부(15)는, 하우징(13)의 변위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해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장착 안내부(15)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수용부(15a)와, 수용부(15a)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각으로부터 가이드 레일(3)측으로 뻗는 한 쌍의 수평부(15b, 15c)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3)에는, 수평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수용 레일 지지부재(17) 및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마련되어 있다. 즉, 수용 레일 지지부재(17) 및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는 수평 방향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은 수용 레일 지지부재(17) 및 회동 레일 지지부재(18) 사이에 틈새를 통하여 개재해 있다. 수용 레일 지지부재(17) 및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는, 하우징(13)의 장착 틀(10)에 대한 변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각각 접리(接離)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 레일 지지부재(17)는, 각 수평부(15b, 15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 레일 지지부재(17)는, 각 수평부(15b, 15c)를 따라서 안내된다.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에는, 수용부(15a)를 관통하는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계단형 볼트(stepped bolt)(19)가 고정되어 있다. 각 계단형 볼트(19)는 수용부(15a)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용 레일 지지부재(17)는 하우징(13)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 수용부(15a)와의 사이(즉,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의 반대쪽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측)에는, 공통의 계단형 볼트(19)가 각각 통과된 접시 스프링(가압 요소)(22) 및 조정 나사(조정 요소)(23)가 배치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22)은 수용 레일 지지부재(17)가 수용부(15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오그라들어 탄성 반발력을 발생한다. 이에 의해, 수용 레일 지지부재(1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가까워지는 방향(즉, 수용부(15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조정 나사(23)는 수용부(15a)에 마련된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조정 나사(23)는, 수용부(15a)에 대한 나사 결합량의 조정에 의해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의 수용부(15a)에 대한 위치와, 접시 스프링(22)의 탄성 반발력의 크기를 조정한다.
각 계단형 볼트(19)에는 와셔(20)가 통과됨과 아울러, 빠짐방지 너트(21)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와셔(20) 및 빠짐방지 너트(21)는 수용부(15a)에 대해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는, 와셔(20) 및 빠짐방지 너트(21)의 수용부(15a)에 대한 결합에 의해 규제된다. 와셔(20) 및 빠짐방지 너트(21)의 수용부(15a)에 대한 결합에 의해 수용부(15a)로부터의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의 빠짐이 방지된다.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는, 하우징 본체(14)에 수평으로 고정된 주축(회동축)(24)에 베어링(25)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베어링(25)은 미끄럼 베어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는, 주축(24)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즉, 도 2에 있어서의 시계방향 회전 및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주축(24)에는, 주축(24)의 중심선 C를 따른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6)(도 3)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26) 내에는, 각 비상 멈춤 장치(9)의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를 잇는 연결봉(27)이 통과되어 있다.
연결봉(27)은 주축(24)과 같은 축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연결봉(27)에는, 주축(24) 및 베어링(25)을 피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에 장착 볼트(28)에 의해 체결된 장착부(27a)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결봉(27)은,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와 일체로 주축(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각 비상 멈춤 장치(9)에 있어서의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회동량은 동일해진다.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는,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서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위쪽으로(즉, 도 2에서는 주축(2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아래쪽으로(즉, 도 2에서는 주축(2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형상은, 주축(24)을 중심으로 한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와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의 간격은,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회동 전이 최대이고,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회동량이 커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아진다.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회동 전의 위치는, 비상 멈춤 장치(9)의 제동 동작이 해제되는 중립 위치로 되어 있다.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는, 중립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을 파지한다.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는, 회동 지지부재 본체(29)와, 회동 지지부재 본체(29)에 마련된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한 쌍의 제동 부재)를 가지고 있다.
회동 지지부재 본체(29)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 하우징 본체(14)와의 사이의 공간에 돌출하는 회전 스토퍼부(32)와,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상하 중 어느 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구름 접촉부(33)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 스토퍼부(32) 및 구름 접촉부(33)는, 주축(24)의 중심선 C를 따른 방향에 대해 서로 조금 이동되어 배치되어 있다.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회동될 때의 회전 스토퍼부(32)의 변위 경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다. 따라서, 회전 스토퍼부(32)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구름 접촉부(33)는, 하우징(13)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4)에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중립 위치로부터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의 회동량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34)가 마련되어 있다. 회동 규제부(34)에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위쪽으로의 회동량을 규제하는 상부 스토퍼 수용면(34a)과,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아래쪽으로의 회동량을 규제하는 하부 스토퍼 수용면(34b)이 마련되어 있다.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위쪽으로의 회동은, 회전 스토퍼부(32)가 상부 스토퍼 수용면(34a)에 닿는 것에 의해 저지된다. 또,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은, 회전 스토퍼부(32)가 하부 스토퍼 수용면(34b)에 닿는 것에 의해 저지된다.
이 예에서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위쪽으로의 회동량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아래쪽으로의 회동량보다 커지도록, 상부 스토퍼 수용면(34a) 및 하부 스토퍼 수용면(34b)의 각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회동 규제부(34)가 상부 스토퍼 수용면(34a)에 닿을 때에는 하부 제동 슈(31)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고, 회동 규제부(34)가 하부 스토퍼 수용면(34b)에 닿을 때에는 상부 제동 슈(30)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한다.
