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996A - 파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파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996A
KR20100027996A KR1020090082276A KR20090082276A KR20100027996A KR 20100027996 A KR20100027996 A KR 20100027996A KR 1020090082276 A KR1020090082276 A KR 1020090082276A KR 20090082276 A KR20090082276 A KR 20090082276A KR 20100027996 A KR20100027996 A KR 2010002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yclic olefin
olefin resin
retardation film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꾸히로 우시노
야스따께 이노우에
아끼히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용제에 의해, 내접하는 필름 표면부에 용제를 공급하여 표면 근방을 용해시켜 접착시킴으로써, 2매의 위상차 필름끼리의 접착성이 우수한 파장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장판은, 특정한 구조 단위를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 및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가 직접 접하여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장판, 위상차 필름, 환상 올레핀계 수지

Description

파장판 및 그의 제조 방법{WAVELENGTH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장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끼리 용제에 의해, 내접하는 필름 표면부만이 용해되어,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파장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 장치는 비접촉, 단위 부피당 많은 정보량, 고속 액세스성, 저비용 등의 이유로 최근 크게 발전하고 있는 광학 정보 기록ㆍ재생 장치이며, 이들 특징을 활용하여 각종 기록 매체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미리 기록된 정보를 소리나 화상 또는 컴퓨터용 프로그램 등으로 재생하는 컴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LD), CD-ROM, DVD-ROM 등, 레이저에 의해 정보를 1회만 기록하고, 이러한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CD-R이나 DVD-R, 정보의 기록 재생을 반복할 수 있는 광 자기 디스크(MO)나 DVD-RAM, DVD-RW 등이 개발되어 있다.
광학 정보 기록ㆍ재생 장치에서의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기 위한 광학계 장치로서는,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광 검출기에 이르는 광로의 도중 위치에 편광 빔 분할기(PBS) 및 1/4 λ 파장판(QWP)(이하 "1/4 파장판"이라고도 함)이 배치된 광 픽업 장치가 알려져 있다.
여기서, "1/4 파장판"이란 특정 파장이 직교하는 2개의 편광 성분 사이에 λ/4의 광로차(따라서, π/2의 위상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광 픽업 장치에서는,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직선 편광(S파)이 조사되어 PBS를 통과하고, 1/4 파장판을 통과함으로써 직선 편광이 원편광이 되어, 집광 렌즈에 의해 광학 기록 매체에 조사된다.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된 귀환광은 다시 동일한 경로를 찾아 1/4 파장판을 통과함으로써 원편광이 90도 방위로 변환되어 직선 편광(P파)이 되고, PBS를 통과하여 광 검출기에 유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재기록 가능형 광 자기 디스크 장치로서, 레이저 광원으로부터의 조사광이 편광자, PBS를 통과하여 광 자기 디스크에 조사되고, 광 자기 디스크로 반사된 귀환광이 다시 PBS를 통과하여, 광 검출기에 이르는 광로의 도중 위치에 1/2 λ 파장판(이하 "1/2 파장판"이라고도 함)이 배치된 것도 알려져 있다.
여기서, "1/2 파장판"이란 특정 파장이 직교하는 2개의 편광 성분 사이에 λ/2의 광로차(따라서, π의 위상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장판으로서는, 복굴절성을 갖는 운모, 석영, 수정, 방해석, LiNbO3, LiTaO3 등의 단결정으로 형성되는 파장판, 유리 기판 등의 바탕 기판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무기 재료를 증착함으로써 얻어지는 바탕 기판의 표면에 복굴절막을 갖는 파장판, 복굴절성을 갖는 LB(Langmuir-Blodget)막을 갖는 파장판등 무기계인 것이 종래 사용되었다.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PC), 트리아세틸아세테이트(TAC), 폴리비닐 알코올(PVA), 폴리비닐부티랄(PVB),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배향시킴으로써 투과광에 위상차를 제공하는 기능을 부여한 필름(이하 "위상차 필름"이라고도 함)을, 평탄성, 정형성 유지를 위해 유리 기판에 접착한 파장판이나, 2매의 유리 기판으로 협지(挾持)한 파장판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투명 수지 필름을 연신한 것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 투명성이나 위상차값의 안정성 등의 광학 특성이나 내구성에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위상차 필름으로서 종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PC, TAC, PVA 또는 PET계의 수지 필름은, 유리 전이 온도(Tg)가 낮고 내열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재생 및/또는 추기를 행하기 위한 광학 장치를 제조할 때의 공정 온도, 예를 들면 납땜이나 접착 공정에서의 온도에 제한이 생기거나, 연속 사용에 의해 특성의 변화가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고밀도 정보 기록 매체로서 DVD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지만, 한편 이미 시장에는 CD, CD-ROM, CD-R과 같은 재생 전용 광 디스크가 널리 보급되어 있기 때문에, 광 디스크 장치에 대하여 이들 방식이 상이한 다종의 광 디스크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겸용할 수 있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응용 분야의 확대에 따라 소형화, 저가격화도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들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복수의 기록 및 판독용 레이저에 대응하기 위한 광대역 파장판의 사용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그러나, 복수매의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여 광대역 파장판으로 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착제나 접착 시트 등의 재질의 영향으로 광학 특성의 저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것을 경감시키기 위해 접착층을 얇게 하면 필름간의 접착 강도가 저하된다는 이율 배반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접착층을 설치하지 않는 필름 적층체로서, 복수의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을 용매 용접에 의해 적층하여 얻어지는 카르보네이트 필름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적층하여 얻어지는 파장판에는 접착 강도, 광학 특성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 광학 특성의 면내 균일성, 광축의 각도 정렬 정밀도 등이 요구되며, 이들을 만족하는 광대역 파장판은 발견되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0170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0891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77433호 공보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용제에 의해, 내접하는 필름 표면부에 용제를 공급하여 표면 근방을 용해시켜 접착시킴으로써, 2매의 위상차 필름끼리의 접착성이 우수한 파장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용제에 의해, 내접하는 필름 표면부만을 용해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파장판이 접착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파장판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 및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가 직접 접하여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9053969128-PAT00001
(식 중, P는 독립적으로 화학식: -CH=CH-로 표시되는 기, 또는 화학식: -CH2CH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x는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0 또는 1을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i) 내지 (v)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거나, (vi) 또는 (vii)을 나타내고,
(i) 수소 원자,
(ii) 할로겐 원자,
(iii) 극성기,
(iv)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또는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연결기를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15의 탄화수소기,
(v)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15의 탄화수소기,
