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304A - 용기로부터 접착제의 계측된 분배를 하기 위한 마개 - Google Patents

용기로부터 접착제의 계측된 분배를 하기 위한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304A
KR20100038304A KR1020097026635A KR20097026635A KR20100038304A KR 20100038304 A KR20100038304 A KR 20100038304A KR 1020097026635 A KR1020097026635 A KR 1020097026635A KR 20097026635 A KR20097026635 A KR 20097026635A KR 20100038304 A KR20100038304 A KR 20100038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leeve
semi
shoulder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0389B1 (ko
Inventor
베르네르 에프 뒤바크
Original Assignee
키슬링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슬링 아게 filed Critical 키슬링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38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being rotated without axial translation, whilst transmitting axial motion to an internal valve stem or valv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 B65D35/38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개선된 밀봉과 더 낮은 마모도를 가지는 마개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부 부분(5), 하부 부분(4) 및 밀봉 핀(65)을 갖는 운송 슬리브(6)를 구비하는 마개가 제공된다. 하부 부분(4)에는 2개의 동심의 위쪽으로 향하는 환형 벽(48)들이 존재하며, 이 환형 벽들은 아래쪽으로 향하는 환형 벽을 갖는 상부 부분(5)에 있는 2개의 대응하는 동심으로 아래쪽으로 향하는 환형 벽(500)들과 프리스트레스 하에서 상호작용한다. 하부 부분(4)과 운송 슬리브(6)는 미리 결정된 파단 브리지(600)를 통해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하는 조 립 방법을 얻을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용기로부터 접착제의 계측된 분배를 하기 위한 마개{CLOSURE FOR THE METERED DISPENSING OF ADHESIVE FROM A CONTAINER}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용기로부터 접착제의 계측된 분배를 하기 위한 마개, 청구범위 제9항에 따른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반 완성된 제품, 및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마개를 청구범위 제9항에 따른 반 완성된 제품을 사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순간 접착제나 혐기성 접착제 및 밀봉제와 같은 접착제의 저장과 계측된 분배는 극히 문제이다. 접착제의 타입에 따라, 이 접착제가 산소에 노출되거나 또는 혐기성 접착제와 밀봉제인 경우 습기에 노출될 때 접착제는 경화된다. 이 경화를 막기 위해, EP-B-0 899 211호는 주로 산소의 진입을 막기 위하여 상단에서부터 바닥까지 뿐만 아니라 바닥 자체를 이중 벽으로 구현한 용기를 이미 제안하였다. 일치하는 플라스틱 마개는 예를 들어 CH-A-693 064에 기술되어 있다. 이 밀봉 핀 마개에서, 밀봉 핀은 용기의 개구부에 견고하게 성형되고 마개 자체는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며 용기의 넥(neck)에 나사 결합된다. 하나의 부품인 마개는 외부 나사산과 용기 넥에 부착될 수 있는 내부 나사산을 구비하는 재킷 벽(jacket wall)을 구비한다. 재킷 벽에 이어 외주 숄더(peripheral shoulder)가 있으며, 이 외주 숄더는 출구 노즐로 변형하는 슬리브 형상 부분에 인접해 있으며, 이 출구 노즐 안으로 밀봉 핀이 폐쇄된 위치에 밀봉되게 맞물린다. 용기 넥의 개구부는 폐쇄된 상태에서 슬리브 형상 구조만큼 위쪽으로 연장한다. 마개가 개폐될 때, 용기 넥의 상부 에지는 마개의 슬리브 형상 구조에 대해 슬라이딩 밀봉을 하는 역할을 한다.
제조 기술에 있어, 슬리브 형상 구조는 성형물(mold)로부터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특정 원추형상(conicality)을 요구한다. 이것은 슬리브 형상 구조의 최대 넓은 단면이 숄더의 영역에 위치되고 최대 좁은 단면이 출구 노즐 쪽 방향으로 상단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슬리브 형상 구조의 영역은 접착제와 접촉하게 되고, 이 타입의 여러 접착제는 극히 반응성이 있어서 여러 플라스틱의 표면, 특히 또한 마개의 제조에 적합한 플라스틱의 표면을 약간 용해한다. 그러므로, 빈번히 사용하면 슬리브 형상 구조의 밀봉 효과가 없어질 수 있다. 나아가, 그러한 마개와 대응하는 용기 넥은 충분히 타이트한 밀봉을 얻기 위하여 극히 정밀한 크기를 가지고 제조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이 극히 정밀한 크기의 요구는 상대적으로 높은 불량율을 초래한다. 나아가, 그러한 마개와 용기의 정밀한 크기의 요구는 용기에서 접착제가 경화되는 결함 배치(defective batches)를 막기 위하여 제조하는 동안 체크될 필요가 있다.