구름 접촉부(33)의 형상은, 주축(24)의 중심선 C에 대해 편심한 축선 P를 가지는 하나의 원통의 외주면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축선 P의 위치는, 주축(24)의 중심선 C에 관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 반대측의 위치로 되어 있다. 또, 축선 P는, 주축(24)의 중심선 C를 통과하며 또한 하우징(13)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해 변위되는 방향을 따라서 뻗는 직선(즉, 중심선 C를 통과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법선) A와 교차하고 있다.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는, 회동 지지부재 본체(29)의 둘레 방향에 대해 구름 접촉부(33)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는, 주축(24)의 중심선 C를 포함하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 관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제동 슈(30)에는 평면인 제동면(30a)(마찰면)이 마련되고, 하부 제동 슈(31)에는 평면인 제동면(31a)(마찰면)이 마련되어 있다. 제동면(30a)은 구름 접촉부(33)의 상단보다 소정량만큼 돌출하고, 제동면(31a)은 구름 접촉부(33)의 하단보다 소정량만큼 돌출해 있다. 상부 제동 슈(30)의 제동면(30a)은, 회동 규제부(34)가 하부 스토퍼 수용면(34a)에 닿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한다. 하부 제동 슈(31)의 제동면(31a)은, 회동 규제부(34)가 상부 스토퍼 수용면(34b)에 닿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한다. 즉,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에 있어서의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의 각 위치(및, 각 각도)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중립 위치로부터 회동될 때에, 제동면(31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할 때까지의 회동량이, 제동면(30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할 때까지의 회동량보다 커지도록 결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측으로의 변위에 의해 구름 접촉부(33)가 접촉한다.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끌려서 중립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회동된다.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서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위쪽으로 회동되면,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수용 레일 지지부재(1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우징(13)이 변위된다. 이에 의해, 수용 레일 지지부재(1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한다.
수용 레일 지지부재(1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한 후에도 엘리베이터 칸(1)이 계속해서 하강하면, 회동 레일 지지부재(3)가 더욱 회동된다. 이 후, 하부 제동 슈(31)의 제동면(31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와의 사이에서 파지된다. 이 때, 회전 스토퍼부(32)는 상부 스토퍼 수용면(34a)에 닿는다.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끌려서 중립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서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아래쪽으로 회동되면,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수용 레일 지지부재(1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우징(13)이 변위된다. 이에 의해, 수용 레일 지지부재(1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한다.
수용 레일 지지부재(1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한 후에도 엘리베이터 칸(1)이 계속해서 상승하면, 회동 레일 지지부재(3)가 더욱 회동된다. 이 후, 상부 제동 슈(30)의 제동면(30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와의 사이에서 파지된다. 이 때, 회전 스토퍼부(32)는 하부 스토퍼 수용면(34b)에 닿는다.
이 예에서는, 구름 접촉부(33)의 축선 P와 주축(24)의 중심선 C와의 사이의 Y축 방향(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을 따른 방향)에 대한 치수 LY와,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레일 접촉점과 중심선 C와의 사이의 X축 방향(하우징(13)의 변위 방향)에 대한 치수 LX와의 비 γ(=LY/LX)에 대해, 구름 접촉부(33)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의 사이의 마찰 계수 μ가 커지도록(즉, γ<μ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압압력에 의한 복귀 회전력(제동시에 회동되어야 할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압압력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를 보다 확실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치수비 γ의 값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구름 접촉부(33)의 원통면의 반경 R을 크게 하면 된다. 또, 마찰 계수 μ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을 무급유 가이드로 가이드하여 기름 성분의 부착이 방지되는 구조로 하거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박는 다수의 미소 돌기를 구름 접촉부(33)에 마련하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장착 틀(10)에는, 하우징(13)을 장착 틀(10)에 대해 변위시키는 변위 구동 기구(35)(도 3)가 마련되어 있다. 변위 구동 기구(35)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3)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 스프링(가압체)(36)과, 가압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역행하여 하우징(13)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유지·개방 기구(유지 수단)(37)를 가지고 있다.
가압 스프링(36)은, 슬라이드 가이드(13a, 13b)와 장착 틀(10)의 일단부(도 3에서는 우단부)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36)으로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 이용되고 있다. 각 가압 스프링(36)에는, 슬라이드 가이드(13a, 13b)가 각각 통과되어 있다.
유지·개방 기구(37)는, 조정 볼트 장착부(16)에 마련된 틈새 할당용 조정 볼트(38)와, 장착 틀(10)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고 또한 틈새 할당용 조정 볼트(38)에 결합 가능한 유지 레버(39)와, 유지 레버(39)에 맞닿는 가압핀(40)과, 가압핀(40)을 변위시켜 유지 레버(39)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41)을 가지고 있다.
전자 마그넷(41)은, 장착 틀(10)에 고정된 고정 철심(42)과, 고정 철심(42)에 내장된 전자 코일(43)과, 고정 철심(42)에 대해 변위 가능한 가동 철심(44)을 가지고 있다.
