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085A -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085A
KR20100040085A KR1020080099149A KR20080099149A KR20100040085A KR 20100040085 A KR20100040085 A KR 20100040085A KR 1020080099149 A KR1020080099149 A KR 1020080099149A KR 20080099149 A KR20080099149 A KR 20080099149A KR 20100040085 A KR20100040085 A KR 20100040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connector
male
coaxial cab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0809B1 (ko
Inventor
이철섭
권기찬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KR102008009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809B1/ko
Priority to PCT/KR2009/005152 priority patent/WO2010041823A2/en
Priority to EP09819330.3A priority patent/EP2345108B1/en
Priority to CN2009801406151A priority patent/CN102204019B/zh
Priority to JP2011530930A priority patent/JP5483627B2/ja
Publication of KR2010004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085A/ko
Priority to US13/082,891 priority patent/US813713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구성요소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킨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는, 동축케이블과 연결된 수단자어셈블리가 고정되는 수커넥터와, 수커넥터와 결합시 수단자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암단자어셈블리가 고정되는 암커넥터를 포함하되, 암,수단자어셈블리의 상부에 구비된 걸림턱이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되는 탄성판이 암,수커넥터의 입구 상부에 형성되고, 암,수커넥터의 측면을 관통하여 암,수단자어셈블리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지는 고정편이 암,수커넥터의 입구 측면에 형성되어, 암,수단자어셈블리는 암,수커넥터에 이중 고정된다.
동축케이블, 커넥터

Description

동축케이블용 커넥터{Coaxial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구성요소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킨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동축케이블(coaxial cable)은 내부도체인 도심과, 이 도심을 이격되게 감싸는 외부도체인 차폐망이 구비되어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송선로이다. 도심과 차폐망은 도심을 감싸는 가요성 절연체에 의하여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차폐망은 가는 전도성 금속으로 짠 망사이거나, 전도성 테이프가 감싸지는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외부의 간섭을 최대한 낮추기 위하여 전도성 테이프와 차폐망이 중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축케이블은 근거리 유선 통신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내부에서 통신용도로 주목되고 있다. 동축케이블이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술된 동축케이블의 구성을 그대로 가지면서도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단면적을 작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다수의 동축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 또는 최대한 작게 제작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로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US6,840,822 및 US6,736,653에 기재된 커넥터가 있다.
US6,736,653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16)을 유지하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는 플러그 하우징(10)에 화살표 E방향으로 삽입되고, 플러그 하우징(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개방형 해치(56)가 래치 파지부(64)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를 수용,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가 플러그 하우징(10)에 고정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플러그 하우징(10)에는 프롱(120)이 구비되고,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에는 래치(140)가 더 구비된다.
즉, 프롱(120)은 플러그 하우징(10)의 하부벽(36)으로부터 가이드빔(84)을 따라 수용단부(24)를 향하여 연장되며, 슬롯(132)에 의해 측벽(28)으로부터 분리되게 구비된다. 또한, 이 프롱(120)의 중앙에는 갭(136)이 형성되어,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가 플러그 하우징(10)에 삽입될 때, 래치(140)는 프롱(120)에 형성된 갭(136)에 끼워져,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와 플러그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 고정수단에 의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고정은 플러그 하우징뿐만 아니라 리셉터클 하우징에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고정하는 수단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다시 도 9를 참고하면, 플러그 하우징(10)의 결합단부(20) 부분에서 연장형성되어 상하 탄성 이동이 가능한 래치(40)가 형성되어, 리셉터클 하우징의 유지스트립(도시 생략)에 끼워져 플러그 하우징과 리셉터클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래치(40)에는 후단으로 래치빔(44)이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래치빔(44)을 눌러 래치(40)를 이동시킴으로써 리셉터클 하우징에서 플러그 하우징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US6,736,653의 커넥터 구조에서, 개방형 해치(56)는 래치파지부(64)에 결합되는 유지래치(60)가 양측으로 벌어지기 쉬워, 커넥터가 설치되는 주변의 부품 등의 간섭에 의하여 래치파지부(64)와의 결합력이 약해지기 쉬운 문제가 있다.
한편, 래치(40)는 래치빔(44)이 외팔보 형태를 가짐에 따라 플러그 하우징(10)의 표면에서 높게 들려져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하기 어렵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자동차의 운행 중에 전해지는 진동이 외팔보 형상인 래치(40)에 전달되어 피로가 누적되면, 탄성을 잃어버리고 리셉터클 하우징에서 이탈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한편, US6,840,822에는 전술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구조가 기재되어 있는데, 동축케이블의 도심과 연결되는 콘택트와, 동축케이블의 차폐망과 연결되는 콘택트쉘과, 동축케이블에 콘택트쉘과 콘택트를 고정시키는 절연 하우징의 구성이 기 재되어 있다.
이때, 도 11을 참고하면, 콘택트 쉘(340)의 후단부인 변형 억제 클램프(364)에는 양 립(367)에서 돌출되게 암(365)이 형성되고, 타콘택트 쉘과 접촉 연결되는 전단부에는 양 측벽(344)에서 돌출되게 아치형 팁(353)이 형성된다.
