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762B1 - 자동차용 에어백도어 절개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백도어 절개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762B1
KR100543762B1 KR1020040010710A KR20040010710A KR100543762B1 KR 100543762 B1 KR100543762 B1 KR 100543762B1 KR 1020040010710 A KR1020040010710 A KR 1020040010710A KR 20040010710 A KR20040010710 A KR 20040010710A KR 100543762 B1 KR100543762 B1 KR 10054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airbag door
groove
airbag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291A (ko
Inventor
문경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762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백 절개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 저면부분에 형성되는 은닉형 에어백도어에 있어, 상기 에어백도어의 저면부분에 절개가 시작되는 부분에 단차를 갖는 단차절개부를 형성하여 에어백의 절개의 시작을 용이하게 하고 힌지부분에는 얕은 절개홈과 깊은 절개홈이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절개되도록 하므로 에어백도어가 순차적으로 찢어져서 에어백도어가 테어심 없이 절개되어 쿠션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도어 단차절개홈 얕은절개홈 깊은절개홈 내,외측스킨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백도어 절개부구조 { A Air Bag Door Cutting Line Structure For Motors }
도 1은 일반적인 에어백이 설치된 자동차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에어백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에어백도어의 절개홈 라인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D"영역의 에어백도어 힌지부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서 "E,F"영역의 에어백도어 절개부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4에서 "G"영역의 에어백도어 절개시작부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스트루먼트패널 20 : 에어백도어
22 : 내측스킨 24 : 외측스킨
26 : 깊은 절개홈 28 : 얕은 절개홈
30 : 단차 절개홈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백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 저면부분에 형성되는 은닉형 에어백도어에 있어, 상기 에어백도어의 저면부분에 절개가 시작되는 부분에 단차를 갖는 단차절개부를 형성하여 에어백의 절개의 시작을 용이하게 하고 힌지부분에는 얕은 절개홈과 깊은 절개홈이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절개되도록 하므로 에어백도어가 순차적으로 찢어져서 에어백도어가 테어심 없이 절개되어 쿠션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절개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에어백은 차량사고시에 운전 혹은 조수석등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이 충격으로 인하여 운전대, 인스트루먼트패널 및 전면유리창 등에 부딪혀서 인명의 손실을 야기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안전 보조장치이다.
최근의 자동차는 자동차의 성능이 발달함과 아물러 도로의 포장 상태가 향상됨으로서 자동차의 운행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자동차 정면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 및 탑승객의 얼굴에 치명상을 가하게 되는 경향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동차에 에어백을 설치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자동차 운전자 및 탑승객의 안전이 증가하게 되었다.
상기한 에어백의 종류에는 운전자의 운전대에 설치되는 운전자 에어백과, 조 수석에 탑승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글로브박스 상측에 있는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내장 설치되는 조수석에어백과; 운전자와 탑승객등의 측면부분을 보호하기 위하 도어에서 팽창되는 사이드에어백과;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무릎보호용 에어백등이 있다.
상기 에어백도어는, 에어백쿠션이 팽창되면서 인스트루먼트패널이 젖혀지도록 형성되는 개방부위에 형성되는 구조로서,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저면부분에 절개홈을 형성하여 에어백도어가 용이하게 절개되어져 젖혀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에어백도어이 종류에는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내장된 쿠션이 팽창됨으로써 승객의 상해를 줄이기 위하여 은닉형과 도어형이 있으며 그 중에 은닉형은 인스트루먼트패널 배면에 쿠션의 팽창이 용이하도록 약화부를 형성한다. 약화부를 형성하는 방법에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의 몰드물의 스킨에 요철부를 두어서 약화시키거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법들이 적용되어진다.
