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781A -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781A
KR20100020781A KR1020080079536A KR20080079536A KR20100020781A KR 20100020781 A KR20100020781 A KR 20100020781A KR 1020080079536 A KR1020080079536 A KR 1020080079536A KR 20080079536 A KR20080079536 A KR 20080079536A KR 20100020781 A KR20100020781 A KR 20100020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character
npc
investigat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4012B1 (ko
Inventor
김태훈
김준범
김인구
조상원
배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2008007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01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조정되고 있는 캐릭터를 게임 사용자들이 게임 내에서 직접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현재 NPC(몬스터)와 대결 중인 캐릭터만을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일단 NPC의 기능을 정지시킨 후 조사 대상 캐릭터가 해당 NPC를 계속 공격하는지 등 객관적 사정을 통해 조사 대상 캐릭터가 로봇에 의해 조정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정확하고 객관적인 판정이 가능하며, 게임 사용자들은 게임에 더욱 능동적으로 참여한다는 만족감을 얻을 수 있고, 게임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로봇 프로그램을 이용한 부정한 게임 이용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온라인 게임, 게임 아이템, 로봇 프로그램, 감시, NPC, 몬스터

Description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 Play State of On Line Game Service }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조정되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캐릭터를 게임 사용자들이 직접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해당 캐릭터가 정상적인 게임 사용자가 조정하는 것인지 또는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조정되는 것인지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가려내어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기술의 발전과 그래픽, 음향 등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의 컴퓨터 게임이 제작되고 있다.
컴퓨터 게임은 종래에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에서 1인의 게임 사용자가 단독으로 즐기는 범위에서 벗어나 인터넷망 등의 각종 통신망을 이용하여 타 게임 사용자와 함께 게임에 참여하고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온라인 게임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온라인 게임은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진다는 특성상 시간이나 공간상의 제약이 없어 매우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유형의 게임은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게임 사용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게임에서는 게임 사용자가 게임 맵(Map)을 돌아다니면서 여러 가지 임무(퀘스트)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많다.
한편,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은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아이템을 통해 자신이 게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게임 아이템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가상 공간에서 운영되는 쇼핑몰에서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게임 내에서 어떠한 임무를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게임 내에 나타나는 NPC(Non Player Character)와 대결하여 이김으로써 얻도록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NPC란 게임 사용자가 제어하는 캐릭터가 아니라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스스로 동작하는 캐릭터를 말하며, 게임 내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온라인 게임에 등장하는 몬스터는 NPC의 일 예로서, 게임 맵 내의 여러 위치에서 나타나 사용자 캐릭터와 대결하면서 게임을 흥미롭게 진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게임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몬스터와 대결하여 이김으로써 해당 몬스터가 주는 게임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NPC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스스로 동작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정상적인 게임 구성 요소로서, 부정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스스로 게임을 진행시키는 로봇 프로그램과는 다른 것이다.
게임 아이템은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가상 공간에서 구현된 것일 뿐이지만 많은 게임 사용자들이 소유를 원하고 획득이 쉽지 않은 것들은 고가의 현금과 교환되는 등 중요한 자산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이 때문에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는 부정한 방법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 중의 하나가 로봇 프로그램(또는 BOT라고도 불린다)인데, 로봇 프로그램은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스스로 특정 NPC(몬스터)와 계속 대결을 진행하면서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거나 게임 내 레벨을 높이는 등 비정상적으로 게임을 진행한다.
이 때문에 정상적인 게임 사용자들의 게임 진행을 방해하는 등 여러 부정적인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게임 운영자 측에서 로봇 프로그램이 조정하는 캐릭터를 가려내려는 시도를 하고 있고, 게임 사용자가 직접 로봇 프로그램의 NPC 사냥을 방해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기도 한다.
