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218A - 취성 재료 플라이어 - Google Patents

취성 재료 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218A
KR20100039218A KR1020090083873A KR20090083873A KR20100039218A KR 20100039218 A KR20100039218 A KR 20100039218A KR 1020090083873 A KR1020090083873 A KR 1020090083873A KR 20090083873 A KR20090083873 A KR 20090083873A KR 20100039218 A KR20100039218 A KR 20100039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ttle material
lever
plate
suppor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182B1 (ko
Inventor
카즈야 마에카와
료타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61001A external-priority patent/JP52165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62030A external-priority patent/JP5216524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9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03B33/12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유리판의 절단을 할 때에, 유리 절단면의 품질을 향상하여 수율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이 유리 플라이어(1)는, 제1 레버(2)와, 제2 레버(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레버(2)는 선단부에 유리 압압체(押壓體; 15)를 가짐과 함께 후단부에 그립부(5)를 갖는다. 제2 레버(3)는, 제1 레버(2)에 회동(回動)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선단부에 유리 받침부(25)를 가짐과 함께 후단부에 그립부(10)를 갖는다. 그리고, 유리 받침부(25)는, 절단홈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하여 유리판보다 저강성(低剛性)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플레이트(26)와, 탄성 플레이트(26)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제2 레버(3)에 대하여 지지하는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27)를 갖고 있다. 유리 압압체(15)는 유리판에 대하여 절단홈의 홈폭보다도 넓은 분포 하중을 작용시키기 위한 압압 플레이트(16a)를 갖고 있다.
Figure P1020090083873
플라이어, 압압체, 압압부, 취성재료

Description

취성 재료 플라이어{PLIER FOR FRAGILE MATERIAL}
본 발명은 취성 재료 플라이어, 특히, 분단홈이 형성된 취성 재료를 분단(分斷; dividing)하기 위한 취성 재료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유리판 등의 취성 재료를 분단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초경합금이나 소결 다이아몬드로 형성된 스크라이빙 휠(scribing wheel)이나, 선단에 다이아몬드 칩을 갖는 유리 절단 공구에 의해 유리판에 분단홈(스크라이빙 라인)을 형성하고, 그 양측을 절곡함으로써 분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 유리판을 절곡할 때에,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0-44266호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유리 분할 수공구(手工具)가 이용된다.
상기 공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종래의 공구는, 공구 본체와 레버 또는 한 쌍의 레버를 갖고 있다. 그리고, 한쪽의 레버 선단에는 유리 받침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레버 선단에는 유리 압압(押壓; pressing)부가 형성되어 있다. 유리 받침부에는 유리판 상면의 스크라이브 라인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또한 유리 압압부에는 유리판 하면의 스크라이브 라인 바로 아래를 압압하는 1개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유리 받침부와 유리 압압부로 유리판을 사이에 끼워, 레버를 요동(搖動) 조작함으로써, 유리판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유리 압압부의 볼록부로부터 압압력을 받고, 그리고 스크라이브 라인의 양측이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절곡되어 분단된다.
상기 종래의 공보를 포함하여 종래의 유리 등의 취성 재료 분단용의 공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판 상면의 스크라이브 라인의 양측을 지지함과 함께, 스크라이브 라인의 바로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힘을 작용시켜 유리판을 분단하는 것이다. 즉, 유리판은 상하의 3점에서 지지되어 분단된다.
여기에서, 유리판을 분단한 경우, 그 분단면은 유리 표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탄한 면일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의 공구를 이용하여 유리판을 분단하면, 분단면이 유리면에 대하여 직교하지 않고 경사지거나, 혹은 분단면에 돌기가 생기거나 하는 경우가 있어, 요구된 품질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공구를 이용하여 유리판을 절곡한 경우, 유리판은 튕기듯이 순식간에 분단된다. 그러면, 양측의 유리판의 분단면의 하단끼리가 간섭하여, 이 빠짐이나 균열 등이 발생하여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유리판의 3점을 지지하여 분단하는 종래 공구의 경우, 유리 받침부측의 지지폭에 따라 분단될 수 있는 유리판의 폭이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유리판 등의 취성 재료를 분단하는 경우에, 그 분단면의 품질을 향상하고, 수율(yield)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보다 폭이 좁은 취성 재료도 분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여기에서, 본건 발명자의 검토 결과에 의하면, 취성 재료 분단면에 불량이 생기는 주된 원인은, 종래의 공구에서는, 3점 지지에 의해 스크라이브 라인에 응력을 집중시켜, 즉, 취성 재료 하면의 압압부로부터 스크라이브 라인에 힘을 집중적으로 작용시켜, 취성 재료를 순간적으로 튕기듯이 절곡하여 분단하고 있는 점에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분단홈이 형성된 취성 재료에 대하여, 분단홈에 응력을 집중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이 아니라, 분단홈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에 분포 하중을 작용시켜서 취성 재료를 절곡하여, 분단의 속도, 즉 분단홈을 따라 생기는 크랙의 진행 속도를 보다 느리게 하여, 취성 재료 분단면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제1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분단홈이 형성된 취성 재료를 분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레버와, 제2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레버는 선단부에 취성 재료 압압체를 가짐과 함께 후단부에 그립부를 갖는다. 제2 레버는, 제1 레버에 회동(回動; rotation)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선단부에 취성 재료 받침부를 가짐과 함께 후단부에 그립부를 갖는다. 그리고, 취성 재료 받침부는, 분단홈과 교차되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하여 취성 재료보다 저강성(低剛性)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플레이트와, 탄성 플레이트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제2 레버에 대하여 지지하는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를 갖고 있다. 취성 재료 압압체는 취성 재료에 대하여 분단홈의 홈폭보다도 넓은 분포 하중을 작용시키기 위한 압압부를 갖고 있다.