또한, 도 12를 참고하면, 절연하우징(400)에는 쉘 수용 슬롯(405)과 채널(430)이 형성되어, 아치형 팁(353)과 암(365)이 각각 삽입되고, 이후 채널(430)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암(365)는 절곡 밴딩되어 변형 억제 클램프(364)가 절연 하우징과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콘택트쉘은 제조 과정 중에 전단부와 후단부가 서로 분리되기 때문에, 전단부는 아치형 팁(353)이 쉘 수용 슬롯(405)에 끼워지는 결합력만으로 고정되는 것이어서, 끝단이 밴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는 후단부보다 결합력이 약한 문제가 있다. 이로써, 운반 중에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전단부가 절연하우징에서 이탈되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의 결합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플러그 콘택트 쉘의 전단부(500)와 리셉터클 콘택트 쉘의 전단부(600)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동일한 단면 크기를 가져,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며 차폐공간(T)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차폐공간 내에서 이웃하는 동축케이블이 콘택트를 통하여 서로 연통되는 것이다.
이때, 플러그 콘택트 쉘의 전단부와 리셉터클 콘택트 쉘의 전단부가 서로 엇 갈리게 결합됨에 따라, 조립 불량에 의하여 각 콘택트 쉘 간의 연결이 불확실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어느 한 쪽의 콘택트 쉘이 일방향으로 치우쳐지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진동이 있는 자동차의 사용환경상 양 컨택트 쉘의 접촉과 분리가 반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심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기 신호에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단자어셈블리가 커넥터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이중 락킹으로 확실히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커넥터에 단자에셈블리의 삽입, 분리되는 방향과 수직된 방향에서 물리적으로 물림으로써 분리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단자어셈블리를 고정하는 커넥터의 탄지판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파손되지 아니하게 하면서, 단자어셈블리를 분리하기 위한 탄지판의 이동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한편, 래치를 이용한 암,수커넥터의 결합에 있어서, 커넥터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하면서, 진동 등에 의하여 탄성을 잃지 아니하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가 래치부분을 손쉽게 눌러 양 커넥터를 용이하게 분리가능하게 하면서도, 주변 물품에 의하여 래치가 눌러져 사용자의 의도 없이 분리되지 아니하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한편, 양 커넥터의 결합시 안정되게 접촉하여 차폐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단자어셈블리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동축케이블의 도심과 연결되며, 양 단자어셈블리와의 결합시 서로 접촉하는 팁이 단자어셈블리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동축케이블과 연결된 수단자어셈블리가 고정되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와 결합시 상기 수단자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암단자어셈블리가 고정되는 암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암,수단자어셈블리의 상부에 구비된 걸림턱이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되는 탄성판이 상기 암,수커넥터의 입구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암,수커넥터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암,수단자어셈블리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지는 고정편이 상기 암,수커넥터의 입구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암,수단자어셈블리는 상기 암,수커넥터에 이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탄성판은 일측이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플랜지와 연결되어 타측이 탄성을 있게 들려지고,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암,수커넥터에는 상기 탄성판의 타측을 파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파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입구 측면에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연장형성되는 측면판; 및 상기 측면판의 끝단에서 상기 암,수커넥터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홀을 향하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끼움고정되는 걸림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수커넥터에는 상기 암커넥터에 형성된 걸림홈(23)에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레버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레버의 상기 전,후방 양단이 상기 수커넥터에 지지되어 중앙부분이 상하로 탄성있게 유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결합레버의 후단부에는 상기 암커넥터의 전단부와 접하여 상기 수커넥터의 삽입깊이를 한정하며, 눌러져 상기 결합레버를 하부로 탄성이동시키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수커넥터에는 간섭에 의한 돌기부의 눌림을 방지하는 측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암,수단자어셈블리에는 암,수절연하우징과, 각 상기 동축케이블의 차폐망과 연결되며 각 상기 암,수절연하우징의 전단부를 감싸는 암,수금속쉘이 구비되되, 상기 암,수단자어셈블리의 결합시 상기 암금속쉘은 상기 수금속쉘을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차폐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암,수금속쉘의 전방의 접촉부와 후방의 고정부에는 지지다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암,수절연하우징에 형성된 채널에 삽입된 후 절곡되어, 상기 암,수금속쉘과 상기 암,수절연하우징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암단자어셈블리에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도심과 연결되며, 양측 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수용팁이 구비되고, 상기 암절연하우징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돌출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수단자어셈블리에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도심과 연결되며, 측면에는 돌기편이 탄성있게 연장형성된 콘택트팁이 결합되고, 상기 수절연하우징에는 상기 돌기편을 지지하여 상기 콘택트팁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따르면, 탄성편과 고정편을 이용한 이중락킹으로 커넥터에 단자어셈블리를 결합하므로 단자어셈블리가 커넥터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아니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고정편은 커넥터의 측면과 암,수단자어셈블리의 홈부에 동시에 걸쳐지며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단자어셈블리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걸림판의 작용은 탄성을 이용한 것이 아니어서, 진동에 의한 피로로 인하여 고정이 풀리는 염려가 없으므로 단자어셈블리와 커넥터는 매우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탄성판은 입구를 형성하는 플랜지를 기준으로 타측이 들려지며 작동되는 것이기에, 종래에 입구 부근이 들려지는 탄성판에 비하여 외부의 간섭으로 탄성 판이 들려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더하여, 파지홀이 더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길이 부재를 이용하여 손쉽게 탄성판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과도하게 탄성판을 들어올림에 따라 탄성한계를 넘는 변형으로 탄성판을 파손시킬 염려가 줄어드는 효과도 갖는다.
