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408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408A
KR20100024408A KR1020097025695A KR20097025695A KR20100024408A KR 20100024408 A KR20100024408 A KR 20100024408A KR 1020097025695 A KR1020097025695 A KR 1020097025695A KR 20097025695 A KR20097025695 A KR 20097025695A KR 20100024408 A KR20100024408 A KR 20100024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andle
width
handle por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9119B1 (ko
Inventor
아이 오오니시
토시아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4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핸들부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나 조작성이라는 기능을 높임과 함께, 외관이 우수한 칫솔을 제공한다. 핸들부(2)의 폭광부(2a)와 폭협부(2b, 2c)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복수의 요조부(7) 및 철조부(8)를 폭방향으로 교대로 나열하여 형성함과 함께, 이들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간격을 폭광부(2a)로부터 폭협부(2a, 2b)를 향하여 핸들부(2)의 폭 변화에 응하여 점차 좁게 하고, 또한, 핸들부(2)의 요조부(7) 및 철조부(8)가 형성된 면상을 투명한 피복재(9)가 덮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로써, 핸들부(2), 및 요조부(7) 및 철조부(8)의 형상, 피복재(9)의 재질이나 두께, 경도 등에 관해서는, 이 핸들부(2)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나 조작성이라는 기능에 맞추어서 최적화하면서, 핸들부(2)의 겉모습의 형상에 관해서는, 시각 효과에 의해 외관이 우수한 특징 있는 디자인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P1020097025695
칫솔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핸들부의 선단측에 헤드부가 마련되고, 이 헤드부의 식모면에 브러시의 모속(毛束)이 식설(植設)되어 이루어지는 칫솔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년 6월 14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07-157675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칫솔은, 브러싱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핸들부에 요철부를 마련하는 등 핸들부의 형상에 궁리를 하거나, 2색 성형법 등을 이용하여 핸들부의 표면에 일래스토머나 고무 등의 미끄럼 방지부를 마련하거나 하는 등 다양한 궁리가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5를 참조).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핸들 파지부에서 엄지손가락이 누르는 부분을 평평한 단면 6각 또는 8각형으로 하고,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홈 또는 크리스탈 모양의 돌조(突條)를 마련하고, 또한 상기 홈에 직교하는 홈을 복수개 마련하여 엄지손가락의 미끄럼 방지로 한 칫솔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자루의 파지부에 단면적의 큰 팽대부를 형성하고, 이 팽대부에 단면이 거의 원형의 중앙부의 외주면을 톱니형상으로 노치하여 미끄럼 방지부를 형성하고, 사용시에 있어서의 손가락 끝의 움직임을 브러시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칫솔이 기재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조작 성향상의 목적은 아니지만, 사용중에 나오는 거품이나 액을 자루의 선단까지 스무스하게 유도하고, 손이나 소맷부리를 적시거나 더럽히거나 하지 않고서 이닦기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홈을 자루 부분의 주위 전체에 마련한 칫솔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특허 문헌 4, 5에는, 핸들부에 합성 고무나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를 마련하고, 쥐었을 때의 미끄럼을 방지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킨 칫솔의 예로서, 경질 합성수지제의 1차 핸들의 손잡이부의 외주부에 연질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고, 손잡이부의 전둘레면을 연질 합성수지로 덮은 칫솔 핸들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되는 칫솔에서는, 손잡이부의 일부만에 미끄럼 방지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의 미끄럼 방지 효과가 반드시 충분히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가 돌기형상 또는 톱니형상의 구조이고, 이들의 모서리부에 손바닥이나 손가락 끝이 닿음에 의해 통증을 느끼는 일도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칫솔에서는, 입으로부터 나오는 거품이나 액의 유도 방출만을 고려한 것이고, 미끄러짐 방지성이나 조작성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한편, 특허 문헌 4나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칫솔에서는, 손잡이부의 전둘레면이 연질 합성수지로 덮히고 있기 때문에, 양호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모선(毛先)이 항상 닦을려고 한 이의 치면(齒面)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닿도록 하여 칫솔을 움직여야 한다. 이 때문에, 칫솔의 핸들부를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서 그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조작성에 관해 더욱 개선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실개소56-7734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실개소61-199232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실개평 5-60319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국 특개2006-202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국 특개2002-34659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품 차별성이 높은 칫솔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핸들부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나 조작성이라는 기능을 높임과 함께, 외관도 우수한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핸들부의 형상에 관해 궁리를 할 필요가 있는데, 상술한 기능을 핸들부에 부가한 경우에는, 그 기능적인 제약에 의해 핸들부의 형상을 외관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가 없게 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고, 핸들부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나 조작성이라는 기능을 높임과 함께, 외관이 우수한 상품 차별성이 높은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양태의 발명은, 장척형상의 핸들부와, 이 핸들부의 선단측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브러시의 모속이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칫솔로서, 상기 핸들부가, 그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는 폭광부(幅廣部)와, 그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폭협부(幅狹部)를 가지며, 또한, 상기 폭광부로부터 상기 폭협부를 향하여, 그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폭광부와 상기 폭협부 사이에, 상기 핸들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복수의 요조부(凹條部) 및 철조부(凸條部)가 마련되고, 상기 요조부와 상기 철조부는, 상기 핸들부의 폭방향으로 교대로 나열하여 형성됨과 함께, 서로의 간격이 상기 폭광부로부터 상기 폭협부를 향하여 상기 핸들부의 폭 변화에 응하여 좁아지고 있고, 또한, 상기 요조부 및 상기 철조부가 형성된 면상(面上)을 가시광에 대해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피복재가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다.