이 취성 재료 플라이어에서는, 분단홈이 형성된 취성 재료는, 제2 레버의 취성 재료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고, 제1 레버의 취성 재료 압압체에 의해 압압되어 절곡되어 분단된다. 이때, 취성 재료의 한쪽 표면은 취성 재료 받침부의 탄성 플레이트에 의해 덮여 있고, 또한 취성 재료의 다른 한쪽 표면은, 분단홈을 포함하는 소정의 폭으로 취성 재료 압압체에 의해 분포 하중을 받는다.
이러한 취성 재료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분단함으로써, 종래의 공구를 이용한 경우에 비교하여 느린 속도로 취성 재료를 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단홈을 따라 진행되는 크랙의 속도를 낮게, 게다가 취성 재료 플라이어의 조작에 의해 크랙의 진행 속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튕기듯이 절곡되어 분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양측의 취성 재료 분단면끼리가 간섭하여, 취성 재료 분단면에 이 빠짐이나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취성 재료 분단면의 품질을 향상시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취성 재료 플라이어에서는, 취성 재료 받침부가 탄성 플레이트 및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3점 지지의 공구와 같이, 「분단할 수 있는 취성 재료의 폭은 취성 재료 받침부의 한 쌍의 지지부간의 거리보다 길지 않으면 안 된다」라는 제약을 받는 일은 없다. 단, 분단되는 취성 재료의 폭은, 「취성 재료 압압체의 폭 이상」이라는 제한은 받는다.
제2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제1 발명에 있어서, 압압부는, 탄성 플레이트보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짧게 형성되고 그리고 분단되는 취성 재료보다도 고강성(高剛性)의 압압 플레이트를 가지며, 취성 재료 압압체는 압압 플레이트를 제1 레버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를 추가로 갖고 있다.
여기에서는, 취성 재료는 고강성의 압압 플레이트에 의해 압압된다. 그리고, 압압 플레이트는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는, 압압 플레이트는 취성 재료보다도 고강성이기 때문에, 취성 재료를 압압할 때에 압압 플레이트의 변형이 억제되어, 취성 재료에 대하여 균등하게 분포 하중을 작용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압압부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탄성 플레이트보다 짧게 형성된 압압 플레이트를 갖고, 취성 재료 압압체는 압압 플레이트를 제1 레버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를 추가로 갖고 있다. 또한,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는, 제1 레버의 선단부에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압압축과, 압압 플레이트의 좌우 양단을 지지함과 함께 압압축에 장착된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를 갖는다.
여기에서는, 취성 재료는 압압 플레이트에 의해 압압된다. 그리고, 압압 플레이트의 좌우 양단은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에 의해 제1 레버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압 플레이트의 강성이 낮은 경우라도, 압압 플레이트의 좌우 양단이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압압 플레이트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취성 재료에 대하여 균등하게 분포 하중을 작용시킬 수 있다.
제4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제3 발명에 있어서, 압압부는 압압축의 축 중심 둘레로 회동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레버는 서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레버의 선단은 원호 형상의 궤적을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가령 취성 재료 받침부 및 취성 재료 압압체의 양쪽이 회동 불능하게 각 레버에 고정되어 있으면, 이들의 접촉면이 취성 재료의 표면에 면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이 제4 발명에서는, 압압부를 압압축의 축 중심 둘레로 회동이 가능하게 하여, 취성 재료 받침부 및 취성 재료 압압체의 접촉면의 전면(全面)이 취성 재료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도록 되어 있다.
제5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제4 발명에 있어서, 압압부의 회동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규제하기 위한 회동 규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4 발명에 기재된 취성 재료 플라이어와 같이 압압부를 회동 가능하게 하고, 게다가 그 회동 범위를 크게 설정하면, 압압 플레이트의 자세가 정해지지 않아, 압압 플레이트의 취성 재료와의 접촉면이 취성 재료와 역방향으로 향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작업자가 압압 플레이트 혹은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를 취성 재료측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조작이 필요해져, 취성 재료 분단시의 조작이 번거롭게 된다.
그래서, 이 제5 발명에서는, 압압부의 회동을 회동 규제부에 의해 규제하여, 압압 플레이트가, 예를 들면 취성 재료와 역방향으로 회동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취성 재료 플라이어에 의해 취성 재료를 집을 때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제6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제1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는, 제2 레버의 선단부에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하는 지지축과, 탄성 플레이트의 좌우 양단을 지지함과 함께 지지축에 장착된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를 갖는다.
여기에서는, 탄성 플레이트의 좌우 양단이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 및 지지축을 통하여 제2 레버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탄성 플레이트를 확실하게 제2 레버에 지지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제1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는, 지지축의 축 중심 둘레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8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제1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레버 또는 제2 레버에 형성되고, 압압 플레이트 부재와 취성 재료 압압체와의 사이에 삽입된 취성 재료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취성 재료 위치 결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취성 재료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취성 재료 플라이어에 의해 취성 재료를 집은 경우의 취성 재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취성 재료 위치 결정 부재는 압압 플레이트 부재와 취성 재료 압압체와의 사이에, 즉 제1 레버의 선단부와 제2 레버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 레버를 사이에 끼운 경우라도 양 레버의 선단간에 소정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자가 제1 레버와 제2 레버의 각 그립간에서 손가락이 끼이는 일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압압부가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강하게 맞닿아 상기 탄성 플레이트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9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취성 재료의 주면(主面)에 형성된 분단홈을 따라 취성 재료를 분단하기 위한 취성 재료 플라이어로서, 제1 레버와, 제2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레버는 선단부에 취성 재료 압압체를 가짐과 함께 후단부에 그립부를 갖는다. 제2 레버는, 제1 레버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선단부에 취성 재료 받침부를 가짐과 함께 후단부에 그립부를 갖는다. 그리고, 취성 재료 압압체는 압압 플레이트와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를 갖고 있다. 압압 플레이트는, 취성 재료의 분단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주면에 맞닿음 가능하며, 취성 재료보다도 저강성(低剛性)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플레이트이다.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는, 압압 플레이트를 제1 레버에 대하여 지지하고, 압압 플레이트를 취성 재료에 대하여 압압한다. 또한, 취성 재료 받침부는, 탄성 플레이트와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를 갖고 있다. 탄성 플레이트는, 취성 재료의 분단홈이 형성된 측의 주면에 맞닿음 가능하고, 분단홈과 교차되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하며, 취성 재료보다 저강성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플레이트이다.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는, 탄성 플레이트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제2 레버에 대하여 지지한다.