그러나, 게임 운영자가 수많은 캐릭터의 행동 형태를 파악하고 일일이 감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또한, 게임 사용자가 직접 로봇 프로그램이 조정하는 캐릭터의 NPC 사냥을 방해하는 등 조치를 취할 때는 오히려 정상적인 게임 사용자가 부정 사용자인 것처럼 인식되어 벌칙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게임 사용자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어 로봇 프로그램을 이용한 부정한 게임 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로봇 프로그램이 조정하는 캐릭터를 게임 사용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로봇 프로그램이 조정하는 캐릭터를 정확하게 찾아내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은,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사용자가 NPC(Non Player Character)와 대결하고 있는 타 캐릭터 중 특정 캐릭터를 선택하여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하는 단계; 게임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정된 조사 대상 캐릭터와 해당 NPC 정보를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와 대결 중이었던 NPC의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가 상기 조사 대상으로 지정된 후 상기 기능이 제한된 NPC에 대하여 수행하는 플레이 상황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파악된 플레이 상황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에 대하여 벌칙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를 지정하는 단계는 조사 대상 지정을 가능하게 하는 게임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선택한 후 상기 게임 아이 템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타 캐릭터에 대해 스킬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능이 제한된 NPC는 중복하여 기능이 제한되지 않도록 구성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원래 상태로 회복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기능이 제한된 후 다시 원래 상태로 회복된 NPC는 일정 지연 시간이 지난 후에만 다시 기능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를 지정하는 단계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는 게임 사용자의 특정 게임 아이템 보유 상태, 게임 사용자의 게임 내 레벨, 해당 NPC의 종류, 및 타 캐릭터가 위치하고 있는 게임 맵 내 장소 등을 통해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PC의 기능 제한은 해당 NPC가 게임 내 상황에 반응하지 않도록 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가 상기 조사 대상으로 지정된 후 상기 기능이 제한된 NPC를 공격하는 상황을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벌칙은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를 이용하여 플레이하는 사용자 컴퓨터의 게임 화면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를 게임 맵 내의 일정 장소로 강제 이동시키는 것,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의 게임 내 기능을 제한하는 것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벌칙은 상기 파악된 플레이 상황의 정도에 따라 복수 단계에 걸쳐 차등적으로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시스템은,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게임 서버와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고 게임 사용자가 NPC와 대결하고 있는 특정 캐릭터를 선택하여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 클라이언트, 및 게임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조사 대상 캐릭터와 NPC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와 대결 중이었던 NPC의 기능을 제한하는 NPC 기능 제한부;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가 조사 대상으로 지정된 후 상기 기능이 제한된 NPC에 대하여 수행하는 플레이 상황을 파악하는 이상 플레이 확인부; 및 상기 이상 플레이 확인부에서 파악된 상태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에 대하여 벌칙 처리를 수행하는 벌칙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조사 대상 지정을 가능하게 하는 게임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선택한 후 상기 게임 아이템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타 캐릭터에 대해 스킬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PC 기능 제한부는 해당 NPC가 게임 내 상황에 반응하지 않도록 처리함으로써 해당 NPC의 기능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상 플레이 확인부는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가 조사 대상으로 지정된 후 상기 기능이 제한된 NPC를 공격하는 상황을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벌칙 처리부는 이상 플레이 확인부에 의해 파악된 플레이 상황의 정도에 따라 복수 단계에 걸쳐 차등적으로 벌칙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 사용자들이 이상 행동을 보이는 캐릭터를 직접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하도록 한다. 특히, NPC와 대결 중인 캐릭터만을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NPC를 제어한 후에 나타나는 조사 대상 캐릭터의 비정상적 행동을 통해 조사 대상 캐릭터가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조정되는 것인지를 판단하므로 정확하고 객관적인 판정이 가능하다.
또한,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는 게임 사용자의 자격이나 게임 내 조건 등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면, 이 제도가 악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프로그램을 이용한 게임 이용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게임 사용자가 직접 부정 캐릭터를 가려내므로 게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만족감을 줄 수 있고, 게임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로봇 프로그램으로 인한 게임 사용자들의 불만이나 제보가 줄어들어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로봇 프로그램 퇴치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축적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사용자 컴퓨터(11)는 데스크 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등 각종 개인용 컴퓨터(PC), 이동통신단말기 등 통신망(13)을 통해 게임 서버(14)에 접속하여 게임 서버(14)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11)에는 통신망(13)을 통해 게임 서버(14)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임 클라이언트(12)가 설치되는데, 게임 클라이언트(12)는 사용자 컴퓨터(11)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12)는 통신망(13)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고, 게임 화면 처리, 사운드 처리, 게임 서버와의 통신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사용자 측 주체로서 다양한 게임 관련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로봇 프로그램을 통해 부정한 방법으로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에 로봇 프로그램을 설치하는데, 로봇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로봇 프로그램은 스스로 캐릭터를 조정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고 특정 NPC와 대결하여 게임 아이템을 획득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게임 서버(124) 측에 개설되어 있는 계정을 이용하여 마치 자신이 게임 사용자인 것처럼 위장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온라인 게임을 즐기려는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11)에 설치된 게임 클라이언트(12)를 구동하고, 자신의 계정에 설정되어 있는 인증정보(예: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게임 서버(14)에 로그인한 후 온라인 게임을 이용한다.
