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742A -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 Google Patents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742A
KR20100028742A KR1020080087606A KR20080087606A KR20100028742A KR 20100028742 A KR20100028742 A KR 20100028742A KR 1020080087606 A KR1020080087606 A KR 1020080087606A KR 20080087606 A KR20080087606 A KR 20080087606A KR 20100028742 A KR20100028742 A KR 20100028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ction
heater
chamber
oven
ove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768B1 (ko
Inventor
남현식
김완수
곽동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7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768B1/ko
Priority to EP09168227.8A priority patent/EP2161508B1/en
Priority to CN2009101681894A priority patent/CN101666513B/zh
Priority to US12/554,169 priority patent/US8413647B2/en
Publication of KR20100028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5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electrically-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컨벡션히터로 사용되는 튜브히터가 히터브라켓 및 히터서포터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컨벡션히터에서 발생되는 빛 및 열은 오븐실의 내부로 대류, 전도 및 복사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히터에 의한 보다 효율적인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튜브히터의 손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전기오븐, 컨벡션장치, 튜브히터

Description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Convection device and electric ove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에 관한 것이다.
전기오븐이란 전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기기이다. 이와 같은 전기오븐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오븐실 및 상기 오븐실에서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적어도 1개의 히터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오븐실의 내부의 음식물을 복사가열하는 히터, 상기 오븐실의 내부의 음식물을 대류가열하는 튜브히터 등이 상기 전기오븐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에는 상기 튜브히터로 시즈히터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시즈히터의 경우에는 출력이 다른 종류의 히터, 예를 들면, 튜브히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출력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실의 내부에서 상기 튜브히터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효율이 저하되는 동시에 조리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튜브히터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상기 오븐실의 후면 또는 측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튜브히터로 튜브히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튜브히터를 그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여야 하지만, 현재까지는 이와 같은 상기 튜브히터의 고정구조가 제안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벡션히터로 사용되는 튜브히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오븐실과 연통되는 컨벡션챔버;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튜브 및 상기 튜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선을 포함하며, 그 단부가 상기 컨벡션챔버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컨벡션챔버의 외부로 돌출되는 컨벡션히터;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벡션히터의 열을 상기 오븐실의 내부로 대류전달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컨벡션팬; 및 상기 컨벡션히터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컨벡션챔버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컨벡션챔버의 외부로 돌출되는 히터브라켓;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오븐실과 연통되는 컨벡션챔버를 형성하는 컨벡션커버;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빛 및 열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히터; 및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벡션히터의 열을 상기 오븐실의 내부로 대류전달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컨벡션팬; 을 포 함하고, 상기 컨벡션히터의 열의 일부는 상기 컨벡션커버에 의하여 상기 오븐실의 내부로 전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오븐실과 연통되는 컨벡션챔버;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튜브 및 상기 튜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선을 포함하는 컨벡션히터;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벡션히터의 열을 상기 오븐실의 내부로 대류전달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컨벡션팬; 상기 컨벡션히터를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고정하는 적어도 1개의 히터브라켓; 및 상기 컨벡션팬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컨벡션히터와 접촉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안내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오븐실과 연통되는 컨벡션챔버;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컨벡션챔버를 관통하여 상기 컨벡션챔버의 외부로 노출되는 컨벡션히터;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벡션히터의 열을 상기 오븐실의 내부로 대류전달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컨벡션팬; 및 상기 컨벡션히터와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오븐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오븐실에 구비되고, 상기 오븐실로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열을 제공하는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의 컨벡션장치;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히터에 의한 보다 효율적인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튜브히터의 손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븐(100)의 캐비티(110)의 내부에는 오븐실(111)이 구비된다. 상기 오븐실(111)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오븐실(111)은 도어(미도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는, 예를 들면, 상기 캐비티(110)에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상기 오븐실(111)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븐실(111)의 후면에는 컨벡션장치(200)가 구비된다. 상기 컨벡션장치(200)는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대류시켜서 음식물을 조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장치의 일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장치의 다른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장치의 이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컨벡션장치(200)는, 컨벡션커버(210), 컨벡션히 터(220), 컨벡션팬(260) 및 컨벡션모터(270)를 포함한다.
