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107A -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107A
KR20100014107A KR1020090046457A KR20090046457A KR20100014107A KR 20100014107 A KR20100014107 A KR 20100014107A KR 1020090046457 A KR1020090046457 A KR 1020090046457A KR 20090046457 A KR20090046457 A KR 20090046457A KR 20100014107 A KR20100014107 A KR 20100014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software
backup
fi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고바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06F11/1469Backup restora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커버리(recovery) 등의 순서의 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갱신 파일을 통신으로 입수하고, 그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그 소프트웨어의 갱신을 행하는 소프트웨어 갱신부와, 상기 갱신부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의 갱신에 사용된 갱신 파일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갱신 파일을 선택하여 소정의 보존 장소에 보존하는 갱신 파일 선택부와, 소정의 백업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백업 파일을, 상기 보존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갱신하는 백업 갱신부를 구비한다.
리커버리 툴, 온라인 업데이트 툴,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 업데이트 모듈

Description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SOFTWARE UPDATING DEVICE AND COMPUTER-REDABLE STORAGE MEDIUM STORING SOFTWARE UPDATING PROGRAM}
본건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갱신하는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대표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는, OS나 드라이버나 어플리케이션 등이라는 소프트웨어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그들의 소프트웨어가 정보 처리 장치상에서 실행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에 여러 가지 기능을 발휘시키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된 후에 결함 수복(修復) 등을 위해 갱신되는 경우가 많다.
결함 수복 등을 위한 갱신에 대해서는, 소프트웨어의 제조자 등이 그렇게 갱신된 갱신판 소프트웨어나 이미 편입 완료된 소프트웨어를 갱신판 소프트웨어와 같은 구조로 개조하는 갱신 프로그램 등을 무상으로 갱신 파일로서 배포하고 있을 경우가 많고, 정보 처리 장치나 소프트웨어의 사용자는 그 갱신 파일을 입수하여 소프트웨어의 갱신에 사용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갱신을 적시에 행하기 위해서, 인터넷으로부터 갱신 파일을 자동적으로 입수하여 소프트웨어를 갱신하는 갱신 프로그램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고, 그러한 갱신 프로그램이 일체로 구비된 정보 처리 장치는 갱신 장치로서 동작하는 것이 된다.
정보 처리 장치의 사용자는 이러한 갱신 이외에, 정보 처리 장치에 신규한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입수하여 정보 처리 장치에 인스톨하는 경우도 많고, 이미 인스톨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의 설정을 사용자 고유의 필요에 맞춘 설정으로 변경하는 경우도 많다.
이와같이, 정보 처리 장치 내에서의 소프트웨어의 상황은 시간 경과와 함께 변화하는 것이 된다.
정보 처리 장치 내에서의 소프트웨어의 상황 변화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바람직한 상황 변화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소프트웨어로의 감염이나, 버그 등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파괴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 변화에 대비하여, 상황이 정상인 시점에서 소프트웨어의 백업을 보존해 두고,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 변화(이상(異常)화)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그 백업을 사용하여 정상인 상황을 재현하는 재현하는 기술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백업 데이터의 용량을 저감하는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2001-297021호 공보.
그러나, 소프트웨어의 상황이, 어떤 시점에서 정상인가 이상인가는 판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고, 통상은 현제 상태에 대해서 꽤 이전의 상태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재현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것도 많다. 이상화의 원인이 된 소프트웨어를 특정할 수 없을 것 같은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를 구입했을 때의 OS 등의 기본적인 소프트웨어만이 구비된 상태까지 되돌려버리는 리커버리 처리도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리커버리나 과거로 거슬러간 재현이 행하여졌을 경우에는, 재현된 과거의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 행하여진 OS의 갱신 등도 모두 과거로 되돌려버리기 때문에, 재현 후에 그러한 갱신을 다시할 필요가 있어 번잡하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건 개시는 리커버리 등의 순서의 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의 기본 형태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갱신 파일을 통신으로 입수하고, 그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그 소프트웨어의 갱신을 행하는 소프트웨어 갱신부와, 상기 갱신부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의 갱신에 사용된 갱신 파일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갱신 파일을 선택하고, 소정의 보존 장 소에 보존하는 갱신 파일 선택부와, 소정의 백업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백업 파일을, 상기 보존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갱신하는 백업 갱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의 기본 형태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그 정보 처리 장치에, 그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갱신시키는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갱신 파일을 통신으로 입수하고, 그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그 소프트웨어의 갱신을 행하는 소프트웨어 갱신부와, 상기 갱신부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의 갱신에 사용된 갱신 파일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갱신 파일을 선택하고, 소정의 보존 장소에 보존하는 갱신 파일 선택부와, 소정의 백업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백업 파일을, 상기 보존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갱신하는 백업 갱신부로서 동작시킨다.