게임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는 도중 어떤 NPC와 대결하고 있는 타 캐릭터가 비정상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발견하면, 게임 화면상에서 해당 캐릭터를 선택하여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한다(S21).
도 3을 참조하자면, 게임 사용자는 게임 화면(30)을 통해 자신의 캐릭터(33)뿐 아니라 타 캐릭터(31)가 NPC(32)와 대결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그 대결 형태가 사용자에 의해 조정되는 것과는 다르게 비정상적인 모습으로 보일 경우에는 먼저 해당 타 캐릭터(31)를 선택한다.
그리고, 게임 내에 구현된 지정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캐릭터(31)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한다.
단계 S21에서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하나의 예는 조사 대상 캐릭터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임 아이템을 소유한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선택한 후 해당 게임 아이템을 이용하여 선택된 캐릭터에 대해 스킬을 사용함으로써 그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특정 게임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 게임 사용자가 이 게임 아이템을 이용하여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게임 아이템은 모든 게임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가상 공간에 구현된 쇼핑몰에서 구입하도록 구성하거나, 게임 내의 상황에 따라 획득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다.
특히, 조사 대상 캐릭터가 지정되면 조사 대상 캐릭터와 대결하고 있던 NPC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지정이 남용되어 비정상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데도 다른 사용자가 해당 캐릭터를 조사 대상으로 지정하는 것이 반복되면 오히려 정상적인 게임 진행을 방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하나의 예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건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게임 사용자에게 조사 대상 캐릭터 지정을 할 수 있는 특정 게임 아이템이 있는지의 여부, 게임 사용자의 게임 내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이 되는지의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NPC의 종류(대결 결과에 따라 중요한 게임 아이템을 제공하는 NPC와 같이 로봇 프로그램의 목표가 될 수 있을 만한 NPC와 대결하는 캐릭터만이 지정의 대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타 캐릭터가 게임 맵 내의 특정 지역(로봇 프로그램의 목표가 될 수 있을만한 NPC가 출현하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도 조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제 게임 클라이언트(12)는 조사 대상 캐릭터와 해당 NPC 정보를 게임 서버(14)로 전송한다(S22).
단계 S22를 통해 게임 클라이언트(12)로부터 조사 대상 캐릭터와 해당 NPC 정보를 수신한 게임 서버(14)는 조사 대상 캐릭터와 대결 중이었던 NPC의 기능을 제한하게 된다(S23).
단계 S23에서 해당 NPC의 기능을 제한하는 것은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된 캐릭터가 실제 정상적인 게임 사용자가 아니라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조사 대상 캐릭터가 기능이 제한된 NPC에 대하여 수행하는 플레이 상황을 파악한다(S24).
단계 S23에서 어떻게 NPC의 기능을 제한할 것인지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 하나의 예를 들자면, 해당 NPC가 게임 내 상황에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원래의 NPC가 자신을 공격하는 캐릭터를 자신도 공격하고, 공격받은 정도에 따라 에너지가 감소하도록 구성된 것이었다면, 기능이 제한된 경우 해당 NPC는 일정 시간 동안 게임 내에서 공격을 받거나 공격하지 않게 된다.
