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97118A1 - 케이블 터보 클램프 - Google Patents

케이블 터보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97118A1
WO2020197118A1 PCT/KR2020/003035 KR2020003035W WO2020197118A1 WO 2020197118 A1 WO2020197118 A1 WO 2020197118A1 KR 2020003035 W KR2020003035 W KR 2020003035W WO 2020197118 A1 WO2020197118 A1 WO 20201971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ble
flange
partition wall
clamp
turb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30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성래
Original Assignee
강성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래 filed Critical 강성래
Publication of WO20201971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971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8Overhead instal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cable turbo clamp capable of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cable by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cable held by the electric pole to enter the subscriber.
  • the cable clamp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amp that holds in order to install from a pole to a customer. When installing the ca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gging by maintaining the tension on the cable.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98709 “Clamp for supporting an optical drop cable” is disclosed.
  • a ring for fixing to the electric pole is formed, and winding portions are formed in both flanges to wind the cable.
  • Patent Document 1 KR10-0898709 B1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turbo clamp capable of facilitating a cable installation work by stably pressing a cable wound around a cable clamp.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ange formed of a tubular winding port on which a cable is wound, and a first partition wall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winding port; A second flange formed of a coupling hole inserted into the winding hole, a second partition wall formed at an end of the coupling hol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ing hole, and a ring form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fixed to the communication column; And a lever that is axially coupled of the coupler and pressurizes the first flange toward the second flange according to a rotation angle to fix or release the cable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It provides a cable turbo clamp, characterized in that.
  • the second partition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ating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in which the winding hole is partially seated.
  • an elastic tension protrusion is form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flange.
  • the first partition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inward as the radius increases.
  • the second partition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a line inflow groove of a partially cut-out shap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o that the cable is introduced.
  • the lever-type handle generates a compressive force on the first flange with the principle of a lever to pressurize the cable, so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tension force on the cable and prevent sagging when installing the cab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turbo clam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 FIG 3 is a plan view of a second clamp.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in the cable turbo clamp.
  •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release state in a cable turbo clamp.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turbo clamp.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turbo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lange 100, a second flange 200, and a lever 300.
  •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able S is wound between the first flange 100 and the second flange 200 and can be fixed to the cable by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first flange 100 by the lever 300 to be.
  •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 the first flange 100 is a component capable of winding a cable.
  • the first flange 100 is composed of a winding hole 120 and a first partition wall 140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re is a coupling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flange 100 so that the second flange 20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in a slide manner.
  • the winding port 12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is a component that allows a cable to be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winding hole 12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so that the coupling hole is present.
  • first partition wall 140 is formed in a disk shape to exte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take-up port 120 so as to support one side of the cable wound around the take-up port 120 as an inner surface.
  • a locking ring is further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40 to be locked by being coupled to the lever 300.
  • the first partition wall 140 is a portion capable of pressing the cable wound around the take-up por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describing the lever 300.
  • the second flange 200 is a part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flange 100.
  • the second flange 200 becomes a male flange
  • the first flange becomes a female flange and is fitted and coupled in a sliding manner.
  •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flange 200 includes a coupling hole 220, a second partition wall 240 and a ring 260.
  • the coupler 220 is a key that is inserted into the take-up port 120 and has a cylindrical column shape.
  • a shaft groove is formed at an end portion so that the lever 300 can be axially coupled.
  • a guide bar 222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upling hole 220, and the winding hole 120
  • a guide groove 122 accommodating the guide bar is formed inside.
  • the second partition wall 240 is a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cable,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rtition wall 140,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240
  • the coupler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 protruding form. Considering light weight and cost, it can be manufactured by plastic injection.
  • the second partition wall 240 is formed with an annular seating groove 242 for partially seating the winding hole 120 on an inner surface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able).
  • a partially cut-out line inflow groove 244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able) to facilitate entry and winding of the cable.
  • the ring 26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240 to be fixed to the communication column, and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mbined.
  • the second flange 200 is able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flange 100, and the elastic tension protrusion 246 (Fig. 3) in the mounting groove 242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240 Can be formed.
  • the tension protrusion 246 (FIG. 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ake-up hole 120 when the first flange 100 and the second flange 200 are coup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flange 100.
  • the tension protrusion 246 (FIG. 3) is forme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center so that it can play an elastic role.
