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651Y1 - 자동차용 흡음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흡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651Y1
KR200415651Y1 KR2020060002954U KR20060002954U KR200415651Y1 KR 200415651 Y1 KR200415651 Y1 KR 200415651Y1 KR 2020060002954 U KR2020060002954 U KR 2020060002954U KR 20060002954 U KR20060002954 U KR 20060002954U KR 200415651 Y1 KR200415651 Y1 KR 200415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material
sound absorbing
vehicle
sou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경
Original Assignee
윤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경 filed Critical 윤수경
Priority to KR2020060002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6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6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자동차에 설치되는 흡음재로서, 상기 흡음재의 원단을 차량종류 및 설치부분에 맞게 재단 및 피어싱하여 제조한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종류 및 설치부위 별로 정확한 치수로 성형된 흡음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공수를 줄임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음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자동차용 흡음재

Description

자동차용 흡음재{Sound absorbing material of vehicl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성형되어 자동차의 앞 도어에 설치되는 흡음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성형되어 자동차의 뒤 도어에 설치되는 흡음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성형되어 자동차 본넷의 내측에 설치하기 위해 성형된 흡음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성형되어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에 설치하기 위해 성형된 흡음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성형되어 자동차의 엔진 커버에 설치하기 위해 성형된 흡음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성형되어 자동차의 카울 전면에 설치하기 위해 성형된 흡음재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음재 12 : 관통부
14 : 요홈부
본 고안은 자동차용 흡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도어, 본넷, 테일 게이트, 트렁크, 엔진커버, 카울 전면 등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여가시간의 증가와 국민소득의 증대로 인해 자동차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에는 각 가정마다 1대씩 보유할 정도로 자동차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이 자동차를 이용하는 시간이 크게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은 자동차를 선택할 때 배기량이나 주행성능보다 승차감이나 정숙주행성능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자동차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많은 연구 인력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자동차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레진펠트, 우레탄 폼, PET펠트, 재활용 섬유펠트 등의 흡음재 또는 차음재를 자동차의 보디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흡음재는 자동차의 앞뒤 도어, 본넷, 테일 게이트, 트렁크, 엔진커버, 카울 전면 등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도어의 경우에는 철판으로 제조되는 도어프레임(door frame)과 도어프레임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자동차 실내공간의 내벽면 을 이루는 도어트림(door trim)의 사이에 흡음재가 설치된다.
그런데, 도어프레임과 도어트림은 결합나사나 끼움돌기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양자의 사이에는 윈도우 개폐장치, 충돌시 탑승자 보호를 위한 임팩트빔, 측면 에어백 등이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프레임과 도어트림의 사이에 흡음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흡음재를 설치 면적에 맞게 소정 크기로 재단하는 공정이외에도 나사 결합부위나 각 장치의 고정부위에 관통부를 형성하는 피어싱 공정을 거쳐야 한다.
그런데 현재까지는 이러한 재단 및 피어싱 공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고 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작업으로 재단 및 피어싱 공정을 수행하다보면 공정 치수가 정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정을 진행할 때마다 치수가 약간씩 달라지기 때문에 흡음성능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종류 및 설치부위에 따라 미리 정확한 형태로 흡음재를 성형해 둠으로써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흡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자동차에 설치되는 흡음재로서, 상기 흡음재의 원단을 차량종류 및 설치부분에 맞게 재단 및 피어싱하여 제조한 흡음재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소정 재질의 흡음재를 자동차의 설치면적이나 위치에 따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재단하고 성형하는 종래의 방식을 피하기 위하여 성형기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종류별 또는 설치 위치별로 정확한 치수와 피어싱 위치를 가지는 흡음재를 미리 성형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최근 출시된 SUV차량의 앞뒤 도어에 각각 설치되는 흡음재(10)를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흡음재(10)는 소정의 윤곽을 가지는 한편 여러 가지 모양의 관통부(12)가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요홈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12)는 도어프레임이나 도어트림의 결합나사 또는 도어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의 고정부분에 대응되며, 상기 요홈부(14) 역시 도어프레임이나 도어트림의 결합부위에 해당한다. 흡음재(10)의 전체 윤곽은 자동차의 종류 및 설치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흡음재(10)가 이와 같이 소정의 윤곽을 가지도록 재단하는 한편 소정 위치에 관통부를 가지도록 피어싱하기 위해서는 프레스기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레스기기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원자재를 놓고 가압 성형하기 때문에 흡음재(10)의 재단과 피어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 작업과는 달리 전 제품이 동일한 치수로 가공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흡음재(10)를 설치하는 면이 굴곡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흡음재(10)도 이에 대응하는 굴곡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성형프레스를 이용하면 이러한 굴곡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흡음재(1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와 마찬가지로 레진펠트, 우레탄 폼, PET펠트, 재활용 섬유펠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흡음재(10)는 자동차의 앞뒤 도어뿐만 아니라 본넷의 내측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 3과 같은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SUV차량의 경우에는 테일 게이트에도 흡음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 경우에는 도 4와 같은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고, 또한 도 5 및 도 6과 같은 형상으로 가공하여 자동차의 엔진 커버와 카울 전면에 부착시킬 수 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형 내지 수정된 실시가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종류 및 설치부위 별로 정확한 치수로 성형된 흡음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공수를 줄임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음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과 도어트림 사이에 설치되는 흡음재로서, 상기 도어프레임과 도어트림의 결합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한편,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
KR2020060002954U 2006-02-02 2006-02-02 자동차용 흡음재 KR200415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954U KR200415651Y1 (ko) 2006-02-02 2006-02-02 자동차용 흡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954U KR200415651Y1 (ko) 2006-02-02 2006-02-02 자동차용 흡음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998A Division KR20070079384A (ko) 2006-02-02 2006-02-02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651Y1 true KR200415651Y1 (ko) 2006-05-04

Family

ID=4176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954U KR200415651Y1 (ko) 2006-02-02 2006-02-02 자동차용 흡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6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463B1 (ko) 2008-07-25 2010-10-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커버 보호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463B1 (ko) 2008-07-25 2010-10-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커버 보호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828B2 (en) Splash shield for automobile having vertical walls and shielding member therefor
KR100857631B1 (ko) 차량용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WO2006097230A2 (de) Blasgeformtes türinnenelement
KR200415651Y1 (ko) 자동차용 흡음재
KR20140032775A (ko) 선 루프 차량의 상부 차체 구조
US6183034B1 (en) Molded unitary front cap for a motor home
KR20070079384A (ko)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US8882175B2 (en) Vehicle, a door assembly for the vehicle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door assembly
JP4737530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KR101463916B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선루프 개구부 스크랩을 이용한 소프트 시트백커버 제조방법
KR20220046361A (ko) 자동차용 흡음재 그 제조와 차량종류 및 설치부분에 맞게 재단 및 피어싱 제조방법
JP4795750B2 (ja) キャブへのフロントガード取付構造
JP2017210048A (ja) 自動車ドア用グラスラン
JPH106770A (ja) ドアトリム構造及びドアトリム構造体の成形方法
JP2006290113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2003002130A (ja) シール機能を持った内装材
CN205632343U (zh) 一种汽车前罩前密封条总成
KR20200101569A (ko) 차량용 도어
KR100943085B1 (ko) 차량용 외장 몰딩
CN206598708U (zh) 全景天窗顶棚冲击吸收结构
KR0183313B1 (ko) 자동차의 도어 아웃터패널 성형방법
JP5598768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2013212813A (ja) ドアシール構造
JPH07215148A (ja) 自動車の車室における乗員の保護構造
KR20110043927A (ko) 자동차의 내장재용 인테리어패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