이들의 기본 형태에 의하면, OS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리커버리 시에 재현 대상이 되는 소프트웨어가 미리 갱신 파일 선택부에 설정됨으로써, 그 설정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의 갱신에 따라 백업도 갱신된다. 이 때문에, 이 백업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의 상황을 「재현」하면, OS 등에 대한 현시점까지의 갱신은 완료하고 있지만, 여분의 소프트웨어는 구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 「재현」되는 것이 되어, 리커버리 등의 순서가 간소화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건 개시의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에 의하면, 리커버리 등의 순서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기본 형태에 대해서 상기 설명한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이하의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도 1에 도시된 퍼스널 컴퓨터(PC)(100)에,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상당하는 리커버리 프로그램이 일체로 구비되어 실행됨으로써, 이 PC(100)가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동작한다.
이 PC(100)는 CPU, RAM, 하드디스크 등을 내장한 본체부(101), 본체부(101)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표시면(102a)에 화면 표시를 행하는 디스플레이(102), 이 컴퓨터 내에 사용자의 지시나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103), 표시면(102a) 상의 임의의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그 위치에 따른 지시를 입력하는 마우스(10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01)에는, CD-ROM(105)(도 1에는 도시 생략 ; 도 2 참조)이나 CD-R 등이라는 CD형 매체가 꺼낼수 있게 장전되고, 그렇게 장전된 CD형 매체에 기억된 정보를 재생하는 CD 드라이브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본체(101)에는, 광자기디스 크(MO)(106)(도 1에는 도시 생략 ; 도 2 참조)가 꺼낼수 있게 장전되고, 그렇게 장전된 MO(106)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MO 드라이브도 내장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C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 하드웨어 구성도에는, CPU(중앙 연산 처리 장치)(111), RAM(112),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3), MO 드라이브(114), CD 드라이브(115) 및 통신용 보드(116)이 도시되어 있고, 그들은 버스(110)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HDD(113)는 기록 매체의 일종인 하드디스크(120)를 내장하고 있고, 이 하드디스크(120)에 대해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한다.
통신용 보드(116)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이라는 통신 회선에 접속된다. 도 1에 도시된 PC(100)는 이 통신용 보드(116)를 통하여 접속되는 통신망에 의해 다른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I/O 인터페이스 각각을 통하여 버스(110)에 접속된, 마우스(104), 키보드(103), CRT 디스플레이(102) 및 프린터(20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CD-ROM(105)에, 상술한 기본 형태의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일실시예에 상당하는 리커버리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이 CD-ROM(105)은 본체(101) 내에 장전되어, 그 CD-ROM(105)에 기억된 리커버리 프로그램이 CD 드라이브(115)에 의해 판독되고, 버스(110)를 경유해서 하드디스크(120) 내에 인스톨된다.
이 하드디스크(120) 내에 인스톨된 리커버리 프로그램이 기동되면, 이 하드 디스크(120) 내의 리커버리 프로그램은 RAM(112)에 로드되고, CPU(111)에 의해 실행된다. 이렇게 리커버리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실행되면, PC(100)는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의 구체적인 일실시예로서 동작한다. 즉, 여기에 도시된 예에서는, PC (100)와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의 일실시예가 결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리커버리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매체로서 CD-ROM(105)이 예시되어 있지만, 본건 개시의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매체는 CD-ROM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광디스크, MO, 플렉시블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의 기억 매체여도 좋다. 또한, 본건 개시의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은, 기억 매체를 통하지 않고 통신망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공급되는 것이어도 좋다.
도 3은 리커버리 프로그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리커버리 프로그램(300)은 CD-ROM(105)에 기억되어 있고, 이 리커버리 프로그램(300)은 리커버리 툴(310)과 온라인 업데이트 툴(320)과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330)을 구비하고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각 툴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커버리 툴(310)은 컴퓨터의 내부 상태를 리커버리하기 위한 툴이며, 리커버리 이미지의 작성과 그 리커버리 이미지를 사용한 내부 상태의 재현을 행한다.
온라인 업데이트 툴(320)은 컴퓨터 내의 소프트웨어를 온라인에서 업데이트하기 위한 툴이며, 인터넷으로부터 업데이트 모듈을 입수하여 소프트웨어를 업데이 트한다.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330)은 리커버리에 사용되는 리커버리 이미지를, 업데이트 모듈을 사용하여 업데이트하는 툴이다.
이 리커버리 프로그램(300)이 도 1에 도시된 PC(100)에 인스톨되어 실행됨으로써, PC(100) 상에 구축되는 각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리커버리 프로그램에 의해 PC 상에 구축되는 기능을 표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PC(100)에는, 시스템 폴더로서 사용되는 C 드라이브와, 파일 폴더로서 사용되는 D 드라이브가 준비되어 있고, 도 3에 도시된 리커버리 프로그램(300)이 PC (100)에 인스톨되면 C 드라이브 상에 리커버리 툴(410)과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과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이 구축된다. 이들 리커버리 툴(410),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 및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이 구축된 PC(100)는, 상기에서 기본 형태를 설명한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인 리커버리 장치로서 동작한다.
