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691A -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 Google Patents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691A
KR20100023691A KR1020080082581A KR20080082581A KR20100023691A KR 20100023691 A KR20100023691 A KR 20100023691A KR 1020080082581 A KR1020080082581 A KR 1020080082581A KR 20080082581 A KR20080082581 A KR 20080082581A KR 20100023691 A KR20100023691 A KR 20100023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cleaning
toilet
bide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3691A/ko
Publication of KR2010002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좌변기의 사용이 있은 후에 용변 태양에 따라 도기에 투입되는 세정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세정제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는 좌변기의 도기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제를 공급하는 세정제 공급부; 사용자가 비데의 변좌에 착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감지센서; 및 상기 착좌감지센서에서 착좌가 감지된 이후에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 중 어느 기능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상기 세정제 공급부로부터 도기에 공급되는 세정제의 양을 달리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은 사용자가 비데의 변좌에 착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감지단계;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이 사용되는지 판별하는 기능판별단계; 및 좌변기의 도기에 세정제를 투입하는 세정제 투입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82581
비데, 좌변기, 변기세정장치, 세정제, 착좌감지센서, 거리센서

Description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Bidet having cleaning device of toilet bowl and cleaning method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좌변기의 도기를 세정할 수 있는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사용이 있은 후에 용변 태양에 따라 도기에 투입되는 세정제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세정제의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도기를 세정할 수 있는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에서 발생 되는 악취는 화장실 바닥, 변기, 배수관 등에서 발생 되며, 이 중에서 변기의 배수관 및 도기 내부면에서 냄새는 화장실 악취의 주원인이다.
이와 같이, 변기의 악취방지, 착색방지, 세척, 그리고 살균 등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가용성 고체형태의 세정제를 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담아두어 물탱크에 담수된 물에 세정제를 용해시킨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담수를 변기로 배출할 때 용해된 일정량의 세정액과 함께 자연적으로 변기로 배출하도록 하여 변기 내부면에 잔존해 있는 세균이나 침전물을 세척 및 살균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세정제를 이용한 방법은 변기의 사용빈도에 따라 물에 희석되는 세정제의 용해량이 각기 달라 변기 내부로 투입되는 세정액의 량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변기를 장시간 사용되지 않아 물의 배수시키지 않을 경우 물탱크 내부의 담수에 세정제가 필요 이상으로 포화 상태까지 용해되어 세정제의 낭비를 초래하여 세정제의 사용기간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농도가 짙은 세정액을 한꺼번에 배수할 경우 환경오염을 부추기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반대로 변기의 사용빈도가 높을 경우 세정제가 충분히 물에 용해되지 않은 상황에서 세척액을 배출시키게 됨으로써, 세정액의 농도가 옅어 변기의 이물질 세척 및 세균의 살균 효과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물탱크가 채워지거나 비워질 때 부력을 이용하거나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세정제 토출부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물탱크 내부에 일정량의 세정제를 공급하는 세정제 공급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세정제 공급장치는 물탱크 내부에 설치되므로 물이끼나 부식에 의하여 세정제 토출부의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훼손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세정제가 계속 새어나와 일정량의 세정제를 공급하기 어렵고, 세정제 토출부의 개폐를 위해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기계식 세정제 공급장치는 사용자의 용변 태양(즉, 소변, 대 변)에 관계없이 정해진 양만큼의 세정제를 공급하므로, 상대적으로 오염이 적고 세척의 필요성이 적은 소변의 경우에도 다량의 세정제를 공급하게 되어 세정제의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용변 태양에 따라 세정제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효과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물 내림이 있은 후에 세정제를 좌변기의 도기에 공급하는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좌변기의 도기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제를 공급하는 세정제 공급부; 사용자가 비데의 변좌에 착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감지센서; 및 상기 착좌감지센서에서 착좌가 감지된 이후에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 중 어느 기능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상기 세정제 공급부로부터 도기에 공급되는 세정제의 양을 달리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세정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세정제를 좌변기의 도기에 정량 투입하고, 비데기능 또는 건조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세정제를 좌변기의 도기에 정량보다 작은 소량으로 투입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좌변기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거리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센서에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어 접근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거리센서에서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된 후에 세정제를 도기에 정량보다 작은 소량으로 투입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도기로의 물내림을 감지하는 물내림 