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378B1 -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378B1
KR101033378B1 KR1020097024028A KR20097024028A KR101033378B1 KR 101033378 B1 KR101033378 B1 KR 101033378B1 KR 1020097024028 A KR1020097024028 A KR 1020097024028A KR 20097024028 A KR20097024028 A KR 20097024028A KR 101033378 B1 KR101033378 B1 KR 10103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rail
rail
car
braking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134A (ko
Inventor
나오유키 마루야마
히로시 기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0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rotatable eccentrically-moun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로 안내되는 승강체에 한 쌍의 제동기구체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제동기구체는 승강체에 지지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된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 가이드레일에 접리(接離) 가능한 가동레일 맞닿음부를 가지고 있다. 가동레일 맞닿음부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가 되는 중립위치와, 중립위치보다도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위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보다도 좁아지는 제동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레일 맞닿음부가 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중립위치에서부터 승강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제동위치로 변위됨으로써, 각 가이드레일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 가동레일 맞닿음부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파지(把持)된다. 각 제동기구체 사이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승강체에는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가 각 가이드레일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를 변위시키는 전자구동장치가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전기적으로 제동동작되는 쐐기식(wedge-type)의 비상정지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한 쌍의 비상정지장치가 공통의 엘리베이터칸에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정지장치는 전자 액츄에이터에 의해 쐐기를 변위시켜, 엘리베이터칸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된 리시빙 피팅(receiving fitting) 사이에 쐐기를 맞물려 넣음으로써, 엘리베이터칸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각 전자 액츄에이터는 공통의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작동신호를 받는 것에 의해 동작을 개시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WO2004/083091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위쪽 방향 및 아래쪽 방향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제동동작을 행하는 복수의 비상정지장치를 조합시켜 엘리베이터칸에 탑재해야 한다. 따라서,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칸에 대한 제동동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비상정지장치 전체가 대형화해 버린다.
또, 각 비상정지장치의 제동동작이 서로 독립해 있으므로, 각 비상정지장치에 작동신호가 동시에 입력되었다고 하여도, 각 비상정지장치의 개체차(個體差)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으로의 제동력이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이 각 비상정지장치 사이에서 달라져 버린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이 제동시에 기울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승강체의 제동동작을 단시간에 또한 안정하게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승강체에 지지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된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 수평방향에 대해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통하여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에 대향하고,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가 되는 중립위치와 중립위치보다도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위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보다도 좁아지는 제동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며, 또한 가이드레일에 접리(接離) 가능한 가동레일 맞닿음부를 각각 가지고, 가동레일 맞닿음부가 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승강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제동위치로 변위됨으로써,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 가동레일 맞닿음부 사이에서 각 가이드레일을 개별적으로 파지(把持)하는 한 쌍의 제동기구체, 각 제동기구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승강체에 지지되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가 각 가이드레일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를 변위시키는 전자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에 따라서 보았을 때의 한쪽의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중앙접촉면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하부 마찰면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상부 마찰면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백업(backup)기구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중립가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가 위쪽의 제동위치로 변위되고 있을 때의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연동(連動)레버가 플런져(plunger)에 대해서 위쪽으로 회동되고 있을 때의 중립가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모두 승강체)는 메인로프(3)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 메인로프(3)는 승강로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권상기(4)의 구동쉬브(4a) 및 디플렉터 휠(deflector wheel)(5)에 감겨 있다. 구동쉬 브(4a)는 권상기(4)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는 구동쉬브(4a)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과, 균형추(2)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7)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의 승강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반(10)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검출센서(11), 엘리베이터칸(1)의 출입구(도시하지 않음)의 개폐 유무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검출센서(12) 및 메인로프(3)의 파단(破斷) 유무를 검출하는 메인로프 절단검출센서(13)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가 보내진다. 엘리베이터칸 속도검출센서(11)로서는, 예를 들면 구동쉬브(4a)의 회전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엔코더(encoder)나 리졸버(resolver) 등이 이용된다. 도어 개폐검출센서(12)로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1)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 등이 이용된다. 메인로프 절단검출센서(13)로서는, 예를 들면 메인로프(3)의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검출기 등이 이용된다.
제어반(10)에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검출센서(11), 도어 개폐검출센서(12) 및 메인로프 절단검출센서(13)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동지령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제동지령부(14)는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 제동지령을 출력한다.
제동지령부(14)는 연산처리부(CPU 등), 기억부(ROM, RAM 및 하드디스크 등) 및 신호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제동지령부(14)의 기능은 컴퓨터에 의한 연산처리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엘리베이터칸(1)의 하부에는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을 개별적으로 파지하여 엘리베이터칸(1)을 제동하는 한 쌍의 제동기구체인 비상정지장치(15, 16)와,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사이를 연결하는 막대 모양의 연결부재(17)와, 연결부재(17)를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전자구동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는 한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다른 쪽의 비상정지장치(16)는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재(17)는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동지령부(14)로부터의 제동지령은 전자구동장치(18)로 보내진다. 전자구동장치(18)는 제동지령을 받는 것에 의해 연결부재(17)를 변위시킨다. 각 비상정지장치(15, 16)는 연결부재(17)의 변위에 의해 제동동작을 행한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에 따라서 보았을 때의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다른 쪽의 비상정지장치(16)의 구성은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에서는 장착프레임(19)이 엘리베이터칸(1)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프레임(19)에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부 가이드로드(guide rod)(20) 및 하부 가이드로드(21)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로드(20) 및 하부 가이드로드(21)는 서로 평행이고 또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장착프레임(19)의 내측에는 하우징(22)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2)의 상하에는 슬라이드 가이드(22a ~ 22d)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22a, 22c)에는 상부 가이드로드(20)가 관통하고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22b, 22d)에는 하부 가이드로드(21)가 관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22)은 상부 가이드로드(20) 및 하부 가이드로드(21)에 따라서 장착프레임(19)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하우징(22)은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22)은 하우징 본체(23)와, 하우징 본체(23)로부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측으로 돌출하는 장착안내부(24)를 가지고 있다.