한편, 고정편에 고리턱이 더 형성되는 경우에는 삽입홀에서 고정편의 이탈을 더욱 어렵게 하므로, 커넥터와 단자어셈블리의 결속력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수커넥터에 구비되는 결합레버는 양단이 모두 지지됨으로써, 그 높이를 낮게 설치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이로써, 좁은 면적에 다수의 커넥터가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좋아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결합레버의 후단부에 돌기부가 더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돌기부를 눌러 암,수커넥터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커넥터가 암커넥터에 삽입되는 길이도 정확하게 한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수커넥터에 측벽이 더 형성되는 경우에는 외부 부품 등에 의한 간섭으로 돌기부가 눌러져 암,수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암,수단자어셈블리 간의 결합에 있어서, 암금속쉘이 수금속쉘을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됨에 따라, 종래에 어긋나게 결합되는 형상을 가질 때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금속쉘의 접촉부와 고정부에 각각 구비된 지지다리가 절연하우징의 채널을 통과한 후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금속쉘은 절연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조립 불량이 예방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수용팁과 콘택트팁은 각 절연하우징에 형성된 돌출턱 또는 스톱퍼턱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암,수단자어셈블리의 결합시 후방으로 밀리지 아니하고 제위치를 고수하여, 암,수커넥터가 다수 회 분리 연결되더라도 도심의 상호연결이 안정되게 유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에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US6,840,822 및 US6,736,653에 기재된 발명을 개량한 것으로, 주된 커넥터의 구성요소 및 결합관계는 US6,840,822 또는 US6,736,653과 일부 유사한 것이다. 즉, US6,840,822 또는 US6,736,653에 기재된 내용은 이후 설명되는 내용과 배치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능,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보충 설명이되는 것이다.
또한, 암,수의 구별에 한정이 없는 커넥터, 단자어셈블리, 팀, 하우징, 금속쉘은 암컷과 수컷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는 암,수에 대하여 모두 동일한 부호로 통일하여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일부 분해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00)에는 동축케이블(C)이 결합되는 단자어셈블리(1a,1b)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어셈블리(1a,1b)가 내부에 고정되는 커넥터(2a,2b)가 구비된다.
이때, 커넥터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암,수커넥터(2a,2b)가 구비되고, 이 암,수커넥터의 결합시 각 내부에 구비되는 암,수단자어셈블리(1a,1b)의 전단부(101)가 서로 결합되어, 동축케이블이 서로 연통되는 것이다.
이때, 암커넥터(2b)에는 암단자어셈블리 또는 수단자어셈블리가 결합되는 것이고, 수커넥터(2a)에는 암커넥터에 구비된 단자어셈블리에 대응되는 수단자어셈블리 또는 암단자어셈블리가 결합된다.
이하, 암커넥터(2b)에는 암단자어셈블리(1b)가 결합되고, 수커넥터(2a)에는 수단자어셈블리(1a)가 결합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때, 각 커넥터와 단자어셈블리와의 암,수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짝이 되는 커넥터와 단자어셈블리에 서로 대응되는 수용홈과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암,수단자어셈블리(1a,1b)는 커넥터의 후단부에서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서로 접하는 전단부(101)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대략 같은 몸통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몸통의 상부에는 삽입되는 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걸림턱(111)이 형성되어 있 으며, 몸통의 좌,우 양측에는 홈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수단자어셈블리(1a,1b)가 삽입, 고정되는 각 커넥터의 후단부(24)는 개방되어 입구(241)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입구 내부는 커넥터의 전단부(25)까지 관통되어 암,수단자어셈블리가 삽입되는 공간부(P)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의 입구(241) 부분에는 암,수단자어셈블리의 걸림턱(111)이 끼워지는 탄성판(27)이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의 입구 부분의 양 측면에는 암,수단자어셈블리의 어느 한 쪽의 홈부(102)에 결합되는 고정편(28)이 형성되어, 이 탄성판(27)과 고정편(28)을 이용한 이중 락킹으로 암,수단자어셈블리를 고정하게 된다.
먼저, 탄성판(27)은 일측(27a)이 커넥터의 입구(241)를 형성하는 플랜지(242)와 연결되며, 타 부분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타측이 상부로 탄성있게 들려지는 판형상을 가진다. 또한, 이 탄성판(27)에는 암,수단자어셈블리의 걸림턱(111)이 끼워져 걸리는 걸림홀(27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판(27)에는 입구에서 걸림홀(271)의 부근까지 걸림턱(111)이 진입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272)이 형성된다.