이 취성 재료 플라이어에서는, 분단홈이 형성된 취성 재료는, 제2 레버의 취성 재료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고, 제1 레버의 취성 재료 압압체에 의해 압압되어 절곡되어 분단된다. 이때, 취성 재료의 양면은, 취성 재료보다 저강성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압압 플레이트 및 탄성 플레이트를 통하여 압압되고, 절곡되어 분단된다.
이러한 취성 재료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분단함으로써, 종래의 공구를 이용한 경우에 비교하여 느린 속도로 취성 재료를 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취성 재료의 분단을 할 때에 분단홈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절곡되어 취성 재료가 분단될 때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압압 플레이트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따라서, 분단홈을 따라 진행되는 크랙의 속도를 낮게, 게다가 취성 재료 플라이어의 조작에 의해 크랙의 진행 속도를 컨트롤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튕기듯이 절곡되어, 분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양측의 취성 재료 분단면끼리가 간섭하여, 취성 재료 분단면에 이 빠짐이나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취성 재료 분단면의 품질을 향상시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취성 재료 플라이어에서는, 취성 재료 받침부는 탄성 플레이트에 의해 취성 재료를 받기 때문에, 종래의 3점 지지의 공구와 같이, 「분단할 수 있는 취성 재료의 폭은 취성 재료 받침부의 한 쌍의 지지부간의 거리보다 길지 않으면 안 된다」라는 제약을 받는 일은 없다.
제10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제9 발명에 있어서,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는, 압압 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1개의 제1 지지 부재를 갖고,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는, 탄성 플레이트의 좌우 방향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를 갖고 있다.
이 경우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취성 재료가 지지되지만, 각 지지 부재는 압압 플레이트를 통하여 취성 재료를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와 동일하게, 취성 재료의 분단을 할 때에 분단홈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절곡되어 취성 재료가 분단될 때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압압 플레이트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공구와 같이 튕기듯이 분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취성 재료 분단면의 품질을 향상시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1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제9 또는 제10 발명에 있어서,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는, 제1 레버의 선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제1 지지 부재를 제1 레버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기 위한 압압축을 추가로 갖고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레버는 서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레버의 선단은 원호 형상의 궤적을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가령 취성 재료 받침부 및 취성 재료 압압체의 양쪽이 회동 불능하게 각 레버에 고정되어 있으면, 이들의 접촉면이 취성 재료의 표면에 면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이 제11 발명에서는, 압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를, 제1 레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고, 취성 재료 받침부 및 취성 재료 압압체의 접촉면의 전면이 취성 재료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도록 되어 있다.
제12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제11 발명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의 회동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규제하기 위한 회동 규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11 발명에 기재된 취성 재료 플라이어와 같이 제1 지지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하고, 게다가 그 회동 범위를 크게 설정하면, 압압 플레이트의 자세 가 정해지지 않아, 압압 플레이트의 취성 재료와의 접촉면이 취성 재료와 역방향으로 향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작업자가 압압 플레이트 혹은 제1 지지 부재를 취성 재료측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조작이 필요해져, 취성 재료 분단시의 조작이 번거롭게 된다.
그래서, 이 제12 발명에서는, 제1 지지 부재의 회동을 회동 규제부에 의해 규제하고, 압압 플레이트가, 예를 들면 취성 재료와 역방향으로 회동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취성 재료 플라이어에 의해 취성 재료를 집을 때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제13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제9 내지 제1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레버 또는 제2 레버에 형성되고, 압압 플레이트와 탄성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삽입된 취성 재료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취성 재료 위치 결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취성 재료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취성 재료 플라이어에 의해 취성 재료를 집은 경우의 취성 재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취성 재료 위치 결정 부재는 제1 레버의 선단과 제2 레버의 선단과의 사이에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양 레버를 사이에 끼운 경우라도 양 레버의 선단간에 소정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자가 제1 레버와 제2 레버의 각 그립간에서 손가락이 끼이거나 하는 일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압압 플레이트와 탄성 플레이트가 강하게 맞닿아 서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4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플라이어는, 제10 발명에 있어서, 탄성 플레이 트 지지부는, 제2 레버의 선단부에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축을 갖고, 지지축의 축 중심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여기에서, 본건 발명에 있어서, 분단홈이란 취성 재료의 스크라이브에 통상 사용되는 스크라이빙 휠 및 레이저 등의 조사에 의한 열응력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스크라이브 라인이나, 숫돌(砥石)을 이용한 다이싱(dicing)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분단용의 절결홈을 포함하며, 분단에 의해 취성 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건 발명에 있어서, 분단이란 취성 재료의 주면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이나 절결홈을 따라 취성 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가공 공정을 의미한다.
