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787A -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 Google Patents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787A
KR20100008787A KR20097024805A KR20097024805A KR20100008787A KR 20100008787 A KR20100008787 A KR 20100008787A KR 20097024805 A KR20097024805 A KR 20097024805A KR 20097024805 A KR20097024805 A KR 20097024805A KR 20100008787 A KR20100008787 A KR 20100008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wer vertical
pipe
drain pipe
peripher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2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3580B1 (ko
Inventor
세이이치로 타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ublication of KR20100008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966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966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991Ground support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이 용이하고 또한 그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은(20) 유입관(20a)이 접속되며 바닥을 구비한 상부 구조물(22)과, 상부 구조물에 상부가 접속되어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저수조(10)에 공급하는 통 형상의 하부 연직 구조물(23)을 구비한다. 하부 연직 구조물의 상단이 상부 구조물의 바닥부(22a)를 관통하여 상부 구조물의 주위부(22b)가 하부 연직 구조물의 상단을 포위하도록 설치되고, 하부 연직 구조물의 상단 주위와 주위부 사이에,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주위 홈(33)이 형성된다. 주위 홈에 도달한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망판(34)이 상부 구조물에 설치된다. 하수관에 타단이 연결된 배수관(36)의 일단이 주위 홈에 연결되고, 조정 밸브(38)가 배수관에 설치된다. 배수관이 연결된 측을 낮게 하여 주위 홈에 있어서의 물이 배수관에 유입되도록 주위 홈의 저면이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유입관 측에서 배수관 측으로 향하는 주위부의 내측의 폭이 감소하도록 주위부의 내면이 만곡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빗물, 불순물 제거, 저수, 주위 홈, 하수

Description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PIT FOR MANAGING DUST REMOVAL}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나 하수도 등에 연결 설치되어, 그 저수조나 하수도 등에 공급되는 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빗물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한 설비로서 지하에 저수조를 매설하여 이 저수조에 빗물을 저장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설비에서는 가옥의 지붕, 옥상 또는 지표에 떨어진 빗물을 통 또는 홈을 이용하여 모으고, 이 모은 물을 유입관으로 유도하고, 이 유입관을 통하여 저수조에 그 물을 공급하여 그 내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설비에는 지상에서 내부에 저장된 물을 빼낼 수 있는 펌프 등의 배수 수단이 설치되어 이 배수 수단에 의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을 빼내어 그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른바 홍수의 발생을 예방하는 설비로서 지하에 저수조를 매설하여 이 저수조에 잉여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그 잉여 빗물이 지표를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설비에서는 지상의 하천을 흐르는 빗물이 소정의 수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 잉여 빗물이 유입관을 통하여 저수조에 일시적으로 저장됨과 동시에, 지하에 매설된 저수조는 그 일시적으로 저장한 빗물 이 주위의 토양에 침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저수조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빗물은 그 후의 맑은 날씨에 저수조 주위의 토양으로 빠져 나와서, 내부에 다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그 후의 강우시에 있어서의 일정량의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항상 준비하여 두게 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설비에 사용되는 저수조로서, 지하에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지하 저수조를 형성해야 할 장소를 파내고, 그 파낸 중앙 가장 밑 부분에 시트를 배치하고, 그 중앙 부분에 모래, 자갈, 으깬 돌, 플라스틱의 성형체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체수재(滯水材)를 쌓아서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시트로서 빗물의 재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빗물이 투과할 수 없는 차수 시트가, 홍수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빗물이 투과할 수 있는 투과 시트가 사용된다. 그 후, 시트의 주위는 세워져서 체수재의 주위를 그 시트에 의하여 포위하고, 체수재의 표면에 시트의 단부를 얹는 것에 의해, 체수재를 그 시트에 의하여 감싸는 것으로 저수조가 형성된다. 이 지하 저수조에서는 모래, 자갈, 으깬 돌이나 플라스틱의 성형체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체수재의 틈새에 물을 저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저수조에는, 가옥의 지붕, 옥상 또는 지표에 떨어진 빗물이나 하천을 흐르는 물이 저장되기 때문에,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즉, 지하에 매설되는 저수조의 내부의 세정은 곤란하며, 가옥의 지붕, 옥상 또는 지표에 떨어진 빗물이나 하천을 흐르는 물속에는 불순물이 비교적 많이 포함된다. 이로 인하여, 저수조에 공급 되는 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을 저수조에 연결하여 구비하고, 저수조에 공급하기 이전에 그 물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저수조의 내부가 불순물로 채워져 버리는 일을 예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서는 유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그 곳에 일시적으로 저장시키고, 그 내부에서 물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침전시켜서, 그 불순물이 제거된 후의 물을 물 공급관을 통하여 저수조에 공급하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WO2006/001139A1(청구항 11, 도 18)