감지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내림 감지센서에서 물내림이 감지된 이후에 도기에 세정제를 투입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데의 변좌에 착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감지단계;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이 사용되는지 판별하는 기능판별단계; 및 좌변기의 도기에 세정제를 투입하는 세정제 투입단계; 를 포함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는 비데기능, 건조기능, 세정기능 중 어느 기능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세정제의 양을 구분하여 좌변기의 도기에 투입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는 세정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세정제를 좌변기의 도기에 정량 투입하고, 비데기능 또는 건조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세정 제를 좌변기의 도기에 정량보다 작은 소량으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는 변기 물내림이 감지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은 상기 착좌감지단계와 상기 기능판별단계 사이에, 사용자의 비데 착좌가 감지된 감지시간을 적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시간이 최소설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판별단계와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 사이에는 상기 기능판별단계 후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가 수행되도록 지연시간 감지단계가 설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지연시간 감지단계는 비데기능, 건조기능, 세정기능 중 어느 기능이 사용된 후 지연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지연시간 감지단계는 사용자가 변좌에서 이탈한 시간으로부터 지연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능판별단계에서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이 사용되지 않고 사용자가 변좌에서 이탈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착좌감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세정제의 양을 구분하여 좌변기의 도기에 투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감지시간을 적산하고, 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한 후 사용자의 이탈을 감지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된 후 좌변기의 도기에 세정제를 투입하는 세정제 투입단계;를 포함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는 변기 물내림이 감지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는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된 후 설정된 지연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데에서 비데/건조/세정 기능 중 어느 기능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사용자의 용변 태양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세정제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어 세정제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비데/건조/세정 기능이 사용되지 않더라도 착좌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시간을 적산하여 사용자의 용변 태양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세정제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어 세정제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변좌에 착좌하지 않고 소변을 보는 경우에도 거리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용변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세정제를 소량 투입하게 되어 좌변기의 도기를 안정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 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 내림이 있은 후에 세정제를 좌변기의 도기에 공급하므로 도기에 세정제가 잔류하여 도기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데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S300a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7은 도 3 내지 도 5의 S300a'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기의 세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9는 도 8의 S300b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기의 세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기세정장치(200)를 구비하는 비데(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데(100)는 통상의 비데와 마찬가지로 물 분사를 위한 노즐부(110), 건조를 위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미도시) 등 각종 부품이 수용되는 비데 본체(130)와, 비데 본체(1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좌변기의 도기(10)에 안착되는 변좌(120)와, 상기 변좌(120)를 덮는 변좌 커버(121)와, 각종 기능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버튼이 형성된 조작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노즐부(110)는 여성의 국부 세정을 위한 비데노즐(111)과 항문 세정을 위한 세정노즐(112)을 구비하여, 급수관(20) 및 유입관(150)에서 유입되어 필터(160)를 통해 정화된 물을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비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데(100)에 구비되는 변기세정장치(200)는, 좌변기의 도기(10)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제를 공급하는 세정제 공급부(230)와, 사용자가 비데(100)의 변좌(120)에 착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감지센서(210)와, 상기 착좌감지센서(210)에서 감지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상기 세정제 공급부(230)에서 도기(10)에 투입되는 세정제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좌변기 또는 비데(100)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거리센서(220)와, 도기(10)로의 물내림을 감지하는 물내림 감지센서(240)와, 비데노즐(111)에 의한 비데기능, 송풍장치(미도시)에 의한 건조기능, 또는 세정노즐(112)에 의한 세정기능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2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내림 감지센서(240)는 물탱크를 구비하는 좌변기의 경우 물탱크와 연결된 유로 상의 밸브의 개폐나 물의 흐름을 감지하게 되며, 물탱크를 구비하지 않는 직수식 좌변기의 경우 도기(10)에 물을 공급하는 유로 상의 밸브의 개폐를 직접 감지함으로써, 도기(10)로의 물 공급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검출기(260)는 비데노즐(111), 세정노즐(112) 및 송풍장치(미도시)의 구동이 이루어짐을 검출하도록 제어부(300) 내부 또는 외부에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제 공급부(230)는 좌변기의 도기(10)에 직접 세정제를 투입하는 것으로서, 탱크에 수용된 세정제는 밸브의 개폐 등에 의해 도기(10)에 투입된다. 