(vi) R1과 R2 또는 R3과 R4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알킬리덴기를 나타내고, 상기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i) 내지 (v)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고,
(vii) R1과 R2, R3과 R4 또는 R2와 R3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단환 또는 다환의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상기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i) 내지 (v)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냄)
또한, 본 발명의 파장판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환 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 및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가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제를 공급하여, 내접하는 필름이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제는 추가로 1종 이상의 알코올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케톤류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2-헵타논 및 시클로헥사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스테르류는 아세트산부틸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A) 및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는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장판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기 공정 (a) 및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정 (a):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과,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의 내접하는 측의 적어도 한쪽 필름 표면에 용제를 공급하는 공정, 및
공정 (b): 상기 필름 (I)과 상기 필름 (II)를 가압하여 접착시키는 공정.
상기 용제는 상기 위상차 필름 (II)가 상기 위상차 필름 (I)에 대하여 가압되는 위치에 근접하여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추가로 1종 이상의 알코올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케톤류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2-헵타논 및 시클로헥사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스테르류는 아세트산부틸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A) 및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는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원의 파장판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 및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가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파장판이며, 내접하는 위상차 필름 (I) 및/또는 위상차 필름 (II)의 접착면부가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제를 함유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용제에 의해, 내접하는 필름 표면부에 용제를 공급하여 표면 근방을 용해 및/또는 팽윤시켜 접착함으로써, 2매의 위상차 필름끼리의 접착성이 우수한 파장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파장판>
본 발명의 파장판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 및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가 직접 접하여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53969128-PAT00002
(식 중, P는 독립적으로 화학식: -CH=CH-로 표시되는 기, 또는 화학식: -CH2CH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또는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연결기를 가질 수도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15의 탄화수소기; 또는 상기 탄화수소기 이외의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1과 R2 또는 R3과 R4는 서로 결합하여 알킬리덴기를 형성할 수도 있고, R1과 R2, R3과 R4 또는 R2와 R3은 서로 결합하여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할 수도 있되, 단, 상기 탄소환 및 상기 복소환은 단환 구 조 또는 다환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x는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0 또는 1을 나타냄)
[위상차 필름 (I)]
(환상 올레핀계 수지 (A))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노르보르넨계 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필요에 따라 추가로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단량체 조성물]
단량체 조성물에 사용되는 노르보르넨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노르보르넨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53969128-PAT00003
(식 중,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또는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연결기를 가질 수도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15의 탄화수소기; 또는 상기 탄화수소기 이외의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1과 R2 또는 R3과 R4는 서로 결합하여 알킬리덴기를 형성 할 수도 있고, R1과 R2, R3과 R4 또는 R2와 R3은 서로 결합하여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할 수도 있되, 단, 상기 탄소환 및 상기 복소환은 단환 구조 또는 다환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x는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0 또는 1을 나타냄)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노르보르넨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비시클로[2.2.1]헵트-2-엔(노르보르넨),
5-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에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클로헥실-비시클로[2.2.1]헵트-2-엔,
5-페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4-비페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메톡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페녹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페녹시에틸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페닐카르보닐옥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메틸-5-메톡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메틸-5-페녹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메틸-5-페녹시에틸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비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에틸리덴-비시클로[2.2.1]헵트-2-엔,
5,5-디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6-디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플루오로-비시클로[2.2.1]헵트-2-엔,
5-클로로-비시클로[2.2.1]헵트-2-엔,
5-브로모-비시클로[2.2.1]헵트-2-엔,
5,6-디플루오로-비시클로[2.2.1]헵트-2-엔,
5,6-디클로로-비시클로[2.2.1]헵트-2-엔,
5,6-디브로모-비시클로[2.2.1]헵트-2-엔,
5-히드록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히드록시에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아노-비시클로[2.2.1]헵트-2-엔,
5-아미노-비시클로[2.2.1]헵트-2-엔,
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엔,
7-메틸-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에틸-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시클로헥실-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페닐-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4-비페닐)-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8-디메틸-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8,9-트리메틸-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8-메틸-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엔,
8-페닐-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엔,