기술적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서는, 유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관리 구조물에 일시적으로 저장시킬 필요가 있기에, 그 관리 구조물 자체가 세로로 길게 되어 그 관리 구조물을 매설하는 깊이가 비교적 깊어지고, 관리 구조물의 내부에서 침전한 불순물이 퇴적된 경우의 제거 작업에도 시간이 걸리는 등, 그 관리가 곤란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을 도로의 사이드에 설치하여 그 도로의 내린 빗물을 하수도로 유도하는 도로용으로 사용하는 일이 검토되고 있어, 도로의 사이드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유입하는 토사나 불순물을 물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하여, 이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 접하는 투수층의 막힘을 방지함과 함께, 하수도 등에 토사나 불순물을 흐르지 않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되는 물에서 토사나 불순물을 분리하여 그 토사나 불순물을 저수조, 침투 구조물, 하수도 등에 흐르지 않게 하는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정이 용이하고 또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단이 지표에 표출하도록 매설되어 유입관(20a)이 접속되며 바닥을 구비한 상부 구조물(22)과, 상부 구조물(22)에 상부가 접속되어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리게 하는 통 형상의 하부 연직 구조물(23)을 구비하고,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이 상부 구조물(22)의 바닥부(22a)를 관통하여 상부 구조물(22)의 주위부(22b)가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을 포위하도록 설치되고, 바닥부(22a)를 관통한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주위와 주위부(22b) 사이에,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되어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에 유입하는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주위 홈(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서는,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주위 홈(33)을 형성했기 때문에, 하부 연직 구조물(23)에 흘러내리는 물에서 고형물로부터 이루어지는 불순물을 그 주위 홈(33)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그 하부 연직 구조물(23)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는 저수조(10)나 하수도 등의 내부가 불순물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이 도 6에 도시된 도로의 사이드의 홈 등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유입하는 토사나 불순물을 물로부터 분리하여, 이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 접하는 투수층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그 주위 홈(33)은 상부 구조물(22)의 바닥부(22a)를 관통한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주위와 상부 구조물(22)의 주위부(22b) 사이에 형성되고, 비교적 얕은 위치에 존재한다. 이로 인하여, 그 주위 홈(33)에 침전한 불순물이 퇴적된 경우, 주위 홈(33) 내의 불순물의 제거는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한편, 하부 연직 구조물(23)은 세로로 길게 되어 매설하는 깊이가 비교적 깊어질 수도 있지만, 주위 홈(33)에 불순물을 침전시킨 물이 하부 연직관(23)의 내부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하부 연직관(23)의 내부에 퇴적하는 불순물의 양은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하고, 하부 연직관(23) 내부의 세정해야 하는 빈도는 감소한다. 이로 인하여, 상부 구조물(22) 및 이 하부 연직관(23)을 포함한 본 발명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의 관리 부담을 종래의 관리 구조물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으로서,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와 주위 홈(33)을 덮고,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되어 주위 홈(33)에 도달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망판(34)이 상부 구조물(22)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서는 망판(34)을 구비하기 때문에,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서 그 망판(34)으로 포획할 수 있는 비교적 큰 불순물을 주위 홈(33)에 도달하는 물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그 후 하부 연직 구조물(23)에 유입하는 물에 포함되는 비교적 대형의 불순물의 양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으로서, 주위 홈(33)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36)이 주위 홈(3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위 홈(33)은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부분이지만, 이 주위 홈(33)의 전체가 고형물로 채워지면 하부 연직 구조물(23)에 유입하는 물에서 그 불순물이 되는 고형물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서는, 배수관(36)을 주위 홈(33)에 연결하기 때문에, 그 배수관(36)을 통하여 주위 홈(33)에 있어서의 물을 그 곳에 침전한 고형물과 함께 주위 홈(33)의 외부에 배출시킬 수 있고, 배수관(36)을 하수관에 접속하면 그 고형물을 물과 함께 하수관에 유입시킬 수도 있다. 이 결과, 주위 홈(33)이 고형물로 채워지는 것 같은 일을 유효하게 예방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으로서, 배수관(36)이 연결된 측을 낮게 하여 주위 홈(33)에 있어서의 물이 배수관(36)에 유입하도록 주위 홈(33)의 바닥면이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으로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입관(20a)과 배수관(36)이 상부 구조물(22)의 주위부(22b)에 있어서의 대향 위치에 각각 접속되고, 유입관(20a) 측으로부터 배수관(36) 측으로 향하는 주위부(22b)의 내측의 폭이 감소하도록 주위부(22b)의 내면이 만곡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 및 청구항 5에 기재된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서는, 주위 홈(33)에 있어서의 물을 그 곳에 침전한 고형물과 함께 배수관(36)에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으므로, 이 주위 홈(33)에 고형물이 정체하는 것 같은 일을 유효하게 예방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으로서, 주위 홈(33)에 연결되어 통하는 침사조(沈砂槽)(37)가 상부 구조물(22)과 함께 병설되고, 배수관(36)이 침사조(37)를 통하여 주위 홈(3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6에 기재된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서는, 배수관(36)을 침사조(37)를 통하여 주위 홈(33)에 연결했기 때문에, 주위 홈(33)에서 침전한 불순물을 구성하는 고형물을 그 주위 홈(33)으로부터 이동시켜 이 침사조(37)에서 침전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불필요한 고형물이 배수관(36)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주위 홈(33)이 고형물로 채워지는 것 같은 일을 비교적 장기에 걸쳐 예방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으로서, 침사조(37)로부터 배수관(36)에 유입하는 수량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밸브(38)가 침사조(37)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7에 기재된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서는, 조정 밸브(38)에 의하여 주위 홈(33)으로부터 배수관(36)에 유입하는 수량을 유입관(20a)으로부터 상부 구조물(22)에 유입하는 수량 이하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그 주위 홈(33)을 거쳐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그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내부에 흘러내리는 물의 양을 증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서는, 바닥부를 관통한 하부 연직 구조물의 상단 주위와 주위부 사이에, 유입관으로부터 공급되어 하부 연직 구조물의 상단 개구부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주위 홈을 형성했기 때문에, 하부 연직 구조물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그 고형물로부터 이루어지는 불순물을 감소시켜, 저수조, 침투 구조물, 하수도 등에 공급되는 물에서 불순물을 높은 확률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그 주위 홈은, 상부 구조물의 바닥부를 관통한 하부 연직 구조물의 상단 주위와 상부 구조물의 주위부 사이에 형성되어 비교적 얕은 위치에 존재한다. 