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563B1 - 에어백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563B1
KR102659563B1 KR1020190059994A KR20190059994A KR102659563B1 KR 102659563 B1 KR102659563 B1 KR 102659563B1 KR 1020190059994 A KR1020190059994 A KR 1020190059994A KR 20190059994 A KR20190059994 A KR 20190059994A KR 102659563 B1 KR102659563 B1 KR 10265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r line
cover
hinge
housing portion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484A (ko
Inventor
권오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9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563B1/ko
Priority to US16/880,612 priority patent/US11420585B2/en
Publication of KR20200134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aring tabs, legs or the like for holding the lid before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021/21652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the tearing being done or assisted by c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커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에어백 커버장치는: 제1테어라인이 형성되며 제1테어라인을 따라 절단가능한 커버부와, 커버부의 테두리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제2테어라인이 형성되며, 절단되어 회동되는 커버부에 의해 일부분이 제2테어라인을 따라 절단되어 회전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커버장치{COVER DEVICE OF AIRBAG}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부가 이탈되어 승객이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는 에어백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장치는 차량 사고시에 에어백 쿠션이 내부로 유입된 가스 압력에 의해 부풀어 올라 탑승자를 쿠션력으로 보호하는 장치이다. 에어백 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와, 글로브박스의 상측에 장착되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는 무릎 에어백 장치와, 루프 레일을 따라 장착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와, 시트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등이 있다.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을 포함한다. 에어백 쿠션은 차량의 비사고시 스티어링 휠에 접힌 상태로 유지되고, 차량 사고시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유입되면 펼쳐지면서 전개된다. 이때 에어백 쿠션을 수용하는 스티어링 휠의 일측면을 덮는 에어백 커버에는 테어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에어백 커버가 테어라인을 따라 절단된다. 에어백 커버가 테어라인을 따라 절단되고, 테어라인이 끝나는 에어백 커버의 단부 부분에는 에어백 커버가 회동되어 스티어링 휠의 일측면을 개방하도록 힌지가 구비된다. 그러나, 힌지부의 면적이 좁아 응력이 집중되면서 완전히 찢어져 에어백 커버가 힌지부로부터 이탈되어 사용자에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커버부가 이탈되어 승객이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는 에어백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에어백 커버장치는: 제1테어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제1테어라인을 따라 절단가능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제2테어라인이 형성되며, 절단되어 회동되는 상기 커버부에 의해 일부분이 상기 제2테어라인을 따라 절단되어 회전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테어라인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는 제1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1힌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테어라인이 형성되며, 일부분이 상기 제2테어라인을 따라 절단되어 상기 커버부와 함께 회전되는 아우터 하우징부; 및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와 연결되는 인너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테어라인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상기 제2테어라인은 상기 제1테어라인의 단부와의 동일선 상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테어라인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는, 상기 인너 하우징부와 연결되는 아우터 베이스하우징부;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인너 하우징부와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의 회동시 회전되는 아우터 회동하우징부; 및 상기 아우터 베이스하우징부와 상기 아우터 회동하우징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2테어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 하우징부는,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아우터 회동하우징부와 연결되는 제2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 및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인너 본체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는 아우터 하우징부에 형성된 제2테어라인을 따라 아우터 하우징부의 일부분 즉, 아우터 회동하우징부이 절단되어 커버부와 함께 회전됨으로써, 힌지의 영역이 넓어져 제1힌지부의 응력집중으로 커버부가 제1힌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승객이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테어라인이 아우터 하우징부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됨은 물론, 제1테어라인의 단부와의 동일선 상에 각각 배치되므로, 커버부가 제1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제2테어라인이 용이하게 절단되어 힌지의 영역이 넓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의 커버부가 절단되는 것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의 커버부가 절단되는 것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1)는 커버부(100), 하우징부(200) 및 제1힌지부(300)를 포함한다.
커버부(100)는 제1테어라인(130)이 형성되며 제1테어라인(130)을 따라 절단가능하다. 커버부(100)는 스티어링 휠(1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11)를 덮는다.