또한, 제 2 양태의 발명은, 상기 요조부의 수가 3 내지 7개이고, 상기 요조부와 상기 철조부의 고저차(高低差)가 0.3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양태의 칫솔이다.
또한, 제 3 양태의 발명은, 상기 피복재의 상기 철조부상에서의 두께가 0.5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또는 제 2 양태의 칫솔이다.
또한, 제 4 양태의 발명은, 상기 피복재가, 연질 일래스토머 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고무 경도가 2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내지 3 양태의 어느 하나의 칫솔이다.
또한, 제 5 양태의 발명은, 상기 복수의 요조부와, 이들 요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철조부가, 상기 핸들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연속한 곡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내지 4 양태의 어느 하나의 칫솔이다.
또한, 제 6 양태의 발명은, 상기 요조부 및 상기 철조부가, 상기 핸들부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내지 5 양태의 어느 하나의 칫솔이다.
또한, 제 7 양태의 발명은, 상기 요조부 및 상기 철조부가, 상기 핸들부의 상기 피복재로 피복되는 부분중, 적어도 70% 이상의 영역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내지 6 양태의 어느 하나의 칫솔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칫솔에서는, 폭광부로부터 폭협부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핸들부의 폭광부와 폭협부 사이에, 이 핸들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복수의 요조부 및 철조부를 폭방향으로 교대로 나열하여 형성함과 함께, 이들 요조부와 철조부의 간격을 폭광부로부터 폭협부를 향하여 핸들부의 폭 변화에 응하여 점차 좁게 함에 의해, 핸들부의 겉모습상의 폭 변화를 실제보다도 강조한 것으로 하고, 폭광부를 보다 폭넓게, 폭협부를 보다 폭좁게 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칫솔에서는, 핸들부의 요조부 및 철조부가 형성된 면상을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피복재가 덮음에 의해, 요조부 및 철조부가 비쳐 보이도록 하여, 피복재의 표면에서 반사한 광과, 피복재를 통과하여 요조부 또는 철조부의 표면에서 반사하는 광과의 반사의 차이에 의한 시각 효과를 이용하여, 요조부와 철조부와의 겉모습상의 고저차를 실제보다도 강조한 것으로 하고, 요조부를 보다 깊게, 철조부를 보다 높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칫솔에서는, 핸들부, 및 요조부 및 철조부의 형상, 피복재의 재질이나 두께, 경도 등에 관해서는, 이 핸들부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나 조작성이라는 기능에 맞추어서 최적화하면서, 핸들부의 겉모습의 형상에 관해서는, 상술한 시각 효과에 의해 외관이 우수한 특징 있는 디자인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의 한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중에 도시하는 칫솔의 선분 a-a'에 의한 단면도.
도 3은 도 1중에 도시하는 칫솔을 반대측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도 1중에 도시하는 칫솔의 측면도.
도 5는 도 1중에 도시하는 칫솔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의 핸들부의 형상을 도시하고, 그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의 핸들부의 형상을 도시하고, 그 단면도.
도 7A는 비교 대상이 되는 칫솔의 핸들부를 도시하고, 그 평면도.
도 7B는 비교 대상이 되는 칫솔의 핸들부를 도시하고, 그 단면도.
도 8A는 비교 대상이 되는 칫솔의 핸들부를 도시하고, 그 평면도
도 8B는 비교 대상이 되는 칫솔의 핸들부를 도시하고, 그 단면도.
도 9A는 비교 대상이 되는 칫솔의 핸들부를 도시하고, 그 평면도.
도 9B는 비교 대상이 되는 칫솔의 핸들부를 도시하고, 그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 칫솔
2 : 핸들부
3 : 헤드부
3a : 식모면
4 : 네크부
5 : 식모구멍
6 : 스토퍼부
7 : 요조부
8 : 철조부
9 : 피복재
9a : 선세부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가 장척형상을 이루는 브러시 본체(1A)를 구비하고, 이 브러시 본체(1A)는, 장척형상의 핸들부(2)와, 이 핸들부(2)의 선단측에 마련된 헤드부(3)와, 핸들부(2)와 헤드부(3) 사이에 마련된 네크부(4)를 갖고서 구성되어 있다.
브러시 본체(1A)는, 핸들부(2)와, 이에 이어지는 네크부(4)와, 이에 이어지는 헤드부(3)가, 예를 들면 경질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헤드부(3)의 1면(식모면이라고 한다)(3a)에는, 브러시의 모속(B)을 식설 하기 위한 복수의 식모구멍(5)이 마련되어 있다.