이들 리커버리 툴(410),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 및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은, 도 3에 도시된 리커버리 프로그램(300)을 구성하는 리커버리 툴(310), 온라인 업데이트 툴(320) 및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330)에 각각 대응하지만, 도 3에 도시된 요소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에 의해서만 구성되어 있는 것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요소는 그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PC(100)의 하드웨어(특히 CPU 등)가 짜맞추어 구축된 것인 점이 다르다. 다만, 이 도 4에서도, 후술하는 각 도면에서도, 각 요소의 하드웨어로서의 측면은 사상(捨象)하여 각 요소의 기능만을 블록으로 추상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PC(100)의 C 드라이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폴더로서 사용되고 있고, OS(510)나 드라이버(520)가 인스톨되어 있다. 또한, 이 C 드라이브에는 리커버리 툴(410) 등도 포함시켜, PC(100)를 원하는 장치(예를 들면 워드프로세서 등)로서 동작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530)이 인스톨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번잡을 피하기 위해서 드라이버(520) 및 어플리케이션(530)을 1개씩 도시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이들 드라이버(520) 및 어플리케이션(530)은 복수 종류 인스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OS(510)나 다수의 드라이버(520)는 PC(100)를 사용자가 구입한 당초부터 PC(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것이며, 일부의 드라이버(520)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530)은 PC(100)를 사용자가 구입한 후에 필요에 따라 추가된 것이다.
여기에서, 리커버리 툴(410),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 및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 기능의 개략을 설명하고, 그 후에 그들 툴에 의해 구성된 리커버리 장치 기능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커버리 툴(410)은 PC(100)의 사용자에 대하여, 완전한 초기 상태로의 리커버리뿐만 아니라, 원하는 시점에서의 PC(100)의 상태로의 리커버리도 제공하기 위한 툴이다. 사용자는 PC(100)가, 나중의 리커버리에 의해 재현되어야 할 상태에 있을 경우에 소정의 조작으로 리커버리 툴(410)에 리커버리 이미지의 작성을 지시하고, 리커버리 툴(410)은 그 지시를 받아 C 드라이브 전체의 백업에 상당하는 1개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을 작성한다. 더 상세하게는, 그 지시를 받은 시점 에서 C 드라이브에 인스톨되어 있는 OS(510), 드라이버(520) 및 어플리케이션(530) 모두를 1개의 파일로 모아서 압축함으로써 백업의 용량을 억제하고 있다. 사용자는 재현을 원하는 복수의 시점 각각에서 조작을 행함으로써, 리커버리 툴(410)에 각 시점에 대응한 복수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을 작성시킬 수 있다. 리커버리 툴(410)은 이들 복수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을 D 드라이브에 보관한다.
이러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이, 상술한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의 기본 형태에서의 백업 파일의 일례에 상당하고, D 드라이브가 백업 장소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5는 D 드라이브에 보관된 복수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을 일람표 형식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5에 도시된 일람표(610)에는, 일례로서 4개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이 도시되어 있고, 각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에는, 리커버리 장치가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을 서로 구별하기 위한 이미지 ID(620)와, 사용자가 각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명(630)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을 작성하는 기술 자체와 그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을 사용하여 리커버리하는 것 자체는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리커버리의 기술에 대해서는 이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이 작성되는 시점은, 사용자의 조작을 따른 임의의 시점이지만, 본래의 리커버리의 역할에 비추어 보면,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은 PC가 어느 정도 초기의 상태에 있을 경우에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이미지 파일명(630)이 도시된 바와 같이, PC가 구입되어 개봉된 직후(최초에 가동된 시점)에 1개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이 작성되어 있고, 그 후 네트워크의 설정이 끝난 시점에서도 1개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이 작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이 작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그 후의 시점에서 PC을 「새것」으로 되돌리고자 하는 경우에, 그러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에 의해 되돌릴 수 있다. 도 4로 되돌아와 설명을 계속한다.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은 인터넷(700)에 액세스하여, OS(510), 드라이버(520), 어플리케이션(530)을 갱신(업데이트)시키는 업데이트 모듈을 입수하고, 그 업데이트 모듈로 OS(510), 드라이버(520), 어플리케이션(530)을 갱신(업데이트) 하는 툴이다. 이 업데이트 모듈은 OS(510), 드라이버(520), 어플리케이션(530)의 갱신판 바로 그것일 경우도 있지만, OS(510), 드라이버(520), 어플리케이션(530)을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실질적으로 갱신판을 얻는 프로그램일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인터넷(700) 등으로부터 업데이트 모듈을 입수하여 OS 등을 갱신하는 기술 자체도, OS에 부속되는 프로그램 등으로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은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에 의해 입수된 업데이트 모듈을 사용하여 리커버리 이미지(600)를 갱신하는 툴이다.