이러한 세정제 공급부(230)는 전자식 밸브 또는 기계식 밸브의 개폐에 의해 세정제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정제를 도기(10)에 공급할 수 있다면 공지된 다양한 분사장치 또는 배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세정제"는 도기의 세정, 살균, 악취제거, 방향 등을 위하여 도기(10)에 투입되는 액상 또는 고형의 세정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는 착좌감지센서(210)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거리센서(220)와, 도기(10)로의 물내림을 감지하는 물내림 감지센서(240)와,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260) 중 하나 이상에서 수신된 정보를 통하여 의 정보를 받아 세정제 공급부(230)로부터 도기에 공급되는 세정제의 양을 달리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23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착좌감지센서(210)에서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된 이후에 검출기(260)를 통하여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 중 어느 기능이 사용되는지를 검출하고,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세정제 공급부(230)로부터 도기(10)에 공급되는 세정제의 양을 달리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23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세정노즐(112)을 통하여 세정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용변태양을 대변으로 파악하고 세정제를 좌변기의 도기(10)에 표준량인 정량 투입하도록 세정제 공급부(23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비데노즐(111)을 통하여 비데기능이 사용되거나 송풍장치를 통하여 건조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용변태양을 소변으로 파악하고 세정제를 좌변기의 도기(10)에 정량보다 작은 소량으로 투입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23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비데/건조/세정 기능 중 어느 기능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사용자의 용변 태양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세정제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어 세정제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거리센서(220)에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어 접근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거리센서(220)에서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된 후에 세정제를 도기(10)에 정량보다 작은 소량으로 투입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남성 사용자가 변좌(120)에 착좌하지 않고 소변을 보는 경우에도 거리센서(220)를 통하여 사용자의 용변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세정제를 소량 투입하게 되어 좌변기의 도기를 안정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물내림 감지 센서(240)를 통하여 도기(10)의 물내림이 감지된 이후에 도기(10)에 세정제를 투입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즉, 세정제의 투입이 있은 이후에 사용자가 곧바로 물내림을 하는 경우 세정의 효과가 극히 미미하게 되므로, 세정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좌변기의 도기(10)에 세정제가 잔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기(10)로의 세정제 투입은 변기의 물내림이 있은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300)는 물내림 감지 센서(240)를 통하여 도기(10)의 물내림이 감지된 이후에 도기(10)에 세정제를 투입하도록 세정제 공급부(23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자동세정방법은 사용자가 비데의 변좌에 착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감지단계(S110)와, 비데기능(여성 국부세정 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항문 세정기능)이 사용되는지 판별하는 기능판별단계(S140, S150)와, 좌변기의 도기(10)에 세정제를 투입하는 세정제 투입단계(S171~S174)를 포함한다.
착좌감지센서(도 1의 210)에 의해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된 후(S110) 여성 국부세정을 위한 비데기능이 사용되거나 비데기능이 사용되지 않고 곧바로 건조기능이 사용된다면(S140) 사용자가 소변을 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소변의 경우에는 세정제의 투입량이 대변의 경우에 비해 많을 필요가 없으므로 세정제 투입단계(S171)는 세정제의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대변의 경우 세정제의 양에 해당하는 정량보다 작은 소량을 좌변기의 도기(10)에 투입하게 된다.
또한, 착좌감지센서(도 1의 210)에 의해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된 후(S110) 항문 세정을 위한 세정기능이 사용된다면(S150) 사용자가 대변을 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세정제 투입 단계(S172)에서는 세정제를 정량으로 투입하게 된다.
즉, 비데기능, 건조기능, 세정기능 중 어느 기능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사용자의 용변 태양(소변, 대변)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좌변기의 도기(10)에 투입되는 세정제의 양을 표준량에 해당하는 정량과 정량보다 적은 소량으로 조절함으로써 세정제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능판별단계(S140,S150)와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S171,S172) 사이에는 상기 기능판별단계(S140,S150) 후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S171,S172)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가 비데의 비데/건조/세정 기능 중 어느 기능을 사용한 후 곧바로 세정제를 투입하게 되면, 이후에 사용자가 물내림을 하는 경우 세정제가 도기(10)에 잔류하지 않게 되어 도기 세정의 효과가 극히 미미하게 되므로, 세정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좌변기의 도기(10)에 세정제가 잔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정제의 투입은 변기의 물내림이 있은 이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기능판별단계(S140,S150) 후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S171,S172)가 수행되도록 도 6에 도시된 지연시간 감지단계(310a, 320a)가 설정될 수 있다.