브러시 본체(1A)에 사용되는 경질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프로피온산 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를 들 수 있지만, 이들의 재료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헤드부(3)는, 구강 내를 청소하기 쉬운 형상이나 크기라면 좋고, 그 형상에 관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네크부(4)는, 핸들부(2)와 헤드부(3)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이지만, 핸들부(2) 및 헤드부(3)로 반드시 명확하게 구별되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핸들부(2)와 네크부(4)의 구별이 없는 것도 있다. 따라서 브러시 본체(1A)는, 핸들부(2)의 선단에 헤드부(4)가 직접 마련된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모속(B)은, 예를 들면, 복수개의 브러시(필라멘트)를 묶어서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이라고 불리는 금속제의 빠짐방지 구(具)를 끼여서 식모구멍(5)에 타입(打入)함에 의해 식설되다. 또한, 도 1 및 도 5에서는, 모속(B)의 도시를 생략하고, 식모구멍(5)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헤드부(3)의 식모면(3a)에는, 통상은 헤드부(3)의 길이 방향이나 폭방향에 있어서, 원형(圓形)의 식모구멍(5)가 격자형상이나 지그재그형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나열하여 배치되지만, 식모구멍(5)의 배치나 간격, 그들의 조합 등에 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칫솔(1)의 목적 용도에 응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속(B)은, 통상은 복수개의 브러시를 개략 원형형상으로 묶은 것을 이용하지만, 이와 같은 개략 원형형상으로 묶은 것으로 한하지 않고, 개략 삼각형이나 대략 사각형 등의 개략 다각형상으로 묶어도 좋고, 또한, 개략 타원상이나, 개략 장원형상, 개략 직사각형형상, 개략 다각형형상 등 장경과 단경이 다른 형상으로 묶은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모속(B)의 식모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브러시의 모속(B)를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을 끼여서 식모구멍(5)에 고정한 평선 식모법 이외에도, 모속(B)의 하단을 헤드부(3)가 되는 용융 수지중에 압입하고 고정하는 열융착법이나, 모속(B)의 하단을 가열하고 용융괴(溶融塊)를 형성한 후에, 금형의 캐비티 내에 용융 수지를 충전하여 헤드부(3)와 일체로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브러시는, 그 재질에 관해 특히 한정되지 않는 것이지만,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예 : 6-12나일론, 6-10나일론), 폴리에스테르(예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 : 폴리프로필렌), 일래스토머(예 : 올레핀계, 스티렌계) 등의 합성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수지 재료를 복수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심초 구조 등과 같이, 심부(芯部)와 초부(칼집부)에서 다른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브러시의 종단면 형상은, 통상은 원형이지만, 그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성형, 3엽(葉)의 클로버 형, 4엽의 클로버형 등 칫솔(1)의 목적 용도에 응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의 모선(毛先) 형상에 관해서는, 모선을 둥글게 한 것, 모선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외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상의 것, 또한, 주걱 형상, 공 형상, 끝이 갈라진 형상 등 칫솔(1)의 목적 용도에 응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브러시의 모장(毛丈)은, 헤드부(3)의 식모면(3a)로부터, 어른용에서 8㎜ 내지 13㎜, 아동용에서 6㎜ 내지 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시의 굵기(최대경)는, 구강 내의 사용성이나 사용감의 점에서, 0.12㎜ 내지 0.26㎜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감이나, 쇄소감(刷掃感), 청소 효과, 내구성 등 고려하여, 두께가 다른 복수개의 브러시를 임의로 조합시켜서 이용하여도 좋다.
그런데,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에서는, 핸들부(2)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나 조작성이라는 기능을 높임과 함께, 외관을 우수한 특징 있는 디자인의 것으로 하기 위해, 핸들부(2)가 이하의 형태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부(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폭광부(2a)로부터, 그 길이 방향의 양측에 위치한 폭협부(2b, 2c)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즉, 폭광부(2a)는, 그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는 부분이고, 폭협부(2b, 2c)는, 그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부분이고, 핸들부(2)는, 이들 폭광부(2a)와 폭협부(2b, 2c) 사이에서, 그 폭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핸들부(2)의 폭은, 9 내지 17㎜의 범위에서 변화하고 있는 것이 바람 직하고, 이 범위라면, 잡기 쉬움이나 조작성, 부재의 강도 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광부(2a)로부터 폭협부(2b, 2c)를 향하여, 그 두께가 점차 적어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이 핸들부(2)는, 거의 중앙부에서,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지는 육후부(肉厚部)(2d)와, 길이 방향의 양측에서,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육박부(肉薄部)(2e, 2f)를 가지며, 또한, 육후부(2d)로부터 육박부(2e, 2f)를 향하여,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핸들부(2)의 두께는, 6 내지 15㎜의 범위에서 변화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라면, 잡기 쉬움이나 조작성, 부재의 강도 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2)의 후단부는 둥글게 됨을 띠고 있다. 또한, 핸들부(2)의 선단부에는, 스토퍼부(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6)는, 사용자가 핸들부(2)를 파지한 때의 손가락 걸림을 좋게 하기 위한 부분이고, 핸들부(2)의 양면에서 육박부(2e)보다도 두께가 두꺼워지고 있다.