7-플루오로-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클로로-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브로모-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8-디클로로-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8,9-트리클로로-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클로로메틸-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디클로로메틸-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트리클로로메틸-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히드록시-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시아노-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7-아미노-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펜타시클로[7.4.0.13,6.110,13.02,7]펜타데카-4-엔,
헥사시클로[8.4.0.14,7.12,9.111,14.03,8]헵타데카-5-엔,
8-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실-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페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4-비페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페녹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페녹시에틸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페닐카르보닐옥시-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틸-8-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틸-8-페녹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틸-8-페녹시에틸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비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8-디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9-디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플루오로-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클로로-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브로모-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8-디클로로-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9-디클로로-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8,9,9-테트라클로로-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히드록시-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히드록시에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틸-8-히드록시에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아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아미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또한, 이들 노르보르넨계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노르보르넨계 화합물의 종류 및 양은 얻어지는 수지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이들 노르보르넨계 화합물 중, 상기 R1 내지 R4가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또는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연결기를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15의 탄화수소기(X)를 갖는 노르보르넨계 화합물을 사용하면, 다른 소재와의 접착성이나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화학식 2 중, R1 및 R3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탄화수소기,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또는 R4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치환기(X)를 갖는 기를 나타내고, 다른 하나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3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는 노 르보르넨계 화합물은, 수지의 흡수(습)성이 낮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극성 구조를 갖는 기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인 노르보르넨계 화합물은, 얻어지는 수지의 내열성과 흡수(습)성의 균형을 이루기 쉬워 바람직하다.
-(CH2)zCOOR
(식 중,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15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z는 0 또는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냄)
상기 화학식 3 중, z가 0 또는 작은 정수를 나타낼수록 얻어지는 수소 첨가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져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z는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z가 0인 단량체는 그의 합성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3 중, R은 탄소 원자수가 많을수록 얻어지는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의 흡수(습)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지만, 유리 전이 온도가 저하되는 경향도 있기 때문에, 내열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가 결합된 탄소 원자에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 특히 메틸기가 결합되어 있으면, 내열성과 흡수(습)성의 균형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2에서 x가 0 또는 1이고, y가 0 또는 1인 것이 바람직하며, x=0, y=1인 화합물은 반응성이 높고, 고수율로 중합체가 얻어지고, 내열성이 높은 중합체 수소 첨가물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공 업적으로 입수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8-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틸-8-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을 들 수 있으며, 8-메틸-8-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이 바람직하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얻을 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노르보르넨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단량체 조성물에 포함시켜 중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시클로도데센 등의 환상 올레핀; 1,4-시클로옥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도데카트리엔 등의 비공액 환상 폴리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중합 방법]
상기 단량체 조성물의 중합 방법에 대해서는, 단량체 조성물의 중합이 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개환 (공)중합 반응 또는 부가 (공)중합 반응에 의해 중합할 수 있다. 중합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76552호 공보에 기재된 개환 (공)중합 또는 부가 (공)중합과 동일한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할 수 있으며, 상기 공보에 기재된 수소 첨가 반응과 동일하게 하여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수소 첨가할 수 있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 (A)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통상적으로 1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이상이다. Tg가 상기 범위 내이면, 파장판 제조시에 받는 열 이력에 대하여 이 수지 필름의 변형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 (I)은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상기 수지 (A)를 성형하여 수지 (A)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수지 (A) 필름을 연신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지 (A)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2,6-디-t-부틸-4-메틸페놀, 2,2'-디옥시-3,3'-디-t-부틸-5,5'-디메틸디페닐메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용액 캐스팅법에 의해 수지 (A)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레벨링제나 소포제를 첨가함으로써 그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첨가제는 수지 (A) 필름을 제조할 때 환상 올레핀계 수지 (A) 등과 함께 혼합할 수도 있고,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제조할 때 첨가함으로써 미리 함유될 수도 있다. 또한, 첨가량은 목적으로 하는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환상 올레핀계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0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A) 필름의 제조 방법]
수지 (A) 필름은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용융 성형하거나, 또는 용매에 용해하여 캐스팅(캐스트 성형)하는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성형할 수 있다.