조사 대상 캐릭터를 조정하여 해당 NPC와 대결하던 사용자는 상황이 변한 것을 즉시 알 수 있다. 즉, 해당 NPC를 공격하면 서로 공격하거나 공격받는 상태에 따라 에너지가 감소되거나 공격/방어하는 모습이 보여야 정상인데 갑자기 대결 중이던 NPC의 동작이 중지되므로 즉시 이 상황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조사 대상 캐릭터를 조정하던 주체가 로봇 프로그램이 아니라 정상적인 게임 사용자였다면 이러한 상황을 알고는 더 이상 무의미한 대결을 계속 진행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조사 대상 캐릭터를 조정하던 주체가 로봇 프로그램이었다면, 이 상황을 알 수 없을 것이므로 기능이 정치된 NPC에 대한 공격을 계속하여 진행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지하면 조사 대상 캐릭터가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조정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 S24에서 파악할 플레이 상황은 조사 대상 캐릭터가 조사 대상으로 지정된 후 기능이 제한된 NPC를 공격하는 상황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느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하였다고 하더라도 정상적인 게임 진행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NPC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자면, 좁은 공간에 여러 NPC가 나타나 여러 캐릭터와 대결하고 있어 어떤 캐릭터가 어떤 NPC와 대결하고 있는지 시각적으로 분명히 파악할 수 없거나, 단체(예: 길드) 단위로 게임을 진행하고 있어 특정 사용자 때문에 전체 게임 진행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등에 있어서는 이와 관련한 어느 NPC의 기능 제한이 정상적인 게임 사용자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조사 대상 캐릭터의 지정이 있더라도 해당 NPC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단 기능이 제한된 NPC는 중복하여 기능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거나, 기능이 제한된 후 다시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된 NPC는 일정 지연 시간이 지난 후에만 다시 기능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게임 서버(14)는 단계 S24를 통해 파악되는 상황에 따라 조사 대상 캐릭터에 대하여 벌칙 처리를 수행한다(S25).
단계 S25에서 게임 서버(14)가 처리하는 벌칙의 종류와 내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조사 대상 캐릭터를 이용하여 플레이하는 사용자 컴퓨터의 게임 화면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처리하거나, 조사 대상 캐릭터를 게임 맵 내의 일정 장소(예: 로봇 프로그램의 목표가 될 수 있을만한 NPC가 출현하지 않는 지역)로 강제 이동시키거나, 또는 조사 대상 캐릭터의 게임 내 기능이 제한(예: 일정 시간 동안 아무런 동작을 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로 있도록 하는 것)되도록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25에서의 벌칙은 단계 S24에서 파악되는 플레이 상황의 정도에 따라 복수 단계에 걸쳐 차등적으로 부여될 수도 있다. 차등적으로 벌칙을 부여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 S24를 통해 기능이 제한되어 있는 NPC가 조사 대상 캐릭터로부터 피격당한 횟수(변수 x로 표시하였다)가 파악된다(S41).
단계 S41은 NPC가 기능이 정지된 상태에서 조사 대상 캐릭터로부터 공격을 당하면 이를 게임 서버(14)에 알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그러면, 게임 서버(14)는 x값이 1 이상 5 이하인 경우에는 기본적 경고 내용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가 해당 사용자 컴퓨터의 게임 화면에 출력되도록 처리한다(S42,S42-1).
그러나, x값이 6 이상 10 이하인 경우이면 게임 서버(14)는 곧 벌칙이 주어질 것임을 알리는 강력한 경고 메시지가 해당 사용자 컴퓨터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처리한다(S43,S43-1).
만일 x값이 11이면, 게임 서버(14)는 조사 대상 캐릭터를 게임 맵 내의 다른 장소로 강제 이동시킨 후 일정 시간 동안 그 자리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거나 정상적인 게임 진행을 할 수 없도록 조사 대상 캐릭터의 기능을 정지시킨다(S44).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시스템(50)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부정 게임 상황 감시 시스템(50)은 게임 클라이언트(12)와 게임 서버(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12)는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사용자 측 주체로서 기본적으로 게임 서버(14)와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게임 사용자가 NPC와 대결하고 있는 타 캐릭터 중 특정 캐릭터를 선택하여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게임 클라이언트(12)는 조사 대상 캐릭터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임 아이템을 소유한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선택한 후 해당 게임 아이템을 이용하여 선택된 캐릭터에 대해 스킬을 사용함으로써 그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특정 게임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 게임 사용자가 이 게임 아이템을 이용하여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게임 아이템은 모든 게임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가상 공간에 구현된 쇼핑몰에서 구입하도록 구성하거나, 게임 내의 상황에 따라 획득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게임 클라이언트(12)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조건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게임 사용자에게 조사 대상 캐릭터 지정을 할 수 있는 특정 게임 아이템이 있는지의 여부, 게임 사용자의 게임 내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이 되는지의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NPC의 종류(대결 결과에 따라 중요한 게임 아이템을 제공하는 NPC와 같이 로봇 프로그램의 목표가 될 수 있을 만한 NPC와 대결하는 캐릭터만이 지정의 대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타 캐릭터가 게임 맵 내의 특정 지역(로봇 프로그램의 목표가 될 수 있을만한 NPC가 출현하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도 조건에 포함될 수 있다.
