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058A - 목재화병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목재화병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058A
KR20100011058A KR1020080072106A KR20080072106A KR20100011058A KR 20100011058 A KR20100011058 A KR 20100011058A KR 1020080072106 A KR1020080072106 A KR 1020080072106A KR 20080072106 A KR20080072106 A KR 20080072106A KR 20100011058 A KR20100011058 A KR 20100011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wood
vase
smal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3562B1 (ko
Inventor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서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석 filed Critical 서인석
Priority to KR102008007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5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화병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재화병을 이루는 소부재(20)의 분할 수, 단면형태, 크기를 설정하되, 전기 고주파 성형틀(40)의 성형면(41)을 대략 'S'자 형태의 곡률로 가공한 상기 전기 고주파 성형틀(40)의 성형면(41) 사이에 구비된 합판을 개재하는 한편, 상기 합판을 고열로 압축하여 이를 정형화하는 합판성형단계(S10)와,
상기 정형화된 합판을 설정된 목재화병의 높이에 맞추어 목재화병의 측벽을 이루는데 사용되는 합판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재단하는 합판전처리단계(S20)와,
목재화병의 입구부(13) 마감처리를 위해 상단부가 매끄럽게 가공된 길이재의 원목을 구비하되, 상기 원목의 하단부를 합판의 상단면에 접착하여 상기 원목의 마감부재(30)와 상기 재단된 합판을 일체화시키는 마감부재설치단계(S30)와,
상기 목재화병의 분할각도로 축경사기(50)의 절단톱(51)을 경사지게 셋팅한 후 상기 마감부재(30)가 부착된 합판을 상기 축경사기(50)에 안착하여 상기 합판을 설정된 폭 만큼 연속적으로 재단하여 양측면에 접속면(21)을 갖는 다수의 소부재(20)를 확보하도록 하는 소부재가공단계(S40)와,
상기 마감부재(30)가 고정된 소부재(20)들의 접속면(21)에 접착제를 도포하되, 상기 소부재(20)와 인접한 소부재(20)의 접속면(21)을 연속적으로 밀착시켜 목재화병 본체(10)가 평면상 다각형을 이루도록 하는 본체구축단계(S50)와,
상기 구축된 본체(10)의 둘레에 밴드(70)를 탄력 설치하여 본체(10)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접착제로서 소부재(20)들을 완전 고착시키는 본체고형화단계(S60)와,
상기 고형화된 본체(10)의 밑면을 수평상으로 커팅하되, 상기 커팅면에 원목으로 가공된 받침대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좌대설치단계(S70)와,
상기 본체(10)의 표면에 각종 문양을 조각이나 상감처리한 뒤 상기 본체(10)의 모서리부위를 포함한 표면 전체를 샌드페이퍼로 매끈하게 연마하는 본체표면처리단계(S80)와,
상기 연마처리된 본체(10)의 표면에 도색을 실시하는 도장작업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72106
목재화병, 다각형구조, 전기 고주파 성형틀

Description

목재화병 제작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wooden flower vase}
본 발명은 소정의 곡률로 고주파 성형된 합판을 이용하여 설정된 목재화병의 형태에 따라 가공된 다수의 소부재를 상호 접착하여 평면상 삼각 이상의 다양한 형태를 갖는 다각형 목재화병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인테리어를 위해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조화나 생화 등을 꽂아두기 위해 비치하게 되는 화병으로는 유리재로 제작되는 유리화병이나 질흙으로 빚어서 높은 온도에서 구워낸 도자기화병, 그리고 나무의 질감을 살려 특유의 자연미와 따스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 목재화병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 유리화병이나 도자기화병의 경우 곡선미를 살려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나 상기 목재화병의 경우 목선반을 이용하여 직경을 달리하고 있는 본체의 입구부와 네크부, 그리고 몸통부 각 부분을 일일이 가공해야만 한다.