즉, 기능판별단계(S140,S150)에서 비데의 비데/건조/세정 기능이 사용된 경우 제1 지연시간을 적산하고(S310a), 제1 지연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지연설정시간을 경과하면(S320a) 세정제를 투입하는 것(S171,S172)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데의 비데/건조/세정 기능이 사용된 이후에 변기에 물내림이 있었는지를 감지하고(S330a), 물내림이 없었다면 물내림 밸브(도 2의 250)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물내림을 수행한 후(S340a) 세정제를 투입하게 되며(S171, S172), 물내림이 있었다면 곧바로 세정제를 투입하게 된다(S171,172).
한편, 사용자가 용변을 본 경우라 하더라도 비데의 비데/건조/세정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비데의 사용을 종료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도 좌변기의 도기(10)에 세정제를 투입할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가 비데의 비데/건조/세정 기능을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변좌(120)에서 이탈하여 착좌감지센서(210)에서 착좌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S160), 사용자의 착좌시간에 따라 대변 또는 소변여부를 추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된 경우(S110) 사용자의 착좌 감지시간을 적산하고(S120), 사용자의 착좌시간의 누적 감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을 경과한 경우(S165의 '예') 대변으로 판단하여 세정제를 정량 투입하고(S174), 누적 감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S165의 '아니오') 소변으로 판단하여 세정제를 소량 투입하게 된다(S173).
또한, 상기의 세정제 투입단계(S173,174) 단계의 경우에도 비데/건조/세정 기능 사용 후의 세정제 투입단계(S173,174)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S320a') 및 물 내림이 있었는지 여부(S330a')를 판단하여 세정제의 투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는 기본적으로 도 6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도 6의 각 단계 부호 뒤에 「'」를 표기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은 비데/건조/세정 기능 사용의 판별단계(S140,S150) 이후에 착좌감지센서 감지단계(S145,S155)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세정방법과 동일하다.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도 3의 경우에는 비데/건조/세정 기능이 사용된 후 미리 설정된 지연설정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 이후에 세정제를 투입하는데 비해, 도 4의 경우에는 비데/건조/세정 기능이 사용 후 사용자가 변좌를 이탈한 시간으로부터 지연시간을 적산하게 된다(도 6의 S320a). 이후, 적산한 지연시간이 미리 설정된 지연설정시간을 경과하고(도 6의 S320a), 변기의 물내림이 있었는지 판별한 이후(도 6의 S330a)에 비데/건조/세정 기능 중 어느 기능이 사용되었는지에 따라 세정제의 양을 달리하여 좌변기의 도기(10)에 세정제가 투입된다(S171,S172).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은 상기 착좌감지단계(S110)와 상기 기능판별단계(S140,S150) 사이에, 사용자의 비데 착좌가 감지된 감지시간을 적산한 후(S120) 착좌 감지시간이 최소설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3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자동세정방법과 동일하다.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도 5의 경우에는 착좌 감지시간이 최소설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함으로써(S130), 사용자가 비데의 사용을 하지 않고 잠시 변좌에 착좌한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세정제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극히 짧은 순간 동안 비데(100)의 변좌(120)에 착좌하는 경우에는 실제적으로 비데 및/또는 좌변기의 사용이 없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세정제를 투입하지 않게 된다. 다만, 도 5의 플로우차트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가 물탱크로부터 물을 강제적으로 내리는 경우에는 물 내림 감지센서(도 2의 240)를 통하여 이를 감지하고 세정제를 좌변기의 도기(10)에 투입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남성 사용자는 비데(100)의 변좌(120)에 착좌하지 않고 좌변기 앞에 선 상태에서 소변을 보는 경우가 있으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은 이러한 경우에 좌변기의 도기를 자동으로 세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은 거리센서(도 1의 22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S210)와, 사용자의 접근 감지시간을 적산하는 단계(S220)와, 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30)와, 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한 후 거리센서(22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이탈을 감지하는 단계(S250)와,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된 후 좌변기의 도기(10)에 세정제를 투입하는 세정제 투입단계(S260)를 포함한다.