(a) 용융 성형
수지 (A) 필름은 환상 올레핀계 수지 (A) 또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와 상술한 첨가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용융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용융 성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 용융 압출 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b) 캐스팅
수지 (A) 필름은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용매에 용해한 액상 수지 조성물을 적절한 기재 위에 캐스팅하여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틸 벨트, 스틸 드럼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기재 위에 상기 액상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용제를 건조시키고, 그 후 기재로부터 도막을 박리함으로써 수지 (A)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수지 (A) 필름 중의 잔류 용제량은 가능한 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잔존 용제량이 통상적으로 3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이다. 잔류 용제량이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필름이 변형되거나 특성이 변화되어 원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수지 (A) 필름은 그 두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5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복굴절성이 높아지며, 투명성, 외관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수지 (A) 필름은 광 투과성이 통상적으로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 방법]
수지 (A) 필름은, 접착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알칼리 처리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 플라즈마 처리 및 코로나 처리가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의 조건은 사용되는 수지 필름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지만, 수지 필름 표면의 물의 접촉각이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로나 처리를 헬륨,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등의 분위기하에 행함으로써, 한층 더 친용매화 효과가 얻어진다.
[연신 처리 방법]
연신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일축 연신 처리의 경우 연신 속도는 통상적으로 1 내지 5,000 %/분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 %/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분이 다.
이축 연신 처리법의 경우, 동시에 2 방향으로 연신 처리를 행하는 방법, 일축 연신 처리한 후 상기 연신 처리에서의 연신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신 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2개의 연신축의 교각(交角)은 목적으로 하는 파장판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120 내지 60도의 범위이다. 또한, 연신 속도는 각 연신 방향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으며, 통상적으로 1 내지 5,000 %/분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 %/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분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분이다.
연신 처리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기준으로 하여 Tg±30 ℃, 바람직하게는 Tg±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Tg-5 ℃ 내지 Tg+15 ℃의 범위이다. 연신 처리 온도를 상기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에 위상차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굴절률 타원체의 제어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은 목적으로 하는 파장판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1.01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1.03 내지 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 내지 3배이다. 연신 배율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연신 필름의 위상차의 제어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연신 처리된 필름은 그대로 냉각할 수도 있지만, Tg-20 ℃ 내지 Tg의 온도 분위기하에 적어도 10초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30초간 내지 60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분간 유지한 후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투과광의 위상차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적고, 안정적인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연신 처리가 실시된 필름은 연신 처리에 의해 분자가 배향되는 결과, 투과광에 위상차를 제공하게 되지만, 이 위상차는 연신 배율, 연신 온도 또는 필름의 두께 등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수지 (A)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5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환상 올레핀계 수지 (A) 필름은 시판품일 수도 있고, 예를 들면 "ARTON(등록 상표) FILM"(JSR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ZEONOR(등록 상표)", "ZEONEX(등록 상표)"(이상, 니혼 제온(주) 제조), "TOPAS(등록 상표)"(폴리플라스틱스(주) 제조), "APEL(등록 상표)"(미쯔이 가가꾸(주) 제조) 등이 바람직하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
[환상 올레핀계 수지 (B)]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는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A)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노르보르넨계 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53969128-PAT00004
(식 중, P는 독립적으로 화학식: -CH=CH-로 표시되는 기, 또는 화학식: -CH2CH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x는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0 또는 1을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i) 내지 (v)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거나, (vi) 또는 (vii)을 나타내고,
(i) 수소 원자, (ii) 할로겐 원자, (iii) 극성기, (iv)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또는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연결기를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15의 탄화수소기, (v)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15의 탄화수소기, (vi) R1과 R2 또는 R3과 R4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알킬리덴기를 나타내고, 상기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i) 내지 (v)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고, (vii) R1과 R2, R3과 R4 또는 R2와 R3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단환 또는 다환의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상기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i) 내지 (v)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냄)
또한, 단량체 조성물은, 환상 올레핀계 수지 (A)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 (II)]
위상차 필름 (II)는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B),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상술한 첨가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표면 처리 방법 및 연신 처리 방법도 상술한 것과 동일하고, 수지 제조상의 효율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B)가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A)와 동일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파장판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기 공정 (a) 및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공정 (a):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과,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의 내접하는 측의 적어도 한쪽 필름 표면에 용제를 공급하는 공정, 및
공정 (b): 상기 필름 (I)과 상기 필름 (II)를 가압하여 접착시키는 공정.
