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741A - 차량용 제동 시스템 및 차량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동 시스템 및 차량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741A
KR20100040741A KR1020107002293A KR20107002293A KR20100040741A KR 20100040741 A KR20100040741 A KR 20100040741A KR 1020107002293 A KR1020107002293 A KR 1020107002293A KR 20107002293 A KR20107002293 A KR 20107002293A KR 20100040741 A KR20100040741 A KR 20100040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vehicle
wheel actuator
devices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슈트렝게르트
베르너 하르터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4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02Back-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04Brake-by-wire or X-by-wire failsa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13Plausibility monitoring, cross check, redund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제동 제어 장치 및 제2 제동 제어 장치(30a, 30b)와, 차량의 각각 하나의 휠에 할당된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36b)와,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32a, 32b)을 구비한 차량용 제동 시스템(10)에 관한 것이며, 제1 신호 라인(32a, 32b)은 제1 제동 제어 장치(30a, 30b)를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 중 2개와 연결시키고, 제2 신호 라인(32a, 32b)은 제2 제동 제어 장치(30a, 30b)를 다른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과 연결시키며, 추가로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 각각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전 설정된 개수의 제동 제어 장치(30a, 30b) 및/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36b)가 비활성화된 상태인지를 인식하고, 사전 설정된 개수의 제동 제어 장치(30a, 30b) 및/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36b)가 비활성화된 상태임을 인식할 때 제동 제어 장치(30a, 30b)에 할당된 차량의 휠에 사전 설정된 제동 토크(52)를 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 시스템(10)의 상응하는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제동 시스템 및 차량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 방법{BRAKE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WO 95 13 946호에는 여러 가지 제동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모듈을 구비한 전기 제동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통신 장치를 통해 중앙 모듈은 제동 회로와 연결된다.
DE 196 34 567 A1호에는 전기 기계식 분산형 제동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이는 페달 유닛, 처리 유닛, 휠 브레이크를 조절하기 위한 휠쌍 유닛을 포함한다. 이 제동 시스템은 2개 이상의 차량 전기 시스템에 의해 에너지가 공급된다.
또한 DE 103 57 373 B4호에는 2개의 제동 요구 수단을 구비한 제동 페달을 포함하는 전자 제동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2개의 제동 요구 수단들 중 하나는 일체된 제동 회로 제어 장치를 구비한 중앙 제어 장치와 연결된다. 다른 제동 요구 수단은 자율적인 제동 회로 제어 장치에 결합된다. 중앙 제어 장치 또는 자율적인 제동 회로 제어 장치의 고장 시에, 할당된 제동 요구 수단을 갖는 남아있는 제동 회로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제동 회로를 제어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제동 시스템은 복수의 부품이 기능 고장을 일으키는 상황에 대한 보호 조치가 불충분하다. 주행 중에 제동 시스템의 복수의 부품이 연속으로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 이는 제동 작용의 안전과 관련된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동 시스템의 복수의 부품에 기능 장애가 발생할 때도 관련된 제동 시스템에 의한 차량의 안전한 제동을 보장하는 제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차량용 제동 시스템 및 청구 범위 제10항에 따른 차량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동 토크를 할당된 휠에 가하기 위한 제동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가 제동 시스템의 다른 부품의 기능이 더 이상 구현되지 않음을 인식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사전 설정된 제동 토크를 할당된 휠에 자동으로 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이러한 유형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제어된 차량의 제동이 제동 시스템의 복수의 부품들이 고장을 일으킴으로써 더 이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항상 차량의 자동 제동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시스템과 상응하는 방법은 제동 시스템의 복수의 부품에 심각한 기능 장애가 발상할 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을 안전하게 감속시키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 휠 액추에이터 장치는 2개의 중앙 제동 제어 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2 회로 제동 시스템에서 제동 작용의 완전한 상실을 야기할 고장이 제어 장치에 연속으로 발생하는 위험한 상황에서 자동 제동을 시작한다. 이 경우, 작은 계산 주기의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는 중앙 제동 제어 장치 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고장은 별도의 고장으로서 인식될 수 있다. 5ms 내지 10ms의 오늘날 통상적인 계산 주기와 관련하여,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구별 할 수 있는 에러에 대한 최소 간격은 약 20ms 내지 40ms 이다. 2개의 제동 제어 장치 및/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가 이러한 짧은 시간 간격 내에 고장을 일으킬 가능성은 매우 낮다.
본 발명에 의해, 제동 시스템의 2개 이상의 부품이 고장을 일으킬 때, 제동 준비된 휠들을 대각선으로 제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응하는 상황에서 3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가, 제동 준비된 할당된 휠들을 정지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자동 제동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 준비된 휠들에는 자동 제동 시에 차량이 정지 상태가 될 때까지 최대 제동 토크의 절반이 할당된다. 이어서, 주차 브레이크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의 대안으로서, 차량 속도가 원하는 최고 속도로, 예를 들어 보행 속도 정도로 감속될 때까지만 제동 토크를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시스템은 2개의 제동 회로를 구비한 간단한 시스템 구조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오직 하나의 제동 제어 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제동 시스템에서 제동 제어 장치는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Brake By Wire System)의 이용 가능성 및 안전성이 부족하다는 인식에 추가로 기초한다.
본 발명은 4개의 휠을 구비한 차량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시스템은 6개 또는 8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2개의 제동 회로의 각각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 중 3개 또는 4개가 할당되는데, 이들은 제동 시스템의 복수의 부품이 기능 고장을 일으킴을 인식하면 할당된 휠을 자동으로 제동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시스템은 2개를 초과하는 제동 회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동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2개의 제동 제어 장치의 각각은 기능을 자체적으로 검사하여 기능이 저하됨을 인식할 때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고 그리고/또는 경고 신호를 다른 제동 제어 장치 및/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 중 하나 이상에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각각은 상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동 제어 장치 및/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에서 예를 들어 페일 사일런트(Fail-Silent) 작동이 실행된다. 상기 장치들은 자신의 실제 기능을 검사하여 기능이 저하됨을 인식한 후, 제동 시스템의 다른 부품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로 이어진다. 이는 상기 유형의 제동 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각각은 경고 신호가 수신됨으로써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 및/또는 제동 제어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이 비활성 상태인 것을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이의 대안적인 예 또는 보완된 예로서,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각각은 사전 설정된 지속 시간 이내에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 및/또는 제동 제어 장치들 중 하나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인식하고,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각각의 제동 제어 장치 및/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가 비활성 상태임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로서, 휠 액추에이터 장치는 제동 시스템의 어느 부품이 아직 기능하는지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라인과 연결된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의 각각은, 맨 먼저 제2 제동 제어 장치가 비활성 상태이고 이어서 제1 제동 제어 장치가 비활성 상태임을 인식할 때, 사전 설정된 제동 토크를 차량의 할당된 휠에 자동으로 가하도록 구성된다.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2 채널 제동 시스템에서는 2개의 제동 제어 장치가 고장을 일으킨 후에 제동 작용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제동 시스템이 제공된 차량은 상기 유형의 상황에서 더 이상 안전하게 제동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은 2개의 제동 제어 장치가 고장을 일으킨 후에도 안전한 제동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 라인과 연결된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의 각각은, 제2 신호 라인과 연결된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과 제1 제동 제어 장치가 비활성 상태임을 인식할 때, 사전 설정된 제동 토크를 차량의 할당된 휠에 자동으로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종래의 제동 시스템에 비해 향상됨을 나타낸다.
