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7589A -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589A
KR20100017589A KR1020097025219A KR20097025219A KR20100017589A KR 20100017589 A KR20100017589 A KR 20100017589A KR 1020097025219 A KR1020097025219 A KR 1020097025219A KR 20097025219 A KR20097025219 A KR 20097025219A KR 20100017589 A KR20100017589 A KR 20100017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membrane
ion conductive
conductive electrolyte
thin film
hydroge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우치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쯔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쯔미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쯔미테크
Publication of KR2010001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01D65/102Detection of leaks in membra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4Pin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89Means for holding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71Failure or abnormal function of the individual fuel ce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전해질막(10)의 제1면(10a)에 조광 박막(light-control membrane)(11)을 접합하고, 수소가스를 전해질막(10)의 제2면(10b)측에서 공급한다. 전해질막(10)에 예를 들면 크랙이나 핀홀 등의 결함부(10c)가 있으면, 수소가스가 결함부(10c)를 매개로 하여 전해질막(10)의 제1면(10a)으로 누설되기 때문에, 누설 수소가스로 조광 박막(11)이 수소화되고, 조광 박막(11)의 반사율이 국소적으로 변화하여, 결함부(10c)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방법{Ion conductive electrolyte film inspection method}
본 발명은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결함부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이하, 간단히 「전해질막」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은, 예를 들면 연료전지에 사용되고, 수소이온 전도를 이용하는 수소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은, 예를 들면 고체 고분자형 연료전지의 막 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에 사용된다. 상기 막 전극 접합체는, 수소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인 고체 고분자막의 한쪽 면에 수소극(연료극)을, 또한 다른 쪽 면에 공기극(산소극)을 각각 접합하여 구성된다. 고체 고분자형 연료전지의 경우에는 수소극에 수소가, 공기극에 산소(또는 공기)가 각각 공급된다. 수소는 수소극에서 이온화되어 수소이온과 전자를 생성한다. 수소이온은 전해질막을 투과하여 공기극으로 도달한다. 수소극에서 생성된 전자는 수소극과 공기극 사이에 접속된 전기적 부하를 매개로 하여 공기극으로 도달한다. 전자가 공급된 공기극에서는 수소이온과 산소가 반응하여, 물(수증기)이 생성된다.
이렇게 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고체 고분자형 연료전지의 경우에는, 막 전극 접합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해질막에 핀홀이나 크랙이 있으면, 전해질막에 가스 누출이 발생하여, 발전능력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러한 핀홀이나 크랙은, 예를 들면 전해질막의 한쪽 면측의 공간에 수소가스를 공급하면, 전해질막에 수소가스의 누설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수소센서에서 전해질막의 다른 쪽 면측의 공간 중에 포함되는 수소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에 사용되는 수소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수소 흡수 합금을 사용한 것 등이 있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23309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수소센서를 사용해서 분위기 중에 포함되는 누설 수소가스의 농도를 측정해도, 누설 수소가스의 농도로부터 핀홀 등의 유무를 간접적으로 검사하는 데 지나지 않아, 전해질막에 있어서의 핀홀 등의 위치나 크기 등을 직접적으로 검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해질막에 있어서의 핀홀이나 크랙 등의 결함부를 직접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방법은,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제1면에 조광 박막(light-control membrane)이 접합되고, 수소가스가 상기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제2면측의 공간에 공급된다.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에, 수소가스의 누설을 발생시키는 결함부가 있는 경우에는, 결함부를 매개로 하여 수소가스가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제2면으로부터 제1면으로 누설되기 때문에, 조광 박막이 누설 수소가스로 수소화되어 광학적 반사율이 변화한다. 따라서, 조광 박막의 국부적인 광학적 반사율의 변화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결함부 유무를 직접적이고 또한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검사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상기 제2면측의 공간에 있어서의 기압이, 상기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상기 제1면측의 공기에 있어서의 기압보다 높아도 된다. 