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238A -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 Google Patents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238A
KR20230166238A KR1020220065909A KR20220065909A KR20230166238A KR 20230166238 A KR20230166238 A KR 20230166238A KR 1020220065909 A KR1020220065909 A KR 1020220065909A KR 20220065909 A KR20220065909 A KR 20220065909A KR 20230166238 A KR20230166238 A KR 20230166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airbag
headliner
sheath
roof
deplo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류민용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6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238A/ko
Publication of KR2023016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021/21652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the tearing being done or assisted by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92Roof bags, i.e. protecting the occupant in a roll-over situation

Abstract

헤드 라이너 면에 칼집을 형성함으로써, 루프에어백이 전개할 때 쉽게 찢어지게 하여 정해진 장소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개하게 할 뿐만 아니라, 루프에어백이 전개하지 않을 때는 자동차 실내에서 전개 위치를 알 수 없어 자동차 실내의 미관과 미감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칼집을 레이저 커팅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헤드 라이너의 두께에서 원하는 두께만큼 적당하게 절개하여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두께로 칼집을 형성하여 안전하게 사용하면서도 자동차 실내의 미관과 미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칼집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루프에어백의 장착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함으로써, 루프에어백이 전개하는 전개 압력으로 에어 라이너 부분이 쉽게 벌어지게 하여 루프에어백이 자연스럽게 전개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HEADLINER FOR VEHICLES EASY TO DEPLOY ROOF AIRBAGS}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에어백이 장착되는 헤드 라이너 면에 칼집을 형성함으로써, 루프에어백이 전개할 때 압력으로 헤드 라이너 면이 찢어지면서 루프에어백이 펼쳐지게 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루프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루프에어백이 전개되는 위치가 자동차 실내에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자동차 실내의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칼집은 레이저 커팅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두께로 정확하게 칼집을 형성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칼집은 "+"자 형태로 형성하되 루프에어백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칼집을 따라 루프에어백이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정해진 위치에 맞춰 전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에어백은 자동차의 헤드 라이너에 장착되어 전개가 필요할 때 헤드 라이너를 관통해서 전개하여 탑승자를 보호한다. 특히,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자동차 시트 사이로 루프에어백이 전개하게 하여 탑승자를 보호한다. 이러한 루프에어백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하게 제작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7291호
차량용 루프에어백은 선루프 프레임의 전단 또는 후단 중 일측에 구비되어, 작동시 전개가스를 배출하는 인플레이터; 상기 선루프 프레임의 전단과 후단 사이 지점에서 상기 선루프 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마련된 보강재; 및 상기 선루프 프레임의 전단 또는 후단 중 일측에 폴딩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전개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선루프 프레임을 덮도록 전개되되, 상기 선루프 프레임의 전단 또는 후단 중 일측에서부터 상기 보강재에 도달하기 전 지점까지 덮는 제1챔버와, 상기 보강재로부터 상기 선루프 프레임의 전단 또는 후단 중 타측까지 덮는 제2챔버로 구성된 에어백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09121호
루프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루프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승객이 대면 착좌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부; 차량의 루프부에 장착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장착되고, 차량 사고 발생시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부; 인플레이터부에서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되고, 하우징에서 루프부의 하방으로 한 쌍의 시트부 사이에서 전개되는 쿠션부; 및 쿠션부를 폐곡선 형상으로 팽창되게 하는 연결 테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355608호
팽창된 상태에서, 하부를 향하여 개방된 U자형 단면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승객의 머리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할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좌측날개부와 우측날개부 및 상기 좌측날개부와 우측날개부를 연결하는 아웃터상측부로 이루어지고, 인플레이터로부터의 팽창가스를 상기 인너쿠션으로 전달하는 공급벤트홀을 구비한 아웃터쿠션; 및 상기 좌측날개부와 우측날개부 사이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쿠션으로부터 팽창가스를 전달받기 위한 수급벤트홀과 팽창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벤트홀을 구비한 인너쿠션;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루프에어백 장치가 소개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7291호 (공개일: 2019.01.22)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09121호 (공개일: 2021.01.26) 한국등록특허 제10-1355608호 (등록일: 2014.01.20)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루프에어백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루프에어백이 전개할 때 헤드 라이너를 뚫고 전개할 수가 없으므로, 루프에어백을 헤드 라이너의 측면에 장착해서 사용하게 된다. 이에, 루프에어백이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전개되지 않아 탑승자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다.
(2) 특히, 시트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에서는 헤드 라이너의 측면에서 루프에어백이 전개함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탑승자 사이로 루프에어백이 정확하게 정해진 형태로 전개되지 않아 탑승자가 더 큰 부상을 당하기도 한다.