구체적으로, 스티어링 휠(10)의 중앙에는 개구부(11)와 연결되는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되고, 공간부에 에어백 쿠션(미도시)이 접철되거나 패키징되어 수납되며, 후술된 하우징부(200)가 결합된다. 하우징부(200)와 연결된 커버부(100)는 스티어링 휠(10)의 개구부(11)를 덮는다. 커버부(100)의 외측면에는 엠블럼(140)이 형성된다. 커버부(100)는 내측면에는 제1테어라인(130)이 형성되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될 때 제1테어라인(130)을 따라 절단되어 복수개로 나누어진다.
커버부(100)는 커버베이스(110), 커버본체(120) 및 제1테어라인(130)을 포함한다. 커버베이스(110)는 후술된 하우징부(200)와 연결된다. 커버본체(120)는 스티어링 휠(10)의 개구부(11)를 덮는다. 제1테어라인(130)은 커버베이스(110) 및 커버본체(120)와, 이웃한 커버본체(120) 사이에 형성된다(도 4 참조). 커버본체(120)는 에어백 쿠션이 전개될 때 제1테어라인(130)을 따라 절단되어 복수개로 나누어지고, 커버베이스(110)로부터 분리되어 후술된 제1힌지부(30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하우징부(200)는 커버부(100)의 테두리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제2테어라인(213)이 형성되며, 절단되어 회동되는 커버부(100)에 의해 일부분이 제2테어라인(213)을 따라 절단되어 회전된다. 하우징부(200)는 스티어링 휠(10)의 공간부에 배치되어 스티어링 휠(10)과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8과 같이, 하우징부(200)의 아우터 하우징부(210)의 내측면에는 제2테어라인(213)이 형성되므로, 커버부(100)가 제1테어라인(130)을 따라 절단되어 후술된 제1힌지부(30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커버부(100)의 회전력에 의해 제2테어라인(213)을 따라 아우터 하우징부(210)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회전된다. 이로 인해, 힌지의 영역이 넓어짐에 따라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제1힌지부(300)는 제1테어라인(130)의 단부(131) 사이에 위치하고, 커버부(100) 및 하우징부(200)를 연결된다(도 4, 도 5 참조). 즉, 커버부(100)는 제1테어라인(130)을 따라 절단되면, 제1힌지부(300)의 중심으로 회전된다.
하우징부(200)는 아우터 하우징부(210)와 인너 하우징부(220)를 포함한다. 아우터 하우징부(210)는 제1힌지부(300)와 연결되고, 제2테어라인(213)이 형성되며, 일부분이 제2테어라인(213)을 따라 절단되어 커버부(100)의 회동에 함께 회전된다. 제1테어라인(130)을 따라 커버부(100)가 절단되어 회동되면, 제2테어라인(213)을 따라 아우터 하우징부(210) 중 제2테어라인(213) 사이에 위치된 아우터 하우징부(210)의 일부분 즉, 아우터 회동하우징부(212)가 각각 커버부(100)와 함께 회전된다.
