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951Y1 - 전개선이 보이지 않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조수석에어백 커버 - Google Patents

전개선이 보이지 않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조수석에어백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951Y1
KR200279951Y1 KR2020020008412U KR20020008412U KR200279951Y1 KR 200279951 Y1 KR200279951 Y1 KR 200279951Y1 KR 2020020008412 U KR2020020008412 U KR 2020020008412U KR 20020008412 U KR20020008412 U KR 20020008412U KR 200279951 Y1 KR200279951 Y1 KR 200279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over
instrument panel
airbag
groov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조
여태정
이강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951Y1/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 커버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경계부위의 평평한 내측면에 형성되는 파열홈이 깊이 방향으로 내향 기울어지도록 형성하고,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에어백 커버가 빠르게 전개될 수 있도록 에어백 커버의 내측면에 요철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순간 개방되는 에어백 커버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이음부위에서 발생되는 파편의 제거는 물론, 원활한 에어백 커버의 개방을 조력할 수 있도록 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개선이 보이지 않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조수석 에어백 커버{Airbag Cover Having One Body-Type of an Instrunent Panel and Concealing Tear Seams in Assistant Seat}
본 고안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순간 개방되는 에어백 커버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의 파편 발생을 최소화 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운전에 필요한 계기판, 경고등이 설치되면서 승객을 위한 편의사항 등이 장착되고, 또한 운전자 뿐만 아니라,조수석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조수석 탑승자의 전방부에 위치되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후부에 에어백 모듈이 장착되는 추세이다.
종래의 조수석 전방부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수석 탑승자의 전방 인스트루먼트 패널(100)의 후부에 장착된 에어백 쿠션(110)이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의 관성을 저지하도록 팽창될 때, 인스트루먼트 패널(100)의 관통을 조력하기 위해 인스트루먼트 패널(100)에 에어백 커버(120)가 형성되었고, 이 에어백 커버(12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0)의 내측면에 가공 형성되는 절취선(122)에 의해 경계를 이루어 구분되도록 되어 있었으며, 상기 절취선(122)는 대체로 외관에서는 가시화되지 않도록 은닉형으로 3측면에 연속적인 라인으로 레이저 가공된 자름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에어백 커버(120)가 에어백 쿠션(110)에 의해 회동ㆍ개방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120)와 그 부위가 오목한 인스트루먼트 패널(100)이 적용되는 차량의 경우 특히, 저온의 조건에서 에어백 쿠션(110)이 전개될 때, 순간 파열되는 절취선(122)과 인스트루먼트패널(100)의 이음부위에서 파편(102)이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였고, 이 파편(102)에 의해 탑승자가 2차 안전사고에 노출되었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은닉형의 절취선(122)과 대응되도록 외관에서 가시화된 별도의 절취선(미도시)이 가공되기도 하였지만, 작업공정 수의 증가와 비용의 추가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커버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경계부위의 평평한 내측면에 파열홈이 깊이 방향으로 내향 기울어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에어백 커버가 빠르게 전개될 수 있도록 에어백 커버의 내측면에 요철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순간 개방되는 에어백 커버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이음부위에서 저온 전개시에 발생되는 파편의 제거는 물론, 원활한 에어백 커버의 개방을 조력할 수 있도록 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에어백 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백 모듈이 장착되는 조수석 측의 인스트 루먼트 패널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외관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에어백 커버가 개방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내관도,
도 5는 도 4의 Ⅲ-Ⅲ선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에어백 커버가 개방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인스트루먼트 패널 20...에어백 커버,
22...파열홈 24...요철 형상 홈,
30...에어백 쿠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개방되는 에어백 커버가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버의 내측면에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경계를 이루도록 연속적인 라인으로 형성되면서 깊이방향으로는 내향으로 기울어지게 굴혈되는 파열홈과,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부가 접촉되어 팽창압이 에어백 커버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도록 에어백 커버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요철 형상의 홈이 포함되어 이루어 진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최소한 상기 에어백 커버의 파열홈이 속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가 구비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내관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Ⅲ-Ⅲ선 부분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는 에어백 쿠션(30)의 팽창압에 의해 개방되도록 에어백 커버(20)의 경계 부위에 파열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팽창부위가 접촉되는 에어백 커버 내측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 홈(24)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파열홈(22)의 근접부위를 포함하여 에어백 커버(20)의 내면이 평평하도록 제작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측방 팽창을 규제하면서 전방 팽창력이 가일층(加一層)되도록 가이드프레임(40)이 설치되기도 한다.
조수석 전방부위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0) 후부에는 에어백 쿠션(30)이 포함된 에어백 모듈이 장착되고, 이 에어백 모듈의 작동으로 순간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30)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을 관통하여 충돌시 발생하는 탑승자의 관성을 저지하기 용이하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소정 위치에 에어백 커버(20)가 형성되며, 이 에어백 커버(20)가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팽창압에 의해 개방되도록 상기 에어백 커버(20)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경계부위에 파열홈(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열홈(22)은 연속적인 라인으로 대개 레이저 가공 형성되고,외관에서 가시화되지 않으면서 소정의 깊이 방향으로는 내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굴혈(掘穴)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파열홈(22)에 기울기를 줌으로써, 에어백 커버(20)와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원활한 에어백 커버(20)의 개방을 도모하면서 주위환경 특히, 온도와 무관하게 인스트루먼트 패널(10) 파편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열홈(22)은 에어백 커버(20)가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도록 3측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파열홈(22)에 의해 순간 개방되는 에어백 커버(20)와 인스트루먼트 패널(10) 간의 파편 발생이 최대한 회피되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에어백 커버(20)의 안정된 개방은 물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가해지는 파열홈(22) 부위의 파단력은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 에어백 커버(20)의 내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열되게 요철 형상의 홈(24)이 형성되는데, 이 요철 형상 홈(24)은 에어백 쿠션(30)의 팽창부위와 접촉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30) 중앙부에 밀집된 국소 팽창압을 에어백 커버(20)의 용이한 변형을 통해 상기 파열홈(22)에 인장 하중이 전달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이 요철 형상 홈(24)에 의해 상기 파열홈(22)에는 파편 발생이 최소화 되면서 에어백 커버(20)가 전개하게 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30)의 팽창압에 의해 에어백 커버(20)가 상기 요철 형상 홈(24)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 및, 상기 파열홈(22)의 기울기와 인스트루먼트 패널(10) 파단면의 기울기의 동일성 등이 최적화 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쿠션(30)과 에어백 커버(20)와의 접촉면이 최대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에어백 커버(20)의 내측면 및 그 근접된 부위의 내측면이 평평하게 제작되기도 하고, 절삭 또는 별도의 부재가 부착되는 공정이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 커버(20)와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경계를 이루는 파열홈(22)은 최소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열홈(22)의 기울기와 상기 에어백 커버(20) 및 그 근접된 부위의 평평함으로 상기 에어백 쿠션(30)의 팽창에 따른 파열홈(22) 부위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0) 파편 발생은 완전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충돌시,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순간 개방되는 에어백 커버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파단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특히 에어백 커버에 의한 저온인 상태에서 발생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파편은 미연에 방지됨은 물론 탑승객의 2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승객의 안정성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개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버가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구분되게 경계를 이룰 수 있도록 연속적인 라인으로 굴혈 형성된 파열홈과,
    상기 파열홈으로 구분된 에어백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부가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팽창압이 미끌림 없이 전달되어 상기 파열홈에서 파단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하중으로 작용되도록 다수개가 병렬 형성된 요철 형상의 홈이 포함되어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선이 보이지 않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조수석 에어백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커버의 개방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파편 발생이 방지되도록 에어백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파열홈의 근접부위는 좌우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선이 보이지 않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조수석 에어백 커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홈은 길이방향의 단면상에서 볼때,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개선이 보이지 않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주소석 에어백 커버.
KR2020020008412U 2001-11-21 2002-03-21 전개선이 보이지 않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조수석에어백 커버 KR20027995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5879 2001-11-21
KR2020010035879 2001-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951Y1 true KR200279951Y1 (ko) 2002-07-02