장착안내부(24)는 하우징(22)의 엘리베이터칸(1)에 대한 변위방향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대해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장착안내부(24)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받이부(24a)와, 받이부(24a)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각으로부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수평부(24b, 24c)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22)에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및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은 공통의 하우징(22)에 설치된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와 가동레일 맞닿음부(2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및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하우징(22)과 함께 변위된다. 또,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및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하우징(22)의 장착프레 임(19)에 대한 변위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각각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는 각 수평부(24b, 24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는 각 수평부(24b, 24c)를 따라서 안내된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에는 받이부(24a)를 관통하는 복수(본 예에서는 2개)의 계단식 볼트(27)가 고정되어 있다. 각 계단식 볼트(27)는 받이부(24a)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는 하우징(22)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와 받이부(24a) 사이(즉,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를 중심으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측과는 반대 측)에는 공통의 계단식 볼트(27)가 각각 통과된 가압요소(28) 및 조정요소(29)가 배치되어 있다.
가압요소(28)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접시 스프링(Belleville spring)을 가지고 있다. 가압요소(28)는 접시 스프링이 수축되는 것에 의한 탄성반발력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가까워지는 방향(즉, 받이부(24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를 가압하고 있다. 조정요소(29)는 가압요소(28)의 탄성반발력의 크기를 조정한다. 본 예에서는, 조정요소(29)는 서로 겹쳐진 복수의 스페이서(spacer)를 가지고 있다. 가압요소(28)의 탄성반발력의 크기의 조정은 스페이서의 매수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각 계단식 볼트(27)에는 와셔(washer)(30)가 통과됨과 동시에, 위치결정너트(31)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와셔(30) 및 위치결정너트(31)는 받이부(24a)에 대해 서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는 와셔(30) 및 위치결정너트(31)의 받이부(24a)에 대한 결합에 의해 규제된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하우징(22)에 대한 수평방향에 대해서의 위치조정은 위치결정너트(31)의 계단식 볼트(27)에 대한 나사결합량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가 받이부(24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는, 가압요소(28)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변위에 거슬러 더욱 큰 탄성반발력을 발생한다.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하우징 본체(23)에 베어링(33)(도 3)을 통하여 장착된 수평축(주축)(32)에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베어링(33)은 미끄럼 베어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주축(3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형상은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와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26)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의 간격은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회동 전(前)이 최대이고,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회동량이 커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작아진다.
즉,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주축(32)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가 되는 중립위치와, 중립위치보다도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위치하여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보다도 좁아지는 한 쌍의 제동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캠으로 되어 있다.
중립위치에 있을 때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의 거리(즉, 소정의 거리)는 엘리베이터칸(1)의 편심하중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칸(1)이 기울었을 때에도 가동레일 맞닿음부(26) 및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각각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유지 가능한 거리로 되어 있다. 소정의 거리의 조정은 위치결정너트(31)의 계단식 볼트(27)에 대한 나사결합량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시에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는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의 제동위치로 변위되고, 엘리베이터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서부터 아래쪽의 제동위치로 변위된다.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가동레일 맞닿음부 본체(34)와, 가동레일 맞닿음부 본체(34)에 설치된 상부 제동슈(35) 및 하부 제동슈(36)(한 쌍의 제동슈)를 가지고 있다.
가동레일 맞닿음부 본체(34)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측의 외주부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접촉 가능한 레일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접촉면은 중앙접촉면(34a)과, 중앙접촉면(34a)의 상단부에 연속하는 곡면인 상부 접촉곡면(상부 곡면부)(34b)과, 중앙접촉면(34a)의 하단부에 연속하는 곡면인 하부 접촉곡면(하부 곡면부)(34c)을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중앙접촉면(34a)은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회동중심(Cn)을 통과하는 지름방향에 따른 직선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이다. 또, 상부 접촉곡면(34b)은 회동중심(Cn)으로부터 위쪽으로 오프셋한 위치(Pup)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이다. 더욱, 하부 접촉곡면(34c)은 회동중심(Cn)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오프셋한 위치(Pdn)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이다. 또한, 상부 접촉곡면(34b)의 중심(Pup)은 회동중심(Cn)을 중심으로 한 X-Y좌표의 제2 사분 공간의 Y축 부근에, 하부 접촉곡면(34c)의 중심(Pdn)은 제3 사분 공간의 Y축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또, 본 예에서는, 각 접촉곡면(34b, 34c)의 각각의 중심(Pup 및 Pdn)과 회동중심(Cn) 사이의 Y축방향(연직방향)에 대한 치수(LY)와,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레일접촉점과 회동중심(Cn) 사이의 X축방향(수평방향)에 대한 치수(LX)의 비 γ(= LY / LX)에 대해서, 각 접촉곡면(34b, 34c)의 각각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사이의 마찰계수 μ가 커지도록(즉, γ < μ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가압력에 의한 복귀회전력(제동시에 회동되어야 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서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가압력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어, 가동레일 맞닿음부(26)를 보다 확실히 회동시킬 수 있다. 치수비 γ의 값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각 접촉곡면(34b, 34c)의 원통면의 반경(R)을 크게 하면 된다. 또, 마찰계수 μ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을 무급유(無給油) 가이드로 안내하여 기름성분의 부착이 방지되는 구조로 하거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박히는 다수의 미소 돌기를 각 접촉곡면(34b, 34c)에 형성하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부 제동슈(35)는 상부 접촉곡면(34b)의 상단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부 제동슈(35)에는 평면인 상부 마찰면(상부 평면부)(35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제동슈(35)의 상부마찰면(35a)이 형성된 부분은 상부 접촉곡면(34b)의 상단보다도 소정량만큼 돌출해 있다.