본건 발명에 있어서, 취성 재료란, 건재용(建材用) 유리, 자동차용 창 유리, FPD 등의 유리 회로 기판, 소결 재료의 세라믹스, 단결정 실리콘, 반도체 웨이퍼, 세라믹 기판, 사파이어 기판, 석재 등이 포함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 Ⅰ. 제1 실시 형태 -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유리 등의 취성 재료 일반에 적용되는 취성 재료 플라이어(이하, 유리 플라이어라고도 칭함)를 나타낸다. 이 유리 플라이어(1)는, 분단홈(스크라이브 라인 또는 다이싱에 의해 절결된 홈)이 형성된 유리판(G)을 분단하기 위한 공구로서, 제1 레버(2)와, 제2 레버(3)를 갖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분단홈인 스크라이브 라인(L)을 도 2에만 나타내고, 다른 도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1 레버]
제1 레버(2)는, 그립부(5), 지지부(6) 및 선단부(7)를 연속하여 갖는 일체의 부재이다. 그립부(5)의 단부로부터 지지부(6)측에 걸쳐서, 그립 커버(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그립 커버(8)는 작업자가 손을 대어 작업을 하기 쉽도록 형성된 것이다. 지지부(6)는 그립부(5)의 선단측으로부터 거의 90°의 각도로 구부려져 있다. 이 지지부(6)의 거의 중앙부에는, 제1 레버(2)가 연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용의 지지구멍(6a)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7)는 지지부(6)의 선단으로부터 추가로 90° 구부려져 그립부(5)와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7)에는, 회동용 지지구멍(6a)과 평행하게 압압체 지지구멍(7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레버]
제2 레버(3)는, 제1 레버(2)와 동일하게, 그립부(10), 지지부(11) 및 선단부(12)를 연속하여 갖는 일체의 부재이다. 그립부(10)의 단부로부터 지지부(11)측에 걸쳐서, 그립 커버(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그립 커버(14)는 작업자가 손을 대어 작업을 하기 쉽도록 형성된 것이다. 지지부(11)는 그립부(10)의 선단측으로부터 서서히 폭이 넓어지도록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11)에는, 제1 레버(2)의 지지구멍(6a)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방향으로 지지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12)는 지지부(11)의 선단으로부터 추가로 연장하여 그립부(10)와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12)에는 지지구멍(11a)과 평행하게 받침부 지지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레버(2)의 지지구멍(6a) 및 제2 레 버(3)의 지지구멍(11a)에는 지지핀(13)이 삽입통과되어 있어, 이에 따라 제1 레버(2)와 제2 레버(3)는 서로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유리 압압체]
제1 레버(2)의 선단부(7)에는 유리 압압체(15)가 형성되어 있다. 유리 압압체(15)는, 유리판(G)을 하방으로부터 압압하기 위해 형성된 부분으로,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로서의 압압 플레이트(16a)와,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7)를 갖고 있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즉 유리 플라이어(1)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압압부=압압 플레이트>
압압 플레이트(16a)는,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유리판(G)에 대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의 홈폭보다도 넓은 범위로 분포 하중을 작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레버(2)의 길이 방향(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방향: 이하, 전후 방향이라고 표기함) 및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스크라이브 라인과 직교하는 방향: 이하, 좌우 방향이라고 표기함)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있다. 이 압압 플레이트(16a)는, 유리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스테인리스재 혹은 SK(공구 강)재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이들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 플레이트(16a)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제2 레버(3)의 선단부(12)의 폭보다 길고, 그리고 후술하는 유리 받침부의 폭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7)는, 압압 플레이트(16a)를 제1 레버(2)의 선단 부(7)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7)는, 부착부(16b)와, 압압축(20)과,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21)를 갖고 있다.
부착부(16b)는 압압 플레이트(16a)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서, 압압 플레이트(16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부(16b)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압압축(20)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제1 레버(2)의 선단부(7)에는, 도 3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슬릿(7b)이 형성되어 있어, 부착부(16b)는 이 슬릿(7b)에 끼워넣어져 있다.
압압축(20)은 압압 플레이트(16a)와 거의 동일한 길이의 축으로, 부착부(16b)의 관통구멍 및 제1 레버(2)의 선단부(7)에 형성된 압압체 지지구멍(7a)을 관통하고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21)는, 압압 플레이트(16a)의 좌우 양단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부착부(16b)와 거의 동일한 형상이다.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21)의 각각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압압축(20)이 관통하고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21)로 압압 플레이트(16a)의 좌우 양단을 지지함으로써, 유리판 분단시의 압압 플레이트(16a)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회동 규제부]
또한, 부착부(16b) 및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21)의 하단에는, 상방을 향하는 나사 구멍이 각 부재의 구멍에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나사 구멍에 나사 부재(22)를 나사결합하고, 그 선단에서 압압 축(20)을 압압함으로써, 부착부(16b) 및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21)가 압압축(2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7)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압압축(20)은 선단부(7)에 형성된 압압체 지지구멍(7a)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 압압체(15)의 전체가 제1 레버(2)의 선단부(7)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단, 유리 압압체(15)가 회동하면, 부착부(16b)가 슬릿(7b)의 후단에 접촉하기 때문에, 유리 압압체(15)의 회동은 소정의 각도 범위로 규제되어 있다. 즉, 부착부(16b)와 슬릿(7b)에 의해,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7), 나아가서는 유리 압압체(15)의 회동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규제하기 위한 회동 규제부가 구성되어 있다.
[유리 받침부]
제2 레버(3)의 선단부(12)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유리 받침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유리 받침부(25)는, 탄성 플레이트(26)와,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27)를 갖고 있다.
