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046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046A
KR20100030046A KR1020080088812A KR20080088812A KR20100030046A KR 20100030046 A KR20100030046 A KR 20100030046A KR 1020080088812 A KR1020080088812 A KR 1020080088812A KR 20080088812 A KR20080088812 A KR 20080088812A KR 20100030046 A KR20100030046 A KR 20100030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unit
image
color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연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8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0046A/ko
Priority to US12/492,508 priority patent/US20100061766A1/en
Publication of KR2010003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4색으로 구성되며, 각 색상별로 개별적으로 마련된 제 1 내지 제 4 현상기가 일정 간격(D1)으로 배치된 제 1 상형성부; 상기 제 1 상형성부의 색상을 보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현상기를 가지는 제 2 상형성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의 인쇄 화상을 전달받는 인쇄화상담지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의 이격 거리(D2)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기의 배치 간격(D1)의 정수배(n×D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컬러화상형성장치,6색,다색컬러화상형성장치,정수배,전사제어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색 이상의 색상별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의 컬러 화상형성장치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4색 현상제를 사용하는 컬러 현상유닛을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건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고속인쇄에 적합하고, 유지보수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사진과 같이 고해상도의 컬러 화상을 인쇄할 경우, 이들 4색 현상제만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색상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즉, 디지털 화상신호를 사용하고 있는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일정 전위의 도트 밀도를 조정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현상제 입자가 일정 전위로 형성된 도트에 균일하게 퍼지지 않고 전사되기 어렵다. 또한, 현상제가 붙은 부분과 붙지않은 부분의 도트 밀도의 비에 대응되는 화상의 계조성이 좋지 않다. 특히 도트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해상도를 향상시키더라도, 도트를 이용한 화상의 재현성, 계조성 및 샤프니스(sharpness)의 향상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연한 노랑색, 연한 붉은색, 연한 파랑색 등과 같은 하이라이트 또는 담색 인쇄영역의 경우,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가 이들 담색의 색상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화상영역의 도트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담색 영역에서의 색재현성이 하락함은 물론, 도트 수 감소에 따른 화상의 선명도 하락과 같은 화상의 품질 또한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색 재현성과, 인쇄화상의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이 향상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컬러 현상유닛의 배치 구조가 개선된 컬러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4색으로 구성되며, 각 색상별로 개별적으로 마련된 제 1 내지 제 4 현상기가 일정 간격(D1)으로 배치된 제 1 상형성부; 상기 제 1 상형성부의 색상을 보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현상기를 가지는 제 2 상형성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의 인쇄 화상을 전달받는 인쇄화상담지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의 이격 거리(D2)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기의 배치 간격(D1)의 정수배(n×D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는, 상 기 인쇄화상담지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인쇄화상담지체는 무한궤도로 회전 가능한 벨트 타입으로, 중간전사유닛이거나 용지이송전사유닛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는 상기 제 1 상형성부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제 1 광주사장치; 및 상기 제 2 상형성부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제 2 광주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쇄화상담지체는, 중간전사벨트;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 사이에 배치된 제 1 구동롤러; 상기 인쇄 용지에 컬러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롤러와 대응되는 제 2 구동롤러;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2 구동롤러의 속도(V2)는 상기 제 1 구동롤러의 속도(V1) 보다 0~3% 빠르게 설정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구동롤러의 속도(V2)는 상기 제 1 구동롤러의 속도(V1) 보다 1% 빠르게 설정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상형성부는, 상기 제 2 상형성부가 인쇄화상담지체에 인쇄 화상을 전사한 후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순서로 컬러 인쇄화상을 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상형성부는, 라이트 시안 색상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제 1 보조 현상기; 및 라이트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제 2 보조 현상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화이트 또는 투명 색상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보조 현상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라이트 시안 색상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제 1 보조 현상기; 라이트 마젠 타 색상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제 2 보조 현상기; 및 화이트 색상 또는 투명 색상 중 어느 하나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제 3 보조 현상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간격 D1 만큼 이격된 제 1 현상기와 제 2 현상기를 가지는 제 1 상형성부; 및 상기 제 2 현상기보다 상기 제 1 현상기에 더 가깝게 배치된 제 3 현상기를 가지는 제 2 상형성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상형성부와 제 2 상형성부는 인쇄화상담지체에 화상을 이송하고, 상기 제 1 상형성부와 제 2 상형성부는 인쇄화상담지체에 화상을 이송하고, 상기 제 1 현상기와 상기 제 2 현상기간의 인쇄화상담지체상의 거리를 D1이라고 할 때, 상기 제 1 현상기와 상기 제 3 현상기간의 인쇄화상담지체상의 거리는 상기 D1의 n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현상기에서 형성하는 화상의 색상은 모두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 1 상형성부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제 1 인쇄모드; 및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를 모두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제 2 인쇄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모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또는 화상형성장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연결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상기 인쇄화상담지체는 무한궤도로 회전 가능한 벨트 타입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으며, 중간전사유닛 또는 용지이송전사유닛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상형성부의 제 1 및 제 2 현상기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 중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상기 제 2 상형성부의 제 3 현상기는 라이트 마젠타, 라이트 시안, 화이트, 투명 색상 중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의 4색으로 구성된 제 1 상형성부에 추가로 설치되는 라이트 시안, 라이트 마젠타 등의 제 2 상형성부가 중간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기 때문에, 중간전사벨트와,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장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상형성부 사이의 거리를 정수배로 구성하기 때문에, 현상유닛 사이의 거리에 민감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보정에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는 급지유닛(10), 이송유닛(20), 인쇄화상담지체(30), 현상유닛(40), 광주사장치(50), 정착유닛(60) 및 배지유닛(70)을 포함한다.