이로 인하여, 그 주위 홈에 침전한 불순물이 퇴적된 경우의 세정은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그 한편, 하부 연직 구조물은 세로로 길게 되어 매설하는 깊이가 비교적 깊어질 수도 있지만, 주위 홈에 불순물을 침전시킨 물이 하부 연직관의 내부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하부 연직관의 내부에 퇴적하는 불순물의 양은 종래보다 감소하여, 하부 연직관 내부의 세정 빈도는 감소한다. 이로 인하여, 상부 구조물 및 이 하부 연직관을 포함한 본 발명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의 관리 부담을 종래의 관리 구조물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연직 구조물의 상단 개구부와 주위 홈을 덮고, 유입관으로부터 공급되어 주위 홈에 도달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망판을 상부 구조물에 구비하면 그 후에 하부 연직 구조물에 흘러내리는 물에 포함되는 비교적 대형의 불순물의 양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배수관을 주위 홈에 연결하면 주위 홈이 고형물로 채워지는 것 같은 일을 유효하게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관이 연결된 측을 낮게 하여 주위 홈에 있어서의 물이 배수관으로 흘러내리도록 주위 홈의 바닥면을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하고, 유입관 측으로부터 배수관 측으로 향하는 상부 구조물의 주위부에 있어서의 내측의 폭이 감소하도록 그 주위부의 내면을 만곡 또는 경사지게 형성하면, 주위 홈에 있어서의 물을 그 곳에 침전한 고형물과 함께 배수관에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으므로, 이 주위 홈에 고형물이 정체하는 것 같은 일을 유효하게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주위 홈에 연결되어 통하는 침사조를 상부 구조물과 같이 병설하여, 침사조를 통하여 배수관을 주위 홈에 연결하면, 주위 홈에서 침전한 불순물을 구성하는 고형물을 그 주위 홈으로부터 이동시켜 이 침사조에서 침전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고형물이 배수관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주위 홈이 고형물로 채워지는 것 같은 일을 비교적 장기에 걸쳐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위 홈으로부터 배수관에 유입하는 수량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밸브를 구비하면, 조정 밸브에 의하여 주위 홈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그 주위 홈을 거쳐 하부 연직 구조물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의 양을 증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하부 연직관의 하단을 저수조에 연결한 다른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침사조를 상부 구조물에 밀착시킨 다른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저수조(貯水槽)
20: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20a: 유입관
22: 상부 구조물
22a: 바닥부
22b: 주위부
23: 하부 연직 구조물
33: 주위 홈
34: 망판(網版)
36: 배수관
37: 침사조(沈砂槽)
38: 조정 밸브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20)은 저수조(10)에 연결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이 저수조(10)는 지하에 매설되는 것으로, 이 저수조(10)는 가옥의 지붕, 옥상 또는 지표에 떨어진 빗물을 내부에 저장하여, 도시하지 않는 배수 수단에 의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을 빼내어 그 물을 재이용하도록 한 것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저수조(10)는, 복수의 체수재(滯水材, 물을 담는 물질)(12)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집합체를 차수 시트(14)에 의하여 피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체수재(12)로서는 금형에 의하여 성형된 플라스틱의 성형체(12)가 이용된다. 이 플라스틱의 성형체로부터 이루어지는 체수재(12)는, 각추(角錐)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종횡(가로 세로)으로 설치된 후, 그 위에 중첩되어 체수재(12)의 집합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체수재(12)를 피복하는 차수 시트(14)는 합성 고무계, 합성 수지계 등의 차수성 시트이며, 그 양면에는 보통 보호용의 부직포가 중첩된다.
이 저수조(10)는, 파낸 곳에 차수 시트(14)를 배치하여, 그 중앙 부분에 체수재(12)를 종횡 및 상하에 설치하여 집합체를 얻은 후, 차수 시트(14)의 주위를 세워서 체수재(12)의 집합체의 주위를 그 차수 시트(14)에 의하여 포위하고, 나아가 체수재(12)의 상면에 차수 시트(14)의 단부를 얹는 것으로, 체수재(12)의 집합체를 그 차수 시트(14)에 의하여 감싸는 것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단일의 차수 시 트(14)에서는 체수재(12)의 집합체를 감싸는 크기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그 차수 시트(14)를 복수장 준비하여 그 단부로 열용착 하여 그것들을 일체화하고, 체수재(12)의 집합체를 감싸기에 충분한 크기를 얻는 것과 함께 그 용착한 부분의 누수를 방지한 차수 시트(14)를 얻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수조(10)에서는 체수재(12)의 틈새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저수조(10)에 연결 설치되는 본 발명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20)은, 상단이 지표에 표출하도록 매설되어 유입관(20a)이 접속되며 바닥을 구비한 상부 구조물(22)과, 상부 구조물(22)에 상부가 접속된 하부 연직 구조물(23)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하부 연직 구조물(23)이 저수조(1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부 구조물(22)에 접속된 유입관(20a)은 가옥의 지붕, 옥상 또는 지표에 낙하하여 모아진 물을 상부 구조물(22)로 유도하는 것이다.
상부 구조물(22)은 바닥부(22a)와 주위부(22b)를 구비한다. 이 주위부(22b)는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을 포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고, 유입관(20a)은 이 주위부(22b)에 접속된다. 주위부(22b) 상단에는 덮개판(24)의 가장자리가 얹혀지는 단부(22c)가 형성되어 그 덮개판(24)의 가장자리를 그 단부(22c)에 얹는 것으로, 상부 구조물(22)의 상단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덮는 덮개(24)가 상부 구조물(22)에 설치된다.