게임 서버(14)는 게임 클라이언트(12)와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버 측 구성요소로서 NPC 기능 제한부(14-1), 이상 플레이 확인부(14-2), 벌칙 처리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NPC 기능 제한부(14-1)는 게임 클라이언트(12)로부터 조사 대상 캐릭터와 NPC 정보가 수신되면 조사 대상 캐릭터와 대결 중이었던 NPC의 기능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 플레이 확인부(14-2)는 조사 대상 캐릭터가 NPC 기능 제한부(14-1)에 의해 기능이 제한되어 있는 NPC에 대하여 수행하는 플레이 상황을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NPC 기능 제한부(14-1)가 해당 NPC의 기능을 제한하는 것은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된 캐릭터가 실제 정상적인 게임 사용자가 아니라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NPC 기능 제한부(14-1)가 NPC의 기능을 어떻게 제한할 것인지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 하나의 예를 들자면, 해당 NPC가 게임 내 상황에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원래의 NPC가 자신을 공격하는 캐릭터를 자신도 공격하고, 공격받은 정도에 따라 에너지가 감소하도록 구성된 것이었다면, 기능이 제한된 경우 해당 NPC는 일정 시간 동안 게임 내에서 공격을 받거나 공격하지 않게 된다.
이제 조사 대상 캐릭터를 조정하여 해당 NPC와 대결하던 사용자는 상황이 변한 것을 즉시 알 수 있다.
즉, 해당 NPC를 공격하면 서로 공격하거나 공격받는 상태에 따라 에너지가 감소되거나 공격/방어하는 모습이 보여야 정상인데 갑자기 대결 중이던 NPC의 동작이 중지되므로 즉시 이 상황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조사 대상 캐릭터를 조정하던 주체가 로봇 프로그램이 아니라 정상적인 게임 사용자였다면 이러한 상황을 알고는 더 이상 무의미한 대결을 계속 진행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조사 대상 캐릭터를 조정하던 주체가 로봇 프로그램이었다면, 이 상황을 알 수 없을 것이므로 기능이 정치된 NPC에 대한 공격을 계속하여 진행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지하면 조사 대상 캐릭터가 로봇 프로그램에 의해 조정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상 플레이 확인부(14-2)는 조사 대상 캐릭터가 조사 대상으로 지정된 후 기능이 제한된 NPC를 공격하는 상황 정보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NPC 기능 제한부(14-1)는 어느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하였다고 하더라도 정상적인 게임 진행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NPC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자면, 좁은 공간에 여러 NPC가 나타나 여러 캐릭터와 대결하고 있어 어떤 캐릭터가 어떤 NPC와 대결하고 있는지 시각적으로 분명히 파악할 수 없거나, 단체(예: 길드) 단위로 게임을 진행하고 있어 특정 사용자 때문에 전체 게임 진행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등에 있어서는 이와 관련한 어느 NPC의 기능 제한이 정상적인 게임 사용자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조사 대상 캐릭터의 지정이 있더라도 해당 NPC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단 기능이 제한된 NPC는 중복하여 기능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거나, 기능이 제한된 후 다시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된 NPC는 일정 지연 시간이 지난 후에만 다시 기능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벌칙 처리부(14-3)는 이상 플레이 확인부(14-2)에서 파악된 상태에 따라 조사 대상 캐릭터에 대하여 벌칙 처리를 수행한다.
벌칙 처리부(14-3)에서 처리하는 벌칙의 종류와 내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조사 대상 캐릭터를 이용하여 플레이하는 사용자 컴퓨터의 게임 화면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처리하거나, 조사 대상 캐릭터를 게임 맵 내의 일정 장소(예: 로봇 프로그램의 목표가 될 수 있을만한 NPC가 출현하지 않는 지역)로 강제 이동시키거나, 또는 조사 대상 캐릭터의 게임 내 기능이 제한(예: 일정 시간 동안 아무런 동작을 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로 있도록 하는 것)되도록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벌칙 처리부(14-3)는 이상 플레이 확인부(14-2)에 의해 파악되는 플레이 상황의 정도에 따라 복수 단계에 걸쳐 차등적으로 벌칙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조사 대상 캐릭터에 대하여 벌칙 처리를 한다는 것은 조사 대상 캐릭터의 게임 내 기능을 제한하거나 게임 내에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뿐 아니라, 해당 캐릭터를 갖고 있는 사용자(즉 이 캐릭터에 대한 계정의 실제 사용자)에 대한 벌칙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로서, 이 사용자가 일정 기간 그 계정을 통해서는 아예 게임에 로그인을 할 수 없도록 벌칙을 처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부정 게임 상황 감시 시스템(50)의 동작 과정을 요약 설명하기로 한다.