상기 컨벡션커버(210)는 상기 컨벡션히터(220) 및 컨벡션팬(260)이 설치되는 컨벡션챔버(201)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벡션커버(210)는 상기 오븐실(111)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12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전면과 상기 컨벡션커버(210)의 이면 사이에 상기 컨벡션챔버(20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벡션커버(210)가, 전면부(211), 상면부(212), 하면부(213) 및 2개의 플랜지부(214)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부(211)는 대략 장방형으로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12) 및 하면부(213)는 각각 상기 전면부(211)의 상하단에서 상향 또는 하향경사지게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플랜지부(214)는 각각 상기 상면부(212) 및 하면부(213)의 선단에서 상기 전면부(211)와 평행되도록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플랜지부(214)는 각각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전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커버(210)에는 흡기구(215) 및 개구부(216)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215)는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개구부(216)는 상기 컨벡션히터(220)에서 발생되는 빛 및 열을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기구(215)는 상기 컨벡션팬(260)에 대응되는 상기 전면부(211)의 일부, 즉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전면부(21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216)는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외부에 해당하는 상기 전면 부(21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 컨벡션히터(220) 및 컨벡션팬(260)에 대한 설명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기구(215)는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고, 상기 개구부(216)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 흡기구(215) 및 개구부(216)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20) 및 컨벡션커버(210)에는 제1 및 제2공기안내부(121)(21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공기안내부(121)(217)는 상기 흡기구(21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컨벡션히터(220)와 보다 효율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공기안내부(121)는, 수평방향으로의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사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안내부(217)는, 상기 전면부(211)의 일부가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사영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링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공기안내부(121)(217)는, 각각 동일한 두께로 함몰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기안내부(121)의 전면 및 상기 제2공기안내부(217)의 이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전후간격과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커버(210)에는 다수개의 제1관통공(218)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관통공(218)은 상기 플랜지부(214)의 양측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공(218)은 상기 컨벡션커버(210)를 상기 백플레이트(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체결구(S1)가 관통하는 곳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랜지부(214)가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211)의 이면은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부(211)의 양측단부 및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전면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양측에는,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배출되는 배기구(219)가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20)에는, 2개의 히터관통공(122) 및 1개의 브라켓관통슬롯(123)이 구비된다. 상기 히터관통공(122)은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양단부가 관통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관통슬롯(123)은 후술할 히터브라켓(230)이 관통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터관통공(122) 및 브라켓관통슬롯(123)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백플레이트(120)에는 축관통공(124)이 형성된다. 상기 축관통공(124)은 후술할 모터축(271)이 관통하는 곳이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20)에는 제1 내지 제4체결공(125)(126)(127)(128)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125)은 상기 컨벡션커버(210)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제1관통공(218)을 관통한 상기 제1체결구(S1)가 체결되는 곳이다. 상기 제2 및 제3체결공(127)은, 각각 후술할 히터브라켓(230) 또는 히터서포터(240)의 고정을 위하여 제2체결구(S2) 또는 제3체결구(S3)가 체결되는 곳이다. 상기 제4체결공(128)은 상기 컨벡션모터(270)의 고정을 위한 제4체결구(S4)가 체결되는 곳이다.