상부 구조물(22)의 바닥부(22a)에는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의 외형에 상응하는 구멍(22d)이 형성되고,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이 이 구멍(22d)에 삽입되어, 그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은 상부 구조물(22)의 바닥부(22a)를 관 통하여 설치된다. 즉,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주위와 주위부(22b) 사이에 주위 홈(33)이 형성되도록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이 상부 구조물(22)의 바닥부(22a)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구조물(22)의 내부로서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주위에 형성된 주위 홈(33)은,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되어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에 유입되는 물을 일단 저장하여, 그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침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주위 홈(33)에는, 타단이 도시되지 않은 하수관에 연결된 배수관(36)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 배수관(36)은 주위 홈(33)에 있어서의 물을도시되지 않은 하수관에 유입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수관(36)은 주위에 복수의 작은 구멍(36a)이 형성된 이른바 유공(有孔)관이 사용된다. 그리고,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이 유공관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배수관(36)은, 주위 홈(33)으로부터 유입한 물을 주위의 지중에 침투시키면서, 남는 물을 도시되지 않은 하수관에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부 구조물(22)에는, 주위 홈(33)에 연결되어 통하는 침사조(37)가 병설된다. 도 1에 있어서의 침사조(37)는, 저부(底部)에 물이 투과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 작은 구멍(37b)이 형성된 덮개(37c)가 구비된 이른바 침투형의 구조물이며, 상부 구조물(22)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부 구조물(22)과 나란히 매설되어 상부 구조물(22)과 침사조(37)는 연결관(37a)에 접속된다. 상부 구조물(22) 내부에 형성된 주위 홈(33)은 이 연결관(37a)을 통하여 침사조(37)에 연결되어 통하고, 이 침사조(37)에 배수관(36)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것에 의하 여, 배수관(36)은 침사조(37)를 통하여 주위 홈(33)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유입관(20a)과 배수관(36)은 상부 구조물(22)의 주위부(22b)에 있어서의 대향 위치에 각각 접속되어, 배수관(36)은 유입관(20a)보다 낮은 위치에 접속된다. 그리고, 배수관(36)이 연결된 측을 낮게 하여 주위 홈(33)에 있어서의 물이 연결관(37a) 및 침사조(37)를 통하여 배수관(36)에 유입하도록 주위 홈(33)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부(22a)의 표면이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입관(20a) 측으로부터 연결관(37a)을 통하여 배수관(36) 측으로 향하는 주위부(22b)의 내측의 폭이 감소하도록 주위부(22b)의 내면이 만곡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2에서는, 배수관(36)이 접속된 주위부(22b)의 양측에 있어서의 각부(角部)가 하부 연직관(2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도 1로 돌아와, 침사조(37)의 배수관(36)이 연결된 측벽에는 그 배수관(36)의 단면적을 증감하여, 주위 홈(33)으로부터 하수관에 유입하는 수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정 밸브(38)가 설치된다. 그리고, 조정 밸브(38)에 의하여 주위 홈(33)으로부터 하수관에 유입하는 수량을 유입관(20a)으로부터 상부 구조물(22)에 유입하는 수량 이하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그 주위 홈(33)을 거쳐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그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내부에 흘러내리는 물의 양을 증감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하부 연직 구조물(23)은 통 형상이며, 그 상부가 상부 구조물(22)에 접속되어 상부 구조물(22)에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주위 홈(33)을 거쳐 그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하부 연직 구조물(23)은, 그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린 물을 저수조(10)에 공급하는 것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그 흘러내리는 물을 이 내부에 저장한 후, 그 저장된 물을 연직관(27) 및 물 공급관(26)을 통하여 그 주위에 존재하는 저수조(1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직관(27) 및 물 공급관(26)은, 각각 단면 원형의 염화 비닐로 만든 압출 성형된 관으로부터 이루어진다. 도 1에는, 물 공급관(26)이 하부 연직 구조물(23)에, 상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두 곳에 각각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내부에 개구한 물 공급관(26)의 단부에 연직관(27)의 상단이 이른바 L자관(28)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저수조(10)에 공급하는 물 공급관(26)에 의하여 그 하부 연직 구조물(23)과 저수조(10)를 연결하게 되지만, 하부 연직 구조물(23)과 저수조(10)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을 흡수시키기 위한 벨로스(26a)가 물 공급관(26)에 설치된다.