어느 게임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도중 NPC와 대결하고 있는 타 캐릭터가 비정상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보이면, 그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한다. 그러면, 게임 클라이언트(12)는 조사 대상 캐릭터와 해당 NPC 정보를 게임 서버(14)로 전송한다.
그러면, NPC 기능 제한부(14-1)는 일단 해당 NPC의 기능을 제한한다.
이상 플레이 확인부(14-2)는 기능이 제한된 NPC에 대한 조사 대상 캐릭터의 플레이 상황을 감시한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PC 기능 제한부(14-1)에서 해당 NPC가 게임 내 상황에 반응하지 않도록 처리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조사 대상 캐릭터가 무의미하게 해당 NPC를 계속 공격한다면 이상 플레이 확인부(14-2)는 해당 NPC가 조사 대상 캐릭터로부터 피격당한 횟수를 이상 플레이 정보로서 파악한다.
그러면, 벌칙 처리부(14-3)는 그 횟수에 따라 조사 대상 캐릭터를 조정하는 사용자 컴퓨터의 화면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처리하거나, 조사 대상 캐릭터를 게임 맵 내 다른 장소로 강제 이동시킨 후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등 벌칙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로봇 프로그램을 이용한 부정한 게임의 이용을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개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
도 3은 조사 대상 캐릭터를 지정하는 과정의 설명을 위한 게임 화면의 예,
도 4는 벌칙을 차등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시스템에 관한 일 실시예,
도 6은 부정 게임 상황 감시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개요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사용자 컴퓨터 12: 게임 클라이언트
13: 통신망 14: 게임 서버
14-1: NPC 기능 제한부 14-2: 이상 플레이 확인부
14-3: 벌칙 처리부

Claims (15)

  1.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사용자가 NPC(Non Player Character)와 대결하고 있는 타 캐릭터 중 특정 캐릭터를 선택하여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하는 단계;
    게임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정된 조사 대상 캐릭터와 해당 NPC 정보를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와 대결 중이었던 NPC의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가 상기 조사 대상으로 지정된 후 상기 기능이 제한된 NPC에 대하여 수행하는 플레이 상황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파악된 플레이 상황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에 대하여 벌칙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를 지정하는 단계는 조사 대상 지정을 가능하게 하는 게임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선택한 후 상기 게임 아이템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타 캐릭터에 대해 스킬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이 제한된 NPC는 중복하여 기능이 제한되지 않도록 구성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원래 상태로 회복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기능이 제한된 후 다시 원래 상태로 회복된 NPC는 일정 지연 시간이 지난 후에만 다시 기능이 제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를 지정하는 단계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는 게임 사용자의 특정 게임 아이템 보유 상태, 게임 사용자의 게임 내 레벨, 해당 NPC의 종류, 및 타 캐릭터가 위치하고 있는 게임 맵 내 장소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PC의 기능 제한은 해당 NPC가 게임 내 상황에 반응하지 않도록 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가 상기 조사 대상으로 지정된 후 상기 기능이 제한된 NPC를 공격하는 상황을 파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칙은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를 이용하여 플레이하는 사용자 컴퓨터의 게임 화면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를 게임 맵 내의 일정 장소로 강제 이동시키는 것, 및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의 게임 내 기능을 제한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벌칙은 상기 파악된 플레이 상황의 정도에 따라 복수 단계에 걸쳐 차등적으로 부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10.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게임 서버와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고 게임 사용자가 NPC와 대결하고 있는 특정 캐릭터를 선택하여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 클라이언트, 및 게임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조사 대상 캐릭터와 NPC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와 대결 중이었던 NPC의 기능을 제한하는 NPC 기능 제한부;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가 조사 대상으로 지정된 후 상기 기능이 제한된 NPC에 대하여 수행하는 플레이 상황을 파악하는 이상 플레이 확인부; 및
    상기 이상 플레이 확인부에서 파악된 상태에 따라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에 대하여 벌칙 처리를 수행하는 벌칙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조사 대상 지정을 가능하게 하는 게임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선택한 후 상기 게임 아이템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타 캐릭터에 대해 스킬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게임 사용자가 타 캐릭터를 조사 대상 캐릭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NPC 기능 제한부는 해당 NPC가 게임 내 상황에 반응하지 않도록 처리함으로써 해당 NPC의 기능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플레이 확인부는 상기 조사 대상 캐릭터가 조사 대상으로 지정된 후 상기 기능이 제한된 NPC를 공격하는 상황을 파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시스템.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벌칙 처리부는 이상 플레이 확인부에 의해 파악된 플레이 상황의 정도에 따라 복수 단계에 걸쳐 차등적으로 벌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시스템.