제동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 제동 제어 장치와 제2 제동 제어 장치는 제3 신호 라인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는 데이터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동 제어 장치는 고유의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3 신호 라인을 통해 다른 제동 제어 장치에 송출할 수 있다.
개선예에서 제1 제동 제어 장치와 제2 제동 제어 장치는 제3 신호 라인을 통해 차량 고유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제동 제어 장치들은 바람직하게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상태들 및 고유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지시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2개의 제동 제어 장치가 연속으로 고장을 일으킴을 인식하여, 이러한 정보를 영상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지시를 통해 운전자에 전달한다.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이 갑자기 제동될 때, 제동의 원인을 알게 되어 상응하게 거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동 제어 장치들은 제동 시스템의 상태를 외부 제어 장치에도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동 시스템의 복수의 부품들이 고장을 일으킬 때 제동 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명확한 관측이 외부 제어 장치를 통해 얻어진다. 이 경우, 이러한 외부 제어 장치는 제동 시스템 내에 에러가 발생한 이후에, 발생된 에러에 따른 자신의 반응을 사용 가능한 안전 한계에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검출된 상태에 상응하는 메시지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 음성 송출 장치 및/또는 외부 제어 장치에 송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전자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음성 송출 장치를 통해 자신의 차량의 제동 시스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동 시스템에 기능 고장이 발생함을 인식한 이후, 외부 제어 장치가 관여하여 제동 시스템의 기능 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 및 추가의 적용 가능성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제동 시스템의 복수의 부품에 기능 장애가 발생할 때도 관련된 제동 시스템에 의한 차량의 안전한 제동을 보장하는 제동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모든 부품들의 기능이 완전할 때의 도 1의 제동 시스템의 부품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3은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논리 회로도이다.
도 5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논리 회로도이다.
도 6은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동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논리 회로도이다.
도 8은 외부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논리 회로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제동 시스템(10)은 차량의 4개 휠을 제동하는데 사용되는 분리된 2개의 제동 회로에 의해 전기 기계식으로 형성된다. 하기에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동 시스템(10)의 제동 회로는 대각선으로 분할된다.
제동 시스템(10)은 주차 브레이크(12) 또는 제동 페달(14)을 작동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차 브레이크(12)에는 신호(18a 및 18b)를 통해 제동 시스템(10)의 제동 회로들의 각각 하나를 제어하는 2개의 주차 제동 스위치(16a 및 16b)가 장착된다. 이에 상응하게 제동 페달(14)의 작동은 작동에 상응하는 신호(22a 및 22b)를 송출하도록 구성된 2개의 제동 페달 스위치(20a 및 20b)에 의해 검출된다.
제동 시스템(1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기본 차량 전기 시스템(24)이 사용된다. 기본 차량 전기 시스템(24)은 2개의 전류 공급 라인(26a 및 26b)을 통해 제1 차량 전기 시스템(28a) 및 제2 차량 전기 시스템(28b)과 각각 연결된다.
제동 시스템(10)에는 2개의 제동 제어 장치(30a 및 30b)가 제공된다. 2개의 제동 제어 장치(30a 및 30b)는 예를 들어 SCU(System Control Unit)이다. 제1 제동 제어 장치(30a)는 제1 제동 회로에 할당된다. 이는 데이터 버스(32a)를 통해, 차량의 각각 하나의 휠에 할당된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및 36a)와 연결된다.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및 36a)의 휠들은 대각선으로 차량에 배치된다.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는 좌측 전방 휠의 제동 디스크를 제어하고, 휠 액추에이터 장치(36a)는 우측 후방 휠의 제동 디스크를 제어한다.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및 36a)는 안전한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전자 장치 구역을 포함한다.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또는 36b)는 바람직하게 ACU(Actor Control Unit)이다.
데이터 버스(32a)를 통해 제1 제동 회로의 부품들(30a, 34a 및 36a)은 제1 차량 전기 시스템(28a)과 연결된다. 제동 제어 장치(30a)는 데이터 버스(32a)를 통해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및 36a) 및 제1 차량 전기 시스템(28a)과 데이터를 교환한다. 동시에, 제1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및 36a) 및 제동 제어 장치(30a)에는 제1 차량 전기 시스템(28a)으로부터 데이터 버스(32a)를 통해 에너지가 공급된다.
제동 제어 장치(30a)는 주차 제동 스위치(16a) 및 제동 페달 스위치(20a)에 결합되고, 따라서 신호(18a 및 22a)를 수신한다. 수신된 신호(18a 및 22a)에 상응하여 제동 제어 장치(30a)는 할당된 휠들을 제동하기 위한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및 36a)에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제동 제어 장치(30b)는 스위치(16b 및 20b)의 신호(18b 및 22b)를 수신한다. 제2 제동 제어 장치(30b)는 데이터 버스(32b)를 통해 다른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b 및 36b) 및 제2 차량 전기 시스템(28b)과 연결된다. 이 경우, 휠 액추에이터 장치(34b)는 우측 전방 휠을 제동하도록 구성된다. 휠 액추에이터 장치(36b)는 차량의 좌측 후방 휠의 제동 디스크를 작동한다.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은 2개의 데이터 버스(38 및 4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데이터 버스(38)는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 사이의 내부 통신을 위해서만 사용된다. 데이터 버스(40)를 통해서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은 콕피트(Cockpit) 디스플레이 장치(42), ESP-시스템(전자식 주행 안정 프로그램 : Electronic Stability Program)(44) 및 엔진 제어 장치(46)에도 연결된다. 데이터 버스(40)에 의해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은 외부 차량 부품들(42, 44 및 46)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은 데이터 버스(40)를 통해 차량-CAN 및/또는 정비소-진단-시스템에도 연결될 수 있다.
