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973A -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973A
KR20100006973A KR1020080067354A KR20080067354A KR20100006973A KR 20100006973 A KR20100006973 A KR 20100006973A KR 1020080067354 A KR1020080067354 A KR 1020080067354A KR 20080067354 A KR20080067354 A KR 20080067354A KR 20100006973 A KR20100006973 A KR 20100006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pipe
rubber member
fixing pie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246B1 (ko
Inventor
나민균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7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2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6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파이프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브라켓 및 부싱을 하나의 몸체로 사출하면서 고무재로 이중 사출하여 브라켓의 원가절감 및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측단에 조립되는 링형의 고무부재와, 상기 고무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파이프 고정 브라켓에 있어서, 연결부에 의하여 단일 몸체로 형성된 고정편 및 부싱과; 상기 고정편 및 부싱의 외부에 이중 사출되어 상기 고정편 및 부싱과 하나의 몸체로 되는 고무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 고정 브라켓을 이중 사출에 의해 하나의 몸체로 제조함으로써 부품수 감소 및 공수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파이프, 브라켓, 부싱, 고무부재

Description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PIPE BRACKET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켓 및 부싱을 일체로 사출하면서 고무재로 이중 사출하여 브라켓의 원가절감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공조장치의 에어컨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2)가 구비된다. 상기한 압축기(2)에는,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4)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응축기(4)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강하시키는 팽창밸브(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6)에 의하여 온도와 압력이 강하된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증발기(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압축기(2)는, 증발기(8)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를 액화되기 쉬운 고온고압의 냉매가스 상태로 압축한다. 그리고 응축기(4)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외기로 열을 전달하며 냉각, 액화한다. 상기 팽창밸브(6)는, 냉매의 증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온도와 압력을 강하시키는 밸브이다. 그리고 상기한 증발기(8)는, 주위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열을 빼앗겨 온도가 낮아 진 공기가 송풍기에 의하여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증발기(8)에서 기화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2)로 보내져서 재순환된다.
여기서, 상기 각 구성요소들은 냉매를 이송하기 위한 냉매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냉매 파이프(P)는, 그 설치 위치에 따라 파이프의 크기 및 재질 등이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냉매 파이프(P)는, 클립 또는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클립(Clip) 또는 브라켓(Bracket)은, 냉매의 유동에 따른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매 파이프(P)를 차체에 고정하는 클립(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22)에 의해 조립되는 파이프(P)의 소정위치에 상기 파이프(P)에 밀착되는 열수축 튜브(24)를 장착하여 고정한다.
차량의 엔진 룸 측에 장착되어 열교환매체 등을 순환시키는 호스 또는 파이프(P)는, 차량의 주행 등에 의해 파이프(P)가 유동되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파이프(P)가 닿지 않을 정도의 유동공간을 두고 클립(20)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이프(P) 자체를 클립(20)을 통해 차량에 고정할 경우, 클립(20)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의 부식이나 리크(Leak)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열수축 튜브(24)를 장착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열수축 튜브(24)는, 제조가 용이한 PVC(Poly Vinyl Chloride)재질로 형성하고, 열을 가하여 수축시킴으로써 파이프(P)에 완전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P)를 다수개 장착하게 될 경우, 클립(20)과 열수축 튜브(24)에 의해 감싸진 파이프(P) 사이에 튜브 고정대(26)를 구비하여 유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튜브 고정대(26)는, 열수축 튜브(24)에 의해 감싸진 파이프(P)를 수납한 후, 오픈된 튜브 고정대(26)를 닫아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호스 또는 파이프 등을 열수축 튜브(24)로 감싸는 고정 방식은,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튜브, 열교환매체 튜브, 부압 튜브, 연료 튜브 등의 장착시 적용될 수 있으나, 열수축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3은 냉매 파이프(P)를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30)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브라켓(30)은, 차체에 부착되도록 절곡 형성된 고정편(32)을 구비한다. 상기한 고정편(32)에는, 체결공(34) 및 조립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34)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차체에 장착된다. 그리고 조립홈(36)은, 아래로 개구되는 "C"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고정편(32)의 조립홈(36)에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부재(38)가 압입된다. 