상부 제동슈(35)의 배면과 회동레일 맞닿음부 본체(34) 사이에는 상부 제동슈(35)의 레일접촉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스페이서(37)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제동슈(35)의 돌출량의 조정은 스페이서(37)의 두께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하부 제동슈(36)는 하부 접촉곡면(34c)의 하단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하부 제동슈(36)에는 평면인 하부 마찰면(하부 평면부)(36a)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제동슈(36)의 하부마찰면(36a)이 형성된 부분은 하부 접촉곡면(34c)의 하단보다도 소정량만큼 돌출해 있다.
하부 제동슈(36)의 배면과 회동레일 맞닿음부 본체(34) 사이에는 하부 제동슈(36)의 레일접촉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스페이서(38)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제동슈(36)의 돌출량의 조정은 스페이서(38)의 두께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본 예에서는 상부 제동슈(35) 및 하부 제동슈(36)의 레일접촉면으로부터의 각 돌출량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통상은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있다(도 2). 따라서,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측으로 변위되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는 중앙접촉면(34a)이 접촉한다. 엘리베이터칸(1)이 이동하고 있을 때에 중앙접촉면(34a)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끌려,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 및 아래쪽 중 어느 한 제동위치로 변위된다.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하부 제동슈(36)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에서 파지되고,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상부 제동슈(35)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에서 파지된다.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의 구성의 설명은 이상이다. 다른 쪽의 비상정지장치(16)에 대해서도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재(17)는 각 주축(32)에 고정됨으로써,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도 3). 즉,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 각 주축(32) 및 연결부재(17)는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일체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각 주축(32) 및 연결부재(17)의 각각은 수평의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결부재(17)는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회동에 따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전자구동장치(18)는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하우징(22)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1 가압스프링(제1 가압체)(39)과, 다른 쪽의 비상정지장치(16)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하우징(22)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2 가압스프링(제2 가압체)(40)(도 3)과, 제1 가압스프링(39) 및 제2 가압 스프링(40)의 각 가압력에 거슬러 연결부재(17)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유지·개방기구(41)를 가지고 있다.
제1 가압스프링(39)은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의 슬라이드 가이드(22a, 22b)와 장착프레임(19)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가압스프링(40)은 다른 쪽의 비상정지장치(16)의 슬라이드 가이드(22a, 22b)와 장착프레임(19)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 등이 이용되고 있다.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에는 상부 가이드로드(20) 및 하부 가이드로드(21)가 각각 통과되고 있다.
유지·개방기구(41)는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고정된 지지체(42)에 장착되어 있다. 또, 유지·개방기구(41)는 지지체(42)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막대 모양의 누름핀(43)과, 누름핀(43)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연결부재(17)에 맞닿는 틈새조정나사(44)와, 누름핀(43)을 변위시키는 전자마그넷(45)을 가지고 있다.
누름핀(43)은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를 각각 개리시킨 상태로 연결부재(17)의 변위를 규제하는 유지위치(도 3)와, 유지위치로부터 후퇴하여 연결부재(17)의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누름핀(43)이 변위되는 방향은 연결부재(17)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전자마그넷(45)은 지지체(42)에 고정된 고정철심(46)과, 고정철심(46)에 조립된 전자코일(47)과, 고정철심(46)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가동철심(48)을 가지고 있다.
가동철심(48)의 중앙에는 누름핀(43)이 고정되어 있다. 또, 누름핀(43)은 고정철심(46)의 중심을 관통하고 있다. 누름핀(43)에는 복수의 조정너트(7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가동철심(48)과 고정철심(46) 사이의 틈새의 크기는 조정너트(72)의 누름핀(43)에 대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값으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누름핀(43)의 변위량은 가동철심(48)과 고정철심(46) 사이의 틈새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틈새조정나사(44)는 누름핀(43)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해 있다. 연결부재(17)의 변위는 연결부재(17)의 중간부가 틈새조정나사(44)에 결합됨으로써 규제된다. 틈새조정나사(44)의 누름핀(43)에 대한 돌출량은 틈새조정나사(44)의 누름핀(43)에 대한 나사결합량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누름핀(43)이 유지위치에 있을 때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 및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각각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사이의 틈새 치수는 틈새조정나사(44)의 누름핀(43)에 대한 돌출량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가동철심(48)은 전자마그넷(45)이 여자(勵磁)됨으로써, 고정철심(46)에 흡착되어 유지된다. 누름핀(43)은 고정철심(46)에 의한 가동철심(48)의 흡착에 의해, 고정철심(46)에 대해서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된다. 즉, 누름핀(43)의 위치는 고정철심(46)에 의한 가동철심(48)의 흡착에 의해 유지위치에 유지된다.
전자마그넷(45)의 유지력은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의 가압력을 이겨내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전자마그넷(45)의 여자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및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 누름핀(43)의 유지위치에서의 유지는 전자마그넷(45)의 여자의 정지에 의해서 해제된다. 따라서, 누름핀(43)은 전자마그넷(45)의 여자가 정지되면,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의 가압력에 의해, 연결부재(17)로 눌리면서 유지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연결부재(17)에는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위치가 중립위치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17)를 가압하는 중립가압장치(49)가 지지되어 있다. 중립가압장치(49)는 한 쌍의 비틀림 스프링(twist spring)(50)과, 비틀림 스프링(50)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지지체(42)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드판(51)과, 비틀림 스프링(50)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연결부재(17)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핀(52)을 가지고 있다.