양방향 데이터 버스(38 및 40)를 통해 데이터가 제1 제동 회로와 제2 제동 회로 사이에서 교환되기도 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스위치(16a, 16b, 20a 및 20b)의 신호(18a, 18b, 22a 및 22b)이거나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 및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및 36b)의 상태이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 버스(40)을 통해 2개의 제동 회로에 대한 외부의 제동 토크 요구가 전달된다.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은 휠 제동 토크의 실제값을 외부 차량 부품들(42 내지 46)에 전달한다. 제동 시스템(10) 내부에 에러가 발생할 때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은 구동 토크를 제한하기 위한 외부 차량 부품들(42 내지 46)에 요구들을 전달한다.
제1 제동 제어 장치(30a)는 추가로 라인(48a)을 통해 콕피트 내의 제1 제동 회로의 경고등(50a)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제동 제어 장치(30b)는 라인(48b)을 통해 콕피트 내의 제2 제동 회로의 경고등(50b)을 제어한다.
도 2에는 모든 부품들의 기능이 완전할 때의 도 1의 제동 시스템(10)의 부품의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동 시스템(10)의 모든 부품들이 완전히 기능하는 경우,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은 외부 시스템(ESY, Extern System)(42 내지 46)과 명령 및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 경우, 외부 시스템(42 내지 46)은 콕피트-디스플레이 장치(42), ESP-시스템(44) 및 엔진 제어 장치(46)를 포함한다. 추가로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은 제동 페달의 작동 또는 주차 브레이크(도시되지 않음)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은 경고등(50a 및 50b) 및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및 36b)를 상응하게 제어한다.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은 데이터 버스(38 및 40)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동 회로의 제동 제어 장치(30a)는 할당된 제1 차량 전기 시스템(28a) 및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및 36a)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제동 제어 장치(30a)는 데이터 버스(32a)를 통해 제동 명령을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및 36a)에 송출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제동 회로의 제동 제어 장치(30b)는 데이터 버스(32b)를 통해 휠 액추에이터 장치(34b 및 36b)와의 데이터 전달을 실행할 수 있으며, 제동 명령을 이 휠 액추에이터 장치(34b 및 36b)에 송출할 수 있다. 제동 제어 장치(30b)는 제2 차량 전기 시스템(28b)과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및 36b) 각각은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이후 할당된 휠에 제동 토크(52)가 가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동 시스템(10)의 부품들의 기능이 완전할 때 제동 페달 또는 주차 제동 스위치의 작동이 차량 휠의 제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동 시스템(10)의 개별 부품들의 계통 구조는 이러한 부품들 중 하나가 자신의 기능이 저하됨을 인식하자마자 취소된다.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은 페일 사일런트 작동으로 구성되며, 즉 고유의 기능을 검사하여 기능이 부족함을 인식할 때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와 36a 또는 34b와 36b)에 제동 명령을 더 이상 보내지 않는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및 36b)은 스스로를 검사하고, 특정 전제 하에 스스로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및 36b)은 자동으로 비활성 전환된 이후에 제어 명령을 할당된 휠의 각각의 휠 액추에이터에 더 이상 송출하지 않는다. 이 경우, 휠 브레이크가 개방되므로, 휠은 릴리즈되어 제동되지 않는다. 비활성 전환 직전 또는 직후에 제동 제어 장치(30a 또는 30b) 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또는 36b)가 상응하는 에러 메시지를 제동 시스템(10)의 다른 부품들에 아직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및 36b)는 다른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또는 36b) 및/또는 제동 제어 장치(30a 및 30b)에 기능 장애가 연속으로 발생함을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및 36b)는 복수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또는 36b) 및/또는 제동 제어 장치(30a 또는 30b)가 비활성화된 상황을 인식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및 36b)는 수신된 에러 메시지를 평가한다. 이의 대안적인 예 또는 보완된 예로서, 제동 시스템(10)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및 36b)는 사전 설정된 지속 시간 내에 인식 메시지 또는 신호를 제동 제어 장치(30a 또는 30b) 또는 다른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또는 36b)로부터 얻을지를 컨트롤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및 36b)에는, 운전자에 의해 제어된 제동 시스템(10)의 반작용이 더 이상 불가능한 상황을 인식한 이후 실행되는 제동 전략이 저장된다. 제동 시스템(10)의 부품들의 고장이 연속으로 발생한다는 전제 하에, 차량의 제동 시스템(10)의 복수의 부품들이 고장을 일으킨 후라도 한 개 내지 두 개의 휠은 여전히 제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상황은 예를 들어 제동 시스템(10)의 복수의 다른 부품들(30a, 30b, 34a, 34b, 36a 또는 36b)의 비활성 전환이다. 따라서,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및 36b)은 다른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또는 36b) 및/또는 2개의 제동 제어 장치(30a 또는 30b)에 기능 장애가 연속으로 발생한 이후, 발생된 상황에 조정된 사전 설정된 제동 전략을 실행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제동 전략은 2개의 제동 제어 장치(30a 또는 30b)가 고장을 일으키거나 다른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또는 36b) 및 할당된 제동 제어 장치(30a 또는 30b)가 고장을 일으킴을 인식하는 경우,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및/또는 36b)가 자동으로 제동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개별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및 36b)의 제동 전략들은 서로 조정된다. 특히,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및 36b)에 저장된 명령들은 매칭된다.
하기에는 여러 가지 상황들에 대한 제동 전략이 설명되어 있다. 이 경우, 고장은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제동 제어 장치(30a 및 30b) 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및 36b)의 비활성 전환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동 시스템(10)을 구비한 차량의 주행 중에 제동 시스템(10)의 2개의 제동 제어 장치(30a 및 30b)가 짧은 간격으로 연속하여 고장을 일으키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 시스템(10)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및 36b)는 이러한 상황을 인식한 이후 차량의 감속을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할당된 제동 제어 장치(30a 또는 30b)가 맨 나중에 고장을 일으키는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와 36a 또는 34b와 36b)는 자신에게 할당된 휠을 자동으로 제동하기 시작한다. 맨 먼저 제1 제동 제어 장치(30a)가, 이어서 제2 제동 제어 장치(30b)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 제2 제동 회로의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b 및 36b)는 자신의 휠에 제동 토크(52)를 가하며, 이 제동 토크는 차량이 사전 설정된 지속 시간 내에 정지 상태가 되거나, 사전 설정된 최고 속도로 감속되도록 한다.