(용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제는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추가로 1종 이상의 알코올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케톤류]
케톤류가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2-헵타논 및 시클로헥사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면,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양용매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스테르류]
에스테르류가 아세트산부틸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이면,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양용매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알코올류]
알코올류가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이소부틸 알코올 및 N-부틸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면,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빈용매이며, 양용매와의 혼합에 의해 용해성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2매의 필름을 포함하는 파장판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3매 이상의 필름을 포함하는 파장판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이들 공정을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공정 (a))
공정 (a)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과,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의 내접하는 측의 적어도 한쪽 필름 표면부에 용제를 공급하는 공정이다.
도 1에서, 상기 위상차 필름 (I) (20)은 지지체 (35)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위상차 필름 (I) (20)의 표면에 용제 디스펜서 (80)에 의해 용제 (70)을 침 (75)로부터 공급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상차 필름 (II) (30)이 상기 위상차 필름 (I) (20)에 대하여 가압되는 위치(컨택트 포인트 (90))에 근접하여, 용제 디스펜서 (80)에 의해 용제 (70)을 침 (75)로부터 공급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상차 필름 (II) (30)이 상기 위상차 필름 (I) (20)에 대하여 가압되는 위치(컨택트 포인트 (90))에 근접하여, 용제 디스펜서 (80)에 의해 용제 (70)을 침 (75)로부터 1 쇼트로 공급하여 용제 저장소 (85)를 형성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 (I) (20)의 표면부에만 용제 (70)을 공급하는 공정이다.
위상차 필름 (I) (20)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5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이다. 위상차 필름 (I) (20)의 두께가 5 ㎛ 미만이면, 취급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500 ㎛를 초과하면, 위상차 필름 (I) (20)을 롤상으로 권취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레이저광의 고투과도를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의 파장판으로서는 투과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위상차 필름 (II) (30)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5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이다. 상기 위상차 필름 (I)과 마찬가지로 위상차 필름 (II) (30)의 두께가 5 ㎛ 미만이면 취급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500 ㎛를 초과하면 위상차 필름 (II) (30)을 롤상으로 권취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레이저광의 고투과도를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의 파장판으로서는 투과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용제로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공급되는 용제량은 위상차 필름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상기 위상차 필름 (I) (20)의 표면부 10 ㎠당 통상적으로 2.5 μL 이상을 필요로 한다.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A) 및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는 용제에 의한 접합이기 때문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b))
공정 (b)란, 상기 위상차 필름 (I)과 상기 위상차 필름 (II)를 가압하여 접착시키는 공정이다.
도 1에 따르면, 공정 (b)는 용제 (70)에 의해 표면 근방이 용해된 상기 위상차 필름 (I) (20)과 상기 위상차 필름 (II) (30)을 롤러 마운트 (65)에 의해 컨택트 포인트 (90)을 가압하고,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필름끼리를 순차적으로 접착시켜 적층 필름을 얻는 공정이다. 이 때, 상기 위상차 필름 (II) (30)의 표면부는, 상기 위상차 필름 (I) (20)에 공급된 용제에 의해 용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 마운트 (65)를 이동시키는 속도는 통상적으로 0.1 내지 20 m/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분이다.
롤러 마운트 (65)에 의해 컨택트 포인트 (90)을 가압하는 압력은 통상적으로 0.01 내지 2 MPa,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MPa이다. 가압하는 압력이 0.01 MPa 미만이면, 필름간에 과도하게 용제가 잔존하여 접착 계면층이 비후화되어 광학 특성이 악화된다. 또한, 가압하는 압력이 2 MPa을 초과하면, 필름 전체에 휘어짐이 발생하여 커팅 등의 후가공에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압력 및 속도를 최적화함으로써 필름 변형을 억제하고, 적량의 용제를 필름면 내에 신전(伸展)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는 접합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 (b) 후, 얻어진 적층 필름을 건조할 수 있다. 건조 조건은 통상적으로 50 ℃에서 1 시간 정도이다.