각 슬라이드판(51)에는 연결부재(17)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각 슬라이드판(51)은 지지체(42)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어 있음과 동시에, 연결부재(17)가 변위되는 수평방향에 대해 지지체(42)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50)은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재(17)는 각 비틀림 스프링(50) 내에 통해져 있다. 각 비틀림 스프링(50)은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서부터 각 제동위치 중 어느 한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17)가 회전됨으로써 탄성변형된다. 각 비틀림 스프링(50)의 탄성변형은 각 가동 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로 변위되면 해제된다. 즉,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 및 아래쪽 중 어느 한쪽으로 변위되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각 비틀림 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중립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한쪽의 슬라이드판(51)에는 검출장치 장착부재(53)가 고정되어 있다. 검출장치 장착부재(53) 및 연결부재(17)에는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으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장치(5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검출장치(54)는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제동위치로의 변위를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대해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검출장치(54)는 연결부재(17)의 회전(변위)을 검출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각 제동위치로의 변위의 유무를 검출한다.
검출장치(54)는 연결부재(17)의 중간부에 고정된 원통형의 검출부재(55)와, 검출부재(55)의 회전을 검출함으로써,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위쪽의 제동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위쪽 변위 검출부)(56)와, 검출부재(55)의 회동을 검출함으로써,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아래쪽의 제동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아래쪽 변위 검출부)(57)를 가지고 있다.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 및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는 검출장치 장착부재(53)에 고정되어 있다. 또,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 및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는 스위치 본체(58)와, 스위치 본체(58)에 대해서 진퇴 가능한 플런져(59) 와, 플런져(59)의 선단부에 설치된 롤러(60)를 각각 가지고 있다.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 및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는 플런져(59)가 스위치 본체(58)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ON상태(검출상태)가 되고, 가압력이 해제되어 플런져(59)가 통상위치로 복귀함으로써 OFF상태(비검출상태)가 된다.
검출부재(55)의 외주부에는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의 롤러(60)가 삽입되는 위쪽 검출 홈(61)과,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의 롤러(60)가 삽입되는 아래쪽 검출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위쪽 검출 홈(61) 및 아래쪽 검출 홈(62)은 연결부재(17)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재(17)의 회전방향에 대한 위쪽 검출 홈(61) 및 아래쪽 검출 홈(62)의 위치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에는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 및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의 롤러(60) 모두가 각 검출 홈(61, 62)에 삽입된 채로 있다. 이 때에는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 및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는 모두 OFF상태로 되어 있다.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의 롤러(60)만이 위쪽 검출 홈(61)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의 플런져(59)가 검출부재(55)의 외주부에 의해 밀어 넣어져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만이 ON상태가 된다.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의 롤러(60)만이 아래쪽 검출 홈(62)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의 플런져(59)가 검출부재(55)의 외주부에 의해 밀어 넣어져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만이 ON 상태가 된다. 검출장치(54)는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가 ON상태가 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른 것을 검출하고,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가 ON상태가 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른 것을 검출한다.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에는 기계식 백업기구(63)가 연결되어 있다. 백업기구(63)는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도시하지 않음)와,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에 조속기 로프를 구속함으로써, 조속기 로프의 이동을 저지하는 조속기(도시하지 않음)와, 엘리베이터칸(1)에 설치되어 조속기 로프의 이동의 저지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방향에 따른 제동위치로 가동레일 맞닿음부(26)를 변위시키는 링크기구(64)를 가지고 있다.
조속기는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는 조속기의 조속기쉬브에 감겨 있다. 조속기쉬브는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 회전된다. 조속기는 조속기쉬브의 회전을 검출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1)의 과속도의 유무를 검출한다.
링크기구(64)는 조속기 로프에 접속된 인상봉(引上棒 : pull-up stick)(65)과, 인상봉(65)이 접속되고,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의 하우징(22)에 설치된 제동레버(66)를 가지고 있다.
인상봉(65)은 조속기 로프의 이동의 저지에 의해,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변위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 조속기 로프의 이동이 저지되면, 인상봉(65)이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위쪽으로 변위된 다.
제동레버(66)는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측과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동레버(66)는 하우징(22)에 고정된 고정축(6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동레버(66)는 고정축(67)에 설치된 레버 본체(68)와, 레버 본체(68)에 형성되고, 고정축(67)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9)를 가지고 있다.
레버 본체(68)에는 인상봉(65)의 단부가 연결핀(70)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동레버(66)는 인상봉(65)의 엘리베이터칸(1)에 대한 변위에 따라 고정축(67)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또, 돌출부(69)는 인상봉(65)이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위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아래쪽으로 변위되며, 인상봉(65)이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위쪽으로 변위된다.
한쪽의 비상정지장치(15)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에는 돌출부(69)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핀(71)이 주축(32)과 평행하게 돌출해 있다. 돌출부(69)가 걸어맞춤핀(71)과 걸어맞춤하면서 제동레버(66)가 고정축(67)을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주축(32)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본 예에서는 돌출부(69)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제동레버(66)가 회동됨으로써, 돌출부(69)가 걸어맞춤핀(71)에 걸어맞춤된다. 또, 돌출부(69)가 걸어맞춤핀(71)에 걸어맞춤 되면서 아래쪽으로 변위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의 제동위치로 향하여 회동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중앙접촉면(34a)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하부마찰면(36a)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상부마찰면(35a)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통상시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마그넷(45)이 여자되어 있고, 가동철심(48)이 고정철심(46)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에는 누름핀(43)은 유지위치(도 3)에 유지되어 있고, 해제위치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있다. 또, 이 때에는 연결부재(17)가 틈새조정나사(44)에 결합되어 있으며,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가동레일 맞닿음부(26) 및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각각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개리(開離)되어 있다.
제동지령부(14)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검출되면, 제동지령이 제동지령부(14)로부터 전자구동장치(18)로 출력된다. 전자구동장치(18)가 제동지령을 받으면, 전자코일(47)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전자마그넷(45)의 유지력이 소실한다. 이것에 의해, 누름핀(43)은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의 가압력에 의해 연결부재(17)로 밀리면서 유지위치(도 3)로부터 해제위치(도 5)로 변위된다. 이 때,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하우징(22)이 도 4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변위되며,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다(도 4 및 도 5).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끌려 위쪽(도 6 및 도 7의 화살표 E1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연결부재(17) 및 검출부재(55)가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회동에 따라 회전된다. 이 때,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 접촉곡면(34c)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 채로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주축(32)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도 6 및 도 7의 화살표 F 방향)으로 각 하우징(22)이 변위되고, 각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이 때, 틈새조정나사(44)는 각 하우징(22)의 변위에 의해, 연결부재(17)로부터 개리된다(도 7).