밀봉제의 설계와 배열은 이들 문제를 관리하기 위하여 최고의 관심을 요구한다.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멀티 부품의 마개는 DE-A-1 536 129에 알려 져 있다. 이 문헌은 여러 마개를 기술하며, 그 중 일부는 여러 부품으로 구성되고 별도의 운송 슬리브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들은 접착제용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어서 여러 이유로 접착제에 필요한 타이트한 밀봉에 대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실제적으로 모든 실시예는 보다 구체적으로 운송 슬리브의 원추 영역에서 아래 위로 배열된 2개의 밀봉제를 구비하고, 바닥 밀봉제는 전술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여전히 액체 불투과성이나 전술된 원추 형상으로 인해 더 이상 에어-타이트(air-tight)하지 않다. 고려되는 모든 해법에서, 내부 밀봉제는 슬리브 형상 구조와 이 슬리브 형상 구조를 둘러싸는 원통형 벽부 사이에 항상 위치한다. 바닥 밀봉제는 이 원통형 구조의 바닥에 위치하며 전술된 바와 같이 특정 원추 형상을 가질 필요가 있는 동심으로 둘러싸는 벽의 하부 부분에 위치한다. 이 원추 형상은 모델에 따라 다르게 구현된다. 나아가, 특정 실시예는 하부 부분에나 심지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넥 자체에 견고하게 연결된 밀봉 핀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prestress) 하에서 밀봉 면이 서로 타이트하게 인접하는 마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능한 한 용이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타입의 마개를 구현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한 용이하고 저렴하게 본 발명의 마개를 조립할 수 있는 조립 방법을 개시하는 것이다.
제 1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마개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한 마개는 청구범위 제9항의 특징부를 갖는 반 완성된 제품을 이용하여 가능한 한 용이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9항에 따른 반 완성된 제품을 사용할 때,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본 발명의 마개는 청구범위 제13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가능한 한 용이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은 종속 청구항에 개시되며, 대응하는 설계와 기능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 기술된다.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대상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부착된 마개를 갖는 접착제 용기의 측면도.
도 2는 부착된 상태의 마개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마개의 상부 부분의 직경 방향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반 완성된 제품으로 하부 부분과 대응하는 운송 슬리브의 직경 방향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반 완성된 제품의 사시도.
도 1은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1로 식별되고 베이스(3)를 구비하는 용기(2)에 부착되는 본 발명의 마개를 도시한다. 용기(2)로부터 내용물의 분배를 간략하게 하는 메커니즘은 베이스(3) 상에 성형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의 대상이 아니므로 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도 1에서,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마개(1)의 상부 부분(5)만이 실제로 보이고 있다. 부정조작 방지 밴드(tamper-proofing band)(7)가 마개가 아직 개방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부 부분(5)의 바닥에 성형된다. 그 결과, 부정조작 방지 밴드는 용기의 최초 개방 전에 제거될 필요가 있으며, 부정조작 방지 밴드는 이를 위해 절취 탭(8)을 구비한다. 이 도 1에는 또한 윈도우(9)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윈도우를 통해 볼 수 있는 스케일(scale)은 마개(1)가 개방된지 얼마나 오래 되었는지를 나타낸다. 마개(1)는 현재 경우에 완전히 밀폐되어 있으므로, 이 스케일에는 제로(0)가 보인다.
도 2에는 용기의 최초 개방 전에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의 마개의 직경 방향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파선 A-A는 마개의 중심선을 한정한다. 용기(2)의 용기 넥(20)만이 이 도 2에 보이고 있다. 용기 넥(20)은 외부 나사산(21)을 구비하며, 이 외부 나사산(21)에는 하부 부분(4)이 하부 부분에 제공된 내부 나사산의 도움으로 나사 결합된다. 그 출구(22)에서 용기 넥(20)은 밀봉 올리브에 의해 밀봉된다. 하부 부분(4)은 전술된 내부 나사산(41)을 구비하는 재킷 벽(40)을 구비한다. 재킷 벽(40)의 하부 에지는 하부 부분(4)이 용기(2)에 부착될 때 밀봉되고 클램핑되게 용기(2)의 숄더에 인접한 원추형으로 경사진 내부면(43)을 갖는 두께부(42)를 구비한다. 이 두께부의 외측에는 유지 비드(retaining bead)(44)가 성형되고, 이 유지 비드 뒤에는 도 3에 따른 부정조작 방지 밴드(7)의 유지 로브(lobe)(70)나 외주 유지 비드가 각각 맞물린다. 또한 일측에 절취 탭(8)이 보이고 있다.
상부 에지에서 하부 부분(4)의 재킷 벽(40)은 환형 면을 형성하는 제 1 숄더(45)로 변형하며, 이 환형 면은 중심선 A-A 쪽으로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이 제 1 숄더(45)의 바닥에는 용기(2)에 대해 하부 부분(4)을 밀봉하는 전술된 밀봉 올리브(46)가 성형된다. 재킷 벽(40)의 외측에 있는 2개의 환형 비드(47)는 상부 부분(5)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부분(2)의 전술된 제 1 숄더(45)에는 수직 위쪽으로 향하는 2개의 동심 환형 벽(48)이 성형되어 있다. 이것은 도 4에 가장 명확히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하부 부분(4)과 운송 슬리브(6)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 4에서, 이들 2개의 요소들은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품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 외에 하부 부분(4)의 모든 이전에 설명된 요소들이 또한 이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그 중요성과 기능이 아래에 더 설명될 스탑 리브(stopping rib)(49)가 재킷 벽(40)에 성형되어 있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이 스탑 리브(49)는 제 1 숄더(45)로부터 2개의 환형 비드(47) 중 상부 환형 비드로 연장한다. 스케일(400)은 상부 환형 비드(47)와 하부 부분(2)의 제 1 숄더(45) 사이의 영역에 배열되며, 이 스케일은 이 단면도에서는 당연히 보이지 않으나 이 도면의 우측에는 나타나 있다. 이 점에 대해, 우리는 전술된 도 1 뿐만 아니라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될 도 5를 참조한다. 외부로 향하는 노치(401)는 제 1 숄더(45)의 환형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숄더(45)나 그 면은 각각 노치(401)의 깊이의 두 배의 양 만큼 연장하여 중심축 A-A 쪽 내부로 돌출한다.