한편, 연직관(27)은 하단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저부에 접하여 개구하고,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이 연직관(27)의 하단으로부터 진입하여 상승하여, 그 상단으로부터 물 공급관(26)에 이르러, 그 물 공급관(26)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흘러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주위에 있는 저수조(10)의 내부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즉,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내부에 저장된 물은, 이 연직관(27)을 통하여 저수조(10)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연직관(27)에는 도시하지 않는 역지 밸브가 설치되고, 이 역지 밸브는 하부 연직관(23) 내부의 수위가 저수조(10) 내부의 수위 이상인 때에 하부 연직관(23) 내부로부터 저수조(10)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하부 연직관(23) 내부의 수위가 저수조(10)의 수위 미만인 때에 저수조(10)의 물이 하부 연직관(23) 내부에 흐르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 구조물(22)의 내부에는 덮개(24)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개방된 상단 개구부로부터 망판(34)이 삽입된다. 이 망판(34)은 유입관(20a) 측이 하부가 되도록 경사를 형성하여 상부 구조물(22)의 내부에 설치되고, 경사진 상태에서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와 주위 홈(33)을 덮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망판(34)은,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되어 주위 홈(33)에 도달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망판(34)을 통과한 주위 홈(33)의 물이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20)에서는, 유입관(20a)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부 구조물(22)에 유입하고,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려 그 내부에 저장되고, 그 후 연직관(23) 및 물 공급관(26)을 통하여 저수조(10)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부 구조물(22)의 내부의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주위에 주위 홈(33)을 형성했기 때문에, 이 주위 홈(33)은,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되어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침전시킨다. 이로 인하여,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양은 감소하고, 저수조(10)에 공급되는 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그 내부가 불순물로 채워져 버리는 것 같은 일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와 주위 홈(33)을 덮고,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되어 주위 홈(33)에 도달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망판(34)을 상부 구조물(22)에 설치했기 때문에, 그 망판(34)이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서 포획할 수 있는 비교적 큰 불순물을 주위 홈(33)에 도달하는 물에서 제거한다. 이로 인하여, 그 후 하부 연직 구조물(23)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비교적 대형의 불순물의 양은 감소하여, 저수조(10)에 공급되는 물에서 불순물의 양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주위 홈(33)은,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부분이지만, 이 주위 홈(33)의 전체가 고형물로 채워지면 하부 연직 구조물(23)에 유입되는 물에서 그 불순물이 되는 고형물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러나, 이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에서는, 배수관(36)을 통하여 주위 홈(33)에 있어서의 물을 그 곳에 침전한 고형물과 함께 하수관에 유입시키는 배수관(36)을 구비하기 때문에, 주위 홈(33)이 고형물로 채워지는 것 같은 일을 유효하게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주위 홈(33)에 연결되어 통하는 침사조(37)를 상부 구조물(22)과 같이 병설하고, 배수관(36)을 침사조(37)를 통하여 주위 홈(33)에 연결했기 때문에, 주위 홈(33)에서 침전한 불순물을 구성하는 고형물을 그 주위 홈(33)으로부터 이동시켜 이 침사조(37)에서 침전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불필요한 고형물이 배수관(36) 및 그 배수관(36)을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하수관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주위 홈(33)이 고형물로 채워지는 것 같은 일을 비교적 장기에 걸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배수관(36)이 연결된 측을 낮게 하여 주위 홈(33)에 있어서의 물이 배수관(36)에 유입하도록 주위 홈(33)의 바닥면을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하고, 유입관(20a) 측으로부터 배수관(36) 측으로 향하는 주위부(22b)의 내측의 폭이 감소하도록 주위부(22b)의 내면을 만곡하여 형성했기 때문에, 주위 홈(33)에 있어서의 물을 그 곳에 침전한 고형물과 함께 배수관(36)에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으므로, 이 주위 홈(33)에 고형물이 정체하는 것 같은 일을 유효하게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위 홈(33)으로부터 침사조(37)를 통하여 배수관(36)에 유입하는 수량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밸브(38)를 그 침사조(37)에 구비하기 때문에, 그 조정 밸브(38)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하부 연직 구조물(23)에 유입하여 저수조(1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주위 홈(33)이나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내부에 침전한 토사 등은, 덮개(24)를 상부 구조물(22)로부터 제거하고 그 상단 개구부를 개방시켜, 그 개구부로부터 주위 홈(33)이나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저부를 흡인하는 수단에 의하여 세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큰 불순물을 포획한 망판(34)이라도, 덮개(24)를 상부 구조물(22)로부터 제거하고 개방된 상단 개구부로부터 망판(34)을 제거하는 것으로, 그것들을 세정할 수 있다. 나아가, 침사조(37)에 침전한 고형물 등에 있어서도, 그 덮개(37c)를 제거하고 그 상단을 개방시켜 저부를 흡인하는 것 같은 수단에 의하여 세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망판(34)을 세정하는 것 및 주위 홈(33) 및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저부로부터 침전한 토사 등을 제거하는 것, 및 침사조(37)의 저부로부터 침전한 고형물 등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20)의 관리를 적절히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그 주위 홈(33)은, 상부 구조물(22)의 바닥부(22a)를 관통한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주위와 상부 구조물(22)의 주위부(22b) 사이에 형성되어 비교적 얕은 위치에 존재한다. 이로 인하여, 그 주위 홈(33)에 침전한 불순물이 퇴적된 경우의 세정은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그 한편, 하부 연직 구조물(23)은 세로로 길게 되어 매설하는 깊이가 비교적 깊어질 수도 있지만, 주위 홈(33)에 불순물을 침전시킨 물이 하부 연직관(23)의 내부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하부 연직관(23)의 내부에 퇴적하는 불순물의 양은 종래보다 감소하여, 하부 연직관(23) 내부의 세정 빈도는 감소한다. 