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958A -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958A
KR20090109958A KR1020080035474A KR20080035474A KR20090109958A KR 20090109958 A KR20090109958 A KR 20090109958A KR 1020080035474 A KR1020080035474 A KR 1020080035474A KR 20080035474 A KR20080035474 A KR 20080035474A KR 20090109958 A KR20090109958 A KR 20090109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ction
heater
slot
inner co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태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9958A/ko
Publication of KR2009010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5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electrically-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컨백션히터가 별개의 히터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이너커버 및 아웃커버에 구비되는 관통슬롯, 관통개구 및 스토핑리브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컨백션히터를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조리기기, 컨백션장치, 컨백션커버, 컨백션히터

Description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Convection device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를 장착하기 위한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란 전기나 가스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원으로 컨백션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컨백션장치는, 컨백션커버, 컨백션팬 및 컨백션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컨백션팬의 구동에 의하여 조리실과 상기 컨백션커버에 의하여 형성되는 컴백션챔버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컨백션히터에 의하여 가열됨으로써, 상기 조리실에서 고온의 공기에 의하여 음식물이 대류가열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컨백션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컨백션히터는 별도의 히터브라켓에 의하여 상기 컨백션커버의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컨백션히터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및 이를 상기 컨백션히터 및 상기 컨백션커버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작업공정이 소요 되므로, 상기 컨백션히터의 고정이 복잡해진다.
또한 상기 컨백션히터로 사용되는 시즈히터(Sheath heater)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브라켓을 사용하여 상기 컨백션커버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컨백션히터로 석영관히터(Quartz heater)와 같은 튜브히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튜브히터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절연부에 대한 냉각을 고려하여 상기 튜브히터를 고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튜브히터의 경우에는 상기 시즈히터의 경우와 같이 히터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므로, 이를 고정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컨백션히터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컨백션히터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컨백션챔버를 형성하는 이너커버; 상기 이너커버를 차폐하는 아웃터커버;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컨백션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이너커버 및 아웃터커버를 차례로 관통하여 그 외면이 상기 이너커버 및 아웃터커버의 일측에 밀착되는 컨백션히터; 및 상기 이너커버 및 아웃터커버를 관통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컨백션히터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컨백션챔버를 형성하는 이너커버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상기 이너커버를 차폐하는 아웃터커버에 구비되는 누름부재; 상기 이너커버 및 아웃터커버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스토핑부재; 및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컨백션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컨백션챔버의 외부로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핑부재에 밀착되고, 상기 아웃터커버가 상기 이너커버를 차폐하면 상기 누름부재에 의하여 눌려지는 컨백션히터; 를 포함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컨백션챔버를 형성하는 이너커버에 형성되는 관통슬롯; 상기 이너커버를 차폐하는 아웃터커버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슬롯과 중첩되는 관통개구; 상기 컨백션챔버의 외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와 중첩되는 스토핑리브;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컨백션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의 중첩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히티스토핑리브에 밀착되는 컨백션히터; 를 포함하고, 상기 컨백션히터의 일단부가 상기 컨백션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스토핑리브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터커버가 상기 이너커버를 차폐하면, 상기 컨백션히터의 일단부가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의 중첩되는 부분을 관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의 내부의 음식물을 대류가열시키는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의 컨백션장치;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컨백션히터를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백션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백션장치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의 캐비티(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11)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11)은 도어(1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13)는 상기 캐비티(10)에 대하여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상기 조리실(11)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3)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10)의 전면 상단부에는 컨트롤패널(15)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5)은,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조리기기(1)에는,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에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가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가열원으로는, 상기 조리실(11)의 상면/저면에 설치되어 히터열에 의하여 음식물의 복사가열하는 어퍼히터/바텀히터(미도시), 상기 조리실(11)의 후면에 설치되어 히터열에 의하여 음식물을 대류가열하는 컨백션장치(100)(도 2 및 도 3 참조) 및 상기 조리실(11)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미도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컨백션장치(100)는, 컨백션커버, 컨백션팬(미도시), 컨백션모터(미도시) 및 컨백션히터(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백션장치(100)가 상기 조리실(11)의 후면에 설치되지만, 상기 조리실(11)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컨백션장치(100)가 설치되는 상기 조리실(11)의 일면에는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와 상기 컨백션장치의 내부의 공기의 순환을 위한 흡입구 및 배기구가 형성될 것이다.
