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203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7203A KR20200037203A KR1020207000057A KR20207000057A KR20200037203A KR 20200037203 A KR20200037203 A KR 20200037203A KR 1020207000057 A KR1020207000057 A KR 1020207000057A KR 20207000057 A KR20207000057 A KR 20207000057A KR 20200037203 A KR20200037203 A KR 202000372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osed
- toothbrush
- maximum
- thickness
- sof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8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80 brus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224 fore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68 polycarbonat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31 polycarbona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90 polystyr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2
- NMYFVWYGKGVPIW-UHFFFAOYSA-N 3,7-dioxabicyclo[7.2.2]trideca-1(11),9,12-triene-2,8-dione Chemical compound O=C1OCCCOC(=O)C2=CC=C1C=C2 NMYFVWYGKGVP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36305 Marsilea quadr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793 Tr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93 acrylonitril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6 high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30 polya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24 polyolefin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CUZVMOVTVSBLE-UHFFFAOYSA-N prop-2-enenitril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N.C=CC1=CC=CC=C1 SCUZVMOVTVSB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는 핸들체여도 조작성이 뛰어나 여러가지 파지 방법에도 대응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핸들부(30)는, 식모면(11)과 직교하는 정면에서 볼 때 장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측면 방향의 폭이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복수의 측면측 극대부와, 측면측 극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측면 방향의 폭이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측면측 극소부와, 측면에서 볼 때 장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복수의 정면측 극대부(51, 52)와, 정면측 극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정면측 극소부(53)와, 배면측에 있어서의 네크부(20)와 핸들부의 경계(31)로부터 후단측으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스트레이트부(54)를 갖는다. 네크부는 배면측에 헤드부의 후단으로부터 경계를 향해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스트레이트부(22)를 갖는다. 경계는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정면측 극대부보다 선단측에,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배면측 극대부(55)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8월 9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7-154340호에 근거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일반적인 칫솔은, 모다발이 심어지는 헤드부, 사용시에 파지되는 핸들부, 및 헤드부와 핸들부를 접속하는 네크부를 구비하는 핸들체와, 헤드부의 식모면에 브리슬(bristle)의 모다발이 심어져서 이루어지는 식모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구강내 청소 기구인 칫솔에 있어서는, 가장 필요한 기능인 청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어금니의 치면, 교합면, 치간부, 치경부 등의 모든 청소 대상 부위에 대하여 식모부를 적절하게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네크부를 가늘게 해서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높이는 것이 유효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단지 네크부를 가늘게 해서 구강 내에 있어서의 칫솔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려고 하면, 핸들체의 강도가 부족하거나, 네크부의 휨량이 지나치게 커져서 청소 효과가 저하하기 쉽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는 네크부의 단면 윤곽을 헤드부로부터 핸들부를 향함에 따라 특정의 형상으로 변화시키고, 네크부의 휨 방향을 단계적으로 규제함으로써, 네크부를 가늘게 해도 높은 청소 효과가 얻어지는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네크부를 포함하는 가는 핸들체에서는, 파지했을 때의 충분한 피트감이나 안정감이 얻어지지 않아 조작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핸들체를 파지했을 때에 미끄러지기 쉬워져, 입안의 원하는 부위에 헤드부를 정확하게 삽입하기 어려워지거나, 브러싱압을 적절하게 컨트롤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핸들체를 파지할 때에는, 예를 들면, 펜 그립나 팜 그립 등의 파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 칫솔에서는 이러한 파지 방법에는 충분하게 대응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가는 핸들체이여도 조작성이 뛰어나 여러가지 파지 방법에도 대응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장축 방향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식모면에 모다발이 심어진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단측에 연장설치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후단측에 연장설치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정면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에서 볼 때에 상기 장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장축 방향 및 상기 정면 방향과 직교하는 측면 방향의 폭이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복수의 측면측 극대부와, 상기 측면측 극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 방향의 폭이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측면측 극소부와, 상기 정면 방향의 상기 식모면측에 상기 측면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장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복수의 정면측 극대부와, 상기 정면측 극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정면측 극소부와, 상기 정면 방향의 상기 식모면과는 반대측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상기 네크부와 상기 핸들부의 경계보다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후단측으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부를 갖고, 상기 경계는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정면측 극대부보다 상기 선단측에 배치되고,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배면측 극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외주면은 경질 수지로 형성된 경질부와,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부를 갖고, 가장 상기 선단측에 배치된 상기 정면측 극대부는 상기 연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가장 상기 선단측에 배치된 상기 정면측 극대부의 상기 연질부는 상기 연질부 주위의 상기 경질부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가장 상기 선단측에 배치된 상기 정면측 극대부의 상기 연질부는 상기 장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최소 두께는 2㎜ 이상, 4㎜ 이하이며, 상기 네크부의 상기 정면 방향의 최소 두께 및 상기 측면 방향의 최소 폭은 각각 3.0㎜ 이상, 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는 핸들체이여도 조작성이 뛰어나 여러가지 파지 방법에도 대응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칫솔(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동 칫솔(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칫솔(1)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동 칫솔(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칫솔(1)의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다르게 하고 있다.