급지유닛(10)에는 복수 매의 인쇄 용지가 수납되며, 수납된 용지는 이송유닛(20)을 통해 인쇄화상담지체(30) 및 현상유닛(40)으로 공급된다. 상기 이송유닛(20)을 통해 공급된 인쇄 용지는 인쇄화상담지체(30)이 전달받은 컬러 인쇄 화상을 용지 표면에 전달받고, 용지 표면에 전사된 컬러 인쇄 화상은 정착유닛(60)을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아 용지에 고착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컬러 인쇄화상이 용지 표면에 인쇄되면, 배지유닛(70)을 통해 컬러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현상유닛(40)은 제 1 및 제 2 상형성부(4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상형성부(41)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4가지 색으로 구성된 제 1 내지 제 4 현상기(41a~41d)로 구성되며, 제 1 내지 제 4 현상기(41a~41d)는 일정한 간격(D1)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상형성부(42)는 상기 제 1 상형성부(41)가 표현하기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1에서는, 라이트 시안 색상을 인쇄할 수 있는 제 1 보조 현상기(42a)와 라이트 마젠타 색상을 인쇄할 수 있는 제 2 보조 현상기(42b)를 구비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투명 또는 화이트 색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상형성부(41)와 제 2 상형성부(42)는 일정 간격(D2)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상형성부(41)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4 현상기(41a~41d) 각각의 배치 간격(D1)의 정수배(n×D1)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때, n의 값은 1 이상의 정수로 마련되는 것이 좋은데, 도 1과 같이 제 1 상형성부(41)와 제 2 상형성부(42)가 인쇄화상담지체(30)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경우, n=1인 것이 좋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6색 컬러 화상형성장치 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6색 컬러 화상형성장치(200)는 급지유닛(110), 이송유닛(120), 인쇄화상담지체(130), 현상유닛(140), 광주사장치(150), 정착유닛(160) 및 배지유닛(170)을 포함한다.
급지유닛(110), 이송유닛(120), 정착유닛(160) 및 배지유닛(170)은 제 1 실시예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인쇄화상담지체(130)는 무한궤도로 회전 가능한 벨트 타입으로서, 중간전사유닛 또는 용지이송전사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중간전사유닛으로 마련된 인쇄화상담지체(130)를 그 일예로 설명한다.
인쇄화상담지체(130)는 중간전사벨트(130a), 제 1 구동롤러(131), 제 2 구동롤러(132), 텐션롤러(133)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동롤러(13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전사롤러(134)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 2 구동롤러(132)의 속도(V2)는 상기 제 1 구동롤러(131)의 속도(V1) 보다 0~3% 빠르게 설정되는 것이 좋은데,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구동롤러(132)의 속도(V2)는 상기 제 1 구동롤러(131)의 속도(V1) 보다 1% 빠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구동롤러(132)의 속도(V2)를 빠르게 설정하면, 상대적으로 하류에 위치한 제 1 구동롤러(131)에서 회전시켜 보내는 전사벨트량이 상류에 위치한 제 2 구동롤러(132)에서 회전시켜 보내는 전사벨트량보다 커지므로, 벨트 흔들림과 같은 화상불량 요인을 줄일 수 있다.
