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035U -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035U
KR20100007035U KR2020080017431U KR20080017431U KR20100007035U KR 20100007035 U KR20100007035 U KR 20100007035U KR 2020080017431 U KR2020080017431 U KR 2020080017431U KR 20080017431 U KR20080017431 U KR 20080017431U KR 20100007035 U KR20100007035 U KR 201000070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tee
roller
groov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2396Y1 (ko
Inventor
조길연
Original Assignee
조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길연 filed Critical 조길연
Priority to KR2020080017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39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3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Abstract

본 고안은 보다 간단하고, 정교하며 설치시에도 간편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는 티업 장치와 골프공 이송장치를 구비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P2020080017431
골프공, 실내 골프장, 티업핀, 티업장치, 링크바

Description

골프공 자동공급장치{omitted}
본 고안은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고 권리화된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32332호(2006.11.24)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의 티업 장치와 골프공 이송장치를 더욱 개선한 개량 고안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32332호(2006.11.24)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근래에 들어 골프의 대중화로 인해 실내골프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실내골프장에 설치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는 더욱 정교하게 제작되어지고 있으며, 정교한 작동을 위해서는 각종 센서와 모터들이 장착되게 마련이어서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된다.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복잡한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32332호(2006.11.24)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상기 고안은 간단하고, 정밀한 작동을 위해서 티업 장치의 구동을 벨 트 구동방식으로 설정하여 위와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고안에 적용된 티업 장치 및 골프공 이송장치는 이전의 장치들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개선한 구조이지만 소비전력 내지는 설치, 조립의 면에 있어서는 개량될 여지가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간단하고, 정교하며 설치시에도 간편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는 티업 장치와 골프공 이송장치를 구비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판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사판 베이스와, 경사판의 외측을 따라 형성된 수용홈에 골프공이 수용되면 경사판이 회전되고, 경사판 베이스에 안내되어 골프공을 외부로 이탈시키는 골프공 이송장치와, 상기 이탈된 골프공이 안착되어 상승 및 하강하는 티업핀과, 상기 티업핀이 결합되어 일체로 작동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작동을 정교하게 안내하도록 가이드바로 구성된 티업 장치와, 상기 골프공 이송장치 및 티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골프공 이송장치의 경사판 베이스로는 수용홈에 수용된 골프공을 일정한 경사를 이루면서 이탈되도록 하는 가이더가 더 설치된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티업 장치의 블록의 배면으로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롤러의 일단이 삽입되며, 상기 롤러의 타단은 일단으로 롤러이동홈이 형성된 링크바와 상호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바의 타단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롤러이동홈과 타단 사이로 는 회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홈으로는 롤러의 일단이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롤러의 타단은 회전하는 작동바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작동바의 타단은 감속기어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어장치는 모터의 모터축과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바를 회전시키며, 회전하는 작동바는 일단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롤러를 작동시키면 롤러는 일단이 회동홈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링크바를 작동시켜 링크바의 일단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의 작동에 의해서 블록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축으로는 외주면이 요철과 요홈부로 이루어진 서클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서클기어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는 서클기어의 회전을 감지하는 수광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에 의하면, 감속기어와 여기에 결합된 링크 작동에 의해서 간단하고, 정교하게 작동하는 티업 장치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그 