추가로, 제1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및 36a) 및 제2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b 및 36b)는 다른 제동 회로의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와 36a 또는 34b와 36b)가 고장을 일으킴을 인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아직 활성화된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와 36a 또는 34b와 36b)는 신속하게 자신의 휠에 제동 토크(5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직 기능하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와 36a 또는 34b와 36b)는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의 고유한 제동 회로의 제동 제어 장치(30a 또는 30b)도 더 이상 활성화되지 않음을 인식할 때만 자동 제동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형의 상황은 예를 들어, 제1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및 36a)와 제2 제동 제어 장치(30b)가 연속으로 고장을 일으킬 때 존재한다. 제2 제동 회로의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b 및 36b)는 상기 유형의 상황을 인식한 이후 자신에게 할당된 휠의 자동 제동을 신속하게 시작한다.
제동 제어 시스템의 복수의 부품은 맨 먼저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또는 36b) 중 하나가, 그 후에는 2개의 제동 제어 장치(30a 및 30b)가 고장을 일으킬 때 마찬가지로 연속으로 고장을 일으킨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와 36a 또는 34b와 36b)은 제동 조정을 시작하고, 이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의 제동 회로 내에서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또는 36b)의 비활성 전환이 실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동 제어 장치(30a 및 30b) 및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 휠 액추에이터 장치(34b 및 36b)는 차량의 제동을 신속하게 시작한다. 이의 대안으로서, 아직 활성화되어 전환된 휠 액추에이터 장치(36a)는 자신에게 할당된 휠에 강화된 제동 작용을 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동 시스템(10)은 주행 중에 자신의 복수의 부품들에 연속으로 기능 장애가 발생한 이후에도 제동 시스템(10)을 구비한 차량을 여전히 감속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자동 감속은 차량이 정지 상태가 될 때까지 실행될 수 있다. 이는 제동 시스템(10)의 복수의 부품들이 상기 유형과 같이 연속으로 고장을 일으킬 때 사고가 방지될 수 있거나, 제동 시스템(10)을 구비한 차량을 강력하게 감속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유형의 사고의 연속적인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기여한다. 이는 제동 시스템(10)을 구비한 차량의 탑승자를 위한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자동 제동 중에, 제동 시스템(10)의 상태는 데이터 버스(40)를 통해 외부 부품들(42 내지 46)에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는 콕피트-디스플레이 장치(42)에 전달된다. 이 경우, 콕피트-디스플레이 장치(42)는 상응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송출 수단을 활성화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동 시스템(10)을 구비한 차량의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이 주행 중에 갑자기 자동으로 감속되는 원인을 알게 된다.
추가로, 외부 시스템들은 데이터 버스(40)에서 전달된 정보에 의해 제동 시스템(10)의 기능 저하를 보상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다이내믹-조절 시스템은 상응하는 관여를 통해 차량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엔진 제어용 시스템은 구동 토크 또는 차량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서 기능 장애에 의해 감소된 제동 시스템의 제동 작용은 장착된 전기 제네레이터에 의한 회생 제동을 통해 보상될 수 있다.
또한 제동 시스템(10)에서 송출된, 제동 시스템(10)의 부품에 연속으로 발생하는 고장에 대한 상태 정보는 외부에 저장된다. 이는 정비소에서 이후에 수리될 때의 에러 진단을 간소화한다. 제동 제어 장치들(30a 및 30b) 및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및 36b)에도 에러 진단을 위한 제동 시스템(10)의 개별 부품들의 기능 시퀀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도 3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휠 액추에이터 장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출하기 위한 입력부(102) 및 출력부(104)를 포함한다. 입력부(102)에 할당된 입력 회로(106)는 수신된 데이터에 의해, 할당된 제동 시스템의 부품이 고장을 일으킴을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형의 사건이 입력 회로(106)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이 입력 회로는 상응하는 메시지 신호(108)를 평가 유닛(110)에 송출한다.
휠 액추에이터 장치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기능을 검사하는 에러 인식 유닛(112)도 포함한다. 추가로, 에러 인식 유닛(112)은 휠 액추에이터 장치에 할당된 휠 브레이크(116)의 수신된 신호(114)를 컨트롤한다. 에러 인식 유닛(112)의 두드러진 에러가 확인되는 경우, 에러 인식 유닛(112)은 상응하는 에러 신호(118)를 평가 유닛(11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에러 인식 유닛(112)은 예를 들어 에러가 있는 신호(114)를 휠 브레이크(116)로부터 수신한다. 고유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에 기능 장애가 있음을 인식하거나 에러 신호(118)를 수신한 이후, 에러 인식 유닛(112)은 상응하는 에러 신호(118)를 평가 유닛(110)에 송출한다.
평가 유닛(110)은 수신된 신호(108 및 118)에 의해 고유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 및 제동 시스템의 다른 부품들의 상태를 인식한다. 평가 유닛(110)이 고유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기능 저하를 검출하는 경우, 평가 유닛(110)은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차단을 시작한다. 사전에 평가 유닛(110)은 정보 신호(120)를 출력 회로(122)에 송출한다. 출력부(104)에 할당된 출력 회로(122)는 정보 신호(120)를 수신한 이후에, 곧 다가올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비활성화에 대한 상응하는 신호를 제동 시스템의 다른 부품들에 보낸다. 출력 회로(122)에 의해 경고등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평가 유닛(110)은 메시지 신호(108)에 의해 제동 시스템의 다른 부품들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응하는 상태 신호(124)를 디코더(126)에 제공한다. 디코더(126)는 상태 신호(124)로부터, 제동 시스템의 실제 상태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활성을 유도한다. 예를 들어 제동 시스템의 복수의 부품들이 비활성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디코더(126)는 상기 유형의 시스템 상태일 때 휠 액추에이터 장치에 의해 제어된 휠이 자동으로 제동되는지를 검출한다. 현재의 상황이 휠 액추에이터 장치에 할당된 휠의 제동을 요구하는 경우, 디코더(126)는 상응하는 명령(128)을 휠 브레이크(116)에 송출한다.
