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185B1 -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185B1
KR101356185B1 KR1020120149271A KR20120149271A KR101356185B1 KR 101356185 B1 KR101356185 B1 KR 101356185B1 KR 1020120149271 A KR1020120149271 A KR 1020120149271A KR 20120149271 A KR20120149271 A KR 20120149271A KR 101356185 B1 KR101356185 B1 KR 10135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ter tank
water
washing
bid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엠
Priority to KR102012014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공급안내부재의 안내에 따라 세정수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서서히 차오르게 하여 물의 흔들림에 의한 수위감지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하면서 세정수탱크로 과공급되는 세정수를 세정수탱크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수도관으로 세정수가 역류되면서 역압이 발생하면, 세정수탱크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역압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Device for backflow prevention cleaning water of bidet cleaning tank}
본 발명은 비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공급안내부재의 안내에 따라 세정수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서서히 차오르게 하여 물의 흔들림에 의한 수위감지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하면서 세정수탱크로 과공급되는 세정수를 세정수탱크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수도관으로 세정수가 역류되면서 역압이 발생하면, 세정수탱크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역압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양변기에 장착되어 인체의 항문과 국부를 세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용변을 본 후,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로 휴지 없이 항문을 세정하는 항문세정과,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로 여성들의 국부를 세정하는 국부세정 및 세정수가 분사되는 노즐을 연속 반복적으로 전,후진시키면서 마사지효과를 얻도록 하는 마사지세정 등이 있다.
상기 양변기에 장착되는 비데(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관(P)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부재(21)에서 여과시킨 후,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22)와 감압변(23)을 통과하면서 세정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감압변(23)을 통과한 세정수는, 호스를 통해 세정수탱크(24)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히터(미도시)의 가열로 온도센서(25)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면서 수위감지센서(26)의 제어에 따라 수도관(P)으로부터 세정수의 공급 및 세정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탱크(24)에 저장된 세정수는, 사용자가 가압하는 항문세정이나 국부세정 및 마사지세정의 버튼에 따라 유량조절밸브(27)에서 선택된 하나의 급수로를 통해 노즐(28)로 분사되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항문세정이나 국부세정 및 마사지세정을 수행한 후, 신체에 묻은 잔존 물기는 건조기(29)에서 공급되는 온풍으로 건조시키면 된다.
그러나 상기 수도관으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이 중단되거나 또는 하나의 수도관을 사용하는 다른 장소에서의 세정수 사용량이 급증하면, 세정수가 역류됨과 동시에 발생하는 역압으로 세정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가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수도관으로 세정수가 역류되면서 역압이 발생할 때, 변기가 막혔을 경우, 세척공간에 대,소변이 혼합된 오물의 수위가 높아져 노즐을 오염시킴은 물론 대,소변이 혼합된 오물이 역류되어 세정수탱크 및 수도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세정수탱크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수도관을 통과하여 세정수탱크에 저장될 때, 상기 세정수는 세정수탱크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떨어져 저장되기 때문에 세정수의 흔들림으로 수위감지센서가 제어가 어려워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안내하는 안내관의 상단부는 수도관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하단부는 세정수탱크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형성되므로 세정수가 세정수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서서히 차오르게 하여 세정수의 흔들림에 의한 수위감지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도관으로 세정수가 역류되면서 발생하는 역압 즉, 수도관 내,외부의 압력차에 따라 외부공기가 흡입되면서 역압을 상쇄시켜 세정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 및 변기가 막힌 세척공간에 위치한 오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수탱크에 저장되는 세정수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의 이상으로 세정수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세정수탱크로 과공급되는 세정수를 배출하여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는,
입수공과 출수공이 구비된 세정수탱크와;
상기 세정수탱크에 저장되는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입수공과 수직선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연결되지 않도록 세정수탱크에 고정되어 상기 입수공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세정수탱크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공급안내부재와;