폭광부(2a)와 폭협부(2b, 2c) 사이에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부(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복수의 요조부(7) 및 철조부(8)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 복수의 요조부(7) 및 철조부(8)는, 핸들부(2)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나 조작성이라는 기능을 높이기 위한 것이고, 핸들부(2)의 양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요조부(7)와 철조부(8)는, 핸들부(2)의 폭방향으로 교대로 나열하여 형성됨과 함께, 서로의 간격이폭광부(2a)로부터 폭협부(2b, 2c)를 향하여 핸들부(2)의 폭 변화에 응하여 좁아지고 있다. 또한, 핸들부(2)의 두께 변화에 응하여, 요조부(7)는,폭광부(2a)로부터 폭협부(2b, 2c)를 향하여, 그 깊이가 점차 얕아지고 있고, 철조부(8)는,폭광부(2a)로부터 폭협부(2b, 2c)를 향하여,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요조부(7)와, 이들 요조부(7)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철조부(8)는, 핸들부(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요철을 반복하면서, 연속한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핸들부(2)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요조부(7) 및 철조부(8)가 형성된 면상을 가시광에 대해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피복재(9)가 덮이여 있다. 구체적으로, 이 피복재(9)는, 상술한 요조부(7) 및 철조부(8)와 함께, 핸들부(2)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나 조작성이라는 기능을 높이기 위한 것이고, 요조부(7) 및 철조부(8)가 형성된 브러시 본체(1A)의 심부(1B)에 피착되어 있다.
심부(1B)는, 피복재(9)가 피복되는 부분으로서, 핸들부(2)의 후단부로부터 스토퍼부(6)까지의 사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피복재(9)는, 이 심부(1B)의 전둘레면을 덮음에 의해, 브러시 본체(1A)가 노출한 면과 연속한 면을 형성하고 있고, 이 피복재(9)를 포함하는 핸들부(2)의 단면(斷面) 형상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원으로 되어 있다.
피복재(9)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색 성형법에 의해 브러시 본체(1A)의 심부(1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피복재(9)는, 요조부(7) 및 철조부(8)가 비쳐 보이도록, 가시광에 대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피복재(9)에는, 미끄럼 방지 효과와 잡기 쉬움(피트감)를 얻기 위해, 연질 일래스토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연질 일래스토머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수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일래스토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수지로서, 예를 들면, 독일·크라이블그사제의 서모라이트(상품명), 미쯔비시화학 사제의 라버론(상품명), 크랄레사제의 세푸톤(상품명), 리연비닐사제의 레오스토머(상품명), 아사히가세이사제의 터프테크(상품명)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일래스토머 수지로서, 예를 들면, 미쓰이화학사제의 미라스토머(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일래스토머 수지로서, 예를 들면 미쯔비시화학사제의 푸리마로이(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질 일래스토머 수지의 고무 경도는, 적당한 미끄럼 방지 효과와 잡기 쉬움(피트감)를 얻기 위해, 20 내지 8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40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고무 경도가 20 미만이 되면, 너무 유연하여 핸들부(2)를 파지한 때에 끈적거림 느낌이 강해지고, 오염도 붙기 쉽게 된다. 또한, 심부(1B)와의 접착성이 나빠지고, 박리 등이 생기기 쉽게 된다. 한편, 이 고무 경도가 80을 초과하면, 지나치게 단단하여고 핸들부(2)를 파지한 때에 양호한 피트감을 얻을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고무 경도는, 20 내지 8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피복재(9)의 철조부(8)상에 있어서의 두께(S)는, 핸들부(2)를 파지한 때에 피복재(9)를 통하여 철조부(8)의 감촉이 전해지도록, 0.5 내지 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2.0㎜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두께가 0.5㎜ 미만이 되면, 성형시에 수지의 흐름이 나빠지고, 심부(1B)의 전둘레면을 덮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이 두께가 3.0㎜를 초과하면, 너무 두꺼워져서 철조부(8)의 감촉이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피복재(9)의 철조부(8)상에서의 두께는, 0.5 내지 3.0㎜가 바람직하다.
또한, 피복재(9)의 두께는, 요조부(7)와 철조부(8) 사이에서 변화하고 있지만, 피복재(9)의 두께가 최소가 되는 부분에서 0.5 내지 3.0㎜의 두께가 있으면, 상술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피복재(9)의 표면에는, 잔주름 가공 등을 시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잔주름 가공을 시행함에 의해, 일래스토머 수지 특유의 베타츠키 느끈적거림을 억제할 수 있고, 파지하기 쉽고, 피트감에 우수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복재(9)의 표면에서 반사하는 광과, 피복재(9)를 통과하여 요조부(7) 또는 철조부(8)의 표면에서 반사하는 광과의 반사의 차이에 의한 시각 효과에 변화를 갖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칫솔(1)에서는, 핸들부(2)를 파지한 때에 피복재(9)를 통하여 철조부(8)의 감촉이 전해짐에 의해, 핸들부(2)를 축주위로 회전시킨 때에, 그 각도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이 칫솔(1)에서는, 철조부(8)의 감촉이 전해짐에 의해, 모속(B)의 모선이 항상 닦을려고 하는 이빨의 치면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닿도록, 핸들부(2)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요조부(7)의 수는, 3 내지 7개(편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 내지 6개가, 특히 바람직하다. 요조부(7)의 수가 3개 미만이 되면, 그 사이에 형성되는 철조부(8)의 간격이 너무 넓게 되어, 그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가 없고, 한편, 요조부(7)의 수가 7개를 초과하면, 그 사이에 형성되는 철조부(8)의 간격이 너무 좁아져서, 철조부(8)의 감촉이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요조부(7)의 수는, 3 내지 7개(편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범위라면, 상술한 핸들부(2)의 형상에 의한 시각 효과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철조부(8)의 수에 관해서는, 특히 한정하지 않는 것이지만, 요조부(7)와 교대로 나열하여 형성된 경우, 기본적으로는 요조부(7)와 같은 수가 되지만, 핸들부(2)의 편면만 보면, 경우에 따라 요조부(7)의 수보다도 1개 적게 보이거나(요조부(7)의 사이에 철조부(8)가 있는 경우), 요조부(7)의 수보다도 1개 많이 보이거나(철조부(8)의 사이에 요조부(7)가 있는 경우) 하는 일도 있다.