도 4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논리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논리 회로(130)는 제동 시스템 부품들의 지시된 고장을 판독하기 위한 3개의 버퍼 메모리(S1, S2 및 S3)를 포함한다. 제동 시스템 부품들의 각각 추가 지시된 고장 이후, 버퍼 메모리(S1 내지 S3)의 콘텐츠는 도시되지 않은 시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왼쪽으로 시프트된다. 3개 모두의 버퍼 메모리들(S1 내지 S3)이 배치되는 경우, 버퍼 메모리(S1)는 맨 먼저 지시된 사건을 포함한다. 맨 나중에 지시된 부품의 고장은 사건으로서 버퍼 메모리(S3)에 저장된다.
버퍼 메모리(S1 내지 S3) 내에서는 2비트로 사건들(SE, SA 및 AA)이 코딩된다. 이 경우, 사건(SE)은 고유의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와 직접 연결된 제동 제어 장치의 고장을 설명한다. 사건(SA)은 다른 제동 회로의 제동 제어 장치의 고장을 의미한다. 기능 장애가 발생한 이후 다른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가 비활성화된 경우, 사건(AA)이 발생한다.
2비트에 의한 버퍼 메모리(S1 내지 S3) 형성의 대안으로서, 제동 시스템의 6개 모두의 여러 가지 제어 장치들을 코딩하기 위해 버퍼 메모리들(S1 내지 S3) 각각을 3비트에 의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사건(SE, SA 및 AA)에는 버퍼 메모리들(S1, S2 또는 S3) 중 하나 이상의 출력부가 할당된다. 따라서, 버퍼 메모리들(S1 내지 S3)은 직접 또는 상응하는 디코딩을 통해 자신의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AND-게이트(A1 내지 A4) 및 OR-게이트(O1)는 수신된 에러 메시지를 디코딩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AND-게이트(A1)는 중간 스위치(S1)의 출력부(SA) 및 중간 스위치(S2)의 출력부(SE)에 결합된다. 이에 상응하게 AND-게이트(A2)는 중간 스위치(S2)의 출력부(SA)와, 그리고 중간 스위치(S3)의 출력부(SE)에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AND-게이트(A3)도 중간 스위치(S1)의 출력부(SA) 및 중간 스위치(S3)의 출력부(SE)와 결합된다. 따라서 하이 시그널(high-signal)은 맨 먼저 다른 제동 회로의 제동 제어 장치가, 그 후에는 고유의 제동 회로의 제동 제어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에 항상 AND-게이트(A1, A2 또는 A3)의 출력부들 중 하나에 전해진다.
버퍼 메모리(S1 및 S2)의 출력부들(AA)은 버퍼 메모리(S3)의 출력부(SE)와 함께 AND-게이트(A4)와 연결된다. 따라서, AND-게이트(A4)는 다른 제동 회로의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고장을, 그리고 이어서 고유의 제동 제어 장치의 고장을 검출한다.
AND-게이트(A1, A2, A3 및 A4)의 출력부들은 OR-게이트(O1)에 연결된다. 하이 시그널이 OR-게이트(O1)의 출력부에 전해지는 경우, 휠 액추에이터 장치는 자신에게 할당된 휠을 제동하기 시작한다.
도 5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논리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논리 회로(140)는 제동 시스템의 다른 부품들로부터 차단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회로(106)를 구비한 입력부(10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입력 회로(106)는 수신된 차단 메시지에 의해, 제동 제어 장치 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는지를 검출한다. 마찬가지로 입력 회로(106)는 고유의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 또는 제동 제어 장치의 고장과, 다른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 또는 제동 제어 장치의 고장을 구별한다.
입력 회로(106)가 제동 제어 장치의 고장을 인식하는 경우, 입력 회로(106)는 카운터(142)에 신호를 송출한다. 카운터(142)는 상기 유형의 신호가 2차례 수신된 이후 OR-게이트(O2)에 하이 시그널을 제공한다.
입력 회로(106)가 다른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고장을 검출하는 경우, 이는 카운터(144)에 신호를 송출한다. 카운터(144)도 신호가 2차례 수신된 이후 자신의 출력부에 하이 시그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카운터(144)의 하이 시그널은 AND-게이트(A5)에 전달된다.
고유의 제동 회로의 제동 제어 장치 고장을 인식할 때, 입력 회로(106)는 상응하는 신호를 카운터(146)에 송출한다. 이러한 신호는 카운터(146)로부터 하이 시그널로 신속하게 변환되며, 이 하이 시그널은 마찬가지로 AND-게이트(A5)에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된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논리 회로(140)는 제동 시스템의 부품들에 고장이 발생하는데 있어서 특정 순서에 국한되지 않으므로 더욱 일반적이다. 이 논리 회로는 임의 복수로 연속적으로 고장이 일어날 때도 디코딩될 상황들을 인식하고, 예를 들어 제동 시스템의 4개 부품들이 고장을 일으킨 이후의 일반적인 자동 제동과 마찬가지로 추가 조건들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구현 가능한 조건은 예를 들어 앞차축, 뒷차축, 측면, 대각선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의 고장과 같은 제동 시스템의 부품들의 특정 그룹의 고장 또는 3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의 고장이다.
도 6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휠 액추에이터 장치(150)는 도 3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와 대조적으로 에러 인식 유닛과 출력 회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디코더(126)는 상이한 제동 토크(152 및 154)를 도시되지 않은 휠 브레이크에 가하도록 구성된다.
도 7에는 제동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의 논리 회로(16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논리 회로(160)는 제동 시스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 및 다른 제동 제어 장치로부터 고장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16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입력 회로(164)는 수신된 고장 메시지에 의해, 다른 제동 제어 장치, 고유의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 또는 다른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는지를 검출한다.
입력 회로(164)가 제동 제어 장치의 고장을 인식하는 경우, 이 입력 회로는 카운터(166)에 신호를 송출한다. 카운터(166)는 신호를 수신한 이후 자신의 출력부에 하이 시그널을 신속하게 제공한다. 이러한 하이 시그널은 OR-게이트(O3), AND-게이트(A6) 및 AND-게이트(A7)에 전달된다. 추가로 이 하이 시그널은 컨트롤 유닛(168)에도 제공된다.
