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502A - 에어백 커버 보호재 - Google Patents

에어백 커버 보호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502A
KR20100011502A KR1020080072753A KR20080072753A KR20100011502A KR 20100011502 A KR20100011502 A KR 20100011502A KR 1020080072753 A KR1020080072753 A KR 1020080072753A KR 20080072753 A KR20080072753 A KR 20080072753A KR 20100011502 A KR20100011502 A KR 20100011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over
tier
protective material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463B1 (ko
Inventor
함연진
Original Assignee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2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4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 보호재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백 쿠션을 향하는 배면에 커버부 티어라인이 형성되는 운전자석용 에어백 커버의 외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에는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보호재 티어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은,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부분 티어라인과 상기 제1 부분 티어라인의 단부를 경유하여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에 대하여 제1 부분 티어라인이 경사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 티어라인을 포함하는 세트가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 보호재에 의하면, 배면에 형성된 티어라인으로 인해 표면에 함몰부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상 품질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어백 커버 보호재, 티어라인

Description

에어백 커버 보호재{PROTECTION SHEET ADHERED TO AIR-BAG COVER}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 보호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커버에 밀착하여 부착시 배면에 형성된 티어라인에 의해 표면에 함몰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에어백 쿠션의 전개 성능을 향상시키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석 에어백 쿠션은 차량의 운전자 핸들 부위에 장착되며 평상시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에어백 커버에 의해 보호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백 커버의 표면에 가죽 등의 보호재를 부착하면 시각 및 촉각으로 고급스러운 느낌을 줌과 동시에 에어백 커버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백 커버에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에 파단되는 커버부 티어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재 또한 상기 에어백 커버의 티어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 보호재 티어라인이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은 순차적으로 커버부 티어라인과 보호재 티어라인을 파 단시킨 후 차량의 실내로 전개된다.
종래의 커버부 티어라인과 보호재 티어라인은 일정 깊이를 가지는 홈이 연속적으로 이어져서 국부적으로는 직선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과 보호재 티어라인의 홈 깊이는 에어백 전개시 파단이 용이하도록 일정 이상의 깊이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보호재 티어라인이 형성된 보호재를 에어백 커버의 표면에 부착할 시에는 보호재의 표면적이 일부 증가되도록 외측으로 확장시킨 후 에어백 커버의 표면에 밀착하여 부착시키게 된다.
이때, 보호재의 티어라인이 형성된 부분은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상기 확장력에 의해 보호재의 표면에는 보호재 티어라인을 따라 오목하게 들어가는 함몰부가 생성되며 이로 인해 외관품질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보호재를 에어백 커버에 부착시키는 작업 중에 보호재 티어라인이 커버부 티어라인에 거의 겹치도록 위치하지 않게 되면 에어백의 전개시에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이 파단되지 않아서 에어백 쿠션이 운전자석 공간으로 전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보호재 티어라인과 커버부 티어라인의 길이방향 중심을 서로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종래에는 보호재 티어라인과 커버부 티어라인이 각각 하나의 직선상 홈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중심을 일치시키는 것이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어백 커버에 밀착하여 부착시 배면에 형성된 티어라인으로 인해 표면에 티어라인을 따라 함몰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에어백 쿠션의 전개 성능을 향상시키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보호재는 에어백 쿠션을 향하는 배면에 커버부 티어라인이 형성되는 운전자석용 에어백 커버의 외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에는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보호재 티어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은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부분 티어라인과 상기 제1 부분 티어라인의 단부를 경유하여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에 대하여 제1 부분 티어라인이 경사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 티어라인을 포함하는 세트가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한 세트의 제1 부분 티어라인의 단부는 제2 부분 티어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 티어라인의 단부는 인접한 세트의 제1 부분 티어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은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과 교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에서는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의 단부가 일정 수치만큼 연장되어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이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보호재는 에어백 쿠션을 향하는 배면에 커버부 티어라인이 형성되는 운전자석용 에어백 커버의 외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에는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보호재 티어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은 상호 간에 이격된 제1 부분 티어라인, 제2 부분 티어라인 및 제3 부분 티어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부분 티어라인은 제2 부분 티어라인과 제3 부분 티어라인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과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은 상기 에어백 커버를 향하는 보호재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 보호재의 구성에 따르면, 에어백 커버를 마주보는 배면에 형성된 티어라인으로 인해 보호재의 표면에 함몰부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상 