이로 인하여, 상부 구조물(22) 및 이 하부 연직관(23)을 포함한 본 발명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의 관리 부담을 종래의 관리 구조물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부 연직 구조물(23)을 저수조(10)의 측부 근처에 구비했지만,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저수조(10)로서 빗물의 재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것을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체수재(12)의 집합체를 빗물이 투과할 수 있는 투과 시트에 의하여 피복하여 저수조를 형성하여, 홍수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저수조로서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배수관(36)이 접속된 주위부(22b)의 양측에 있 어서의 각부(角部)가 하부 연직관(2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에 만곡하여 형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그 각부(角部)에 있어서의 불순물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다면, 주위부(22b)의 내측의 폭이 감소하도록 주위부(22b)의 내면을 경사지게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부 연직 구조물(23)에 저장된 물을 연직관(27) 및 물 공급관(26)을 통하여 저수조(10)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었을 경우를 설명했지만, 물 공급관(26)에서만 하부 연직 구조물(23)을 저수조(10)에 공급하도록 해도 좋고,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 연직관(23)의 하단을 직접 저수조(10)에 연결하여,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그 저수조(10)에 직접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도 3에 있어서의 부호 41은 하부 연직관(23)의 하단에 설치되어 그 하단을 직접 저수조(10)에 연결하는 이른바 엘보 부재이며, 부호 42는 그 엘보 부재(41)와 저수조(10)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 사이의 위치의 변화를 흡수하는 벨로스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침사조(37)를 상부 구조물(22)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설하고, 상부 구조물(22)과 침사조(37)를 연결관(37a)으로 접속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침사조(37)를 상부 구조물(22)에 밀착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침사조(37)를 상부 구조물(22)에 밀착시키면, 이것들을 매설시키기 이전에 일체화시킬 수 있고, 그것들에 형성된 연통공(22e, 37e)을 서로 합치시키도록 하면, 상술한 실시예에서 필요한 연결관(37a) 자체 및 그 접속 작업을 불필요하게 만들 수 있어서, 그러한 매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있어서의 부호 41은 하수관을 나타내고, 배수관(36)의 상방에는 그 배수관(36)과 평행하게 오버플로우관(42)이 설치된다. 도면에 있어서의 배수관(36) 및 오버플로우관(42)은, 주위에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통상의 것이 사용되며, 침사조(37)의 물을 땅속으로 침투시키는 일 없이 하수관 41에 유입시키는 경우를 나타내고, 배수관(36)과 비교하여 큰 직경의 것이 오버플로우관(42)로서 사용된다. 이 오버플로우관(42)은 배수관(36)의 유량이 조정 밸브(38)에 의하여 제한되거나, 또는 배수관(36)의 직경이 부족하여 그 유량이 제한되어 침사조(37)의 수위가 상승한 경우에, 남는 물을 하수관 41에 유입시켜 그 물이 지표에 표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의 연통공(22e, 37e)의 상방의 상부 구조물(22)과 침사조(37)에는 관통공(22f, 37f)이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공(22f, 37f)은 연통공(22e, 37e)을 통하여 주위 홈(33)으로부터 침사조(37)에 흐르는 물의 유량이 제한되었을 경우에, 남는 물을 주위 홈(33)으로부터 침사조(37)에 유입시켜 고형물을 포함한 물이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리는 일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의 침사조(37)에는, 주위 홈(33)으로부터 유입된 고형물 등을 모으는 바스켓(37d)이 내부에 설치된다. 이 바스켓(37d)은, 침사조(37)의 덮개(37c)를 제거하고 그 상단을 개방시켜, 그곳으로부터 바스켓(37d)을 꺼내는 것으로 침사조(37)에 침전한 고형물 등을 침사조(37)로부터 꺼낼 수 있어서 그 세정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주위부(22b)의 내면을 만곡 또는 경사지게 형성하여, 유입관(20a) 측으로부터 배수관(36) 측으로 향하는 주위부(22b)의 내측의 폭을 감소시켰지만,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위부(22b)의 내측의 폭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그 폭을 일정하게 하고, 상부 구조물(22)과 침사조(37)와의 접속을 복수의 곳에서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도 5에서는, 침사조(37)를 상부 구조물(22)에 밀착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그것들에 각각 구멍(22e, 37e)을 두 곳씩 형성하여, 그것들을 서로 합치시켜 두 곳에 있어 상부 구조물(22)과 침사조(37)를 접속시킨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 중에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부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내고,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 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20)은 도로 사이드의 측부 홈에 설치되어 그 도로의 내린 빗물을 하수도로 유도하는 도로용의 것을 나타내고, 상부 구조물(22)에 접속된 유입관(20a)은, 도로에 낙하하여 모아진 물을 상부 구조물(22)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 구조물(22)의 상단 개구부를 개구할 수 있도록 덮는 덮개(24)는 망 형상의 물건이며, 도로에 비가 내려 그 표면을 흐르는 빗물을 상부 구조물(22)의 내부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구조물(22)의 내부에는 망판(34)이 삽입되어 경사진 상태로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와 주위 홈(33)을 덮도록 구성된다.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은 상부 구조물(22)의 구멍(22d)에 삽입되어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주위와 상부 구조물(22)의 주위부(22b) 사이에 주위 홈(33)이 형성되도록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이 상부 구조물(22)의 바닥부(22a)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하부 연직 구조물(23)은 통 형상이며,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주위 홈(33)을 거쳐 그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하부 연직 구조물(23)은, 주위에 복수의 작은 구멍(23a)이 형성되어 그 하단이 개방된 비교적 큰 직경의 유공관으로서, 지중에 매설되는 것에 의해 이 하부 연직 구조물(23)은 주위 홈(33)을 거쳐 그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작은 구멍(23a)이나 하단 개방 단부로부터 주위의 지중에 침투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20)을 구성하는 침사조(37)는 상부 구조물(22)에 밀착하여 설치되어 그것들에 형성된 비교적 큰 구멍(22e, 37e)을 서로 합치시킨 상태로 서로가 밀착하여 설치된다. 침사조(37)에는 주위 홈(33)으로부터 유입된 고형물 등을 모으는 바스켓(37d)이 내부에 설치되어 그 덮개(37c)를 제거하고 그 상단을 개방시켜, 그 상단 개구부로부터 바스켓(37d)을 꺼내는 것으로 침사조(37)에 침전한 고형물 등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침사조(37)에는 타단이 도시되지 않은 하수관에 접속된 배수관(36)의 일단이 연결되고, 그 배수관(36)은 침사조(37)를 통하여 주위 홈(33)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수관(36)은, 주위에 복수의 작은 구멍(36a)이 형성된 유공관이 사용된다. 그리고,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이 유공관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배수관(36)은, 주위 홈(33)으로부터 침사조(37)를 통하여 유입한 물을 주위의 지중에 침투시키면서, 남는 물을 도시되지 않은 하수관에 유입시 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20)에서는, 도로 사이드의 측부 홈에 설치되어 유입관(20a)을 통하여 그 도로의 내린 빗물이 상부 구조물(22)에 유입하여 주위 홈(33)에 도달한다. 또한, 상부 구조물(22)의 상단 개구부로부터는, 도로에 비가 내려 그 표면을 흐르는 빗물이 상부 구조물(22)의 덮개(24)인 망 형상의 물건에 의하여 비교적 큰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로 흘러내려, 주위 홈(33)에 도달한다. 주위 홈(33)에서는, 유입관(20a) 및 상부 구조물(22)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공급된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침전시키고, 그러한 고형물이 제거된 물을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리게 하여 그 주위에 있어서의 작은 구멍(23a)이나 하단 개방 단부로부터 주위의 지중에 침투시킨다. 이 결과, 고형물이 제거된 물을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리게 할 수 있어서,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내부가 불순물로 채워져 버리는 것 같은 일을 예방할 수 있다.