이 입력 회로(164)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가 비활성 상태로 전환됨을 검출하는 경우 카운터(170)에 신호를 송출한다. 카운터(170)는 고장을 일으키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의 수를 검출한다. 이 경우, 이러한 카운터의 카운터 상태는 모든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이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 최대 4의 값에 이른다. 하나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만이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 카운터(170)는 출력부(S)에 하이 시그널을 송출한다.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이 비활성 전환되는 경우, OR-게이트(O3)에 하이 시그널이 제공된다. 3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이 고장을 일으킨 이후, OR-게이트(O4)는 카운터(170)로부터 하이 시그널을 얻는다. 4개 모두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이 비활성 전환되는 경우, 카운터(170)는 추가의 OR-게이트(O5)에 하이 시그널을 송출한다.
고유의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이 비활성 상태임을 입력 회로(164)가 인식하는 경우, 상응하는 신호가 카운터(172)에 송출된다. 고유의 제동 회로 내의 고장을 일으키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의 수를 위한 카운터(172)는 최대의 카운터 상태 2에 이른다. 이는 고유의 제동 회로의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에 발생한다. 고유의 제동 회로의 하나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만이 비활성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카운터(172)는 AND-게이트(A6)에 하이 시그널을 송출한다. 이에 반해, 고유의 제동 회로의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이 비활성 전환되는 경우, 하이 시그널이 AND-게이트(A7) 및 컨트롤 유닛(168)에 송출된다.
AND-게이트(A6)는 고유의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 및 다른 제동 제어 장치가 비활성 상태로 존재하는 상황을 인식한다. 이 경우, AND-게이트(A6)는 OR-게이트(O4)에 하이 시그널을 송출한다.
AND-게이트(A7)는 고유의 제동 회로의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 및 다른 제동 제어 장치가 비활성화된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상황이 존재하는 경우, AND-게이트(A7)는 OR-게이트(O5)에 하이 시그널을 송출한다.
OR-게이트(O3)는 다른 제동 제어 장치 또는 2개의 제어 장치들이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 출력부(R)에 하이 시그널을 제공한다. OR-게이트(O4)는 출력부(U)에 할당된다. 하이 시그널은 3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이 비활성화되거나 고유의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 및 다른 제동 제어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 출력부(U)에 제공된다.
OR-게이트(O5)는 출력부(S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출력부(S0)는 4개 모두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이 비활성화되거나 고유의 제동 회로의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 및 다른 제동 제어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 하이 시그널을 수신한다.
컨트롤 유닛(168)은 예를 들어 JK-플립-플롭(JK-Flip-Flop)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JK-플립-플롭의 세트 입력부(J)에는 카운터(172)의 신호가, 클럭-입력부(CL)에는 카운터(166)의 신호가 인가된다. 이러한 컨트롤 유닛은 출력부(CA)에 결합된다.
출력부들(S, R, U, S0 및 CA)은 하이 시그널을 외부 시스템에 전할 때 송출되는 메시지에 상응한다. S-출력부는 하나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만이 고장을 일으킨다는 메시지에 상응한다. 출력부(R)의 하이 시그널에서, 다른 제동 제어 장치 또는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지만 아직 차량의 자동 제동이 요구되지는 않는다는 메시지가 송출된다. 출력부(U)에 하이 시그널이 전해지는 경우, 3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 또는 다른 제동 제어 장치 및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 또는 고유의 제동 회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 및 다른 제동 제어 장치가 고장을 일으킨다. 상기 유형과 같은 상황은 아직 차량의 자동 제동을 요구하지 않는다.
항상 출력부(S0)에는 4개 모두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고유의 제동 회로의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 및 다른 제동 제어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 하이 시그널이 전해진다. 상기 유형과 같은 상황에서, 상응하는 에러 메시지가 송출된다.
출력부(CA)에 의해, 상응하는 메시지는 맨 먼저 고유의 제동 회로의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가, 그 후에는 다른 제동 제어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 항상 송출된다.
도 8에는 외부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논리 회로(18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외부 시스템은 논리 회로(180)를 통해,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S, R, U, S0 또는 CA)를 차량 고유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표시되는 출력 메시지로 변환한다.
논리 회로(180)는 입력 회로(184)가 할당된 입력부(182)를 포함한다. 제1 제동 회로의 제동 제어 장치 또는 제2 제동 회로의 제동 제어 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입력 회로(184)는 카운터(186 또는 188)에 메시지를 전달한다. 추가로, 제동 제어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각각 수신한 이후에 입력 회로(184)는 카운터(190)에 메시지를 전달한다.
2개의 카운터들(186 및 188) 각각은 메시지(S, R, U 및 S0) 또는 메시지(CA)를 구별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S, R, U 또는 S0)가 수신되는 경우 2개의 카운터들(186 및 188) 각각을 통해, 출력부(BS, BR, B0 및 BU)에 결합되는 OR-게이트(O6)에 하이 시그널이 송출된다.
2개의 카운터들(186 또는 188) 중 하나가 메시지(CA)를 수신하는 경우, 이 카운터는 OR-게이트(O7)에 하이 시그널을 제공한다. 카운터(270)도 자신의 카운터 상태(2)에서 OR-게이트(O7)에 하이 시그널을 송출한다. OR-게이트(O7)는 출력부(BA)에 결합된다.
출력부(BS)의 하이 시그널은 운전자에게 예를 들어 정비소를 방문하라고 제안하는 것이다. 하이 시그널이 출력부(BR)에 전해지는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행할 것을 긴급히 권고한다. 출력부(BU)의 하이 시그널에서 운전자에게는 추가의 긴급 경고가 주어진다. 이는 출력부(B0)의 하이 시그널에서도 발생한다. 이에 반해, 하이 시그널이 출력부(BA)에 전해지는 경우, 운전자는 이제 자신의 제동 시스템의 상태에 의해 자신의 차량에 자동 제동이 실행됨을 통고받는다.