<탄성 플레이트>
탄성 플레이트(26)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extension)하고, 유리판(G)보다 저강성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재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탄성 플레이트(26)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압압 플레이트(16a)보다 길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압압 플레이트(16a)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탄성 플레이트(26)는 폴리아세탈, 염화 비닐, 폴리에틸케톤 등의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 람직하지만, 특별히 이들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27)는, 탄성 플레이트(26)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제2 레버(3)에 대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축(30)과,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31)를 갖고 있다.
지지축(30)은, 좌우 방향의 길이가 탄성 플레이트(26)와 거의 동일하다. 이 지지축(30)은 제2 레버(3)의 선단부(12)에 형성된 받침부 지지구멍(12a)을 관통하고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31)는 거의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부재로서, 그 하면이 탄성 플레이트(26)의 좌우 방향 양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31)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축(30)이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제2 레버(3)의 선단부(12)에는, 그 전단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받침부 지지구멍(12a)에 관통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나사 구멍에 나사 부재(32)를 나사 결합하여, 그 선단에서 지지축(30)을 압압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4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3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관통구멍까지 관통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에 나사 부재(33)를 나사 결합하고, 그 선단에서 지지축(30)을 압압하고 있다. 또한, 도 4는 유리 받침부(25)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지지축(30)을 포함하는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27) 및 탄성 플레이트(26)가 제2 레버(3)의 선단부(12)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 위치 결정 부재]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레버(2)의 선단부(7)에는, 유리 압압체(15)의 후방에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블록 형상의 부재로서, 나사 부재에 의해 제1 레버(2)에 고정되어 있다. 이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에 유리판(G)의 단면(端面)을 맞닿게 함으로써, 유리판(G)과 유리 플라이어(1)와의 상대 위치를 정밀도 좋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는 소정의 높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립부(5, 10)를 어느 정도 근접시키면, 제2 레버(3)의 선단부(12)의 하면이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양 그립부(5, 10)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확보되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유리판(G)의 단면이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는, 회동이 가능한 유리 압압체(15)에 장착해도 좋다.
[유리 분단 동작]
이 유리 플라이어(1)는,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유리판을 분단할 때에 이용된다. 스크라이브 라인은, 취성 재료의 스크라이브에 통상 사용되는 스크라이빙 휠이나 레이저 등의 조사에 의한 열응력을 이용한 것 등이면 좋아,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수단은 한정되지 않는다.
분단을 할 때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라인(L)이 형성된 면이 탄성 플레이트(26)측에 위치하도록, 유리 플라이어(1)로 유리판(G)의 단면 을 집도록 하고, 그리고 스크라이브 라인이 압압 플레이트(16a)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세트한다. 이때, 유리판(G)의 단면을 유리 플라이어(1)의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에 맞닿게 함으로써, 유리판(G)과 유리 플라이어(1)와의 상대 위치를 바르게 세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리 플라이어(1)를 유리판(G)의 단면에 세트하고, 유리 플라이어(1)의 양 레버(2, 3)의 그립부(5, 10)를 잡고 서로 근접하도록 조작함으로써, 유리 압압체(15)에 의해 유리판(G)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분단력을 작용시킨다.
이때, 압압 플레이트(16a)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있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개소에, 종래의 유리 플라이어(1)에 의한 집중 하중과는 다른 분포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게다가, 이상의 조작을 행한 경우에, 압압 플레이트(16a)는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압압 플레이트(16a)의 폭에 걸쳐서 균일한 분포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유리판(G)의 상면은 탄성 플레이트(26)로 덮여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균일한 분포 하중이 작용하면, 유리판(G)의 변형에 수반하여 탄성 플레이트(26)도 변형된다. 그리고,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크랙이 발생하여, 유리판(G)이 분단되게 된다.
[특징]
(1) 이상과 같은 유리 분단 동작을 할 때에, 유리판(G) 하면으로부터 스크라이브 라인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에 균일한 분포 하중을 작용시키고, 추가로 유리 판(G) 상면을 탄성 플레이트(26)로 덮고 있기 때문에, 크랙의 진행 속도가 종래의 경우에 비교하여 낮아진다. 즉, 종래와 같이 순간적으로 튕기어 쪼개지는 듯한 분단이 아니라, 크랙이 서서히 진행되어 간다. 이 때문에, 유리판(G)의 분단면이 양호해지고, 게다가 양측의 유리 분단면끼리가 간섭하여 유리 분단면에 이 빠짐이나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유리 분단면의 품질을 향상시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이 유리 플라이어(1)로는, 압압 플레이트(16a)의 폭보다 넓은 폭의 유리판(G)이면 분단이 가능해져, 종래의 3점 지지의 공구와 같이 유리 받침부의 지지폭으로 제한되는 일은 없다.