(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헤드 라이너의 중간 부분에 루프에어백을 장착하기도 하나, 이처럼 장착해서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4) 루프에어백의 전개 압력만으로는 헤드 라이너를 관통해서 루프에어백이 전개하기가 힘들다. 이에, 헤드 라이너에 루프에어백이 전개할 수 있게 제작된다. 이는, 자동차 실내에서 헤드 라이너를 바라볼 때 시야에 노출되게 되므로 자동차 실내의 미감과 미관을 해치는 한 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5) 또한, 헤드 라이너가 오랫동안 뜨거운 태양 아래에 노출되어 경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이처럼 루프에어백이 전개를 위해 형성된 부분이 벌어지거나 파손되면서 헤드 라이너와 자동차 실내의 미관과 미감을 더욱더 해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루프에어백이 장착되는 헤드 라이너 면에 루프에어백이 쉽게 전개할 수 있도록 칼집을 형성함으로써, 루프에어백이 전개하는 전개 압력을 받아 쉽게 찢어지게 하여 루프에어백 전개가 정해진 장소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개하게 할 뿐만 아니라, 루프에어백이 전개하지 않을 때는 자동차 실내에서 전개 위치를 알 수 없어 자동차 실내의 미관과 미감을 개선할 수 있게 한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칼집이 레이저 커팅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헤드 라이너의 두께에서 원하는 일부 두께만큼 적당하게 절개하여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두께로 칼집을 형성하여 안전하게 사용하면서도 자동차 실내의 미관과 미감을 개선할 수 있게 한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칼집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루프에어백의 장착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함으로써, 루프에어백이 전개하는 전개 압력으로 에어 라이너 부분이 쉽게 벌어지게 하여 루프에어백이 자연스럽게 전개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는, 루프에어백(A)이 장착된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100)에서; 루프에어백(A)이 설치되는 헤드 라이너 면(100)에는, 루프에어백(A)이 전개하는 압력으로 헤드 라이너(100) 면이 강제로 찢어지면서 자동차 실내로 전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칼집(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칼집(110)은, 레이저 커팅 방식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칼집(110)은, "+"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루프에어백(A)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헤드 라이너 중간 부분에 장착되는 루프에어백이 전개함에 따라 헤드 라이너 면에 미리 형성된 칼집을 따라 헤드 라이너가 찢어지게 하면서 루프에어백이 자동차 실내로 전개하게 된다. 이에, 헤드 라이너는 루프에어백이 전개하지 않을 때는 이 칼집이 자동차 실내에서 보이지 않아 자동차 실내의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2) 특히, 상기 칼집은 루프에어백과 마주하는 헤드 라이너 면에서 두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함에 따라, 루프에어백의 전개 압력으로 헤드 라이너가 쉽게 찢어지게 하면서도 자동차 실내에서는 보이지 않게 하여 미관과 미감을 개선할 수 있다.
(3) 또한, 상기 칼집은 레이저 커팅 방식으로 헤드 라이너 면에 형성함에 따라, 원하는 두께로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루프에어백의 전개 압력을 고려하여 그 압력으로 칼집 부분이 터지면서 헤드 라이너를 관통하여 루프에어백이 전개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그리고 상기 칼집은 "+"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중간 부분에 루프에어백의 전개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헤드 라이너 면이 터지게 형성하되, 루프에어백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루프에어백의 전개 길이에 맞춰 헤드 라이너 면이 터지면서 루프에어백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는, 순간적으로 전개하는 루프에어백이 탑승자 사이에 순간적으로 펼쳐지게 해서 탑승자의 부상 정도를 줄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칼집이 형성된 헤드 라이너가 장착된 자동차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칼집 부분에서 루프에어백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를 찢고 루프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칼집이 형성된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를 보여주는 평면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헤드 라이너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100)에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루프에어백(A)이 설치되는 면에 헤드 라이너(100) 두께의 일부만큼 절개하여 형성되는 칼집(110)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칼집(110)은 루프에어백(A)이 전개할 때 발생한 압력으로 헤드 라이너(100) 면이 찢어지게 하여 루프에어백(A)이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전개하도록 안내할 뿐만 아니라, 루프에어백(A)이 전개하지 않을 때는 자동차 실내에서 루프에어백(A)이 전개되는 위치가 보이지 않게 해서 자동차 실내의 미관과 미감을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칼집(110)은 레이저 커팅 방식으로 형성함에 따라, 레이저를 사용하여 루프에어백(A)과 마주하는 면에 칼집(110)을 형성할 때 헤드 라이너(100) 두께에서 칼집(110)이 형성되는 두께를 쉽게 조절하여 작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칼집(110)은 "+"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루프에어백(A)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게 형성함으로써, 루프에어백(A)이 길게 전개함에 따라 발생하는 전개 압력이 "+"자 중심에 집중하게 해서 칼집(110)을 따라 쉽게 전개하여 루프에어백(A)의 신속하게 정해진 형태로 전개하여 탑승자의 부상 정도를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헤드 라이너
헤드 라이너(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자동차 실내에서 루프패널과 마주하게 장착되는 내장재이다.
특히, 상기 헤드 라이너(100)에는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도 2]와 같이, 루프에어백(A)이 장착된다. 여기서, 루프에어백(A)은 자동차 사고가 발생했을 때 헤드 라이너(100) 면을 찢으면서 자동차 실내로 관통하게 전개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구성된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에어백을 말한다.
이러한 루프에어백(A)은 자동차의 차종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이처럼 루프에어백(A)이 장착되는 헤드 라이너(100)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칼집(110)이 형성된다.
나. 칼집
칼집(110)은,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헤드 라이너(100) 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칼집(110)은, [도 2] 및 [도 5]와 같이, 루프에어백(A)이 장착되는 면에 형성됨에 따라 루프에어백(A)이 전개하면 그 전개압력이 이 칼집(110)을 따라 헤드 라이너(100)가 찢어지면서 그 틈새를 통해 루프에어백(A)이 자동차 실내로 전개할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칼집(11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루프에어백(A)이 장착되는 헤드 라이너(100) 면에 형성하게 되는 데, 이때 레이저 커팅 방식을 통해 칼집(1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레이저를 통해 헤드 라이너(100) 면에 칼집(110)을 형성할 때 이 헤드 라이너(1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칼집(110) 두께를 원하는 대로 쉽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3차원적 형상으로 이루어진 헤드 라이너(100) 면에 대해 칼집(110)을 쉽게 형성하여 루프에어백(A)의 전개를 안내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칼집(110)은, [도 6]의 중앙에 형성된 바와 같이, "+"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루프에어백(A)의 전개 압력이 그 중심 부분에 가해졌을 때 헤드 라이너(100) 면을 쉽게 찢으면서 루프에어백(A)이 자동차 실내 안으로 전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 형상의 칼집에서 한쪽이 루프에어백(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게 형성함으로써, 통상 벽체 형태로 넓게 전개하는 루프에어백(A)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전개하여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루프에어백이 장착되는 면에 칼집을 형성함으로써, 루프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때는 자동차 실내에서 전개되는 부분이 보이지 않게 하여 자동차 실내의 미감과 미관을 개선하게 하고, 루프에어백이 전개할 때는 칼집 부분을 통해 정해진 형태로 루프에어백이 신속하게 전개하여 탑승자의 부상 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100: 헤드 라이너
110: 칼집
A: 루프에어백