이 건조에 의해 공정 (a)에서 공급한 용제의 대부분이 휘발ㆍ소실되지만, 용제의 종류 및 건조 조건에 따라 용제의 일부가 필름 내에 잔류하는 경우도 있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나타내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는 질량부를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밀착성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
접착 강도의 측정 방법은 JIS K 6854-3에 준거하고, 박리 결과는 이하와 같이 한다.
◎: 박리 후의 필름이 백화되고, 필름의 균열도 발생한 것
○: 박리 후의 필름이 백화된 것
△: 박리 후의 필름 일부는 백화되지만, 부분적으로 투명성을 갖는 것
×: 약한 힘으로도 간단하게 필름끼리 격리되고, 계면이 투명성을 갖는 것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면내 수차 측정은, 후지논 가부시끼가이샤(주) 제조, 소구경 레이저 간섭계 R10을 사용하여, 5 ㎜φ의 범위에 대하여 파장 650 ㎚의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투과 파면 수차(mλ)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위상차를 악소메트릭스사(Axometrics) 제조의 편광ㆍ위상차 측정/해석 장치를 사용하여, 665 ㎚의 파장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주)히타치 세이사꾸쇼 제조의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파장 665 ㎚의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합성예 1]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8-메틸-8-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특정 단량체) 250부, 1-헥센(분자량 조절제) 18부, 톨루엔(개환 중합 반응용 용매) 750부를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투입하고, 이 용액을 60 ℃로 가열하였다.
Figure 112009053969128-PAT00005
이어서, 반응 용기 내의 용액에 중합 촉매로서 트리에틸알루미늄(1.5 몰/L)의 톨루엔 용액 0.62부, t-부탄올 및 메탄올로 변성한 육염화텅스텐(t-부탄올:메탄 올:텅스텐=0.35 몰:0.3 몰:1 몰)의 톨루엔 용액(농도 0.05 몰/L) 3.7부를 첨가하고, 이 계를 80 ℃에서 3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함으로써 개환 중합 반응시켜 개환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이 중합 반응에서의 중합 전화율은 97 %였으며, 얻어진 개환 중합체에 대하여 30 ℃의 클로로포름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inh)는 0.75 dL/g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개환 중합체 용액 4,000부를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이 개환 중합체 용액에 RuHCl(CO)[P(C6H5)3]3 0.48부를 첨가하고, 수소 가스압100 ㎏/㎠, 반응 온도 165 ℃의 조건하에 3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여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였다.
얻어진 반응 용액(수소 첨가 중합체 용액)을 냉각한 후, 수소 가스를 방압(放壓)하였다. 이 반응 용액을 대량의 메탄올 중에 부어 응고물을 분리 회수하고, 이것을 건조하여 수소 첨가 중합체(이하 "수지 A"라고 함)를 얻었다.
수지 A에 대하여 1H-NMR을 사용하여 수소 첨가율을 측정한 바, 99.9 %였다. 수지 A에 대하여 DSC법에 의해 유리 전이 온도(Tg)를 측정한 바, 165 ℃였다. 수지 A에 대하여 GPC법(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 평균 분자량(Mn) 및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측정한 바, Mn은 32,000, Mw는 137,000, 분자량 분포(Mw/Mn)는 4.29였다. 수지 A에 대하여 23 ℃에서의 포화 흡수율을 측정한 바, 0.3 %였다. 또한, SP값을 측정한 바, 19(MPa1/2)였다. 또한, 해당 수지에 대하여 30 ℃의 클로로포름 중에서 고유 점도(ηinh)를 측정한 바, 0.78 dL/g이었다. 또한, 겔 함유량은 0.4 %였다.
[합성예 2]
합성예 1에서, 특정 단량체로서 8-메틸-8-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225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비시클로[2.2.1]헵트-2-엔 25부를 사용하고, 1-헥센(분자량 조절제)의 첨가량을 30부로 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소 첨가 중합체를 얻었다.