마개(1)는 조립된 상태에서 마개(1)의 나머지 부분과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운송 슬리브(6)를 더 포함한다. 이것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운송 슬리브(6)의 설명은 도 2가 아니라 도 4를 참조한다. 운송 슬리브(6)는 상부 영역에 외부 나사산(61)을 구비하는 원통형 재킷 벽(60)을 구비한다. 그 결과, 운송 슬리브(6)는 두 면이 개방된 튜브를 형성한다. 나사산(61) 아래 원통형 재킷 벽(60)의 외측에는 다수의 가이드 리브(62)들이 성형되며,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가이드 리브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리브(62)는 원통형 재킷 벽(60)의 길이의 실제로 절반만큼 축방향으로 연장하며, 즉 외부 나사산(61) 아래 영역으로부터 하부 에지까지 연장한다. 상부 영역에 있는 원통형 재킷 벽(60)의 내면에는 외측으로부터 내부 쪽과 상단 쪽으로 비스듬히 향하는 여러 지지부(64)들이 성형되며, 이들 지지부는 실제 밀봉 핀(65)을 지지한다. 이 밀봉 핀(65)은 특정 원추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외부 팁(tip)에 함몰부(66)를 구비한다.
가이드 리브(62)의 폭은 노치(401)의 폭에 적응되며, 상기 노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내부로 연장하는 제 1 숄더(45)의 벽 영역에 배치된다.
마개(1)의 상부 부분(5)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경 방향의 수직 단면도가 도 3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 부분(5)은 외주 재킷 벽(50)을 구비하며, 이 재킷 벽의 하부 에지에는 두께부(51)가 성형되며, 이 두께부 아래에는 절취 탭(8)을 갖는 전술된 부정조작 방지 밴드(7)가 같은 높이로 배열된다. 부정조작 방지 밴드(7)는 미리 결정된 파단점(71)에 의하여 재킷 벽(50)에 연결된다. 길다란 로브(52)들이 두께부(51) 위 재킷 벽(50)의 내측에 성형되며, 상기 로브들은 마개를 조립한 상태에서 하부 부분에 있는 2개의 환형 비드(47)들 사이에 맞물린다. 이 조치로 인 해, 상부 부분(5)은 하부 부분(4)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회전가능하게 가이드된다. 또한 이 도 3에는 재킷 벽(50)에 배열된 윈도우(9)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단부에서, 재킷 벽(50)은 중심 쪽으로 약간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하는 제 2 숄더(53)로 변형한다. 이 제 2 숄더(53)는 슬리브 형상 부착부(54)로 변형한다. 슬리브 형상 부착부(54)는 내측에 내부 나사산(55)을 구비한다. 이 내부 나사산(55)은 전술된 운송 슬리브(6)의 외부 나사산(61)과 일치하게 구현된다. 평평한 환형 스탑이나 스탑면(56)이 슬리브 형상 부착부(54)가 숄더(53)로 변형하는 영역에 위치된다. 슬리브 형상 부착부(54)의 원통형 부분 위에는, 최종적으로 배출 노즐(58)로 개방되는 깔대기 형상 부분(57)이 위치된다. 출구 노즐(58)의 맨 상단은 출구 개구부(59)로 끝난다.
하단에서, 제 2 숄더(53)는 아래쪽으로 향하는 2개의 동심 환형 벽(500)들을 구비한다. 이들 동심 환형 벽(500)들은 그 외부 측면이 마개를 조립한 상태에서 하부 부분(4)의 동심 환형 벽(48)의 내부 측면과 대략적으로 정렬되어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이들 동심 환형 벽(500)의 하부 단부에는 외부로 향하는 환형 비드(501)들이 성형된다. 이들 환형 비드(501)의 두께는 프리로드(preload)를 한정하며, 이 프리로드 하에서 환형 벽(500)들이 하부 부분의 동심 환형 벽(48)에 인접한다. 이 배열은 또한 당연히 역전될 수 있으며, 이에 상부 부분에 있는 동심 환형 벽이 환형 비드(501) 없이 구현되고 하부 부분(4)에 있는 동심 링(48)이 상부 단부에 내부로 향하는 환형 비드를 갖게 구현될 수 있다.