이하, 플로 차트 등을 참조하면서, 리커버리 장치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갱신 기능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리커버리 장치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갱신 기능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리커버리 장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예를 들면 1일의 소정 시각이나 PC의 가동시 등에 OS의 업데이트를 실행한다(스텝 S101). 더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에 의해 인터넷(700)에 액세스하고, OS(510)의 제조자가 제공하고 있는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OS(510)의 업데이트 모듈을 입수한다. 그리고, 그 업데이트 모듈을 실행해서 OS(510)를 갱신한다.
이와같이 OS의 업데이트를 실행한 리커버리 장치는, 그 업데이트에 사용한 업데이트 모듈을 보존하다(스텝 S102). 더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한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에 의해 업데이트 모듈을 C 드라이브 중 보존 파일(440)에 보존한다. 이 보존 파일(440)은 사용자에 의한 액세스를 할 수 없도록 숨겨진 파일이다.
리커버리 장치는, 또한 드라이브에 대해서도 OS와 마찬가지로 업데이트를 실행하고(스텝 S103), 드라이버의 업데이트에 사용된 업데이트 모듈(통상은 드라이버의 갱신판)도 도 4에 도시된 보존 파일(440)에 보존한다(스텝 S104).
리커버리 장치는, 또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업데이트를 실행한다(스텝 S105).
도 4에 도시된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은, PC(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OS (510), 드라이버(520), 어플리케이션(530)의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업데이트를 실행한다. 이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은 상술한 기본 형태에서의 소프트웨어 갱신부의 일례에도 상당한다.
한편, 업데이트 모듈의 보존에 대해서,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은 PC(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OS(510), 드라이버(520), 어플리케이션(530) 중에서 미리 사용자나 제조자에 의해 선택되어 설정된 일부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에 사용된 업데이트 모듈만을 선택하여 보존한다. 이 도 6에 도시된 플로 차트의 예에서는, OS와 드라이버에 대해서는 모두 보존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에 설정되어 있고,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모두 보존 대상 외로 되어 있다. 또한,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에는 임의의 소프트웨어가 보존 대상으로서 설정 가능하지만, 설정 대상으로서 바람직한 소프트웨어는 OS 등과 같이, 제공자의 신뢰성이 높은 소프트웨어이며, 인스톨되는 본체 프로그램이나 업데이트 모듈에 바이러스 소프트웨어 등이 침입할 우려가 낮은 소프트웨어이다.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은 업데이트 모듈의 이러한 선택적인 보존을 행한다는 의미에서, 상술한 기본 형태에서의 갱신 파일 선택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7은 보존된 업데이트 모듈을 일람표 형식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7에 도시된 일람표(710)에는, 일례로서 4개의 업데이트 모듈(700)이 도시되어 있고, 각 업데이트 모듈(700)에는, 리커버리 장치가 업데이트 모듈(700)을 서로 구별하기 위한 업데이트 ID(720)와, 사용자가 각 업데이트 모듈(700)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업데이트 모듈명(730)과, 각 업데이트 모듈(700)에 의해 소프트웨어가 갱신된 갱신일(740)과, 각 업데이트 모듈(700)의 저장 장소(750)가 대응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명기되어 있지 않지만, 각 업데이트 모듈(700)에는 각 업데이트 모듈(700)이 갱신 대상으로 삼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나타내는 정보도 부속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업데이트 모듈(700)이 모두 같은 저장 장소에 저장되어 있지만, 이 저장 장소로서는 제조자 등의 설정에 의해,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의 타입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저장 장소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도 6으로 되돌아와 설명을 계속한다.
도 6의 스텝 S101∼스텝 S105에서 각종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와 업데이트 모듈의 보존이 행하여진 뒤,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기적으로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임의의 시점에서, 보존된 업데이트 모듈의 유무가 확인된다(스텝 S106). 그리고, 보존된 업데이트 모듈이 존재할 경우에는, 리커버리 이미지의 유무가 확인된다(스텝 S107). 더 상세하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에 의해 보존 파일(440)의 내용이 확인되어, 업데이트 모듈이 존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로부터 리커버리 툴(410)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의 확인이 지시된다. 그리고, 리커버리 툴(410)은 D 드라이브의 내용을 확인하여,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이 존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에 대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ID 등을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에 통지한다.
도 6의 스텝 S107에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의 존재가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리커버리 장치는 사용자에 대하여, 리커버리 이미지를 최신으로 갱신할지를 확인하는 메세지를 표시한다. 이 메세지는 이하에 설명하는 확인 화면의 형식으로 표시된다.