품질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기술한 내용처럼 제1 부분 티어라인과 제2 부분 티어라인은 적어도 일부분이 커버부 티어라인과 교차하므로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에 보호재 티어라인이 파단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아울러, 전술한 제2실시예에 기술한 내용처럼 다수개의 티어라인을 구비시킴으로써 조립시 제1 부분 티어라인이 커버부 티어라인과 길이방향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보조적으로 제2 부분 티어라인 또는 제3 부분 티어라인이 파단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재 티어라인이 파단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보호재가 에어백 커버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보호재가 에어백 커버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보호재(이하, '보호재'라 한다)는, 탑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 내에 설치되는 운전자석 및 조수석 에어백 모듈, 커튼 에어백 모듈, 사이드 에어백 모듈 중 특히, 운전자석 에어백 모듈이 외관 상 드러나지 않도록 에어백 커버를 감싸는 부재로서 외관을 고급스럽게 향상시킴과 더불어 에어백 커버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커버(C)의 배면에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에 파단되어 에어백 쿠션의 실내방향 전개를 용이하게 하도록 직선이나 사인파(Sine) 등의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부 티어라인(T)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호재(100)의 배면에도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T)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보호재 티어라인(1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110)은 커버부 티어라인이 파단됨에 따라 동시에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어야 한다.
이하,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110)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보호재에 따르면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110)은 제1 부분 티어라인(111)과 제2 부분 티어라인(112)으로 이루어진 세트가 복수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어느 한 세트의 제1 부분 티어라인(111)은 커버부 티어라인(T)과 교차하며 커버부 티어라인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부분 티어라인(112)은 제1 부분 티어라인(111)의 단부를 경유하여 커버부 티어라인(T)에 대하여 제1 부분 티어라인(111)이 경사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부분 티어라인(112)도 제1 부분 티어라인(111)과 마찬가지로 커버부 티어라인과 교차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분 티어라인(111)은 커버부 티어라인(T)과의 사이에 예각(α)이 형성되도록 교차되고, 제2 부분 티어라인(112)은 반대로 둔각(β)이 형성되도록 교차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112)의 세트들은 커버부 티어라인을 따라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되되, 한 세트의 제1 부분 티어라인(111)의 단부는 제2 부분 티어라인(11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 티어라인(112)의 단부는 인접한 세트의 제1 부분 티어라인(111)에 연결되는 것이 반복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에 따르면 인접한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111,112)의 세트들은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그 연결부위(C)에는 미세한 간극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위(C)에서는 상기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111,112)의 단부가 일정 수치만큼 연장되어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112)이 서로 교차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처럼,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111,1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커버부 티어라인(T)과 교차하므로 에어백 전개시에 보호재 티어라인(110)이 파단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보호재(100)를 에어백 커버(C)에 밀착하여 부착시키는 작업과정에서 보호재(100)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이 커버부 티어라인(T)에 대해 경사진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111,112)에 의해 분산되므로 보호재의 표면이 국부적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보호재에 따르면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110′)은 제1 부분 티어라인(111′)과 상기 제1 부분 티어라인(1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2 부분 티어라인(112′) 및 제3 부분 티어라인(1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부분 티어라인(111′,112′,113′) 들은 커버부 티어라인(T)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루어지며, 각각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부분 티어라인(111′)은 에어백 커버 보호재가 에어백 커버에 조립된 상태시, 커버부 티어라인(T)과 겹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내용처럼, 제1, 제2, 제3 부분 티어라인(111′,112′,113′)을 형성시키므로 제1 부분 티어라인(111′)이 커버부 티어라인(T)과 길이방향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2 부분 티어라인(112′) 또는 제3 부분 티어라인(113′)이 파단되게 함으로써 보호재 티어라인이 파단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 제2, 제3 부분 티어라인(111′,112′,113′)의 단면상 홈 깊이 를 종래보다 작게 형성시켜서 보호재(100)를 에어백 커버(C)에 밀착하여 부착시키는 작업과정에서 보호재의 표면이 국부적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종래보다 상기 단면상 홈 깊이가 감소하더라도 티어라인을 복수개 형성시킴으로써 에어백 전개시에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110′)이 충분히 파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부분 티어라인(111′), 제2 부분 티어라인(112′) 및 제3 부분 티어라인(113′)의 인접한 상호 간격(W)은 2 ~ 4mm정도로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간격(W)이 2mm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보호재(100)를 에어백 커버(C)에 부착시키는 작업시에 보호재(100)의 겉표면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저감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간격(W)이 4mm보다 큰 경우에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 성능을 하락시킬 수 있으므로 전술한 수치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보호재가 에어백 커버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보호재가 에어백 커버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보호재 110,110′: 보호재 티어라인
111,111′: 제1 부분 티어라인 112,112′: 제2 부분 티어라인
113,113′: 제3 부분 티어라인 C: 에어백 커버
T: 커버부 티어라인