Claims (11)

  1. 제1 제동 제어 장치 및 제2 제동 제어 장치(30a, 30b)[이때,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들(30a, 30b) 각각은 활성화 상태에서, 차량의 실제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차량 운전자의 입력을 검출하여 입력이 검출될 때는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와,
    차량의 각각 하나의 휠에 할당되어 활성화 상태에서, 제어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할당된 휠에 제동 토크(52)를 가하도록 구성된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36b)와,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32a, 32b)[이때, 제1 신호 라인(32a, 32b)은 제1 제동 제어 장치(30a, 30b)를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 중 2개와 연결시키고, 제2 신호 라인(32a, 32b)은 제2 제동 제어 장치(30a, 30b)를 다른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과 연결시키며, 또한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 각각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전 설정된 개수의 제동 제어 장치(30a, 30b) 및/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36b)가 비활성화된 상태인지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며, 사전 설정된 개수의 제동 제어 장치(30a, 30b) 및/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36b)가 비활성화된 상태임이 인식될 때, 제동 제어 장치(30a, 30b)에 할당된 차량의 휠은 자동으로 제동된다]을 구비한 차량용 제동 시스템(10).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들(30a, 30b) 각각은 자신의 기능을 자체적으로 검사하여 기능이 저하됨을 인식할 때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고 그리고/또는 경고 신호를 다른 제동 제어 장치(30a, 30b) 및/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 중 하나 이상에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제동 시스템(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 각각은 자신의 기능을 자체적으로 검사하여 기능이 저하됨을 인식할 때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고 그리고/또는 경고 신호를 제동 제어 장치들(30a, 30b) 중 하나 이상 및/또는 다른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 중 하나 이상에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제동 시스템(10).
  4. 제3항에 있어서,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 각각은 경고 신호가 수신됨으로써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 및/또는 제동 제어 장치들(30a, 30b) 중 하나 이상이 비활성 상태인 것을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제동 시스템(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 각각은 사전 설정된 지속 시간 이내에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36b) 및/또는 제동 제어 장치(30a, 30b) 중 하나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인식하고,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각각의 제동 제어 장치(30a, 30b) 및/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36b)가 비활성 상태임을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제동 시스템(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신호 라인(32a, 32b)과 연결된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의 각각은, 우선 제2 제동 제어 장치(30a, 30b)가 비활성 상태이고 이어서 제1 제동 제어 장치(30a, 30b)가 비활성 상태임을 인식할 때, 사전 설정된 제동 토크(52)를 차량의 할당된 휠에 자동으로 가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제동 시스템(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신호 라인(32a, 32b)과 연결된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의 각각은, 제2 신호 라인(32a, 32b)과 연결된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과 제1 제동 제어 장치(30a, 30b)가 비활성 상태임을 인식할 때, 사전 설정된 제동 토크(52)를 차량의 할당된 휠에 자동으로 가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제동 시스템(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제동 제어 장치와 제2 제동 제어 장치(30a, 30b)는 제3 신호 라인(38)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차량용 제동 시스템(10).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제동 제어 장치와 제2 제동 제어 장치(30a, 30b)는 제4 신호 라인(40)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차량 고유의 디스플레이 장치(42)와, 외부 시스템(42 내지 46)과 연결되는 차량용 제동 시스템(10).
  10. 제1 제동 제어 장치 및 제2 제동 제어 장치(30a, 30b)[이때, 2개의 제동 제어 장치들(30a, 30b) 각각은 활성화 상태에서, 차량의 실제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차량 운전자의 입력을 검출하여 입력이 검출될 때는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와, 차량의 각각 하나의 휠에 할당되어 활성화 상태에서, 제어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할당된 휠에 제동 토크(52)를 가하도록 구성된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36b)와,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32a, 32b)[이때, 제1 신호 라인(32a, 32b)은 제1 제동 제어 장치(30a, 30b)를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 중 2개와 연결시키고, 제2 신호 라인(32a, 32b)은 제2 제동 제어 장치(30a, 30b)를 다른 2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들(34a, 34b, 36a, 36b)과 연결시킨다]을 구비한 차량용 제동 시스템(10)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2개의 제동 제어 장치(30a, 30b)와 4개의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36b)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사전 설정된 개수의 제동 제어 장치(30a, 30b) 및/또는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36b)가 비활성화된 상태임이 인식될 때, 할당된 휠 액추에이터 장치(34a, 34b, 36a, 36b)를 통해 차량의 휠들 중 하나 이상이 자동으로 제동되는 단계를 갖는, 차량용 제동 시스템(10)의 작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검출된 상태에 상응하는 메시지가 제동 제어 장치들(30a, 30b)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41), 외부 음성 송출 장치 및/또는 외부 제어 장치(44, 46)에 송출되는, 차량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107002293A 2007-08-02 2008-06-30 차량용 제동 시스템 및 차량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201000407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6261A DE102007036261A1 (de) 2007-08-02 2007-08-02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mssystems für ein Fahrzeug
DE102007036261.9 2007-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741A true KR20100040741A (ko) 2010-04-20

Family

ID=3978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293A KR20100040741A (ko) 2007-08-02 2008-06-30 차량용 제동 시스템 및 차량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548708B2 (ko)
EP (1) EP2176106B1 (ko)
JP (1) JP5443354B2 (ko)
KR (1) KR20100040741A (ko)
AT (1) ATE524362T1 (ko)
AU (1) AU2008282005A1 (ko)
DE (1) DE102007036261A1 (ko)
ES (1) ES2370562T3 (ko)
TW (1) TW200927552A (ko)
WO (1) WO20090159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360A (ko) * 2012-05-26 2015-02-16 아우디 아게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WO2024054931A1 (en) * 2022-09-07 2024-03-14 Harbinger Motors Inc. Commercial electric vehicle braking 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9915B (zh) 2009-09-25 2013-06-26 株式会社万都 再生制动系统
KR101265951B1 (ko) * 2011-06-28 2013-05-21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8874346B2 (en) * 2012-11-15 2014-10-28 Caterpillar Inc. System with blended anti-lock and stability control
KR101592166B1 (ko) * 2014-09-02 2016-0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제동장치
DE102015224708A1 (de) * 2015-03-02 2016-09-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teuergerät und Verfahren für ein Kraftfahrzeugbremssystem
US10144402B2 (en) * 2016-08-29 2018-12-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rake-by-wire system
US10501063B2 (en) * 2016-08-29 2019-12-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rake-by-wire system
US10525957B2 (en) * 2016-08-31 2020-01-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rake-by-wire system
US10315640B2 (en) * 2016-12-08 2019-06-11 Robert Bosch Gmbh Vehicle having brak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DE102017201982A1 (de) * 2017-02-08 2018-08-09 Robert Bosch Gmbh Bremsmotor-Steuergerät und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mit einem elektrischen Bremsmotor
DE102017209314A1 (de) * 2017-06-01 2018-12-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Feststellbremse und Steuereinheit zum Betreiben einer Feststellbremse
JP2019043228A (ja) * 2017-08-30 2019-03-22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ブレーキシステム
IT201700105896A1 (it) * 2017-09-21 2019-03-21 Freni Brembo Spa Impianto frenante per veicoli di tipo brake by wire munito di azionamento elettrico e di back-up elettrico
DE102017217856A1 (de) 2017-10-06 2019-04-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rem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mssystems
DE102017126322A1 (de) 2017-11-09 2018-11-22 Gkn Automotive Ltd. Kuppl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Datentransfer
DE102018002990A1 (de) * 2018-04-12 2019-10-17 Lucas Automotive Gmbh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DE102018217808B4 (de) 2018-10-18 2023-05-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Verzögern eines Kraftfahrzeugs bei einer Notbremsung und Kraftfahrzeug
IT201900005254A1 (it) * 2019-04-05 2020-10-05 Freni Brembo Spa Impianto frenante per veicoli di tipo brake by wire munito di azionamento elettrico e di back-up elettrico
US11492103B2 (en) * 2019-04-08 2022-11-08 Goodrich Corporation Distributed brak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high efficiency antiskid performance
FR3101829B1 (fr) 2019-10-15 2022-01-28 Bluebus Système de freinage pour véhicule et véhicule équipé d’un tel système de freinage.