상기 컨백션커버는 이너커버(110) 및 아웃터커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커버(110)는 상기 조리실(11)의 후면 외측에 고정된다. 상기 아웃터커버(120)는 상기 이너커버(110)를 차폐하도록 상기 조리실(11)의 후면 외측에 고정된다. 상기 이너커버(110)로는 상기 컨백션히터(130)의 히터열을 반사시킬 수 있는 금속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커버(120)로는, 소정의 강도의 확보 및 상기 컨백션히터(130)의 히터열의 차단을 위하여, 예를 들면, 스틸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너커버(110)는, 전면부(111), 테두리부(112) 및 플랜지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커버(110)의 전면부(111)는 각각 장방형의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커버(110)의 테두리부(112)는, 상기 이너커버(110)의 전면부(111)의 테두리부분에서 상기 이너커버(110)의 전면부(111)에 직교되게 연장된다. 한편 상기 이너커버(110)의 플랜지부(113)는, 상기 이너커버(110)의 테두리부(112)의 선단부에서 상기 이너커버(110)의 전면부(111)에 평행되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커버(110)가 상기 조리실(11)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11)의 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10)의 일면과 상기 이너커버(110)의 전면부(111) 및 테두리부(112) 사이에는, 상기 컨백션팬 및 컨백션히터가 설치되는 소정의 공간, 즉 컨백션챔버(101)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커버(120)도, 상기 이너커버(110)와 동일하게, 전면부(121), 테두리부(122) 및 플랜지부(123)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이너커버(110) 및 아웃터커버(120)는, 적어도 상기 아웃터커버(120)가 상기 이너커버(110)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너커버(110)의 전면부(111) 및 테두리부(112)가 상기 아웃터커버(120)의 전면부(121) 및 테두리부(122)와 이격되고, 상기 이너커버(110)의 플랜지부(113)와 상기 아웃터커버(120)의 플랜지부(123)는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이너커버(110) 및 아웃터커버(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커버(110)에는 적어도 2개의 관통슬롯(11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롯(114)은 상기 이너커버(110)의 테두리부(112) 중 서로 마주보는 부분 일부가 각각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롯(114)은, 상기 컨백션히터(130)의 양단부,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할 절연부(135)가 각각 관통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상기 관통슬롯(114)이 절연부(135)의 단면 크기 이상의 면적을 가지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도면상 상기 관통슬롯(114)의 하단에는 각각 지지돌기(115)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돌기(115)는, 도 3에서 도면상 상기 관통슬롯(114)을 관통하는 절연부(135)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관통슬롯(114)을 제외한 상기 이너커버(110)의 테두리부(112) 중 나머지 부분이 상기 지지돌기(115)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이너커버(110)에는 적어도 2개의 스토핑리브(116)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핑리브(116)는, 상기 관통슬롯(114)을 관통한 절연부(135)의 상기 관통슬 롯(114)을 관통하는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토핑리브(116)는, 상기 관통슬롯(114)에 인접하는 상기 이너커버(110)의 플랜지부(113)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이너커버(110)의 플랜지부(113)의 후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핑리브(116)의 선단부 일부는 적어도 상기 관통슬롯(114)의 일부와 중첩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핑리브(116)의 선단부에는 상기 관통슬롯(114)를 관통한 절연부(135)가 안착되는 안착홈(11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17)은 상기 스토핑리브(116)의 선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117)의 하부는 직선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117)의 하단에 해당하는 상기 스토핑리브(116)의 선단부에는 밀착부(118)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부(118)는 상기 안착홈(117)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개되는 상기 스토핑리브(116)의 일부가 도 3에서 대략 도면상 수평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118)에는, 상기 안착홈(117)에 안착되는 절연부(135)의 외면 일부가 밀착된다.