이로써, 암,수단자어셈블리(1a,1b)를 각 커넥터의 입구에서 밀어 넣을 때, 걸림턱(111)은 슬라이딩홈(272)에 의하여 입구(241)를 통과한다. 경사면을 가지는 걸림턱이 슬라이딩홈의 내측을 가압함으로써 탄성판을 상부로 탄성이동시킬 수 있 으며, 이때, 슬라이딩홈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탄성판은 보다 용이하게 상부로 탄성 이동될 수 있다.
암,수단자어셈블리가 더 전진되어 걸림턱(111)이 걸림홀(271)에까지 이르면, 탄성판(27)은 복원력에 의하여 제 위치로 내려가 걸림턱(111)에 씌워지는 것이다.
이 경우, 탄성판(27)은 입구를 형성하는 플랜지(242)를 기준으로 타측이 들려지며 작동되는 것이기에, 종래에 입구 부근이 들려지는 탄성판에 비하여 외부의 간섭으로 탄성판이 들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커넥터의 전단부(25)를 향한 탄성판(27)의 타측(27b)을 파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파지홀(27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홀(273)은 절개된 부분을 확장한 홀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홀에 사용자는 클립 등 길이 부재를 이용하여 탄지판을 쉽게 상부로 탄성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클립을 이용한 탄성편의 들림에 의할 때, 탄성편이 들어 올려지는 높이가 길지 아니하므로, 사용자가 탄성편을 과도하게 들어올려 입구 부근과의 연결부분이 탄성 한계를 넘어 변형되지 아니하게 한다.
즉, 파지홀이 더 구비됨으로써 탄성판의 들림 작용이 용이하게 되면서, 탄성판의 변형을 방지하여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채용된 수커넥터의 평단 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커넥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커넥터(2a,2b)와 단자어셈블리(1a,1b)를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물리게 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고정편(28)은 측면판(281) 및 걸림판(28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측면판(281)은 커넥터의 입구(241) 부근의 측면(26)에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연장형성된다. 이 측면판(281)과 커넥터의 측면(26)과의 연결부분은 측면판의 절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측면판의 타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의 측면(26)에는 삽입된 암,수단자어셈블리의 홈부(102)의 위치에 맞추어 삽입홀(261)이 형성되고, 측면판(281)의 끝단에는 이 삽입홀에 끼워지는 걸림판(282)이 거의 수직되게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커넥터(2a,2b)에 암,수단자어셈블리(1a,1b)를 삽입한 후 측면판(281)을 커넥터의 측면을 향하여 강하게 가압함으로써, 걸림판(282)이 삽입홀(261)을 지나 홈부(102)에 끼워진다.
이 경우, 걸림판이 커넥터의 측면과 암,수단자어셈블리의 홈부에 동시에 걸쳐짐으로써, 암,수단자어셈블리가 커넥터의 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여 사용자가 다시 고정편을 벌리기 전까지 암,수단자어셈블리가 커넥터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판의 작용은 탄성을 이용한 것이 아니고, 물리적인 끼움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진동에 의하여 걸림판이 홈부에서 이탈될 염려도 없는 것이어서, 암,수단자어셈블리와 커넥터는 매우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더하여, 걸림판(282)의 끝단에는 삽입홀(261)의 단턱(262)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고리턱(28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판(282)의 끝단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고리턱(283)이 삽입홀(261)의 측면을 형성하는 커넥터의 측면(26) 단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단턱(262)을 타고 넘어 홈부(102)에 끼워지고, 끼워진 걸림판(282)은 삽입홀의 단턱(262)에 걸리는 고리턱(283)에 의하여 고정편(28)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채용된 수커넥터의 결합레버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암,수커넥터를 소형으로 제작가능하기 위하여, 수커넥터(2a)에는 전,후방 양단이 지지되어 중앙부분이 상하로 탄성있게 유동가능하며, 상부에는 암커넥터에 형성된 걸림홈(23)에 끼워지는 걸림돌기(211)가 구비되는 결합레버(21)가 형성된다.
결합레버(21)는 수커넥터(2a)가 암커넥터에 삽입되는 길이 방향의 전방과 후방 양단에 고정되는 길이 부재이며, 그 중앙부분은 수커넥터의 하우징 외부와 이격됨으로써 상하로 탄성있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탄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결합레버와 수커넥터와의 전,후방의 결합면적 또는 길게 형성되는 결합레버의 단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레버(21)의 상부에는 걸림돌기(2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걸림 돌기는 암커넥터에 삽입되는 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수커넥터를 암커넥터에 삽입할 때, 걸림돌기(211)가 암커넥터의 내측면에 걸려 결합레버(21)의 중앙이 수커넥터의 하우징 외부와 가깝게 하부로 탄성 이동하였다가, 걸림돌기(211)가 암커넥터의 걸림홈(23)에까지 이르면 복원력에 의하여 결합레버가 복귀되면서 걸림돌기(211)가 걸림홈(23)에 끼워져, 암,수커넥터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 경우, 결합레버의 양단이 수커넥터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합레버의 중간부분과 수커넥터의 이격 공간을 최소 높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이격 공간의 높이가 작게 형성됨에 따라 수커넥터를 수용하는 암커넥터의 전체 두께도 작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어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전체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가능해지는 것이다.
