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584Y1 -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584Y1
KR200361584Y1 KR20-2004-0015318U KR20040015318U KR200361584Y1 KR 200361584 Y1 KR200361584 Y1 KR 200361584Y1 KR 20040015318 U KR20040015318 U KR 20040015318U KR 200361584 Y1 KR200361584 Y1 KR 200361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ble
hole
crimps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국
Original Assignee
최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국 filed Critical 최형국
Priority to KR20-2004-0015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5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를 홀딩하기 위한 와이어 압착구와, 걸이구를 구비하며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홀딩구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압착구(1000)는 안쪽면이 파형을 갖는 한쌍의 와이어 압착대(1100)와, 상기 와이어 압착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1200)와, 상기 와이어 압착대(110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1120)과 저면 전체에 형성되는 톱니형 걸림턱(11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홀딩구(2000)는 바닥에 탄력돌기(2200,2200a)를 구비하고 양측에 측벽(2110)를 구비하는 몸체(2100)와, 상기 측벽의 안쪽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누름돌기(2111)와, 와이어 압착구(10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유도구(2300)와 가이드(2400)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진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와이어와 전선을 동시에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케이블이 처지거나 휘어짐을 방지하게 되어 데이터의 전송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압착구가 케이블 홀딩구의 전방으로 부터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된 와이어 압착구는 압착구의 저면에 형성된 톱니형 걸림턱과 케이블 홀딩구의 탄력돌기에 의해 후방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이 전주와 전주 사이에서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A cable clamp}
본 고안은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티피 케이블과 같이 와이어(강선)와 케이블이 동시에 형성된 케이블을 현수(懸垂)하기 위한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티피(UTP) 케이블은 전화국의 선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케이블의 상부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선, 즉 전선으로 이루어지되 이들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접착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은 클램프를 사용하여 전주와 전주, 또는 전주와 건물사이에 현수시켜 설치하게 되는데, 종래의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는 와이어와 전선의 접착부를 떼어낸 다음 상기 와이어만을 압착구로 꽉 물어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것이어서 지지받지 못하는 전선은 아래로 처지거나 휘어지는 단점을 갖게되고, 조입나사를 돌려 압착구에 의해 와이어를 고정하는 구조여서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어진다.
또한 설치를 위해서는 와이어와 전선을 분리시켜야 하는데 상기 이격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케이블 자체가 취약하게 되며, 또 미관상으로 좋지못하고, 한번 와이어와 전선으로 분리시킨 케이블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그렇다고 와이어와 전선을 동시에 클램핑하여 현수하는 것은 와이어와 전선의 직경차이로 인한 클램핑의 곤란함도 있지만 전선은 꽉 물어서 클램핑할 경우 데이터전송에 장애가 발생하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2003-0017399호와 같이 "케이블 홀딩구는 몸체와 홀딩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케이블삽입홈을 형성되고 상부에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홀딩부재 삽입홈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홀딩부재는 지지대에 의해 탄성을 갖도록 연결되어지되 안쪽으로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돌기가 형성되고 바깥쪽으로는 경사면이 형성되어지는 압착대로 구성"되어지는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를 선출원한 바 있으나,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를 물고 있는 압착구(10)가 케이블 홀딩구(20)의 후방으로 부터 유입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어서 케이블의 인장에 의해 점차 압착구(10)가 케이블 홀딩구(20)의 전방으로 끌려오면서 케이블이 처지게 되는 단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케이블 클램프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와이어와 전선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와이어를 홀딩하기 위한 와이어 압착구가 케이블 홀딩구의 전방으로 부터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된 와이어 압착구는 압착구의 저면에 형성된 톱니형 걸림턱과 케이블 홀딩구의 탄력돌기에 의해 후방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이 전주와 전주 사이에서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 종래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 - 종래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3 - 본 고안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의 일부를 절개한 분리사시도.
도 4 - 본 고안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의 결합사시도.