도 9는 갱신을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확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확인 화면(800)은, 도 8에 도시된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02)의 표시면(102a)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이 확인 화면(800) 상에는 리커버리 이미지를 최신으로 갱신할지를 확인하기 위한 메세지(801)가 표시되어 있고, 후술하는 옵션을 선택하기 위한 옵션 버튼(802)과, 최신으로의 갱신을 허가하기 위한 허가 버튼(803)과, 갱신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 버튼(804)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허가 버튼(803)이 선택되면, D 드라이브에 보관되어 있는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 중 최신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즉 ID 번호가 최대인 것)에 대하여, 보존 파일(440)에 보존되어 있는 업데이트 모듈(700) 중에서 최신의 업데이트 모듈(즉 갱신 대상이 동일한 것 중 ID 번호가 최대인 것)을 적용하는 갱신이,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에 지정된다. 갱신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금지 버튼(804)이 선택되면, 어떤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에 대해서도, 어느 하나의 업데이트 모듈도 적용하지 않는 것이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에 지정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옵션 버튼(802)이 선택되면, 갱신 대상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도 10은 이미지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이미지 선택 화면(810)에는, 갱신 대상의 선택을 촉구하는 메세지(811)가 도시되어 있고, D 드라이브에 보관되어 있는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을 일람으로 표시하여 클릭 조작에 의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의 선택을 수락하는 선택란(812)과, 선택란(812)에서 선택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을 갱신 대상으로서 결정하기 위한 결정 버튼(813)과, 도 9에 도시한 확인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뒤로 버튼(814)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정 버튼(813)이 선택되면, 선택란(812)에서 선택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이 갱신 대상으로서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에 지정되고, 그 갱신 대상의 갱신에 사용되는 업데이트 모듈을 선택하는 모듈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이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는, 갱신 대상으로서 구입 직후의 상태에 상당하는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이 선택되어 있다.
도 11은 모듈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모듈 선택 화면(820)에는, 모듈의 선택을 촉구하는 메세지(821)가 표시되어 있고, 보존 파일(440)에 보존되어 있는 업데이트 모듈을 일람으로 표시하여 클릭 조작에 의한 업데이트 모듈의 선택을 수락하는 선택란(822)과, 선택란(822)에서 선택된 업데이트 모듈을 갱신에 사용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버튼(823)과, 도 10에 도시된 이미지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뒤로 버튼(8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모듈 선택 화면(820)의 선택란(822)에서는 복수의 업데이트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는, OS의 업데이트에 사용된 3개의 업데이트 모듈이 선택되어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정 버튼(823)이 선택되면, 선택란(822)에서 선택된 업데이트 모듈을 갱신에 사용하는 것이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에 지정된다.
도 9의 허가 버튼(803)이 선택되었을 경우, 또는 도 11의 결정 버튼(823)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어느 정도의 갱신이 지정되어 있으므로, 도 6의 스텝 S109에서 리커버리 장치는 「갱신한다」고 인식하여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의 갱신을 실행한다. 다만,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은 어떤 시점에서 C 드라이브에 인스톨되어 있었던 모든 소프트웨어를 1개의 파일에 모아놓은 것이기 때문에, 보관에 필요한 용량 등의 면에서는 적합하지만, D 드라이브에 보관된 상태 그대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을 갱신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리커버리 장치에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순서에 의해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의 갱신을 실현하고 있다.
우선, 도 6의 스텝 S110에서, 갱신 대상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을 C 드라이브 상의 일시적인 워크 영역(임시 폴더)에 전개한다. 더 상세하게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커버리 툴(410)이 C 드라이브 상에 임시 폴더(450)를 준비하고, 갱신 대상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을 사용하여 그 임시 폴더(450) 내에 OS(511), 드라이버(521) 및 어플리케이션(531)을 재현한다. 이들 OS(511), 드라이버(521) 및 어플리케이션(531)은 C 드라이브에서의 과거의 시점의 상태를 재현한 것에 상당한다. 또한, 이 도 12에는, 재현된 어플리케이션(531)도 도시되어 있지만, 이 어플리케이션(531)은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이 작성된 시점에서는 인스톨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많고, 그러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531)은 재현되지 않는 것이 된다.
리커버리 툴(410)에 의한 임시 폴더(450) 내에서의 재현은, 기술적으로는 통상의 리커버리와 큰 차이가 없지만, 현역(現役)의 OS(510), 드라이버(520) 및 어플리케이션(530)을 그대로 남긴 상태에서의 재현이라는 의미에서 통상의 리커버리와는 일선을 긋는 것이다.
다음에, 도 6의 스텝 S111에서, 리커버리 장치는 임시 폴더 상의 각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업데이트 모듈을 사용한 갱신을 행한다. 더 상세하게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이 보존 파일(440)로부터 업데이트 모듈을 얻어서 임시 폴더(450) 내의 OS(511), 드라이버(521) 및 어플리케이션(531)을 갱신한다. 다만, 도 6의 플로 차트의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업데이트 모듈의 보존은 OS와 드라이버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531)의 갱신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도 12에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는 어플리케이션(531)도 갱신 대상이 될 경우가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531)도 갱신되어 있도록 도시되어 있다.