한편 상기 안착홈(117)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스토핑리브(116)의 일측에는 스토퍼(119)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19)는, 실질적으로 상기 관통개구(124)를 관통한 절연부(135)와 밀착되는 곳이다. 상기 스토퍼(119)는, 상기 안착홈(117)에 인접하는 상기 스토핑리브(116)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커버(120)에는 적어도 2개의 관통개구(12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개구(124)는, 상기 관통슬롯(114)을 관통한 절연부(135) 및 상기 스토핑 리브(116)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관통개구(124)는, 상기 관통슬롯(114)에 대응하는 상기 아웃터커버(120)의 테두리부(122)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 및 상기 스토핑리브(116)에 대응하는 상기 아웃터커버(120)의 플랜지부(123)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개구(124)는, 상기 관통슬롯(114)과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개구(124)의 상단은 상기 관통슬롯(114)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슬롯(114) 및 관통개구(124)의 중첩되는 부분은 절연부(135)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면상 상기 관통개구(124)의 상단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터커버(120)의 테두리부(123)의 일측에는 누름돌기(12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누름돌기(125)는, 상기 스토핑리브(116)에 지지된 절연부(135), 즉 실질적으로 상기 안착홈(117)에 안착된 절연부(135)의 상부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누름돌기(125)가 상기 관통개구(124)를 제외한 상기 아웃터커버(120)의 테두리부(123)의 나머지 부분에 의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컨백션팬 및 컨백션모터는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와 상기 컨백션챔버(101)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상기 컨백션팬은 상기 컨백션챔버(10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백션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컨백션모터는 상기 아웃터커버(120)의 전면부(121) 외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백션히터(130)는 상기 컨백션챔버(10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컨백션히터(130)는 상기 컨백션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와 상기 컨백션챔버(101)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조리실(11)의 내부 에서 음식물의 대류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백션히터(130)는 튜브(131), 필라멘트(131), 절연부(135) 및 단자부(139)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131)는 실질적으로 상기 컨백션챔버(101)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튜브(131)로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석영관튜브(quartz tub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131)는 상기 튜브(131)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필라멘트(131)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서 히터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필라멘트(131)는, 예를 들면, 탄소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35)는 상기 튜브(131)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상기 필라멘트(131)의 양단부를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단자부(139)는, 상기 단자부(139)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필라멘트(131)와 외부전원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절연부(135)는, 상기 튜브(131)가 상기 컨백션챔버(101)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슬롯(114) 및 관통개구(124)를 관통하여 상기 컨백션챔버(101)의 외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135)는 제1유동방지부(136) 및 제2유동방지부(137)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유동방지부(136)는 상기 튜브(13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동방지부(137)는 상기 제1유동방지부(136)의 선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유동방지부(136)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유동방지부(137)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외주면 일부가 평면을 이루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절연부(135)의 선단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2유동방지부(137)가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절연부(135)의 선단부가 단차짐으로써, 상 기 제2유동방지부(137)가 형성된다고도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동방지부(136)는, 상기 아웃터커버(120)가 상기 이너커버(110)를 차폐한 상태에서, 그 외주면이 각각 도 3에서 도면상 상기 관통슬롯(114)의 하부 상기 관통개구(124)의 상부에 밀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유동방지부(136)의 외주면의 하부는 상기 지지돌기(115)에 지지되고, 상기 제1유동방지부(136)의 외주면 상부는 상기 누름돌기(125)에 의하여 눌러진다. 또한 상기 제1유동방지부(136)의 선단부는 상기 스토핑리브(116)의 선단부 일측, 실질적으로는 상기 스토퍼(119)에 밀착된다. 상기 제2유동방지부(137)는, 상기 아웃터커버(120)가 상기 이너커버(110)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안착홈(117)에 안착되고 상기 밀착부(118)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스토핑리브(116)에 지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 의하여 컨백션히터를 고정하는 과정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이너커버(110)가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컨백션히터(130)의 양단부, 즉 절연부(135)가 각각 관통슬롯(114)을 관통하여 컨백션챔버(101)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컨백션히터(130)를 상기 이너커버(110)에 결합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백션히터(130)를 상기 컨백션챔버(101)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이동시켜서 상기 절연부(135) 중 어느 하나 및 이에 인접하는 튜브(131)의 일부가 상기 관통슬롯(114)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컨백션챔버(101)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컨백션히터(130)를 회동시켜서 수평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연부(135)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관통슬롯(114) 중 나머지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컨백션챔버(101)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절연부(135)가 각각 상기 관통슬롯(114)을 관통하여 상기 컨백션챔버(101)의 외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부(135), 보다 상세하게는, 제1유동방지부(136)의 외주면 일부가 지지돌기(115)에 각각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절연부(135), 보다 상세하게는, 제2유동방지부(137)의 외주면 일부는 스토핑리브(116)의 안착홈(117)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스토핑리브(116)의 밀착부(118)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컨백션히터(130)는 그 방사방향 중 도 3에서 도면상 180°내지 360°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동방지부(137)에 인접하는 상기 제1유동방지부(136)의 선단부는, 상기 스토핑리브(116)의 스토퍼(119)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컨백션히터(130)는 그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커버(110)를 차폐하도록 아웃터커버(120)를 이동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슬롯(114)과 관통개구(124)가 대응되는 위치되도록 상기 아웃터커버(120)를 상기 이너커버(110)의 상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아웃터커버(12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아웃터커버(120)가 상기 이너커버(110)를 차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절연부(135)는 상기 관통개구(124)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유동방지부(136)의 외주면 일부는 상기 관통개구(124)의 상부, 즉 누름돌기(125)에 의하여 눌러진다. 