도 5 -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 -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 - 본 고안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8 - 도 7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의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10: 와이어 압착구 20: 전선홀딩구
100: 본 고안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1000: 와이어 압착구 1100: 와이어 압착대
1110: 파형(波形) 홈 1120: 이탈 방지턱
1121: 톱니형 걸림턱
2000: 전선 홀딩(holding)구 2100: 몸체
2110: 측벽 2111: 누름돌기
2200,2200a: 탄력돌기 2300: 유도구
2400: 가이드 2500: 걸이구
A: 케이블(Cable) B: 와이어(강선, wire)
C: 전선 D: 전주(電柱)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케이블 클램프(100)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로써, 본 고안은 크게 와이어(B)를 홀딩하기 위한 와이어 압착구(1000)와, 걸이구(2500)를 구비하며 전선(C)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홀딩구(20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 압착구(1000)는 안쪽면이 파형을 갖는 한쌍의 와이어 압착대(1100)와, 상기 와이어 압착대(11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1200)와, 상기 와이어 압착대(110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1120)과 저면 전체에 형성되는 톱니형 걸림턱(112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파형을 갖는 한쌍의 와이어 압착대(1100)와, 상기 와이어 압착대(1100)의 파형은 서로 겹치게 될 경우 파형홈(1110)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파형홈(1110)에 와이어(B)가 압착되면서 견고한 케이블(A)의 홀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연결대(1200)는 압착대(1100)를 연결하기 위한 기능 외에도 와이어(B)가 와이어 압착구(1000)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구성이다.
또한 케이블 홀딩구(2000)의 전방으로 부터 삽입, 즉 끼워져 결합되어지는 와이어 압착구(1000)는 상기 케이블 홀딩구(2000)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 와이어 압착대(1100)의 양측에 이탈방지턱(1120)을 형성하여 와이어 압착구(1000)가 케이블 홀딩구(2000)로 부터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와이어 압착구(1000)는 케이블 홀딩구(2000)에 결합된 상태로 케이블(A)를 팽팽한 상태로 홀딩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와이어 압착구(1000)가 케이블 홀딩구(2000)의 전방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와이어 압착대(1100)의 저면 전체에는 톱니형 걸림턱(1121)을 형성하고, 케이블 홀딩구(2000)의 바닥에는 상기 톱니형 걸림턱(1121)에 대응하는 탄력돌기(2200)를 형성하여 앞뒤에 일정간격 이격시켜 둠으로써 한번 케이블 홀딩구(2000)에 삽입된 와이어 압착구(1000)는 결코 전방으로는 이탈될 수 없도록 하였다.
상기 케이블 홀딩구(2000)의 구성은 바닥에 탄력돌기(2200,2200a)를 구비하고 양측에 측벽(2110)를 구비하는 몸체(2100)와, 상기 측벽의 안쪽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누름돌기(2111)와, 와이어 압착구(10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유도구(2300)와 가이드(24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도구(2300)와 가이드(2400)는 케이블의 전선(C)를 아래에서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압착구(1000)의 와이어 압착대(1100)사이, 즉 파형홈(1110)에 케이블(A)의 와이어(B)를 끼워넣은 다음, 케이블 홀딩구(2000)의 전방으로 부터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와이어 압착대(1100) 저면의 톱니형 걸림턱(1121)들은 케이블 홀딩구(2000)의 바닥에 형성된 탄력돌기(2200,2200a)에 걸리게 되고, 작업자는 최대한 케이블(A)을 팽팽하게 당기면서 함께 와이어 압착구(1000)를 당기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홀딩구(2000)의 측벽(2110) 안쪽에 형성된 누름돌기(2111)는 와이어 압착구(1000)의 측면을 눌러주게 되고, 이로인해 파형홈(1110)은 폭이 더욱 좁아지면서 와이어(B)를 더욱 더 강하게 압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파형의 홈에 끼인 와이어(B)는 매우 견고한 홀딩상태를 유지하게되고, 걸이구(2500)을 이용해 전주(D)의 결속구에 본 고안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100)를 걸어주게 되면 케이블의 현수작업은 완료되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와이어와 전선을 분리할 필요가 없어 케이블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와이어와 전선이 서로 부착된 상태로 현수되어지므로 분리해서 현수하던 종래의 클램프에 비해 인장력이 보다 우수해짐은 물론 미관상으로도 매우 보기 좋은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와이어와 전선을 