임시 폴더(450) 내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갱신은, 도 4에서 설명한 온라인 업데이트 툴(420)에 의한 현역의 OS(510), 드라이버(520) 및 어플리케이션(530)에 대한 갱신과는 기술적으로는 약간 달라서, 동작 상태에 없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갱신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갱신의 기술 자체는, 예를 들면 컴퓨터의 제조자가 공장에서 컴퓨터에 OS나 드라이버를 인스톨할 때에, 일일이 컴퓨터를 가동하지 않아도 최신 업데이트 모듈로 갱신할 수 있도록 개발된 기술로서 알려진 기술이다.
그 후, 도 6의 스텝 S112에서, 리커버리 장치는 임시 폴더 내의 모든 소프트 웨어를 1개로 모아서 표시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을 작성하고, 갱신 전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덮어쓰기하여 보존한다. 더 상세하게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커버리 툴(410)이 임시 폴더(450) 내의 OS(511), 드라이버(521) 및 어플리케이션(531)을 1개로 모아서 표시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을 작성한다. 그리고, 그 작성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을 임시 폴더(450) 내에서의 OS (511), 드라이버(521) 및 어플리케이션(531)의 전개에 사용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에 대하여 덮어쓰기하여 보존한다. 임시 폴더(450)는 삭제된다. 이 결과,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의 실질적인 갱신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리커버리 툴(410)과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이 협동함으로써,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600)의 실질적인 갱신이 실현되므로, 상술한 기본 형태에서의 백업 갱신부의 일부가 이들 리커버리 툴(410) 및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4는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이 갱신된 결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14에 도시된 일람표(900)에는, 4개의 업데이트 모듈이 2개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에 적용되어 갱신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이 일람표(900) 중의 이미지 ID(910)는 도 5에 도시된 이미지 ID(620)에 상당하는 것이며, 갱신 대상이 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을 표시하고 있다. 이 도 14의 예에서는, 「001」이라는 ID 번호와 「002」이라는 ID 번호가 각각 표시하고 있는 2개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이 갱신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일람표(900) 중의 업데이트 ID(920)는 도 7에 도시된 업데이트 ID(720)에 상당하는 것이며, 일람표(900) 중의 업데이트 모듈명(930)은 도 7에 도시된 업데이트 모듈명(730)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이것들은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의 갱신에 사용된 업데이트 모듈을 나타내고 있다.
이 일람표(900) 중 적용일(940)은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의 갱신이 행하여진 날을 나타내고 있다.
이 일람표(900) 중 저장 장소(950)는 도 7에 도시된 저장 장소(750)에 상당하는 것으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의 갱신에 사용된 업데이트 모듈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역의 OS (510), 드라이버(520) 및 어플리케이션(530)이 갱신되면, 그 갱신에 사용된 업데이트 모듈에 의해 갱신되는 것이 된다.
이렇게 갱신된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은 필요할 때에, 도 4에 도시된 리커버리 툴(410)에 의해 사용되어 C 드라이브의 리커버리에 사용된다. 이 리커버리에서 얻어지는 C 드라이브의 상태는,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이 작성된 작성 시점에 인스톨되어 있었던 소프트웨어만이 인스톨되어 있어서, 그 작성 시점보다 뒤에 추가된 소프트웨어는 존재하지 않는 상태인 동시에, 개개의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그 작성 시점보다 뒤의 갱신이 반영된 버전으로 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리커버리 후의 번잡한 갱신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고 리커버리의 순서가 간소하다.
그런데, 상술한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을 받아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의 백업 파일을 상기 백업 장소에 작성하는 백업 작성부를 구비하였다」라는 응용 형태는 적합하다. 이러한 응용 형태에 의하면, 리커버리에 의한 재현을 원하는 상태에 있는 시점을 조작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의 리커버리 툴(410)은 이 응용 형태에서의 백업 작성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상술한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백업 장소에 보존되는 백업 파일이 복수의 소프트웨어를 1개로 모은 백업 파일이며, 상기 백업 갱신부가, 상기 백업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백업 파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프트웨어를 일시적인 재현 장소에 재현하는 재현부와, 상기 재현부에 의해 재현된 복수의 소프트웨어를 상기 보존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갱신하는 재현 갱신부와, 상기 재현 갱신부에 의해 갱신된 복수의 소프트웨어에 대응한 새로운 1개의 백업 파일을 작성해서 상기 백업 장소에 보존하는 갱신 보존부를 구비한 것이다」라는 응용 형태도 적합하다. 이러한 응용 형태에 의하면, 백업 파일의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의 리커버리 툴(410)은, 이 응용 형태에서의 재현부와 갱신 보존부를 겸한 일례에 상당하고 있고,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은 이 응용 형태에서의 재현 갱신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백업 장소는 상기 백업 파일로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복수의 상황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백업 파일이 보존되는 것이며, 상기 백업 갱신부가, 상기 백업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복수의 백업 파일 중에서 갱신 대상의 백업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 조작을 받아서, 그 선택 조작에서 선택된 백업 파일을 갱신하는 것이다」라는 응용 형태도 적합하다. 이러한 응용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백업 파일로의 선택적인 갱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의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응용 형태에서의 백업 갱신부의 기능의 일례에 상당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상술한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보존 장소는 상기 갱신 파일로서, 복수의 소프트웨어 각각의 갱신 파일이 보존되는 것이며, 상기 백업 갱신부가, 상기 보존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복수의 갱신 파일 중에서 백업 파일의 갱신에 사용되는 갱신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 조작을 받아서, 그 선택 조작에서 선택된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갱신하는 것이다」라는 응용 형태도 적합하다. 이러한 응용 형태에 의하면, 불필요한 갱신을 유저의 조작으로 생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에서의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430)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응용 형태에서의 백업 갱신부의 기능의 일례에 상당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도 1은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PC)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3은 리커버리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리커버리 프로그램에 의해 PC 상에 구축되는 기능을 표시한 기능 블록도.
