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771A -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771A
KR20100027771A KR1020080086818A KR20080086818A KR20100027771A KR 20100027771 A KR20100027771 A KR 20100027771A KR 1020080086818 A KR1020080086818 A KR 1020080086818A KR 20080086818 A KR20080086818 A KR 20080086818A KR 20100027771 A KR20100027771 A KR 20100027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hinge
spring
hinge structure
lif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377B1 (ko
Inventor
이중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37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일게이트의 힌지부에 별도의 리프트 스프링를 장착하여 스프링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테일게이트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테일게이트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는 테일게이트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테일게이트 힌지구조로서, 하부 힌지브래킷과, 상기 하부 힌지브래킷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 힌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힌지플레이트의 저부에 위치하여 테일게이트의 개방 여부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되는 리프트 스프링과, 상기 리프트 스프링과 상부 힌지플레이트를 하부 힌지브래킷에 힌지 결합시키는 결착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테일게이트 힌지구조{TAIL GATE HINGE STRUCTURE}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일게이트의 개폐시 개방을 위해 소요되는 힘이 적게 되도록 하여 테일게이트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 테일게이트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일게이트의 개폐력은 차량에 있어서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주요 항목 중의 하나이다. 특히 SUV(Sports Utility Vehicle), CUV(Crossover Utility Vehicle) 와 같은 차량에서는 테일게이트에 가스리프터를 적용하여 테일게이트를 개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테일게이트 힌지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 1a 내지 도 1c 는 종래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b 는 도 1a 의 분해도이고, 도 1c 는 상기 도 1a 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도 1 의 테일게이트 힌지부에 테일게이트가 결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는 저부가 바닥면상에 고정되는 하부 힌지브래킷(11)과, 상기 하부 힌지브래킷(11)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상 부 힌지플레이트(13)와, 상기 상부 힌지플레이트(11)를 하부 힌지브래킷(110)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결착핀(1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결착핀(15)이 삽입되는 하부 힌지브래킷(11)의 내측에는 부쉬(17)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 힌지플레이트(13)는 체결부재(18)에 의해 테일게이트 이너패널(71)과 결합되어 테일게이트(70)와 일체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에서는, 테일게이트(70)의 개폐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힌지역할만을 하는 것으로, 테일게이트 (70) 개폐에 따른 별다른 힘이 제공되지 않는 구조이다.
상기한 구조의 테일게이트 힌지부를 갖는 종래의 차량에 있어서, 가스리프터(미도시)는 테일게이트(70)를 열 때 일정 구간까지 힘을 가하면 저절로 열리도록 하여 편의성을 제공하며, 테일게이트(70)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기능은 가스리프터의 팽창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실린더 내부에 고압의 질소가스를 주입해서 얻게 된다.
테일게이트의 작동 메커니즘을 보면, 사용자가 일정위치까지 힘을 작용하여 열고나면 그 이후에 테일게이트(70)가 저절로 열리기 시작하는 지점이 있는데 이 지점을 통상 '사점'이라고 한다.