숄더(53)의 하단은 실제적으로 재킷 벽(50)에 바로 인접하는 스탑 요소(502) 를 또한 구비한다. 이 스탑 요소(502)는 당연히 또한 이 영역에 있는 재킷 벽(50)에 성형될 수도 있다. 마개(1)를 조립한 상태에서, 이 스탑 요소(502)는 하부 부분의 스탑 리브(49)와 협동하며 밀봉 핀(65)이 360°만큼 선회될 때 스탑 위치에서 마개의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한정할 뿐만 아니라 밀봉 핀(65)이 최저 위치에 위치하는 최대 개방 위치에서 스탑을 한정할 수 있다.
도 4는 하부 부분(4)과 운송 슬리브(6)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반 완성된 제품을 도시한다. 반 완성된 상태에서, 이들 두 요소는 미리 결정된 파단 브리지(6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들 미리 결정된 파단 브리지(600)는 중심을 나타내는 외측으로 가장 멀리 위치한 노치(401)의 에지 영역에서 가이드 리브(62)와 하부 부분(4)의 제 1 숄더(45) 사이의 연결을 형성한다. 이 배열은 운송 슬리브(6)와 하부 부분(4) 사이에 최대 유격이 이 방향에서 그리고 이 위치에서 일어날 수 있어 특히 의미가 있다. 그 결과, 분리 후에 2개의 요소에 남아있을 수 있는 나머지는 어떤 부정적인 효과도 가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반 완성된 제품의 잇점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적은 사출 성형물이 요구되어 제조를 위해 추가적인 사출 성형 기계가 필요치 않다는 점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사출 성형물의 약간 더 큰 깊이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은 무시할 수 있다. 특히 하부 부분(4)과 운송 슬리브(6)로 구성된 반 완성된 제품이 사출 성형물에 어떤 추가적인 면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으로 인해 비용 절감할 수 있는 것에 비하면 사출 공정마다 약간 더 긴 사이클 시간은 또한 무시할 수 있다. 반 완성된 제품이 상단에서부터 예외없이 바닥까지 연속적으로 테이퍼져 있으므로, 즉 하부 부 분(4)의 재킷 벽(40)에 있는 유지 비드(44)로부터 운송 슬리브(6)에 있는 밀봉 핀(65)의 팁까지 연속적으로 테이퍼져 있으므로, 반 완성된 제품은 또한 슬라이딩 없이 성형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산(61)이나 환형 비드(47)의 외부로 돌출하는 약간 들어올린 것이 작아서 반 완성된 제품은 그 탄력성으로 인해 결함의 생성 없이 사출 공정 후에 용이하게 벗겨질 수 있다(The slight elevations that protrude outward, for example of the thread 61 or of the annular beads 47, are so small that the semi-finished product can be ripped out after the injection process without creating defects due to its elasticity). 반 완성된 제품의 다른 이점은 하부 부분(4)에 대해 운송 슬리브(6)의 위치가 반경 방향으로 정확히 한정되어 후속하는 조립 공정 동안 여러 요소들에 대응하는 정렬 요구가 제거된다는 점에 있다고 볼 수 있다. 2개의 요소(4, 6)의 반경 방향 정렬에 더하여, 이들 요소는 또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될 필요가 없다. 이것은 후속하는 조립 공정을 상당히 간략화한다.
처음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도 4에 도시된 반 완성된 제품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마개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 방법에서, 2개의 요소들, 즉 상부 부분(5)과 운송 슬리브(6)는 축방향으로 서로 정렬된다. 이 정렬된 위치에서, 운송 슬리브(6)의 중심 축과 상부 부분(5)의 슬리브 형상 부착부의 중심축이 정렬된다. 이 경우에, 상부 부분(5)은 그리퍼(gripper)로 유지되고, 상부 단부에 대응하는 슬롯을 구비하는 회전가능한 핑거(finger)는 동시에 운송 슬리브 내로 삽입되거나 이 운송 슬리브(6)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 슬롯은 회전 핀(65)을 유지하는 지지부(64)들이 이들 슬롯과 명확히 끼워맞춰지게 구현된다. 이 경우에, 핑거가 삽입되고 운송 슬리브(6)가 전술된 지지부(64)가 슬롯 안으로 떨어질 때까지 이후 선회하게 통상 진행된다. 전체 반 완성된 제품은 이제 올바른 방향으로 유지된다.
그 다음 단계에서, 상부 부분(5)은 반 완성된 제품(4,6) 쪽으로 이동되며, 그 외부 나사산(61)은 상부 부분(5)의 슬리브 형상 부착부(54)의 내부 나사산(55) 내로 나사 결합된다. 이 나사 결합 이동은 운송 슬리브(6)에 있는 가이드 리브(62)가 내부 나사산(55) 아래 환형 스탑 면(56)과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미리 결정된 토크에 도달하면 상부 부분(4)에 대해 운송 슬리브(6)의 정확한 반경방향 정렬 뿐만 아니라 상부 부분(5)에 대해 하부 부분(4)의 정확한 정렬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 나사 결합 이동 동안에 토크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하부 부분(4)과 상부 부분(5) 사이에 충돌 이동이 미리 결정된 파단 브리지(600)를 파괴하도록 수행된다. 가이드 리브(62)는 이제 노치(401)를 통해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며, 동심 환형 벽(500)을 갖는 부착된 상부 부분은 이와 동시에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하부 부분(4)에 있는 동심 벽(48)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딩한다. 이 경우에, 전술된 환형 비드(501)는 환형 벽(500)이 약간 내부로 변형되게 하는 한편, 환형 벽(48)은 이와 동시에 약간 외부로 변형되게 된다. 동심 환형 벽(500, 48)은 그리하여 프리로드 하에서 서로 인접하게 된다.