더하여, 양단이 지지되는 결합레버는, 종래의 외팔보 형태의 래치 구조보다 차량의 진동 등에 잘 견디어 내어, 진동이 있는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진동에서 전해지는 피로에 의하여 탄성을 잃어버리지 않아, 오랜 기간 동안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결합레버(21)의 후단부에는 암커넥터에서 수커넥터를 분리할 때, 사용자가 결합레버를 하부로 용이하게 탄성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돌기부(2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212)는 암커넥터에 삽입되지 아니하는 결합레버의 후단부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때 돌기부의 형성 높이는 수커넥터에 결 합된 암커넥터 보다 높지 아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기부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결합레버의 측면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가 돌기부를 가압하였을 때, 결합레버를 하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돌기부(212)의 양 측면(213)이 좌우측으로 더 연장형성된 후 하방 절곡되어 수커넥터의 입구(241)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돌기부를 눌렀을 때, 돌기부 자체도 하부로 다소 이동됨으로써, 결합레버의 중간부분이 하부로 이동하여 걸림돌기가 걸림홈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돌기부(212)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시, 암커넥터의 전단부와 접하게 됨으로써 수커넥터(2a)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스톱퍼의 기능도 가진다. 즉, 암,수커넥터에 각각 구비되는 암,수단자어셈블리가 정확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요구되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삽입 길이는 돌기부가 스톱퍼 기능을 가짐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수커넥터(2a)에는 커넥터 주위의 다른 커넥터, 전선 등의 기자재에 의하여 돌기부(212)가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벽(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벽(22)은 돌기부(212)와 이격형성되며, 그 높이는 돌기부의 높이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벽(22)의 전단부는 돌기부와 마찬가지 로 스톱퍼의 기능을 가지기 위하여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채용된 단자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수단자어셈블리의 분해도이고, (b)는 암단자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단자어셈블리(1a,1b)에는 동축케이블의 외관을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절연하우징(11a,11b)과, 이 절연하우징(11a,11b)에 결합되면서 동축케이블(C)의 차폐망과 연결되는 금속쉘(12a,12b) 및 동축케이블의 도심과 연결되는 팁(13a,13b)이 구비된다.
이때, 절연하우징(11a,11b), 금속쉘(12a,12b) 및 팁(13a,13b)은, 암단자어셈블리(1b)에서 전단부에 수절연하우징의 전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암절연하우징(11b), 바닥면(121)과 양 측면으로 이루어져 암절연하우징(11b)에 결합되는 암금속쉘(12b) 및 내부가 빈 사각봉형상인 수용팁(13b)과, 수단자어셈블리(1a)에 구비되는 전단부가 암절연하우징의 전단부에 삽입되며, 암금속쉘과 대략 대칭된 형상을 가지는 수금속쉘(12a) 및 도심과 연결되며 수용팁에 삽입되는 콘택트팁(13a)으로 나뉘어진다.
이때, 암단자어셈블리(1b)의 구성관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동축케이블(C)의 도심(C1)은 수용팁(13b)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암절연하우징(11b)의 내부에서 전단부(116)를 향하여 돌출되게 결합되며, 암금속쉘(12b)은 동축케이블의 차 폐망(C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암절연하우징(11b)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수단자어셈블리의 구성관계 역시 이 암단자어셈블리의 구성관계와 유사한 것이다.
더욱 자세한 구성관계는 전술된 US6,840,822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6은 (a)는 도 5에 도시된 암,수단자어셈블리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암,수단자어셈블리(1a,1b)의 각 절연하우징(11a,11b)에 걸림턱(111)이 형성된 면을 상부로 하였을 때, 암,수커넥터(2a,2b)의 구비되는 암,수단자어셈블리(1a,1b)는 상하가 서로 뒤집어진 자세를 가져, 암,수커넥터의 결합시 암금속쉘(12b)과 수금속쉘(12a)의 각 전단부(123)의 결합으로 사각형의 차폐공간(124)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차폐공간의 단면형상은 서로 결합되는 암,수금속쉘의 단면적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사각형상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차폐공간(124)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금속쉘(12b)이 수금속쉘(12a)을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암금속쉘(12b)의 양 측면(122b)이 수금속쉘(12a)의 양 측면(122a)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차폐공간의 형성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조립 불량에 의하여 양 측 면이 다소 유격을 가지는 경우나, 제조시 공차로 인하여 수금속쉘의 측면과 암금속쉘의 측면이 완전히 면접하지 못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암,수금속쉘의 전기적 접촉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진동이 있는 경우에서도 수금속쉘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쪽 측면이 항상 암 금속쉘에 닿아 있게 되므로 차폐공간의 차폐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도심을 통한 전기 신호의 전달에 외부 간섭이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과 같이, 금속쉘이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는 경우보다, 외부에서 전해지는 전파에 의한 도심의 주파수 교란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절연커넥터의 전단부와 콘택트팁의 부분 단면도이다.