따라서 상기 컨백션히터(130)는 그 방사방향 중 도 3에서 도면상 대략 0°내지 180°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너커버(110), 아웃터커버(120) 및 컨백션히터(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커버(110) 및 아웃터커버(120)를 조리실(11)(도 1 참조)의 후면에 해당하는 캐비티(10)(도 1 참조)의 일면에 고정시킨다. 물론 상기 이너커버(110) 및 아웃터커버(120)를 상기 캐비티(10)의 일면에 고정시키기 전에, 컨백션팬 및 컨백션모터를 상기 컨백션챔버(101)의 내부 또는 상기 아웃터커버(12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백션장치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이너커버(210) 및 아웃터커버(220)가 각각 전면부(211)(221), 테두리부(212)(222) 및 플렌지부(213)(223)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커버(210)와 아웃터커버(220)에 각각 관통슬롯(214) 및 스토핑리브(216) 또는 관통개구(2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슬롯(214)에는 지지돌기(2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핑리브(216)에는, 안착홈(217)이 형성되고, 스토퍼(219) 가 구비된다. 상기 관통개구(224)에는 누름돌기(22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핑리브(116)에 구비되는 밀착부(118)가 삭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백션히터(230)의 절연부(235)에 스토퍼삽입슬릿(238)이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삽입슬릿(238)은 상기 절연부(235)의 외주연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연부(235)가 상기 안착홈(217)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삽입슬릿(238)에는, 상기 안착홈(217)에 인접하는 상기 스토핑리브(216)의 일부, 즉 상기 스토퍼(219)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219)가 상기 스토퍼삽입슬릿(238)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백션히터(230)가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백션히터로 튜브히터가 사용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컨백션히터로 다른 종류의 히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절연부가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핑리브에 지지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들 들면, 상기 절연부 이외에 별개의 지지부재가 상기 컨백션히터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별개의 히터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컨백션커버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커버에 의하여 컨백션히터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컨백션히터를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컨백션히터로 석영관히터와 같은 튜브히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절연부의 과열이 방지되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백션히터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히터를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백션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백션장치를 보인 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 의하여 컨백션히터를 고정하는 과정을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백션장치를 보인 횡단면도.

Claims (22)

  1. 컨백션챔버를 형성하는 이너커버;
    상기 이너커버를 차폐하는 아웃터커버;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컨백션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이너커버 및 아웃터커버를 차례로 관통하여 그 외면이 상기 이너커버 및 아웃터커버의 일측에 밀착되는 컨백션히터; 및
    상기 이너커버 및 아웃터커버를 관통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컨백션히터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컨백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백션히터는, 상기 이너커버에 형성되는 관통슬롯 및 상기 아웃터커버에 형성되는 관통개구를 차례로 관통하는 컨백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는, 상기 컨백션히터가 관통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컨백션히터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는 컨백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는, 상기 컨백션히터가 관통하는 방향으로 상기 컨백션히터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중첩되는 컨백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너커버 또는 아웃터커버의 일측에서 상기 컨백션히터가 상기 이너커버 및 아웃터커버를 관통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컨백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너커버 또는 아웃터커버의 일부가 밴딩되어 형성되는 컨백션장치.
  7. 컨백션챔버를 형성하는 이너커버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상기 이너커버를 차폐하는 아웃터커버에 구비되는 누름부재;
    상기 이너커버 및 아웃터커버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스토핑부재; 및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컨백션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컨백션챔버의 외부로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핑부재에 밀착되고, 상기 아웃터커버가 상기 이너커버를 차폐하면 상기 누름부재에 의하여 눌려지는 컨백션히터; 를 포함하는 컨백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백션히터의 일단부는, 상기 이너커버에 형성되는 관통슬롯 및 상기 아웃터커버에 형성되는 관통개구를 관통하는 컨백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는, 각각 상기 컨백션히터의 관통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의 단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는 컨백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관통슬롯의 내연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관통개구의 내연 일측에 구비되는 컨백션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누름부재 및 스토핑부재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컨백션챔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상기 컨백션히터가 관통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컨백션장치.