또한 본체의 내측에 조화나 생화을 꽂아두기 위해 입구부로부터 몸통부의 안쪽까지 공간부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목재화병 본체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가공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울 뿐 아니라 가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목재의 특성상 기후나 습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완성 후 뒤틀림은 물론 본체의 일부분이 터지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소정의 곡률로 고주파 성형된 합판을 이용하여 설정된 목재화병의 형태에 따라 가공된 다수의 소부재를 상호 접착하여 평면상 삼각 이상의 다양한 형태를 갖는 다각형 목재화병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목재화병을 이루는 소부재의 분할 수, 단면형태, 크기를 설정하되, 전기 고주파 성형틀의 성형면을 대략 'S'자 형태의 곡률로 가공한 상기 전기 고주파 성형틀의 성형면 사이에 구비된 합판을 개재하는 한편, 상기 합판을 고열로 압축하여 이를 정형화하는 합판성형단계와,
상기 정형화된 합판을 설정된 목재화병의 높이에 맞추어 목재화병의 측벽을 이루는데 사용되는 합판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재단하는 합판전처리단계와,
목재화병의 입구부 마감처리를 위해 상단부가 매끄럽게 가공된 길이재의 원목을 구비하되, 상기 원목의 하단부를 합판의 상단면에 접착하여 상기 원목의 마감부재와 상기 재단된 합판을 일체화시키는 마감부재설치단계와,
상기 목재화병의 분할각도로 축경사기의 절단톱을 경사지게 셋팅한 후 상기 마감부재가 부착된 합판을 상기 축경사기에 안착하여 상기 합판을 설정된 폭 만큼 연속적으로 재단하여 양측면에 접속면을 갖는 다수의 소부재를 확보하도록 하는 소부재가공단계와,
상기 마감부재가 고정된 소부재들의 접속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되, 상기 소부 재와 인접한 소부재의 접속면을 연속적으로 밀착시켜 목재화병 본체가 평면상 다각형을 이루도록 하는 본체구축단계와,
상기 구축된 본체의 둘레에 밴드를 탄력 설치하여 본체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접착제로서 소부재들을 완전 고착시키는 본체고형화단계와,
상기 고형화된 본체의 밑면을 수평상으로 커팅하되, 상기 커팅면에 원목으로 가공된 받침대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좌대설치단계와,
상기 본체의 표면에 각종 문양을 조각이나 상감처리한 뒤 상기 본체의 모서리부위를 포함한 표면 전체를 샌드페이퍼로 매끈하게 연마하는 본체표면처리단계와,
상기 연마처리된 본체의 표면에 도색을 실시하는 도장작업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일련의 목재화병 제작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소정의 곡률로 고주파 성형된 합판을 이용하여 설정된 목재화병의 형태에 따라 가공된 다수의 소부재를 상호 접착하는 방법을 통해 일반 원통형 목재화병과는 구조적으로 상이한 평면상 삼각 이상의 여러 가지 형태를 갖는 다각형 목재화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목재화병을 종래와 같이 목선반으로 일일이 성형하지 않더라도 가공된 소부재들의 간단한 접착에 의해 목재화병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작업생산성 향상은 물론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또한 목재화병 본체가 합판으로서 제작됨에 따라 가볍고 견고하며, 특히 본 체의 입구부로부터 몸통부의 안쪽까지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완성 후 뒤틀림은 물론 본체의 일부분이 터지거나 갈라지는 현상 등을 배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목재화병 제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화병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 가능한 목재화병의 평면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P는 합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목재화병을 이루는 소부재(20)의 분할 수, 단면형태, 크기를 설정하되, 전기 고주파 성형틀(40)의 성형면(41)을 대략 'S'자 형태의 곡률로 가공한 상기 전기 고주파 성형틀(40)의 성형면(41) 사이에 구비된 합판을 개재하는 한편, 상기 합판을 고열로 압축하여 이를 정형화하는 합판성형단계(S10)와,
상기 정형화된 합판을 설정된 목재화병의 높이에 맞추어 목재화병의 측벽을 이루는데 사용되는 합판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재단하는 합판전처리단계(S20)와,
목재화병의 입구부(13) 마감처리를 위해 상단부가 매끄럽게 가공된 길이재의 원목을 구비하되, 상기 원목의 하단부를 합판의 상단면에 접착하여 상기 원목의 마감부재(30)와 상기 재단된 합판을 일체화시키는 마감부재설치단계(S30)와,
상기 목재화병의 분할각도로 축경사기(50)의 절단톱(51)을 경사지게 셋팅한 후 상기 마감부재(30)가 부착된 합판을 상기 축경사기(50)에 안착하여 상기 합판을 설정된 폭 만큼 연속적으로 재단하여 양측면에 접속면(21)을 갖는 다수의 소부재(20)를 확보하도록 하는 소부재가공단계(S40)와,
상기 마감부재(30)가 고정된 소부재(20)들의 접속면(21)에 접착제를 도포하되, 상기 소부재(20)와 인접한 소부재(20)의 접속면(21)을 연속적으로 밀착시켜 목재화병 본체(10)가 평면상 다각형을 이루도록 하는 본체구축단계(S50)와,