Figure 112009053969128-PAT00006
얻어진 수소 첨가 중합체(이하 "수지 B"라고 함)의 수소 첨가율은 99.9 %였다. 수지 B에 대하여 DSC법에 의해 유리 전이 온도(Tg)를 측정한 바, 140 ℃였다. 수지 B에 대하여 GPC법(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 평균 분자량(Mn) 및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측정한 바, Mn은 36,000, Mw는 137,000, 분자량 분포(Mw/Mn)는 3.81이었다. 수지 B에 대하여 23 ℃에서의 포화 흡수율을 측정한 바, 0.22 %였다. 또한, SP값을 측정한 바, 19(MPa1/2)였다. 수지 B에 대하여 30 ℃의 클로로포름 중에서 고유 점도(ηinh)를 측정한 바, 0.75 dL/g이었다. 또한, 겔 함유량은 0.2 %였다.
[제조예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수지 A를 톨루엔에 농도 30 %(실온에서의 용액 점도는 30,000 mPaㆍS)가 되도록 용해하고, 이노우에 긴조꾸 고교(주) 제조의 INVEX 라보코터를 사용하여, 아크릴계 수지로 친수화(용이한 접착) 표면 처리한 두께 100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도레이(주) 제조, 루미러 U94)에 건조 후의 필름 두께가 100 ㎛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것을 50 ℃에서 일차 건조한 후, 90 ℃에서 이차 건조를 행하였다. PET 필름으로부터 박리하여, 수지 필름 A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 필름 A를 필름 텐터 내에서 175 ℃로 가열하고, 연신 속도 400 %/분으로 1.4배로 일축 연신한 후, 110 ℃의 분위기하에 1분간 이 상태를 유지하고,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취출한 바, 두께가 89 ㎛이고, 파장 655 ㎚에서의 위상차가 160 ㎚인 위상차 필름 (I)이 얻어졌다.
[제조예 2]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수지 필름 A를 필름 텐터 내에서 175 ℃로 가열하고, 연신 속도 400 %/분으로 2.1배로 일축 연신한 후, 110 ℃의 분위기하에 1분간 이 상태를 유지하고,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취출한 바, 두께가 81 ㎛이고, 파장 655 ㎚에서의 위상차가 330 ㎚인 위상차 필름 (II-A)가 얻어졌다.
[제조예 3]
제조예 2에서 수지 (A) 대신에 수지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위상차 필름 (II-B)가 얻어졌다.
[실시예 1]
29.7 ㎝×21 ㎝의 유리판 위에, 각각의 광축이 60°가 되도록 세로 20 ㎝×가로 15 ㎝로 제조한 두께 86 ㎛의 위상차 필름 (I)과 두께 81 ㎛의 위상차 필름 (II-A)를 중첩하고(즉, 유리판, 위상차 필름 (I), 위상차 필름 (II-A)의 순으로 중첩한 상태), 필름과 필름 사이의 라미네이트 개시단으로부터 5 ㎜, 필름 횡폭의 중앙에 용제로서 2-헵타논을 100 μL 적하하고, 라미네이트 장치(다이세이 라미네이터(주) 제조, 모델명 VAII-700)를 사용하여 0.5 MPa의 압력을 인가하여, 용융 접착하였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위상차 필름 (II-A) 대신에 위상차 필름 (II-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용제로서 메틸이소부틸케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용제로서 시클로헥사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용제로서 아세트산부틸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용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용제로서 2-헵타논 대신에 2-헵타논과 에탄올의 혼합 용액(중량 혼합비 7: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위상차 필름 (II-A) 대신에 "제오노아"(니혼 제온(주) 제조 필름)의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용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 n-프로필에테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용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용제로서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용제로서 에탄올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용제로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밀착성 평가 및 면내 수차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의 "-"는 측정이 불가능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53969128-PAT00007
본 발명의 파장판을 사용한 광학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음성 및/또는 화상의 기록에 대하여 재생 전용 기록 매체, 추기형 기록 매체 및 재기록 가능형 기록 매체에 모두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파장판은, CD-ROM, CD-R, 재기록 가능 DVD 등의 기록 장치, 이들을 사용하는 OA 기기, CD 등의 음향 재생 장치, DVD 등의 화상 재생 장치, 이들 장치를 포함하는 AV 기기, CD, DVD 등을 사용하는 게임기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장판은 액정 프로젝터 장치에도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장판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공정 (a) 및 공정 (b)의 한 양태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0…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
30…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
35…지지체
36…스테이지
40…필름 전송 장치
42…가이드
43…기준 가이드
45…기준 스토퍼
50…가압 롤러
60…롤러 포지셔너
65…롤러 마운트
70…용제
75…침
80…용제 디스펜서
85…용제 저장소
90…컨택트 포인트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 및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가 직접 접하여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
    <화학식 1>
    Figure 112009053969128-PAT00008
    (식 중, P는 독립적으로 화학식: -CH=CH-로 표시되는 기 또는 화학식: -CH2CH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x는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0 또는 1을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i) 내지 (v)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거나, (vi) 또는 (vii)을 나타내고,
    (i) 수소 원자,
    (ii) 할로겐 원자,
    (iii) 극성기,
    (iv)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또는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연결기를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15의 탄화수소기,
    (v)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15의 탄화수소기,
    (vi) R1과 R2 또는 R3과 R4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알킬리덴기를 나타내고, 상기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i) 내지 (v)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고,
    (vii) R1과 R2, R3과 R4 또는 R2와 R3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단환 또는 다환의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상기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i) 내지 (v)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냄)
  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 및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