Claims (7)

  1. 에어백 쿠션을 향하는 배면에 커버부 티어라인이 형성되는 운전자석용 에어백 커버의 외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에는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보호재 티어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은,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부분 티어라인과 상기 제1 부분 티어라인의 단부를 경유하여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에 대하여 제1 부분 티어라인이 경사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 티어라인을 포함하는 세트가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
  2. 제1항에 있어서,
    한 세트의 제1 부분 티어라인의 단부는 제2 부분 티어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 티어라인의 단부는 인접한 세트의 제1 부분 티어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은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과 교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에서는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의 단부가 일정 수치만큼 연장되어 제1, 제2 부분 티어라인이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
  5. 에어백 쿠션을 향하는 배면에 커버부 티어라인이 형성되는 운전자석용 에어백 커버의 외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에는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보호재 티어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은,
    상호 간에 이격된 제1 부분 티어라인, 제2 부분 티어라인 및 제3 부분 티어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티어라인은 제2 부분 티어라인과 제3 부분 티어라인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 티어라인과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 티어라인은,
    상기 에어백 커버를 향하는 보호재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보호재.
KR1020080072753A 2008-07-25 2008-07-25 에어백 커버 보호재 KR100989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753A KR100989463B1 (ko) 2008-07-25 2008-07-25 에어백 커버 보호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753A KR100989463B1 (ko) 2008-07-25 2008-07-25 에어백 커버 보호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02A true KR20100011502A (ko) 2010-02-03
KR100989463B1 KR100989463B1 (ko) 2010-10-22

Family

ID=4208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753A KR100989463B1 (ko) 2008-07-25 2008-07-25 에어백 커버 보호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927A (ko)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651Y1 (ko) 2006-02-02 2006-05-04 윤수경 자동차용 흡음재
KR200440006Y1 (ko) 2007-04-03 2008-05-20 김승구 상부마찰구조를 갖는 크래쉬패드용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927A (ko)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463B1 (ko) 201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822B1 (ko) 차량용 에어백 커버
US9321420B2 (en) Airbag apparatus
US9694780B1 (en) Airbag cover with breakaway-resistant features
JP2009056963A (ja)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427636A (ja) エアバッグ収納用カバー
JP2006001326A (ja) エアバッグカバー、エアバッグ装置
US20120139213A1 (en) Tear seams for airbag covers
JP2004268911A (ja) 装飾要素
KR100989463B1 (ko) 에어백 커버 보호재
JP2007283865A (ja) 車両のパネル部材、該パネル部材を用いた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およびエアバックドアの製造方法
JP691804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4113883A (ja) エアバッグドア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US20150054262A1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1063390B1 (ko) 운전석 에어백 커버
JP2009248610A (ja) エアバッグドア支持構造
JP5347916B2 (ja) エアバッグ装置用カバー
JP4478830B2 (ja) エアバッグドア
JPH1081184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
JP2004155212A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
JP2006273244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037282A (ja) エアバッグドア
KR102673952B1 (ko) 운전석 에어백 커버
JP2009051249A (ja) エアバッグドア
JP4614796B2 (ja) エアバッグドア
KR200279951Y1 (ko) 전개선이 보이지 않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조수석에어백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