정밀한 반경방향 정렬로 인해, 상부 부분(5)에 있는 스탑 요소(502)는 또한 이 위치에서 하부 부분(4)의 스탑 리브(49)와 적어도 대략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마개(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위치에서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 있다. 이 아래쪽으로의 이동 동안 길다란 로브(52)는 하부 부분에 있는 2개의 환형 비드(47)와 로브(70) 사이 영역 안으로 동시에 스냅 결합되거나, 또는 가능하다면, 환형 비드들이 하부 부분(4)의 재킷 벽(40)에 있는 유지 비드(44) 아래로 푸시된다.
그러므로, 마개가 작동되기 전에, 절취 탭(8)을 잡고 부정조작 방지 밴드(7)를 찢는 것이 필요하다. 상부 부분(5)은 이제 선회될 수 있으며, 이제 완전히 분리된 운송 슬리브(6)는 밀봉 핀(65)이 출구 노즐(48)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접착제가 출구 개구(59)로부터 마침내 배출되기 전에 접착제는 운송 슬리브(6)를 통해 위쪽으로 흐를 수 있으며 밀봉 핀(65) 주위를 흐를 수 있다.
실제적으로 외측쪽 에어-타이트한 연결이 전술된 동심 벽들의 프리스트레스 하에서 구현되므로, 접착제는 운송 슬리브(6)의 외면에서 이렇게 형성된 동심 환형 밀봉제의 영역 안으로 거의 들어갈 수 없다. 작은 양의 접착제가 이 영역 안으로 들어가더라도, 이것은 단지 2개의 환형 밀봉제 중 내부쪽에만 영향을 미치고 특정 상황에서 마모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환형 밀봉제 중 외부쪽은 손상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표면 용해 현상이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도 내부 환형 밀봉제에는 최소의 영향만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하부 부분(4)과 운송 슬리브(6)로 구성된 반 완성된 제품의 3차원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도 5는 도 4에 따른 단면도에는 명확히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리브를 명확히 도시한다. 이 도 5는 노치(401)를 더 도시한다. 또한 명목 파단점(600)이 보이고 있다. 그러나, 도 5는 2개의 환형 비드(47)들 위 재킷 벽(40)의 외측에 배열된 스케일(400)을 도시하는 역할을 또한 한다. 이 스케일은 대체로 임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스케일은 전술된 윈도우(9)를 통해 보이는 리브 형태의 밴드로 구현된다. 마개가 더 멀어지게 개방되면 될수록 이 밴드는 더 넓어진다.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밴드는 더 이상 보이지 않으며 이때는 숫자 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인다. 이 경우에, 스케일(400)은 사출 성형에 의하여 부착되고 이에 따라 스탑 리브(49)에 대해 미리 결정된 위치에 항상 배열되므로 스케일은 또한 당연히 올바른 위치에 자동적으로 배열된다. 이것은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도달할 때 조립 공정 후에 숫자 0이 보이는 것을 보장하며 윈도우(9)를 통해 전술된 숫자 0이 또한 도시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스케일은 적용된 층이 가능한 한 얇다면 특히 신속하고 잘 보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술된 접착제와 연관하여 이러한 스케일은 매우 의미가 있다. 이제까지 제어 옵션이 밀봉 핀을 갖는 이 타입의 마개에 제공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은 그 용도를 위해 최적으로 설계된 마개(1)가 우수한 밀봉 특성을 가지고 도 4에 따른 반 완성된 제품을 사용하여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어 전술된 바와 같이 동등하게 비용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마개(1)를 제안한다.
<참조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마개
2 : 용기
3 : 베이스
4 : 하부 부분
5 : 상부 부분
6 : 운송 슬리브
7 : 부정조작 방지 밴드
8 : 절취 탭
9 : 윈도우
20 : 용기 넥
21 : 외부 나사산
22 : 출구
40 : 재킷 벽
41 : 내부 나사산
42 : 두께부
43 : 원추형으로 경사진 내부면
44 : 유지 비드
45 : 제 1 숄더
47 : 환형 비드
48 : 동심 환형 벽
49 : 스탑 리브
400 : 스케일
401 : 노치
50 : 재킷 벽
51 : 두께부
52 : 길다란 로브
53 : 제 2 숄더
54 : 슬리브 형상 부착부
55 : 내부 나사산
56 : 평평한 환형 스탑
57 : 깔대기 형상 부분
58 : 출구 노즐
59 : 출구 개구
500 : 환형 벽
501 : 환형 비드
502 : 스탑 요소
60 : 원통형 재킷 벽
61 : 외부 나사산
62 : 가이드 리브
63 : 내부 면
64 : 지지부
65 : 밀봉 핀
66 : 함몰부
600 : 미리 결정된 파단점 브리지
70 : 로브
71 : 미리 결정된 파단점 브리지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로부터 접착제의 계측된 분배를 하는데 이용가능하다.