도 1은 칫솔(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칫솔(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칫솔(1)의 배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은, 장축 방향의 선단측(이하, 단지 선단측이라고 칭한다)에 배치되어 브리슬의 모다발이 식모된 헤드부(10)와, 헤드부(10)의 장축 방향 후단측(이하, 단지 후단측이라고 칭한다)에 연장설치된 네크부(20)와, 네크부(20)의 후단측에 연장설치된 핸들부(30)(이하, 헤드부(10)와 네크부(20)와 핸들부(30)를 합쳐서 핸들체(2)라고 칭한다)를 구비한다.
헤드부(10)는 두께 방향의 일방측에 식모면(11)을 갖고 있다. 또, 이후, 상기 두께 방향에서 식모면(11)측을, 정면 방향의 정면측으로 하고, 식모면과 반대측을 배면측으로 하고, 상기 두께 방향 및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측면 방향으로 한다. 식모면(11)에는 식모 구멍(12)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식모 구멍(12)에는 브리슬의 모다발(도시하지 않음)이 심어져 있다.
헤드부(10)의 폭(W1), 즉 정면측에 있어서 식모면(11)과 평행하고,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측면 방향의 폭(이하, 단지 폭이라고 칭한다)(W1)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7㎜ 이상, 13㎜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모다발을 심는 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헤드부(10)의 길이(L1)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 이상, 33㎜ 이하가 바람직하다. 길이(L1)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모다발을 심는 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헤드부(10)의 두께(t1)는 재질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고, 2.0㎜ 이상, 4.0㎜ 이하가 바람직하다. 두께(t1)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헤드부(10)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어금니 안쪽으로의 도달성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네크부(20)의 길이(L2)는 헤드부(10)를 구강 내에 삽입했을 때에 네크부(20)가 입술에 접촉하기 때문에, 4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네크부(20)의 폭(W2)은 최소값으로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네크부(20)는 폭(W2)이 최소값으로 되는 위치(21)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네크부(20)는 두께(t2)가 최소로 되는 위치(21)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최소로 되는 위치(21)에 있어서의 폭과 두께는 어느 것이나 3.0㎜ 이상, 4.5㎜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네크부(20)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입술을 닫기 쉽고, 또한 어금니에의 도달성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최소값으로 되는 위치(21)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네크부(20)의 폭(W2) 및 두께(t2)는 재질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크부(20)의 정면측은 식모면(1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네크부(20)의 배면측은 헤드부(10)의 후단(위치(21))을 기점으로 해서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식모면(11)과는 멀어지는 하방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배면측에 있어서의 네크부(20)와 핸들부(30)의 경계(31)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경계(31)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서 배면측에 극률중심을 갖는 곡면(32)과, 경계(31)보다 후단측에 배치되어서 배면측에 곡률중심을 갖는 곡면(33)이 교차하는 개소의 능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곡면(32)의 선단측은 네크부(20)의 배면측에 접하고 있다.