만일, 제 1 및 제 2 구동롤러(131)(132)의 속도를 동일하게 설정하면, 제 1 및 제 2 구동롤러(131)(132) 사이에 배치된 제 1 상형성부(141)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4 현상기(141a~141d)의 간격(D1)이 동일하더라도, 하류에서 잡아당기는 전사벨트량보다 상류에서 보내는 전사벨트량이 커져 결과적으로 제 1 내지 제 4 현상기(141a~141d)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지 않은 효과가 나타나는데, 이는 정확한 위치에 색상별 인쇄 화상이 중첩되지 못하는 화상불량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제 2 구동롤러(132)의 속도(V2)를 제 1 구동롤러(131)의 속도(V1)보다 더 빠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인쇄화상담지체(130)가 용지이송전사유닛으로 마련될 경우, 인쇄용지는 용지이송전사유닛을 통해 이송되면서, 상기 현상유닛(140)으로부터 직접 현상제를 전달받아, 인쇄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용지이송전사유닛의 구성은 일반적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현상유닛(140)은 제 1 및 제 2 상형성부(141)(14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상형성부(141)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4가지 색으로 구성된 제 1 내지 제 4 현상기(141a~141d)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기(141a~141d)는 일정한 간격(D1)으로 배치되어, 상기 중간전사벨트(130a)에 컬러 화상을 전사한다.
제 2 상형성부(142)는 상기 제 1 상형성부(141)가 표현하기 곤란하거나 표현 불가능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의 현상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화상담지체(1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상형성부(14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상형성부(141)와 접촉되는 중간 전사벨트(130a)의 면을 제 1 면(S1), 상기 제 2 상형성부(142)와 접촉되는 중간전사벨트(130a)의 면을 제 2 면(S2)이라고 하면, 상기 제 1 면(S1)과 제 2 면(S2)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되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141)(142)가 상하 배치될 수 있어, 현상유닛(14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2 상형성부(142)는 라이트 시안 색상을 인쇄할 수 있는 제 1 보조 현상기(142a)와 라이트 마젠타 색상을 인쇄할 수 있는 제 2 보조 현상기(142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4색 만을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할 경우, 담색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해당 색상에 해당되는 부분에 도트 수를 줄여 사진과 같은 고해상도를 요구하는 컬러 인쇄물의 재현성이 떨어지지만, 본 발명과 같이 라이트 시안 및/또는 라이트 마젠타와 같이 담색 표현이 가능한 보조 현상기를 추가할 경우, 색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2 상형성부(1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화상이 인쇄된 용지에 코팅효과를 줄 수 있도록 투명 색상을 인쇄할 수 있는 1개의 보조 현상기(242)만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색 인쇄를 위한 라이트 시안, 라이트 마젠타와 화상 오염 보정 및 보안문서 작업등을 위한 화이트 등의 3가지 색상을 인쇄할 수 있는 제 1 내지 제 3 보조 현상기(342a~342c)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일, 상기 제 2 상형성부(142)가 도 2 및 도 4와 같이 2개 이상의 보조 현상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경우, 각각의 보조 현상기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상형성부(141)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4 현상기(141a~141d)의 배치 간격(D1)과 같도 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필요에 따라 D1의 정수배(n×D1)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상형성부(141)와 제 2 상형성부(142)는 제 1 구동롤러(131)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D2)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 간격(D2)은 상기 제 1 상형성부(141)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4 현상기(141a~141d) 각각의 배치 간격(D1)의 정수배(n×D1)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때, n의 값은 1 이상의 정수로 마련되는 것이 좋은데, 도 2과 같이 제 1 상형성부(141)와 제 2 상형성부(142)가 인쇄화상담지체(3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될 경우, n=4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형성부(141)와 제 2 상형성부(142)가 인쇄화상담지체(13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될 경우, 상기 광주사장치(150)는 제 1 및 제 2 광주사장치(151)(152)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광주사장치(151)는 상기 제 1 상형성부(141)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광주사장치(152)는 상기 제 2 상형성부(142)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광주사장치(151)는 급지유닛(110)과 제 1 상형성부(141)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광주사장치(152)는 상기 제 2 상형성부(142)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컬러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쇄가 시작되면, 급지유닛(110)에 수납된 용지는 픽업되어, 이송유닛(120)에 의해 인쇄화상담지체(130)과 현상유닛(140)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현상유 닛(140)의 제 1 및 제 2 상형성부(141)(142)에는 각각 색상별 정보에 따른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인쇄화상을 인쇄화상담지체(130)에 전사한다.