인너 하우징부(220)는 아우터 하우징부(2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스티어링 휠(10)과 결합된다. 인너 하우징부(220)는 커버부(100), 제1힌지부(300) 및 아우터 하우징부(21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테어라인(130)과 제2테어라인(213)을 따라 절단되는 커버부(100)와 아우터 하우징부(210)의 아우터 회동하우징부(212)는 인너 하우징부(220)의 제2힌지부(221) 및 제1힌지부(30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우터 하우징부(210)에 제2테어라인(213)이 형성되므로, 제1테어라인(130)을 따라 커버부(100)가 절단되어 회동되면, 제2테어라인(213)을 따라 아우터 하우징부(210)의 일부분 즉, 아우터 회동하우징부(212)가 절단되어 커버부(100)와 함께 회전되고, 인너 하우징부(220)의 일부분 즉, 제2힌지부(221)가 제1힌지부(300)와 함께 힌지 역할을 하게 되어 힌지의 영역이 넓어짐에 따라 제1힌지부(300)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제1힌지부(300)가 찢어져 커버부(100)가 제1힌지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승객이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제2테어라인(213)은 아우터 하우징부(210)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테어라인(213)은 제1테어라인(130)의 단부(131)와의 동일선(L) 상에 각각 배치된다. 제2테어라인(213)은 아우터 하우징부(21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도 4, 도 5와 같이, 제2테어라인(213)은 복수개로 아우터 하우징부(210)의 내측면에 배치되되, 아우터 하우징부(21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도 3 기준) 길게 배치되며, 제1테어라인(130)의 단부(131)와의 동일선(L) 상에 각각 위치된다. 이로 인해, 커버부(100)가 제1힌지부(30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제2테어라인(213)이 용이하게 절단되어 힌지의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부(210)는 아우터 베이스하우징부(211), 아우터 회동하우징부(212) 및 제2테어라인(213)을 포함한다. 아우터 베이스하우징부(211)는 인너 하우징부(220)와 연결된다. 아우터 회동하우징부(212)는 제1힌지부(300) 및 인너 하우징부(220)와 연결되며, 커버부(100)의 회동시 회전된다. 제2테어라인(213)은 아우터 베이스하우징부(211)와 아우터 회동하우징부(212) 사이에 형성된다(도 6, 도 7 참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될 때 커버부(100)는 제1테어라인(130)을 따라 절단되어 복수개로 나누어지고, 제1힌지부(300)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커버부(100)가 제1힌지부(30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 아우터 회동하우징부(212)는 제2테어라인(213)을 따라 절단되어 아우터 베이스하우징부(211)로부터 분리되어 커버부(100)와 함께 회동된다.
인너 하우징부(220)는 제2힌지부(221)와 인너 본체하우징부(222)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힌지부(221)는 제1힌지부(300) 및 아우터 회동하우징부(212)와 연결된다. 제1테어라인(130) 및 제2테어라인(213)이 절단되면, 커버부(100) 및 아우터 회동하우징부(212)는 제1힌지부(300) 및 제2힌지부(221)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즉, 제2힌지부(221)가 제1힌지부(300)와 함께 힌지역할을 하므로, 힌지의 영역이 넓어져 종래와 달리 제1힌지부(300)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아 커버부(100)가 찢어져 제1힌지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힌지의 영역이 넓어져 응력이 분산됨으로써, 커버부(100)가 제1힌지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인너 본체하우징부(222)는 제2힌지부(221) 및 커버부(100)와 연결되며, 아우터 하우징부(21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인너 본체하우징부(222)는 원통 형상으로 커버부(100)의 테두리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아우터 하우징부(2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스티어링 휠(10)과 결합된다. 인너 본체하우징부(222)는 제1힌지부(300)와 아우터 하우징부(210)를 연결하는 제2힌지부(221)와 연결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장치(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면, 커버부(100)는 제1테어라인(130)을 따라 절단되어 복수개로 나누어진다. 복수개로 나누어진 커버부(100)는 제1힌지부(30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커버부(100)가 제1힌지부(30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 아우터 하우징부(210)의 아우터 회동하우징부(212)가 제2테어라인(213)을 따라 절단되어 회전되면서 커버부(100) 및 아우터 회동하우징부(212)가 인너 하우징부(220)의 제2힌지부(221) 및 제1힌지부(300)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 결과, 힌지의 영역이 넓어져 제1힌지부(300)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커버부(100)가 이탈되어 승객이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에어백 커버장치 10 : 스티어링 휠
11 : 개구부 100 : 커버부
110 : 커버베이스 120 : 커버본체
130 : 제1테어라인 131 : 단부
140 : 엠블럼 200 : 하우징부
210 : 아우터 하우징부 211 : 아우터 베이스하우징부
212 : 아우터 회동하우징부 213 : 제2테어라인
220 : 인너 하우징부 221 : 제2힌지부
222 : 인너 본체하우징부 300 : 제1힌지부

Claims (8)

  1. 제1테어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제1테어라인을 따라 절단가능한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제2테어라인이 형성되며, 절단되어 회동되는 상기 커버부에 의해 일부분이 상기 제2테어라인을 따라 절단되어 회전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제1테어라인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는 제1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1힌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테어라인이 형성되며, 일부분이 상기 제2테어라인을 따라 절단되어 상기 커버부와 함께 회전되는 아우터 하우징부; 및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와 연결되는 인너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테어라인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에어백 커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테어라인은 상기 제1테어라인의 단부와의 동일선 상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테어라인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는,
    상기 인너 하우징부와 연결되는 아우터 베이스하우징부;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인너 하우징부와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의 회동시 회전되는 아우터 회동하우징부; 및
    상기 아우터 베이스하우징부와 상기 아우터 회동하우징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2테어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부는,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아우터 회동하우징부와 연결되는 제2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 및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며,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인너 본체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장치.