(3) 압압 플레이트(16a)는 양단이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21)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 플레이트(16a)의 변형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압압 플레이트(16a)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7)는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리 받침부 및 유리 압압체의 접촉면의 전면을 유리판(G)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게다가,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7)의 회동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 플라이어(1)에 의해 유리판(G)을 집을 때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5)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에 의해, 유리판(G)의 위치 결정뿐만 아니라, 양 레버(2, 3)의 선단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라이브 라인(L)이 형성된 면이 탄성 플레이트(26)측에 위치하도 록, 유리 플라이어(1)로 유리판(G)의 단면을 집을 때에, 스크라이브 라인이 압압 플레이트(16a)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용이하게 위치 결정될 수 있도록 중앙 위치 표시 마크를 압압 플레이트(16a)측 및/또는 탄성 플레이트(26)측에 있어서 작업자가 눈으로 보기 쉬운 부위에 표시해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 플레이트(16a)의 양단에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21)를 형성했지만, 압압 플레이트를 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강성을 높인 경우에는, 제1 지지 부재는 1개만, 즉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착부만으로 지지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를 제1 레버(2)의 선단부에 형성했지만, 이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는 제2 레버(3)의 선단부에 형성해도 좋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 플레이트(16a)를 통하여 유리판(G)을 압압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레버(2)의 선단부(7c)에 장착된 압압축(20)의 양단에 압압축(20)의 축 중심 둘레로 회동이 가능하게 축 지지된 한 쌍의 롤러(50)를 통하여 유리판(G)을 압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7)와 제1 레버(2)의 선단부(7c)의 사이에서 구성되는 회동 규제부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구성이 간략화된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 플레이트(16a)를 통하여 유리판(G)을 압압 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레버(2)의 선단부(7)에 장착된 롤러 지지 부재(61)로 한 쌍의 롤러(60)를 통하여 유리판(G)을 압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여기에서는 롤러(60)가,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27)의 지지축(30)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선을 갖는 지지축(62)의 축 중심 둘레로 회동이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21)에 의해 지지되는 압압 플레이트(16a)를 통하여 유리판(G)을 압압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압압 플레이트(16a)를 생략하고,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21)를 통하여 유리판(G)을 압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Ⅱ. 제2 실시 형태-
도 9∼도 11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유리 플라이어(101)를 나타낸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유리 플라이어(101)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압압체 및 회동 규제부만이 다르고, 제1 레버(2), 제2 레버(3), 유리 받침부(25),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표시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유리 압압체]
제1 레버(2)의 선단부(7)에는 취성 재료 압압체로서의 유리 압압체(115)가 형성되어 있다. 유리 압압체(115)는, 유리판을 하방으로부터 압압하기 위해 형성 된 부분으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 플레이트(116)와,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17)를 갖고 있다. 또한, 도 10은, 도 9의 좌측면도, 즉 유리 플라이어(1)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압압 플레이트>
압압 플레이트(116)는,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유리판에 대하여, 유리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로서, 제1 레버(2)의 길이 방향(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방향: 이하, 전후 방향이라고 표기함) 및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스크라이브 라인과 직교하는 방향: 이하, 좌우 방향이라고 표기함)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있다. 이 압압 플레이트(116)는, 유리판보다 낮은 강성을 갖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료,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염화 비닐, 폴리에틸케톤 등의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이들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 플레이트(116)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제2 레버(3)의 선단부(12)의 폭보다 길고, 그리고 유리 받침부(25)의 탄성 플레이트(26)의 폭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17)는, 압압 플레이트(116)를 제1 레버(2)의 선단부(7)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17)는, 제1 지지 부재(118)와, 압압축(119)을 갖고 있다.
제1 지지 부재(118)는 압압 플레이트(116)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서, 압압 플레이트(11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지지 부재(118)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압압축(119)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제1 레버(2)의 선단부(7)에는, 도 11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슬릿(7b)이 형성되어 있어, 제1 지지 부재(118)는 이 슬릿(7b)에 끼워넣어져 있다.
압압축(119)은 제1 레버(2)의 선단부(7)와 거의 동일한 길이의 축으로, 제1 지지 부재(118)의 관통구멍 및 제1 레버(2)의 선단부(7)에 형성된 압압체 지지구멍(7a)을 관통하고 있다.
[회동 규제부]
제1 지지 부재(118)의 하단에는, 상방을 향하는 나사 구멍이 제1 지지 부재(118)의 구멍에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나사 구멍에 나사 부재(122)를 나사결합하여, 그 선단에서 압압축(119)을 압압함으로써, 제1 지지 부재(118)가 압압축(119)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17)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압압축(119)은 선단부(7)에 형성된 압압체 지지구멍(7a)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 압압체(115)의 전체가 제1 레버(2)의 선단부(7)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단, 유리 압압체(115)가 회동하면, 제1 지지 부재(118)가 슬릿(7b)의 후단에 접촉하기 때문에, 유리 압압체(115)의 회동은 소정의 각도 범위로 규제되어 있다. 즉, 제1 지지 부재(118)와 슬릿(7b)에 의해,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17), 나아가서는 유리 압압체(115)의 회동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규제하기 위한 회동 규제부 가 구성되어 있다.
[유리 분단 동작]
유리 분단 동작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즉, 분단을 할 때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라인(L)이 형성된 면이 탄성 플레이트(26)측에 위치하도록, 유리 플라이어(101)로 유리판(G)의 단면을 집도록 하고, 그리고 스크라이브 라인(L)이 탄성 플레이트(26)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세트한다. 이때, 유리판(G)의 단면을 유리 플라이어(101)의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에 맞닿게 함으로써, 유리판(G)과 유리 플라이어(101)와의 상대 위치를 바르게 세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리 플라이어(101)를 유리판의 단면에 세트하고, 유리 플라이어(101)의 양 레버(2, 3)의 그립부(5, 10)를 잡고 서로 근접하도록 조작함으로써, 유리 받침부(25)에 의해 유리판의 상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걸치는 좌우 양측이 지지되면서, 유리 압압체(115)에 의해 유리판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분단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유리판은 스크라이브 라인에서 절곡되어 분단되게 된다.