상기 구축된 본체(10)의 둘레에 밴드(70)를 탄력 설치하여 본체(10)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접착제로서 소부재(20)들을 완전 고착시키는 본체고형화단계(S60)와,
상기 고형화된 본체(10)의 밑면을 수평상으로 커팅하되, 상기 커팅면에 원목으로 가공된 받침대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좌대설치단계(S70)와,
상기 본체(10)의 표면에 각종 문양을 조각이나 상감처리한 뒤 상기 본체(10)의 모서리부위를 포함한 표면 전체를 샌드페이퍼로 매끈하게 연마하는 본체표면처리단계(S80)와,
상기 연마처리된 본체(10)의 표면에 도색을 실시하는 도장작업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화병 제작방법은 크게 합판성형단계(S10)와, 합판전처리단계(S20)와, 마감부재설치단계(S30)와, 소부재가공단계(S40)와, 본체구축단계(S60)와, 본체고형화단계(70)와, 좌대설치단계(S80)와, 본체표면처리단계(S90) 와, 도장작업단계(S1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합판성형단계(S10)는 목재화병을 이루는 소부재(20)의 분할 수, 단면형태, 크기를 설정하되, 전기 고주파 성형틀(40)의 성형면(41)을 대략 'S'자 형태의 곡률로 가공한 상기 전기 고주파 성형틀(40)의 성형면(41) 사이에 구비된 합판을 개재하는 한편, 상기 합판을 고열로 압축하여 이를 정형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합판은 그 두께가 6∼10㎜로서, 이러한 두께를 갖는 합판이 정형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목재화병의 제작에 가장 적합하다.
상기 합판의 두께가 6㎜이하일 경우에는 소부재(20)의 접속면(21) 면적이 작아지게 되므로 접착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10㎜이상일 경우 소부재(20)의 접착력을 더욱 긴밀히 할 수 있으나 목재화병의 무게가 무거워지게 되며 제품의 원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화병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화병을 평면상 삼각 이상의 다양한 다각형의 형태로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전에 제작될 목재화병의 형태를 선정한 후 평면상 목재화병의 전체적인 형태가 결정되면 360ㅀ/소부재(20)의 수를 통해 얻도록 하되, 이 때 소부재(20)의 접속면(21) 경사각도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소부재(20)의 접속면(21) 경사각도가 파악되면 목재화병의 단면형태를 설정하게 되는 바, 이는 소정의 곡률로 성형되는 합판이 소부재(20)로 절단된 후 목재화병에서 부분적으로 입구부(13), 네크부(12), 몸통부(11)를 동시에 담당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목재화병의 높이, 입구부(13)의 폭, 네크부(12)의 폭, 몸통부(11)의 폭을 고려하여 제작될 목재화병의 전체적인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목재화병의 가공조건이 설정되면 전기 고주파 성형틀(40)의 성형면(41)을 상기 결정된 단면 형태로 가공하게 되며, 상기 가공된 전기 고주파 성형틀(40)의 성형면(41) 사이에 구비된 합판을 개재하여 상기 합판을 고열로 압축시켜 이를 정형화 하게 되는 것이며,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목재화병도 일반 원통형 목재화병과 같이 외방으로 확개된 입구부(13)와 잘록한 네크부(12), 그리고 볼륨감있는 몸통부(11)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 고주파 성형틀(40)의 성형면(41)도 대략 'S'자 형태의 곡률을 갖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판전처리단계(S20)는 상기 합판성형단계(S10)에 의해 소정의 곡률로 정형화된 합판을 목재화병의 높이에 맞추어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커팅기로 재단하게 되는 공정을 말하며 상기 재단작업이 완료되면 목재화병의 입구부(13) 마감처리를 위해 상단부가 매끄럽게 가공된 길이재의 원목, 즉 마감부재(30)의 하단부를 합판의 상단면에 접착하여 상기 원목의 마감부재(30)와 상기 재단된 합판을 일체화시키게 된다.
상기 마감부재(30)는 목재화병의 입구부(13) 형태에 따라 외방으로 확개된 구조, 합판의 두께를 유지하면서 둥글게 마무리되는 구조, 선단부가 내측으로 모이는 구조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마감부재(30)를 합판에 별도로 접착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면, 목재화병 완성후 여러겹의 판재로 이루어진 합판의 커팅부위가 노출되지 않 도록 이를 커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장작업 후 외관상 목재화병 일체가 원목으로 제작된 듯한 질감을 갖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부재가공단계(S40)는 목재화병의 분할각도로 축경사기(50)의 절단톱(51)을 경사지게 셋팅한 후 상기 마감부재(30)가 부착된 합판을 상기 축경사기(50)에 안착하되, 상기 합판을 설정된 폭 만큼 연속적으로 재단하여 양측면에 접속면(21)을 갖는 다수의 소부재(20)를 확보하도록 하는 공정이며, 상기 소부재(20)는 커팅후 평면상 등변사다리꼴을 유지해야만 접합시 인접한 다른 소부재(20)들과 정확하게 접합될 수 있다.