상부 구조물(22)과 같이 병설된 침사조(37)에서는, 주위 홈(33)에서 침전한 불순물을 구성하는 고형물을 그 주위 홈(33)으로부터 이동시켜 이 침사조(37)에서 침전시키고, 불필요한 고형물이 배수관(36) 및 그 배수관(36)을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하수관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주위 홈(33)이 고형물로 채워지는 것 같은 일을 비교적 장기에 걸쳐 예방한다. 이 결과, 유입되는 물에서 토사나 불순물을 분리하여 그러한 토사나 불순물이 하수도에 흐르게 되어버리는 일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주위 홈(33)이나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내부에 침전한 토사 등은, 덮개(24)를 제거하고 그 상단 개구부로부터 그것들의 저부를 흡인하는 것 같은 수단에 의하여 세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큰 불순물을 포획한 덮개(24)나 망판(34)에 있어도, 떼어낸 상태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침사조(37)에 침전한 고형물 등이라도, 그 덮개(37c)를 제거하고 그 상단을 개방시켜 저부를 흡인하는 수단에 의하여 세정할 수 있다. 여기서, 그 주위 홈(33)은 비교적 얕은 위치에 존재하고, 하부 연직 구조물(23)도 비교적 짧은 것도 있으므로, 그 세정은 비교적 용이하다. 이로 인하여, 상부 구조물(22) 및 이 하부 연직관(23)을 포함한 본 발명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의 관리 부담을 종래의 관리 구조물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은, 지하에 매설되어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나 하수도 등에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어서 그 저수조나 하수도 등에 공급되는 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Claims (7)

  1. 상단이 지표에 표출하도록 매설되어 유입관(20a)이 접속되며 바닥을 구비한 상부 구조물(22)과,
    상기 상부 구조물(22)에 상부가 접속되어 상기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단 개구부로부터 흘러내리게 하는 통 형상의 하부 연직 구조물(23)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22)의 바닥부(22a)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22)의 주위부(22b)가 상기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을 포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22a)를 관통한 상기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주위와 상기 주위부(22b) 사이에, 상기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에 유입하는 물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주위 홈(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 연직 구조물(23)의 상단 개구부와 주위 홈(33)을 덮고, 유입관(20a)으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주위 홈(33)에 도달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망판(34)이 상부 구조물(22)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주위 홈(33)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36)이 상기 주위 홈(3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배수관(36)이 연결된 측을 낮게 하여 주위 홈(33)에 있어서의 물이 상기 배수관(36)에 유입하도록 상기 주위 홈(33)의 바닥면이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유입관(20a)과 배수관(36)이 상부 구조물(22)의 주위부(22b)에 있어서의 대향 위치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유입관(20a) 측으로부터 상기 배수관(36) 측으로 향하는 상기 주위부(22b)의 내측의 폭이 감소하도록 상기 주위부(22b)의 내면이 만곡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위 홈(33)에 연결되어 통하는 침사조(37)가 상부 구조물(22)과 함께 병설되고, 배수관(36)이 상기 침사조(37)를 통하여 주위 홈(3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침사조(37)로부터 배수관(36)에 유입하는 수량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밸브(38)가 상기 침사조(37)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KR1020097024805A 2007-05-17 2008-02-06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KR101133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31097 2007-05-17
JP2007131097 2007-05-17
JPJP-P-2007-190638 2007-07-23
JP2007190638 2007-07-23
PCT/JP2008/051938 WO2008142879A1 (ja) 2007-05-17 2008-02-06 除塵管理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87A true KR20100008787A (ko) 2010-01-26
KR101133580B1 KR101133580B1 (ko) 2012-04-05

Family

ID=4003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805A KR101133580B1 (ko) 2007-05-17 2008-02-06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116358A1 (ko)
JP (1) JP4891399B2 (ko)
KR (1) KR101133580B1 (ko)
CN (1) CN101680218B (ko)
AU (1) AU2008252265B2 (ko)
CA (1) CA2683616C (ko)
TW (1) TWI341346B (ko)
WO (1) WO20081428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54894A1 (en) * 2018-05-11 2023-02-23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Drainage body unit, drainage body system and shaft 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0407B2 (ja) * 2009-10-29 2013-11-13 株式会社トーテツ 流入通路の雨水濾過装置
JP5457889B2 (ja) * 2010-03-08 2014-04-02 アロン化成株式会社 雨水排出システムおよび雨水排出システムの施工方法
NL2004892C2 (nl) * 2010-06-15 2011-12-19 B B A Participaties B V Infiltratie- en transportriool.