상기 컨벡션히터(220)는 실질적으로 상기 오븐실(111)에서의 음식물의 조리 를 위한 빛 및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컨벡션히터(220)로 유리관 및 그 내부에 구비되는 열선을 포함하는 석영관히터나 할로겐히터와 같은 튜브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튜브히터는 종래에 컨벡션히터로 사용되는 시즈히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출력의 히터이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히터(220)에서 발생되는 빛은 상기 개구부(216)를 통하여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컨벡션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대류, 전도 및 복사에 의하여 전달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벡션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 및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대류된다. 또한 상기 컨벡션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는 상기 컨벡션커버(210)를 통하여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전도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의 나머지는 상기 개구부(216)를 통하여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복사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히터(220)는 튜브(221), 필라멘트(223), 2개의 절연부(224), 2개의 터미널(225), 연결부(226) 및 2개의 로드(227)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221)는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튜브(221)로는, 예를 들면, 대략 말굽 또는 오메가(Ω)형상으로 형성되는 석영관튜브(quartz tube)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튜브(221)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개곡선(opend curve)으로 형성되는 발열부(221A) 및 상기 발열부(221A)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지지부(221B)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21B)는 상 기 발열부(221A)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직교되게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열부(221A)는 상기 제1 및 제2공기안내부(121)(217)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발열부(221A)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은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전면과 평행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21B)는, 상기 백플레이트(12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터관통공(122) 각각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21B)에는 핀치부(22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핀치부(222)는 상기 튜브(221)의 내부를 밀봉하는 동시에 상기 필라멘트(223)의 양단 및 절연부(224)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필라멘트(223)는 상기 튜브(221)의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필라멘트(223)는 전류를 인가받아서 실질적으로 빛 및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필라멘트(223)로는, 예를 들면, 탄소필라멘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라멘트(223)가 상기 발열부(221A)에 해당하는 상기 튜브(221)의 내부에만 위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발열부(221A)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만, 빛 및 열이 발생될 것이다.
상기 절연부(224)는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양단부를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부(224)는 상기 핀치부(222)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터미널(225), 연결부(226) 및 로드(227)는 상기 필라멘트(223)에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터미널(225)은 상기 절연부(224)를 관통하여 상기 튜브(221)의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26)는 상기 필라멘트(223)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로드(227)는 상기 터미널(225)과 연결 부(226)를 연결시킨다.
상기 컨벡션히터(220)는, 1개의 히터브라켓(230) 및 적어도 1개의 히터서포터(240)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내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고정을 위하여 2개의 상기 히터서포터(240)가 사용되지만, 그 이하 또는 이상의 개수의 상기 히터서포터(24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브라켓(230)은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부(221B)를 지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브라켓(230)에는, 2개의 히터안착부(231), 2개의 히터고정부(233) 및 1개의 고정리브(235)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안착부(231)는 상기 히터브라켓(230)의 양측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안착부(231)에는, 상기 핀치부(223)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221B)가 안착된다. 상기 히터안착부(231)는 상기 핀치부(223)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221B)의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히터고정부(233)는 상기 지지부(221B)가 상기 히터안착부(2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임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히터고정부(233)는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부(221B)가 상기 히터안착부(2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핀치부(223)의 상면에 밀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히터고정부(233)는 상기 히터브라켓(230)의 양단부, 즉 상기 히터안착부(231)의 외측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고정부(233)는, 상기 히터안착부(231)에 상기 지지부(221B)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핀치부(223)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밴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235)는 상기 히터브라켓(230)의 후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리브(235)는 상기 히터브라켓(230)을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전면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리브(235)는 상기 히터브라켓(230)의 후단에 대략 직교되게 연장되어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전면에 밀착된다. 상기 고정리브(235)에는 상기 제2체결구(S2)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237)이 형성된다.