금속쉘(12a,12b)은 절연하우징 및 동축케이블과의 조립 간편성을 위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나, 절연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된 이후에는 양분되어, 타금속쉘과 접하여 차폐공간을 형성하는 전방의 접촉부(125)와, 이 접촉부의 후방에 위치되어 동축케이블을 절연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126)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접촉부(125)와 고정부(126)는 각각 절연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하여, 각 측면(122a,122b)에서 절연하우징(11a,11b)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다리(127)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절연하우징(11a,11b)에는 각 지지다리의 위 치에 따라 채널(112)이 형성되어, 지지다리(127)는 절연하우징에 형성된 채널(112)에 삽입된 후 끝단이 절곡되어, 금속쉘(12a,12b)과 절연하우징(11a,11b)이 각각 결합된다.
이 경우, 접촉부(125)와 고정부(126)는 각각의 지지다리(127)가 절연하우징의 채널(112)을 통과한 후 절곡되어 지지됨으로써, 종래의 아치형 팁의 끼움 방식에 비하여, 절연하우징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암절연커넥터의 전단부와 수용팁의 평면도이다.
암,수단자어셈블리가 서로 결합될 때, 도심끼리 연통되도록 수용팁(13b)의 내부에 콘택트팁(13a)이 삽입되는데, 이때 수용팁과 콘택트팁이 정확하게 연결되기 위하여 암,수절연하우징(11a,11b)에 각각 수용팁(13b)과 콘택트팁(13a)이 정위치에 고정되어야 한다.
특히, 결합과정 중에서 팁이 밀려나 후퇴되는 경우에는 도심의 연결 불량이 발생하여 커넥터의 기능을 전혀 발휘할 수 없으므로, 각 팁이 절연하우징의 전단부에 요구되는 위치에 정확히 안착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수용팁(13b)의 사각진 봉체의 후단부 양측 면에는 돌기(133)가 형성되고, 암절연하우징(11b)에는 돌기(133)가 끼워지는 돌출턱(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암절연하우징(11b)의 내측에 수용팁(13b)이 결합될 때, 수용팁을 강제로 밀어 돌기(133)가 돌출턱(115)을 지나도록 억지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수용팁에 콘택트팁이 결합되는 과정 중에 수용팁을 후단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수용팁의 양 돌기가 돌출턱에 지지됨에 따라 수용팁이 후단으로 밀려나지 아니하게 된다.
한편, 수단자어셈블리(1a)에 구비되는 콘택트팁(13a)에는 수용팁(13b)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통되기 위한 길이편(131)과, 이 길이편의 후단 측면 양측에서 연장형성되는 돌기편(132)이 구비된다.
또한, 수절연하우징(11a)의 전단부에는 콘택트팁(13a)이 세로로 통과되는 슬릿(113)이 형성되고, 이 슬릿의 후단에는 돌기편(132)을 지지하여 콘택트팁(13a)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턱(114)이 형성된다. 또한, 이 스톱퍼턱(114)은 수절연하우징의 후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전단부를 향하여는 수직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콘택트팁(13a)이 수절연하우징(11a)의 슬릿(113)에 끼워질 때, 스톱퍼턱(114)을 향한 돌기편(132)은 스톱퍼턱(114)의 경사를 타고 탄성 변형되었다가, 콘택트팁(13a)이 더욱 전진하여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스톱퍼턱(114)의 타측으로 넘어가 복원되면서 스톱퍼턱(114)의 수직되게 형성된 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콘택트팁과 수용팁이 결합되는 과정 중에 콘택트팁을 후단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돌기편이 스톱퍼턱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므로 콘택트팁이 후단으로 밀려나지 아니하고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일부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채용된 수커넥터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커넥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채용된 수커넥터의 결합레버 부분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채용된 단자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수단자어셈블리의 분해도이고, (b)는 암단자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6은 (a)는 도 5에 도시된 암,수단자어셈블리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절연커넥터의 전단부와 콘택트팁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암절연커넥터의 전단부와 수용팁의 평면도.