그러나 최근 차량 디자인의 변경 등에 의해서 테일게이트(70)의 크기가 점점 더 커지고 중량이 무거워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운전자의 힘에 의해 테일게이트(70)를 사점까지 들어올리기까지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상의 불편이 따르게 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가스리프터의 팽창력을 크게 하여 사점까지 들어올리는데 필요한 힘이 적게 들도록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반대로 테일게이트(70)를 닫을 때 가스리프터의 과도한 팽창력 때문에 테일게이트(70)를 닫는 지점까지 과도한 힘을 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가스리프터의 팽창력을 늘리는 데는 생산 공장별로 한계가 있어 해외에서 별도로 제작, 수입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고, 실린더 내부에 높은 팽창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압의 가스리프터 실린더의 실링성을 유지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원가상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일게이트의 힌지부에 별도의 리프트 스프링를 장착하여 리프트 스프링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테일게이트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테일게이트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는 하부 힌지브래킷과, 상기 하부 힌지브래킷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 힌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힌지플레이트의 저부에 위치하여 테일게이트의 개방 여부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되는 리프트 스프링과, 상기 리프트 스프링과 상부 힌지플레이트를 하부 힌지브래킷에 힌지 결합시키는 결착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리프트 스프링은 상측에 두개의 스프링 꼬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스프링 꼬임부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온 전방의 제1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1 스프링의 후방에 위치한 제2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스프링부재는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테일게이트 이너패널의 저부에 접촉하여 테일게이트 개방시 압축된 스프링의 팽창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스프링부재는 하측단부가 일정길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하부 힌지브래킷에 접촉되도록 하여, 리프트 스프링이 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결착핀은 양측단이 하부 힌지브래킷에 형성된 결착홀의 양측단 외부로 돌출되어 나오는 돌출단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 돌출단에 리프트 스프링의 스프링 꼬임부가 결착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에 의하면, 힌지부의 조립성이 좋으며 별도의 복잡한 구조를 추가하지 않으면서도 테일게이트의 개폐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 힌지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 힌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 는 사시도이고, 도 3b 는 상기 도 3a 의 분해도이며, 도 3c 는 상기 도 3a 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는 저부가 바닥면상에 고정되는 하부 힌지브래킷(11)과, 상기 하부 힌지브래킷(11)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 힌지플레이트(13)와, 상기 상부 힌지플레이트(13)의 저부에 위치하여 테일게이트(70)의 개방 여부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되는 리프트 스프링(30)과, 상기 리프트 스프링(30)과 상부 힌지플레이트(11)를 하부 힌지브래킷(11)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결착핀(15′)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 힌지플레이트(13)는 테일게이트 이너패널(71)과 결착되는 결착홈(13a)이 형성되어 체결부재(18)에 의해 테일게이트(70)와 일체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부 힌지플레이트(13)는 하부 힌지브래킷(11)의 상단 체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특히 그 저부에 위치한 리프트 스프링(30)의 작용에 의해 리프트 스프링(30)을 압축하거나 테일게이트(70)의 개방시 리프트 스프링(30)의 팽창력을 상측의 테일게이트 이너패널(71) 측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리프트 스프링(30)은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두개의 스프링 꼬임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상측 꼬임부(13)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각각 연장되어 나온 전방의 제1 스프링부재(31)와 후방의 제2 스프링부재(35)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프링부재(31)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유(U)자 형상을 이루며, 이 유자형의 제1 스프링부재(31)가 그 상측의 테일게이트 이너패널(71)의 저부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방의 제2 스프링부재(35)는 그 하측 단부(35a)의 일정길이가 내측으로 90도 정도 절곡되어 하부 힌지브래킷(11)과의 결착시 상기 하측단부(35a)가 하부 힌지브래킷(11)상에 걸려 리프트 스프링(30)이 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의 리프트 스프링(30)을 하부 힌지브래킷(11)에 결착할 시에는 리프트 스프링(13)을 양쪽으로 벌려서 결착핀(15′)의 양측단에 걸어줌으로써 고정 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결착핀(15′)은 양측단이 하부 힌지브래킷(11)에 형성된 결착홀(11a)의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오는 돌출단(15a')으로 형성되며, 이 돌출단(15a′)이 본 발명의 리프트 스프링(30)의 상측에 형성된 결착홀(33a) 안으로 삽입됨에 의해 리프트 스프링(30)이 하부 힌지브래킷(11)상에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하부 힌지브래킷(11)과 부쉬(17) 및 상부 힌지플레이트(13)는 종래의 테일게이트 힌지에서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a 는 테일게이트가 닫힌 상태이고, 도 4b 는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에 있어서는, 리프트 스프링(30)이 장착됨으로 인하여, 테일게이트(70)가 닫힐 경우에는 리프트 스프링(30)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테일게이트(30)의 