JP6139127B2 (ja) * 2012-03-28 2017-05-31 晴明 山崎 雨水貯留タンクの水位管理システム
CN102886158A (zh) * 2012-10-23 2013-01-23 山东寿光鲁清石化有限公司 循环水凉水塔水池
JP5990452B2 (ja) * 2012-12-07 2016-09-1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雨水貯留利水システム
JP2015224450A (ja) * 2014-05-27 2015-12-14 株式会社トーテツ 雨水貯留システム
CN109260863A (zh) * 2018-10-15 2019-01-25 杜鑫 一种路面压力感应式喷雾装置
CN110424428B (zh) * 2019-07-30 2021-04-23 瑞洲建设集团有限公司 深基坑综合降排水体系的施工方法
DE102020113718A1 (de) 2020-05-20 2021-11-25 ENREGIS GmbH Reinigungs- und Versickerungsanlage
CN113802678B (zh) * 2021-09-27 2022-08-05 宁波联兴市政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快速渗滤、蓄水绿化带
WO2023180535A1 (en) * 2022-03-24 2023-09-28 Rockwool A/S Storm water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103A (en) * 1897-06-22 Irrigating and draining land
US340694A (en) * 1886-04-27 Sanitary catch-basin
US1173534A (en) * 1915-12-07 1916-02-29 Bartle Ryan Apparatus for irrigating and fertilizing soil.
US1448262A (en) * 1921-03-11 1923-03-13 Mare Thomas De La Device for water distribution
US3693796A (en) * 1969-08-21 1972-09-26 Bernard Miche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particles from suspension
CH613246A5 (ko) * 1975-02-13 1979-09-14 Wilhelm Ernst
US4180348A (en) * 1978-11-22 1979-12-25 Taylor Richard H Subsurfac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
US4501665A (en) * 1984-06-15 1985-02-26 Wilhelmson Thomas J Self-contained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JPS63261025A (ja) * 1987-04-17 1988-10-27 三井建設株式会社 浸透枡
US4997312A (en) * 1988-07-05 1991-03-05 Patrick Regan Water backup preventing system and monitoring system therefor
CA2035753C (en) * 1991-02-06 2001-01-30 John Van Egmond Storm water infiltration
JP3596553B2 (ja) * 1994-07-26 2004-12-02 株式会社トーテツ 流下雨水の分流管
JPH10102573A (ja) * 1996-09-27 1998-04-21 Usui Chiyoriyuu Shinto Gijutsu Kyokai 貯留槽を兼ねる浸透桝
GB9816625D0 (en) * 1998-07-30 1998-09-30 Rogers Colin R Rainwater filters and gullies
JP3104969B2 (ja) * 1998-10-26 2000-10-30 株式会社トーテツ 広域集水型地下貯水槽
US6609852B2 (en) * 2001-01-08 2003-08-26 Brian J. Wimberger Sediment control drain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2490210Y (zh) * 2001-01-17 2002-05-08 罗光志 节水蓄水窖
US6547962B2 (en) * 2001-06-27 2003-04-15 Tec-Kon Enterprises, Llc Stormwater treatment system
CN1463585A (zh) * 2002-06-20 2003-12-31 内蒙古自治区水利科学研究院 集雨集成化成套装置
KR200311992Y1 (ko) * 2003-01-10 2003-05-09 권혁중 개량 오수받이
US6837652B1 (en) * 2003-11-18 2005-01-04 Dura Plastic Products, Inc. Nestable catch basin with integral debris trap
JP4032396B2 (ja) * 2004-10-15 2008-01-16 株式会社エルデック 浸透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US7628911B2 (en) * 2007-09-26 2009-12-08 Thomas William Koenig Rain gutter member
US7993076B2 (en) * 2008-10-08 2011-08-09 Hopf Ken L Bluff penetrating outfall drainag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54894A1 (en) * 2018-05-11 2023-02-23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Drainage body unit, drainage body system and shaft element
US12006676B2 (en) * 2018-05-11 2024-06-11 Aco Ahlmann Se & Co. Kg Drainage body unit, drainage body system and shaft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2879A1 (ja) 2008-11-27
JP4891399B2 (ja) 2012-03-07
TWI341346B (en) 2011-05-01
KR101133580B1 (ko) 2012-04-05
AU2008252265B2 (en) 2010-09-30
CN101680218B (zh) 2011-11-23
CA2683616A1 (en) 2008-11-27
CN101680218A (zh) 2010-03-24
AU2008252265A1 (en) 2008-11-27
US20100116358A1 (en) 2010-05-13
JPWO2008142879A1 (ja) 2010-08-05
CA2683616C (en) 2012-10-23
TW200902802A (en) 200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580B1 (ko)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US20220356691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JP4445168B2 (ja) 雨水浸透システム
CN210917658U (zh) 一种垂直式深层雨水调蓄收集结构
JP4511077B2 (ja) 雨水排水処理システム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101845068B1 (ko) 지중 침투형 빗물받이
KR100728583B1 (ko) 영구배수시스템
CN114032937B (zh) 一种基坑排水装置及其施工方法
CN214460937U (zh) 交通枢纽雨水花园结构
KR100964741B1 (ko)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
JP2006082005A (ja) 濁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濁水処理方法
CN211057828U (zh) 一种土方填挖临时排水结构
CN209837072U (zh) 一种基坑降水系统
KR100772481B1 (ko) 빗물침투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침투 처리방법
CN112854364A (zh) 一种绿地降水处理系统
JP2009074285A (ja) 雨水貯留浸透施設への雨水供給配管構造
JP6393379B1 (ja) 縦型雨水浸透施設
CN113089699A (zh) 反滤围井系统和管涌处理方法
CN207469012U (zh) 一种市政道路施工用路基排水结构
JP2009097151A (ja) 透水構造
JP200813837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JP2008308974A (ja) 貯水槽用除塵管理枡
CN217698218U (zh) 便于除杂的雨、污水同槽分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