도 9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커넥터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커넥터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택트 쉘의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절연하우징의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러그 콘택트 쉘과 리셉터클 콘택트 쉘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1a : 수단자어셈블리 1b : 암단자어셈블리
101 : 전단부 102 : 홈부
11a : 수절연하우징 11b : 암절연하우징
113 : 슬릿 114 : 스톱퍼턱
115 : 돌출턱 111 : 걸림턱 112 : 채널 116 : 전단부
12a : 수금속쉘 12b : 암금속쉘
121 : 바닥면 122a,122b : 측면 123 : 전단부
124 : 차폐공간 125 : 접촉부 126 : 고정부 127 : 지지다리
13a : 콘택트팁
131 : 길이편 132 : 돌기편
13b : 수용팁
133 : 돌기
2a : 수커넥터 2b : 암커넥터
21 : 결합레버 211 : 걸림돌기 212 : 돌기부
213 : 측면 22 : 측벽
23 : 걸림홈 24 : 후단부 241 : 입구
242 : 플랜지 25 : 전단부 26 : 측면
261 : 삽입홀 262 : 단턱 P : 공간부
27 : 탄성판 271 : 걸림홀 272 : 슬라이딩홈
273 : 파지홀 27a : 일측 27b : 타측
28 : 고정편 281 : 측면판 282 : 걸림판
283 : 고리턱
C : 동축케이블 C1 : 도심 C2 : 차폐망

Claims (10)

  1. 동축케이블(C)과 연결된 수단자어셈블리(1a)가 고정되는 수커넥터(2a)와, 상기 수커넥터(2a)와 결합시 상기 수단자어셈블리(1a)와 연결되는 암단자어셈블리(1b)가 고정되는 암커넥터(2b)를 포함하되,
    상기 암,수단자어셈블리(1a,1b)의 상부에 구비된 걸림턱(111)이 걸리는 걸림홀(271)이 형성되는 탄성판(27)이 상기 암,수커넥터(2a,2b)의 입구(241)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암,수커넥터(2a,2b)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암,수단자어셈블리(1a,1b)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02)에 끼워지는 고정편(28)이 상기 암,수커넥터(2a,2b)의 입구(241) 측면(26)에 형성되어,
    상기 암,수단자어셈블리(1a,1b)는 상기 암,수커넥터(2a,2b)에 이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2. 제1항에서,
    상기 탄성판(27)은
    일측(27a)이 상기 입구(241)를 형성하는 플랜지(242)와 연결되어 타측(27b)이 탄성을 있게 들려지고,
    상기 걸림턱(111)이 걸리는 걸림홀(27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3. 제2항에서,
    상기 암,수커넥터(2a,2b)에는 상기 탄성판(27)의 타측을 파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파지홀(27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4. 제1항에서,
    상기 고정편(28)은
    상기 입구(241) 측면(26)에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연장형성되는 측면판(281); 및
    상기 측면판(281)의 끝단에서 상기 암,수커넥터(2a,2b)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홀(261)을 향하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끼움고정되는 걸림판(28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수커넥터(2a)에는
    상기 암커넥터에 형성된 걸림홈(23)에 끼워지는 걸림돌기(211)가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레버(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레버(21)의 상기 전,후방 양단이 상기 수커넥터(2a)에 지지되어 중앙부분이 상하로 탄성있게 유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6. 제5항에서,
    상기 결합레버(21)의 후단부에는
    상기 암커넥터(2b)의 전단부와 접하여 상기 수커넥터(2a)의 삽입깊이를 한정하며,
    눌러져 상기 결합레버(21)를 하부로 탄성이동시키는 돌기부(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7. 제1항에서,
    상기 암,수단자어셈블리(1a,1b)에는
    암,수절연하우징(11a,11b)와, 각 상기 동축케이블(C)의 차폐망(C2)과 연결되며 각 상기 암,수절연하우징(11a,11b)의 전단부(116)를 감싸는 암,수금속쉘(12a,12b)이 구비되되,
    상기 암,수단자어셈블리(1a,1b)의 결합시 상기 암금속쉘(12b)은 상기 수금속쉘(12a)을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차폐공간(1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8. 제7항에서,
    상기 암,수금속쉘(12a,12b)의 전방의 접촉부(125)와 후방의 고정부(126)에는 지지다리(127)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127)는 상기 암,수절연하우징(11a,11b)에 형성된 채널(112)에 삽입된 후 절곡되어, 상기 암,수금속쉘(12a,12b)과 상기 암,수절연하우징(11a,11b)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9. 제7항에서,
    상기 암단자어셈블리(1b)에는 상기 동축케이블(C)의 도심(C1)과 연결되며, 양측 면에는 돌기(133)가 형성된 수용팁(13b)이 구비되고,
    상기 암절연하우징(11b)에는 상기 돌기(133)가 끼워지는 돌출턱(115)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10. 제7항에서,
    상기 수단자어셈블리(1a)에는 상기 동축케이블(C)의 도심(C1)과 연결되며, 측면에는 돌기편(132)이 탄성있게 연장형성된 콘택트팁(13a)이 결합되고,
    상기 수절연하우징(11a)에는 상기 돌기편(132)을 지지하여 상기 콘택트팁(13a)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턱(1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20080099149A 2008-10-09 2008-10-09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1540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149A KR101540809B1 (ko) 2008-10-09 2008-10-09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PCT/KR2009/005152 WO2010041823A2 (en) 2008-10-09 2009-09-10 Coaxial cable connector
EP09819330.3A EP2345108B1 (en) 2008-10-09 2009-09-10 Coaxial cable connector
CN2009801406151A CN102204019B (zh) 2008-10-09 2009-09-10 同轴电缆连接器
JP2011530930A JP5483627B2 (ja) 2008-10-09 2009-09-10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13/082,891 US8137135B2 (en) 2008-10-09 2011-04-08 Coaxial cable connector for secure connection with a terminal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149A KR101540809B1 (ko) 2008-10-09 2008-10-09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085A true KR20100040085A (ko) 2010-04-19
KR101540809B1 KR101540809B1 (ko) 2015-07-30

Family

ID=4210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149A KR101540809B1 (ko) 2008-10-09 2008-10-09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37135B2 (ko)
EP (1) EP2345108B1 (ko)
JP (1) JP5483627B2 (ko)
KR (1) KR101540809B1 (ko)
CN (1) CN102204019B (ko)
WO (1) WO201004182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0905B2 (en) 2013-12-30 2017-04-04 Hyundai Motor Company Radio frequency 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29192B4 (de) * 2010-05-20 2012-04-05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 und Steckmodulsystem
DE102011084903A1 (de) * 2011-10-20 2013-04-25 TAKATA Aktiengesellschaft Sensorsysteme für ein Kraftfahrzeug
US9601880B2 (en) 2011-11-08 2017-03-21 Ortronics, Inc. Cable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130115806A1 (en) * 2011-11-08 2013-05-09 Ortronics, Inc. Patch Cord Assemblies, Methods and Systems