또한,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간격에 관해서는, 0.5 내지 3.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라면, 핸들부(2)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나 조작성이라는 기능을 높임과 함께, 핸들부(2)의 외관을 우수한 특징 있는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고저차(D)는, 0.3 내지 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0.5㎜가 특히 바람직하다.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고저차(D)가 0.3㎜ 미만이 되면, 철조부(8)의 감촉이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한편,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고저차(D)가 1.0㎜를 초과하면, 피복재(9)를 성형할 때에 기포가 들어가기 쉽게 된다. 따라서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고저차(D)는, 0.3 내지 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고저차(D)는, 상술한 육후부(2d)와 육박부(2e, 2f) 사이에서 변화하고 있지만, 0.3 내지 1.0㎜의 범위라면, 상술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고저차(D)는, 요조부(7)의 경우는 요조부(7)의 깊이를, 철조부(8)의 경우는 철조부(8)의 높이를 의미한다.
또한, 요조부(7) 및 철조부(8)는, 핸들부(2)의 피복재(9)로 피복된 심부(1B)중, 적어도 70% 이상의 영역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심부(1B)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마련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팜 그립이나 펜 그립이라는 쥐는 방식을 한 경우에도, 철조부(8)가 형성된 부분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칫솔(1)에서는, 핸들부(2)에 있어서의 적당한 미끄럼 방지 효과와 잡기 쉬움(피트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핸들부(2)를 파지한 때에, 피복재(9)를 통하여 철조부(8)의 감촉이 전해지기 때문에, 각도(角度) 조정이 용이해지고, 모속(B)의 모선이 항상 닦을려고 하는 이빨의 치면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닿도록, 핸들부(2)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에서는, 핸들부(2)의 폭광부(2a)와 폭협부(2b, 2c) 사이에, 이 핸들부(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복수의 요조부(7) 및 철조부(8)를 폭방향으로 교대로 나열하여 형성함과 함께, 이들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간격을 폭광부(2a)로부터 폭협부(2b, 2c)를 향하여 핸들부(2)의 폭 변화에 응하여 점차 좁게 함에 의해, 핸들부(2)의 겉모습상의 폭 변화를 실제보다도 강조한 것으로 하고,폭광부(2a)를 보다 폭넓게, 폭협부(2b, 2c)를 보다 폭좁게 보일 수 있다. 또한, 피복재(9)의 선단측에는, 그 선단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선세부(先細部)(9)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세부(9a)를 마련함에 의해, 핸들부(2)의 선단측을 더욱 가늘게 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에서는, 핸들부(2)의 요조부(7) 및 철조부(8)가 형성된 면상을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피복재(9)가 덮음에 의해, 요조부(7) 및 철조부(8)가 비쳐 보이도록 하여, 피복재(9)의 표면에서 반사하는 광과, 피복재(9)를 통과하여 요조부(7) 또는 철조부(8)의 표면에서 반사하는 광과의 반사의 차이에 의한 시각 효과를 이용하여, 요조부(7)와 철조부(8)와의 겉모습상의 고저차를 실제보다도 강조한 것으로 하고, 요조부(7)를 보다 깊게, 철조부(8)를 보다 높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에서는, 핸들부(2), 및 요조부(7) 및 철조부(8)의 형상, 피복재(9)의 재질이나 두께, 경도 등에 관해서는, 이 핸들부(2)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나 조작성이라는 기능에 맞추어서 최적화하면서, 핸들부(2)의 겉모습의 형상에 관해서는, 상술한 시각 효과에 의해 외관이 우수한 특징 있는 디자인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에서는, 핸들부(2)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나 조작성이라는 기능을 높이면서, 외관을 우수한 것으로 함에 의해, 그 상품 차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변경 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핸들부(2)의 형상에 관해서는, 상술한 형상으로 한하지 않고, 그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는 폭광부로부터, 그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폭협부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것이면 좋고, 핸들부(2)의 선단 측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것이나, 이와 같은 형상을 핸들부(2)의 일부에 마련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요조부(7) 및 철조부(8)의 요철 형상에 관해서는, 상술한 요철 형상으로 한하지 않고, 그 저부(底部) 또는 정부(頂部)가 뾰족한 것이나, 각(角)이 진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요조부(7) 및 철조부(8)는, 상술한 핸들부(2)의 양면에 마련된 구성으로 한하지 않고, 핸들부(2)의 상기 식모면(3a)라고 대향하는 측의 면에만 마련된 구성이나, 핸들부(2)의 상기 식모면(3a)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만 마련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점두(店頭)에서 판매할 때는, 상기 식모면(3a)측을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는 일이 많기 때문, 상기 요조부(7) 및 철조부(8)는, 적어도 상기 핸들부(2)의 식모면(3a)과 대향하는 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칫솔(1)에서는, 예를 들면 상품명이나 로고 마크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볼록부을 심부(1B)에 마련하고, 이 표시 볼록부의 선단을 심부(1B)에 피착된 피복재(9)로부터 노출시킴에 의해, 외관에 우수한 표시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분명한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칫솔(1)의 핸들부(2)의 형상에 의한 시각 효과에 관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비교 실험을 행하였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칫솔(1)과 동등의 부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도면에서 같은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도시하는 칫솔은, 상기 칫솔(1)과 같은 구성, 즉, 핸들부(2)의 폭광부와 폭협부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요조부(7) 및 철조부(8)를 폭방향으로 교대로 나열하여 형성함과 함께, 이들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간격을 폭광부로부터 폭협부를 향하여 핸들부(2)의 폭 변화에 응하여 점차 좁게 하고, 또한, 핸들부(2)의 요조부(7) 및 철조부(8)가 형성된 면상을 투명한 피복재(9)가 덮음과 함께, 그 선단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선세부(9a)를 마련한 구성이다.