이때, 제1 레버(2)로부터의 압압력은, 제1 지지 부재(118) 및 탄성 변형하는 압압 플레이트(116)를 통하여 유리판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바로 아래에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3점 지지에 의한 유리 플라이어와는 달라, 스크라이브 라인의 바로 아래로 압압력이 집중되어 작용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유리판 상면도 탄성 플레이트(26)에 의해 덮여 있다. 이 때문에 탄성 플레이트(26)가 탄성 변 형하면서 유리판이 절곡되어 분단되게 되어, 절곡되어 유리판이 쪼개질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특징]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유리 위치 결정 부재(34)를 유리 압압체(15, 115)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레버(2)의 선단부(7)에 직접 장착했지만,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위치 결정 부재(36)를 제2 레버(3)의 선단부(12)의 유리 받침부(25)에 장착해도 좋다. 혹은, 제2 레버(3)의 선단부(12)에 직접 장착해도 좋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제1 레버(2)의 선단부(7)의 유리 압압체(15)에 장착해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 2]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유리 위치 결정 부재(36)와 탄성 플레이트(26)를 다른 부재로 형성했지만, 이들을 탄성 부재로 일체로 성형한 것을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27)에 장착해도 좋다.
또한, 유리 위치 결정 부재(36)는, 유리판(G)의 판두께 등에 따라서 도면 중 높이 방향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 3]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유리 압압체(15, 115)를 압압축 둘레로 회동이 가 능한 구성으로 했지만, 유리 받침부(25)를 지지축(30)의 축 둘레로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또한, 유리 압압체(15, 115)를 압압축 둘레로, 유리 받침부(25)를 지지축(30)의 축 둘레로 함께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리 플라이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유리 플라이어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유리 플라이어의 저면 부분도이다.
도 4는 상기 유리 플라이어의 평면 부분도이다.
도5 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유리 플라이어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유리 플라이어의 저면 부분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유리 플라이어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유리 플라이어의 저면 부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유리 플라이어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유리 플라이어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유리 플라이어의 저면 부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채용한 유리 플라이어의 정면도이다.

Claims (14)

  1. 분단홈이 형성된 취성 재료를 분단홈을 따라 분단하기 위한 취성 재료 플라이어로서,
    선단부에 취성 재료 압압체(押壓體: 15)를 가짐과 함께 후단부에 그립부(5)를 갖는 제1 레버(2)와,
    상기 제1 레버(2)에 회동(回動)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선단부에 취성 재료 받침부(25)를 가짐과 함께 후단부에 그립부(10)를 갖는 제2 레버(3)를 구비하고,
    상기 취성 재료 받침부(25)는, 상기 분단홈과 교차되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하여 취성 재료보다 저강성(低剛性)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플레이트(26)와, 상기 탄성 플레이트(26)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제2 레버(3)에 대하여 지지하는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27)를 갖고,
    상기 취성 재료 압압체(15)는 취성 재료에 대하여 상기 분단홈의 홈폭보다도 넓은 분포 하중을 작용시키기 위한 압압부(16a)를 갖고 있는 취성 재료 플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16a)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26)보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짧게 형성되고 그리고 분단되는 취성 재료보다도 고강성(高剛性)의 압압 플레이트(16a)를 갖고,
    상기 취성 재료 압압체(15)는 상기 압압 플레이트(16a)를 상기 제1 레버(2) 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7)를 추가로 갖고 있는 취성 재료 플라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16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26)보다 짧게 형성된 압압 플레이트(16a)를 갖고,
    상기 취성 재료 압압체(15)는 상기 압압 플레이트(16a)를 상기 제1 레버(2)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7)를 추가로 갖고,
    상기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7)는, 상기 제1 레버(2)의 선단부에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압압축(20)과, 상기 압압 플레이트(16a)의 좌우 양단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압압축(20)에 장착된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21)를 갖는 취성 재료 플라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플레이트(16a)는 상기 압압축(20)의 축 중심 둘레로 회동이 가능한 취성 재료 플라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플레이트(16a)의 회동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규제하기 위한 회동 규제부(7b, 16b)를 추가로 구비한 취성 재료 플라이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27)는, 상기 제2 레버(2)의 선단부에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축(30)과, 상기 탄성 플레이트(26)의 좌우 양단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지지축(30)에 장착된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31)를 갖는 취성 재료 플라이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27)는, 상기 지지축(30)의 축 중심 둘레로 회동이 가능한 취성 재료 플라이어.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2) 또는 상기 제2 레버(3)에 형성되고, 상기 압압 플레이트(16a)와 상기 취성 재료 압압체(15)의 사이에 삽입된 취성 재료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취성 재료 위치 결정 부재(34)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취성 재료 플라이어.
  9. 취성 재료의 주면(主面)에 형성된 분단홈을 따라 취성 재료를 분단하기 위한 취성 재료 플라이어로서,
    선단부에 취성 재료 압압체(115)를 가짐과 함께 후단부에 그립부(5)를 갖는 제1 레버(2)와,
    상기 제1 레버(2)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선단부에 취성 재료 받침부(25)를 가짐과 함께 후단부에 그립부(10)를 갖는 제2 레버(3)를 구비하고,
    상기 취성 재료 압압체(115)는,
    취성 재료판의 분단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주면(主面)에 맞닿음 가능하며, 취성 재료보다도 저강성(低剛性)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압압 플레이트(116)와,
    상기 압압 플레이트(116)를 상기 제1 레버(2)에 대하여 지지하고, 상기 압압 플레이트(116)를 취성 재료에 대하여 압압하는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17)를 갖고,
    상기 취성 재료 받침부(25)는,
    취성 재료의 분단홈이 형성된 측의 주면에 맞닿음 가능하고, 상기 분단홈과 교차되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하며, 취성 재료보다 저강성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플레이트(26)와
    상기 탄성 플레이트(26)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상기 제2 레버(3)에 대하여 지지하는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27)를 갖고 있는 취성 재료 플라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17)는, 상기 압압 플레이트(116)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1개의 제1 지지 부재(118)를 갖고,
    상기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27)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26)의 좌우 방향 양 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31)를 갖고 있는 취성 재료 플라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플레이트 지지부(117)는, 상기 제1 레버(2)의 선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118)를 상기 제1 레버(2)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기 위한 압압축(119)을 추가로 갖고 있는 취성 재료 플라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118)의 회동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규제하기 위한 회동 규제부(7b)를 추가로 구비한 취성 재료 플라이어.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2) 또는 제2 레버(3)에 형성되고, 상기 압압 플레이트(116)와 상기 탄성 플레이트(26)와의 사이에 삽입된 취성 재료판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취성 재료 위치 결정 부재(34)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취성 재료 플라이어.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 지지부(27)는, 상기 제2 레버(3)의 선단부에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축(30)을 갖고, 상기 지지축(30)의 축 중심 둘레로 회동 이 가능한 취성 재료 플라이어.