이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더욱 위쪽으로 회동되어 각 하부 제동슈(3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이르면(즉,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하부 제동슈(36)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파지된다. 이 때, 가압요소(28)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 밀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변위에 의해 수축되어 있고,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밀어붙이는 탄성반발력을 발생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칸(1)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또,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검출부재(55)의 회전에 의해,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의 롤러(60)만이 위쪽 검출 홈(61)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의 플런져(59)가 검출부재(55)의 외주부에 의해 스위치 본체(58)로 밀어 넣어져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만이 ON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의 제동동작이 행해진 것이 검출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끌려 아래쪽(도 8 및 도 9의 화살표 E2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연결부재(17) 및 검출부재(55)가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회동에 따라 회전된다. 이 때,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39, 40)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 접촉곡면(34b)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 채로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주축(32)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도 8 및 도 9의 화살표 F 방향)으로 각 하우징(22)이 변위되며, 각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이 때, 틈새조정나사(44)는 각 하우징(22)의 변위에 의해, 연결부재(17)로부터 개리된다(도 9).
이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더욱 아래쪽으로 회동되어 각 상부 제동슈(35)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이르면(즉,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비상정지장 치(15, 16)에서는 상부 제동슈(35)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파지된다. 이 때, 가압요소(28)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 밀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의 변위에 의해 수축되어 있으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 밀어붙이는 탄성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칸(1)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또,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검출부재(55)의 회동에 의해,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의 롤러(60)만이 아래쪽 검출 홈(62)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의 플런져(59)가 검출부재(55)의 외주부에 의해 스위치 본체(58)에 밀어 넣어져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만이 ON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의 제동동작이 행해진 것이 검출된다.
제동상태로부터 복귀할 때에는 전자마그넷(45)을 여자하여 가동철심(48)을 고정철심(46)에 흡착시킨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엘리베이터칸(1)을 이동시킨다. 즉, 하강에 대한 제동상태를 복귀시킬 때에는 엘리베이터칸(1)을 상승시키고, 상승에 대한 제동상태를 복귀시킬 때에는 엘리베이터칸(1)을 하강시킨다. 엘리베이터칸(1)을 이동시키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위치가 중립가압장치(49)의 가압에 의해 제동위치에서 중립위치로 되돌려져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상태가 해제된다.
전자구동장치(18)가 제동지령을 받았을 때에 있어서도 어떠한 이상에 의해 연결부재(17)가 변위되지 않고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떨어진 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름으로써, 백업기구(63)가 동작되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이 행해진다.
도 10은 도 2의 백업기구(63)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르면, 엘리베이터칸(1)과 함께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가 조속기에 의해 구속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의 이동이 저지되어 인상봉(65)이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끌어 올려진다.
인상봉(65)이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끌어 올려지면, 제동레버(66)가 회동되어 돌출부(69)가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이 후, 돌출부(69)가 걸어맞춤핀(71)에 걸어맞춤하고, 걸어맞춤핀(71)과 걸어맞춤하면서 더욱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위쪽으로 회동되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다. 이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엘리베이터칸(1)의 하강에 의해, 더욱 위쪽으로 회동되어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른다. 이것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가동레일 맞닿음부(26)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25) 사이에서 파지되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사이가 연 결부재(17)에 의해 연결되고,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17)가 전자구동장치(18)에 의해서 변위되므로, 공통의 전자구동장치(18)에 의해서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제동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어, 안전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 가동레일 맞닿음부(2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시킴으로써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칸(1)을 제동시키므로,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각각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구동장치(18)가 전기적인 작동신호를 받음으로써 연결부재(17)를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의 개시를 조기에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낮은 단계에서 엘리베이터칸(1)을 제동할 수 있어 제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칸(1)의 감속도도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공통의 연결부재(17)를 변위시켜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시키므로,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중 어느 하나만이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가동레일 맞닿음부(26)는 하우징(22)에 대해서 상하방향에 회동됨으로써, 중립위치와 각 제동위치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연결부재(17)는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각 가 동레일 맞닿음부(26)의 변위를 연결부재(17)에 연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연결부재(17)의 변위를 검출하는 공통의 검출장치에 의해서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어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 검출장치(54)가 연결부재(17)의 변위를 검출함으로써,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변위되는 방향이 검출되므로,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 제동동작이 행해졌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상태의 복귀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검출장치(54)는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위쪽 및 아래쪽의 제동위치로의 변위를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위쪽 변위 검출스위치(56) 및 아래쪽 변위 검출스위치(57)를 가지고 있으므로,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위쪽 및 아래쪽의 제동위치로의 변위를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위치가 중립위치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재(17)가 중립가압장치(49)에 의해 가압되므로, 예를 들면 지진시나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시 등의 진동에 의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중립위치에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오동작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에 기계식 백업기구(63)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방향에 따른 제동위치로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변위되므로, 어떠한 원인으로 전자구동장치(18)에 의한 작동신호의 수신이 방해되거나 전자구동장치(18)의 동작불량이 발생하거나 한 경우라도 기계식 백업기구(63)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변위가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검출되고 있지만, 연결부재(17)의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공통의 회전검출기(검출장치)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26)의 변위의 방향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부품 점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비상정지장치(제동기구체)(15, 16)는 엘리베이터칸(1)의 하부에 지지된 하우징(81)과, 하우징(81)에 설치된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을 끼우는 쐐기로서의 가동레일 맞닿음부(87)를 각각 가지고 있다.