만약, 상기와 같이 마감부재(30)를 합판에 미리 접착한 후 접속면(21)을 동시에 가공하지 아니하고 마감부재(20)와 합판을 각각 별도로 가공한 후 이들을 접착하게 되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마감부재(20)와 가공된 합판의 접속면(21)을 일치시키기가 매우 까다로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구축단계(S50)는 상기 마감부재(30)가 고정된 소부재(20)들의 접속면(21)에 접착제를 도포하되, 상기 소부재(20)와 인접한 소부재(20)의 접속면(21)을 연속적으로 밀착시켜 목재화병 본체(10)가 평면상 다각형을 이루도록 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소부재(20)들의 연결로 인해 비로소 목재화병의 외형이 갖추어 지게 되는 것이며 소부재(20)의 접속면(21)에 도포된 접착제가 굳기 이전에 소부재(20)의 접속면(21)을 정확히 일치시켜 목재화병의 형태로 신속히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구축단계(S50)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소부재(20)의 접착을 보 다 신속히 할 수 있도록 상기 소부재(20)들을 지지할 수 있는 지그 등을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고형화단계(S60)는 상기 구축된 본체(10)의 둘레에 밴드(70)를 탄력 설치하여 본체(10)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접착제로서 각 소부재(20)들을 견고하게 완전 고착시키게 되는 공정이며, 상기 밴드(70)는 소부재(20)의 유동 방지를 위해 본체(10)의 네크부(12)와 몸통부(11) 정도에 설치하면 되고 소부재(20) 고착 후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불필요하게 많은 수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좌대설치단계(S70)는 상기 고형화된 본체(10)의 밑면을 수평상으로 커팅하되, 상기 커팅면에 원목으로 가공된 받침대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공정이며, 상기 좌대(60)는 목재화병이 안정되게 입설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 좌대(60)를 적용하지 아니하고 목재화병의 바닥면을 메워주는 방식으로도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목재화병의 제작이 완료되면 마지막으로 본체(10)의 표면에 각종 문양을 조각이나 상감처리한 뒤 상기 본체(10)의 모서리부위를 포함한 표면 전체를 샌드페이퍼로 매끈하게 연마하는 본체표면처리단계(S80)를 실시한 다음 상기 연마처리된 본체(10)의 표면에 도색을 실시하는 도장작업단계(S90)를 거쳐 일반 원통형 목재화병과는 구조적으로 상이한 평면상 삼각 이상의 여러 가지 형태를 갖는 다각형 목재화병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화병 제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화병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 가능한 목재화병의 평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몸통부
12 : 네크부 13 : 입구부
20 : 소부재 21 : 접속면
30 : 마감부재 40 : 전기 고주파 성형틀
41 : 성형면 50 : 축경사기
51 : 절단톱 60 : 밴드
70 : 좌대

Claims (2)

  1. 목재화병을 이루는 소부재(20)의 분할 수, 단면형태, 크기를 설정하되, 전기 고주파 성형틀(40)의 성형면(41)을 대략 'S'자 형태의 곡률로 가공한 상기 전기 고주파 성형틀(40)의 성형면(41) 사이에 구비된 합판을 개재하는 한편, 상기 합판을 고열로 압축하여 이를 정형화하는 합판성형단계(S10)와,
    상기 정형화된 합판을 설정된 목재화병의 높이에 맞추어 목재화병의 측벽을 이루는데 사용되는 합판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재단하는 합판전처리단계(S20)와,
    목재화병의 입구부(13) 마감처리를 위해 상단부가 매끄럽게 가공된 길이재의 원목을 구비하되, 상기 원목의 하단부를 합판의 상단면에 접착하여 상기 원목의 마감부재(30)와 상기 재단된 합판을 일체화시키는 마감부재설치단계(S30)와,
    상기 목재화병의 분할각도로 축경사기(50)의 절단톱(51)을 경사지게 셋팅한 후 상기 마감부재(30)가 부착된 합판을 상기 축경사기(50)에 안착하여 상기 합판을 설정된 폭 만큼 연속적으로 재단하여 양측면에 접속면(21)을 갖는 다수의 소부재(20)를 확보하도록 하는 소부재가공단계(S40)와,
    상기 마감부재(30)가 고정된 소부재(20)들의 접속면(21)에 접착제를 도포하되, 상기 소부재(20)와 인접한 소부재(20)의 접속면(21)을 연속적으로 밀착시켜 목재화병 본체(10)가 평면상 다각형을 이루도록 하는 본체구축단계(S50)와,
    상기 구축된 본체(10)의 둘레에 밴드(70)를 탄력 설치하여 본체(10)의 형태 를 유지함과 동시에 접착제로서 소부재(20)들을 완전 고착시키는 본체고형화단계(S60)와,
    상기 고형화된 본체(10)의 밑면을 수평상으로 커팅하되, 상기 커팅면에 원목으로 가공된 받침대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좌대설치단계(S70)와,
    상기 본체(10)의 표면에 각종 문양을 조각이나 상감처리한 뒤 상기 본체(10)의 모서리부위를 포함한 표면 전체를 샌드페이퍼로 매끈하게 연마하는 본체표면처리단계(S80)와,
    상기 연마처리된 본체(10)의 표면에 도색을 실시하는 도장작업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화병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판성형단계(S10)에서 소부재(20)의 분할 수는 제작될 목재화병의 형태를 선정한 후 평면상 목재화병의 전체적인 형태가 결정되면 360ㅀ/소부재(20)의 수를 통해 얻도록 하되, 소부재(20)의 단면형태는 목재화병의 높이, 입구부(13)의 폭, 네크부(12)의 폭, 몸통부(11)의 폭을 고려하여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화병 제작방법.