상기 입수공과 세정수탱크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입수공으로부터 역압 발생시, 흡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역압을 상쇄시키도록 외부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수도관으로부터 과공급되는 세정수를 세정수탱크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이동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안내하는 안내관의 상단부는 수도관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하단부는 세정수탱크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형성되므로 세정수가 세정수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서서히 차오르게 하여 세정수의 흔들림에 의한 수위감지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관으로 세정수가 역류되면서 발생하는 역압 즉, 수도관 내,외부의 압력차에 따라 외부공기가 흡입되면서 역압을 상쇄시켜 세정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 및 변기가 막힌 세척공간에 위치한 오물의 역류를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수탱크에 저장되는 세정수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의 이상으로 세정수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세정수탱크로 과공급되는 세정수를 배출함으로써, 세정수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100)는, 입수공(111)과 출수공(112)이 구비된 세정수탱크(110)가 구성되고, 상기 세정수탱크(110)에 저장되는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20)가 구성되며, 상기 입수공(111)과 수직선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연결되지 않도록 세정수탱크(110)에 고정되어 상기 입수공(11)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세정수탱크(110)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공급안내부재(130)가 구성되고, 상기 입수공(111)과 세정수탱크(110)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입수공(111)으로부터 역압 발생시, 흡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역압을 상쇄시키도록 외부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수도관으로부터 과공급되는 세정수를 세정수탱크(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이동안내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입수공(111)은 세정수탱크(1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공급안내부재(130)에 관통된 직경은, 상기 입수공(111)에 관통된 직경보다 크면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안내부재(130)는 하단부보다 상단부가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이동안내부재(140)는, 상단부가 수위감지센서(120)보다 높은 위치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수위감지센서(120)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수도관(P)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부재(21)에서 여과시킨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22)와 감압변(23)을 통과하면서 세정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감압변(23)을 통과한 세정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탱크(110)의 입수공(111)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입수공(111) 하부에 입수공(111)의 직경보다 크면서 동일한 직경으로 관통된 공급안내부재(130)를 통과하는데, 상기 공급안내부재(130)는 상기 입수공(111)과 동일수직선상으로 세정수탱크(110)에 설치된다.
상기 입수공(111)은 공급안내부재(130)와 수직선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세정수탱크(110) 측면보다는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공급안내부재(130)는 하단부보다 상단부가 넓게 형성되어 입수공(111)으로부터 세정수탱크(110)로 세정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안내부재(130)의 상단부는 입수공(11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입수공(111)과 공기이동안내부재(140)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공급안내부재(130)의 하단부는 세정수탱크(110) 내부의 바닥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급안내부재(130)를 통과하는 세정수는 세정수탱크(110) 바닥면에 부딪혀 퍼지도록 하는데, 상기 공급안내부재(130)와 세정수탱크(110) 바닥면의 간격은 상기 입수공(111)과 공급안내부재(130)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안내부재(130)를 통과한 세정수는, 공급안내부재(130) 하부의 세정수탱크(110) 바닥면에 부딪혀 퍼지면서 저장됨과 동시에 수위가 상승하기 때문에 저장된 세정수가 심하게 유동하지 않음으로 수위감지센서(12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세정수탱크(110)에 저장되어 높아지는 세정수의 수위를 수위감지센서(120)에서 감지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22)를 차단시켜 수도관(P)으로부터 세정수의 공급을 중단시키면서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센서(120)보다 상단부는 높고, 하단부는 낮게 공기이동안내부재(140)를 세정수탱크(110)에 설치하여 상기 입수공(111)과 세정수탱크(110)의 외부가 연통되어 대기압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세정수탱크(110)에 저장된 세정수는 히터(미도시)의 가열로 온도센서(25)에서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세정수탱크(110)에 저장된 세정수는, 사용자가 가압하는 버튼에 따라 유량조절밸브(27)를 경유하여 노즐(28)로 분사되면서 항문세정과 국부세정 및 마사지세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항문세정과 국부세정 및 마사지세정을 수행하여 세정수탱크(110)에 저장된 세정수 수위가 낮아지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22)를 개방하여 수도관(P)으로부터 세정수를 상기의 과정으로 공급받아 저장하여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세정수탱크(110)로 공급되어 저장되는 세정수를 수위감지센서(120)의 고장으로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감지센서(120)보다 상단부가 더 높게 위치하면서 하단부는 수위감제선서(120)보다 낮게 위치한 배출안내부재(140)를 통해 세정수탱크(1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세정수탱크(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도관(P)으로부터 세정수의 공급이 중단되거나, 하나의 수도관을 사용하는 다른 장소에서 세정수 사용량이 급증하면, 세정수가 역류됨과 동시에 역압이 발생한다.