전사 순서는 제 1 상형성부(141)에서 먼저 컬러 화상을 전사한 후, 제 2 상형성부(142)에서 2차로 전사할 수도 있고, 상기 제 2 상형성부(142)의 화상을 먼저 인쇄화상담지체(130)에 전사하고, 그 후에 제 1 상형성부(141)의 화상을 전사할 수도 있다.
만일, 제 2 상형성부(142)에 담색의 라이트 시안 및 라이트 마젠타 색상으로 인쇄화상을 형성한다면, 최적화된 인쇄속도를 위해, 제 2 상형성부(142)의 전사를 먼저 수행하고, 제 1 상형성부(141)이 제 2 상형성부(142)에 의해 전사된 컬러 화상에 중첩하여,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을 중첩하여 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상형성부(141)(142)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141)(142)을 구성하는 각각의 현상기 및 보조 현상기 사이의 간격을 모두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형성부(141)를 구성하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4색의 현상기 사이의 배치 간격을 D1이라고 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141)(142) 사이의 배치 간격(D2)은 D1의 정수배(n×D1)으로 설정되는데, 이와 같이 정수배로 간격을 설정하면, 소정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전사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 화상이 정확한 위치에 중첩되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화상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상형성부(141)(142) 사이에 배치되어 중간전사벨트(130a)를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롤러(131)의 속도(V1) 보다, 용지에 컬러 화상을 전사하기 위해 전사롤러(13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 2 구동롤러(132)의 속도(V2)를 1% 정도 빠르게 설정하면, 중간전사벨트(130a)의 주행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1 상형성부(141)는 제 1 및 제 2 현상기를 가지고, 제 2 상형성부(142)는 1개의 제 3 현상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현상기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4색 중 2개의 색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제 3 현상기는 라이트 시안, 라이트 마젠타, 화이트, 투명 색상 중 하나의 색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출력하는 인쇄내용, 잔여 현상제량 등에 따라 여러가지 인쇄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상형성부(141)에서 구현 가능한 색상으로만 인쇄를 원할 경우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책 4색을 이용하는 제 1 인쇄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4색과 다른 색상으로 화이트, 라이트 시안, 라이트 마젠타, 투명 색상 등을 구비한 제 2 상형성부(142)를 이용한 인쇄를 원하는 경우에는 제 2 인쇄모드를 옵션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모드의 지정은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패널을 통해서 수행할 수도 있고,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PC나, 서버, 화상형성장치 또는 화상독취장치 등에서 원격으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블루투스, 802.11 표준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4색이 표현하기 어려운 담색 표현을 위해 라이트 시안 및/또는 라이트 마젠타 색상의 현상기를 추가하면, 보다 색 재현성이 우수한 컬러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4색을 사용하는 제 1 상형성부(141)의 반대편에 추가 색상을 구비한 제 2 상형성부(142)을 배치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중간전사벨트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재료비 절감 또한 가능하다.
또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각각의 색상 현상기의 이격 거리(D1)의 정수배로 제 1 상형성부(141)와 제 2 상형성부(142)의 이격 거리를 설정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상형성부(141)(142)의 배치로 인해, 구동부 기어비에 따른 주기적 변동과, 벨트의 구동속도 불균일화에 의한 주기적 변동에서 발생하는 각 컬러별 현상 불일치의 보정을 손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컬러 화상형성장치 110; 급지유닛
120; 이송유닛 130; 인쇄화상담지체
140; 컬러 현상유닛 141; 제 1 상형성부
142; 제 2 상형성부 150; 광주사장치
160; 정착유닛 170; 배지유닛

Claims (18)

  1.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4색으로 구성되며, 각 색상별로 개별적으로 마련된 제 1 내지 제 4 현상기가 일정 간격(D1)으로 배치된 제 1 상형성부;
    상기 제 1 상형성부의 색상을 보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현상기를 가지는 제 2 상형성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의 인쇄 화상을 이송시키는 인쇄화상담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 간의 거리(D2)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현상기의 배치 간격(D1)의 정수배(n×D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여기서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는 상기 인쇄화상담지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화상담지체는 무한궤도로 회전 가능한 벨트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화상담지체는 중간전사유닛 또는 용지이송전사유닛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광주사장치는,
    상기 제 1 상형성부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제 1 광주사장치; 및
    상기 제 2 상형성부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제 2 광주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화상담지체는,
    중간전사벨트;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 사이에 배치된 제 1 구동롤러;
    상기 인쇄 용지에 컬러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롤러와 대응되는 제 2 구동롤러;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롤러의 속도(V2)는 상기 제 1 구동롤러의 속도(V1) 보다 0~3% 빠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형성부는,
    상기 제 2 상형성부가 인쇄화상담지체에 인쇄 화상을 전사한 후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순서로 컬러 인쇄화상을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형성부는,
    라이트 시안 색상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제 1 보조 현상기; 및
    라이트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제 2 보조 현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형성부는,
    화이트 또는 투명 색상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보조 현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형성부는,
    라이트 시안 색상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제 1 보조 현상기;
    라이트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제 2 보조 현상기; 및