도 5는 D 드라이브에 보관된 복수의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을 일람표 형식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리커버리 장치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갱신 기능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7은 보존된 업데이트 모듈을 일람표 형식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의 스텝 S106, S107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갱신을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확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이미지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모듈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6의 스텝 S110, S111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6의 스텝 S112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이 갱신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퍼스널 컴퓨터(PC)
105 : CD-ROM
300 : 리커버리 프로그램(recovery program)
310 : 리커버리 툴
320 : 온라인 업데이트 툴
330 :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
410 : 리커버리 툴
420 : 온라인 업데이트 툴
430 : 오프라인 업데이트 툴
440 : 보존 파일
450 : 임시 폴더
510 : OS
520 : 드라이버
530 : 어플리케이션
600 : 리커버리 이미지 파일
700 : 업데이트 모듈

Claims (6)

  1.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갱신 파일을 통신으로 입수하고, 상기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상기 소프트웨어의 갱신을 행하는 소프트웨어 갱신부와,
    상기 갱신부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의 갱신에 사용된 갱신 파일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갱신 파일을 선택하고, 소정의 보존 장소에 보존하는 갱신 파일 선택부와,
    소정의 백업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백업 파일을, 상기 보존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갱신하는 백업 갱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조작을 받아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의 백업 파일을 상기 백업 장소에 작성하는 백업 작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장소에 보존되는 백업 파일은, 복수의 소프트웨어를 1개에 모은 백업 파일이며,
    상기 백업 갱신부가,
    상기 백업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백업 파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프트웨어를 일시적인 재현 장소에 재현하는 재현부와,
    상기 재현부에 의해 재현된 복수의 소프트웨어를, 상기 보존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갱신하는 재현 갱신부와,
    상기 재현 갱신부에 의해 갱신된 복수의 소프트웨어에 대응한 새로운 1개의 백업 파일을 작성하여 상기 백업 장소에 보존하는 갱신 보존부를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장소는, 상기 백업 파일로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복수의 상황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백업 파일이 보존되는 것이며,
    상기 백업 갱신부는, 상기 백업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복수의 백업 파일 중에서 갱신 대상의 백업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 조작을 받아서, 그 선택 조작에서 선택된 백업 파일을 갱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 장소는, 상기 갱신 파일로서, 복수의 소프트웨어 각각의 갱신 파일이 보존되는 것이며,
    상기 백업 갱신부가, 상기 보존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복수의 갱신 파일 중 에서 백업 파일의 갱신에 사용되는 갱신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 조작을 받아서, 그 선택 조작에서 선택된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갱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6.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갱신시키는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갱신 파일을 통신으로 입수하고, 상기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상기 소프트웨어의 갱신을 행하는 소프트웨어 갱신부와,
    상기 갱신부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의 갱신에 사용된 갱신 파일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갱신 파일을 선택하고, 소정의 보존 장소에 보존하는 갱신 파일 선택부와,
    소정의 백업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백업 파일을, 상기 보존 장소에 보존되어 있는 갱신 파일을 사용하여 갱신하는 백업 갱신부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90046457A 2008-07-31 2009-05-27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000141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98101 2008-07-31
JP2008198101A JP2010039512A (ja) 2008-07-31 2008-07-31 ソフトウェア更新装置、およびソフトウェア更新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107A true KR20100014107A (ko) 2010-02-10

Family

ID=4160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457A KR20100014107A (ko) 2008-07-31 2009-05-27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031244A1 (ko)
JP (1) JP2010039512A (ko)
KR (1) KR20100014107A (ko)
CN (1) CN1016397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6898B2 (en) 2009-11-09 2015-11-0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oftware stack building using logically protected region of computer-readable medium
US8397230B2 (en) 2009-11-09 2013-03-1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oftware updates using delta patching
US8584113B2 (en) * 2009-11-09 2013-11-1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Cross-updating of software between self-service financial transaction machines
US9128799B2 (en) 2009-11-09 2015-09-0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ogrammatic creation of task sequences from manifests
US8972974B2 (en) 2009-11-09 2015-03-0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ultiple invocation points in software build task sequence
US8671402B2 (en) * 2009-11-09 2014-03-1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Network-enhanced control of software updates received via removable computer-readable medium
