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354U - 케이블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354U
KR20100005354U KR2020080015265U KR20080015265U KR20100005354U KR 20100005354 U KR20100005354 U KR 20100005354U KR 2020080015265 U KR2020080015265 U KR 2020080015265U KR 20080015265 U KR20080015265 U KR 20080015265U KR 20100005354 U KR20100005354 U KR 201000053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lamp
temporary assembly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9900Y1 (ko
Inventor
이관희
Original Assignee
이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희 filed Critical 이관희
Priority to KR2020080015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90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3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3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9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 및 작업성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 깔끔한 마무리의 클램핑이 제공되도록 한 개선된 구조의 케이블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로 연접되었을 때 케이블의 외형에 대응되는 배치공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일측에는 배치홈이 형성되며, 각각에는 상기 배치공에 대한 수직한 방향의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몸체;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한 쌍의 몸체를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상기 체결공을 통과하여 한 쌍의 몸체가 서로 연접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상기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단부에는 가조립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가조립돌기가 끼움 결합된 가조립홈이 형성되며,상기 가조립홈이 형성된 부위에는 가조립홈과 연통된 압력배출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케이블,클램프,연결부재,일체,가조립돌기,가조립홈,압력배출공

Description

케이블용 클램프{clamp for cable}
본 고안은 케이블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를 구성하는 몸체를 일체로 하여 보관 및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케이블에 대한 깔끔한 클램핑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선된 구조의 케이블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케이블이란 통신 케이블 등과 같이 안테나와 송수신기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전선을 말하는 것으로, 연결되는 기기의 수신 감도를 높이기 위해 기기 종류에 따라 알맞은 특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은 사용 목적과 송수신 감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것이 시판되고 있으며, 케이블을 설치함에 있어서도 송수신 감도는 중요한 고려요소가 된다.
따라서, 케이블은 건물 등 구조물의 벽체에 또는 전신주를 따라 설치할 때, 물리적인 훼손이나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벽체나 전신주 외벽면에 묶어 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때 전주에서 가정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은 케이블의 보호를 위하여 전주상 단에서 클램프에 의해 지지고정된다.
이때, 케이블을 고정하는 예로는 클램프상에 케이블을 지그재그로 꼬아서 고정되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케이블 자체가 지그재그로 꼬여지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따라서 바람직하지 못한 결점이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분리된 한 쌍의 몸체로 이루어진 케이블용 클램프가 제시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클램프용 케이블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클램프용 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개별체로 제공된 한 쌍의 몸체(10)와, 이 한 쌍의 몸체(10)를 결합시키는 볼트(20) 및 너트(30)로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몸체(10)에는 케이블이 배치되기 위한 배치홈(11)이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몸체(10)에는 서로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12) 중, 어느 하나에는 볼트(20)의 헤드부(21)가 수용되기 수용홈(12a)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10) 중, 서로 대향된 면의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에 체결시 체결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13) 및 가이드 홈(14)이 각각 체결공 부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용 클램프의 결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블을 중심으로, 케이블의 양측에 각각 몸체(10)를 결합시킨다.
이때, 케이블은 반반씩 상기 몸체(10)의 배치홈(11)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가이드돌기(13)는 대응된 가이드홈(14)에 삽입된다.
이후, 볼트(20)를 체결공(12)에 통과시킨 후, 너트(30)를 이용하여 볼트(20)의 단부를 체결시킨다.
이로써, 케이블용 클램프의 결합이 완료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케이블용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클램프를 구성하는 몸체(10)가 각각 개별체로 구성됨으로써, 보관시, 몸체(10) 중 어느 하나만을 분실할 경우, 나머지 하나도 사용하기 어렵게 됨에 따라, 클램프를 재구입해야하는 번거로움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복수의 클램프들이 보관된 장소로부터 알맞은 한 쌍의 몸체(10)를 골라 사용해야 하기때문에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항상 한 쌍의 몸체(10)를 들고 서로 체결시키는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작업자가 장갑을 끼고 작업해야 하는 경우, 작업하기가 매우 곤란스러웠다.
둘째, 한 쌍의 몸체(10)가 결합되는 부위 즉, 체결공(12) 및 가이드돌기(13), 가이드홈(14)의 위치가 어는 한 쪽으로만 치우치게 구성됨으로써, 배치홈(10) 측의 몸체(10) 단부가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볼트(20) 체결로 인해 체결력이 한쪽으로만 치우치게 발생됨으로써, 몸체(10) 중, 결합 부위의 반대 측은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케이블에 대한 클램핑이 깔끔하게 마무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 쌍으로 구성된 몸체 중 어느 하나만의 분실을 방지하고, 클램핑이 깔끔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로 연접되었을 때 케이블의 외형에 대응되는 배치공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일측에는 배치홈이 형성되며, 각각에는 상기 배치공에 대한 수직한 방향의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몸체;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한 쌍의 몸체를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상기 체결공을 통과하여 한 쌍의 몸체가 서로 연접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상기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단부에는 가조립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가조립돌기가 끼움 결합된 가조립홈이 형성되며,상기 가조립홈이 형성된 부위에는 가조립홈과 연통된 압력배출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클램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한 쌍의 몸체가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몸체 중, 어느 하나만 분실될 염려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보관이 간편해지며, 보관된 장소로부터 알맞는 한 쌍을 애써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 고정에 대한 작업시,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이 편리해지게 된다.