그리고, 레이저를 이용한 가공방법은, 인스트루먼트패널의 배면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절개홈을 형성하게 되면 외부에서 절개홈이 보이지 않으면서 충돌시에는 쿠션에 의하여 절개되어지도록 은닉형의 에어백도어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백이 설치된 자동차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에어백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종래의 에어백도어 구조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10)의 글로브박스의 상측부분 인스트루먼트패널(10)의 저면부분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에어백도어(20)의 저면에는 레이저가공으로 내측스킨(22) 부분에 절개 홈(26)을 형성하도록 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스킨(24) 부분에는 절개홈(26)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백도어(20)는, 상기 내측스킨(22)에 동일한 깊이로 레이저장비의 헤드가 약간 경사져 진입하면서 레이저로 약화부인 절개홈(26)을 형성하므로 이 절개홈(26)이 균일하지 못하여 저온 전개시에 약화부(테어심)가 날카롭게 찢어져서 에어백의 쿠션이 팽창되면서 테어심에 의하여 파손되어져서 쿠션 내부에 유입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 쿠션이 제대로 탑승객을 보호하지 못하여 인명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 저면부분에 형성되는 은닉형 에어백도어에 있어, 상기 에어백도어의 저면부분에 절개가 시작되는 부분에 단차를 갖는 단차절개부를 형성하여 에어백의 절개의 시작을 용이하게 하고 힌지부분에는 얕은 절개홈과 깊은 절개홈이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절개되도록 하므로 에어백도어가 순차적으로 찢어져서 에어백도어가 테어심 없이 절개되어 쿠션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몰드물로서 절개홈을 형성하는 내측스킨 과 절개홈을 형성하지 않는 외측스킨으로 이루어진 에어백도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도어의 일정 구간에 일정한 단차를 갖고, 절개의 시작지역으로 절개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단차 절개홈를 형성한 제1절개영역과; 상기 제1절개영역의 단차절개홈의 양측으로 인접하여 동일하고 깊은 깊이로 이루어진 깊은 절개홈을 형성한 제2절개영역과; 상기 제2절개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에어백도어가 힌지역할을 하면서 최종적으로 절개되도록 깊은 절개홈 및 얕은 절개홈을 반복하여 형성하는 제3절개영역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에어백 도어 절개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스킨의 두께는, 0.16 ∼ 0.20 mm인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절개홈 중심부 사이의 간격은 0.52 ∼ 0.56 mm인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 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D"영역의 에어백 힌지부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서 "E,F"영역의 에어백 절개부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4에서 "G"영역의 에어백 절개시작부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도어의 구성은, 인스트루먼트패널(10)에 몰드물로서 절개홈을 형성하는 내측스킨(22)과 절개홈을 형성하지 않는 외측스킨(24)으로 이루어진 에어백도어(20)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도어(20)의 일정 구간에 일정한 단차(t)를 갖고, 절개의 시작지역으로 절개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단차 절개홈(30)를 형성한 제1절개영역(G)과; 상기 제1절개영역(G)의 단차절개홈(30)의 양측으로 인접하여 동일하고 깊은 깊이로 이루어진 깊은 절개홈(26)을 형성한 제2영절개영역(E)(F)과; 상기 제2절개영역(E)(F)에 인접하여 상기 에어백도어(20)가 힌지역할을 하면서 최종적으로 절개되도록 깊은 절개홈(26) 및 얕은 절개홈(28)을 반복하여 형성하는 제3절개영역(D)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깊은 절개홈(26)이 형성되지 않는 외측스킨(24)의 두께는, 0.16 ∼ 0.20 mm인 것이 바람직 하다. 특히, 0.18mm인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절개홈(26)(28) 중심부 사이의 간격은 0.52 ∼ 0.56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조 상태를 살펴 보도록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스트르먼트패널(10)에 에어백도어(20)를 형성하는 데 있어, 자동차 충동시에 내부에서 팽창하는 에어백쿠션에 의하여 절개되는 시작지역으로서 절개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G"영역에 일정한 단차(t)를 갖는 단차절개홈(23)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단차절개홈(30)은 지지되는 두께를 최소화하므로 쿠션이 팽창될 때, 최초로 절개되도록 한다.