정면측에 있어서의 네크부(20)와 핸들부(30)의 경계(36)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경계(36)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정면측에 곡률중심을 갖는 곡면(38)과, 경계(36)보다 후단측에 배치된 배면측에 곡률중심을 갖는 곡면(37)이 교차하는 개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곡면(37)은 후술하는 제3극대부(51)와 접하고 있다.
네크부(20)의 후단측의 위치는 경계(31, 36)에 의해 정의된다. 장축 방향에서 경계(31, 36)의 위치가 다른 경우, 네크부(20)의 길이(L2)는 위치(21)로부터의 거리가 긴 경계(31)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또, 경계(31)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핸들부(30)는, 도 1의 정면에서 볼 때 및 도 3의 배면에서 볼 때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측면 방향의 폭이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1극대부(측면측 극대부)(41) 및 제2극대부(측면측 극대부)(42)와, 제1극대부(41) 및 제2극대부(42)의 사이에 배치되고 측면 방향의 폭이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제1극소부(측면측 극소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제1극대부(41) 및 제2극대부(42)는 각각 중심(C)으로부터의 거리가 최대값이 되는 장축 방향의 위치를 향함에 따라서 중심(C)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증가하는 원호윤곽을 갖고 있다. 제1극소부(43)는 중심(C)으로부터의 거리가 최소치로 되는 장축 방향의 위치를 향함에 따라서 중심(C)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감소하는 원호윤곽을 갖고 있다.
핸들부(30)는, 도 2의 측면으로 볼 때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정면측에 있어서 제1극대부(41) 및 제2극대부(42)의 각각의 장축 방향의 위치 근방에 배치되고,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3극대부(정면측 극대부)(51) 및 제4극대부(정면측 극대부)(52)와, 제3극대부(51) 및 제4극대부(52)의 사이에 배치되고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제2극소부(정면측 극소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제3극대부(51) 및 제4극대부(52)는 각각 두께가 최대값으로 되는 장축 방향의 위치를 향함에 따라서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원호윤곽을 갖고 있다. 제2극소부(53)는 두께가 최소값으로 되는 장축 방향의 위치를 향함에 따라서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원호윤곽을 갖고 있다.
제3극대부(51)는 제1극대부(41)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손가락 접촉부가 된다. 제4극대부(52)는 제2극대부(42)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부(30)는 배면측의 경계(31)보다 후단측에 배치되고,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경계(31)로부터 후단측을 향해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부(54)를 갖고 있다. 스트레이트부(54)의 선단측은 곡면(33)에 접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계(31)는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3극대부(51)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경계(31)는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제5극대부(배면측 극대부)(55)를 갖고 있다. 제5극대부(55)는 상술한 배면측에 곡률중심을 갖는 곡면(32, 33)에 의해 두께가 연속적으로 배면측으로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부(30)의 길이(L3)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90∼200㎜로 된다.
상기 제1극대부(41) 및 상기 제2극대부(42)의 폭은 10.5㎜ 이상, 14㎜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2극대부(42)의 폭은 상기 제1극대부(41)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극소부(43)의 폭은 8.5㎜ 이상, 10.5㎜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1극대부(41)의 폭과 제1극소부(43)의 폭의 차는 1.5㎜ 이상,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2극대부(42)의 폭과 제1극소부(43)의 폭의 차는 2.5㎜ 이상, 4.5㎜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1극대부(41)의 폭」/「제1극소부(43)의 폭」으로 나타내어지는 비율은 1.1 이상, 1.3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2극대부(42)의 폭」/「제1극소부(43)의 폭」으로 나타내어지는 비율은 1.3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3극대부(51) 및 상기 제4극대부(52)의 두께는 8㎜ 이상, 11㎜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4극대부(52)의 두께는 상기 제3극대부(51)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극소부(53)의 폭은 6㎜ 이상, 8㎜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3극대부(51)의 두께와 제2극소부(53)의 두께의 차는 1.5㎜ 이상,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4극대부(52)의 두께와 제2극소부(53)의 두께의 차는 2.5㎜ 이상, 4.5㎜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3극대부(51)의 두께」/「제2극소부(53)의 두께」로 나타내어지는 비율은 1.1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4극대부(52)의 두께」/「제2극소부(53)의 폭」으로 나타내어지는 비율은 1.3 이상, 1.7 이하가 바람직하다.