가압핀(40)은 가동 철심(44)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 가압핀(40)의 선단부에는, 가압핀(40) 길이의 미조정을 위한 복수의 조정 너트(45)가 나사 결합 되어 있다.
유지 레버(3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를 떼어 놓은 상태에서 하우징(13)의 변위를 규제하는 유지 위치(도 3)와 하우징(13)의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도 5)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 레버(39)는 장착 틀(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지 레버(39)는, 장착 틀(10)에 대한 회동에 의해 유지 위치와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한다. 유지 레버(39)의 일단부는 가압핀(40)의 선단부에 맞닿는다. 유지 레버(39)의 타단부는 틈새 할당용 조정 볼트(38)에 맞닿는다.
틈새 할당용 조정 볼트(38)는 조정 볼트 장착부(16)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 틈새 할당용 조정 볼트(38)는, 각 가압 스프링(36)의 가압에 의해 유지 레버(39)의 타단부에 수평하게 가압되어 있다. 유지 레버(39)가 유지 위치에 있을 때(즉, 하우징(13)의 변위가 규제되고 있을 때)의 회동 레일 지지부재(18) 및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의 각각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의 사이의 틈새 치수 Δd1 및 Δd2(도 2)는, 틈새 할당용 조정 볼트(38)의 조정 볼트 장착부(16)에 대한 나사 결합량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가동 철심(44)은 전자 마그넷(41)이 여자되는 것에 의해 고정 철심(42)에 흡착되어 유지된다. 가압핀(40)은, 고정 철심(42)에 의한 가동 철심(44)의 흡착에 의해 고정 철심(42)에 대해 움직이지 않게 유지된다. 유지 레버(39)는, 고정 철심(42)에 대해 유지된 가압핀(40)에 맞닿는 것에 의해 유지 위치에 유지된다. 즉, 유지 레버(39)의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변위는, 전자 마그넷(41)의 여자에 의해 규제된다.
전자 마그넷(41)의 유지력은, 각 가압 스프링(36)의 하우징(13)에 대한 가압력을 극복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 레일 지지부재(17) 및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는, 전자 마그넷(41)의 여자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도 2 및 도 3).
또, 유지 레버(39)의 해제 위치로의 변위 규제는, 전자 마그넷(41)의 여자의 정지에 의해서 유지력이 소실됨으로서 해제된다. 유지 레버(39)는 전자 마그넷(41)의 유지력이 소실되면, 각 가압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의해 틈새 할당용 조정 볼트(38)에 눌리면서 회동되어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2의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위쪽으로의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파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통상시는, 제어반(4)의 제어에 의해 전자 마그넷(41)이 여자되고 있으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철심(44)이 고정 철심(42)에 흡착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이 때에는, 유지 레버(39)는 가압핀(40)과의 맞지지에 의해 유지 위치(도 3)에 유지되고 있어, 해제 위치로의 회동(도 3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 이 때에는, 틈새 할당용 조정 볼트(38)의 유지 레버(39)에 대한 결합에 의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 및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의 각각이 소정의 틈새 치수 Δd1 및 Δd2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개리(開離)되고 있다.
제동 지령부(8)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검출되면, 제동 지령이 제동 지령부(8)로부터 각 비상 멈춤 장치(9)에 출력된다. 각 비상 멈춤 장치(9)의 변위 구동 기구(35)가 제동 지령을 받으면, 전자 코일(43)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전자 마그넷(41)의 유지력이 소실된다. 이에 의해, 유지 레버(39)는, 각 가압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의해 틈새 할당용 조정 볼트(38)에 눌려지면서 유지 위치(도 3)로부터 해제 위치(도 5)로 회동된다. 이 때, 가압핀(40)은 유지 레버(39)에 맞닿으면서 변위된다.
유지 레버(39)의 해제 위치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각 가압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는 방향(도 2 및 도 3의 왼쪽 방향)으로 하우징(13)이 변위된다. 이에 의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한다.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끌려서 위쪽으로 회동된다. 이 때, 각 가압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의해,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서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회동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수용 레일 지지부재(1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틈새 할당용 조정 볼트(38)는 유지 레버(39)로부터 개리된다.
이 후,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더욱 위쪽으로 회동되어 하부 제동 슈(31)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르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제동 슈(31)와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파지된다. 이 때, 접시 스프링(22)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눌려진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의 변위에 의해 오그라들어 있어, 수용 레일 지지부재(1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가압하는 탄성 반발력을 발생하고 있다. 또, 회전 스토퍼부(32)가 상부 스토퍼 수용면(34a)에 닿아서, 하부 제동 슈(31)의 제동면(31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해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 칸(1)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끌려서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이 때, 각 가압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의해,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서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회동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수용 레일 지지부재(1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틈새 할당용 조정 볼트(38)는 유지 레버(39)로부터 개리된다.
