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743B1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743B1
KR102505743B1 KR1020170167352A KR20170167352A KR102505743B1 KR 102505743 B1 KR102505743 B1 KR 102505743B1 KR 1020170167352 A KR1020170167352 A KR 1020170167352A KR 20170167352 A KR20170167352 A KR 20170167352A KR 102505743 B1 KR102505743 B1 KR 10250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r line
airbag
bridge
airbag device
airba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425A (ko
Inventor
강정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7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021/21652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the tearing being done or assisted by c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에어백 장치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스티어링 휠와, 개구부를 덮고, 테어 라인이 형성되며 테어 라인을 따라 전단가능한 에어백 커버와, 에어백 커버의 배면에 설치되되, 중앙부가 테어 라인 상에 배치되고, 전단시작점과 마주보는 면에 노치부가 형성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브릿지에서 노치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은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전단시작점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BAG DEVICE}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에어백 커버가 테어 라인(Tear Line)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전단되는 것이 방지되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장치는 차량 사고시에 에어백 쿠션이 내부로 유입된 가스 압력에 의해 부풀어 올라 탑승자를 쿠션력으로 보호하는 장치이다. 에어백 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와, 글로브박스의 상측에 장착되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는 무릎 에어백 장치와, 루프 레일을 따라 장착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와, 시트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등이 있다.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을 포함한다. 에어백 쿠션은 차량의 비사고시 스티어링 휠에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고, 차량 사고시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유입되면 펼쳐지면서 전개된다. 이때 에어백 쿠션의 일측면을 덮는 에어백 커버에는 테어 라인이 형성되는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에어백 커버가 테어 라인을 따라 전단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전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에어백 커버가 테어 라인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전단되는 것이 방지되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스티어링 휠; 상기 개구부를 덮고, 테어 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테어 라인을 따라 전단가능한 에어백 커버; 및 상기 에어백 커버의 배면에 설치되되, 중앙부가 상기 테어 라인 상에 배치되고, 전단시작점과 마주보는 면에 노치부가 형성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노치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은 상기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상기 전단시작점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양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치부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A)는 18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치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B)는 18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치부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A)는 상기 노치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B)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는 복수개로 상기 테어 라인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커버의 배면에 설치되되, 중앙부가 상테어 라인 상에 배치되고, 전단시작점과 마주보는 면에 노치부가 형성되며, 노치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이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전단시작점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브릿지를 통해 스티어링 휠의 혼작동시 에어백 커버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에어백 커버가 테어 라인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전단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릿지는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질 뿐만 니라, 노치부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미만이고, 노치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를 초과함으로써, 브릿지의 중앙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쿠션의 전개시 에어백 커버가 테어 라인을 따라 용이하게 전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에어백 커버의 테어 라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브릿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에어백 커버의 테어 라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브릿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1)는 스티어링 휠(100), 에어백 커버(200) 및 브릿지(300)를 포함한다. 스티어링 휠(100)은 중앙에 개구부(11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티어링 휠(100)의 중앙에는 개구부(110)와 연결되는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에어백 쿠션(미도시)과, 팽창가스를 발생하여 에어백 쿠션의 내부로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때, 에어백 쿠션은 접혀진 상태로 공간부에 수납된다.
에어백 커버(200)는 개구부(110)를 덮고, 테어 라인(210)이 형성되며 테어 라인(210)을 따라 전단가능하다. 에어백 커버(200)의 외측면에는 엠블럼(1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될 때 에어백 커버(200)는 테어 라인(210)을 따라 전단되어 복수개로 나누어진다. 이때, 에어백 커버(200)가 테어 라인(210)을 따라 전단될 때 테어 라인(210) 중 두께가 가장 얇은 부분 즉, 전단시작점(210a)에서부터 전단이 시작되어 테어 라인(210)을 따라 전단된다. 또한, 에어백 커버(200)는 테어 라인(210)을 따라 전단될 때 에어백 커버(200)의 외측으로 벌어지더라도 스티어링 휠(100) 및 주변 구성요소와 충돌되지 않을 수 있다.
브릿지(300)는 에어백 커버(200)의 배면에 설치되되, 중앙부(300a)가 테어 라인(210) 상에 배치되고, 전단시작점(210a)과 마주보는 면(300c)에 노치부(310)가 형성된다(도 4 참조). 브릿지(300)에서 노치부(310)가 형성되는 면(300c)의 반대면(300d)은 중앙부(300a)에서 양단부(300b)로 갈수록 전단시작점(210a)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티어링 휠(100)의 혼작동시 에어백 커버(200)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에어백 커버(200)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에어백 커버(200)가 테어 라인(210)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전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브릿지(300)의 중앙부(300a)에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에어백 커버(200)가 전단될 때 에어백 커버(200)가 테어 라인(210)을 벗어나 다른 방향으로 전단되지 않고 테어 라인(210)만을 따라 전단될 수 있다.
브릿지(300)는 중앙부(300a)에서 양단부(300b)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진다. 노치부(310)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A)는 180도 미만이다. 노치부(310)가 형성되는 면(300c)의 반대면(300d)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B)는 180도 미만이다. 노치부(310)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A)는 노치부(310)가 형성되는 면(300c)의 반대면(300d)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B)보다 작다. 이로 인해, 브릿지(300)의 중앙부(300a)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이 증대되어 에어백 커버(200)가 전단될 때 용이하게 테어 라인(210)을 따라 전단될 수 있다. 즉, 에어백 커버(200)가 테어 라인(210)을 벗어나 다른 방향으로 전단되지 않는다. 그 결과, 에어백 커버(200)는 전단진행 즉, 테어 라인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전단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브릿지(300)는 복수개로 테어 라인(210)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3과 같이, 브릿지(300)는 전단시작점(210a)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에어백 커버(200)가 테어 라인(210)을 따라 용이하게 전단될 수 있다.
노치부(310)가 형성되는 면(300c)의 반대면(300d)의 중앙부(300a)에는 돌기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티어링 휠(100)의 혼작동시 에어백 커버(200)의 유동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스티어링 휠(100)의 혼작동시 등 차량의 비사고시에 에어백 커버(200)는 브릿지(300)를 통해 유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차량의 차고 등으로 인해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면, 에어백 쿠션의 일측면을 덮는 에어백 커버(200)는 테어 라인(210)을 따라 전단된다. 이때, 테어 라인(210)은 전단시작점(210a)에서부터 전단이 시작되어 좌우방향으로(도 3 기준) 전단된다. 브릿지(300)는 테어 라인(210)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에어백 커버(200)는 테어 라인(210)을 따라 용이하게 전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1)에서는 브릿지(300)를 통해 에어백 커버(200)는 전단될 때, 테어 라인(210)만을 따라서 전단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백 커버(200)는 전단진행 즉, 테어 라인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전단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에어백 장치 10 : 엠블럼
100 : 스티어링 휠 110 : 개구부
200 : 에어백 커버 210 : 테어 라인
210a : 전단시작점 300 : 브릿지
310 : 노치부 320 : 돌기부