KR1020190059994A 2019-05-22 2019-05-22 에어백 커버장치 KR10265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94A KR102659563B1 (ko) 2019-05-22 2019-05-22 에어백 커버장치
US16/880,612 US11420585B2 (en) 2019-05-22 2020-05-21 Cover device of air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94A KR102659563B1 (ko) 2019-05-22 2019-05-22 에어백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484A KR20200134484A (ko) 2020-12-02
KR102659563B1 true KR102659563B1 (ko) 2024-04-22

Family

ID=7345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994A KR102659563B1 (ko) 2019-05-22 2019-05-22 에어백 커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20585B2 (ko)
KR (1) KR102659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4681B2 (en) * 2019-09-17 2023-10-24 Autoliv Development Ab Driver seat airbag device
US11511698B1 (en) * 2021-06-07 2022-11-29 Autoliv Asp, Inc. Emblemed airbag cover tear sea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8818A1 (en) 2002-03-20 2003-09-25 Schneider David W. Airbag cover with multi-axis deployment
US20080036184A1 (en) * 2006-08-09 2008-02-14 Nihon Plast Co., Ltd. Airbag module cover
US20150123384A1 (en) 2013-11-01 2015-05-07 Hyundai Mobis Co., Ltd. Airba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0460A (en) * 1996-11-22 1998-03-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cover
DE202004008624U1 (de) * 2004-06-01 2004-10-14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Gassackmodul
US9694780B1 (en) * 2016-03-17 2017-07-04 Autoliv Asp, Inc. Airbag cover with breakaway-resistant featu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8818A1 (en) 2002-03-20 2003-09-25 Schneider David W. Airbag cover with multi-axis deployment
US20080036184A1 (en) * 2006-08-09 2008-02-14 Nihon Plast Co., Ltd. Airbag module cover
US20150123384A1 (en) 2013-11-01 2015-05-07 Hyundai Mobis Co., Ltd. Airba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484A (ko) 2020-12-02
US20200369234A1 (en) 2020-11-26
US11420585B2 (en)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74677A1 (en) Airbag,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sewing lid member of airbag
JP4848141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020084634A1 (en) Airbag module for steering wheels
US20100201105A1 (en) Airbag cover and airbag apparatus
US7213837B2 (en) Airbag module
EP2650178B1 (en) Knee airbag with clamshell housing
US6332628B1 (en) Side-impact airbag assembly
US7380815B2 (en) Lower side piller passenger inflatable safety restraint assembly
KR102659563B1 (ko) 에어백 커버장치
KR20210125080A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JP4432699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938327B1 (ko) 무릎 에어백
KR102505743B1 (ko) 에어백 장치
US20200180539A1 (en) Vehicle sea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8602447B2 (en) Airbag device
JP2000503276A (ja) 自動車の乗員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
KR102614108B1 (ko)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KR100579452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2482088B1 (ko) 에어백 쿠션
KR100196187B1 (ko) 조수석 에어백의 도어 장치
KR100564356B1 (ko) 조수석 에어백의 쿠션
KR100564357B1 (ko) 조수석 에어백의 쿠션
KR101406608B1 (ko) 차량 글로브박스의 무릎에어백
KR100747886B1 (ko) 리어필라트림에 설치되는 회전커버의 이격방지 구조
EP3235692B1 (en) Driver airbag and steering wheel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