US10322868B2 (en) 2013-03-15 2019-06-18 Ortronics, Inc. Cable assembly dispenser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9362659B2 (en) * 2013-12-10 2016-06-07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JP5872602B2 (ja) 2014-02-04 2016-03-0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DE112015002408B4 (de) 2014-05-22 2022-10-27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ysteme und Verfahren zum Abschirmen eines Handsensorsystems in einem Lenkrad
US10114513B2 (en) 2014-06-02 2018-10-30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inting sensor circuits on a sensor mat for a steering wheel
DE202014006815U1 (de) * 2014-08-21 2014-09-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ochstrom-Stecker mit Bügelverschluss
DE102015200722A1 (de) * 2015-01-19 2016-07-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verbindereinsatz und Steckverbinder für die Datenübertragung in Automobilen
JP6270785B2 (ja) * 2015-07-22 2018-01-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US10336361B2 (en) 2016-04-04 2019-07-02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Vehicle accessory control circuit
CN106025735A (zh) * 2016-06-24 2016-10-12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射频连接器及其射频接触件
JP6583643B2 (ja) * 2017-04-27 2019-10-0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6516208B2 (ja) 2017-04-27 2019-05-2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CN110690624A (zh) * 2018-07-05 2020-01-14 东莞市铭皓照明有限公司 一种新式防反插的对插接头
CN110905835B (zh) * 2018-09-18 2021-04-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器设备连接机构及电器设备
CN113540852B (zh) * 2021-07-22 2023-05-30 淮南文峰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同轴电缆接连装置
JP2024059341A (ja) * 2022-10-18 2024-05-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及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7073U (ja) * 1983-01-27 1984-08-07 東洋ハ−ネス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用端子
JPS6332876A (ja) * 1986-07-21 1988-02-12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コネクタ
US4986766A (en) * 1988-08-17 1991-01-2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ti-overstress latch
JP3074432B2 (ja) * 1994-01-27 2000-08-07 矢崎総業株式会社 ロック付き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2921639B2 (ja) * 1994-03-07 1999-07-19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及びその係止解除構造
JP3278047B2 (ja) * 1997-08-18 2002-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9929672B4 (de) * 1999-06-28 2004-07-29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Verbinderanordnung für Koaxialleitungen
JP3423919B2 (ja) * 2000-05-08 2003-07-07 Smk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プラグ
US6736653B2 (en) 2002-02-27 2004-05-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coaxial cables
EP1422791A1 (en) * 2002-11-21 2004-05-26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nector arrangement
US6840822B1 (en) * 2003-08-25 2005-0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connector
JP2005108510A (ja) * 2003-09-29 2005-04-21 Clarion Co Ltd 多極型高周波同軸コネクタ
JP2005158418A (ja) * 2003-11-25 2005-06-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988911B2 (en) * 2004-03-02 2006-01-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JP2008140731A (ja) * 2006-12-05 2008-06-19 Yazaki Corp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0905B2 (en) 2013-12-30 2017-04-04 Hyundai Motor Company Radio frequency 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4019B (zh) 2013-11-20
JP2012505511A (ja) 2012-03-01
WO2010041823A2 (en) 2010-04-15
EP2345108A2 (en) 2011-07-20
EP2345108B1 (en) 2018-01-24
US20110189890A1 (en) 2011-08-04
EP2345108A4 (en) 2014-08-06
WO2010041823A3 (en) 2010-06-24
JP5483627B2 (ja) 2014-05-07
US8137135B2 (en) 2012-03-20
KR101540809B1 (ko) 2015-07-30
CN102204019A (zh)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0085A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JP4889243B2 (ja) コネクタ装置
US713491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ell with a portion which is elastically movable in a fitting portion of the connector
US4941849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nsulating cover on the shielding member
US2008028047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
JP658364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US10886640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JPH01248483A (ja) 絶縁被覆除去端子組立体
US4444450A (en) Flat transmission cable connector and housing therefor
KR101212716B1 (ko) 동축 커넥터
KR100990021B1 (ko) 커넥터 구조
WO2007046487A1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10355422B2 (en) Electrical connector equipped with signal terminal and ground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using thereof
JPH08287984A (ja) 電気コネクタの端子構造
KR102550876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US11962106B2 (en) Connector
US7559792B2 (en)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JP4351854B2 (ja) 同軸コネクタ
JP2018186057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2006286506A (ja) 電気コネクタ
US7413462B2 (en) Appliance shell with a plug-receiving assembly
KR200183187Y1 (ko) 케이블 커넥터
JPH0773932A (ja) プラグ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2019009029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