상기 히터서포터(240)는 상기 발열부(221A)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히터서포터(240)는 소정의 길이의 바아를 소정의 형상으로 밴딩하여 형성된다. 상기 히터서포터(24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서포터(240)의 탄성력은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설치 및 지지를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서포터(240)에는, 1개의 히터지지부(241), 2개의 연장부(243) 및 2개의 고정부(245)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지지부(241)는,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지지부(241)의 양단부는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상기 히터지지부(241)의 내부에는 상기 발열부(221A)가 위치된다. 상기 히터지지부(241)의 직경이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직경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은, 상기 발열부(221A)와 상기 히터지지부(241) 사이의 접촉은 최소화하면서 상기 발열부(221A)의 위치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히터지지부(241)에 의하여 상기 발열부(221A)가 임의로 위치이동되는 현상은 방지되는 동시에 상기 컨벡션히터(220)를 구성하는 튜브가 손상되는 현상은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43)는 상기 히터지지부(24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243)는 실질적으로 상기 히터지지부(241)의 양단부와 상기 고정부(245)를 각각 연결시키는 상기 발열부(225)를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부(243)가 각각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지만, 상기 연장부(24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부(245)는 상기 연장부(243)의 일단부에서 각각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45)도 상기 연장부(243)와 동일하게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245)가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됨으로써, 상기 컨벡션히터(220)는 상기 고정부(245)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히터지지부(24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45)는 상기 히터서포터(240)를 상기 오븐실(111)의 후면 내측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245)에는 상기 제3체결공(127)에 체결되는 상기 제3체결구(S3)가 관통하는 제3관통공(24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컨벡션히터(220)는 전원연결부(250)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연결부(250)는, 제1커넥터(251), 제2커넥터(253) 및 리드와이어(25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251)는 상기 터미널(225)에 연결되고, 상기 제2커넥터(253)는 상기 오븐(100)의 전원부(미도시)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제2커넥터(253)는 상기 전원부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는 별개의 연결부재, 예를 들면, 소켓 등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와이어(255)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 터(251)(253)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 전원연결부(250)는, 상기 컨벡션히터(220)가 설치된 상태, 즉 상기 컨벡션히터(220)가 상기 히터브라켓(230) 및 히터서포터(240)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컨벡션히터(22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컨벡션히터(220)가 상기 히터관통공(122)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225)에 상기 제1커넥터(251)가 연결된다.
그리고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컨벡션팬(260)은, 상기 컨벡션히터(22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열부(221A)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내부에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컨벡션히터(220)는 상기 컨벡션팬(260)의 외주연에 인접되게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컨벡션팬(260)은,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흡기구(215)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컨벡션히터(220)에 의하여 가열된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219)를 통하여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컨벡션모터(270)는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컨벡션모터(270)는 상기 컨벡션팬(26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벡션모터(270)에는 모터축(271)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축(271)은 상기 축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컨벡션팬(26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모터(270)는 모터브라켓(273)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후면에 고정된다. 상기 모터브라켓(273)에는 상기 제4체결공(128)에 체결되는 상기 제4체결구(S4)가 관통하는 제4관통공(275)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실시예를 제작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컨벡션모터(270)를 백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설치한다. 상기 컨벡션모터(270)는 모터브라켓(27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브라켓(273)의 제4관통공(275)을 관통한 제4체결구(S4)가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제4체결공(128)에 체결됨으로써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컨벡션모터(270)의 모터축(271)은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축관통공(124)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271)의 선단에 컨벡션팬(260)을 결합시킨다. 상기 컨벡션팬(260)의 결합은, 후술할 컨벡션히터(220)를 고정한 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컨벡션히터(220)를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전면에 히터브라켓(230) 및 히터서포터(24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지지부(221B)를 통하여 상기 히터서포터(240)가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발열부(221A)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지지부(221B)를 히터브라켓(230)의 히터안착부(231)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히터브라켓(230)의 히터고정부(233)를 밴딩함으로써, 상기 지지부(221B)를 상기 히터브라켓(23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21B)를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히터관통공(122)을 관통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부(221B)가 고정된 상기 히터안착부(231) 및 히터고정부(233)는 각각 상기 히터관통공(122) 또는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브라켓관통슬롯(123)을 관통한다. 