먼저, 거리센서(220)는 사용자가 비데(100)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되므로, 용변을 위한 경우가 아니라도 사용자가 비데(100)에 접근하면 거리센서(220)가 사용자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서 비데(100)에 접근하는지 판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접근 감지시간을 적산하는 단계(S220)와 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30)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비데(100) 근처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사용자가 비데(100)에서 멀어지는 경우 거리센서(220)는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용변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게 되고(S250), 이를 토대로 좌변기의 도기(10)에 세정제를 투입하는 세정제 투입단 계(S260)를 수행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은 남성의 소변의 경우에 해당하므로 세정제의 투입량은 대변의 경우에 비해 많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세정제 투입단계(S260)는 세정제의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대변의 경우에 해당하는 정량보다 작은 소량을 좌변기의 도기(10)에 투입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용변을 마치고 비데(100)에서 벗어나는 것임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거리센서(220)에서 사용자의 이탈이 확인된 후 미리 설정된 제2 지연설정시간 경과 후에 세정제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외란에 의한 거리센서(220)의 오작동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거리센서(220)가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용변의 종료로 잘못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S300b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S300b 단계는 거리센서(220)에서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된 경우 거리센서(220)에서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된 이후의 시간인 제2 지연시간을 적산하고(S310b), 제2 지연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지연설정시간을 경과한 이후(S320b) 좌변기의 도기(10)에 세정제의 투입이 이루어지게 된다(S260).
또한, 세정제의 투입이 있은 이후에 사용자가 곧바로 물내림을 하는 경우 세정의 효과가 극히 미미하게 되므로, 세정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좌변기의 도기에 세정제가 잔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정제의 투입은 변기의 물내림이 있은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제2 지연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지연설정시간을 경과한 이 후(S320b) 변기에 물내림이 있었는지 감지하는 단계(S330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내림 감지단계(S330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상에 물의 흐름을 감지하거나 밸브의 개폐를 인식하는 물내림 감지센서(24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만약, 물내림이 없었다면 물내림 밸브(도 2의 250)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물내림을 수행하고(S340b) 세정제를 투입하게 되며(S260), 물내림이 있었다면 곧바로 세정제를 투입하게 된다(S260).
한편, 사용자가 비데(100)에서 이탈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수동으로 물내림 밸브(수동버튼)를 작동시킨 경우라면(S240) 곧바로 세정제를 소량 투입하는 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10에 도시된 자동세정방법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착좌감지센서를 이용한 자동세정방법과 도 8에 도시된 거리센서를 이용한 자동세정방법을 하나의 과정으로 구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착좌감지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는 경우(S110)에는 도 3 내지 도 5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S110 이후의 단계가 수행되며, 거리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비데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S210)에는 도 8의 S210 이후의 단계가 수행된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살펴보았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기자동세정방법은 사용자의 용변 태양에 따라 좌변기의 도기에 공급되는 세정제의 양을 조절하므로 세정제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데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S300a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3 내지 도 5의 S300a'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기의 세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도 8의 S300b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기의 세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기 100... 비데
110... 노즐부 120... 변좌
121... 변좌커버 130... 비데 본체
210... 착좌감지센서 220... 거리센서
230... 세정제 공급부 240... 물내림 감지센서
250... 물내림 밸브 300... 제어부

Claims (16)

  1. 좌변기의 도기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제를 공급하는 세정제 공급부;
    사용자가 비데의 변좌에 착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감지센서; 및
    상기 착좌감지센서에서 착좌가 감지된 이후에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 중 어느 기능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상기 세정제 공급부로부터 도기에 공급되는 세정제의 양을 달리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정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세정제를 좌변기의 도기에 정량 투입하고, 비데기능 또는 건조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세정제를 좌변기의 도기에 정량보다 작은 소량으로 투입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좌변기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거리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센서에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어 접근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거리센서에서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된 후에 세정제를 도기에 정량보다 작은 소량으로 투입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기로의 물내림을 감지하는 물내림 감지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내림 감지센서에서 물내림이 감지된 이후에 도기에 세정제를 투입하도록 상기 세정제 공급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5. 사용자가 비데의 변좌에 착좌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감지단계;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이 사용되는지 판별하는 기능판별단계; 및