설치방식이 간단하여 경제적이고, 오작동의 우려가 없어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된 골프공 이송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티업 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링크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링크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된 티샷 후 티업핀의 작동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된 티샷 후 티업핀의 작동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전 본 고안에 적용된 기본적인 골프공 이송장치의 메카니즘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32332호(2006.11.24)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에 적용되어 있다.
즉,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 이송장치(10)는 경사판(12)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판(1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사판 베이스(14)를 포함하고 있다.
경사판(1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인입된 골프공(100)을 수용홈(12a)에 수용한 후 회전에 의해 경사지게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승된 상태에서 골프공(100)을 외부로 이탈시킨다.
특히, 경사판 베이스(14)로는 수용홈(12a)에 수용된 골프공(100)을 정교하게 안내하여 외부로 이탈시키기 위한 가이더(16)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더 (16)는 수용홈(12a)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골프공(100)을 상향으로 안내한 후 상승된 골프공(100)을 외부로 이탈시킨다.
본 고안에서 경사판(12)을 구동시키는 장치 및 작동과정은 미도시 되었지만 전술한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을 통해 당업자라 하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탈된 골프공(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0)로 안내되고 이러한 안착부(20)는 골프공(100)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상하로 작동하는 스토퍼(22)가 설치되어 티업 장치(30)로 이동되는 골프공(100)을 단속한다.
본 고안에서 스토퍼(22)는 후술하는 티업 장치(30)의 작동에 연동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탄성스프링(22a)이 장착된 스토퍼(22)의 작동에 의해서 안착부(20)에서 해제된 골프공(100)은 티업 장치(30)로 이동한다.
본 고안에 따른 티업 장치(30)는 골프공(100)이 안착되는 티업핀(32)과, 티업핀(32)이 결합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블록(34)과, 블록(34)의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36)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적용된 티업핀(32)은 골프공(100)이 안착되면 상승하여 티샷을 준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블록(34)과 함께 일체로 작동하게 된다.
특히, 티업핀(32)의 중심이고, 블록(34)의 저면으로는 수광센서(38)가 설치되어 골프공(100)이 티업핀(32)에 안착되는 상태를 감지한 후 티업핀(3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감지상태를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티업장치(20)를 작동시키게 되고, 블록(34)은 최하단으로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술한 안착부(20)의 스토퍼(22)를 하강시켜 골프공(100)이 이동한 상태이다.
블록(34)은 상하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정교하게 안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블록(34)으로는 한쌍의 가이드바(36)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바(36)의 안내에 따라 블록(34)은 상하로 작동한다.
다음은 상기 블록(34)을 상하로 작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이를 위한 상기 블록(34)의 일측면, 바람직하게 티업핀(32)과 대응되는 반대방향으로는 가이드홈(34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34a)은 블록(34)의 폭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폭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34a)으로는 롤러(42)의 일측 삽입되어 있으며, 타측은 링크바(40)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링크바(4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링크바(40)의 일단은 롤러(42)의 타측이 삽입되는 롤러이동홈(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롤러이동홈(42a)은 롤러(42)가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42)의 지름보다 0.05mm ∼ 2mm 큰 크기로 이루어지고, 슬롯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이러한 링크바(40)의 타단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위와 같이 타단이 고정된 구조로 인해 일단은 외력이 작용하면 회동하고, 이 회동은 일단에 형성된 롤러이동홈(42a)으로 삽입된 롤러(42)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롤러(42)는 링크바(40)의 회동력에 의해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벡터합 방향으로 이동하며, 벡터합 방향으로 이동되는 롤러(42)는 롤러(42)가 삽입된 가이드홈(34a)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벡터합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블록(34)을 작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34)은 가이드바(36)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하로 작동한다.