  • a material having a tension protrusion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installed by inserting it into the seating groove 242.
  • the lever 30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20 with the shaft 320 to fix the first flange 100 and the second flange 200.
  • the lever 300 has a cam-shaped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20 so that the first flange 100 may be pressed or released using a lever principle by rotation.
  •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lever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4-2 below.
  • FIG. 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n the cable turbo clamp
  • FIG. 5 is an operation release state diagram in the cable turbo clamp.
  • a pressing protrusion 340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econd flange that contacts the first partition wall 140 to further increase the pressing force.
  • the first flange may be pressed or released by rotation of the lever 300 to press or release the pressure of the cable C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s 140 and 240. .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turbo clamp.
  •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ly is formed to prevent the cab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side.
  • a spiral anti-overlapping groove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40 according to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able, so that the overlapping of the cable can be prevented.
  • the first flange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first flange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the first flange is concav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like a leaf spring to hold the cable as a whole, so that the cable can be stably fixed. Therefore, it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cable is changed, and it is an invention that facilitates installation work when installing the cable.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technical idea to provide a cable turbo clamp, and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many other Of course, it can be transform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전주에서 가입자측으로 인입하기 위해 잡아주는 케이블에 압축력을 작용시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에 관한 기술이다. 본원발명은 케이블이 권취되는 관형의 권취구와, 상기 권취구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격벽으로 형성되는 제1플랜지; 상기 권취구에 삽입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구에 밀착되는 제2격벽 및 상기 제2격벽에 형성되어 통신주에 고정하는 고리로 구성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결합구의 축 결합되어 회전 각도에 의해 상기 제1플랜지를 상기 제2플랜지측으로 가압 이동되게 하여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 사이에 위치한 상기 케이블을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단속하는 레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터보 클램프
본원발명은 전주에서 가입자측으로 인입하기 위해 잡아주는 케이블에 압축력을 작용시켜 케이블의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케이블 클램프는 전주로부터 수용가로 가설하기 위하여 잡아주는 클램프이다. 케이블 가설시 케이블에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98709호 "광드롭 케이블 지지용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케이블 클램프의 구성을 보면, 전주에 고정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되고 양측 플랜지 내에 권취부가 형성되어 케이블을 권취하게 하는 구조로 구성되고 있다.
종래에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플랜지에서 권취부 측에 홈을 만들어 단순하게 감는 구조이다. 여기서 홈은 케이블의 굵기와 맞아야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력이 약한 단점이 있어왔다. 그리고 케이블이 홈에서 이탈되는 현상도 발생하여 케이블 가설 설치 작업에 어려움이 있어왔다.
또한, 케이블의 선 굵기가 다르면 기존 클램프를 사용할 수 없고, 케이블의 굵기에 맞는 클램프를 다시 만들어야 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어왔다.
(특허문헌 1) KR10-0898709 B1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 클램프에 권취된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가압하여 케이블 가설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케이블 선 굵기가 달라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이 권취되는 관형의 권취구와, 상기 권취구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격벽으로 형성되는 제1플랜지; 상기 권취구에 삽입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구에 밀착되는 제2격벽 및 상기 제2격벽에 형성되어 통신주에 고정하는 고리로 구성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결합구의 축 결합되어 회전 각도에 의해 상기 제1플랜지를 상기 제2플랜지측으로 가압 이동되게 하여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 사이에 위치한 상기 케이블을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단속하는 레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를 제공한다.
상기 제2격벽에는, 내측면에 상기 권취구가 일부분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홈에는, 탄성있는 텐션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플랜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격벽은 반경이 길어질수록 내측으로 하향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격벽에는 내측면에 일부 절개된 형태의 선유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인입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레버형 손잡이에 의해 지렛대 원리로 제1플랜지에 압축력을 발생시켜서 케이블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케이블에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고 케이블 설치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을 측면에서 가압하는 방식으로 하여 케이블을 굵기가 달라져도 케이블 클램프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터보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제2클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에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에서 작동 해제 상태도이다.
도 6은 케이블 터보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터보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명은 크게 제1플랜지(100), 제2플랜지(200) 및 레버(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케이블(S)이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사이로 권취되게 되고, 레버(300)에 의해 제1플랜지(100)에 압축력을 가해 케이블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본원발명의 요지이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먼저, 상기 제1플랜지(100)는 케이블을 권취할 수 있는 부품이다.