  12. 컨백션챔버를 형성하는 이너커버에 형성되는 관통슬롯;
    상기 이너커버를 차폐하는 아웃터커버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 슬롯과 중첩되는 관통개구;
    상기 컨백션챔버의 외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와 중첩되는 스토핑리브;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컨백션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의 중첩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히티스토핑리브에 밀착되는 컨백션히터; 를 포함하고,
    상기 컨백션히터의 일단부가 상기 컨백션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스토핑리브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터커버가 상기 이너커버를 차폐하면, 상기 컨백션히터의 일단부가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의 중첩되는 부분을 관통하는 컨백션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리브는, 상기 관통슬롯에 인접하는 상기 이너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는 컨백션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백션히터의 일단부의 외면은, 각각 상기 관통슬롯의 내연에 구비되는 지지돌기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터커버가 상기 이너커버를 차폐하면, 상기 관통개구의 내연에 구비되는 히터누름돌기에 의하여 눌려지는 컨백션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상기 컨백션히터의 외면의 일측과 상기 히터누름돌기에 눌려지는 상기 컨백션히터의 외면의 일측은, 상기 컨백션히터가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컨백션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상기 컨백션히터의 외면의 일측과 상기 히터누름돌기에 눌려지는 상기 컨백션히터의 외면의 일측은, 상기 컨백션히터가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를 관통하는 방향에 대한 방사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컨백션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백션히터의 단부에 구비되는 절연부가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의 중첩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스토핑리브에 밀착되는 컨백션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관통슬롯의 내연에 구비되는 지지돌기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개구의 내연에 구비되는 히터누름돌기에 의하여 눌려지고, 상기 스토핑리브에 밀착되는 제1유동방지부; 및
    상기 제1유동방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토핑리브에 지지되는 제2유동방지부; 를 포함하는 컨백션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방지부에 비하여 상기 제2유동방지부가, 상기 컨백션히터가 상기 관통슬롯 및 관통개구의 중첩되는 부분을 관통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의 단면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컨백션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스토핑리브가 삽입되는 스토퍼삽입슬릿이 형성되는 컨백션장치.
  21.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의 내부의 음식물을 대류가열시키는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의 컨백션장치;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백션챔버는, 상기 이너커버의 내측과 상기 조리실의 일면을 형성하는 상기 캐비티의 외측 사이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KR1020080035474A 2008-04-17 2008-04-17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90109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474A KR20090109958A (ko) 2008-04-17 2008-04-17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474A KR20090109958A (ko) 2008-04-17 2008-04-17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958A true KR20090109958A (ko) 2009-10-21

Family

ID=4153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474A KR20090109958A (ko) 2008-04-17 2008-04-17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99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60228A1 (en) Cooking appliance
KR20200012310A (ko) 조리기기
KR20070099548A (ko) 전자레인지용 히터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US10663173B2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20050031286A (ko) 전자렌지
KR20090109958A (ko) 컨백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EP1902255B1 (en)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microwave for microwave oven
KR100618229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베이스 장착구조
JP2014235838A (ja) 加熱調理器
KR20060098733A (ko) 전자오븐레인지의 컨벡션 커버 체결 구조
KR101756990B1 (ko)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960006060Y1 (ko) 할로겐 램프 설치구조
KR200386574Y1 (ko) 전기오븐의 할로겐히터 장착구조
KR100302903B1 (ko) 전자렌지의 히터 지지장치
KR101004860B1 (ko) 히터브라켓,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20120079360A (ko) 컨벡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460356B1 (ko) 컨벡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100776437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체결구조
KR101052099B1 (ko) 전자레인지
JPH09145062A (ja) 電子レンジ
KR101453276B1 (ko) 전자레인지
KR200371499Y1 (ko) 전자레인지용 히터어셈블리
KR20040087219A (ko) 전자레인지
KR102037380B1 (ko) 조리 기기
EP3090604A1 (en) Improved microwave leakproof door for combination convection/microwave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