Claims (16)

  1. 용기(2)로부터 접착제의 계측된 분배를 하기 위한 마개(1)로서,
    상기 마개는, 밀봉되게 용기에 부착될 수 있는 하부 부분(4)과, 상기 하부 부분(4)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캡을 형성하는 상부 부분(5)과,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부분과 상기 상부 부분과는 분리되어 있는 중앙 밀봉 핀(65)을 갖는 운송 슬리브(6)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부분(4)은 중심 쪽을 향하는 제 1 환형 숄더(45)로 변형되는 외주 재킷 벽(40)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부분은 출구 노즐(58)이 형성되도록 중심 쪽을 향하고 중심쪽으로 테이퍼진 제 2 환형 숄더(53)를 구비하는 상단을 갖는 재킷 벽(50)을 구비하며,
    상기 운송 슬리브는 슬라이딩 가능하고 회전할 수 없게 하부 부분(4)에서 지 지되고 또 밀봉 핀이 출구 노즐(58)에 있는 상부 부분(5)을 선회시킴으로써 상부 부분(5)에 있는 내부 나사산(55)으로 이동되어 상부 폐쇄 위치에서부터 하부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또 역으로 이동될 수 있는, 마개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4)의 제 1 숄더(45)에는 2개의 동심이고 외부쪽으로 향한 환형 벽(48)들이 배열되고, 상기 상부 부분(5)에는 제 2 숄더(53)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향하는 2개의 동심 환형 벽(500)들이 배열되고, 상기 동심 벽(48,500)의 쌍들은 프리로드 하에서 서로 인접하는 슬라이딩 밀봉을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분에 있는 동심 환형 벽(500)의 단부들은 동심 환형 벽(48)의 내측 상에 프리로드 하에서 하부 부분(4)에 인접하고 외부쪽을 향하는 외주 환형 비드(501)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4)에 있는 동심 환형 벽(48)은 동심 환형 벽(500)의 외측에 프리스트레스 하에서 상부 부분(5)에 인접한 내부쪽으로 돌출하는 환형 비드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4.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로드는 환형 비드의 두께로 인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슬리브(6)의 상부 영역은 상부 부분의 제 2 숄더(53)와 출구 노즐 사이에 슬리브 형상 부착부(54) 내에 배열된 내부 나사산(55)과 협동하는 외부 나사산(6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나사산(61) 아래 상기 운송 슬리브(6)에는 반경방향 외부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리브(62)들이 성형되고, 제 1 숄더(45)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리브(62)들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슬리이딩 가능하게 확실히 지지하는 노치(40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핀(65)은 운송 슬리브의 내벽으로부터 중심쪽으로 연장하는 지지부(64)에 의하여 운송 슬리브(6) 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형상 부착부(54)는 내부 나사산(55) 아래에 평평한 환형 스탑(56)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리브(62)는 마개(1)의 폐쇄 상태에서 전술된 스탑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9. 제 1 항에 따른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반 완성 제품으로서,
    상기 반 완성 제품은 하부 부분(4)과 운송 슬리브(6)로 구성되고, 이들 구성요소는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되고 미리 결정된 파단 브리지(600)에 의하여 연결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반 완성 제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슬리브(6)의 상부 영역은 외부 나사산(61)을 구비하며, 상기 운송 슬리브 상에는 반경방향 외부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리브(62)들이 성형되고, 상기 제 1 숄더(45)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리브(62)의 단면 형상에 적응된 노치(401)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리브(62)의 하부 에지에는 미리 결정된 파단 브리지(600)의 일측이 성형되고 노치(401)의 에지에는 파단 브리지(600)의 타측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반 완성 제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4)의 재킷 벽(40)의 외측에는 반경방향 외부로 돌출하는 스탑 리브(49)가 성형되고, 상기 상부 부분(5)의 내측에는 스탑 요소(502)가 사출 성형되고, 상기 스탑 리브와 스탑 요소는 공동으로 마개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부 부분(5)과 하부 부분(4) 사이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반 완성 제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 요소(502)를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각도 위치에서 상부 부분(5)의 재킷 벽(50)에는 윈도우(9)가 배열되고, 상기 하부 부분(4)에는 스케일(400)이 배열되고, 상기 스케일(400)은 상기 스탑 리브(49)와 스탑 요소(502)가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서 하부 부분(4)에 대한 상부 부 분(5)의 회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반 완성 제품.