상기 제1플랜지(100)는 권취구(120)와, 제1격벽(140)으로 구성되며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플랜지(100)의 중앙에 관통되는 결합홀이 있어 상기 제2플랜지(200)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 가능하다.
상기 권취구(120)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는 케이블이 권취되게 하는 부품이다. 여기서 상기 권취구(120)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의 결합홀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격벽(140)은 상기 권취구(120)의 단부 외주면으로 연장되게 형태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으로 상기 권취구(120)에 감긴 케이블의 일측면을 받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격벽(140)의 단부에는 레버(300)에 결합되어 잠금되게 하는 잠금고리가 더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격벽(140)은 상기 권취구(120)에 감긴 케일블을 가압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는 레버(300) 설명 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플랜지(200)는 상기 제1플랜지(1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제2플랜지(200)는 수형플랜지가 되며, 상기 제1플램지는 암형플랜지가 되어 상호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2플랜지(200)의 구성은 결합구(220)와, 제2격벽(240) 및 고리(2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구(220)는 상기 권취구(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원통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키이다. 그리고 단부에 상기 레버(300)가 축 결합할 수 있도록 축홈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2플랜지(200)와 상기 제1플랜지(100)의 슬라이드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결합구(220)에는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긴 가이드바(222)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구(120)의 내측에는 가이드바를 수용하는 가이드홈(12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권취구(120)에 상기 결합구(220)가 슬라이드 결합되게 되면 회전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어 케이블 권취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제2격벽(240)은 케이블의 타측면을 받칠 수 있는 부분으로 상기 제1격벽(140)에 대응되는 크기로 원형으로 형성되게되고, 상기 제2격벽(240)의 중앙부분에 상기 결합구(220)가 돌출되어 형성된 형태로 일체 형성할 수 있다. 경량과 비용을 고려할때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격벽(240)에는, 내측면(케이블과 닿는 면)에 상기 권취구(120)가 일부분 안착되게 하는 고리형의 안착홈(2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격벽(240)을 보면 내측면(케이블과 닿는 면)에 일부 절개된 형태의 선유입홈(244)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인입과 권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260)는 상기 제2격벽(24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통신주에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별도로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플랜지(200)는 제1플랜지(1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제2격벽(240)의 안착홈(242)에는 탄성있는 텐션돌기(246, 도3)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텐션돌기(246, 도3)는 상기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 결합시 권취구(120)와 밀착되어 상기 제1플랜지(1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텐션돌기(246, 도3)는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별도로 텐션돌기가 있는 재질을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안착홈(242)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300)는 상기 결합구(220)에 축(320) 결합되어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300)는 상기 결합구(220)에 결합되는 부분이 캠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한 지렛대 원리로 상기 제1플랜지(100)를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레버(300)의 작동원리는 아래의 도 5과 4-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에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에서 작동 해제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게 되면, 상기 레버(300)가 상기 제1플랜지의 제1격벽(140)에 대하여 수평방향이 되게 하향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플랜지를 상기 제2플랜지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게 되어 케이블(C)에 대하여 면압이 작용하여 케이블 인출시 마찰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게 되면, 상기 레버(300)가 제1플랜지(100)에 대하여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향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플랜지(100)에 대하여 가압력이 해제되게 되어 케이블(C)의 단속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300)를 보면 제2플랜지의 제1격벽(140)에 닿는 부분에 가압돌기(340)를 형성하여 가압력을 더 높일 수 있다.