특히, 클램프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장갑을 착용하더라도 클램 프의 파지가 불편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케이블에 대한 고정시, 클램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부위가 제공됨으로써, 결합으로 인한 압력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게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 고정에 대한 깔끔한 마감이 제공되며, 케이블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가조립돌기 및 가조립홈이 형성됨으로써, 체결수단에 의해 클램프가 체결되기 전, 가조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체결작업이 간편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클램프(이하 '클램프'라 함)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클램프는 몸체(100)와, 체결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클램프의 외관을 구성하며,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1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몸체(100)는 후술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몸체(100)는 설명의 편의상,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로 구분하기로 한다.
상기 제1몸체(110)는 클램프의 외관 일부를 구성하며, 제1몸체(110)의 일측에는 케이블(C)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배치홈(1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배치홈(111)의 형태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배치홈(111)에 케이블(C)의 반이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2몸체(120)에도 상기 제1배치홈(111)에 대응되는 제2배치홈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며, 제2배치홈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에 반원 형태의 제1,2배치홈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서로 연접되었을 때, 상기 제1,2배치홈은 원형의 케이블(C)이 배치될 수 있는 배치공(H)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제1배치홈(111)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111a)가 형성되어 제1몸체(110)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케이블(C)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한다.
그리고, 제1몸체(110)의 중앙에는 체결수단(200)의 볼트가 통과되기 위한 제1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112)은 제1몸체(11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한다.
이때, 제1몸체(1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공(112)과 단차진 형태의 수용홈(112a)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12a)은 볼트가 체결공(112)을 통과한 후, 볼트의 헤드부가 제1몸체(1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수용홈(112a)의 형태는 볼트의 헤드부에 대응되며, 통상 볼트의 헤드부가 육각 형태로 이루어진 바, 상기 수용홈(112a)의 형태도 육각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몸체(110)의 내측면에는 체결공(112)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제1 가이드돌기(113) 및 제1가이드홈(114)이 형성된다.
제1가이드돌기(113) 및 제1가이드홈(114)은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서로 연접되는 과정에서, 상호 간에 연접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가이드돌기(113)는 제1몸체(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가이드홈(114)은 제1몸체(110)의 내측면 상에 소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배치홈(111)이 형성된 제1몸체(110)의 일측 단부에는 복수의 가조립 돌기(115)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가조립 돌기(115)는 체결수단(200)에 의해 몸체(100)가 체결되기 전, 상기 몸체(100)를 가조립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체결수단(200)의 체결이 용이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몸체(120)는 제1몸체(110)와 더불어 클램프를 구성하며, 제1몸체(110)와 대응되게 구성된다.
제2몸체(120)의 일측에는 제1몸체(110)의 제1배치홈(111)에 대응된 반원 형태의 제2배치홈(121)이 형성되고, 이 제2배치홈(121)의 내주면에도 복수의 리브(1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몸체(120)의 중앙에는 제1몸체(110)의 제1체결공(112)에 대응된 제2체결공(122)이 형성된다.
또한, 제2몸체(120)에는 제2체결공(122)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몸체(110)의 제1가이드돌기(113)에 대응된 제2가이드홈(123) 및 제1몸체(110)의 제1가이드 홈(114)에 대응된 제2가이드돌기(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배치홈(121)이 형성된 제2몸체(120)의 일측 단부에는 제1몸체(110)의 가조립 돌기(115)가 삽입되는 가조립홈(125)이 형성된다.
이때, 제2몸체(120)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조립홈(125)에 연통된 압력배출공(126)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배출공(126)은 가조립돌기(115)가 가조립홈(125)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가조립홈(125)의 압력이 배출되도록 하여 상호 간에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체결수단(200)은 볼트(210)와 너트(2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볼트(210)는 육각 형태의 헤드부(211)와 나사부(212)로 이루어진다.
한편, 연결부재(300)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타측에 형성되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서로 일체로 연결시킨다.
이때, 연결부재(300)는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재질 역시 몸체(100)의 재질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부재(300)의 위치는 케이블(C)이 배치되는 제1,2배치홈(111,121)의 반대편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클램프의 결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클램프의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열어 몸체(100)의 내측을 개방시킨다.
이후, 제2배치홈(121)에 케이블(C)을 안착시킨 후, 케이블(C)을 향해 제1몸 체(110)를 덮어 씌운다.
이때, 제1몸체(110)는 연결부재(300)의 휘어짐으로 인해 유연하게 제2몸체(120)에 포개질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 돌기(113)는 제2가이드홈(123)에 삽입되고, 제2가이드돌기(124)는 제1가이드홈(114)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체결공(112)과 제2체결공(122)의 위치는 정확하게 대응된다.
또한, 제1몸체(110)의 가조립돌기(115)는 제2몸체(120)에 형성된 가조립홈(125)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제2몸체(120)에는 가조립홈(125)에 연통된 압력배출공(126)이 형성됨으로써, 가조립 돌기(115)의 끼움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조립홈(125)에 가조립 돌기(115)가 끼움결합됨으로써, 케이블(C)에 대한 클램프의 가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체결수단(200)인 볼트(210)를 제1체결공(112) 및 제2체결공(122)을 통과시키고, 제2체결공(122)을 통해 노출된 볼트(210)의 나사부(212) 단부를 너트(220)를 이용하여 체결시킨다.
이때, 볼트(210)의 헤드부(211)는 제1체결공(112)에 단차지게 형성된 수용홈(112a)에 안착된 상태이다.
이로써, 케이블(C)에 대한 클램프의 클램핑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클램프는 연결부재(300)로 인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보관의 효율성 및 작업성 향상에 대한 효과가 뛰어나다.
게다가, 가조립홈(125)에 가조립돌기(115)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체결수단(200)을 이용한 체결을 편리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체결수단(200)의 체결력의 치우침으로 인해 클램프의 일측이 벌어지거나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C)에 대한 클램핑을 깔끔하게 마무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용 클램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클램프에 케이블이 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클램프에 케이블이 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몸체 110,120 : 제1,2몸체
111,121 : 제1,2배치홈 111a,121a : 제1,2리브
112,122 : 제1,2체결공 113 : 제1가이드돌기
114 : 제1가이드홈 115 : 가조립돌기
123 : 제2가이드홈 124 : 제2가이드돌기
125 : 가조립홈 126 : 압력배출공
200 : 체결수단 210 : 볼트
211 : 헤드부 212 : 나사부
220 : 너트 300 : 연결부재