KR1020080072106A 2008-07-24 2008-07-24 목재화병 제작방법 KR101023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106A KR101023562B1 (ko) 2008-07-24 2008-07-24 목재화병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106A KR101023562B1 (ko) 2008-07-24 2008-07-24 목재화병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058A true KR20100011058A (ko) 2010-02-03
KR101023562B1 KR101023562B1 (ko) 2011-03-21

Family

ID=4208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106A KR101023562B1 (ko) 2008-07-24 2008-07-24 목재화병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8269A (zh) * 2014-05-15 2014-07-30 南通纺织职业技术学院 一种无骨架可折叠布艺花瓶的制作方法
CN106923582A (zh) * 2017-03-29 2017-07-07 陈顶凯 一种pvc花瓶的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983A (ja) 1997-12-15 1999-06-29 Richell Corp 植木鉢
JPH11225582A (ja) 1998-02-13 1999-08-24 Nakamura Seisakusho:Kk 木製プランター
JP2004166662A (ja) 2002-11-22 2004-06-17 Iris Ohyama Inc 木製プランター
JP2007202414A (ja) 2006-01-31 2007-08-16 Kichinosuke Nagashio 間伐材を利用した苗鉢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8269A (zh) * 2014-05-15 2014-07-30 南通纺织职业技术学院 一种无骨架可折叠布艺花瓶的制作方法
CN106923582A (zh) * 2017-03-29 2017-07-07 陈顶凯 一种pvc花瓶的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562B1 (ko) 201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1558B2 (en) Counter top mold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00011058A (ko) 목재화병 제작방법
CN109403577A (zh) 一种用于木质装饰板上的墙板连接型材及墙板安装结构
CN202122045U (zh) 多连式元宝模具
KR102503889B1 (ko) 나무무늬 거푸집 제조 방법
KR100973780B1 (ko) 콘크리트 건축 부재의 성형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KR100991914B1 (ko) 4다리 소파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326138B1 (ko) 고전한옥의 공포(控包)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 및 그 금형에 의한 공포성형 방법
CN207461501U (zh) 一种仿真罗汉松制造装置
KR101165713B1 (ko) 2차원적 자동화 안경테 제조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KR200387350Y1 (ko) 화환용 장식
KR100464533B1 (ko) 테두리 마감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가구 및 그 제조방법
CN1168405C (zh) 一体成型鞋垫的制造方法
US20050035494A1 (en) Three-dimensional molded bla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lade
KR102524789B1 (ko) 조개패 판재를 활용한 공예용 전등 제작방법
CN220329008U (zh) 一种用于指甲贴片闪粉覆盖的uv喷涂卡装治具
KR100473637B1 (ko) 폴리우레탄과 합판으로 이루어진 쟁반 및 그 제조 방법
JP3969267B2 (ja) 防水床パン成形型用の木型の製造方法
KR20180052287A (ko) 천연석 복합블럭 및 이의 제조장치 그리고 천연석 복합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3849B1 (ko) 건축용 크리스탈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73664A (ko) 인조보석의 제조방법 및 판재의 구조
JPH0450859Y2 (ko)
KR101453047B1 (ko) 장식용 인조 보석
KR101810287B1 (ko) 색편제조용 단층형성 도구
CN106003380A (zh) 一种弧边瓷砖、其加工模具及其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