즉, 레버(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플랜지를 가압하거나 해제시켜 상기 제1격벽(140)과 제2격벽(240) 사이에 위치한 상기 케이블(C)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6은 케이블 터보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케이블 터보 클램프의 내부 구성을 자세히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격벽(140)은 반경이 길어질수록 내측으로 하향되게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게 하여 케이블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격벽(140)의 내측면에는 케이블의 권취방햐에 따라 나선형의 겹침방지 홈을 연속으로 형성하여 케이블이 권취시 겹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레버의 작동에 의해 제1플랜지를 가압하거나 해제하여 제1플랜지를 판스프링 처럼 바깥에서부터 안쪽으로 오무려서 케이블을 전체적으로 잡아줄 수 있게 되어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의 굵기가 달라져도 적용 가능하며 케이블 설치시 설치 작업이 용이한 발명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 터보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케이블이 권취되고 중앙에 결합홀이 형성된 관형의 권취구와, 상기 권취구의 단부 외주면에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측면을 받치는 제1격벽으로 형성되는 제1플랜지;
    상기 권취구에 삽입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구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블의 타측면을 받치는 제2격벽 및 상기 제2격벽에 형성되어 통신주에 고정하는 고리로 구성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결합구의 축에 결합되고 캠형으로 형성되어 지렛대 원리로 회전 각도에 의해 상기 제1플랜지를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플랜지를 가압시 상기 제2플랜지측으로 가압 이동되게 하여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 사이에 위치한 상기 케이블을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단속하는 레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벽에는,
    내측면에 상기 권취구가 일부분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는,
    탄성있는 텐션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플랜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은,
    반경이 길어질수록 내측으로 하향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벽에는,
    내측면에 일부 절개된 형태의 선유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인입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에는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긴 가이드바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구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바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터보 클램프.
PCT/KR2020/003035 2019-03-26 2020-03-04 케이블 터보 클램프 WO202019711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29A KR102051894B1 (ko) 2019-03-26 2019-03-26 케이블 터보 클램프
KR10-2019-0034029 2019-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7118A1 true WO2020197118A1 (ko) 2020-10-01

Family

ID=6900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3035 WO2020197118A1 (ko) 2019-03-26 2020-03-04 케이블 터보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1894B1 (ko)
WO (1) WO2020197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894B1 (ko) * 2019-03-26 2019-12-04 강성래 케이블 터보 클램프
WO2023058863A1 (en) * 2021-10-07 2023-04-13 Lg Electronics Inc. Mat-type exercise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542A (ja) * 2002-04-19 2003-11-07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引留めクランプ
KR200361584Y1 (ko) * 2004-06-02 2004-09-14 최형국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KR100898709B1 (ko) * 2008-10-23 2009-05-21 주식회사 대영통신 광드롭 케이블 지지용 클램프
KR20100005354U (ko) * 2008-11-17 2010-05-26 이관희 케이블용 클램프
KR20170044297A (ko) * 2015-10-15 2017-04-25 박철웅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KR102051894B1 (ko) * 2019-03-26 2019-12-04 강성래 케이블 터보 클램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542A (ja) * 2002-04-19 2003-11-07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引留めクランプ
KR200361584Y1 (ko) * 2004-06-02 2004-09-14 최형국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KR100898709B1 (ko) * 2008-10-23 2009-05-21 주식회사 대영통신 광드롭 케이블 지지용 클램프
KR20100005354U (ko) * 2008-11-17 2010-05-26 이관희 케이블용 클램프
KR20170044297A (ko) * 2015-10-15 2017-04-25 박철웅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KR102051894B1 (ko) * 2019-03-26 2019-12-04 강성래 케이블 터보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894B1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9250B2 (en) Flexible optical fiber connectors and assemblies
WO2020197118A1 (ko) 케이블 터보 클램프
RU2126545C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возвратно-поступа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US5987203A (en) Distribution module for optical couplings
US8494329B2 (en) Fiber optic module and chassis
US20170184805A1 (en) Fiber optic splitter module
US7393144B2 (en) Hybrid fiber/copper connector system and method
KR100299367B1 (ko) 광섬유접속장치
US8270797B2 (en) Splice holder for communication socket
US6524014B2 (en) Universal modular optical fiber buildout
US8270799B2 (en) Telecommunications cable inlet device
JP2011525695A (ja) 電気通信ケーブル入線装置
US20200310049A1 (en) Mpo microlatch lock connector
US9052468B2 (en) Fiber optic adapter mount
US8290332B2 (en) Optical fiber adapter
US11811211B2 (en) Cable mounting clamps
US6283640B1 (en) Tunable optical fiber buildout
US10871619B2 (en) Cassette assembly for a plural of fiber optic receptacles
RU2277252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екловолоконных соединителей и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WO2014133230A1 (ko) 융착형 광커넥터
CN102933999B (zh) 适配器夹具组件
EP1041414B1 (en) Sleeve holder for optical fiber buildout
WO2016182101A1 (ko) 광커넥터
KR200261539Y1 (ko) 인입부에 슬롯과 여장판이 구비된 광접속함체
WO2012077948A2 (en) Tool-protective case for machan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799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799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1205A DATED 28/04/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799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