Claims (6)

  1.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스티어링 휠;
    상기 개구부를 덮고, 테어 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테어 라인을 따라 전단가능한 에어백 커버; 및
    상기 에어백 커버의 배면에 설치되되, 중앙부가 상기 테어 라인 상에 배치되고, 전단시작점과 마주보는 면에 노치부가 형성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노치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은 상기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상기 전단시작점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양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A)는 18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B)는 18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A)는 상기 노치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서 서로 맞닿는 면이 이루는 각도(B)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복수개로 상기 테어 라인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170167352A 2017-12-07 2017-12-07 에어백 장치 KR10250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352A KR102505743B1 (ko) 2017-12-07 2017-12-07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352A KR102505743B1 (ko) 2017-12-07 2017-12-07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425A KR20190067425A (ko) 2019-06-17
KR102505743B1 true KR102505743B1 (ko) 2023-03-03

Family

ID=6706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352A KR102505743B1 (ko) 2017-12-07 2017-12-07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7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5993B2 (en) * 2019-06-18 2024-01-09 Autoliv Development Ab Driver's seat airbag device
KR102398272B1 (ko) * 2020-06-12 2022-05-1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커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121A (ja) 2000-10-10 2002-04-16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KR101063390B1 (ko) 2009-02-09 201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320B2 (ja) * 1997-09-04 2000-05-22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ドア
KR102095565B1 (ko) * 2013-11-01 2020-03-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121A (ja) 2000-10-10 2002-04-16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KR101063390B1 (ko) 2009-02-09 201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425A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5705B2 (en) Roof airbag apparatus
KR102171930B1 (ko) 에어백 모듈
US7604252B2 (en) Knee airbag
US20120074677A1 (en) Airbag,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sewing lid member of airbag
KR100747861B1 (ko) 커튼에어백의 프론트 필라트림 구조
EP2617607B1 (en) Airbag arrangement
JP2007518622A5 (ko)
KR102157025B1 (ko) 커튼 에어백 장치의 쿠션
JP2013014177A (ja) 乗員保護装置
US20160107601A1 (en) Curtain airbag apparatus
JP2006001326A (ja) エアバッグカバー、エアバッグ装置
KR102227852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505743B1 (ko) 에어백 장치
US20070057498A1 (en) Airbag device
US20090179404A1 (en) Optimised airbag module
US10293778B2 (en) Frontal airbag, frontal airbag module and motor vehicle
KR102659563B1 (ko) 에어백 커버장치
KR100938327B1 (ko) 무릎 에어백
KR101606477B1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KR20130079927A (ko) 에어백 커버
KR20150022257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627120B1 (ko) 차량용 에어백
JP675434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6273244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02593658B1 (ko)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