    가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제를 공급하여, 내접하는 필름이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가 추가로 1종 이상의 알코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톤류가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2-헵타논 및 시클로헥사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류가 아세트산부틸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A) 및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B)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
  7. 공정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과,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의 내접하는 측의 적어도 한쪽 필름 표면에 용제를 공급하는 공정, 및
    공정 (b): 상기 필름 (I)과 상기 필름 (II)를 가압하여 접착시키는 공정
    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9053969128-PAT00009
    (식 중, P는 독립적으로 화학식: -CH=CH-로 표시되는 기 또는 화학식: -CH2CH2-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x는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0 또는 1을 나타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i) 내지 (v)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거나, (vi) 또는 (vii)을 나타내고,
    (i) 수소 원자,
    (ii) 할로겐 원자,
    (iii) 극성기,
    (iv)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또는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연결기를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15의 탄화수소기,
    (v)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15의 탄화수소기,
    (vi) R1과 R2 또는 R3과 R4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알킬리덴기를 나타내고, 상기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i) 내지 (v)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고,
    (vii) R1과 R2, R3과 R4 또는 R2와 R3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단환 또는 다환의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나타내고, 상기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i) 내지 (v)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나타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가, 상기 위상차 필름 (II)가 상기 위상차 필름 (I)에 대하여 가압되는 위치에 근접하여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의 제조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가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가 추가로 1종 이상의 알코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톤류가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2-헵타논 및 시클로헥사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류가 아세트산부틸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의 제조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A) 및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 (B)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의 제조 방법.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A)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 및
    환상 올레핀계 수지 (B)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II)
    가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파장판이며,
    내접하는 위상차 필름 (I) 및/또는 위상차 필름 (II)의 접착면부가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제를 함유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판.
KR1020090082276A 2008-09-03 2009-09-02 파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27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5941 2008-09-03
JPJP-P-2008-225941 2008-09-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996A true KR20100027996A (ko) 2010-03-11

Family

ID=4217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276A KR20100027996A (ko) 2008-09-03 2009-09-02 파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085980A (ko)
KR (1) KR201000279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2757B2 (ja) * 2013-09-11 2017-06-28 Jsr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7070552A1 (en) * 2015-10-23 2017-04-27 Sharp Gary D Optical filter with color enhance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8583B1 (en) * 2000-03-16 2003-10-28 Colorlin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minating stacks of polycarbonate films
JP3972371B2 (ja) * 2005-03-15 2007-09-05 ソニー株式会社 位相差補償板、位相差補償器、液晶表示装置および投射型画像表示装置
JP4131289B1 (ja) * 2006-07-12 2008-08-13 Jsr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ならびに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85980A (ja)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5536B2 (en) Holographic recording medium and holographic recording medium manufacturing method
KR20020005711A (ko) 광학 기억 매체
KR100992646B1 (ko) 파장판
TWI297084B (ko)
KR20100027996A (ko) 파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TW200530730A (en) Wavelength plate
JP4273321B2 (ja) 波長板
US20060086448A1 (en) Liquid crystal component
CN100397108C (zh) 波长板
JP4465526B2 (ja) 波長板
JP2005164834A (ja) 波長板
KR100944303B1 (ko) 레이저 광학계용 파장판
JP4344917B2 (ja) 2波長対応波長板
JP3919997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位相差板
JP4092552B2 (ja) 波長板
JP2003344652A (ja) 波長板
JP2004029280A (ja) レーザー光学系用波長板
JP2005134722A (ja) 光学積層体、円偏光板及び円偏光板を備える表示装置
JP2008170990A (ja) レーザー光学系用波長板の製造方法
JP3102078B2 (ja) 防湿層を有する情報記録媒体素子、該防湿層形成用フィルム、コート剤、及びスプレー
JP2024018945A (ja) 光学積層体
JP2007316609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ならびに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