Claims (1)

  1. 서로 연접되었을 때 케이블의 외형에 대응되는 배치공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일측에는 배치홈이 형성되며, 각각에는 상기 배치공에 대한 수직한 방향의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몸체;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한 쌍의 몸체를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상기 체결공을 통과하여 한 쌍의 몸체가 서로 연접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단부에는 가조립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가조립돌기가 끼움 결합된 가조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조립홈이 형성된 부위에는 가조립홈과 연통된 압력배출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클램프.
KR2020080015265U 2008-11-17 2008-11-17 케이블용 클램프 KR200449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265U KR200449900Y1 (ko) 2008-11-17 2008-11-17 케이블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265U KR200449900Y1 (ko) 2008-11-17 2008-11-17 케이블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54U true KR20100005354U (ko) 2010-05-26
KR200449900Y1 KR200449900Y1 (ko) 2010-08-18

Family

ID=4424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265U KR200449900Y1 (ko) 2008-11-17 2008-11-17 케이블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9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894B1 (ko) * 2019-03-26 2019-12-04 강성래 케이블 터보 클램프
US20220161743A1 (en) * 2019-03-27 2022-05-26 Sumitomo Wiring Systems, Limited Wire harnes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9673A (en) 1999-04-01 2000-06-27 Andrew Corporation Transmission line hanger
JP2001136643A (ja) 1999-11-10 2001-05-18 Misaku Densetsu:Kk ケーブル架設用の留め金具
KR200359979Y1 (ko) 2004-05-20 2004-08-30 이창희 통신케이블용 조가선 클램프
KR200433260Y1 (ko) 2006-09-15 2006-12-08 이관희 급전선 클램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894B1 (ko) * 2019-03-26 2019-12-04 강성래 케이블 터보 클램프
WO2020197118A1 (ko) * 2019-03-26 2020-10-01 강성래 케이블 터보 클램프
US20220161743A1 (en) * 2019-03-27 2022-05-26 Sumitomo Wiring Systems, Limited Wire harness
US11904781B2 (en) * 2019-03-27 2024-02-20 Sumitomo Wiring Systems, Limited Wire harness with body protru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900Y1 (ko)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1409B2 (en) Cable strain relief design for limited space through-hole applications
JP2009240115A (ja) 配線・配管材引出具
JP6280732B2 (ja) ケーブル線の取付部材およびケーブル線の取付方法
KR200449900Y1 (ko) 케이블용 클램프
JP5934595B2 (ja) 電線保護部材
US20110227333A1 (en) End piece for a corrugated hose and parts set containing such an end piece
JP6090141B2 (ja) 固定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
KR101779814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100889841B1 (ko) 로봇 아암의 케이블 지지 유니트
JP2003092820A (ja) ケーブル取付構造
JP4138429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CN205610096U (zh) 软线敷设工具
KR200488389Y1 (ko) 요비선용 전선 결속유닛
KR200443657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JP3685387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KR101006471B1 (ko) 자동차용 클리어런스 클립
KR101032733B1 (ko) 전선연결용 콘넥터
JP5150726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分岐具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分岐方法
JP6083087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端部構造、端部構造製造方法
JP2007181307A (ja) 電線結束具および電線結束方法
KR100607034B1 (ko) 전선보호관의 연결구
KR100613165B1 (ko) 케이블 덕트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덕트
KR20040021973A (ko) 슬리브 커버
KR20027127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JP5342909B2 (ja) ケーブル支持線引留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