상기한 고무부재(38)에는, 조립홈(36)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끼움홈(40)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무부재(38)의 중심에는 부싱(42)이 압입되도록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끼움홈(40)은, 고정편(32)의 두께에 해당하는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고무부재(38)에는, 부싱(42)이 조립된다. 상기한 부싱(42)은, 일측에 플렌지(44)를 형성하는 고무부재(38)의 구멍(44)에 삽입되는 중공관(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브라켓(30)은, 차체에 파이프를 설치하는 경우, 부싱(42)이나 고무부재(38)가 잦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고정편(32)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브라켓(30)은, 고정편, 고무부재, 부싱 들의 조립에 의해 구성됨에 따라 고무부재 등의 이탈방지를 고려한 설계를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싱을 일체로 형성한 브라켓에 고무부재를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차 사출된 브라켓의 부싱에 고무부재를 2중 사출하여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은,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측단에 조립되는 링형의 고무부재와, 상기 고무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파이프 고정 브라켓에 있어서, 연결부에 의하여 단일 몸체로 형성된 고정편 및 부싱과; 상기 고정편 및 부싱의 외부에 이중 사출되어 상기 고정편 및 부싱과 하나의 몸체로 되는 고무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연결부로 연결되는 부싱 둘레에 이중 사출되는 고무부재가 위치하도록 부싱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싱은, 부싱 플랜지부 일측에 요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는, 고정편 또는 부싱보다 파단강도가 낮은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 고정 브라켓을 이중 사출 제조방법을 통해 하나의 몸체로 형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무부재가 부싱 및 브라켓에 하나로 형성됨에 따라, 운반 및 설치 중 분리될 우려가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 고정 브라켓을 하나로 형성함에 따라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방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무부재와 부싱간의 상대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싱 및 고무부재간의 결합강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3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차체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한 고정편(3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편(32)은, 수지재 및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사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32)에는, 어느 한쪽 면에 부싱홀(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싱홀(50)에는, 사출시 이동하는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결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연결부(52)는, 고정편(32) 또는 부싱(42)보다 파단강도가 낮은 형상을 갖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52)에는, 부싱홀(50)을 관통하도록 사출시 형성되는 부싱(42)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싱(42)에는 일측에 부싱플렌지부(5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중 사출시 고무재료가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브이자형 요입홈(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요입홈(58)은, 고무부재(38)와 부싱(42)간의 상대회전을 방지하여 결합강도를 증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편(32) 및 부싱(42)은, 1차 사출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한 고정편(32) 및 부싱(42)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고무부재(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무부재(38)는, 고정편(32) 및 부싱(42)에 단일 몸체가 되도록 이중 사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무부재(38)는, 부싱(42)의 외주면 및 고정편(32)의 양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쿠션층을 형성한다.
상기한 고무부재(38)에 의하여 형성되는 쿠션층은, 부싱(42)을 통해 파이프 의 진동을 흡수하고 충격을 완충시킨다. 이에 따라 차체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이 감소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1차 사출을 통해 가늘고 긴 연결부(52)로 연결 형성되는 고정편(32) 및 부싱(42)에, 고무부재(38)가 형성되도록 고무재를 이중 사출하여 하나의 파이프 고정 브라켓(30)으로 제조한다.
상기한 1차 사출과 이중 사출을 통해 제조된 파이프 고정 브라켓(30)을 공조장치의 각 부품을 연결하는 파이프들에 미리 조립시켜 둔다.
그리고 나서, 조립 생산 라인에서 파이프에 미리 조립시켜 둔 파이프 고정 브라켓(30)을 차체에 체결수단으로 고정한다.
상기한 파이프 고정 브라켓(30)은, 차량의 시동 및 주행 또는 공조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킨다. 즉, 부싱(42)에 삽입 설치된 파이프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유동이나 외부의 충격이 고정편(32)에 전달되지 않고 고무부재(38)에 의하여 흡수되고 완충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를 고정 설치하는 브라켓의 구성품을 1차 사출 및 이중 사출에 의하여 하나의 몸체로 형성함으로써 소음방지 및 조립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킨 것으로서, 차량의 공조장치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공조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공조장치용 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공조장치용 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파이프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파이프 고정 브라켓의 제조를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고정편 38: 고무부재
42: 부싱(Bushing) 50: 부싱홀
52: 연결부 54: 부싱 플랜지부
58: 요입홈

Claims (4)