핸들체(2)는 전체로서 장척 형상으로 일체 성형된 것이며, 예를 들면 수지를 재료로 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핸들체(2)는 경질 수지로 형성된 경질부와,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부를 갖고 있다. 핸들체(2) 중, 헤드부(10) 및 네크부(20)는 경질부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체(2) 중, 핸들부(30)는 정면측의 제3극대부(51)를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된 연질부(61)와, 정면측의 후단부로부터 배면측의 경계(31)의 근방에 걸쳐서 형성된 연질부(62)를 갖고 있다.
연질부(61)는 장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연질부(61a, 61b, 61c)를 갖고 있다. 연질부(61a∼61c)는 주위의 경질부보다, 예를 들면 0.5㎜ 정도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돌출의 형상은 폭 방향으로 홈을 갖는 요철 형상이라도 된다.
경질 수지로서는, 일례로서 굽힘 탄성률(JIS7171)이 1000㎫ 이상 2200㎫ 이하인 수지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아세탈 수지(POM), 폴리스티렌 수지(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아릴레이트 수지(PAR),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AS)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비용면을 고려하면 범용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연질 수지로서는, 일례로서 쇼어경도 A가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쇼어경도 A가 50∼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 실리콘을 들 수 있다.
모다발은 복수의 브리슬을 묶은 것이다. 식모면(11)으로부터 모다발의 선단까지의 길이(모길이)는 모다발에 요구하는 모탄력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6∼13㎜로 된다. 모든 모다발은 같은 모길이이여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모다발의 굵기(모다발 지름)는 모다발에 요구하는 모탄력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3㎜로 된다. 모든 모다발은 같은 모다발 지름이여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모다발을 구성하는 브리슬로서는, 예를 들면 모끝을 향해서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져서 모끝이 첨예화된 브리슬(테이퍼모), 식모면(11)으로부터 모끝을 향해 그 지름이 거의 동일한 브리슬(스트레이트모) 등을 들 수 있다. 스트레이트모로서는 모끝이 식모면(11)에 대략 평행한 평면으로 된 것이나, 모끝이 반구 형상으로 둥글어진 것을 들 수 있다.
브리슬의 재질은, 예를 들면 6-12 나일론(6-12NY), 6-10 나일론(6-10NY)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타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브리슬로서는 심부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형성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초부를 갖는 다중 심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제 브리슬을 들 수 있다.
브리슬의 횡단면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등의 원형, 다각형, 별형, 세잎 클로버형, 네잎 클로버형 등으로 해도 된다. 모든 브리슬의 단면 형상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브리슬의 굵기는 재질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고,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 예를 들면 6∼9mil(1mil=1/1000inch=0.025㎜)로 된다. 또한, 사용감, 칫솔질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브리슬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칫솔을 팜 그립 또는 펜 그립으로 잡았을 때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팜 그립의 경우)
팜 그립으로 잡을 때는, 핸들부(30)에 형성된 제1극소부(43) 및 제2극소부(53)의 주위 방향으로 가운뎃손가락을 접촉해서 파지함으로써 자연히 제2극대부(42) 및 제4극대부(52)의 주위 방향으로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이 피팅하도록 접촉되어서 안정된 파지성이 얻어진다. 또한, 제1극대부(41) 및 제3극대부(51)에는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이 자연히 피팅하도록 접촉되기 때문에, 더욱 안정된 파지성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가는 핸들체이여도 파지했을 때에 충분한 피트감과 안정감이 얻어진다.