상기 "G"영역에 인접하여 외측스킨(24) 까지 함몰되어지도록 내측스킨(22)에 일정한 간격으로 깊은 절개홈(26)을 동일한 깊이로 "E,F"영역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E,F"영역에 인접하여 외측스킨(24) 까지 함몰되는 깊은 절개홈(26)과 조금 얕은 부위까지 함몰되는 얕은 절개홈(28)을 번갈아 가면서 교번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태에서 자동차 충돌에 의하여 에어백도어(20)의 내측에 내장된 에어백쿠션(미도시)이 팽창되어져 에어백도어(20)의 배면에 큰 팽창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D,E,F,G"영역중에서 가장 약한 부분인 "D"영역의 단차절개홈(30)이 먼저 절개 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D"영역이 절개되면서 "D"영역에 인접하고 두 번째로 약한 부분인 "E,F"영역의 깊은 절개홈(26)이 절개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E"영역에 인접하여지는 힌지부 역할을 하는 "D"영역의 깊은절개홈(26) 및 얕은 절개홈(28)이 번갈아 가면서 절개되어지고, 그 공간부분을 통하여 에어백쿠션이 팽창되어져서 탑승객의 전면부분으로 팽창되어져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D"영역의 단차절개홈(30)이 가장 먼저 절개되어지면서, 우표가 찢어지듯이 "E,F,D"영역을 거쳐 순차적으로 절개되어지므로 절개되는 부분에 테어심이 형성되어지지 않고 깨끗하게 절개되어져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이 찢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절개부 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 저면부분에 형성되는 은닉형 에어백도어에 있어, 상기 에어백도어의 저면부분에 절개가 시작되는 부분에 단차를 갖는 단차절개부를 형성하여 에어백의 절개의 시작을 용이하게 하고 힌지부분에는 얕은 절개홈과 깊은 절개홈이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절개되도록 하므로 에어백도어가 순차적으로 찢어져서 에어백도어가 테어심 없이 절개되어 쿠션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3)

  1.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몰드물로서 절개홈을 형성하는 내측스킨과 절개홈을 형성하지 않는 외측스킨으로 이루어진 에어백도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도어의 일정 구간에 일정한 단차를 갖고, 절개의 시작지역으로 절개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단차 절개홈를 형성한 제1절개영역과;
    상기 제1절개영역의 단차절개홈의 양측으로 인접하여 동일하고 깊은 깊이로 이루어진 깊은 절개홈을 형성한 제2절개영역과;
    상기 제2절개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에어백도어가 힌지역할을 하면서 최종적으로 절개되도록 깊은 절개홈 및 얕은 절개홈을 반복하여 형성하는 제3절개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도어 절개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스킨의 두께는, 0.16 ∼ 0.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도어 절개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 중심부 사이의 간격은 0.52 ∼ 0.5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도어 절개부 구조.
KR1020040010710A 2004-02-18 2004-02-18 자동차용 에어백도어 절개부구조 KR100543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710A KR100543762B1 (ko) 2004-02-18 2004-02-18 자동차용 에어백도어 절개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710A KR100543762B1 (ko) 2004-02-18 2004-02-18 자동차용 에어백도어 절개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291A KR20050082291A (ko) 2005-08-23
KR100543762B1 true KR100543762B1 (ko) 2006-01-23

Family

ID=3726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710A KR100543762B1 (ko) 2004-02-18 2004-02-18 자동차용 에어백도어 절개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125B1 (ko) * 2007-11-01 2009-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인스트루먼트패널
KR20190135321A (ko) *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용산 취약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125B1 (ko) * 2007-11-01 2009-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인스트루먼트패널
KR20190135321A (ko) *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용산 취약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KR102094289B1 (ko) * 2018-05-28 2020-03-31 주식회사 용산 취약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291A (ko) 200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1569B2 (ja) 見えないエアバッグ蓋
KR100805468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JP2998745B2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20000048597A (ko) 은폐식 에어백 커버의 전방 취약부 구조
US6921105B2 (en) Integrally molded passenger airbag cover
JPH07156737A (ja) 車室側部材一体エアバッグドアの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60875B1 (en) Seamless/integral DSIR or PSIR door configuration in hard plastic trim application facilitated by gas
KR100543762B1 (ko) 자동차용 에어백도어 절개부구조
KR100577811B1 (ko)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JP2007153222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3428345B2 (ja) エアバッグドア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62300B1 (ko) 에어백 도어의 절개부와 그 절개부의 형성방법
KR100785195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3893536B2 (ja) エアバッグドア
JP2003112595A (ja) エアバッグドアを備えた自動車用内装品
JP2003095049A (ja) エアバッグドア
KR200200709Y1 (ko) 에어백의 내측커버젖힘구조
KR100787644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0517709B1 (ko) 자동차용 에어백 도어구조
JPH10264757A (ja) 車両用内装品
KR200288846Y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에어백 커버
KR100424368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KR20230166238A (ko)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KR101321134B1 (ko) 승객용 에어백
KR100292112B1 (ko) 내압조절수단을구비한에어백및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