이 경우, 결함부에 있어서의 누설 수소가스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누설 개소에 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조광 박막의 광학적 반사율이 국소적으로 보다 현저히 변화하기 때문에, 전해질막의 결함부 유무를 보다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검사방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조광 박막은 촉매층과 반사층을 갖고, 상기 촉매층이 상기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과 접해 있으면, 촉매층이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결함부를 매개로 하여 누설된 수소가스로 반응층을 수소화하여, 조광 박막의 광학적 반사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반응층은, 예를 들면 마그네슘·니켈 합금, 마그네슘·티탄 합금, 마그네슘·니오브 합금, 마그네슘·바나듐 합금 또는 마그네슘으로 형성되고, 상기 촉매층은, 예를 들면 팔라듐 또는 백금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조광 박막은, 수소에 반응하여 신속하고 또한 가역적으로 광학적 반사율이 변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검사방법에 의해 전해질막의 핀홀 등의 결함부를 검사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전해질막에 조광 박막을 접합한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해질막에 있어서의 수소가스 누설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해질막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검사방법에 의해, 전해질막의 핀홀 등의 결함부를 검사하기 위해, 전해질막 등을 용기에 수용하는 경우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검사 대상이 되는 전해질막에 조광 박막을 접합했을 때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해질막에 있어서의 수소가스 누설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전해질막의 사시도이고, 도 4는 검사를 위해 도 1에 나타내는 전해질막 등을 용기에 수용하는 경우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전해질막(10)과 동일한 평면상형을 갖는 조광 박막(11)은, 촉매층(12)과 반응층(13)을 갖고, 촉매층(12)이 전해질막(10)의 제1면(10a)에 접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 중의 부호 10b는, 전해질 막(10)의 제2면을 나타내고 있다. 전해질막(10)에는, 예를 들면 고체 고분자막인 퍼플루오로설폰산기 폴리머막, 또는 나피온막(Nafion membra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광 박막(11)이 갖는 반응층(13)은, 예를 들면 MgNix(0≤x<0.6)의 박막이다. 반응층(13)은, 마그네슘·티탄 합금, 마그네슘·니오브 합금, 마그네슘·바나듐 합금 또는 마그네슘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촉매층(12)은, 예를 들면 팔라듐 또는 백금으로 되고, 반응층(13)의 표면에 코팅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촉매층(12)의 두께는 1 nm~100 nm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광 박막(11)이, 수소 농도가 100 ppm~1% 정도 이상의 분위기에 닿으면, 예를 들면 수 초~10초 정도에서, 반응층(13)이 신속하고 또한 가역적으로 수소화되어 광학적 반사율(이하, 간단히 「반사율」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에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변화가 발생한다. 즉, 반응층(13)은, 수소화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반사율이 높고, 수소화되면 반사율이 저하된다.
또한, 폴리에틸렌 시트 상에 반응층(13)을 형성하고, 추가적으로 촉매층(12)을 형성한 조광 박막(11)의 경우에는, 그 취급이 용이해진다. 이 경우, 도 1에 있어서의 조광 박막(11)의 윗면에 폴리에틸렌 시트가 위치한다.
전해질막(10)을 검사하는 경우,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조광 박막(11)을 접합한 전해질막(10)을 용기(20)에 수용한 후, 전해질막(10)의 제2면(10b)측의 수소가스 공급공간(21)에, 용기(20)의 수소가스 공급구(21a)로부터 수소가스(H2)를, 예를 들면 펌프(26)로 공급한다. 조광 박막(11)측의 공기 공급공 간(22)에는, 수소가스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가스(예를 들면 공기)가 용기(20)의 공기 공급구(22a)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펌프로 공급된다. 수소가스 공급공간(21)과 공기 공급공간(22)은, 전해질막(10)으로 차단되어 있다. 공기 공급공간(22)의 둘레벽(23)에는, 조광 박막(11)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창(24)이 설치되어 있다. 창(24)에는, 유리(25)가 취부되어 용기(20)의 내부와 외부를 차폐하고 있다. 또한, 조광 박막(11)을 접합한 전해질막(10)은, 그 주변부를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으로 협지하거나 하여 용기(2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전해질막(10)에 크랙이나 핀홀 등의 결함부가 전혀 없을 때에는, 수소가스 공급공간(21)에 공급된 수소가스는, 전해질막(10)에 막혀 조광 박막(11)에 닿을 수 없다. 따라서, 조광 박막(11)은 수소화되지 않고, 조광 박막(11)의 반사율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조광 박막(11)의 표면(11a)을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 조광 박막(11)은, 균일하고 높은 반사율을 가져 거울면처럼 보인다.