이 후,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더욱 아래쪽으로 회동되어 상부 제동 슈(30)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르면, 상부 제동 슈(30)와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파지된다. 이 때, 접시 스프링(22)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눌려진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에 의해 오그라져 있어, 수용 레일 지지부재(1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내리누르는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 회전 스토퍼부(32)가 하부 스토퍼 수용면(34b)에 닿아서, 상부 제동 슈(30)의 제동면(30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해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 칸(1)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또한, 이 예에서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위쪽으로의 회동량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아래쪽으로의 회동량보다 커지도록, 상부 스토퍼 수용면(34a) 및 하부 스토퍼 수용면(34b)의 각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제동 슈(31)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했을 때의 제동력은, 상부 제동 슈(30)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했을 때의 제동력보다 커진다. 즉, 비상 멈춤 장치(9)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에 발생하는 제동력은,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보다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가 커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에 마련된 구름 접촉부(33)의 형상이, 주축(24)의 중심선 C에 대해 편심한 축선 P를 가지는 하나의 원통의 외주면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형상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9)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의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 비상 멈춤 장치(9)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구름 접촉부(33)의 축선 P는, 주축(24)의 중심선 C를 통과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법선에 교차하며, 또한 주축(24)의 중심선 C에 관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즉, 도 8은, 도 2의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변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또, 도 9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의 원통의 축선의 위치가 도 2의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와 다르게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구름 접촉부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는 점을 S로 하고, 중심선 C를 중심으로 하는 X-Y 좌표계에 있어서, 회동 레일 지지부재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의 축선 P 및 접촉점 S의 위치(초기 위치)를 각각 P1 및 S1, 회동 레일 지지부재가 아래쪽으로(반시계방향 회전으로) 회동되었을 때의 축선 P 및 접촉점 S의 위치를 각각 P2 및 S2로 한다.
또, 구름 접촉부의 축선 P와 주축의 중심선 C와의 사이의 치수를 r, 구름 접촉부의 원통의 반경을 R, 초기 위치 P1 및 중심선 C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과 X축의 +부분이 이루는 각도(초기 각도)를 θ, 위치 P2 및 중심선 C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과 초기 위치 P1 및 중심선 C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초기 위치 P1로부터 위치 P2로의 회동 각도)를 α라고 한다.
접촉점 S1 및 접촉점 S2 사이의 X축 방향의 거리(회동 레일 지지부재의 병진(竝進) 이동 거리)를 L이라고 하면, 회동 레일 지지부재의 병진 이동 거리 L은 식(1)로 표시된다.
L=r{cosθ-cos(θ+α)}…(1)
또, 축선 P가 초기 위치 P1로부터 위치 P2에 이동될 때까지의 동안에, 중심선 C 및 접촉점 S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과 X축의 일부분이 이루는 각도(마찰각)가 최대가 되는 최대 마찰각을 β라고 하면, 초기 각도 θ가 90° 이하이며 또한 초기 각도 θ 및 회동 각도 α의 합계값(θ+α)이 90° 이상인 경우에는, 최대 마찰각 β는 식(2)로 표시된다.
β=tan-1(r/R)…(2)
또한, 초기 각도 θ가 90°보다 작고 또한 초기 각도 θ 및 회동 각도 α의 합계값(θ+α)이 90°보다 작은 경우에는, 최대 마찰각 β는 식(3)으로 표시된다.
β=tan-1[r·sin(θ+α)/{R-r·cos(θ+α)}]…(3)
또, 초기 각도 θ가 90°보다 크고 또한 초기 각도 θ 및 회동 각도 α의 합계값(θ+α)이 90°보다 큰 경우에는, 최대 마찰각 β는 식(4)로 표시된다.
β=tan-1{r·sinθ/(R-r·cosθ)}…(4)
또한, 도 8에서는 초기 각도 θ, 회동 각도 α, 치수 r 및 반경 R에 첨자 a를 붙이고, 도 9에서는 초기 각도 θ, 회동 각도 α, 치수 r 및 반경 R에 첨자 b를 붙임으로써, 축선 P의 초기 위치 P1이 X축상에 있는 경우와, 축선 P의 초기 위치 P1이 X축과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를 구별하고 있다.
여기서, 도 8에 있어서 초기 각도 θa=0°, 회동 각도 αa=140°라고 하고, 도 9에 있어서 초기 각도 θb=90°, 회동 각도 αb=45°라고 하면, 병진 이동 거리 L이 도 8과 도 9에서 같아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식(1)에 의해, 식(5)의 관계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ra{cos(0°)-cos(0°+140°)}=rb{cos(90°)-cos(90°+45°)}…(5)
식(5)를 정리하면, ra=0.4rb가 된다.
또, 최대 마찰각 β가 도 8과 도 9에서 같아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식(2)에 의해, 식(6)의 관계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tan-1(ra/Ra)=tan-1(rb/Rb)…(6)
식(6)을 정리하면, ra/Ra=rb/Rb가 된다. 따라서, 식(5) 및 식(6)에 의해, Ra=0.4Rb의 관계가 이끌어내진다. 즉, 병진 이동 거리 L 및 최대 마찰각 β가 같은 경우에는, 도 8의 반경 Ra가 도 9의 반경 Rb보다 0.4배로 작아진다.