  1. 고정편(32)과, 상기 고정편(32)의 일측단에 조립되는 링형의 고무부재(38)와, 상기 고무부재(38)가 삽입 설치되는 부싱(42)을 포함하는 파이프 고정 브라켓에 있어서,
    연결부(52)에 의하여 단일 몸체로 형성된 고정편(32) 및 부싱(42)과;
    상기 고정편(32) 및 부싱(42)의 외부에 이중 사출되어 상기 고정편(54) 및 부싱(42)과 하나의 몸체로 되는 고무부재(38)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32)은, 연결부(52)로 연결되는 부싱(42) 둘레에 이중 사출되는 고무부재(38)가 위치하도록 부싱홀(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42)은, 부싱 플랜지부(54) 일측에 요입홈(5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2)는, 고정편(32) 또는 부싱(42)보다 파단강도가 낮은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KR1020080067354A 2008-07-11 2008-07-11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KR101427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354A KR101427246B1 (ko) 2008-07-11 2008-07-11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354A KR101427246B1 (ko) 2008-07-11 2008-07-11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973A true KR20100006973A (ko) 2010-01-22
KR101427246B1 KR101427246B1 (ko) 2014-08-06

Family

ID=4181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354A KR101427246B1 (ko) 2008-07-11 2008-07-11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2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597A (ko) * 2011-08-23 2013-03-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래킷
KR101279816B1 (ko) * 2011-04-20 2013-06-28 성율기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 브라켓 및 진공펌프
ITTO20130185A1 (it) * 2013-03-08 2014-09-09 Fiat Group Automobiles Spa Dispositivo di collegamento a staffa, particolarmente per il fissaggio di componenti in un vano motore
KR20150020764A (ko) * 2013-08-19 2015-02-2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484Y1 (ko) * 1996-11-27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공기청정기장착용 방진구
KR200307684Y1 (ko) 2002-10-24 2003-03-19 박창영 배수관용 직관 고정캡
KR20060104123A (ko) * 2005-03-29 2006-10-0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파이프의 고정구조
KR20070081239A (ko) * 2006-02-10 2007-08-16 한라공조주식회사 냉매파이프 고정용 클립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16B1 (ko) * 2011-04-20 2013-06-28 성율기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 브라켓 및 진공펌프
KR20130021597A (ko) * 2011-08-23 2013-03-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래킷
ITTO20130185A1 (it) * 2013-03-08 2014-09-09 Fiat Group Automobiles Spa Dispositivo di collegamento a staffa, particolarmente per il fissaggio di componenti in un vano motore
EP2774791A1 (en) * 2013-03-08 2014-09-10 Fiat Group Automobiles S.p.A. Bracket connection device, particularly for fastening components in an engine compartment
KR20150020764A (ko) * 2013-08-19 2015-02-2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압축기의 마운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246B1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3267B2 (en) Integrated heat pump bundled module mounting manifold
US9181950B2 (en) Motor-driven compressor
JP4062325B2 (ja) 異種金属管の接続構造
KR20100006973A (ko) 차량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JP2013513767A (ja) 空調システム用に好適な改善された接続部を備える管
CN113513864A (zh) 用于空调的管道系统
JP2006232257A (ja) 空調ユニット
US20100084860A1 (en) Pipe fitting, particularly for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KR20100087971A (ko) 차량 공조장치의 냉매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CN216407958U (zh) 一种汽车冷却液输送管
CN102563259A (zh) 汽车用密封连接水管
CN211823288U (zh) 毛细管组件及制冷系统
JP2009085373A (ja) 配管継ぎ手構造、および車両用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362202B1 (ko) 자동차용 파이프 고정 장치
JP2006234129A (ja) 樹脂配管の接続端部構造
US11732770B2 (en) Mass damper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246426B1 (ko) 차량용 에어컨 호스 프로텍터
CN214492791U (zh) 车辆的衬套以及车辆
KR20060104123A (ko) 차량 공조장치용 파이프의 고정구조
CN109050199B (zh) 一种新型降噪空调管路总成
JP4023067B2 (ja) パッキン
JP2000055271A (ja) 配管用継手
MXPA02005402A (es) Tubo para transportar un refrigerante en un motor de combustion interna.
JPH08188036A (ja) 自動車の空調装置
WO2020095528A1 (ja) 配管シール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