한편, 전해질막(10)에 크랙(10c)(결함부)이 있을 때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소가스(H2)가 전해질막(10)의 제2면(10b)으로부터 크랙(10c)을 지나 전해질막(10)의 제1면(10a)으로 누설된다. 그러면 크랙(10c)에 접하는 조광 박막(11)의 부분(11c)은, 누설된 수소가스(H2)의 많고 적음에 따라 반사율이 신속하게 저하되어, 조광 박막(11)의 얼룩으로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광 박막(11)과 전해질막(10)의 제1면(10a)의 접합은, 양쪽 막 사이에 간극이 전혀 생기지 않는 완전한 밀착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 면, 양쪽 막을 접합할 때 약간의 간극이 발생했다고 해도, 크랙(10c)에서 누설된 수소가스는, 크랙(10c)의 가장 가까운 반응층(13)을 수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소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을 검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해질막(10)의 제2면(10b)에 수소극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왜냐하면, 전해질막(10)에 결함부가 있을 때에는, 수소가스는, 수소극을 투과한 후 결함부를 통해 전해질막(10)의 제1면(10a)으로 누설되어 반응층을 수소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소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에 수소극을 접합한 막 전극 접합체의 반완성품 상태에 있어서, 결함부의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소극을 접합함으로써, 조광 박막(11)과 전해질막(10)의 접합체(양쪽 막 모두 매우 얇음)에 수소극의 두께가 더해져, 전해질막 등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펌프(26)를 사용해서, 수소가스를 공급하는 동시에, 수소가스 공급공간(21)의 기압을 공기 공급공간(22)의 기압보다도 높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전해질막(10)에 수소극을 접합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크랙(10c)에 있어서의 누설 수소가스를 증량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수소가스 공급공간(21)의 기압을 공기 공급공간(22)의 기압보다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펌프(26) 이외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의 검사방법에 의하면, 조광 박막(11)에 수소가스 누설을 발생시키는 결함부의 유무, 결함부의 위치, 결함부의 형상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육안으로 확인하는 대신에, TV 카메라 등으로 조광 박막(11)의 반사율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면, 영상처리장치로 반사율의 변 화를 검출하여, 전해질막(10)의 결함부를 신속하게 검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해질막의 형상은, 실시예의 평판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평면적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원주상의 전해질막의 경우에는, 원주상의 전해질막의 외주면에 조광 박막을 접합하고, 원주의 내주면측의 공간에 수소가스를 공급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은, 고체 고분자형 연료전지의 막 전극 접합체에 사용되는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도 않으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4)

  1.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제1면에 조광 박막(light-control membrane)을 접합하고,
    수소가스를 상기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제2면측의 공간에 공급하여,
    상기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에 결함부가 있는 경우에 상기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으로의 상기 결함부를 매개로 한 상기 수소가스의 누설에 의해 수소화되는, 상기 조광 박막의 광학적 반사율의 변화를 토대로, 상기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상기 결함부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상기 제2면측의 공간에 있어서의 기압이, 상기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상기 제1면측의 공간에 있어서의 기압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 박막은 촉매층과 반응층을 갖고,
    상기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과 접하는 상기 촉매층이, 상기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상기 결함부를 매개로 하여 누설된 수소가스로 상기 반응층을 수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층은 마그네슘·니켈 합금, 마그네슘·티탄 합금, 마그네슘·니오브 합금, 마그네슘·바나듐 합금 또는 마그네슘으로 형성되고, 상기 촉매층은 팔라듐 또는 백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방법.