한편, 링크바(40)의 일단과 타단 사이로는 전술한 롤러이동홈(42a)과 유사한 회동홈(4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동홈(42b)으로도 롤러(44)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으며, 롤러(44)의 타단은 작동바(46)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다.
작동바(46)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롤러(44)는 작동바(46)의 회전 동심원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작동바(46)를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은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속기어장치(50)가 작동바(46)의 타단과 결합되어 있으며, 감속기어장치(50)는 모터(60)의 모터축(62)과 결합되어 있다.
이때, 모터(60)는 통상 고속회전을 하게 되므로 감속기어장치(50)를 통해 감속되어야만 작동바(46)를 소망하는 속도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감속기어장치(50)는 모터(60)의 모터축(62)으로부터 구동력을 입력받는 입력축(52)과 출력을 발생시키는 출력축(54)은 일정한 높이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출력축(54)은 작동바(46)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다.
즉, 티업핀(32)의 하부, 블록(34)의 저면에 설치된 수광센서(38)의 신호에 의해서 제어부(200)는 모터(60)를 작동시키게 되고, 모터(60)는 감속기어장치(50)를 통해 감속되어 작동바(46)를 회전시키게 된다.
작동바(46)의 일단으로는 롤러(44)가 결합되어 있고, 롤러(44)는 링크바(40) 의 회동홈(42b)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링크바(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작동바(46)의 회전으로 인해,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링크바(40)는 롤러(44)의 회전력을 받게되고 이 회전력은 링크바(40)를 뒤틀리게 할 수 있으나, 롤러(44)는 슬롯홈 형상의 회동홈(42b)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력을 분산시키고, 마찰저항을 최소화시켜 링크바(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작동바(46)의 회전에 따라 롤러(44)는 회동홈(42b)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링크바(40)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블록(34)의 상승 및 하강으로 인해 발생되는 치우침은 전술한 가이드바(36)에 의해서 상쇄되고, 다시 블록(34)은 가이드바(36)에 의해서 정교하게 안내된다.
한편, 위와 같은 모터(60)의 작동으로 인해 상승 및 하강되는 블록(34)은 블록(34)이 상승 및 하강되는 길목에 감지센서(70)를 다수개로 설치하여 그 상승 및 하강 거리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블록(34)의 상승 및 하강 거리, 경사판(12)의 회전속도,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모터(60)의 출력축(54)으로는 서클기어(80)와 이 서클기어(80)의 회전을 감지하는 수광센서(90)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서클기어(80)의 외주면으로는 요철과 요홈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어부(200)는 서클기어(80)의 요철과 요홈의 회전을 감지한 수광센서(90)의 감지신호를 계산하여 모터(60)의 회전수를 계산하고 이 회전수에 따라 블록(34)의 상승 및 하강 거리를 제어하거나 경사판(12)의 회전시키는 미도시된 모터를 제어한다.
다음에는 위와 같은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샷을 한 후 티업핀(32)과 블록(34)은 수광센서(38)의 감지신호에 의해 모터(60) 및 링크바(40)의 작동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골프공 이송장치(10)는 경사판(12)을 회전시키고, 수용홈(12a) 사이에는 골프공(100)이 수용된 후 가이더(16)의 안내를 받으며 정교하게 안착부(20)로 안내된다.
전술한 구성의 설명에서 설명되지 않았지만 안착부(20)에도 감지센서(70)가 설치되어 안착부(20)에 골프공(100)이 안착되었으면 감지센서(70)는 이를 감지하여 경사판(14)의 회전을 정지하게 된다.
다시, 안착부(20)에는 스토퍼(22)가 설치되어 있어 골프공(100)은 잠시 정지하고 있으며, 계속하여 티업핀(32)과 블록(34)이 하강하면서 스토퍼(22)의 하단을 밀게되면 스토퍼(22)는 하강하여 골프공(100)은 티업핀(32)의 상부에 안착된다.
이때, 블록(34)의 하강상태는 감지센서(70)에 의해 감지되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하여, 안착된 골프공(100)은 블록(34)의 저면에 설치된 수광센서(38)를 가리게 되고, 수광센서(38)는 이 상태를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전달된 신호는 모터(60)를 작동시키게 되고, 모터(60)는 링크바(40)와 연동되는 티업핀(32)과 블록(34)을 상승시키게 된다.
블록(34)의 상승은 블록(34)을 상승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0) 또는 모터축(62)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 상승 높이를 제어하게 되며, 일정한 높이로 설정되었으면 모터(60)는 정지하여 티샷을 준비하게 된다.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된 골프공 이송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티업 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링크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링크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된 티샷 후 티업핀의 작동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된 티샷 후 티업핀의 작동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골프공 이송장치 12: 경사판
20: 안착부 30: 티업 장치
40: 링크바 50: 감속기어장치
60: 모터 70: 감지센서
100: 골프공 200: 제어부