    좌변기의 도기에 세정제를 투입하는 세정제 투입단계;
    를 포함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는 비데기능, 건조기능, 세정기능 중 어느 기능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세정제의 양을 구분하여 좌변기의 도기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는 세정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세정제를 좌변기의 도기에 정량 투입하고, 비데기능 또는 건조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세정제를 좌변기의 도기에 정량보다 작은 소량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는 변기 물내림이 감지된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감지단계와 상기 기능판별단계 사이에는,
    사용자의 비데 착좌가 감지된 감지시간을 적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시간이 최소설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판별단계와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 사이에는 상기 기능판별단계 후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가 수행되도록 지연시간 감지단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감지단계는 비데기능, 건조기능, 세정기능 중 어느 기능이 사용된 후 지연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감지단계는 사용자가 변좌에서 이탈한 시간으로부터 지연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13.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판별단계에서 비데기능, 건조기능 또는 세정기능이 사용되지 않고 사용자가 변좌에서 이탈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착좌감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세정제의 양을 구분하여 좌변기의 도기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14.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감지시간을 적산하고, 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한 후 사용자의 이탈을 감지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된 후 좌변기의 도기에 세정제를 투입하는 세정제 투입단계;
    를 포함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는 변기 물내림이 감지된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투입단계는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된 후 설정된 지연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20080082581A 2008-08-22 2008-08-22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KR20100023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581A KR20100023691A (ko) 2008-08-22 2008-08-22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581A KR20100023691A (ko) 2008-08-22 2008-08-22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691A true KR20100023691A (ko) 2010-03-04

Family

ID=4217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581A KR20100023691A (ko) 2008-08-22 2008-08-22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36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534A (ko) * 2012-03-22 2013-10-02 코웨이 주식회사 자동물내림장치 및 자동물내림방법
CN105544678A (zh) * 2015-12-22 2016-05-04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器自动喷洒杀菌液的方法和装置
CN107923169A (zh) * 2015-08-06 2018-04-17 具敎必 坐便器用水消毒装置及其方法
EP3699370A1 (en) * 2015-06-25 2020-08-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anitary cleaning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534A (ko) * 2012-03-22 2013-10-02 코웨이 주식회사 자동물내림장치 및 자동물내림방법
EP3699370A1 (en) * 2015-06-25 2020-08-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anitary cleaning device
CN107923169A (zh) * 2015-08-06 2018-04-17 具敎必 坐便器用水消毒装置及其方法
US10533311B2 (en) 2015-08-06 2020-01-14 Kyo Pil Ku Toilet bowl water steriliz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CN107923169B (zh) * 2015-08-06 2021-06-22 具敎必 坐便器用水消毒装置及其方法
CN105544678A (zh) * 2015-12-22 2016-05-04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器自动喷洒杀菌液的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006B1 (ko)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
JP5900737B2 (ja) 手洗い器付き小便器
KR20100023691A (ko)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TWI655341B (zh) Urinal
JP5900759B2 (ja) 小便器
JP3118862U (ja) トイレ装置
KR101180097B1 (ko)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JP4882410B2 (ja) 便器装置
JP2007314973A (ja) 洋風便器装置
JP5831848B2 (ja) 手洗い器付き小便器
JP2023111504A (ja) 洋風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KR101327834B1 (ko) 자동 양변기
KR20100005081U (ko) 비데 및 변기
KR101897568B1 (ko) 자동물내림장치 및 자동물내림방법
JP2006200149A (ja) 便器装置
JP2018062773A (ja) 生体情報測定装置
KR101516646B1 (ko) 양변기
KR20090098184A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비데시트
JP7013949B2 (ja) 小便器
JP3729180B2 (ja) 圧送部付き便器
KR101356185B1 (ko)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JP2019027014A (ja) 衛生洗浄装置
JP2012107490A (ja) トイレ装置
JP2019027015A (ja) 衛生洗浄装置
KR200354382Y1 (ko) 절수형 대변기의 자동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