이것으로부터, 구름 접촉부(33)의 축선 P의 위치를, 중심선 C를 중심으로 하는 X-Y 좌표계에 있어서의 X축의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중심선 C를 중심으로 상하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축선 P의 초기 위치 P1이 X축으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X축에 관해 대칭이 되는 2개소에 축선 P의 초기 위치 P1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구름 접촉부의 형상이 2개의 원통의 외주면을 결합한 형상이 되어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이 예에서는, 축선 P의 초기 위치 P1을 X축상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상하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되도록 되어 있더라도, 공통의 축선 P를 가지는 하나의 원통을 따른 형상을 구름 접촉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름 접촉부의 형상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롤렛 가공이나 복수의 미소 돌기를 형성하는 가공 등을 구름 접촉부(33)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으므로, 구름 접촉부(33)의 마찰 계수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는, 구름 접촉부(33)가 마련된 회동 지지부재 본체(29)와, 회동 지지부재 본체(29)에 마련되어 회동 지지부재 본체(29)의 둘레 방향에 대해 구름 접촉부(33)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를 가지고 있고,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는 제동면(30a) 및 제동면(31a)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을 파지할 때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나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한 제동력을 적정하게 할 수 있어, 비상 멈춤 장치(9)가 동작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는, 주축(24)을 포함하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 관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할 때까지의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회동량을 크게 할 수 있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하우징(13)은, 회동 레일 지지부재(18)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해 변위 구동 기구(35)에 의해 변위되므로,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시키는 동작을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9)의 동작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하부 제동 슈(31)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했을 때의 제동력이, 상부 제동 슈(30)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했을 때의 제동력보다 커지도록, 상부 스토퍼 수용면(34a) 및 하부 스토퍼 수용면(34b)의 각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 방향에 따른 크기의 제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1)측과 균형추측과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엘리베이터 칸(1)의 상승을 저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동력은, 메인 로프(2)가 파단되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1)의 낙하를 저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동력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비상 멈춤 장치(9)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에 발생하는 제동력을, 엘리베이터 칸(1)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르게 함으로써, 비상 멈춤 장치(9)가 동작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1)의 충격을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수용 레일 지지부재(17) 및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각각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의 틈새가 통상시에 틈새 할당용 조정 볼트(38)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편하중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1)의 요동 등에 의해서 비상 멈춤 장치(9)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비상 멈춤 장치(9)가 엘리베이터 칸(1)에 탑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용 레일 지지부재(17) 및 회동 레일 지지부재(18)의 각각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의 틈새의 조정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비상 멈춤 장치(9)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하우징(13)을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해 병진시키는 것에 의해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시켜, 엘리베이터 칸(1)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한 이동에 의해서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를 회동시키게 되어 있으나,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를 직접 회동시키는 회동 구동 장치를 마련하여, 하우징(13)을 병진시키지 않고 회동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만 의해서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를 회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의 비상 멈춤 장치(9)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11은, 도 10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회동 레일 지지부재(18)는, 주축(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접촉 회동체(51)와,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가 마련되며 주축(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종동(從動) 회동체(52)와, 접촉 회동체(51)에 마련되고, 접촉 회동체(51)의 회동량이 소정량이 되었을 때에 종동 회동체(52)에 결합하는 결합 핀(결합 부재)(53)을 가지고 있다. 종동 회동체(52)는 접촉 회동체(51)와 하우징 본체(14)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4)에는, 종동 회동체(52)의 위쪽으로의 회동량을 규제하는 상부 회동 규제부(54)와, 종동 회동체(52)의 아래쪽으로의 회동량을 규제하는 하부 회동 규제부(55)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회동 규제부(54) 및 하부 회동 규제부(55)는, 주축(24)의 중심선 C를 포함하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 관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종동 회동체(52)는 종동 본체(56)와, 종동 본체(56)의 상부로부터 돌출하는 상부 스토퍼부(57)와, 종동 본체(56)의 하부로부터 돌출하는 하부 스토퍼부(58)를 가지고 있다.
종동 회동체(52)의 위쪽으로의 회동은, 상부 스토퍼부(57)가 상부 회동 규제부(54)에 닿는 것에 의해 저지된다. 종동 회동체(52)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은, 하부 스토퍼부(58)가 하부 회동 규제부(55)에 닿는 것에 의해 저지된다.
상부 제동 슈(30)는 종동 회동체(52)의 상부에 마련되고, 하부 제동 슈(31)는 종동 회동체(52)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는, 주축(24)의 중심선 C를 포함하며 또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 관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종동 회동체(52)의 회동 전에 있어서는, 상부 제동 슈(30)의 제동면(30a)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한 경사 각도가 +45°로 되고, 하부 제동 슈(31)의 제동면(31a)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한 경사 각도가 -45°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은, 종동 회동체(52)의 위쪽으로의 회동(도 10에 있어서 시계방향 회전의 회동)에 의해 하부 제동 슈(31)와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의 사이에서 파지되고, 종동 회동체(52)의 아래쪽으로의 회동(도 10에 있어서 반시계방향 회전의 회동)에 의해 상부 제동 슈(30)와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의 사이에서 파지된다.