CN102169437A (zh) * 2010-02-26 2011-08-31 英业达股份有限公司 以分离的模块提供软件更新的系统及其方法
US20120246630A1 (en) * 2011-03-23 2012-09-27 Secure By Desig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Installation and Updating of Third Party Software
US8819330B1 (en) 2011-09-20 2014-08-26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 locally stored recovery image
JP5998655B2 (ja) * 2012-06-01 2016-09-28 村田機械株式会社 処理装置、ファームウェアの更新方法、更新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ファームウェア更新システム
CN103902323B (zh) * 2012-12-28 2017-08-08 北京谊安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呼吸机软件升级方法及其系统
US9021457B2 (en) * 2013-01-22 2015-04-28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resizing enclosed storage device partitions
US9910660B2 (en) * 2013-08-05 2018-03-0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Operating system replacement for in-vehicle computing system
CN104811347A (zh) * 2014-01-26 2015-07-29 艾默生网络能源系统北美公司 一种软件升级方法、监控模块、整流模块及系统
US9575840B1 (en) * 2014-08-15 2017-02-21 Google Inc. Recovery rollback risk reduction
CN104679554B (zh) * 2014-12-26 2018-04-17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作业系统更新方法
US9740473B2 (en) 2015-08-26 2017-08-2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oftware and associated hardware regression and compatibility testing system
US10860310B2 (en) 2015-09-30 2020-12-08 Apple Inc. Software updating
CN105183525A (zh) * 2015-10-09 2015-12-23 深圳市网心科技有限公司 一种系统软件的升级方法及实现该升级方法的电子设备
JP7078864B2 (ja) * 2020-07-13 2022-06-01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リカバリプログラム
CN114942774B (zh) * 2022-07-26 2022-11-08 中恒信息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基于bim建模软件的插件功能的热更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7287A1 (en) * 2001-04-11 2003-09-04 Karl Forster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US20030009752A1 (en) * 2001-07-03 2003-01-09 Arvind Gupta Automated content and software distribution system
WO2005024628A2 (en) * 2003-09-03 2005-03-17 Bitfone Corporation Tri-phase boot process in electronic devices
US20050132351A1 (en) * 2003-12-12 2005-06-16 Randall Roderick K. Updating electronic device software employing rollback
US20060080656A1 (en) * 2004-10-12 2006-04-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instructions for patch management
US7739677B1 (en) * 2005-05-27 2010-06-15 Symantec Operat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prevent data corruption due to split brain in shared data clusters
US7802129B2 (en) * 2007-10-17 2010-09-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bile handset employing efficient backup and recovery of blocks during update
US20100011368A1 (en) * 2008-07-09 2010-01-14 Hiroshi Arakawa Methods, systems and programs for partitioned storage resources and services in dynamically reorganized storage platfo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1244A1 (en) 2010-02-04
CN101639795A (zh) 2010-02-03
JP2010039512A (ja)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4107A (ko) 소프트웨어 갱신 장치 및 소프트웨어 갱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7334157B1 (en) Restore of data to a computer system having different hardware
US20040098426A1 (en) Backup system, backup method, program for backup, and backup service provision system
US20060161605A1 (en) Data management system, a data management apparatus, a data management method, a data supplying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a program recorded therein
US7376946B2 (en) Program management method for computer to which storage medium is attached, computer and storage medium
JP2000099338A (ja) 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情報記録媒体
US6915512B1 (en) Software editing with indication of format and processing state of each process of the software
JPH06236351A (ja) オンラインシステムのバックアップリストア装置
JP4963167B2 (ja) システム起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124896A (ja) ソフトウェアインストール方法
JP5338913B2 (ja) 更新管理装置及び方法
JP3586560B2 (ja) データ処理装置
JP2008158660A (ja) インストーラ作成装置、インストーラ作成方法、およびインストーラ作成プログラム
JP4771831B2 (ja) 図形表示プログラム及び図形表示方法
US73894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 diagnosis, repair, removal by reversion of computer problems from desktop and recovery from booting or loading of operating system errors by removable media
Bott et al. Windows 7 inside out
JPH10260859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20030028868A1 (en) Information processor,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program code for controlling a computer to process information
JP2006011950A (ja) インストーラ作成装置及び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
JPH1027095A (ja) ソフトウェアのバージョン管理システム
JP2002014850A (ja) バージョン情報確認方法
JP2005293272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JP2001222337A (ja) コンピュータ、起動ディスケット作成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6313448A (ja) 情報処理装置
JP2007102649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ファイル保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