KR1020090083873A 2008-10-07 2009-09-07 취성 재료 플라이어 KR101140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61001A JP5216522B2 (ja) 2008-10-07 2008-10-07 脆性材料プライヤ
JPJP-P-2008-261001 2008-10-07
JP2008262030A JP5216524B2 (ja) 2008-10-08 2008-10-08 脆性材料プライヤ
JPJP-P-2008-262030 2008-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218A true KR20100039218A (ko) 2010-04-15
KR101140182B1 KR101140182B1 (ko) 2012-05-02

Family

ID=4144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873A KR101140182B1 (ko) 2008-10-07 2009-09-07 취성 재료 플라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174919A3 (ko)
KR (1) KR101140182B1 (ko)
CN (1) CN101712187B (ko)
TW (1) TW2010186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6440B4 (de) 2010-07-16 2024-03-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ühlluftführung für ein Kraftfahrzeug
JP4995961B2 (ja) * 2010-10-19 2012-08-08 ナシモト工業株式会社 開閉作業具
ITRE20120048A1 (it) * 2012-07-09 2014-01-10 Raimondi Spa Pinza per la troncatura di lastre di materiale fragile
CN105366933B (zh) * 2015-12-14 2017-12-19 东莞市长长昶达金属制品有限公司 玻璃钳
CN108972897B (zh) * 2018-08-28 2023-10-24 上海市建筑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瓷砖夹具及瓷砖折断方法
WO2021142735A1 (zh) * 2020-01-16 2021-07-22 王宇 一种新型瓷砖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487A (en) * 1934-11-20 1935-06-18 Frank Kubiak Glass breaker tool
DE926929C (de) * 1952-01-26 1955-04-25 Fritz Weber Brillenglas-Broeckelzange
GB1351173A (en) * 1971-04-13 1974-04-24 Oporto Ceramics Ltd Device for severing tiles
US5395026A (en) * 1993-12-02 1995-03-07 Yu; Chin-Yung Tile cutting pliers
DE29521257U1 (de) * 1995-10-19 1996-11-07 Skerra Heiko Abbrechzange für schmale Fliesenstreifen und schmale Glasstreifen
JPH11228162A (ja) 1998-02-12 1999-08-24 Toyo Sangyo Kk ガラスブレーカ
JP2000044266A (ja) 1998-05-19 2000-02-15 Hanazono Kogu Kk ガラス割り手工具
KR200336820Y1 (ko) 2003-09-22 2003-12-24 신동화 유리절단기
US7021997B1 (en) * 2005-05-27 2006-04-04 Wen Yueh Chiang Multifunctional whetstone
CN200970853Y (zh) * 2006-11-24 2007-11-07 杨福 瓷砖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12187B (zh) 2012-11-14
CN101712187A (zh) 2010-05-26
KR101140182B1 (ko) 2012-05-02
TWI369340B (ko) 2012-08-01
TW201018652A (en) 2010-05-16
EP2174919A2 (en) 2010-04-14
EP2174919A3 (en)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182B1 (ko) 취성 재료 플라이어
JP5216522B2 (ja) 脆性材料プライヤ
US20140057541A1 (en) Two Step Abrasive Sharpener
JP5216524B2 (ja) 脆性材料プライヤ
KR20150123150A (ko) 스크라이브용 커터 휠 그리고 스크라이브 장치
TWI620632B (zh) 脆性材料基板之分斷工具
TWI661920B (zh) 複合基板之分斷方法及分斷裝置
KR102557292B1 (ko) 메탈막 부착 기판의 분단 방법
JP4865160B2 (ja) 脆性材料基板用カッターホイ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スクライバー
JP5451154B2 (ja) 脆性材料プライヤ
KR20150037481A (ko) 취성 재료 기판의 브레이크 방법 그리고 브레이크 장치
JP6682907B2 (ja) 脆性基板の分断方法
JP6493537B2 (ja) 脆性基板の分断方法
US6247625B1 (en) Anvil pad configuration for laser cleaving
KR20200115181A (ko) 커터 홀더 부착 유닛 및 스크라이브 장치
JP6288259B2 (ja) 脆性基板の分断方法
CN106865967B (zh) 工具支架以及工具支架单元
TWI619589B (zh) 脆性材料基板之裂斷方法及裂斷裝置
CN111263974A (zh) 附金属膜衬底的分断方法
JP5431806B2 (ja) 基板割断装置
TWI610892B (zh) 脆性基板之分斷方法
CN118077035A (zh) 半导体装置
WO2017145937A1 (ja) 脆性基板の分断方法
JP2008238545A (ja) 脆性基板分断用刃物交換用治具及び脆性基板分断用刃物の取り付け方法
JP2020151979A (ja) カッタホルダ取付ユニット及びスク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