접촉 회동체(51)에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구름 접촉부(33)와, 접촉 회동체(51)의 둘레 방향에 대해 구름 접촉부(33)의 단부(端部) 사이에 형성된 상부 절결부(59) 및 하부 절결부(60)(한 쌍의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다.
구름 접촉부(33)의 형상은, 주축(24)의 중심선 C에 대해 편심한 축선 P를 가지는 하나의 원통의 외주면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축선 P의 위치는, 주축(24)의 중심선 C에 관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 반대측의 위치로 되어 있다. 또, 축선 P는, 중심선 C를 통과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법선 A와 교차하고 있다.
상부 절결부(59)는 구름 접촉부(33)의 상단부에 연속해 있다. 하부 절결부(60)는 구름 접촉부(33)의 하단부에 연속해 있다. 또, 상부 절결부(59) 및 하부 절결부(60)는, 구름 접촉부(33)를 따른 원통의 외주면보다 지름 방향 안쪽에 형성된 평면으로 되어 있다.
접촉 회동체(51)는, 하우징(13)의 장착 틀(10)에 대한 변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는 접촉 회동체(51)의 구름 접촉부(33)가 접리된다.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1)에 접촉해 있을 때에는, 접촉 회동체(51)는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는 접촉 회동체(51)가 위쪽으로 회동되고,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는 접촉 회동체(51)가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구름 접촉부(33)와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의 간격은, 접촉 회동체(51)의 회동 전이 최대이며, 접촉 회동체(51)의 회동량이 커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작아진다. 또한, 접촉 회동체(51)의 회동 전의 위치는, 비상 멈춤 장치(9)의 제동 동작이 해제되는 중립 위치로 되어 있다.
결합 핀(53)은, 주축(24)의 중심선 C 및 구름 접촉부(33)의 축선 P를 모두 포함하는 평면에 포함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결합 핀(53)의 위치는 축선 P에 관해 중심선 C와 반대측의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결합 핀(53)은, 접촉 회동체(51)로부터 하우징 본체(14)를 향해 돌출해 있다.
접촉 회동체(51)가 중립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량만큼 회동되면,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 후, 접촉 회동체(51)가 더욱 회동되면,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에 결합하면서, 종동 회동체(52)가 접촉 회동체(51)와 함께 회동된다.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의 상부에 결합해 있을 때에는, 상부 절결부(59)가 접촉 회동체(51)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인하여, 접촉 회동체(51)가 상부 제동 슈(30)보다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접촉 회동체(51)가 중립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소정량만큼 회동되면,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 후, 접촉 회동체(51)가 더욱 회동되면,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에 결합하면서, 종동 회동체(52)가 접촉 회동체(51)와 함께 회동된다.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의 하부에 결합해 있을 때에는, 하부 절결부(60)가 접촉 회동체(51)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인하여 접촉 회동체(51)가 상부 제동 슈(30)보다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종동 회동체(52)의 하부에는, 결합 핀(53)을 수용하는 오목부(凹部)(61)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 회동체(51)의 위쪽으로의 회동에 의해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의 하부에 결합할 때에는, 결합 핀(53)은 오목부(61)의 내면에 닿는다.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의 하부에 결합할 때까지의 접촉 회동체(51)의 위쪽으로의 회동량은 오목부(61)의 깊이에 따라 결정된다.
오목부(61)는 종동 회동체(52)의 하부에만 마련되어 있고, 종동 회동체(52)의 상부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즉,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에 결합할 때까지의 접촉 회동체(51)의 회동량은, 위쪽으로의 회동보다 아래쪽으로의 회동이 작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게 하우징(13)이 장착 틀(10)에 대해 변위되면, 접촉 회동체(51)의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한다.
도 12는, 도 10의 접촉 회동체(51)의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이다. 또, 도 13은, 도 12의 접촉 회동체(51)의 회동에 의해 종동 회동체(52)의 하부에 결합 핀(53)이 결합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이다. 또한, 도 14는, 접촉 회동체(51) 및 종동 회동체(52)의 위쪽으로의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파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도 12), 접촉 회동체(51)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끌려서 위쪽으로 회동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수용 레일 지지부재(1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후, 접촉 회동체(51)가 더욱 위쪽으로 회동되어 접촉 회동체(51)의 회동량이 소정량이 되면, 종동 회동체(52)의 하부에 마련된 오목부(61) 내에 결합 핀(53)이 결합한다(도 13). 이 후, 접촉 회동체(51)가 더욱 위쪽으로 회동되면, 결합 핀(53)이 오목부(61)에 결합하면서, 종동 회동체(52)가 접촉 회동체(51)와 함께 위쪽으로 회동된다.