한편, 도 7에 도시하는 칫솔은,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간격을 폭광부와 폭협부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하고, 피복재(9)의 선단에 선세부(9a)를 마련하지 않은 이외는, 도 6에 도시하는 칫솔과 같은 구성이다.
한편, 도 8에 도시하는 칫솔은, 핸들부(2)의 폭광부와 폭협부 사이에 요조부(7) 및 철조부(8)를 마련하지 않은 이외는, 도 7에 도시하는 칫솔과 같은 구성이다.
한편, 도 9에 도시하는 칫솔은, 피복재(9)로 피복된 심부(1B)를 마련하지 않 은 이외는, 도 8에 도시하는 칫솔과 같은 구성이다.
도 6에 도시하는 칫솔에서는, 핸들부(2)의 폭광부와 폭협부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요조부(7) 및 철조부(8)를 폭방향으로 교대로 나열하여 형성함과 함께, 이들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간격을 폭광부로부터 폭협부를 향하여 핸들부(2)의 폭 변화에 응하여 점차 좁게 함에 의해, 핸들부(2)의 겉모습상의 폭 변화를 실제보다도 강조한 것으로 하고, 폭광부(2a)를 보다 폭넓게, 폭협부(2b, 2c)를 보다 폭좁게 보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칫솔에서는, 핸들부(2)의 요조부(7) 및 철조부(8)가 형성된 면상을 투명한 피복재(9)가 덮음에 의해,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겉모습상의 고저차를 실제보다도 강조한 것으로 하고, 요조부(7)를 보다 깊게, 철조부(8)를 보다 높게 보일 수 있다. 또한, 피복재(9)의 선단에 선세부(9)를 마련함에 의해, 핸들부(2)의 선단측을 보다 가늘게 보일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하는 칫솔에서는, 요조부(7)와 철조부(8)의 간격을 일정 간격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폭협부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하는 칫솔보다도 폭넓게 보여 버린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칫솔과 같이, 핸들부(2)의 폭광부와 폭협부 사이에 요조부(7) 및 철조부(8)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핸들부(2)의 조작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심부(1B)를 피복재(9)로 덮었을 뿐에서는, 폭광부를 보다 폭넓게, 폭협부를 보다 폭좁게 보인다는 시각 효과도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칫솔과 같이, 피복재(9)로 피복된 심부(1B)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핸들부(2)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도 얻어지지 않고, 핸들부(2)의 외관도 특징 있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도 6에 도시하는 칫솔에서는, 핸들부(2)의 형상을 상술한 시각 효과에 의해 볼륨감이 있으면서, 말끔한 날씬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피복재(9)로 피복된 핸들부(2)에서는, 요조부(7)에 대해 철조부(8)를 보다 입체적으로 들떠오르게 하여 보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칫솔에서는, 핸들부(2)에 있어서의 적당한 미끄럼 방지 효과와 잡기 쉬움(피트감)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핸들부(2)를 파지한 때에, 피복재(9)를 통하여 철조부(8)의 감촉이 전해지기 때문에, 각도 조정이 용이해지고, 모속(B)의 모선이 항상 닦을 려고 하는 이빨의 치면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닿하도록, 핸들부(2)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기능과 디자인과의 양립을 도모함에 의해, 상품 차별성이 높은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는, 요조부의 수(홈의 갯수), 요조부와 철조부의 고저차(홈의 깊이), 피복재의 철조부상에서의 두께(일래스토머의 두께)에 관한 검토를 행하였다.
[표 1]
Figure 112009075945564-PCT00001
우선,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홈의 갯수[개/편측], 홈의 깊이[㎜], 일 래스토머의 두께[㎜]가 다른 No. 1 내지 12의 칫솔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No. 1 내지 12의 칫솔은, 브러시 본체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스미토모화학사제, WP638C)를 사용하고, 이 수지를 1차 금형으로 사출성형함에 의해 브러시 본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No. 3 내지 12의 칫솔은, 피복재로 스티렌계의 일래스토머(쿠라레사제, 세푸톤(상품명)KC342D, 고무 경도 20)를 사용하고, 이 일래스토머를 브러시 본체가 설치된 2차 금형으로 사출성형함에 의해, 심부에 피복재가 피착된 브러시 본체를 제작하였다. 브러시 본체를 제작한 후는, 6-10나일론(도레사제)으로 이루어지는 브러시의 모속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을 끼여서 헤드부의 식모구멍에 식설함에 의해, No. 1 내지 12의 칫솔을 얻었다.