개방시에는 압축된 리프트 스프링(30)의 팽창력이 이너 테일게이트(71) 측으로 작용시켜 테일게이트(30)의 개방시 적은 힘으로도 사점 지점까지 용이하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테일게이트(70)의 개방에 필요한 작용힘의 크기를 낮출 수 있어 상품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는 종래의 테일게이트 힌지부에 결착핀(15)의 양측단의 형상만을 변경하였고, 리프트 스프링(30)은 상부 힌지플레이 트(13)를 하부 힌지브래킷(11)에 조립한 후, 상측의 결착홀(33a)이 위치한 부위를 양쪽으로 벌려서 결착핀(15′)의 양측단의 돌출부(15a′)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조립성이 좋으며 별도의 복잡한 구조를 추가하지 않으면서도 테일게이트의 개폐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c 는 종래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테일게이트 힌지에 테일게이트가 결착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 힌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 : 테일게이트 힌지 조립체 11 : 하부 힌지브래킷
13 : 상부 힌지플레이트 15,15′: 결착핀
17 : 부쉬 18 : 체결부재
30 : 리프트 스프링 70 : 테일게이트

Claims (5)

  1. 테일게이트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테일게이트 힌지구조로서,
    하부 힌지브래킷과,
    상기 하부 힌지브래킷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 힌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힌지플레이트의 저부에 위치하여 테일게이트의 개방 여부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되는 리프트 스프링과,
    상기 리프트 스프링과 상부 힌지플레이트를 하부 힌지브래킷에 힌지 결합시키는 결착핀을 포함하는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스프링은 상측에 두개의 스프링 꼬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스프링 꼬임부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온 전방의 제1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1 스프링의 후방에 위치한 제2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는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부재는 유(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테일게이트 이너패널의 저부에 접촉하여 테일게이트 개방시 압축된 상기 리프트 스프링의 팽창력이 작용되도록 한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부재는 하측단부가 일정길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하부 힌지브래킷에 걸리도록 한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결착핀은 양측단이 하부 힌지브래킷에 형성된 결착홀의 양측단 외부로 돌출되어 나오는 돌출단으로 형성되도록 한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KR1020080086818A 2008-09-03 2008-09-03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KR10095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818A KR100957377B1 (ko) 2008-09-03 2008-09-03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818A KR100957377B1 (ko) 2008-09-03 2008-09-03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771A true KR20100027771A (ko) 2010-03-11
KR100957377B1 KR100957377B1 (ko) 2010-05-11

Family

ID=4217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818A KR100957377B1 (ko) 2008-09-03 2008-09-03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6933A (zh) * 2017-05-03 2018-09-21 湖北江山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货运车可拓展车厢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185B1 (ko) * 2004-05-13 2006-02-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힌지 장치
KR100812451B1 (ko) 2006-09-29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보조 테일 게이트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6933A (zh) * 2017-05-03 2018-09-21 湖北江山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货运车可拓展车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377B1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6535B2 (en) Hinge device
US6419293B1 (en) Torsion bar for a door lid
KR100957377B1 (ko)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JP2010216203A (ja) 建具用ステー及び該ステーを備えた建具
ITMI971288A1 (it) Cerniera per sportelli di forni per cucine elettriche a gas a microonde o simili
KR101416463B1 (ko) 트렁크 리드의 토션바 토크 조절장치
KR20080008884A (ko) 냉장고 도어핸들
KR20020044359A (ko) 백도어의 힌지구조
KR20100008581A (ko) 차량용 연료필러도어
KR101199062B1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결합구조
KR100398180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용 토션바
KR20050092201A (ko) 차량 도어 인사이드 핸들 로드의 압축 코일 스프링 적용구조
CN219241641U (zh) 一种重型铰链
KR200329757Y1 (ko) 가스스프링의 링크구조
KR200390307Y1 (ko) 창문용 크리센트의 힌지축 체결을 위한 이중체결구조
KR100368380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CN200992881Y (zh) 铰链
KR100355943B1 (ko) 단일화된 트렁크 리드 힌지 토션바
KR20080043028A (ko) 차량의 연료도어 장착용 하우징
CN211081405U (zh) 一种具有抗折功能的天地铰链
KR100536608B1 (ko) 사이드 트림 및 셀프 트림 결합장치
KR100872929B1 (ko)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KR100320876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KR100521929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스톱퍼 플레이트 및 캡 스톱퍼의조립구조
KR100812464B1 (ko) 체커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