또한, 핸들부(30)의 배면측에 대략 스트레이트부(5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면과 배면측이 모두 극대부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보다 손가락에의 피트감이 과도하게 되지 않고, 가는 핸들체이여도 파지했을 때에 적당한 피트감이 얻어진다. 또한, 스트레이트부(54)의 대략 연장선 상에 헤드부(1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부(30)를 파지했을 때의 헤드부(10)와의 상대위치 관계의 오차가 적어지고, 입안의 원하는 부위에 헤드부(10)를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어 노린 부위를 닦기 쉬워진다.
(펜 그립의 경우)
펜 그립으로 잡을 때는, 핸들부(30)에 형성된 제1극대부(41) 및 제3극대부(51) 및 스트레이트부(54)를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으로 고정하도록 파지함으로써 상기 극대부가 접촉한 손가락에 파고들도록 피팅할 수 있고, 안정감이 얻어진다. 또한, 배면측에 있어서의 네크부(20)와 핸들부(30)의 경계(31)에 제5극대부(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5극대부(55)는 가장 선단측의 제3극대부(51)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접촉한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가는 핸들체이여도 파지했을 때에 충분한 피트감과 안정감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칫솔(1)에 있어서는 제3극대부(51)에 연질부(61)가 주위의 경질부보다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에 파고들도록 피팅하여 미끄럼 방지 효과(브러싱시의 안정감)를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극대부(51)에 연질부(61)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손가락 접촉 위치 및 브러시가 닿는 위치의 시인성, 촉감 인식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칫솔(1)에 있어서는, 연질부(61)가 장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접촉 위치를 적당하게 선택함으로써 일정한 힘의 넣기 방법으로도 치아나 잇몸에 작용하는 브러싱압을 용이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극대부(55)를 가짐으로써 네크부(20)는 헤드부(10)로부터 핸들부(30)을 향해서 점차 두꺼워져 있기 때문에, 헤드부(10)에 하측으로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 있어서는 네크부(20)의 적당한 휨에 의해 브러싱압을 적절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가지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의거해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칫솔(1)이 경질부 및 연질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경질부만을 구비하는 구성이여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질부(61)가 3개의 연질부(61a∼61c)를 갖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연질부는 1개∼2개, 또는 4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질부(61)의 형상은 3개 모두 타원형상이지만, 원형, 다각형이라도 좋고, 다른 형상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1극대부(41), 제2극대부(42) 및 2개의 제3극대부(51), 제4극대부(52)가 각각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3개 이상이 형성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이웃하는 제1극대부 및 제2극대부의 사이에 제1극소부를 배치하고, 이웃하는 제3극대부 및 제4극대부의 사이에 제2극소부를 배치하면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칫솔에 적용할 수 있다.
1…칫솔, 10…헤드부, 20…네크부, 30…핸들부, 41…제1극대부(측면측 극대부), 42…제2극대부(측면측 극대부), 43…제1극소부(측면측 극소부), 51…제3극대부(정면측 극대부), 52…제4극대부(정면측 극대부), 53…제2극소부(정면측 극소부), 54…스트레이트부, 55…제5극대부(배면측 극대부), 61, 61a∼61c…연질부, C…폭 방향 중심
Claims (5)
- 장축 방향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식모면에 모다발이 심어진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단측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후단측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정면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에서 볼 때에 상기 장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장축 방향 및 상기 정면 방향과 직교하는 측면 방향의 폭이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복수의 측면측 극대부와,
상기 측면측 극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 방향의 폭이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측면측 극소부와,
상기 정면 방향의 상기 식모면측에 상기 측면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장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복수의 정면측 극대부와,
상기 정면측 극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정면측 극소부와,
상기 정면 방향의 상기 식모면과는 반대측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상기 네크부와 상기 핸들부의 경계보다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경계로부터 상기 후단측으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부를 갖고,