Claims (2)

  1. 경사판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사판 베이스와, 경사판의 외측을 따라 형성된 수용홈에 골프공이 수용되면 경사판이 회전되고, 경사판 베이스에 안내되어 골프공을 외부로 이탈시키는 골프공 이송장치와, 상기 이탈된 골프공이 안착되어 상승 및 하강하는 티업핀과, 상기 티업핀이 결합되어 일체로 작동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작동을 정교하게 안내하도록 가이드바로 구성된 티업 장치와, 상기 골프공 이송장치 및 티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골프공 이송장치의 경사판 베이스로는 수용홈에 수용된 골프공을 일정한 경사를 이루면서 이탈되도록 하는 가이더가 더 설치된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티업 장치의 블록의 배면으로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롤러의 일단이 삽입되며,
    상기 롤러의 타단은 일단으로 롤러이동홈이 형성된 링크바와 상호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바의 타단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롤러이동홈과 타단 사이로는 회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홈으로는 롤러의 일단이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롤러의 타단은 회전하는 작동바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작동바의 타단은 감속기어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어장치는 모터 의 모터축과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바를 회전시키며, 회전하는 작동바는 일단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롤러를 작동시키면 롤러는 일단이 회동홈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링크바를 작동시켜 링크바의 일단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의 작동에 의해서 블록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으로는 외주면이 요철과 요홈부로 이루어진 서클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서클기어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는 서클기어의 회전을 감지하는 수광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20080017431U 2008-12-29 2008-12-29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0452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431U KR200452396Y1 (ko) 2008-12-29 2008-12-29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431U KR200452396Y1 (ko) 2008-12-29 2008-12-29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35U true KR20100007035U (ko) 2010-07-08
KR200452396Y1 KR200452396Y1 (ko) 2011-02-22

Family

ID=4424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431U KR200452396Y1 (ko) 2008-12-29 2008-12-29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3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536B1 (ko) * 2016-12-07 2018-07-1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퍽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516B1 (ko) * 2011-07-22 2013-05-20 주식회사 필드로 골프공 오토티업장치
KR101416856B1 (ko) 2012-11-20 2014-07-08 주식회사 새한하이텍 골프공 티업장치
KR200477420Y1 (ko) * 2013-10-02 2015-06-09 주식회사 새한하이텍 골프공 이송 장치
KR101924480B1 (ko) 2018-08-06 2018-12-03 (주)조은정밀 볼 공급기 일체형 오토 티업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5898B2 (ja) * 1992-11-12 1998-12-14 東洋殖産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自動供給装置
US6475857B1 (en) * 2001-06-21 2002-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king a scalable two transistor memory device
KR200296809Y1 (ko) 2002-02-26 2002-12-05 박흥표 골프 연습장치
KR20040004892A (ko) * 2002-07-06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빙 시스템의 테스트 프로브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KR100486019B1 (ko) 2004-10-29 2005-04-29 명성전자 주식회사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200404892Y1 (ko) 2005-10-06 2005-12-29 조길연 골프공 연속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536B1 (ko) * 2016-12-07 2018-07-1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퍽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396Y1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396Y1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101425052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200480032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101924480B1 (ko) 볼 공급기 일체형 오토 티업기
JP2014516753A (ja) ゴルフボール自動供給装置
KR200432332Y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200452395Y1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101377369B1 (ko) 골프공 자동 티업 장치
CN201616133U (zh) 用于自动售票机的硬币找零装置
KR101335022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101180189B1 (ko) 골프연습기
KR200431940Y1 (ko) 골프공 티업장치
KR101252361B1 (ko) 골프연습기
KR101262787B1 (ko) 볼 공급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공급구동장치
KR20100056166A (ko) 골프공 공급장치
JPH09285584A (ja) ゴルフ練習機のティーアップ装置
KR101192933B1 (ko) 직투입 골프연습기
CN219922011U (zh) 一种新型麻将机结构
KR100506155B1 (ko) 골프공 공급 장치
KR102501012B1 (ko) 골프공 피딩 일체형 자동 티업장치
KR101407227B1 (ko) 골프연습기
KR20100008379U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JP3209269U (ja) ゴルフ練習機
KR101317488B1 (ko) 고무티 높이조절장치 및 고무티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한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0451028Y1 (ko) 골프공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