[표 2]
Figure 112009075945564-PCT00002
표 2는, No. 1의 칫솔(홈 있음/피복재 있음)과, No. 2의 칫솔(홈 없음/피복재 없음)과, No. 3의 칫솔(홈 있음/피복재 없음)에 대해, 외관성, 미끄럼 방지 효과, 및 이들의 종합 평가를 표시한 것이다.
또한, 외관성에 관해서는, 10인의 패널러중, ○은, 6인 이상이 외관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 △은, 3 내지 5인이 외관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 ×는, 2인 이하가 외관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이다.
미끄럼 방지 효과에 관해서는, 10인의 패널러에게 팜 그립으로 실제로 이닦기를 하여 받고, 그 중, ○은, 6인 이상이 미끄러지기 어렵다고 평가한 것, △은, 3 내지 5인이 미끄러지기 어렵다고 평가한 것, ×는, 2인 이하가 미끄러지기 어렵다고 평가한 것이다.
표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No. 1의 칫솔은, No. 2, 3의 칫솔보다도 외관에 우수함과 함께, 양호한 미끄럼 방지 효과가 얻어졌다는 평가를 얻었다.
N0.3의 칫솔은 핸들부의 폭방향에 대한 미끄럼 방지 효과는 얻어지지만, 길이 방향으로 대해서는 약간 효과가 얻어지지 않은 경향에 있다.
[표 3]
Figure 112009075945564-PCT00003
표 3은, No. 1, 4, 5, 6의 칫솔에 대해, 홈의 갯수에 대한 조작성을 평가한 것이다.
또한, No. 1, 4, 5, 6의 칫솔은, 홈의 깊이를 0.5㎜, 일래스토머의 두께를 1㎜로 고정하고, 홈의 갯수만을 변경한 것이다.
조작성에 관해서는, 10인의 패널러에게 팜 그립으로 실제로 이닦기를 하여 받고, 그 중, ○은, 6인 이상이 조작성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 △은, 3 내지 5인이 조작성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 ×는, 2인 이하가 조작성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이다.
표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홈의 갯수가 3 내지 7개/편측의 범위에 있는 No. 5, 1의 칫솔은, No. 4, 6의 칫솔보다도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는 평가를 얻었다.
N0. 4 칫솔은 홈의 갯수가 적기 때문에, 또한 역으로 No. 6의 칫솔은 홈의 갯수가 약간 많기 때문에 수지에 의한 홈의 감촉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았기 때문에라고 생각된다.
[표 4]
Figure 112009075945564-PCT00004
표 4는, No. 7, 8, 1, 9의 칫솔에 대해, 홈의 깊이에 대한 조작성 및 외관성을 평가한 것이다.
또한, No. 7, 8, 1, 9의 칫솔은, 홈의 갯수를 6개/편측, 일래스토머의 두께를 1㎜로 고정하고, 홈의 깊이만을 변경한 것이다.
조작성에 관해서는, 10인의 패널러에게 팜 그립으로 실제로 이닦기를 하여 받고, 그 중, ○은, 6인 이상이 조작성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 △은, 3 내지 5인이 조작성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 ×는, 2인 이하가 조작성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이다.
외관성에 관해서는, 10인의 패널러중, ○은, 6인 이상이 외관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 △은, 3 내지 5인이 외관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 ×는, 2인 이하가 외관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이다.
표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의 깊이가 0.3 내지 1.0㎜의 범위에 있는 No. 8, 1의 칫솔은, No. 7, 9의 칫솔보다도 양호한 조작성 및 외관성이 얻어진다는 평가를 얻었다.
[표 5]
Figure 112009075945564-PCT00005
표 5는, No. 10, 1, 11, 12의 칫솔에 대해, 일래스토머의 두께에 대한 조작성을 평가한 것이다.
또한, No. 10, 1, 11, 12의 칫솔은, 홈의 갯수를 6개/편측, 홈의 깊이를 0.5㎜로 고정하고, 일래스토머의 두께만을 변경한 것이다. No. 11'는 피복재에 일래스 토머 재질을 스티렌계 일래스토머(쿠라레사제, 세푸톤(상품명)JG15NST-01, 고무 경도 40)를 사용한 것이다.
조작성에 관해서는, 10인의 패널러에게 팜 그립으로 실제로 이닦기를 하여 받고, 그 중, ○은, 6인 이상이 조작성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 △은, 3 내지 5인이 조작성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 ×는, 2인 이하가 조작성에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이다.