종동 회동체(52)가 접촉 회동체(51)와 함께 위쪽으로 회동되어 하부 제동 슈(31)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르면(도 14), 하부 제동 슈(31)와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파지된다. 이 때, 상부 스토퍼부(57)가 상부 회동 규제부(54)에 닿아서, 하부 제동 슈(31)의 제동면(31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 칸(1)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 구름 접촉부(33)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면, 접촉 회동체(51)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끌려서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은 주축(24)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수용 레일 지지부재(1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후, 접촉 회동체(51)가 더욱 아래쪽으로 회동되어 접촉 회동체(51)의 회동량이 소정량이 되면, 종동 회동체(52)의 상부에 결합 핀(53)이 결합한다. 이 후도 접촉 회동체(51)가 더욱 아래쪽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의 상부에 결합하면서, 종동 회동체(52)가 접촉 회동체(51)와 함께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종동 회동체(52)가 접촉 회동체(51)와 함께 아래쪽으로 회동되어 상부 제동 슈(30)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이르면, 상부 제동 슈(30)와 수용 레일 지지부재(17)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이 파지된다. 이 때, 하부 스토퍼부(58)가 하부 회동 규제부(55)에 닿아서, 상부 제동 슈(30)의 제동면(30a)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 칸(1)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또한, 종동 회동체(52)의 하부에 오목부(6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에 결합할 때까지의 접촉 회동체(51)의 회동량이 위쪽으로의 회동보다 아래쪽으로의 회동이 작아진다. 따라서, 하부 제동 슈(31)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했을 때의 제동력은, 상부 제동 슈(30)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했을 때의 제동력보다 커진다. 즉, 비상 멈춤 장치(9)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에 발생하는 제동력은, 엘리베이터 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보다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가 커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는, 구름 접촉부(33)가 마련된 접촉 회동체(51)와,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가 마련된 종동 회동체(52)가 별체로 되어, 접촉 회동체(51) 및 종동 회동체(52)가 공통의 주축(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접촉 회동체(51)의 회동량이 소정량이 되었을 때에 종동 회동체(52)에 결합하는 결합 핀(53)이 접촉 회동체(51)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 회동체(51)를 원판 형상에 접근킬 수 있어 접촉 회동체(51)의 형상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회동체(51)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주축(24)에 관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의 반대측에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를 배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를 서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의 각각의 제동면(30a, 31a)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을 파지할 때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한 제동력을 적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멈춤 장치(9)가 동작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 회동체(51) 및 종동 회동체(52)의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상하 방향의 치수의 축소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종동 회동체(52)의 하부에는, 결합 핀(53)이 결합 가능한 오목부(6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61)의 깊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에 결합할 때까지의 접촉 회동체(51)의 회동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동 회동체(52)의 회동량의 조정과 아울러,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의 각각의 돌출량(돌출부분)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9)가 동작했을 때의 제동력을 엘리베이터 칸(1)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1)의 하강시의 제동력을 상승시의 제동력보다 크게 할 수 있어, 비상 멈춤 장치(9)가 동작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접촉 회동체(51)에 마련된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종동 회동체(52)가 접촉 회동체(51)와 함께 회동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핀(53)에 접촉 회동체(51)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도, 결합 핀(53)이 종동 회동체(52)에 결합할 때까지의 접촉 회동체(51)의 회동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종동 회동체(52)의 회동량의 조정과 아울러,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31)의 각각의 돌출량(돌출부분)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9)가 동작했을 때의 제동력을 엘리베이터 칸(1)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1)의 하강시의 제동력을 상승시의 제동력보다 크게 할 수 있어, 비상 멈춤 장치(9)가 동작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하우징(13)을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해 병진시키는 것에 의해 접촉 회동체(51)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시켜, 엘리베이터 칸(1)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대한 이동에 의해서 접촉 회동체(51)를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접촉 회동체(51)를 직접 회동시키는 회동 구동 장치를 마련하여, 하우징(13)을 병진시키지 않고 회동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접촉 회동체(51)를 회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종동 회동체(52)를 접촉 회동체(51)와 함께 회동시켜, 상부 제동 슈(30) 및 하부 제동 슈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의 센서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센서(5), 도어 개폐 검출 센서(6) 및 메인 로프 파단 검출 센서(7)로 한정되지 않는다.