동시에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케이블이 처지거나 휘어짐을 방지하게 되어 데이터의 전송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압착구가 케이블 홀딩구의 전방으로 부터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된 와이어 압착구는 압착구의 저면에 형성된 톱니형 걸림턱과 케이블 홀딩구의 탄력돌기에 의해 후방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이 전주와 전주 사이에서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와이어를 홀딩하기 위한 와이어 압착구와, 걸이구를 구비하며 전선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홀딩구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압착구(1000)는 안쪽면이 파형을 갖는 한쌍의 와이어 압착대(1100)와, 상기 와이어 압착대(11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1200)와, 상기 와이어 압착대(110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1120)과 저면 전체에 형성되는 톱니형 걸림턱(11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홀딩구(2000)는 바닥에 탄력돌기(2200,2200a)를 구비하고 양측에 측벽(2110)를 구비하는 몸체(2100)와, 상기 측벽의 안쪽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누름돌기(2111)와, 와이어 압착구(10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유도구(2300)와 가이드(2400)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KR20-2004-0015318U 2004-06-02 2004-06-02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KR200361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318U KR200361584Y1 (ko) 2004-06-02 2004-06-02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318U KR200361584Y1 (ko) 2004-06-02 2004-06-02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584Y1 true KR200361584Y1 (ko) 2004-09-14

Family

ID=4934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318U KR200361584Y1 (ko) 2004-06-02 2004-06-02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5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855B1 (ko) 2015-03-23 2015-12-03 (주)지정보통신 통신케이블 결속용 클램프
KR102051894B1 (ko) * 2019-03-26 2019-12-04 강성래 케이블 터보 클램프
KR20200000403U (ko) 2018-08-10 2020-02-19 세명전기공업 (주) 전선용 현수클램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855B1 (ko) 2015-03-23 2015-12-03 (주)지정보통신 통신케이블 결속용 클램프
KR20200000403U (ko) 2018-08-10 2020-02-19 세명전기공업 (주) 전선용 현수클램프
KR102051894B1 (ko) * 2019-03-26 2019-12-04 강성래 케이블 터보 클램프
WO2020197118A1 (ko) * 2019-03-26 2020-10-01 강성래 케이블 터보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2096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conduit between building members
US8702047B2 (en) Electrical box mounting bracket
US5639049A (en) Compact cable clip for retainment of cables and tubing
JP2006304597A (ja) 自動電気ウェッジコネクタ
US20030079315A1 (en) Drop wire clamp
US2456554A (en) Connector for cords or cables
KR200361584Y1 (ko)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JPS6346541B2 (ko)
RU228088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цевой заделки кабеля
JP2006296083A (ja) ケーブル用クランプ
US20040231268A1 (en) Suspending equipment
KR200375125Y1 (ko)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JP4669345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支持具取着体
KR200326726Y1 (ko)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
WO2012036048A1 (ja) 部品取付用の留め具
CN100536247C (zh) 电线夹具
KR200288596Y1 (ko) 다용도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JP2001136643A (ja) ケーブル架設用の留め金具
JPS583987Y2 (ja) 吊杆部材へのケ−ブル等の支持具
KR200430679Y1 (ko) 배선보호용 덕트
KR200367156Y1 (ko) 배선보호용 덕트
KR20090078498A (ko) 원터치 작동식 튜브 클램프
JP2709826B2 (ja) ケーブルの固定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固定具
CN216305105U (zh) 一种吊顶的收边结构
KR200275868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