표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래스토머의 두께가 0.5 내지 3.0㎜의 범위에 있는 No. 10, 1, 11의 칫솔은, No. 12의 칫솔보다도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졌다는 평가를 얻었다. 또한, No. 11과 피복재의 경도가 다른 No. 11'의 칫솔도, 마찬가지로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칫솔과 같은 구강용의 브러시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모발용의 브러시 등과 같이, 핸들부의 선단측에 헤드부가 마련되고, 이 헤드부의 식모면에 브러시의 모속이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브러시에 대해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장척형상의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선단측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브러시의 모속이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칫솔로서,
    상기 핸들부는, 그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는 폭광부와, 그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폭협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폭광부로부터 상기 폭협부를 향하여, 그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폭광부와 상기 폭협부 사이에는, 상기 핸들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복수의 요조부 및 철조부가 마련되고,
    상기 요조부와 상기 철조부는, 상기 핸들부의 폭방향으로 교대로 나열하여 형성됨과 함께, 서로의 간격이 상기 폭광부로부터 상기 폭협부를 향하여 상기 핸들부의 폭 변화에 응하여 좁아지고 있고,
    또한, 상기 요조부 및 상기 철조부가 형성된 면상을 가시광에 대해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피복재가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조부의 수가 3 내지 7개이고, 상기 요조부와 상기 철조부의 고저차가 0.3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의 상기 철조부상에서의 두께가 0.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는, 연질 일래스토머 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고무 경도가 2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조부와, 이들 요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철조부란, 상기 핸들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연속한 곡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조부 및 상기 철조부는, 상기 핸들부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조부 및 상기 철조부는, 상기 핸들부의 상기 피복재로 피복되는 부분중, 적어도 70% 이상의 영역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097025695A 2007-06-14 2008-06-11 칫솔 KR101379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57675 2007-06-14
JPJP-P-2007-157675 2007-06-14
PCT/JP2008/060698 WO2008153070A1 (ja) 2007-06-14 2008-06-11 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408A true KR20100024408A (ko) 2010-03-05
KR101379119B1 KR101379119B1 (ko) 2014-03-31

Family

ID=4012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695A KR101379119B1 (ko) 2007-06-14 2008-06-11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81911B2 (ko)
KR (1) KR101379119B1 (ko)
CN (1) CN101686750A (ko)
WO (1) WO20081530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574B1 (ko) * 2010-12-16 2013-10-25 주식회사 네오비 칫솔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5837B2 (ja) * 2012-05-17 2017-07-05 株式会社 Ufcサプライ ブラシハンド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211381A (zh) * 2013-03-20 2013-07-24 希瑟瑞克森 口腔用具
WO2016076819A1 (en) * 2014-11-10 2016-05-19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with light transmissive handle
JP6512703B2 (ja) * 2015-06-10 2019-05-1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7050427B2 (ja) * 2017-05-26 2022-04-08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JP7270551B2 (ja) * 2017-11-30 2023-05-10 ライオン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用取替ブラシ及び電動歯ブラシ
KR200497521Y1 (ko) * 2023-02-10 2023-12-05 박희대 어패류 손질용 도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79150A (en) * 1930-12-13 1932-08-25 Carl Wilhelm Rubens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oth brushes
JPS5677343U (ko) * 1979-11-17 1981-06-23
JPS5677343A (en) * 1979-11-29 1981-06-25 Kawasaki Steel Corp Method of operating process line having looper
JPS5743982U (ko) * 1980-08-25 1982-03-10
JPS5743982A (en) * 1981-07-13 1982-03-12 Sumitomo Electric Ind Ltd Coating super hardness alloy component
JPH02143178A (ja) * 1988-11-25 1990-06-01 Fujitsu Ltd 電圧調整回路
US5001803A (en) * 1989-03-20 1991-03-26 Discko John Jr Disposable dental brush
JPH02143178U (ko) * 1989-04-28 1990-12-05
US5306151A (en) * 1990-08-16 1994-04-26 Samuel Rauch Toothbrush
JPH0737680U (ja) * 1993-12-24 1995-07-11 株式会社壽 軸体のグリップ装置
JP2605333Y2 (ja) * 1993-12-28 2000-07-10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用グリップ
JP3347930B2 (ja) * 1995-12-28 2002-11-2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刷子
JP4558384B2 (ja) * 2004-06-15 2010-10-0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574B1 (ko) * 2010-12-16 2013-10-25 주식회사 네오비 칫솔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53070A1 (ja) 2008-12-18
JPWO2008153070A1 (ja) 2010-08-26
KR101379119B1 (ko) 2014-03-31
JP5081911B2 (ja) 2012-11-28
CN101686750A (zh)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8384B2 (ja) 歯ブラシ
KR20100024408A (ko) 칫솔
JP5785820B2 (ja) 歯ブラシ
JP5269351B2 (ja) 歯ブラシ
EP1621106B2 (en) Oral care implement
JP5806922B2 (ja) 歯ブラシ
CN102651984B (zh) 具有设置在手柄内的本体的口腔护理器具
KR20130113472A (ko) 칫솔
JP6385024B2 (ja) 歯ブラシ
JP7086002B2 (ja) 歯ブラシ
JP2010201197A (ja) 歯ブラシ
JP2006000466A (ja) 歯ブラシハンドル
JP5468832B2 (ja) 歯ブラシ
JP5048360B2 (ja) 歯ブラシ
JP6607849B2 (ja) 歯ブラシ
JP6722621B2 (ja) 歯ブラシ
TWI763892B (zh) 牙刷
JP2008188133A (ja) 歯ブラシ
JP3133654U (ja) 歯ブラシ
KR20200037203A (ko) 칫솔
TWI767054B (zh) 牙刷
JP2012100806A (ja) 歯ブラシ
JP7252715B2 (ja) 歯間清掃具
JP2024054019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