또한 상기 히터브라켓(230)의 고정리브(235)는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전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2체결구(S2)를 상기 히터브라켓(230)의 제2관통공(237)을 관통하여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제2체결공(126)에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히터브라켓(230)이 상기 백플레이트(12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히터서포터(240)를 이동시켜서, 상기 히터서포터(240)를 설계된 소정의 위치, 즉 상기 히터서포터(240)의 제3관통공(247)과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제3체결공(127)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히터서포터(240)의 제3관통공(247)을 관통한 제3체결구(S3)를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제3체결공(127)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히터서포터(240)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지지부(221B)가 상기 히터관통공(122)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터미널(225)에 전원연결부(250)의 제1커넥터(251)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 전원연결부(250)의 제2커넥터(253)는 전원부에 연결되는 소켓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연결부(250)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히터(220)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전면에 컨벡션커버(210)를 고정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벡션커버(210)의 플랜지부(214)를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전면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컨벡션커버(210)의 제1관통공(218)은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제1체결공(125)과 연통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커버(210)의 제1관통공(218)을 관통한 제1체결구(S1)가 상기 백플레이트(120)의 제1 체결공(125)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컨벡션커버(210)가 상기 백플레이트(12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실시예에서 오븐실의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의 실시예에서 오븐실의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벡션장치(200)를 이용하여 오븐실(111)에서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컨벡션히터(220)가 온동작된다. 이와 동시에 컨벡션모터(270)가 구동하면 이에 의하여 컨벡션팬(260)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팬(260)이 회전하면,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의 공기가 흡기구(215)를 통하여 컨벡션챔버(201)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컨벡션히터(220)와 접촉하여 가열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안내부(121)(217)에 의하여 상기 흡기구(21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컨벡션히터(220)와 보다 효율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기구(215)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공기안내부(121)(217)에 의하여 그 유동이 간섭되어 유동속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챔버(201)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컨벡션히터(220)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컨벡션히터(22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는, 상기 컨벡 션팬(260)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배기구(219)를 통하여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대류되어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컨벡션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는 컨벡션커버(210)를 통하여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직접 전도되거나 개구부(216)를 통하여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복사된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히터(220)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은,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전도 및 복사되어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컨벡션히터(220)가 동작하면 빛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컨벡션히터(220)의 빛은 상기 개구부(216)를 통하여 상기 오븐실(111)의 내부로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컨벡션장치(200)의 동작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오븐실의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컨벡션히터로 고출력의 튜브히터가 사용된다. 따라서 전기오븐에 의한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벡션히터가 히터브라켓 및 히터홀더에 의하여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히터의 손상이 최소화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전기오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벡션히터가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원열결부에 의하여 전원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히터를 상기 전원부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컨벡션히터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장치의 일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장치의 다른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장치의 이면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의 실시예에서 오븐실의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횡단면도.

Claims (21)

  1. 오븐실과 연통되는 컨벡션챔버;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튜브 및 상기 튜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선을 포함하며, 그 단부가 상기 컨벡션챔버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컨백션챔버의 외부로 돌출되는 컨벡션히터;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벡션히터의 열을 상기 오븐실의 내부로 대류전달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컨벡션팬; 및
    상기 컨벡션히터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컨벡션챔버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컨벡션챔버의 외부로 돌출되는 히터브라켓; 을 포함하는 컨벡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브라켓에는, 상기 컨벡션히터의 단부에 형성되는 핀치부가 지지되는 컨벡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히터의 단부는 상기 컨벡션챔버의 후면에 형성되는 히터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히터브라켓의 일측은 상기 컨벡션챔버의 후면에 형성되는 브라켓관통슬롯을 관통하는 컨벡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관통공 및 브라켓관통슬롯을 서로 연통되는 컨벡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브라켓은,
    상기 컨벡션히터가 안착되는 히터안착부; 및
    상기 컨벡션챔버에 고정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컨벡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컨벡션챔버의 후면에 밀착되는 컨벡션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브라켓은, 상기 히터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컨벡션히터를 고정시키는 히터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컨벡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히터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컨벡션히터의 일측을 지지하는 히터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컨벡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서포터는, 상기 컨벡션히터를 탄성지지하는 컨벡션장치.