하우징(81)에는 하우징 본체(82)와, 하우징 본체(82)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돌출하고, 수평방향에 대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가동 맞닿음부 측 돌출부(83) 및 리시빙 맞닿음부 측 돌출부(84)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 본체(82)에는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7)가 통과하는 통과구멍(85)이 형성되어 있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 및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가동 맞닿음부 측 돌출부(83)와 리시빙 맞닿음부 측 돌출부(8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는 리시빙 맞닿음부 측 돌출부(84)의 안내에 의해 하우징(81)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 리시빙 맞닿음부 측 돌출부(84) 사이에는 복수의 가압요소(88)가 배치되어 있다. 가압요소(88)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 리시빙 맞닿음부 측 돌출부(84) 사이에서 수축됨으로써 탄성반발력을 발생한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는 가압요소(88)의 탄성반발력의 발생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가 되는 중립위치(도 12)와, 중립위치보다도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위치하고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보다도 좁아지는 한 쌍의 제동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통과구멍(85)을 통과한 연결부재(17)에 접속되어 있다.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연결부재(17)의 수평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대해서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맞닿음부 측 돌출부(83)에는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의 제동위치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6)를 안내하는 상부 안내부(83a)와, 중립위치에서부터 아래쪽의 제동위치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6)를 안내하는 하부 안내부(83b)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안내부(83a)는 위쪽으로 향하여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연속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하부 안내부(83b)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연속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통상은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있다(도 12 및 도 13).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시에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1)의 이동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변위된다. 즉,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는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위쪽으로 변위되고, 엘리베이터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는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또,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상부 안내부(83a)로 안내되면서 위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르고, 하부 안내부(83b)로 안내되면서 아래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른다. 가동레일 맞닿음부(86)가 위쪽 및 아래쪽의 어느 한 제동위치에 이르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와 가동레일 맞닿음부(87) 사이에서 파지된다.
또한, 가동레일 맞닿음부(87)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의 측면에 대향하는 접촉평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수평치수(두께)는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중앙부에서 최대가 되고, 상하의 각 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전자구동장치(18)는 연결부재(17)의 변위에 따라 변위되는 플런져(90)와,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플런져(90)를 가압하는 누름스프링(91)과, 누름스프링(91)의 가압력에 거슬러,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플런져(90)를 변위시키는 전자마그넷(89)을 가지고 있다. 전자마그넷(89)은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고정된 고정철심(92)과, 고정철심(92)에 조립된 전자코일(93)을 가 지고 있다. 누름스프링(91)은 고정철심(92)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전자구동장치(18)에 의한 연결부재(17)의 변위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8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리된다.
전자구동장치(18) 및 연결부재(17)는 중립가압장치(9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중립가압장치(94)는 플런져(90)의 선단부와 연결부재(17)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동레버(95)와,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위치를 중립위치에 유지하는 방향으로 연동레버(95)를 가압하는 가압기구체(96)를 가지고 있다.
도 14는 도 13의 중립가압장치(94)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연동레버(95)의 일단부에는 연결부재(17)가 통과하는 안내구멍(95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동레버(95)는 연결부재(17)의 축선(軸線)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동레버(95)의 타단부에는 수평으로 관통하는 안내구멍(95b)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구멍(95b)에는 플런져(90)의 선단부에 설치된 핀(97)이 수평으로 통과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연동레버(95)는 플런져(9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연동레버(95)의 중간부에는 연동레버(95)의 길이방향에 따른 장공(長孔)(95c)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기구체(96)는 엘리베이터칸(1)에 대해서 고정된 스프링 프레임(98)과, 스프링 프레임(98) 내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안내봉(99)과, 안내봉(99)을 따라서 슬라이드되는 스프링 받이부재(100)와, 스프링 받이부재(100)의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으로부터 스프링 받이부재(100)를 향하여 서로 가압하며, 스프링 받이부재(100)의 변위에 따라 스프링 받이부재(100)와 스프링 프레임(98) 사 이에서 신축되는 한 쌍의 스프링(101)을 가지고 있다.
스프링 받이부재(100)에는 장공(95c)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해진 슬라이드 핀(102)이 고정되어 있다. 즉, 스프링 받이부재(100)는 연동레버(95)에 걸어맞춤하면서 장공(95c)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동레버(95)가 플런져(9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스프링 받이부재(100)는 장공(95c)을 따라 연동레버(95)에 대해서 변위되면서, 안내봉(99)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도 15는 도 12의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위쪽의 제동위치로 변위되어 있을 때의 비상정지장치(16)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16은 도 15의 연동레버(95)가 플런져(90)에 대해서 위쪽으로 회동되어 있을 때의 중립가압장치(94)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받이부재(100)가 위쪽으로 변위되면, 위쪽의 스프링(101)이 수축되고 아래쪽의 스프링(101)이 늘어난다. 이것에 의해, 아래쪽으로의 가압력이 스프링 받이부재(100)에 대해서 발생한다. 한편, 스프링 받이부재(100)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면, 위쪽의 스프링(101)이 신장하여 아래쪽의 스프링(101)이 수축한다. 이것에 의해, 위쪽으로의 가압력이 스프링 받이부재(100)에 대해서 발생한다. 즉, 가압기구체(96)는 중립위치에서부터 각 제동위치로의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변위에 거스르는 가압력을 발생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시에는 전자마그넷(89)이 여자되어 있고,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 각 비상정지장 치(15, 16)에서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 및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부터 개리되어 있다(도 12).
제동지령부(14)로부터의 제동지령을 전자구동장치(18)가 받으면, 전자마그넷(89)의 여자가 정지되어 누름스프링(91)의 가압력에 따라서 플런져(90)가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각각 접촉한다.
엘리베이터칸(1)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끌려 연결부재(17)와 함께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상부 안내부(83a)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사이로 끌여들여진다. 이 때, 연동레버(95)는 플런져(90)에 대해서 위쪽으로 회동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1)이 더욱 하강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상부 안내부(83a)로 안내되면서 더욱 위쪽으로 변위되어 하우징(81)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다.