KR20080079536A 2008-08-13 2008-08-13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101494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9536A KR101494012B1 (ko) 2008-08-13 2008-08-13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9536A KR101494012B1 (ko) 2008-08-13 2008-08-13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781A true KR20100020781A (ko) 2010-02-23
KR101494012B1 KR101494012B1 (ko) 2015-02-17

Family

ID=4209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9536A KR101494012B1 (ko) 2008-08-13 2008-08-13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0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4983A1 (en) * 2011-10-13 2013-04-18 Neo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account
WO2013054980A1 (en) * 2011-10-13 2013-04-18 Neo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account
KR101362217B1 (ko) * 2012-01-05 2014-02-13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캐릭터 제어 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20160093223A (ko) * 2015-01-29 2016-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라인 게임의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게임봇 검출 방법
KR20190009206A (ko) * 2017-07-18 2019-01-28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해킹 툴 탐지 장치 및 해킹 툴 탐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969A (ja) 1997-06-16 1999-01-12 Konami Co Ltd ゲーム装置、ゲーム方法および可読記録媒体
JP4385863B2 (ja) * 2004-06-23 2009-12-16 株式会社セガ オンラインゲーム不正検出方法
JP2006254980A (ja) 2005-03-15 2006-09-28 Namco Bandai Games Inc ネットワーム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20070117893A (ko) * 2006-06-09 2007-12-13 주식회사 와이앤케이 코리아 온라인 게임 비정상접근 방지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4983A1 (en) * 2011-10-13 2013-04-18 Neo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account
WO2013054980A1 (en) * 2011-10-13 2013-04-18 Neo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account
CN104025143A (zh) * 2011-10-13 2014-09-03 新人类有限公司 检测异常账号的装置及方法
KR101362217B1 (ko) * 2012-01-05 2014-02-13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캐릭터 제어 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20160093223A (ko) * 2015-01-29 2016-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라인 게임의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게임봇 검출 방법
KR20190009206A (ko) * 2017-07-18 2019-01-28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해킹 툴 탐지 장치 및 해킹 툴 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012B1 (ko) 201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791B2 (en) Automatic movement of player character in network game
US11077376B2 (en) Managing game metrics and authorizations
US8821290B2 (en) Automatic movement of disconnected character in network game
US8308569B2 (en) Reward for resurrecting teammate in a multiplayer game
US8771061B2 (en) Invalidating network devices with illicit peripherals
US7980949B2 (en) Guard condition system
KR20140122170A (ko) 비디오 게임 처리 장치, 및 비디오 게임 처리 프로그램
US11666829B1 (en) Utilizing gaming behavior in user authentication
WO2018127704A1 (en) User analysis system and method
KR20110081400A (ko) 엠엠오알피지에서의 리플레이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0781A (ko)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부정 게임 상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JP6602617B2 (ja)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サーバ
Carroll et al. Effects of VR gaming and game genre on player experience
JP6984112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Kaiser et al. On the objective evaluation of real-time networked games
JP4987315B2 (ja) ゲームシステム、そのゲームシステムに含まれるゲームサーバ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652323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KR20190010949A (ko) 사용자 상태에 따라 게임 환경을 변화시키는 온라인 게임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제공 방법
KR101153440B1 (ko) 온라인 게임에서 핵 툴 사용상태 실시간 표시방법
JP7394176B2 (ja) 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及びゲーム実行方法
KR20130143163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스킬 판정방법 및 시스템
JP7168864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の管理方法
JP2023106050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
Hassan MPhil Thesis
JP2020171803A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