  10. 오븐실과 연통되는 컨벡션챔버를 형성하는 컨벡션커버;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빛 및 열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히터; 및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벡션히터의 열을 상기 오븐실의 내부로 대류전달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컨벡션팬; 을 포함하고,
    상기 컨벡션히터의 열의 일부는 상기 컨벡션커버에 의하여 상기 오븐실의 내부로 전도되는 컨벡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챔버는, 상기 오븐실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백플레이트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되는 상기 컨벡션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컨벡션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챔버의 양측단부 또는 상하단부에는 상기 백플레이트와 컨벡션커버 사이에는,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상기 오븐실의 내부로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컨벡션커버에는, 상기 오븐실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 로 흡입되는 흡기구가 형성되는 컨벡션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커버에는, 상기 컨벡션히터에서 발생되는 빛 및 열을 상기 오븐실의 내부로 전달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컨벡션장치.
  14. 오븐실과 연통되는 컨벡션챔버;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튜브 및 상기 튜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선을 포함하는 컨벡션히터;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벡션히터의 열을 상기 오븐실의 내부로 대류전달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컨벡션팬;
    상기 컨벡션히터를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고정하는 적어도 1개의 히터브라켓; 및
    상기 컨벡션팬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컨벡션히터와 접촉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안내부; 를 포함하는 컨벡션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부의 적어도 그 일부는, 상기 컨벡션챔버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컨벡션히터의 형상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컨벡션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부의 적어도 그 일부는, 상기 컨벡션히터의 외주면과의 간격이 동일하도록 상기 컨벡션챔버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컨벡션장치.
  17. 오븐실과 연통되는 컨벡션챔버;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컨벡션챔버를 관통하여 상기 컨벡션챔버의 외부로 노출되는 컨벡션히터;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벡션히터의 열을 상기 오븐실의 내부로 대류전달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컨벡션팬; 및
    상기 컨벡션히터와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부; 를 포함하는 컨벡션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컨벡션히터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
    상기 전원 또는 상기 전원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2커넥터; 및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를 연결하는 리드와이어; 를 포함하는 컨벡션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컨벡션히터에 구비되는 터미널에 연결되는 컨벡션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컨벡션챔버의 후면을 관통한 상기 컨벡션히터의 단부에 연결되는 컨벡션장치.
  21.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오븐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오븐실에 구비되고, 상기 오븐실로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열을 제공하는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의 컨벡션장치; 를 포함하는 오븐.
KR1020080087606A 2008-09-05 2008-09-05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KR101681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606A KR101681768B1 (ko) 2008-09-05 2008-09-05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EP09168227.8A EP2161508B1 (en) 2008-09-05 2009-08-20 Cooker
CN2009101681894A CN101666513B (zh) 2008-09-05 2009-09-03 炊具
US12/554,169 US8413647B2 (en) 2008-09-05 2009-09-04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606A KR101681768B1 (ko) 2008-09-05 2008-09-05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742A true KR20100028742A (ko) 2010-03-15
KR101681768B1 KR101681768B1 (ko) 2016-12-02

Family

ID=4142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606A KR101681768B1 (ko) 2008-09-05 2008-09-05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13647B2 (ko)
EP (1) EP2161508B1 (ko)
KR (1) KR101681768B1 (ko)
CN (1) CN1016665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132B1 (ko) * 2007-04-12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WO2009091145A2 (en) * 2008-01-03 2009-07-23 Lg Electronics Inc. Cook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26156B1 (ko) * 2009-05-20 2016-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N102370430B (zh) * 2010-08-25 2016-03-0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多功能烤箱
KR101520612B1 (ko) * 2013-04-30 2015-05-1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1564505B1 (ko) * 2014-04-03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20160187001A1 (en) * 2014-12-31 2016-06-30 Indesit Company S.P.A. Oven