Family

ID=7307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412U KR200279951Y1 (ko) 2001-11-21 2002-03-21 전개선이 보이지 않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조수석에어백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9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262A (ko) * 2002-05-27 2003-1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에어백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262A (ko) * 2002-05-27 2003-1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에어백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822B1 (ko) 차량용 에어백 커버
JP4831999B2 (ja) 車両用エアーバック装置及びエアーバックカバー
EP1153809A1 (en) Airbag apparatus
KR20090108700A (ko) 에어백, 에어백 모듈 및 차량
JP2006001326A (ja) エアバッグカバー、エアバッグ装置
US20040174000A1 (en) Integrally molded passenger airbag cover
JP2007185981A (ja) 座席シート
KR200279951Y1 (ko) 전개선이 보이지 않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조수석에어백 커버
JP2008201325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KR102505743B1 (ko) 에어백 장치
KR101062300B1 (ko) 에어백 도어의 절개부와 그 절개부의 형성방법
JPH0450053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モジュールカバー
KR200288846Y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에어백 커버
KR20110043924A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JP2003146172A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の破断開口部構造
JP5316488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2153207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200193452Y1 (ko) 조수석 에어백 커버의 개방 구조
JP3909766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477089B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은폐형 패신저 에어백도어 구조
KR100543762B1 (ko) 자동차용 에어백도어 절개부구조
KR20030091262A (ko)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에어백 커버
KR100577811B1 (ko)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JP2024034304A (ja) エアバッグドアおよびインパネロアの連結構造
KR100415106B1 (ko) 에어백커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