이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더욱 위쪽으로 변위되어 위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 상태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상부 안내부(83a)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87)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 사이에서 엘 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파지된다. 이 때, 가압요소(88)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의 변위에 의해 수축되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 밀어붙이는 탄성반발력을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칸(1)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엘리베이터칸(1)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하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끌려 연결부재(17)와 함께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하부 안내부(83b)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사이로 끌여들여진다. 이 때, 연동레버(95)는 플런져(90)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1)이 더욱 상승함으로써,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하부 안내부(83b)로 안내되면서 더욱 위쪽으로 변위되어 하우징(81)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다.
이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더욱 아래쪽으로 변위되어 아래쪽의 제동위치에 이르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촉한 상태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하부 안내부(83b)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87)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파지된다. 이 때, 가압요소(88)는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의 변위에 의해 수축되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8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로 밀어붙이는 탄성반발력을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의 파지력이 확보되어 엘리베이터칸(1)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제동상태로부터 복귀할 때에는 전자마그넷(89)을 여자한 후,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중립위치에 회동되는 방향으로 엘리베이터칸(1)을 이동시킨다. 즉, 하강에 대한 제동상태를 복귀할 때에는 엘리베이터칸(1)을 상승시키고, 상승에 대한 제동상태를 복귀할 때에는 엘리베이터칸(1)을 하강시킨다. 엘리베이터칸(1)을 이동시키면, 중립가압장치(94)에 의한 연결부재(17)의 가압에 의해,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위치가 제동위치로부터 중립위치로 되돌려져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의 제동위치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7)를 안내하는 상부 안내부(83a)와, 중립위치에서부터 아래쪽의 제동위치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7)를 안내하는 하부 안내부(83b)가 하우징(81)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7)를 제동위치로 보다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어,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 의한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연결부재(17)가 각 가동레일 맞닿음부(26)에 접속되어 있지만, 각 하우징(22)에 연결부재를 접속해도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비상정지장치(15)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며,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비상정지장치(15, 16)의 하우징(22)에는 수평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연결용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용 돌출부(11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각 연결용 돌출부(110) 사이에는 관상(管狀)의 연결부재(11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연결부재(111)의 양단부에는 연결용 돌출부(110)에 연결부재(111)를 장착하기 위한 멈춤볼트(1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재(111)의 각 연결용 돌출부(110)로의 장착은 연결용 돌출부(110)를 연결부재(111) 내에 삽입하고, 연결부재(111)에 삽입된 연결용 돌출부(110)를 멈춤볼트(112)로 체결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하우징(22) 사이가 연결부재(11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재(111)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전자구동장치(18)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 주축(32)이 하우징(22)에 고정되고, 가동레일 맞닿음부(26)가 베어링(33)을 통하여 주축(32)에 장착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실시형태 1의 백업기구(63)는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중 어느 것으로도 설치되지 않는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연결부재(111)가 각 하우징(22)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각 비상정지장치(15, 16)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중앙부로부터 상하의 각 단부를 향하여 두께가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쐐기로 되어 있지만,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형상을 원기둥 모양으로 해도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비상정지장치(16)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수평에 배치된 원기둥 모양 부재로 되어 있다. 즉, 각 비상정지장치(15, 16)에서 가동레일 맞닿음부(87)는 연결부재(17)의 축선과 동축에 배치된 원기둥 모양 부재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결부재(17)의 변위에 의해,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외주면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에 접리된다.
하우징(81)은 실시형태 2와 동일한 하우징 본체(82) 및 가동 맞닿음부 측 돌출부(83)를 가지고 있다. 리시빙레일 맞닿음부(121)는 하우징 본체(82)에 가압체로서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은 리시빙레일 맞닿음부(121)와 가동 맞닿음부 측 돌출부(8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6)이 리시빙레일 맞닿음부(121)과 가동 맞닿음부 측 돌출부(83) 사이에서 파지됨으로써, 엘리베이터칸(1)의 제동동작이 행해진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서는 가동레일 맞닿음부(87)가 수평으로 배치된 원기둥 모양 부재로 되어 있으므로, 가동레일 맞닿음부(87)를 간단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 가동레일 맞닿음부(87)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엘리베이터칸(1)에 적용되어 있지만, 균형추(2)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을 제동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1)

  1. 한 쌍의 가이드레일로 안내되는 승강체에 지지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 수평방향에 대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통하여 상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에 대향하고, 상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가 되는 중립위치와 상기 중립위치보다도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에 위치해 상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의 간격이 상기 소정의 거리보다도 좁아지는 제동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리(接離) 가능한 가동레일 맞닿음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상기 승강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상기 제동위치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리시빙레일 맞닿음부와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 사이에서 각 상기 가이드레일을 개별적으로 파지(把持)하는 한 쌍의 제동기구체,