CN104739230A (zh) * 2015-02-05 2015-07-0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内胆加热型蒸箱
KR101749116B1 (ko) * 2015-05-08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672634B1 (ko) * 2015-05-26 201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U2018316266A1 (en) * 2017-08-09 2020-02-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20220034516A1 (en) * 2020-07-29 2022-02-0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Oven cavity wrapper having a structural embossment and associated convection featu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722A (ko) * 1998-04-08 1999-11-05 윤종용 전자렌지의 히터 지지장치
KR200349859Y1 (ko) * 2004-02-27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레인지
KR20060008088A (ko) * 2004-07-23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KR20070052468A (ko) * 2005-11-17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증기 발생 장치 및 가전제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1626A (en) * 1967-05-29 1970-09-29 Anthony Olff Electrical device for visually checking credit cards
US5857079A (en) * 1994-12-23 1999-01-05 Lucent Technologies Inc. Smart card for automatic financial records
US6008478A (en) * 1996-12-05 1999-12-28 Whirlpool Corporation Heating element support system for oven
JPH11287460A (ja) 1998-04-03 1999-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KR100395559B1 (ko) * 1999-05-29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US6521870B2 (en) * 2001-01-11 2003-02-18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convection oven including halogen lamps
US6831255B1 (en) * 2003-09-11 2004-12-14 Maytag Corporation Combination radiant/convection cooking system for an electric oven
CN1779349A (zh) * 2004-11-26 2006-05-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石英管加热器的微波炉
JP2006244781A (ja) * 2005-03-01 2006-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装置
US8901462B2 (en) * 2005-07-14 2014-12-02 Lg Electronics Inc. Heating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49863B1 (ko) * 2005-10-31 201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0688016B1 (ko) * 2005-12-02 200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터유닛을 구비한 전기조리기
KR100858721B1 (ko) * 2006-11-17 200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CN201014589Y (zh) * 2007-02-12 2008-01-30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微波炉
JP4536763B2 (ja) * 2007-09-11 2010-09-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蒸気発生機能付き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722A (ko) * 1998-04-08 1999-11-05 윤종용 전자렌지의 히터 지지장치
KR200349859Y1 (ko) * 2004-02-27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레인지
KR20060008088A (ko) * 2004-07-23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KR20070052468A (ko) * 2005-11-17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증기 발생 장치 및 가전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6513B (zh) 2012-06-20
EP2161508A2 (en) 2010-03-10
US20100059035A1 (en) 2010-03-11
EP2161508A3 (en) 2013-12-18
US8413647B2 (en) 2013-04-09
KR101681768B1 (ko) 2016-12-02
EP2161508B1 (en) 2017-10-04
CN101666513A (zh)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8742A (ko)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오븐
US9404661B2 (en) Electric oven and method for servicing same
KR101544551B1 (ko) 조리기기
US10364990B2 (en) Cooking appliance
KR101222738B1 (ko) 전기 오븐
KR100774503B1 (ko) 전자 레인지
US9599348B2 (en) Cooktop with deformable hook
KR101319713B1 (ko) 조리기기의 쿡탑 유닛
KR101445949B1 (ko) 전기 오븐
KR101650575B1 (ko) 전기 오븐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690323B1 (ko) 전기 오븐
KR101673595B1 (ko) 전기 오븐
KR101656526B1 (ko) 전기 오븐
KR101650576B1 (ko) 전기 오븐
KR101728912B1 (ko) 전기 오븐
KR101460356B1 (ko)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101756990B1 (ko)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52115B1 (ko) 전기 오븐
KR10068866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백가드부 장착구조
KR101705358B1 (ko) 전기 오븐
KR100674720B1 (ko) 전기오븐 도어의 내부유리 장착구조
KR20090006395A (ko)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
KR20050086115A (ko) 전기오븐의 조리물선반 구조
KR20120079359A (ko) 조리기기
KR20090109958A (ko)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527

Effective date: 201604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