  13. 제 1 항에 따른 마개(1)를 제 9 항에 따른 반 완성 제품(4, 6)을 사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조립 방법으로서,
    상부 부분(5)은 제 2 숄더(53)와 출구 노즐(58) 사이에 슬리브 형상 부착부(54)를 구비하며, 운송 슬리브(6)를 갖는 반 완성 제품(4, 6)의 중심축은 부착부(54)의 중심축과 축방향 정렬되고, 반 완성 제품은 가이드 리브(62)들이 슬리브 형상 부착부 아래 운송 슬리브(6)와 접촉할 때까지 상부 부분의 슬리브 형상 부착부(54)에 나사 결합되고, 미리 결정된 파단 브리지(600)는 충돌 이동으로 인해 이제 분리되고, 슬리브 형상 부착부(54)에 나사 결합된 운송 슬리브를 갖는 상부 부분(5)은 상부 부분(5)과 하부 부분(4)에 있는 동심 환형 벽(48,500)들이 특정 프리스트레스 하에서 서로 슬라이딩되고 프리로드된 위치로 이동되는 정도까지 아래 방향으로 푸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반 완성 제품을 사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조립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분(5)과 상기 반 완성 제품(4,6)은 미리 결정된 토크로 서로 나사 결합되고 이 토크를 모니터링하면서 상부 부분에 있는 스탑 요소(502)와 하부 부분(4)에 있는 스탑 리브(49)가 미리 결정된 토크에 도달하면 충돌 이동 후 서로에 대하여 약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반 완성 제품을 사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 완성 제품은 반 완성 제품(4, 6)과 상부 부분(5)이 서로 나사 결합되기 전에 회전 구동되는 유지 핑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반 완성 제품을 사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핑거는 운송 슬리브(6)의 밀봉 핀(65)을 유지하는 지지부(6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명확히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노치를 구비하고, 이 반 완성 제품(4, 6)이 회전가능하지 않게 고정되는 동안, 즉 전술된 지지부(64)가 유지 핑거의 노치 안에 맞물릴 때까지 상기 반 완성 제품(4,6)이 부착되고 유지 핑거가 특정 회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반 완성 제품을 사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
KR1020097026635A 2007-08-02 2008-07-03 용기로부터 접착제의 계측된 분배를 하기 위한 마개 KR101460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228/07 2007-08-02
CH12282007 2007-08-02
PCT/CH2008/000301 WO2009015499A1 (de) 2007-08-02 2008-07-03 Verschluss zur dosierten abgabe von klebstoff aus einem behältn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304A true KR20100038304A (ko) 2010-04-14
KR101460389B1 KR101460389B1 (ko) 2014-11-10

Family

ID=3887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635A KR101460389B1 (ko) 2007-08-02 2008-07-03 용기로부터 접착제의 계측된 분배를 하기 위한 마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20100200618A1 (ko)
EP (1) EP2176133B1 (ko)
JP (1) JP5611825B2 (ko)
KR (1) KR101460389B1 (ko)
CN (1) CN101772460B (ko)
AT (1) ATE482151T1 (ko)
AU (2) AU2008281249A1 (ko)
BR (1) BRPI0814162A2 (ko)
CA (1) CA2693975A1 (ko)
DE (2) DE502008001417D1 (ko)
DK (1) DK2176133T3 (ko)
EA (1) EA016006B1 (ko)
ES (1) ES2353069T3 (ko)
MX (1) MX2010001156A (ko)
PL (1) PL2176133T3 (ko)
PT (1) PT2176133E (ko)
SI (1) SI2176133T1 (ko)
WO (1) WO2009015499A1 (ko)
ZA (1) ZA2009088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3843A2 (ko) * 2010-10-21 2012-04-26 (주)연우 튜브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9222B4 (de) 2010-05-04 2013-11-07 Heraeus Medical Gmbh Austragsvorrichtung für Kartuschen
DE102010019219B4 (de) 2010-05-04 2013-12-12 Heraeus Medical Gmbh Kartuschenverschluss und Kartusche mit einem solchen Verschluss
DE102010019217B4 (de) 2010-05-04 2014-01-16 Heraeus Medical Gmbh Kartuschensystem
DE102010019224B3 (de) 2010-05-04 2011-10-13 Heraeus Medical Gmbh Austragsvorrichtung für pastöse Massen
DE102010019223B4 (de) 2010-05-04 2012-02-16 Heraeus Medical Gmbh Kartuschensystem mit Druckgaspatrone
JP5944383B2 (ja) * 2010-06-23 2016-07-05 イルディリム,ミュスリュム 分配容器
NL2018933B1 (en) 2017-05-17 2018-11-28 Muesluem Yildirim Dispens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36129A1 (de) * 1966-05-13 1970-03-05 Wilfried Leitz Verschluss und Behaeltermuendung
JPS5516841Y2 (ko) * 1973-06-04 1980-04-19
JPS5019862U (ko) * 1973-06-26 1975-03-06
US4408700A (en) * 1981-05-28 1983-10-11 Owens-Illinois, Inc. Multi-part dispensing closure having a frangible connecting web
EP0187567B1 (fr) * 1984-12-07 1989-08-02 Simone Morel Dispositif de bouchage de tubes, de flacons ou autres récipients à ouverture et fermeture commandées par rotation
CH672625A5 (ko) * 1987-06-16 1989-12-15 Alfatechnic Ag
FR2644432B2 (fr) * 1988-05-11 1991-06-14 Morel Simone Capsule a enveloppe tournante pour flacons et recipients analogues
CH679573A5 (ko) * 1989-08-11 1992-03-13 Kisling & Cie Ag S
DE9204076U1 (ko) * 1992-03-25 1993-07-22 Schuckmann, Alfred Von, 4178 Kevelaer, De
CA2184407A1 (fr) * 1995-01-10 1996-07-18 Agnes Goncalves Recipient a goulot pourvu d'une fermeture distributrice a capuchon devissable partiellement
CN1242751A (zh) * 1996-11-15 2000-01-26 国际塑料设备公司 防漏填充显示帽封
BR9701142A (pt) * 1997-02-28 1998-12-15 Unilever Nv Sistema regulador de fluxo para um recipiente contendo fluídos preferencialmente viscosos
ES2203915T3 (es) 1997-08-26 2004-04-16 Kisling Ag Botella de plastico.