    각 상기 제동기구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승강체에 지지되어 각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가 각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변위시키는 전자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중립위치와 상기 제동위치 사이에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 이터의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의 상기 제동위치로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를 안내하는 상부 안내부와, 상기 중립위치에서부터 아래쪽의 상기 제동위치로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를 안내하는 하부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안내부는 위쪽을 향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속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며, 상기 하부 안내부는 아래쪽을 향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속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는 수평으로 배치된 원기둥 모양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각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각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변위를 검출함으로써, 각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상기 중립위치에서부터 위쪽 및 아래쪽의 각각으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검출장치는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위쪽의 상기 제동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위쪽 변위 검출부와,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아래쪽의 상기 제동위치에의 변위를 검출하는 아래쪽 변위 검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각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변위에 따라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검출장치는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회전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각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의 위치가 상기 중립위치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가압하는 중립가압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와, 상기 승강체의 이동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조속기 로프를 구속함으로써,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을 저지하는 조속기와, 상기 승강체에 설치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의 저지에 의해, 상기 승강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상기 제동위치로 상기 가동레일 맞닿음부를 변위시키는 링크기구를 가지는 기계식 백업(backup)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20097024028A 2007-06-04 2007-06-04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1033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1299 WO2008149413A1 (ja) 2007-06-04 2007-06-04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34A KR20100005134A (ko) 2010-01-13
KR101033378B1 true KR101033378B1 (ko) 2011-05-11

Family

ID=4009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028A KR101033378B1 (ko) 2007-06-04 2007-06-04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54096A4 (ko)
JP (1) JPWO2008149413A1 (ko)
KR (1) KR101033378B1 (ko)
CN (1) CN101679001B (ko)
WO (1) WO2008149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23027B1 (pt) 2010-03-18 2020-12-15 Inventio Ag Freio para a montagem em uma cabine de elevador de um sistema de elevador, processo para a frenagem de uma cabine de elevador e sistema de elevador
US9169104B2 (en) 2010-12-17 2015-10-27 Inventio Ag Activating a safety gear
DE102011000720A1 (de) * 2011-02-14 2012-08-16 Klaus-Peter Kapp Reibungsbremse für Aufzüge mit verbesserten Dämpfungseigenschaften
EP2794451B1 (de) * 2011-12-21 2015-04-01 Inventio AG Betätiger zu aufzugs-bremse
CN102530677A (zh) * 2012-02-24 2012-07-04 苏州莱茵电梯制造有限公司 一种采用凸轮结构的安全钳
KR101315401B1 (ko) * 2012-09-24 2013-10-07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승강기의 개문발차 방지장치
EP2837592A1 (en) 2013-08-13 2015-02-18 Aplicaciones Electromecanicas Gervall, S.A. Driving system for a lift safety gear
AT514822A1 (de) * 2013-10-10 2015-04-15 Cobianchi Liftteile Ag Auslösevorrichtung für eine Fangvorrichtung
DE112017001145T5 (de) * 2016-03-04 2018-11-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bremsvorrichtung
EA030810B1 (ru) * 2016-06-29 2018-09-28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огилевский Завод Лифтов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Оао "Могилевлифтмаш") Ловитель кабины лифта двустороннего действия
IT201700051961A1 (it) * 2017-05-12 2018-11-12 Paolo Frigerio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l'arresto di un movimento di allontanamento incontrollato di una cabina di ascensore
WO2019220505A1 (ja) * 2018-05-14 2019-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安全システム
US11104545B2 (en) * 2018-12-10 2021-08-3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actuator systems
EP4005960A4 (en) * 2019-07-23 2023-03-29 Hitachi, Ltd. LIFT DEVICE
RU2718706C1 (ru) * 2019-11-07 2020-04-1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Щербинский Лифт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Ловитель
CN111302182B (zh) * 2020-04-07 2023-08-25 陕西纵横智能重工有限公司 一种具有机械防坠功能的升降机
EP3932844A1 (en) * 2020-07-01 2022-01-05 KONE Corporation Safety gear arrangement,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afety gear of an elevator system
CN115120079A (zh) * 2021-06-11 2022-09-30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镜面的升降结构和镜子
CN115092789B (zh) * 2022-08-25 2022-11-11 河南起升智能科技有限公司 防意外移动装置、防意外移动组件和电梯
CN117657915A (zh) * 2022-08-25 2024-03-08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安全钳操控装置、电梯安全设备和电梯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644A (ja) * 1991-02-06 1993-08-10 Otto Lok-To Poon エレベータの安全ブレーキ構造
JP2002226151A (ja) 2000-12-07 2002-08-14 Inventio Ag 安全ブレーキおよび安全ブレーキをロック解除する方法
WO2003008317A1 (fr) 2001-06-29 2003-01-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freinage de secours pour ascenseu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553A (ja) * 1993-01-19 1994-08-30 Otis Elevator Co せり上げ式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保護装置
JP3523430B2 (ja) * 1996-11-13 2004-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動装置
JP4107728B2 (ja) * 1998-09-07 2008-06-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2717905Y (zh) * 2004-04-16 2005-08-17 武汉市黄陂新隆建筑机械有限公司 同步自锁安全钳
EP1749784B1 (en) * 2004-05-25 2012-01-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mergency stop device of elevator
BRPI0601926B1 (pt) * 2005-06-17 2018-06-12 Inventio Aktiengesellschaft Dispositivo de pára-quedas do frei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644A (ja) * 1991-02-06 1993-08-10 Otto Lok-To Poon エレベータの安全ブレーキ構造
JP2002226151A (ja) 2000-12-07 2002-08-14 Inventio Ag 安全ブレーキおよび安全ブレーキをロック解除する方法
WO2003008317A1 (fr) 2001-06-29 2003-01-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freinage de secours pour ascens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9001A (zh) 2010-03-24
KR20100005134A (ko) 2010-01-13
EP2154096A1 (en) 2010-02-17
CN101679001B (zh) 2012-07-04
WO2008149413A1 (ja) 2008-12-11
EP2154096A4 (en) 2013-12-25
JPWO2008149413A1 (ja)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378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EP2112116B1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KR101124931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US9457989B2 (en) Braking device with actuating device
CN111712455B (zh) 紧急停止装置及电梯
KR20140042769A (ko) 비상정지장치를 구동시키고 리셋시키기 위한 장치
CN109795930B (zh) 紧急停止装置以及电梯
US20090032341A1 (en) Emergency brake of elevator
US11078045B2 (en) Electronic safety actuator for lifting a safety wedge of an elevator
JP4170295B2 (ja) エレベータの制動装置
EP3328772B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JP721683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189027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JP7360546B2 (ja)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US7419033B2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JP722935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7520262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作動装置
WO2022249793A1 (ja) 非常止め装置、エレベーター及び非常止め装置の復帰方法
CN118632816A (en) Emergency stop operation devic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