    화이트 색상 또는 투명 색상 중 어느 하나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제 3 보조 현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간격 D1 만큼 이격된 제 1 현상기와 제 2 현상기를 가지는 제 1 상형성부; 및 상기 제 2 현상기보다 상기 제 1 현상기에 더 가깝게 배치된 제 3 현상기를 가지는 제 2 상형성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상형성부와 제 2 상형성부는 인쇄화상담지체에 화상을 이송하고, 상기 제 1 현상기와 상기 제 2 현상기간의 인쇄화상담지체상의 거리를 D1이라고 할 때, 상기 제 1 현상기와 상기 제 3 현상기간의 인쇄화상담지체상의 거리는 상기 D1의 n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여기서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현상기에서 형성하는 화상의 색상은 모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형성부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제 1 인쇄모드; 및
    상기 제 1 및 제 2 상형성부를 모두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제 2 인쇄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모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또는 화상형성장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연결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화상담지체는 무한궤도로 회전 가능한 벨트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화상담지체는 중간전사유닛 또는 용지이송전사유닛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형성부의 제 1 및 제 2 현상기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 중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상기 제 2 상형성부의 제 3 현상기는 라이트 마젠타, 라이트 시안, 화이트, 투명 색상 중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88812A 2008-09-09 2008-09-09 화상형성장치 KR20100030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812A KR20100030046A (ko) 2008-09-09 2008-09-09 화상형성장치
US12/492,508 US20100061766A1 (en) 2008-09-09 2009-06-26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812A KR20100030046A (ko) 2008-09-09 2008-09-09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046A true KR20100030046A (ko) 2010-03-18

Family

ID=4179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812A KR20100030046A (ko) 2008-09-09 2008-09-09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61766A1 (ko)
KR (1) KR20100030046A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27060A5 (en) * 1971-02-22 1972-10-13 Manuf Gle Munitions Web advancement - by feed rolls rotating at different speeds to maintain yarn tension
US4051274A (en) * 1975-04-03 1977-09-27 Dainippon Screen Seizo Kabushiki-Kaisha Method for coating the photoresist onto a belt-like material comprising a perforated carrier and metallic foil
US6552813B2 (en) * 1996-06-11 2003-04-22 Sun Microsystems, Inc. Directing print jobs in a network printing system
JPH1026887A (ja) * 1996-07-10 1998-01-27 Canon Inc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2002023453A (ja) * 2000-07-03 2002-01-23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177591A (ja) * 2001-12-12 2003-06-27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097609B2 (ja) * 2004-02-20 2008-06-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189795A (ja) * 2004-12-09 2006-07-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調整方法
US7228088B2 (en) * 2005-01-21 2007-06-05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lor image forming method
JP2006251535A (ja) * 2005-03-11 2006-09-2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7340208B2 (en) * 2005-06-17 2008-03-04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statographic printing with generic color profiles and inverse masks based on receiver member characteristics
JP2007292836A (ja) * 2006-04-21 2007-11-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921024B2 (ja) * 2006-04-25 2012-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00101B2 (ja) * 2006-12-12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080070384A (ko) * 2007-01-26 200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인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157369A (ja) * 2007-12-07 2009-07-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61766A1 (en)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93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duced paper consumption
JP6278625B2 (ja) 測色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80861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adjusting method
JP2005311644A (ja) 画像形成装置、校正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6094295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44287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色信号変換方法
JP2007170883A (ja) テストチャート、画像データ、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2012030116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1109218A (ja) 多色画像形成装置及びレジストレーション補正方法
JP2008008967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861933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0594439C (zh) 能够改变多种调色剂之间的使用比例的成像设备
JP2010026509A (ja) 画像印刷システムをモニタリングする方法及び画像印刷システム
JP512040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11651176B2 (en) Image evaluation system
JP2013186156A (ja) 画像形成装置
JP574397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20100030046A (ko) 화상형성장치
JP2002214865A (ja) 画像出力装置の制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7030302A (ja) 画像形成装置、色変換パラメータ作成装置、テスト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69833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472467B2 (ja) 画像形成装置
JP4464145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705997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918520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色再現性補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