또한, 변기가 막힌 상태에서 수도관으로 세정수가 역류되어 역압이 발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공(111)과 세정수탱크(110)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설치된 공기이동안내부재(140)를 통해 세정수탱크(110)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역압을 상쇄시킴으로 세정수탱크(110) 및 변기의 세척공간에 위치한 오물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역류방지장치 110: 세정수탱크
120: 수위감지센서 130: 공급안내부재
140: 공기이동안내부재

Claims (5)

  1. 입수공과 출수공이 구비된 세정수탱크와;
    상기 세정수탱크에 저장되는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입수공과 수직선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연결되지 않도록 세정수탱크에 고정되어 상기 입수공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세정수탱크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공급안내부재와;
    상기 입수공과 세정수탱크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입수공으로부터 역압 발생시, 흡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역압을 상쇄시키도록 외부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수도관으로부터 과공급되는 세정수를 세정수탱크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이동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수공은 세정수탱크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안내부재에 관통된 직경은, 상기 입수공에 관통된 직경보다 크면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급안내부재는, 하단부보다 상단부가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이동안내부재는,
    상단부가 수위감지센서보다 높은 위치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수위감지센서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KR1020120149271A 2012-12-20 2012-12-20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KR101356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271A KR101356185B1 (ko) 2012-12-20 2012-12-20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271A KR101356185B1 (ko) 2012-12-20 2012-12-20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185B1 true KR101356185B1 (ko) 2014-01-24

Family

ID=5014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271A KR101356185B1 (ko) 2012-12-20 2012-12-20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6336A4 (en) * 2019-09-27 2024-01-24 Komoo Intelligent Tech Co Ltd ANTI-SIPHONING WATER STORAGE DEVICE, SANITARY WATER SUPPLY DEVICE AND SANITARY CLEAN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482A (ko) * 2003-12-26 2004-01-31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200349288Y1 (ko) 2004-02-12 2004-05-04 주식회사 디엠티 비데기에서의 물 역류 방지장치
KR200405821Y1 (ko) 2005-10-11 2006-01-11 (주) 아이젠 비데 물탱크의 세정수 유입장치
KR100705648B1 (ko) 2006-07-06 2007-04-09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온수탱크의 온수 역류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482A (ko) * 2003-12-26 2004-01-31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200349288Y1 (ko) 2004-02-12 2004-05-04 주식회사 디엠티 비데기에서의 물 역류 방지장치
KR200405821Y1 (ko) 2005-10-11 2006-01-11 (주) 아이젠 비데 물탱크의 세정수 유입장치
KR100705648B1 (ko) 2006-07-06 2007-04-09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온수탱크의 온수 역류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6336A4 (en) * 2019-09-27 2024-01-24 Komoo Intelligent Tech Co Ltd ANTI-SIPHONING WATER STORAGE DEVICE, SANITARY WATER SUPPLY DEVICE AND SANITARY CLEA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006B1 (ko)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
JP5900737B2 (ja) 手洗い器付き小便器
KR101581447B1 (ko) 도기 일체형 비데의 물공급 장치
KR200462813Y1 (ko) 비데용 쑥 엑기스 공급 장치
KR101908846B1 (ko) 세정액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 수조
KR101356185B1 (ko) 비데 세정수탱크의 세정수 역류방지장치
JP4831758B2 (ja) 食器洗い機
JP5900759B2 (ja) 小便器
KR20100085735A (ko) 온수세정기의 세척장치
US20090081607A1 (en) Dental rinsing unit
JP2017190665A (ja) 知能型便蓋の洗浄装置
JP5831848B2 (ja) 手洗い器付き小便器
KR20100023691A (ko) 변기세정장치를 구비하는 비데 및 좌변기의 자동세정방법
US9915060B2 (en) Rinsing toilet seat
KR20100047082A (ko) 좌변기용 비데
JP2013224548A (ja) 手洗い器付き小便器
JP2017048675A (ja) 水洗大便器
JP2008308861A (ja) 水洗便器装置
KR20100027550A (ko) 좌변기용 비데의 변기 세척장치
CA2680498A1 (en) Bidet/toilet spray faucet
JP2018096167A (ja) 便器装置
KR20100072758A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KR20130107534A (ko) 자동물내림장치 및 자동물내림방법
CA2830274A1 (en) Bidet/toilet spray faucet
JP2011208475A (ja) 洗浄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