상기 경계는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정면측 극대부보다 상기 선단측에 배치되고,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배면측 극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외주면은 경질 수지로 형성된 경질부와,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부를 갖고,
가장 상기 선단측에 배치된 상기 정면측 극대부는 상기 연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 제 2 항에 있어서,
가장 상기 선단측에 배치된 상기 정면측 극대부의 상기 연질부는, 상기 연질부 주위의 상기 경질부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가장 상기 선단측에 배치된 상기 정면측 극대부의 상기 연질부는, 상기 장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최소 두께는 2㎜ 이상, 4㎜ 이하이며,
상기 네크부의 상기 정면 방향의 최소 두께 및 상기 측면 방향의 최소 폭은, 각각 3.0㎜ 이상, 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54340 | 2017-08-09 | ||
JP2017154340A JP2019030583A (ja) | 2017-08-09 | 2017-08-09 | 歯ブラシ |
PCT/JP2018/028712 WO2019031314A1 (ja) | 2017-08-09 | 2018-07-31 | 歯ブラシ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7203A true KR20200037203A (ko) | 2020-04-08 |
Family
ID=6527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00057A KR20200037203A (ko) | 2017-08-09 | 2018-07-31 | 칫솔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19030583A (ko) |
KR (1) | KR20200037203A (ko) |
CN (1) | CN111031850B (ko) |
WO (1) | WO201903131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202100062A (zh) * | 2019-06-28 | 2021-01-01 | 日商獅子股份有限公司 | 牙刷 |
WO2022137956A1 (ja) * | 2020-12-24 | 2022-06-30 | ライオン株式会社 | 歯ブラシ及び歯ブラシの製造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18944A (ja) | 2011-12-07 | 2013-06-17 | Lion Corp | 歯ブラシ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17391A1 (en) * | 1999-09-08 | 2001-03-1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 handle for a toothbrush |
WO2001028452A1 (de) * | 1999-10-19 | 2001-04-26 | Trisa Holding Ag | Zahnbürste mit vibrierendem kopfteil |
JP4541508B2 (ja) * | 2000-07-19 | 2010-09-08 | ライオン株式会社 | 歯ブラシハンドルの製造方法 |
US7712175B2 (en) * | 2005-08-23 | 2010-05-11 | Mcneil-Ppc, Inc. | Toothbrush with polishing member |
US8631534B2 (en) * | 2006-06-08 | 2014-01-21 | Dr. Fresh, Llc | Toothbrush |
EP2136678A1 (en) * | 2006-11-24 | 2009-12-30 | Byong Duk Choi | Toothbrush forming method and toothbrush produced through the same |
JP5785820B2 (ja) * | 2011-08-26 | 2015-09-30 | ライオン株式会社 | 歯ブラシ |
JP6170802B2 (ja) * | 2013-10-02 | 2017-07-26 | ライオン株式会社 | 歯ブラシ用のハンド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歯ブラシ |
KR102577531B1 (ko) * | 2014-09-01 | 2023-09-12 |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 칫솔 |
CN205513133U (zh) * | 2016-04-21 | 2016-08-31 | 3M创新有限公司 | 牙刷 |
-
2017
- 2017-08-09 JP JP2017154340A patent/JP2019030583A/ja active Pending
-
2018
- 2018-07-31 WO PCT/JP2018/028712 patent/WO201903131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7-31 KR KR1020207000057A patent/KR202000372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8-07-31 CN CN201880051388.4A patent/CN111031850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18944A (ja) | 2011-12-07 | 2013-06-17 | Lion Corp | 歯ブラ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031850B (zh) | 2022-04-26 |
JP2019030583A (ja) | 2019-02-28 |
WO2019031314A1 (ja) | 2019-02-14 |
CN111031850A (zh) | 2020-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06922B2 (ja) | 歯ブラシ | |
JP6385027B1 (ja) | 歯ブラシ | |
CN108697230B (zh) | 牙刷 | |
KR102577531B1 (ko) | 칫솔 | |
JP7086002B2 (ja) | 歯ブラシ | |
KR102418459B1 (ko) | 칫솔 | |
KR20200037203A (ko) | 칫솔 | |
KR102625898B1 (ko) | 칫솔 | |
JP7433310B2 (ja) | 歯ブラシ | |
KR102658490B1 (ko) | 칫솔 | |
WO2015137487A1 (ja) | 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歯ブラシ、及び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の製造方法 | |
JP5785819B2 (ja) | 歯ブラシ | |
CN111093430B (zh) | 牙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