KR1020097025219A 2007-06-14 2008-06-02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방법 KR201000175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57515A JP5150144B2 (ja) 2007-06-14 2007-06-14 イオン伝導性電解質膜の検査方法
JPJP-P-2007-157515 2007-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589A true KR20100017589A (ko) 2010-02-16

Family

ID=4012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219A KR20100017589A (ko) 2007-06-14 2008-06-02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21837A1 (ko)
JP (1) JP5150144B2 (ko)
KR (1) KR20100017589A (ko)
CA (1) CA2690872C (ko)
WO (1) WO20081529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153A (ko) * 2015-03-18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해질 막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867B1 (ko) 2012-07-30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의 핀홀 검사 장치
US9618458B2 (en) * 2013-01-08 2017-04-11 Bloom Energy Corporation Optica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fuel cell components
JP6868962B2 (ja) * 2016-03-11 2021-05-1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膜・電極層接合体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EP3482818B1 (de) * 2017-11-10 2019-11-06 MS2 Engineering und Anlagenbau GmbH Vorrichtung zum prüfen von membranen
FR3140867A1 (fr) * 2022-10-18 2024-04-19 Airbus Installation comprenant un dispositif de regulation d’une concentration en dihydroge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7383A (en) * 1968-10-01 1971-03-02 Engelhard Min & Chem Hydrogen detectors
JPH09257687A (ja) * 1996-01-16 1997-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貴金属触媒の反応比表面積と利用率測定法およ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電極の触媒層
US5763765A (en) * 1996-09-25 1998-06-09 Ballard Powe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locating perforations in membranes employed in electrochemical cells
US7419635B2 (en) * 2000-05-05 2008-09-02 Midwest Research Institute Pd/V2O5 device for colorimetric H2 detection
DE10060626A1 (de) * 2000-12-06 2002-06-20 Siemens Ag Verfahren zm Erkennen einer Undichtigkeit in einer Brennstoffzelle
JP3769614B2 (ja) * 2002-07-24 2006-04-2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マグネシウム・ニッケル合金薄膜を用いた水素センサ及び水素濃度測定方法
US7179553B2 (en) * 2002-09-06 2007-02-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electrical defects in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CA2455063A1 (en) * 2003-01-09 2004-07-09 Ballard Powe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internal transfer leaks within fuel cell stacks
JP4583722B2 (ja) * 2003-04-25 2010-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ピンホール検出方法及びメンブレインエレクトロードアッセンブリの生産方法
WO2005078434A2 (en) * 2004-02-04 2005-08-25 The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ethods for forming palladium alloy thin films and optical hydrogen sensors employing palladium alloy thin films
JP2005265590A (ja) * 2004-03-18 2005-09-29 Fujikura Ltd 水素センサ及びその利用
JP2005292050A (ja) * 2004-04-02 2005-10-20 Toyota Motor Corp 穴状欠陥の検出方法
JP4158862B2 (ja) * 2005-10-17 2008-10-01 株式会社アツミテック 水素ガス可視化装置
JP2007134214A (ja) * 2005-11-11 2007-05-31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電解質膜の検査方法と該電解質膜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7497110B2 (en) * 2007-02-28 2009-03-03 Varia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est gas leak dete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153A (ko) * 2015-03-18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해질 막 검사 장치
US10118132B2 (en) 2015-03-18 2018-11-06 Hyundai Motor Company Inspection apparatus of electrolyte membrane
US10569228B2 (en) 2015-03-18 2020-02-25 Hyundai Motor Company Inspection apparatus of electrolyte memb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21837A1 (en) 2010-09-02
JP5150144B2 (ja) 2013-02-20
JP2008311060A (ja) 2008-12-25
CA2690872C (en) 2014-10-14
WO2008152936A1 (ja) 2008-12-18
CA2690872A1 (en)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7589A (ko)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의 검사방법
JP5049064B2 (ja) イオン伝導性電解質膜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WO2004023578A3 (en) Method for detecting electrical defects in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KR101567708B1 (ko) 연료전지 막-전극 접합체의 결함 검출 방법 및 장치
JP6032806B2 (ja) 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のピンホール検査装置
US9413015B2 (en) Non-destructive method for testing the seal of an electrolyte of an electrochemical cell
KR20180070394A (ko) 연료전지 막-전극 접합체의 결함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646337B1 (ko) 수소센서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멤브레인 결함 검사 장치
US20220311031A1 (en) Leak inspection method and leak inspection apparatus
JP4386705B2 (ja) ピンホール検出方法及びピンホール検出装置
JP5049063B2 (ja) イオン伝導性電解質膜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4843223B2 (ja) 燃料電池の検査方法
Stoll et al. Impacts of bubble defects in proton exchange membranes on fuel cell performance and durability
US20050237067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short circuits in membrane electrode arrangements
US20230280322A1 (en) Hydrogen gas sensor and methods and systems using same to quantitate hydrogen gas and/or to assess hydrogen gas purity
JP5150173B2 (ja) イオン伝導性電解質膜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2005181013A (ja) 燃料電池用高分子膜のピンホール検査装置及びピンホール検査方法
JP5193733B2 (ja) イオン伝導性電解質膜およびイオン伝導性電解質膜と水素極との接合体の検査方法
JP5150174B2 (ja) イオン伝導性電解質膜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US9228954B2 (en) Method of detecting defects in ion exchange membranes of electrochemical cells by chemochromic sensors
JP2020159935A (ja) ガス漏れ検査方法及びガス漏れ検査装置
JP2005292050A (ja) 穴状欠陥の検出方法
US20210305602A1 (en) Method for inspecting gas leak from fuel cell stack
JP2002184658A (ja) 電解コンデンサの気密検査装置及び気密検査方法
JP2019087385A (ja) 燃料電池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