DE102020200287A1 (de) * 2020-01-11 2021-07-1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Steuerung der Inbetriebnahme eines elektrisch ansteuerbaren Aktors in einem Kraftfahrzeug und elektronisches Steuergerät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DE102020118987A1 (de) * 2020-07-17 2022-01-20 Infineon Technologies Ag Redundante energieversorgung für bremssystem
JP2023019693A (ja) 2021-07-29 2023-02-09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制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9916A (en) * 1969-03-27 1975-08-19 Clayton Manufacturing Co Recorder and computer type brake analyzer and method
GB1439930A (en) * 1972-07-14 1976-06-16 Lucas Electrical Ltd Road vehicle anti-skid braking systems
DE3019364A1 (de) * 1980-05-21 1981-11-26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Anordnung zur druckversorgung einer bremsschlupfregelanlage
DE3504096A1 (de) 1985-02-07 1986-08-07 Wabco Westinghouse Fahrzeugbremsen GmbH, 3000 Hannover Sollwertgeber
JP2754721B2 (ja) * 1989-05-11 1998-05-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フェイルセーフ装置
DE4022671A1 (de) 1990-07-17 1992-01-23 Wabco Westinghouse Fahrzeug Elektronisches bremssystem fuer stassenfahrzeuge
DE4339570B4 (de) * 1993-11-19 2004-03-04 Robert Bosch Gmbh Elektronisches Bremssystem
DE19526250B4 (de) * 1995-07-18 2005-02-17 Daimlerchrysler Ag Brems- und Lenksystem für ein Fahrzeug
DE19634567B4 (de) 1996-08-27 2007-11-29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s Bremssystem
US6318819B1 (en) 1998-02-07 2001-11-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Method for handling errors in an electronic brake system and corresponding device
DE19826131A1 (de) 1998-06-12 1999-12-16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s Brem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4723706B2 (ja) * 1999-09-02 2011-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気制御システム
US6836943B2 (en) * 2001-08-23 2005-01-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body manufacturing process
US7303033B2 (en) * 2002-10-10 2007-12-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frame assembly and method for same
DE10357373B4 (de) 2003-12-09 2006-08-2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Elektronisches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DE102004009469A1 (de) 2004-02-27 2005-09-15 Daimlerchrysler Ag Redundantes Bremssteuerungssystem für ein Fahrzeug
DE602005019499D1 (de) * 2004-07-15 2010-04-08 Hitachi Ltd Fahrzeugsteuerungsystem
JP4696950B2 (ja) * 2006-02-15 2011-06-0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JP4661621B2 (ja) * 2006-02-15 2011-03-30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7216772A (ja) * 2006-02-15 2007-08-30 Advics:Kk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DE102007029632A1 (de) * 2006-06-27 2008-01-1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Feststell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DE102007036259A1 (de) * 2007-08-02 2009-02-05 Robert Bosch Gmbh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und ein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mssystems für ein Fahrzeu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360A (ko) * 2012-05-26 2015-02-16 아우디 아게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WO2024054931A1 (en) * 2022-09-07 2024-03-14 Harbinger Motors Inc. Commercial electric vehicle brak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6106B1 (de) 2011-09-14
JP5443354B2 (ja) 2014-03-19
WO2009015962A1 (de) 2009-02-05
EP2176106A1 (de) 2010-04-21
JP2010534590A (ja) 2010-11-11
ES2370562T3 (es) 2011-12-20
US8548708B2 (en) 2013-10-01
US20100204894A1 (en) 2010-08-12
ATE524362T1 (de) 2011-09-15
DE102007036261A1 (de) 2009-02-19
TW200927552A (en) 2009-07-01
AU2008282005A1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0741A (ko) 차량용 제동 시스템 및 차량용 제동 시스템의 작동 방법
JP5254334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および車両用ブレーキ装置の作動方法
GB2316726A (en) Electronic brake system
KR20120000840A (ko) 차량의 제동 제어시스템 및 제동 제어방법
US6029108A (en) Brake device for vehicles
GB2332720A (en) Brake-by-wire system for a motor vehicle
GB2338763A (en)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220119493A (ko) 중복 주차 브레이크 작동을 통한 제동 시스템
US20230294650A1 (en) Braking system having a redundant parking brake function
WO2023125450A1 (zh) 电控制动系统
KR20210137680A (ko) 차량용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20388487A1 (en) Brake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4043304B1 (en) Automotive motion control system and automotive actuator
JPH0538005A (ja) 鉄道車両自動運転装置の運用方法
US20230278534A1 (en) Brake system,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CN114312720B (zh) 硬件冗余的集成式电液制动线控系统和方法
KR20240016281A (ko) 자동차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시스템, 방법
KR20240016282A (ko) 자동차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시스템,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20240016284A (ko) 자동차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시스템, 방법
KR20230006666A (ko)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1155801A (ja) 制御伝送装置
CN116691729A (zh) 一种自动驾驶车辆控制系统和冗余控制系统
CN117002529A (zh) L3级别自动驾驶退出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12141106A (zh) 用于控制自主车辆制动的设备
CN116803777A (zh) 车辆制动系统操作方法和控制自动泊车过程的车辆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