1: 엘리베이터 칸 2: 메인 로프
3: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4: 제어반
5: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센서 9: 비상 멈춤 장치
13: 하우징 17: 수용 레일 지지부재
18: 회동 레일 지지 부재 33: 구름 접촉부

Claims (6)

  1.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수용 레일 지지부재, 및
    상기 수용 레일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레일이 개재하도록 상기 수용 레일 지지부재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한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수용 레일 지지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는 회동 레일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레일 지지부재에는, 상기 회동 레일 지지부재가 상하 어느 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상기 수용 레일 지지부재와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구름 접촉부(rolling contact portion)가 마련되며,
    상기 구름 접촉부의 형상은, 상기 회동축의 중심선에 대해 편심한 축선을 가지는 하나의 원통의 외주면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름 접촉부의 축선은, 상기 회동축의 중심선을 통과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법선과 교차하며, 또한 상기 회동축에 관해 상기 가이드 레일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레일 지지부재는, 상기 구름 접촉부가 마련된 회동 지지부재 본체와, 상기 회동 지지부재 본체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회동 지지부재 본체의 둘레 방향에 대해 상기 구름 접촉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제동 부재를 가지며,
    각 상기 제동 부재에는, 상기 수용 레일 지지부재와 상기 회동 레일 지지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이 파지될 때에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는 제동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각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회동축의 중심선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 관해, 상기 가이드 레일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레일 지지부재는, 상기 구름 접촉부가 마련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접촉 회동체와, 상기 수용 레일 지지부재와 상기 회동 레일 지지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이 파지될 때에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는 제동면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동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종동 회동체와, 상기 접촉 회동체에 마련되어 상기 접촉 회동체의 회동량이 소정량이 되었을 때에 상기 종동 회동체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레일 지지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 변위시키는 변위 구동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20107003106A 2007-09-28 2007-09-28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1124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9005 WO2009040934A1 (ja) 2007-09-28 2007-09-28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925A true KR20100040925A (ko) 2010-04-21
KR101124931B1 KR101124931B1 (ko) 2012-03-27

Family

ID=4051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106A KR101124931B1 (ko) 2007-09-28 2007-09-28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94014B1 (ko)
JP (1) JP5414526B2 (ko)
KR (1) KR101124931B1 (ko)
CN (1) CN101808926B (ko)
WO (1) WO200904093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942A (ko) * 2011-09-30 2014-07-03 인벤티오 아게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
KR20150089070A (ko) * 2012-11-27 2015-08-04 인벤티오 아게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 보디용의 안전 장치
KR20180108755A (ko) * 2016-03-04 2018-10-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제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23034A8 (pt) * 2010-03-18 2017-10-17 Inventio Ag atuador para dispositivo de frenagem e sistema de elevador
ES2547452T3 (es) * 2011-09-30 2015-10-06 Inventio Ag Dispositivo de freno con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electromecánico
CN102530677A (zh) * 2012-02-24 2012-07-04 苏州莱茵电梯制造有限公司 一种采用凸轮结构的安全钳
US9745171B2 (en) 2012-12-13 2017-08-29 Inventio Ag Safety brake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FR3022230B1 (fr) * 2014-06-12 2016-07-15 Sodimas Systeme declencheur d'un dispositif de blocage de cabine d'ascenseur, notamment limiteur de vitesse.
DE202015106237U1 (de) 2015-11-17 2017-02-20 Wittur Holding Gmbh Aufzugssicherheitseinrichtung mit energiesparendem Auslöser
US10569993B2 (en) * 2017-03-29 2020-02-25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brake actuation mechanism for a hoisted structure
CN110356944B (zh) * 2018-03-26 2021-08-0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制动装置
CN111377334A (zh) * 2018-12-27 2020-07-07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制动部件及制动装置
CN113247732A (zh) * 2021-05-19 2021-08-1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制动部件及电梯制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3660B1 (de) * 1979-10-29 1981-01-08 Gerhard Ing Schlosser Fangvorrichtung fuer Aufzuege
DE59806027D1 (de) * 1997-08-21 2002-11-28 Aufzugstechnologie Schlosser G Bremsfangvorrichtung
WO2003008317A1 (fr) 2001-06-29 2003-01-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freinage de secours pour ascenseur
BRPI0601926B1 (pt) * 2005-06-17 2018-06-12 Inventio Aktiengesellschaft Dispositivo de pára-quedas do freio
ES2264897B1 (es) * 2005-07-08 2007-11-01 Orona, S. Coop. Mecanismo detector de sobrevelocidad en aparatos elevadores, dispositivo de seguridad de actuacion contra sobrevelocidad y aparato elevador.
ES2284356B1 (es) * 2005-10-14 2008-09-16 Thyssenkrupp Elevadores, S.A. Aparato de frenado de emergencia de doble efecto para cabinas de ascensor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942A (ko) * 2011-09-30 2014-07-03 인벤티오 아게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
KR20150089070A (ko) * 2012-11-27 2015-08-04 인벤티오 아게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 보디용의 안전 장치
KR20180108755A (ko) * 2016-03-04 2018-10-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제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40934A1 (ja) 2011-01-13
KR101124931B1 (ko) 2012-03-27
EP2194014A1 (en) 2010-06-09
EP2194014B1 (en) 2016-07-06
EP2194014A4 (en) 2013-12-04
CN101808926B (zh) 2013-06-05
CN101808926A (zh) 2010-08-18
WO2009040934A1 (ja) 2009-04-02
JP5414526B2 (ja)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931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1033378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1033343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1537846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EP1739046B1 (en) Emergency stop system of elevator
US8297413B2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using drive sheave acceleration
JP5026743B2 (ja) プログレッシブ安全装置
JP5409788B2 (ja) エレベータの直動式ドラムブレーキ装置
EP3328772B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WO2012140720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43526B1 (ko) 엘리베이터용 캠형 비상정지장치의 슬라이딩 깁 모듈구조
JP2016204061A (ja) エレベータ装置
JP721683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3118948A (ja) エレベータ調速機のロープ掴み機構
CN110171760B (zh) 调速器张紧机构、调速器装置及电梯
KR100429303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JP7360546B2 (ja)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KR200219245Y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JP200416845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8105036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作動機構
KR100844633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KR20080003368U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의 로프 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