US6135318A (en) * 1997-10-08 2000-10-24 Stull Technologies Variable rate closure for dispensers having fluid contents
US6089180A (en) * 1998-02-17 2000-07-18 Nichols, Jr.; Ernest Multi-time indicating post manufacture container double closure and pill cup separator assembly
CH693064A5 (de) 1998-12-16 2003-02-14 Kisling & Cie Ag S Zweiteiliger Verschluss mit einem Dichtstift.
US6357634B1 (en) * 1999-10-12 2002-03-19 Sussex Technology Inc. Container cap dispensing apparatus
JP4443013B2 (ja) * 2000-08-01 2010-03-31 花王株式会社 二重容器用キャップ
US6338425B1 (en) * 2000-10-05 2002-01-15 Courtesy Corporation Dispensing closure
KR100822925B1 (ko) * 2000-12-21 2008-04-16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합성수지제 주출캡
US6571994B1 (en) * 2001-12-12 2003-06-03 Portola Packaging, Inc. Closure having rotatable spout and axially movable stem
EP1467924A4 (en) * 2001-12-18 2009-06-10 Alto Holdings Ltd DRINKING CAP WITH MOVABLE NOZZLE
ITMI20021108A1 (it) * 2002-05-22 2003-11-24 Lumson Spa Tappo erogatore con sigillo di garanzia per contenitori di sostanze fluide
EP1532051A2 (en) * 2002-07-22 2005-05-25 Courtesy Corporation Beverage closure with open/close spou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3843A2 (ko) * 2010-10-21 2012-04-26 (주)연우 튜브용기
WO2012053843A3 (ko) * 2010-10-21 2012-08-02 (주)연우 튜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6133A1 (de) 2010-04-21
CA2693975A1 (en) 2009-02-05
BRPI0814162A2 (pt) 2015-01-20
JP2010535133A (ja) 2010-11-18
ES2353069T3 (es) 2011-02-25
KR101460389B1 (ko) 2014-11-10
DE502008001417D1 (de) 2010-11-04
SI2176133T1 (sl) 2011-01-31
AU2008281249A1 (en) 2009-02-05
JP5611825B2 (ja) 2014-10-22
MX2010001156A (es) 2010-03-01
EA016006B1 (ru) 2012-01-30
WO2009015499A1 (de) 2009-02-05
CN101772460A (zh) 2010-07-07
ATE482151T1 (de) 2010-10-15
DK2176133T3 (da) 2011-01-24
AU2014202784A1 (en) 2014-06-12
PL2176133T3 (pl) 2011-03-31
CN101772460B (zh) 2012-02-01
EA201070214A1 (ru) 2010-06-30
DE202008009692U1 (de) 2008-10-16
PT2176133E (pt) 2010-12-02
US20100200618A1 (en) 2010-08-12
EP2176133B1 (de) 2010-09-22
ZA200908812B (en)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8304A (ko) 용기로부터 접착제의 계측된 분배를 하기 위한 마개
US6112779A (en) Bottle stopper having a device for drawing up metered amounts of the liquid contained in said bottle
JP5068761B2 (ja) 半完成品として製造される閉鎖可能な開封装置およびその嵌め合わせ方法
EP2321192B1 (en) Security capsule with breakable reservoir and cutter
US6450367B1 (en) Completely closed dispenser-stopper with reinforced seal for bottles or other containers with threaded necks
EP2226264A1 (en) Synthetic resin cap
RU2427512C2 (ru) Полуфабрика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ткрытия
US10308402B2 (en) Spout stopper and packaging container
CA1038806A (en) Closure for containers
CN107735335B (zh) 显窃启封闭件
US8272543B2 (en) Combination of full flow cap valve and neck finish
US7635071B1 (en) Double shell dispensing closure with a reverse tapered drop lug
RU2008125128A (ru) Составной укупорочный колпачок
KR20160064169A (ko) 계측 뚜껑
EP1526086B1 (en) tamper-evident closure for bottles
CN111183099A (zh) 带可断开隔膜的塑料封盖部件
CN212291091U (zh) 一种自封闭式流量瓶
RU27265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литья под давлением колпачка с кольцом для защиты от вскрытия
EP3538451B1 (en) Valve arrangement for pressurised tank in a closure device
US8453858B2 (en) Cover for closing containers
JP7194954B1 (ja) 打栓式キャップ用容器
EP2275359B1 (en) Closure cap
JP2007186223A (ja) ノズル付き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253728B2 (ja) ヒンジ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EP3424835A1 (en) A cap for a food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