Claims (3)

  1. 루프에어백(A)이 장착된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100)에서,
    루프에어백(A)이 설치되는 헤드 라이너 면(100)에는,
    루프에어백(A)이 전개하는 압력으로 헤드 라이너(100) 면이 강제로 찢어지면서 자동차 실내로 전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칼집(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100).
  2. 제1항에서,
    상기 칼집(110)은,
    레이저 커팅 방식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칼집(110)은,
    "+"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루프에어백(A)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100).
KR1020220065909A 2022-05-30 2022-05-30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KR20230166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909A KR20230166238A (ko) 2022-05-30 2022-05-30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909A KR20230166238A (ko) 2022-05-30 2022-05-30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238A true KR20230166238A (ko) 2023-12-07

Family

ID=8916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909A KR20230166238A (ko) 2022-05-30 2022-05-30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23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608B1 (ko) 2012-03-29 2014-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KR20190007291A (ko) 2017-07-12 2019-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에어백
KR20210009121A (ko) 2019-07-16 2021-01-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루프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608B1 (ko) 2012-03-29 2014-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KR20190007291A (ko) 2017-07-12 2019-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에어백
KR20210009121A (ko) 2019-07-16 2021-01-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루프 에어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2157B1 (en) 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EP1591323B1 (en) Vehicle having an airbag system
US7390013B2 (en) Airbag module
US20050269806A1 (en) Airbag protective device for vehicle occupants and motor vehicle
US8708365B2 (en) Side curtain airbag assembly
US8186708B2 (en) Asymmetric side airbag for improved head and neck protection
US7213837B2 (en) Airbag module
GB2289027A (en) Vehicle air bag arrangement
US9586554B1 (en) B-pillar trim strap for structural rigidity during CSA deployment
KR20070041798A (ko) 커튼에어백의 프론트 필라트림 구조
US9022421B2 (en) Inflatable restraint deployment ramp
US10059298B2 (en) Head airbag system for a vehicle and vehicle with a head airbag system
JP4518468B2 (ja) ボディ構造と側面衝突保護装置とを備えた自動車
US11865991B1 (en) Overhead airbag cushions and related systems
US10703318B2 (en) Instrument panel with passenger airbag
JP2577405Y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3500915B2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KR20230166238A (ko)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JP4796819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EP1602533B1 (en) Airba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s airbag
JP4721987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102366814B1 (ko) 커튼 에어백 및 커튼 에어백의 전개 방법
US20080030007A1 (en) Cockpit Component
KR102656681B1 (ko) 차량용 트림에어백
KR100747398B1 (ko) 커튼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